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747A - 기능성 빨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747A
KR20200104747A KR1020190023495A KR20190023495A KR20200104747A KR 20200104747 A KR20200104747 A KR 20200104747A KR 1020190023495 A KR1020190023495 A KR 1020190023495A KR 20190023495 A KR20190023495 A KR 20190023495A KR 20200104747 A KR20200104747 A KR 20200104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tepped
functional
present
stepp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혜영
Original Assignee
양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혜영 filed Critical 양혜영
Priority to KR102019002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4747A/ko
Publication of KR2020010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이 밀폐 또는 개방되게 하여 음료를 마시는 빨대로 사용한 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성 빨대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관 또는 튜브 형태의 빨대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측에는 제1 단턱이 그리고 타측에는 상기 제1 단턱과 대응되는 제2 단턱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단턱과 상기 제2 단턱이 서로 겹쳐지게 그리고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게 하여 분리시 옆트임부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상기 빨대를 사용한 후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빨대{FUNSTIONAL Straw}
본 발명은 기능성 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이 밀폐 또는 개방되게 하여 음료를 마시는 빨대로 사용한 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성 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이나 캔을 이용하여 우유나, 음료수 또는 물을 담아 마시는 경우에 직접 입에 대고 마시기도 하지만, 주로 빨대를 이용하여 컵이나 캔에 담겨진 우유나 음료수 또는 물을 마시게 된다.
상기와 같은 빨대는, 내부가 중공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빨대의 상부를 입속에 넣은 상태에서 흡입력을 이용하여 빨대를 빨면 빨대의 하부를 통해 음료수가 흡입되어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빨대의 종류로는 일자형 빨대 또는 상부에 주름관이 형성되어 빨대의 상부를 꺾을 수 있도록 한 주름형 빨대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수를 마시는 구조는, 먼저 길이가 길게 형성된 빨대의 하부를 음료수가 들어 있는 음료용기에 꽂아 넣은 다음 빨대의 상부를 입에 물고서 빨대를 빨아 줌으로써 음료용기의 음료수가 빨대 속으로 흡입되어 용기 속의 음료를 빨아 당겨 마시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빨대는 길이가 길게 형성된 빨대 본체에 의해 외측이 밀폐되어 내부가 상하로 중공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보통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종래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759호 및 제20-2007-0000163호에 개시된 빨대들은 밀폐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어 세척이 불가능하여 1회 사용후 쓰레기로 처분해야 하는 불편이 따르며, 회수 또는 재생하여 재활용되지 못하고 산, 들 또는 유원지 등에 그대로 버려지게 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원료의 낭비로 인한 수입으로 많은 경제적인 손실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759호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7-0000163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마시는 빨대의 측면이 밀폐 또는 개방되게 하는 옆트임부를 형성하여 사용한 후에 옆트임부를 통해 빨대를 펼쳐지게 하여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빨대가 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1회 사용 후 폐기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빨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빨대는,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관 또는 튜브 형태의 빨대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측에는 제1 단턱이 그리고 타측에는 상기 제1 단턱과 대응되는 제2 단턱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단턱과 상기 제2 단턱이 서로 겹쳐지게 그리고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게 하여 분리시 옆트임부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상기 빨대를 사용한 후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빨대의 상기 제1 단턱과 상기 제2 단턱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되어 상기 옆트임부가 나선형태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빨대의 일부분이 주름형 자바라 형태로 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1 단턱과 상기 제2 단턱이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빨대는 옆트임된 상태에서 한쪽 끝단이 다른 쪽 끝단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말아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를 사용하게 되면, 빨대를 사용한 후에 옆트임부를 통해 펼쳐지게 하여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 가능함으로써, 빨대가 1회 사용후 폐기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게 하여 쓰레기로 처분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하고, 산, 들 또는 유원지 등에 그대로 버려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하고, 빨대 내부가 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원료의 낭비로 인한 수입으로 많은 경제적인 손실 또한 예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빨대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빨대의 옆트임부를 벌렸을 때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태의 기능성 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바라를 구비한 기능성 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말려진 기능성 빨대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빨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빨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빨대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빨대의 옆트임부를 벌렸을 때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태의 기능성 빨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바라를 구비한 기능성 빨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말려진 기능성 빨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음료를 마시는 빨대의 측면이 밀폐 또는 개방되게 하는 옆트임부를 형성하여 사용한 후에 옆트임부를 통해 빨대를 펼쳐지게 하여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빨대가 1회 사용후 폐기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빨대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1)의 측면에 옆트임부(30)가 형성되게 하였다.
즉, 상기 빨대(1)는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관 또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져서 그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측에는 체결부인 제1 단턱(10)이 그리고 타측에는 제1 단턱(10)과 대응되는 제2 단턱(20)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단턱(10)과 제2 단턱(20)이 서로 겹쳐지게 그리고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게 하여 분리시 옆트임부(30)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빨대(1)를 사용한 후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옆트임부(30)의 체결부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단턱(10) 및 제2 단턱(20)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하였지만,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하에 끼움형, 체결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빨대(1)의 제1 단턱(10)과 제2 단턱(20)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되어 옆트임부(30)가 나선형태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빨대(1)의 옆트임부(30)가 나선형태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제1 단턱(10)과 제2 단턱(20)의 체결부는 꼬임현상이 일어날 때에 발생되는 힘, 즉 상부에 놓인 제1 단턱(10) 또는 제2 단턱(20)이 하부에 놓인 제1 단턱(10) 또는 제2 단턱(20)을 눌러줌으로써 결합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일을 가능하게 하여 음료수의 음용수 옆트임부(30)로 음료가 세어나오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빨대(1)의 일부분이 주름형 자바라(40) 형태로 되게 함으로써 제1 단턱(10)과 제2 단턱(20)이 자바라(30)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는 일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빨대(1)의 일부분인 자바라(40)의 구성을 통해서,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때에 다양한 형태와 방향으로 구부려서 마실 수 있게 하였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빨대(1)는 옆트임된 상태에서 한쪽 끝단이 다른 쪽 끝단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말아진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 빨대(1)의 말아진 형태는 360°를 넘어서 450°이상으로 말아지게 함으로써, 이는 비록 다양한 깊이를 가진 음료 용기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긴 형태의 빨대(1)라 하더라도 둘둘 말아서 부피를 줄여서 보관하는데 용이성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1)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옆트임부(30)의 제1 단턱(10)과 제2 단턱(20)이 서로 결착되어 있는 빨대(1)를 이용해서 용기에 꽂아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빨대(1)를 이용해서 음료를 음용한 후에는 그 빨대(1)를 버리지 않고 옆트임부(10)의 제1 단턱(10)과 제2 단턱(20)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려서 세척기구를 이용하여 빨대(1)의 내부를 세척 및 건조한다.
상기와 같이 빨대(1)를 세척 건조한 후에는 제1 단턱(10)과 제2 단턱(20)이 원상태로 결착되게 하여 보관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의 빨대(1)를 이용하게 되면, 1회 사용후 폐기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게 하여 쓰레기로 처분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하고, 산, 들 또는 유원지 등에 그대로 버려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하며, 원료의 낭비로 인한 수입으로 많은 경제적인 손실 또한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빨대
10: 제1 단턱 20: 제2 단턱
30: 옆트임부 40: 자바라

Claims (4)

  1.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관 또는 튜브 형태의 빨대(1)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측에는 제1 단턱(10)이 그리고 타측에는 상기 제1 단턱(10)과 대응되는 제2 단턱(20)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단턱(10)과 상기 제2 단턱(20)이 서로 겹쳐지게 그리고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게 하여 분리시 옆트임부(30)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상기 빨대(1)를 사용한 후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빨대(1)의 상기 제1 단턱(10)과 상기 제2 단턱(20)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되어 상기 옆트임부(30)가 나선형태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빨대(1)의 일부분이 주름형 자바라(40) 형태로 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1 단턱(10)과 상기 제2 단턱(20)이 자바라(30)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빨대(1)는 옆트임된 상태에서 한쪽 끝단이 다른 쪽 끝단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말아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빨대.
KR1020190023495A 2019-02-27 2019-02-27 기능성 빨대 KR20200104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95A KR20200104747A (ko) 2019-02-27 2019-02-27 기능성 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95A KR20200104747A (ko) 2019-02-27 2019-02-27 기능성 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747A true KR20200104747A (ko) 2020-09-04

Family

ID=7247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495A KR20200104747A (ko) 2019-02-27 2019-02-27 기능성 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47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75466A1 (en) Disposable cup for beverag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it
US5353983A (en) Beverage container
CN110733750A (zh) 附有一体成型吸管的饮料杯盖
KR101548973B1 (ko) 위생적이며 사용이 편리한 음료캔
TWM570300U (zh) Combined straw container
KR20200113362A (ko) 세척가능 빨대
KR20200104747A (ko) 기능성 빨대
KR20200113719A (ko) 세척가능 빨대
KR200223746Y1 (ko) 접히는 페트병
KR20200026430A (ko) 세척가능 빨대
US20030094459A1 (en) Beverage can with sucking means
CN210762062U (zh) 附有一体成型吸管的饮料杯盖
CN108639506B (zh) 一种填充折叠式内胆的酸奶瓶
CN204264674U (zh) 内置吸管的易拉罐
CN106343700B (zh) 软瓶
JP2000142690A (ja) 容 器
CN206336590U (zh) 一种牛奶瓶盖
CN211365509U (zh) 一种便于倾倒的牛奶盒
CN213922495U (zh) 一种宠物用可断续性封口的宠物垃圾袋
KR200351677Y1 (ko) 빨대 상단에 돌출부를 돌출 수용케한 음료수용 병
CN211845829U (zh) 一种方便倾倒垃圾的垃圾袋
JP2002080045A (ja) ペットボトルラベルのコップ
JP2004018113A (ja) 脱着分別式軟質チューブ容器
JP3665917B2 (ja) 合成樹脂製包装容器
JP2009007064A (ja) ペットボトルのストロー内蔵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