KR20200105053A -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053A
KR20200105053A KR1020190023645A KR20190023645A KR20200105053A KR 20200105053 A KR20200105053 A KR 20200105053A KR 1020190023645 A KR1020190023645 A KR 1020190023645A KR 20190023645 A KR20190023645 A KR 20190023645A KR 20200105053 A KR20200105053 A KR 20200105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measurer
health
fitness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255B1 (ko
Inventor
지용석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용석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255B1/ko
Priority to US16/782,765 priority patent/US20200275843A1/en
Publication of KR2020010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3Measuring rate of metabolism by using breath test, e.g. measuring rate of oxygen consum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1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 A61B5/222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combined with detection 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parameters, e.g.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에 있어서,
측정자가 착석하여,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착석수단(100)과, 상기 사용자착석수단(100)에 착석한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는 건강체력측정수단(200)과, 상기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을 통해 측정되는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의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측정자 및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정보출력수단(300) 및 상기 사용자착석수단(100), 건강체력측정수단(200), 측정정보출력수단(300)을 제어하는 측정제어부(400);로 구성되되,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은,
측정자의 근육량과 체지방량을 구분하여, 신체의 체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신체구성측정부(210);와, 측정자의 관절 및 근육의 가동 범위가 유지, 증가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유연성측정부(220);와, 측정자의 심장의 순환계 기능과 폐의 호흡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힘을 측정하는 심폐지구력측정부(230);와, 측정자의 근육의 힘과, 그 힘의 지속성을 측정하는 근력측정부(240); 및 측정자의 오랜 시간 동안의 일정한 근력의 지속 능력을 측정하는 근지구력측정부(250);로 구성되어,
측정자의 이동 및 측정기기의 교환 없이, 측정자의 다수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하나의 장치에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에는,
측정 기관의 데이터베이스(DB1), 공공 기관의 데이터베이스(DB2), 관리자의 전용 단말기(S1) 및 측정자의 개인용 단말기(S2)로 측정자의 측정 일시, 개인 정보 및 측정 결과를 공유, 전송하는 측정결과통신수단(N);을 더 포함, 구성하여,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송신하여 전문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강 관리를 위한 지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관리자의 관리 및 측정자의 측정 용이성이 제고됨은 물론, 측정시간(검사 시간)이 단축되어, 측정자가 측정에 집중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측정자 자신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상태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운동에 대한 동기부여 및 측정 결과의 객관성을 극대화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Apparatus for total fitness test}
본 발명은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분할되어 있는 건강체력 측정기기를 하나의 장치로 융합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다양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측정 과정 및 결과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관리자의 관리 및 안내, 측정자의 측정 용이성과, 결과의 객관성이 제고되도록 하는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건강상태와 체력을 적절하게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측정 및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밀한 체력 검사를 위한 체력요소, 즉, 올바른 자세를 비롯하여 운동을 발현시키는 인체의 근력 요소(악력), 운동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심혈관계 능력(심폐지구력), 운동을 조정하는 근신경계 기능(유연성)을 측정해야 한다.
체력은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과, 기술체력(skill related fitness)로 나눌 수 있다.
건강관련 체력의 가장 큰 목표는 삶의 질과 양을 향상시키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신체활동을 통한 체력의 향상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체력적 요소 중에서도 중년층 이상의 성인들에게는 기술체력(skill related fitness) 보다는, 근육과 관련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이 더욱 중요하다.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에는 근력, 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및 신체구성(체성분 검사)의 5[가지] 요소로 분류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중장년층이나 성인병이 있는 환자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지는 체력적 요소는 주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이다.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은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 실제로 튼튼한 몸과 스트레스를 이길 수 있는 건강한 정신 그리고, 원만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함으로서, 인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기본적인 요소가 된다.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이 우수하다고 하여 질병이 걸리지 않는다고는 할 수 없지만,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을 과학적으로 관리한다면 관련 질환의 발생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을 측정하고, 객관적인 측정 결과를 제공할 수 있되, 종래, 하나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는 측정기기가 아닌 다양한 측정 항목을 하나의 장치에서 진행되도록 하여, 측정자의 편의성 및 측정 용이성을 제고하는, 아울러, 측정장치를 유지, 관리하는 관리자 및 검사기관의 관리의 용이성까지 극대화한 통합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종래의 측정기기는 한가지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만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측정자가 다양한 항목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장소 및 위치를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측정자가 자신의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거나, 자신의 연령대에 따른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의 평균 기준을 용이하게 알지 못해,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동기가 부여되지 못하고, 단순히 측정으로만 종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관리자 및 검사기관의 측정장치에 대한 관리의 용이성은 물론, 측정자로 하여금 자신의 종합적인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에 대한 준수함 또는 심각성을 시각적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8968호의 "동적최대근력 측정장치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가해진 힘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 웨이트 장비의 웨이트를 고정시키고, 사용자가 사용한 힘이 상기 로드셀에 가해지도록 하는 잠금장치, 각 성별, 연령별로 정적최대근력으로부터 1-RM을 추정하는 변환식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성 및 연령을 입력받고, 로드셀을 통하여 측정된 웨이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힘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1-RM을 추정하여 출력하는 인디게이터를 포함하여,
각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을 이용하여 인체의 주요 관절과 근육의 정적최대근력을 측정하고 평가하며, 정적최대근력을 이용하여 동적 최대근력으로 변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와 그 장치에 사용되는 착탈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3198호의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용 일체형 측정 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함.)로,
캘리브레이션 도형이 표시된 스크린, 스크린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의 로드 셀을 포함하여 사용자 체중 및 체중의 분포를 측정하기 위한 밸런스미터 및 카메라가 여려 대일 경우 수신된 영상을 스티치하고, 스티치된 영상을 스크린에 표시된 가로 및 세로 기준선들을 참조하여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장 및 자세를 결정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고, 중앙제어부는 밸런스미터로부터 출력된 체중의 분포로부터 사용자의 압력 중심을 연산하고, 압력 중심을 더욱 참조하여 자세를 결정,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신체 정보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신체 정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용 일체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은,
힘의 세기를 측정하는 로드셀과 정적최대근력으로부터 사용자의 동적최대근력을 추정하여 출력하는 인디게이터의 구성을 특징으로,
인체의 주요 관절과 근육의 정적최대근력을 측정, 평가하고, 측정, 평가된 정적최대근력을 이용하여 동적 최대근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고,
선행기술 2는,
한 대 이상의 카메라와 로드셀이 형성된 밸런스미터의 구성을 특징으로,
사용자의 신장, 체중, 체성분, 악력 및 신체 균형도와 자세를 정밀하면서도 한꺼번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측정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공통적으로 본 발명과는 사용자의 근력을 측정하는 장치라는 점에서는 유사하나,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이로 인해 발휘되는 효과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의 기술적 특징이 각각 상이하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8968호 (2007.12.1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3198호 (2011.04.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측정자 및 측정기기의 별도의 위치 이동 없이, 동일한 위치에서 하나의 측정장치로 다양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정자가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면서, 자신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의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통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 측정 시, 실시간으로 자신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측정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동기부여 및 유지할 수 있도록, 건강한 정신적 자극을 줄 수 있는 통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측정장치의 관리와 측정의 용이성 및 측정 과정과 결과의 객관성으로 인해, 관리자 및 측정자가 용이하게 관리, 측정할 수 있는 통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있어서,
측정자가 착석하여,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착석수단;
상기 사용자착석수단에 착석한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는 건강체력측정수단;
상기 건강체력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의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측정자 및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정보출력수단;
상기 사용자착석수단, 건강체력측정수단, 측정정보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측정제어부;로 구성되되,
건강체력측정수단은,
측정자의 근육량과 체지방량을 구분하여, 신체의 체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신체구성측정부;
측정자의 관절 및 근육의 가동 범위가 유지, 증가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유연성측정부;
측정자의 심장의 순환계 기능과 폐의 호흡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힘을 측정하는 심폐지구력측정부;
측정자의 근육의 힘과, 그 힘의 지속성을 측정하는 근력측정부;
측정자의 오랜 시간 동안의 일정한 근력의 지속 능력을 측정하는 근지구력측정부;로 구성되어,
측정자의 이동 및 측정기기의 교환 없이, 측정자의 다수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하나의 장치에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는,
측정 기관의 데이터베이스, 공공 기관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전용 단말기 및 측정자의 개인용 단말기로 측정자의 측정 일시, 개인 정보 및 측정 결과를 공유, 전송하는 측정결과통신수단;을 더 포함, 구성하여,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송신하여 전문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강 관리를 위한 지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자 및 측정기기의 별도의 위치 이동 없이, 동일한 위치에서 하나의 측정장치로 다양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정자가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면서, 자신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의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 측정 시, 실시간으로 자신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측정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동기부여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한 정신적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측정장치의 관리와 측정의 용이성 및 측정 과정과 결과의 객관성으로 인해, 관리자 및 측정자가 용이하게 관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기관의 데이터베이스, 공공 기관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전용 단말기 및 측정자의 개인용 단말기 등으로 측정자의 측정 일시, 개인 정보 및 측정 결과가 공유, 전송되도록 하여, 전문적인 관리 및 추후, 수집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강 관리를 위한 지표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하는,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측정 결과를 토대로 측정자로 하여금 건강 관리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여 꾸준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또한, 하나로 통합된 측정장치에서 다양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의 측정 및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결과를 수정하거나, 본인이 아닌 타인이 대신 측정하거나 하는 부정행위 및 부정 사용자를 방지하여, 객관적이고 투명한 측정 대상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의 측정 결과가 출력, 저장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의 측정 흐름을 간략하게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의 구성요소 중, 심폐지구력측정부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측정자의 심폐지구력에 대한 정보가 측정정보출력수단으로 출력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의 구성요소 중, 심폐지구력측정부를 이용하여 측정자의 심폐지구력을 측정하는 측정 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에 있어서,
측정자가 착석하여,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착석수단(100);
상기 사용자착석수단(100)에 착석한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는 건강체력측정수단(200);
상기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을 통해 측정되는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의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측정자 및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정보출력수단(300);
상기 사용자착석수단(100), 건강체력측정수단(200), 측정정보출력수단(300)을 제어하는 측정제어부(400);로 구성되되,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은,
측정자의 근육량과 체지방량을 구분하여, 신체의 체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신체구성측정부(210);
측정자의 관절 및 근육의 가동 범위가 유지, 증가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유연성측정부(220);
측정자의 심장의 순환계 기능과 폐의 호흡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힘을 측정하는 심폐지구력측정부(230);
측정자의 근육의 힘과, 그 힘의 지속성을 측정하는 근력측정부(240);
측정자의 오랜 시간 동안의 일정한 근력의 지속 능력을 측정하는 근지구력측정부(250);로 구성되어,
측정자의 이동 및 측정기기의 교환 없이, 측정자의 다수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하나의 장치에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측정자가 사용자착석수단(100)에 착석하여, 측정정보출력수단(300)으로부터 출력되는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의 측정 항목, 측정 순서 및 측정 방법에 대한 정보에 따라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을 이용하여, 하나의 측정장치에서 다수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측정의 정확성 및 용이성을 제고시킨 통합 측정장치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측정자가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를 측정하기 위해 착석하는 사용자착석수단(100)은,
측정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부(110);
측정자의 허리를 지탱하여 착석 자세를 보조하는 등받이부(120);
상기 좌석부(110) 및 등받이부(120)가 측정자의 체형 및 측정 항목에 따라 최적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위치이동부(130);로 구성되어,
측정자가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최적의 자세를 유지하여 해당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위치이동부(130)는,
좌석부(110)가 측정자의 체형 및 측정 항목에 따라 전, 후, 수평으로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는 좌석이동모듈(131);
등받이부(120)가 측정자의 체형 및 측정 항목에 따라 전, 후, 회전되어 각도 조절되도록 하는 등받이각도조절모듈(132);로 구성되어,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자의 최적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보조한다.
한편,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 즉, 신체구성(체성분 검사), 유연성,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을 측정할 수 있는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자의 근육량과 체지방량을 구분하여, 신체의 체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신체구성측정부(210), 측정자의 관절 및 근육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유연성측정부(220), 측정자의 심장의 순환계 기능과 폐의 호흡계 기능 유지의 힘을 측정하는 심폐지구력측정부(230), 측정자의 근력을 측정하는 근력측정부(240), 측정자의 근지구력을 측정하는 측정부(250)로 구성되어,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신체구성측정부(210)는,
측정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신체구성측정모듈(211);
상기 신체구성측정모듈(211)에 의해 측정된 측정자의 체성분에 대한 정보를 측정정보출력수단(300)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신체구성측정데이터전송부(212);로 구성되고,
유연성측정부(220)는,
측정자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유연성측정모듈(221);
상기 유연성측정모듈(221)에 의해 측정된 측정자의 유연성에 대한 정보를 측정정보출력수단(300)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유연성측정데이터전송부(222);로 구성되고,
심폐지구력측정부(230)는,
측정자의 심폐지구력을 측정하는 심폐지구력측정모듈(231);
상기 심폐지구력측정모듈(231)에 의해 측정된 측정자의 심폐지구력에 대한 정보를 측정정보출력수단(300)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심폐지구력측정데이터전송부(232);로 구성되고,
근력측정부(240)는,
측정자의 근력을 측정하는 근력측정모듈(241);
상기 근력측정모듈(241)에 의해 측정된 측정자의 근력에 대한 정보를 측정정보출력수단(300)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근력측정데이터전송부(242);로 구성되고,
근지구력측정부(250)는,
측정자의 근지구력을 측정하는 근지구력측정모듈(251);
상기 근지구력측정모듈(251)에 의해 측정된 측정자의 근지구력에 대한 정보를 측정정보출력수단(300)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근지구력측정데이터전송부(252);로 구성되어,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을 통해 상기 5[가지]의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을 측정, 실시간 측정되는 측정 정보가 측정정보출력수단(300)에 수집, 저장되도록 한다.
간략하게 좀 더 설명하면,
신체구성측정부(210)는,
신체질량지수와 요위둔위비, 피부두겹집기법, Bone Scan 및 컴퓨터 단층촬영(CT), 다소 간편한 생체전기 임피던스에 의한 검사법 등으로 인체의 제지방량과 체지방량이 산출되도록 한다.(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로서, 생체전기 임피던스에 의한 검사법이 적용된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가 도시되었다.)
또한, 유연성측정부(220)는,
길이로 측정하는 거리법, 각도로 측정하는 각도법 및 비율로 측정하는 지수법 등으로 측정자의 유연성이 측정되도록 한다.(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서, 거리법의 윗몸 앞으로 굽히기(sit & reach)가 활용되었다.)
이때, 유연성 측정 방법은, 좌석부(110)에 앉은 상태로 측정자의 양쪽 거골(talus bone)을 붙이고, 두 다리를 약 5[cm] 벌린 상태로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에 발을 부착시켜, 숨을 크게 들어 마신 후, 숨을 내쉬면서 몸통을 앞으로 굽혀 손끝이 최대한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관절 및 근육의 가동 범위를 측정한다.
또한, 심폐지구력측정부(230)는,
스테퍼(stepper) 방식을 이용한 운동부하검사(Grade Exercise Test, GXT)를 통해 측정하고, 평가 변인은 최대산소섭취량을 이용, 측정되도록 한다.
이는, 심혈관의 기능을 평가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며,
평가 변인인 최대산소섭취량은, 체중당 섭취하는 산소섭취량으로 판단한다.
이때, 측정자의 최대산소섭취량은,
측정자의 가슴에 Polar 방식의 벨트를 착용하여, 무선으로, 심박수와, V5의 심전도 변화를 측정하고, 측정자의 호흡 변화는 입과 코에 마스크를 착용하여, 산소소비량(VO2)과, 이산화탄소배출량(VCO2)을 측정하는 것으로부터 도출된다.
또한, 근력측정부(240)는,
측정자의 최대 등척성(isometric) 근력을 측정하는 정적근력(static strength)에 해당하는 악력(grip strength test)으로 측정되도록 하되, 스메들리(smedley)식 악력계를 사용하여, 측정자의 지굴근(flexor digitorum)과, 수근군(flexor carpi)에 의한 전완근의 정적근력(static strength)이 측정되도록 한다.
또한, 근지구력측정부(250)는,
윗몸 일으키기(sit-up)를 이용하여, 측정자의 근지구력을 측정하되, 좌석부(110)를 기준으로, 등받이각도조절모듈(132)을 이용하여 등받이부(120)의 각도를 조절, 측정자가 윗몸 일으키기(sit-up)를 할 수 있는 측정장치의 환경이 조성되도록 하여, 근지구력이 측정되도록 한다.
한편,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의 측정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측정자 및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정보출력수단(300)은,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을 통해 순차적으로 측정되는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실시간 저장하는 건강체력측정정보저장부(310);
상기 건강체력측정정보저장부(310)에 저장되는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건강체력정보출력디스플레이부(320);
상기 건강체력정보출력디스플레이부(320)로, 측정할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설명 및 측정 방법을 음향, 그림, 동영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안내하여, 측정자가 용이하게, 측정할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이해하도록 안내하는 측정법가이드부(330);로 구성되되,
건강체력측정정보저장부(310)는,
신체구성측정데이터전송부(212)로부터 전송되는 측정자의 측정 정보 및 결과를 저장하는 신체구성측정정보저장모듈(311);
유연성측정데이터전송부(222)로부터 전송되는 측정자의 측정 정보 및 결과를 저장하는 유연성측정정보저장모듈(312);
심폐지구력측정데이터전송부(232)로부터 전송되는 측정자의 측정 정보 및 결과를 저장하는 심폐지구력측정정보저장모듈(313);
근력측정데이터전송부(242)로부터 전송되는 측정자의 측정 정보 및 결과를 저장하는 근력측정정보저장모듈(314);
근지구력측정데이터전송부(252)로부터 전송되는 측정자의 측정 정보 및 결과를 저장하는 근지구력측정정보저장모듈(315);로 구성되어,
간강체력측정수단(200)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각 요소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가 저장되도록 하고,
측정법가이드부(330)는,
신체구성을 측정하는 측정 방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필요 시, 이를 측정자에게 출력되도록 하는 신체구성측정방법안내모듈(331);
유연성을 측정하는 측정 방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필요 시, 이를 측정자에게 출력되도록 하는 유연성측정방법안내모듈(332);
심폐지구력을 측정하는 측정 방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필요 시, 이를 측정자에게 출력되도록 하는 심폐지구력측정방법안내모듈(333);
근력을 측정하는 측정 방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필요 시, 이를 측정자에게 출력되도록 하는 근력측정방법안내모듈(334);
근지구력을 측정하는 측정 방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필요 시, 이를 측정자에게 출력되도록 하는 근지구력측정방법안내모듈(335);로 구성되어,
측정자가 쉽게 측정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올바른 측정 자세로 인한 정확한 측정 결과가 도출되도록 한다.
한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에는,
측정 기관의 데이터베이스(DB1), 공공 기관의 데이터베이스(DB2), 관리자의 전용 단말기(S1) 및 측정자의 개인용 단말기(S2)로 측정자의 측정 일시, 개인 정보 및 측정 결과를 공유, 전송하는 측정결과통신수단(N);을 더 포함, 구성하여,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송신하여 전문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강 관리를 위한 지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측정결과통신수단(N)은,
필요 시에, 관리자의 전용 단말기(S1) 및 측정자의 개인용 단말기(S2)가 측정정보출력수단(300)과 케이블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호 정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선통신수단(N1);
필요 시에, 측정 기관의 데이터베이스(DB1), 공공 기관의 데이터베이스(DB2), 관리자의 전용 단말기(S1) 및 측정자의 개인용 단말기(S2)가 측정정보출력수단(300)과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호 정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통신수단(N2);으로 구성되고,
또한,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을 이용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 측정 시, 측정 순서에 맞게 측정법가이드부(330)가 출력됨에 따라 측정에 사용되는 해당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이 점멸되도록 하여 측정자가 보다 쉽게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순서알림수단(B);이 더 포함, 구성되어,
보다 용이하게 측정자가 측정에 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측정법가이드부(330)의 효과가 더욱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를 이용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의 측정 흐름을 간략하게 순서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자가 다양한 요소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착석수단(100)에 착석하고,(▶ S100, 측정자 착석단계)
측정자의 착석이 확인되면, 측정정보출력수단(300)을 통해 측정할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안내가 출력되어,(▶ S200, 측정 방법 출력단계)
측정자가 상기 출력되는 안내에 따라 해당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을 통해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S300, 해당 건강체력 요소 측정단계)
이때, 측정자로부터 측정되는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는 실시간으로 측정정보출력수단(300)으로 출력되고,(▶ S400, 측정 과정 및 결과 출력단계)
측정된 결과를 저장하여,(▶ S500, 측정 결과 저장단계)
순차적으로 측정해야 할 다른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S600, 잔여 건강체력 요소 확인단계)
더 이상 측정해야 할 다른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가 없을 경우에는, 측정을 종료하여,(▶ S700, 측정 종료단계)
측정자의 다양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측정이 모두 종료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착석수단(100), 건강체력측정수단(200), 측정정보출력수단(300)을 제어하는 측정제어부(400)는,
사용자착석수단(100) 및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의 기계적인 작동과, 이로 인한 건강체력측정수단(200) 및 측정정보출력수단(300)의 측정 과정, 결과, 출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정리하여,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로부터 측정된 정보는,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개인별 측정 자료는 주기별 평가에 반영, 주기별 평가 자료를 통해 개인의 건강관리 지표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고, 건강관리 지표에서 저하되거나 이상 반응을 보이는 지표에 대해 전문적 관리 또는 전문 의료기관으로 인계하여, 추적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추후,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연계하여 측정된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전 국민을 위한 건강관리 지표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의 구성요소 중, 측정정보출력수단(300)에는, 측정자의 부정행위 및 부정 사용자의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부정행위방지부(TD);가 더 포함, 구성되어,
객관적인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가 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는 측정자가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착석수단(100)에 착석하게 되면, 측정장치의 특성상 한 번의 착석으로 5[가지]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측정장치의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자 및 부정 사용자의 부정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구성요소적인 관점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착석수단(100)에 착석한 측정 예정자의 식별정보(TM)를 확인, 검사, 저장하는 측정자본인인증모듈(TD1);
상기 측정자본인인증모듈(TD1)로부터 확인된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의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임시 저장하는 측정자측정과정임시저장모듈(TD2);
측정자가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 측정 시, 부득이한 이유로 사용자착석수단(100)을 이탈해야 할 경우, 일정시간 측정이 지연되도록 하는 측정일시정지모듈(TD3);
상기 측정일시정지모듈(TD3)의 활성화를 해제하고, 측정을 연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측정연속진행모듈(TD4);
상기 측정자측정과정임시저장모듈(TD2)에 저장된, 측정자의 5[가지]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가 건강체력측정정보저장부(310)와 연계되도록 하는 측정자측정결과연계모듈(TD5);로 구성되어,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의 객관성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자가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면서 부득이하게 사용자착석수단(100)을 이탈해야 할 경우에는, 측정일시정지모듈(TD3)이 활성화되고, 재차 측정을 위해 사용자착석수단(100)에 측정자가 착석하게 되면 또다시 측정자본인인증모듈(TD1)에 의해 측정자의 식별정보(TM)를 확인, 검사하여 측정이 이어져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함에 있어 측정자 및 부정 사용자의 부정행위를 방지하여, 객관성이 극대화된 측정 과정 및 결과가 나오게 된다.
참고하여, 본 발명에서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이라 함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신체구성(체성분 검사)을 말한다.
또한, '식별정보(TM)'라 함은,
측정자의 지문, 안면, 홍채, 체중, 주민등록번호 등, 측정자를 확인,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제작하는 제작업 및 판매업, 이를 이용하여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상태를 확인하는 검진 센터 및 훈련, 재활 전문 스포츠 센터 등 다양한 의료 산업 및 피트니스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
100: 사용자착석수단 110: 좌석부
120: 등받이부 130: 위치이동부
131: 좌석이동모듈 132: 등받이각도조절모듈
200: 건강체력측정수단 210: 신체구성측정부
211: 신체구성측정모듈 212: 신체구성측정데이터전송부
220: 유연성측정부 221: 유연성측정모듈
222: 유연성측정데이터전송부 230: 심폐지구력측정부
231: 심폐지구력측정모듈 232: 심폐지구력측정데이터전송부
240: 근력측정부 241: 근력측정모듈
242: 근력측정데이터전송부 250: 근지구력측정부
251: 근지구력측정모듈 252: 근지구력측정데이터전송부
300: 측정정보출력수단 310: 건강체력측정정보저장부
311: 신체구성측정정보저장모듈 312: 유연성측정정보저장모듈
313: 심폐지구력측정정보저장모듈 314: 근력측정정보저장모듈
315: 근지구력측정정보저장모듈 320: 건강체력정보출력디스플레이부
330: 측정법가이드부 331: 신체구성측정방법안내모듈
332: 유연성측정방법안내모듈 333: 심폐지구력측정방법안내모듈
334: 근력측정방법안내모듈 335: 근지구력측정방법안내모듈
400: 측정제어부
S100: 측정자 착석단계 S200: 측정 방법 출력단계
S300: 해당 건강체력 요소 측정단계 S400: 측정 과정 및 결과 출력단계
S500: 측정 결과 저장단계 S600: 잔여 건강체력 요소 확인단계
S700: 측정 종료단계
B: 측정순서알림수단 N: 측정결과통신수단
N1: 유선통신수단 N2: 무선통신수단
S1: 관리자의 전용 단말기 S2: 측정자의 개인용 단말기
DB1: 측정 기관의 데이터베이스 DB2: 공공 기관의 데이터베이스
TD: 부정행위방지부 TD1: 측정자본인인증모듈
TD2: 측정자측정과정임시저장모듈 TD3: 측정일시정지모듈
TD4: 측정연속진행모듈 TD5: 측정자측정결과연계모듈

Claims (2)

  1.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에 있어서,
    측정자가 착석하여,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착석수단(100);
    상기 사용자착석수단(100)에 착석한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측정하는 건강체력측정수단(200);
    상기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을 통해 측정되는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의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측정자 및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정보출력수단(300);
    상기 사용자착석수단(100), 건강체력측정수단(200), 측정정보출력수단(300)을 제어하는 측정제어부(400);로 구성되되,
    건강체력측정수단(200)은,
    측정자의 근육량과 체지방량을 구분하여, 신체의 체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신체구성측정부(210);
    측정자의 관절 및 근육의 가동 범위가 유지, 증가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유연성측정부(220);
    측정자의 심장의 순환계 기능과 폐의 호흡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힘을 측정하는 심폐지구력측정부(230);
    측정자의 근육의 힘과, 그 힘의 지속성을 측정하는 근력측정부(240);
    측정자의 오랜 시간 동안의 일정한 근력의 지속 능력을 측정하는 근지구력측정부(250);로 구성되어,
    측정자의 이동 및 측정기기의 교환 없이, 측정자의 다수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를 하나의 장치에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1)에는,
    측정 기관의 데이터베이스(DB1), 공공 기관의 데이터베이스(DB2), 관리자의 전용 단말기(S1) 및 측정자의 개인용 단말기(S2)로 측정자의 측정 일시, 개인 정보 및 측정 결과를 공유, 전송하는 측정결과통신수단(N);을 더 포함, 구성하여,
    측정자의 건강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에 대한 측정 과정 및 결과를 송신하여 전문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강 관리를 위한 지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
KR1020190023645A 2019-02-28 2019-02-28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 KR102269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45A KR102269255B1 (ko) 2019-02-28 2019-02-28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
US16/782,765 US20200275843A1 (en) 2019-02-28 2020-02-05 Integrated measurement system for measuring health-related fitness f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45A KR102269255B1 (ko) 2019-02-28 2019-02-28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053A true KR20200105053A (ko) 2020-09-07
KR102269255B1 KR102269255B1 (ko) 2021-06-25

Family

ID=7223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645A KR102269255B1 (ko) 2019-02-28 2019-02-28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275843A1 (ko)
KR (1) KR102269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139B1 (ko) * 2022-08-25 2023-12-01 장기훈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기록 측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68B1 (ko) 2004-09-20 2007-12-27 김일곤 동적최대근력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80068606A (ko) * 2008-06-09 2008-07-23 한상현 노인 건강체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033198B1 (ko) 2009-04-30 2011-05-06 (주)더힘스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용 일체형 측정 장치
KR20170111762A (ko) * 2016-03-29 2017-10-12 김남형 무선 신장 및 체성분 체중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968B1 (ko) 2004-09-20 2007-12-27 김일곤 동적최대근력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80068606A (ko) * 2008-06-09 2008-07-23 한상현 노인 건강체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033198B1 (ko) 2009-04-30 2011-05-06 (주)더힘스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용 일체형 측정 장치
KR20170111762A (ko) * 2016-03-29 2017-10-12 김남형 무선 신장 및 체성분 체중측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139B1 (ko) * 2022-08-25 2023-12-01 장기훈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기록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75843A1 (en) 2020-09-03
KR102269255B1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urahmadi et al. A new iPhone application for measuring active craniocervical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neck pain: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Miller NSCA's Guide to Tests and Assessments
US8374671B2 (en) Health indicator
KR101033198B1 (ko)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용 일체형 측정 장치
Acevedo et al.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lab manual
Silva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head posture assessment by observation and a four-category scale
Mays et al. Validation of adult OMNI perceived exertion scales for elliptical ergometry
KR102269255B1 (ko) 건강체력 요소 통합 측정장치
Lo et al. Assessment of an alternative calibration technique to record breathing pattern and its variability with respiratory inductive plethysmography
KR102106416B1 (ko) 건강관리용 검사장치
Nikkhoo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mobile device for assessing head control ability
Montes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Hexoskin and Fitbit Flex wearable BIO collection devices
Massaroni et al. Optical measurement of breathing: Algorithm volume calibration and preliminary validation on healthy trained subjects
Serrano-Villar et al. Thoracic index in adults with asthma: a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Köhler et al. Body surface scan anthropometrics are related to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the general population
Gibson et al. Intraindividual variability in test-retest air displacement plethysmography measurements of body density for men and women
Sarro et al. Reliability and minimal detectable change of thoracoabdominal mobility measurements using photogrammetry
JP735666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733353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Nene et al. Relationship between Anthropometric Variables and Lung Function Parameters among Apparently Healthy Adults in a Nigerian University
Hussey Head above water weighing: A valid method to measure body fat storage?
RU2587946C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обследования человека перед проведением оздоровительных программ
von Körperkomposition Anthropometry–Assessment of Body Composition
ES2562212T3 (es) Indicador de salud
Dalangin FIXTRATE: AN IOT-BASED POSTURE DETECTION AND CORR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