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018A -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018A
KR20200105018A KR1020190023567A KR20190023567A KR20200105018A KR 20200105018 A KR20200105018 A KR 20200105018A KR 1020190023567 A KR1020190023567 A KR 1020190023567A KR 20190023567 A KR20190023567 A KR 20190023567A KR 20200105018 A KR20200105018 A KR 20200105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mart
meter
load
d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151B1 (ko
Inventor
정철구
Original Assignee
정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구 filed Critical 정철구
Priority to KR102019002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15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이종미터 데이터 수집용 데이터수집부와; 부하 제어용 부하제어부와; 상기 이종미터 데이터의 전송과, 외부에서 전송된 부하 제어신호의 수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데이터수집부, 부하제어부, 무선통신부를 컨트롤하는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Collecting heterogeneous meter data for building a smart city and controlling electric equipment Integrated smart DCU device}
본 발명은 수요반응(Demand Respond(이하 'DR'))사업과 관련하여 2018년 DR법규개선 및 전국민 DR사업 확대와 관련한 시스템 장비 및 양방향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이하 'AMI') 구축의 일환이다.
국민 DR확대에 따른 기존 단방향 검침장비가 아닌 저비용 고효율 데이터 수집장치로써,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Data Collection Unit)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이 수행하던 일들을 자동화하거나 기계를 통해 수행하는 현상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중에서, 원격 검침은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수도, 전기,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원을 보내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계량하기 위한 지능형 원격검침(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기술을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지능형 원격검침은 전력 공급업체와 수용가 사이의 전력 서비스 정보화를 위한 인프라로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를 구현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핵심 인프라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지능형 원격검침 시스템은 기존에 한달 간격으로 전력 사용량을 전송하는 단방향 자동 원격검침(Automatic Meter Reading, AMR) 시스템에서 발전되어, 시간대별 전력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검침하고 다양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지능형 원격검침 시스템은 스마트미터(Smart Meter), 데이터 수집장치(Dater Collection Unit, DCU) 및 지능형 원격검침 서버로 구성되며, 스마트미터는 주기적으로 수용가의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역율, ID, 검침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검침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각 수용가에 설치된 스마트미터가 일정한 주기로 검침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수집장치를 통해 지능형 원격검침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지능형 원격검침 시스템은 단방향 원격검침 시스템이므로 실시간 검침데이터 수집에 따른 실시간 요금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전력품질 감시, 스마트가전 및 IoT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한 에너지 효율 제어 기술 부족하여, 국민 참여가 저해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61187호(등록일자 2015년10월1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미터기(전력량계, 유량계외)의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고, IoT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 구축되어 있는 기기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DCU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미터 데이터 수집용 데이터수집부와; 부하 제어용 부하제어부와; 상기 이종미터 데이터의 전송과, 외부에서 전송된 부하 제어신호의 수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데이터수집부, 부하제어부, 무선통신부를 컨트롤하는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로라(LoR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종미터는 전력량계, 가스미터, 수도미터, 온수미터 중 2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전력량계의 데이터가 설정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부하제어부를 통해 부하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메인컨트롤러에 의해 우선순위가 부여되되, 상기 우선순위는 환경에 따라 변동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전력량계의 데이터를 레벨별로 구분하고, 레벨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부하부터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AMI적 측면에서는 실시간 에너지 사용량(요금)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할 수 있고, 하루 중 전력 비용이 비쌀 때와 저렴할 때의 전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국민 DR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국민 DR적 측면에서는 급전요청이 발생했을 때 사용자들이 전력을 체크(모바일, 월패드)하고 부하 감축 제어를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불가피하게 제어를 못 할 상황일 때에는 Auto DR 시스템을 가동하여 시나리오의 절차대로 부하 감축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 및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장점 및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장점 및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DCU 장치의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DCU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DCU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중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이하, 스마트 DCU)는 이종미터 데이터 수집용 데이터수집부와; 부하 제어용 부하제어부와; 상기 이종미터 데이터의 전송과, 외부에서 전송된 부하 제어신호의 수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데이터수집부, 부하제어부, 무선통신부를 컨트롤하는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로라(LoR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종미터는 전력량계, 가스미터, 수도미터, 온수미터 중 2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전력량계의 데이터가 설정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부하제어부를 통해 부하를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하는 메인컨트롤러에 의해 우선순위가 부여되되, 상기 우선순위는 환경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전력량계의 데이터를 레벨별로 구분하고, 레벨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부하부터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DCU(100)는 데이터수집부(10)와, 부하제어부(30)와, 무선통신부(40)와, 메인컨트롤러(20)를 포함한다.
데이터수집부(10)는 이종미터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이종미터는 전력량을 계측하는 전력량계(410), 가스량을 계측하는 가스미터(420), 온수량을 계측하는 온수미터(430), 수도량을 계측하는 수도미터(미도시) 중 2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수집부(10)는 전력량계(410), 가스미터(420), 온수미터(430), 수도미터에서 사용되는 통신프로토콜이 상이하더라도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다양한 통신프로토콜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부하제어부(30)는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고, 무선통신부(40)는 이종미터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에서 전송된 부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무선통신부(40)는 최대 10km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로라(Long Range, LoRa)일 수 있다. 이러한 로라는 블루투스, 지그비와 비슷한 무선통신 방식으로써 블루투스, 지그비 대비 데이터 전송 거리가 길다. 가늘고 길게 전송하는 특성으로 유튜브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온도/습도와 같은 센서 데이터와 같이 크지 않은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메인컨트롤러(20)는 상기 데이터수집부(10), 부하제어부(30), 무선통신부(40)를 컨트롤하는 구성으로써, 전력량계(410)의 데이터가 설정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부하제어부(30)를 통해 부하를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스마트 DCU(100)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메인컨트롤러에 의해 우선순위가 부여되되, 상기 우선순위는 환경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컨트롤러(20)는 상기 전력량계(410)의 데이터를 레벨별(1레벨(100kw/h), 2레벨(200kw/h), 3레벨(250kw/h), 4레벨(300kw/h), 5레벨(320kw/h))로 구분하고, 레벨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부하부터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환경은 계절, 날씨, 시간, 재실 여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환경 인자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부하는 LED등(440), TV(450), 에어컨(460), 전기매트(4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전기로 작동되는 전자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환경에 따른 부하의 우선순위의 변동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환경 인자가 재실 여부이면, 재실 감지 센서의 감지 유무에 따라 LED등(440), TV(450), 에어컨(460), 전기매트(470)의 우선순위가 변동된다.
스마트홈(400)의 방이 3개고, 각각의 방에는 LED등(440), 전기매트(470) 및 재실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컨(460) 및 TV(450)는 상기 3개의 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에어컨(460)이 1순위, 전기매트(470)가 2순위, TV(450)가 3순위, LED등(440)이 4순위라 하며, 모든 부하가 가동되고 있다는 전제하에서, 1개의 방에서만 인체가 감지되고, 나머지 방에서는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할 때, 우선순위는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 방의 전기매트(470), LED등(440)이 각각 1,2순위로 변동되고, 인체가 감지되는 방이 하나라도 있기 때문에 에어컨(460)은 1순위에서 후순위로 변동된다.
환경 인자가 시간인 경우, 낮 시간에는 LED등(440)이 1순위가 되고, 늦은 밤에는 에어컨(460) 또는 TV(450)가 1순위로 변동될 수 있다.
환경 인자가 계절인 경우 여름에는 전기매트(470)가 1순위가 되고, 겨울에는 에어컨(460)이 1순위로 변동될 수 있다.
환경 인자가 날씨인 경우에도 화창하면 LED등(440)이 1순위일 수 있고, 비가 오면 에어컨(460)이 1순위일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가 많은 경우 다른 기기들 보다 공기청정기(미도시)가 후순위로 변동될 수 있다.
환경 인자는 외부로부터 수신받는 것이 바람직하나, 환경 인자가 시간, 계절인 경우 스마트 DCU(100)에서 자체적인 시간 체크를 통해 개략적인 시간, 계절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스마트 DCU(100)는 도 2와 같이 스마트홈에 이용되거나, 도 3과 같이 스마트팩토리에 이용되거나, 도 4와 같이 스마트팜에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스마트 DCU(100)를 스마트홈(400)에 적용된 사례를 나타낸다.
스마트 DCU(100), 원격검침서버(200)는 예컨대,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DCU(100)는 아파트 단지 내의 각 세대, 즉, 스마트홈(400)에 설치되고, 원격검침서버(200)는 아파트 단지를 관리하는 관리사무소에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DCU(100)와 원격검침서버(200)와의 통신은 로라(LoRa)를 이용한다.
스마트 DCU(100)는 스마트홈(400)의 전력량계(410), 가스미터(420), 온수미터(430)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원격검침서버(200)에 전송한다. 원격검침서버(200)는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당 세대의 세대주의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실시간 사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홈(400)에 구비된 LED등(440), TV(450), 에어컨(460), 전기매트(470)는 스마트DCU(100)에 의해 우선순위가 미리 정해져 있으나, 스마트DCU(100)에 기상청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기상데이터가 원격검침서버(200)를 통해 제공되면, 스마트DCU(100)는 기상데이터에 따라 우선순위를 변동한다.
그리고 스마트DCU(100)는 원격검침서버(200)에 의해 한전서버(700)의 수요반응 신호를 수신하면 우선순위에 따라 LED등(440), TV(450), 에어컨(460), 전기매트(470)를 제어한다. 에어컨(460)이 1순위라면 소비전력을 줄이던지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20℃로 설정되어 있으면, 25℃로 제어하던지 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TV(450)가 1순위인 경우는 화면밝기를 조정하거나 OFF 상태로 제어한다.
OFF 상태로 제어하는 경우 수요반응에 의한 OFF인지, 고장에 의한 OFF인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부하 각각에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표시하거나, 스마트홈(400)에 설치된 방송에 안내멘트를 방송하여 알릴 수 있다. 표시수단은 LED, 또는 부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데이터수집부
20: 메인컨트롤러
30: 부하제어부
40: 무선통신부
100: 스마트 DCU
200: 원격검침서버
300: 기상청서버
400: 스마트홈

Claims (5)

  1. 이종미터 데이터 수집용 데이터수집부와;
    부하 제어용 부하제어부와;
    상기 이종미터 데이터의 전송과, 외부에서 전송된 부하 제어신호의 수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데이터수집부, 부하제어부, 무선통신부를 컨트롤하는 메인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로라(LoR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미터는 전력량계, 가스미터, 수도미터, 온수미터 중 2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전력량계의 데이터가 설정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부하제어부를 통해 부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메인컨트롤러에 의해 우선순위가 부여되되, 상기 우선순위는 환경에 따라 변동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전력량계의 데이터를 레벨별로 구분하고, 레벨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부하부터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KR1020190023567A 2019-02-28 2019-02-28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KR102206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567A KR102206151B1 (ko) 2019-02-28 2019-02-28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567A KR102206151B1 (ko) 2019-02-28 2019-02-28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018A true KR20200105018A (ko) 2020-09-07
KR102206151B1 KR102206151B1 (ko) 2021-01-22

Family

ID=7247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567A KR102206151B1 (ko) 2019-02-28 2019-02-28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5583A (zh) * 2021-08-25 2021-11-09 施勒智能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控制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900A (ko) * 2014-02-24 2015-09-02 원시스템주식회사 사이트 맞춤형 스마트 자동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61187B1 (ko) 2014-03-10 2015-10-19 주식회사 시컴스 스마트미터, 이를 포함하는 검침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91516A (ko) * 2017-02-07 2018-08-16 젤릭스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적용된 통합 스마트 계량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900A (ko) * 2014-02-24 2015-09-02 원시스템주식회사 사이트 맞춤형 스마트 자동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61187B1 (ko) 2014-03-10 2015-10-19 주식회사 시컴스 스마트미터, 이를 포함하는 검침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91516A (ko) * 2017-02-07 2018-08-16 젤릭스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적용된 통합 스마트 계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5583A (zh) * 2021-08-25 2021-11-09 施勒智能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控制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151B1 (ko) 202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ppagantu et al. Challenges and issues of smart grid implementation: A case of Indian scenario
CN102696198B (zh) 用于使用智能设备来控制电力的装置及其方法
JP5710028B2 (ja) 能動負荷管理の使用を通じて配分可能な運転用予備力エネルギーキャパシティを推定及び供給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Burunkaya et al. A smart meter design and implementation using ZigBee 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in smart grid
KR20130091573A (ko) 공동주택단지에서의 최적 에너지 관리 및 에너지 설비 제어 연동 시스템
JP2015524093A (ja) エネルギー需要ブロードキャスト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60344188A1 (en) Controlling a distributed generation management system
CN109417400B (zh) 用于在网络中选择性接收数据广播的设备、系统和方法
US10152075B2 (en) Information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10031496B2 (en) Control system,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JP2016213844A (ja) 管理方法、制御装置及び通信処理デバイス
CN103136914A (zh) 一种基于td-lte无线网络的自动抄表系统
US10416700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11971868A (zh) 根据瞬时能量需求控制电气设备的设备和系统以及方法
KR102206151B1 (ko)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이종미터기 데이터 수집 및 전기기기 제어가능 통합 스마트 dcu 장치
Kiliccote et al. Fast dr: Controlling small loads over the internet
CN116542492B (zh) 一种针对家庭储能系统的能源信息处理方法和装置
DE202011004327U1 (de) Kommunikationsmodul zur automatisierten Fernsteuerung und -auslesung von elektronischen Einrichtungen
Shipman et al. SCENe things: IoT-based monitoring of a community energy scheme
CN105953383A (zh) 一种基于无线wifi的中央空调计费监控装置、系统及方法
US10673233B2 (en) Control device, distribution board, and control method
Cheo et al. Smart Home/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uture Smart Grid Architecture with Automated Demand Response Applications
Lee et al.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internetworking with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Hussain et al. An Approach to Energy Economy In Household Environment Using Smart System (SSFEE)
KR102041156B1 (ko) 스케줄러 기반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