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528A -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gency rescue and method of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gency rescue and method of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528A
KR20200104528A KR1020190022955A KR20190022955A KR20200104528A KR 20200104528 A KR20200104528 A KR 20200104528A KR 1020190022955 A KR1020190022955 A KR 1020190022955A KR 20190022955 A KR20190022955 A KR 20190022955A KR 20200104528 A KR20200104528 A KR 20200104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oral
emergency patient
blade
res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8863B1 (en
Inventor
강병식
Original Assignee
케이지메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지메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지메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863B1/en
Publication of KR2020010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5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8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rgency rescue, which includes: a grip housing with a built-in battery; a curved blade detachable from a lower end of the grip housing; an oral camera installed on one side of a tip of the blade to photograph the oral cavity of an emergency patient; an oral lighting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ip of the blade to emit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oral cavity of the emergency patient;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photographed by the oral camera; a communication module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a doctor terminal which monitors the state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gives an instruction to an on-site emergency rescuer for the emergency patient; and a repeater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to the doctor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escription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GENCY RESCUE AND METHOD OF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119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rgency rescue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GENCY RESCUE AND METHOD OF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독 가스를 흡입하는 등 응급환자에 후두경 기관 삽관이 시급하게 필요한 상황이라도 현행 법률상 1급 응급구조사(2급 응급구조사는 의사 지시가 있어도 후두경 기관 삽관이 불법임)라도 의사의 지시 없는 후두경 기관 삽관은 불법이여서 처치를 못하여 안타깝게 골든 타임을 놓쳐서 생명을 잃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원격의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사에게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nd an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Even in a situation where intubation of the laryngoscope is urgently necessary for an emergency patient, such as inhaling toxic gas, a first-clas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 second-clas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Laryngoscope tracheal intubation is illegal even if there is a doctor's instruction). And a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rgency rescue, and an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capable of instructing the emergency patient to intubate the laryngoscope for the emergency patient by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emergency patient based on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일반적으로 후두경은 사고 또는 기타 원인으로 인해 의식불명 상태에 있는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로서 인공호흡 장치를 사용하여 인공호흡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여 인공호흡장치에 연결된 삽관튜브와 같은 튜브부재의 선단부를 환자의 기관과 같은 목적부위에 삽입하기 위한 보조기구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후두경은 숨을 쉬지 못하는 환자나 혹은 기도가 폐쇄된 환자의 구강내로 삽입하여 기도유지를 하는데 사용되는 응급처치용 도구이다. In general, the laryngoscope is an emergency measure for a patient who is unconscious due to an accident or other cause. When it is necessary to perform artificial respiration using an artificial ventilation device, the intubation tube and the intubation tub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evice are secured by securing the patient's airway. It is used as an auxiliary device for inserting the tip of the same tube member into a target site such as a patient's organ. Therefore, in general, the laryngoscope is a first aid tool used to maintain the airway by inserting it into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who cannot breathe or a patient with a closed airway.

이러한 후두경은 일반적인 맥킨토시형 후두경과 후두경의 블레이드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개선된 시야를 제공하는 비디오 후두경으로 구분된다.These laryngoscopes are classified into a general Mackintosh laryngoscope and a video laryngoscope that provides an improved view by mounting a camera on the blade of the laryngoscope.

일반적인 맥킨토시형 후두경은 곡선형의 선단부를 가진 긴 부재로 이루어지며, 의식을 잃은 환자의 구강을 통해 삽입되어 선단부 측면의 적절한 부분이 혀의 뿌리부에 닿아서 이를 들어올림으로써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여 삽관튜브를 삽입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맥킨토시형 후두경은 시술자의 눈에 의존하여 기도 구조물을 확인하기 때문에, 시야의 제한이 있을 수 있고 때로는 중요한 해부학적 지표를 확인하지 못하여 삽관이 지연되거나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A typical Macintosh-type laryngoscope consists of a long member with a curved tip, and is inserted through the mouth of a patient who has lost consciousness, and the appropriate part of the side of the tip reaches the root of the tongue and lifts it to secure the patient's airways. Allows insertion of the intubation tube. However, since the Macintosh type laryngoscope relies on the operator's eyes to check the airway structures, there may be limitations in visual field, and sometimes intubation may be delayed or failed due to the inability to confirm important anatomical indicators.

한편, 비디오 후두경은 기도확보를 위한 블레이드의 선단부에 구비된 CCD(charge-coupled device)와 렌즈를 구비하는 촬상부, 및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비디오 후두경은 시술자가 환자의 인두나 후두를 더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하므로, 시술자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여 삽관 튜브를 삽입하는 시술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비디오 후두경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Meanwhile, the video laryngoscope includes a charge-coupled device (CCD) provided at a tip end of a blade for securing an airway, an imaging unit including a len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This video laryngoscope makes it easier for the operator to observe the patient's pharynx or larynx, and thus facilitates the procedure for the operator to secure the patient's airway and insert the intubation tube.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use of video laryngoscopes is increasing.

관련한 종래의 특허문헌으로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1798141호(2017.11.0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을 들 수 있다. 해당 특허문헌에서는, "배터리가 내장된 그립 하우징;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탈부착되는 만곡 형상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환자 구강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그립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환자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외부의 단말기로 상기 환자 구강 영상을 외부의 단말기에 와이파이 무선 전송하는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과 탈부착될 수 있는 커넥터 모듈; 개방된 바닥과, 관통구가 형성된 일단면을 가지며, 관통구를 통해 촬영되도록 내부에 상기 카메라가 고정 설치된 만곡 형상의 본체 블레이드; 상기 본체 블레이드의 끝단에서 만곡 형상으로 연장 돌출된 선단 블레이드; 및 상기 본체 블레이드의 개방된 바닥을 덮는 덮개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에 마련된 PCB 기판; 상기 PCB 기판에 탑재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PCB 기판에 탑재되어, 상기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 온도를 인체 온도와 동일한 온도가 되도록 상기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를 가열하여, 카메라의 렌즈 김서림을 방지하는 가열 소자;를 포함하는 비디오 후두경"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As a related conventional 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No. 10-1798141 (registered on November 9, 2017, title of invention: VIDEO LARYNGOSCOPE) of the present applicant may be mentioned. In the patent document, "a grip housing with a built-in battery; a curved blad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wer end of the grip housing; a camera installed on the blade to take an image of a patient's mouth;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grip housing, the camera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 patient's oral image taken in a; and a WiFi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atient's oral image to an external terminal to an external terminal, wherein the blade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wer end of the grip housing. A connector module that has an open bottom and a through hole, and has a curved body blade with the camera fixed therein so as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body blade in a curved shape. A front blade; and a cover body covering the open bottom of the main blade; a PCB substrate provided inside the main blade; a temperature sensor mounted on the PCB substrate to measure a temperature; and mounting on the PCB substrate Thus, a heating element for preventing lens fogging of the camera by heating the inside of the main blade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in blade becomes the same temperature as the human body temperature; a technology for a video laryngoscope including "is disclosed."

한편, 또다른 종래의 특허문헌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1600339호(2016.02.2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에서는, "영상처리부 및 전원부가 구비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촬상채널; 상기 촬상채널의 일측 종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후두, 인두 및 기관 부위를 촬영하여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처리부에 출력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채널의 외측면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와 결합된 상태로 환자의 구강을 통해 기관 부위로 삽입되는 블레이드;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몸통부와 상기 표시장치를 결합하되, 상기 표시장치가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는 측면으로 상기 환자의 기도가 확보된 후 튜브를 상기 환자의 기도에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의 폭은 상기 튜브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에 의해서 생긴 삽관용 공간을 통해서 상기 튜브의 삽관이 이루어져서, 상기 튜브의 삽관시술시 상기 튜브의 안내가 수행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환자의 후두개를 들어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부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촬상부의 측면에는 환자의 기도 내부 촬영을 가이드 하기 위한 촬상 가이드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촬상 가이드 격벽에는 삽관 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곡면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선과 상기 전원부의 전원선에 상응되는 개수의 핀을 구비하는 수 커넥터; 상기 핀이 삽입되는 홀을 구비한 암 커넥터; 상기 수 커넥터와 상기 암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조임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슬리브; 및 일측은 상기 표시장치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암 커넥터와 결합되되, 적어도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후두경"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conventional patent document, in Korean Patent No. 10-1600339 (registered on February 29, 2016, title of invention: video laryngoscopy), "the body part provided with an image processing part and a power supply part; the body part An imaging channel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imaging uni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maging channel to photograph a patient's larynx, pharynx, and trachea and output an image signal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an outer surface of the imaging channel A blade inserted along the body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trachea portion through the mouth of the patient while being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a combina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be rotatable by at least 180 degrees, wherein the blade has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tube to the patient's airway after the patient's airway is secured to the side, and 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is the The tube is formed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tube, and the tube is intubated through the intubation space created by the guide, so that the tube is guided during the intubation procedure, and the blade connects the epiglottis of the patient. A protrusion to secure an airway is provided, wherein the protrusion extends to an end of the guide, and an imaging guide partition wall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image pickup unit to guide the patient's airway interior, and the imaging guide partition wall A curved surface for preventing intubation failure is formed, and the coupling unit includes a male connector having a number of pins corresponding to a line of the video signal and a power line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a female connector having a hole into which the pin is inserted; A sleeve that maintains a coupled state by screwing in a state in which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coupled; and one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female connector, and rotates at least 180 degre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unit having a rotating shaft coupled to be possible A description of the "video laryngoscope" is disclosed.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은, 원격의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사에게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구성에 대한 문제의식이나 기술적 특징에 대한 개시가 전혀 없는 것으로 보인다. However, by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emergency patient based on the oral image and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through a remote doctor terminal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n-sit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instructs the emergency patient to intubate the laryngoscope organ. There seems to be no disclosure of any possible configuration problems or technical features.

1. 대한민국 특허 제10-1798141호(2017.11.0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1. Korean Patent No. 10-1798141 (registered on November 9, 2017, title of invention: VIDEO LARYNGOSCOPE) 2. 대한민국 특허 제10-1600339호(2016.02.2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2. Korean Patent No. 10-1600339 (registered on February 29, 2016, title of invention: VIDEO LARYNGOSCOP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독 가스를 흡입하는 등 응급환자에 후두경 기관 삽관이 시급하게 필요한 상황이라도 현행 법률상 1급 응급구조사(2급 응급구조사는 의사 지시가 있어도 후두경 기관 삽관이 불법임)라도 의사의 지시 없는 후두경 기관 삽관은 불법이여서 처치를 못하여 안타깝게 골든 타임을 놓쳐서 생명을 잃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원격의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사에게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st-clas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class 2 emergency rescue) under the current law, even in a situation where intubation of the laryngoscope is urgently necessary for emergency patients, such as inhaling toxic gas. Laryngoscope tracheal intubation is illegal even if there is an order from a doctor to live).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capable of instructing emergency patients to intubate the laryngoscope by monitoring the condition of emergency patients based on images and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s. There is on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은, 배터리가 내장된 그립 하우징;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탈부착되는 만곡 형상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일측에 설치되어 응급구조가 필요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하는 구강용 카메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구강용 조명; 상기 그립 하우징과 기구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강용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계기를 통해서 의사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모듈부; 상기 통신모듈부와 상기 의사 단말기를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중계기; 및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의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하는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를 더 포함한다.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grip housing with a built-in battery; A curved blade detachable from the lower end of the grip housing; An oral camer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ip of the blade to capture an oral image of an emergency patient who needs emergency rescue; Oral lighting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blade to emit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oral cavity of the emergency patient so as to take an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 display panel that i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grip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oral camera to display an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photographed by the oral camera; A communication module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a doctor terminal through a repeater; A repeate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and the pseudo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laryngoscope for the emergency patient by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emergency patient, based o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including the face of the emergency patient or a part that needs treatment. An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tha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photographs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face of the emergency patient or a region requiring treatment, including; ; And a lighting for monitoring photographing which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panel to emit light toward the face of the emergency patient or a region requiring treatment so that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can be captured.

또한, 상기 구강용 카메라 및 상기 구강용 조명은, 상기 응급환자의 출혈이나 타액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내에 매립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선단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ral camera and the oral lighting are installed embedded in the tip of the blade so as to obtain an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while preventing bleeding or contamination from saliva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he blad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조명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1 블레이드; 조명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2 블레이드; 조명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3 블레이드; 및 조명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4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lade, a first blade including a first oral illumination for an illumination angle of 80 degrees or more and a first oral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of 80 degrees or more; A second blade including a second oral illumination having an illumination angle of 100 degrees or more and a second oral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of 100 degrees or more; A third blade including a third oral illumination having an illumination angle of 120 degrees or more and a third oral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of 120 degrees or more; And a fourth blade including a fourth oral illumination having an illumination angle of 140 degrees or more and a fourth oral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of 140 degrees or more.

또한, 상기 의사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지시에 따라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received from the doctor's terminal, when the vocal cords are completely visible i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the first blade is used, when only the fibrotic muscle is seen i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the second blade is used, and the epiglottis When only visible, the third blade is visible, and when the epiglottis is not visible, the fourth blade may be replaced and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grip housing.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일체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상기 의사 단말기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마이크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카메라에서 획득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상기 구강 영상을 각각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 분할을 통해서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가장자리는, 응급구조를 하면서 비디오 후두경이 낙하하거나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파손 방지 돌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and the lighting for monitoring photographing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a display panel device, the display pane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doctor terminal, the display The panel device may display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and the oral image acquired from the monitoring camera using the monitoring photographing lighting,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display through screen division, and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device is In order to prevent the video laryngoscope from being damaged by falling or colliding while being structur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rotruding edge to prevent damage.

또한, 상기 응급구조를 접수받아 구급차 출동을 지시하고,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고,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하는, 119 구조 상황실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receiving the emergency rescue, instructing the dispatch of an ambulance, transmitting a waiting notification to the doctor terminal of the doctor waiting for the situation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matching the video laryngoscop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and the emergency patient It may further include a; 119 rescue control room server fo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to the hospital server to be transferred.

또한, 상기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는, 상기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에 제공하여,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는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상기 구강 영상과 함께 상기 응급환자의 상기 생체 신호도 같이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hysiological signal acquisition unit disposed in the ambulance acquires a physiological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respiration, pulse, heart rate, body temperature, oxygen saturation, electrocardiogram, EEG, and EMG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he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By providing to, the doctor terminal may display the vital signal of the emergency patient together with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and the oral image.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은,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응급구조 접수에 대응하여,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하면서 가용가능한, 상기 구급차에 출동 지시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고, 상기 119 구조 상활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를 이용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를 획득하고, 상기 구강용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구강용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는,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구강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하는 지시가 입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를,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eanwhile, an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a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rgency rescu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the emergency rescue from the 119 rescue control room server;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rescue, sending a dispatch instruction signal from the 119 rescue control room server to the ambulance that is closest and available to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rescue; Transmitting a waiting notification from the 119 rescue operation room server to the doctor's terminal of the situation waiting doctor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from the 119 rescue operation room server to a hospital server to which the emergency patient is to be transferred; Matching a video laryngoscop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in the 119 rescue control room server;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is acquired through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including the emergency patient's face or areas requiring treatment by using the monitoring photographing lighting, and the oral cavity of the emergency patient through the oral camera using the oral lighting Obtaining an image; Acquiring a physiological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respiration, pulse, heart rate, body temperature, oxygen saturation, electrocardiogram, EEG, and EMG of the emergency patient through a physiological signal acquisition unit disposed in the ambulance; In the doctor terminal,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he emergency patient oral image, and the emergency patient's vital signs; On the basis of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in the doctor's terminal, when the vocal cords are completely visible i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 first blade is used; Inputting an instruction to replace and attach a third blade when only the epiglottis is visible, and a fourth blade when the epiglottis is not visible, and transmitting the instruction to the display panel; Through the doctor terminal, based o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he condition of the emergency patient is monitored, and an instruction for intubation of the laryngoscope organ for the emergency patient is made to the on-site emergency rescue personnel. step;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he emergency patient oral image, and the vital signal of the emergency patient to a hospital server to which the emergency patient is to be transferred.

본 발명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구조 방법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rgency resc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첫째, 유독 가스를 흡입하는 등 응급환자에 후두경 기관 삽관이 시급하게 필요한 상황이라도 현행 법률상 1급 응급구조사(2급 응급구조사는 의사 지시가 있어도 후두경 기관 삽관이 불법임)라도 의사의 지시 없는 후두경 기관 삽관은 불법이여서 처치를 못하여 안타깝게 골든 타임을 놓쳐서 생명을 잃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원격의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사에게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First, even in a situation where intubation of the laryngoscope is urgently necessary for emergency patients, such as inhaling toxic gas, even a first-clas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second-clas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re illegal even if the doctor's instruction is instructed) is not directed by a doctor. In order to cope with the reality of loss of life due to unfortunate missed golden time due to intubation because it is illegal, it monitors the condition of the emergency patient based o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hrough a remote doctor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struct a laryngoscope tracheal intubation for the emergency patient to an emergency medical practitioner.

실제로 밀양 화재 사건에서 사망자 47명 중 후두경 기관 삽관만 시술되었으면 막을 수 있었던 이송 중 그리고 이송 후의 사망자가 22명에 이른 것으로 나와 있다. 본 발명을 통해서 이와 같은 이송 중 사망자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fact, out of the 47 deaths in the Miryang fire incident, 22 people died during and after transfer, which could have been prevented if only laryngoscope intubation was performed.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such deaths during transport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둘째, 구강용 카메라 및 구강용 조명이 블레이드의 선단 내에 매립 설치되어 있으며, 블레이드 선단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응급환자의 출혈이나 타액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원활하게 획득할 수 있다. Second, the oral camera and the oral lighting are embedded in the tip of the blade, and the blade tip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preventing bleeding or contamination from saliva from the emergency patient and smoothly obtaining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have.

셋째, 응급환자 구강영상에 기초하여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ird, based o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the first blade is used when the vocal cords are completely visible i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the second blade is used, and the epiglottis It is possible to replace and attach the third blade when only visible, the fourth blade when the epiglottis is not visible, to the lower end of the grip housing.

이를 통해서, 각 응급구조의 상황에 맞게, 조명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1 블레이드, 조명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2 블레이드, 조명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3 블레이드; 및 조명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4 블레이드를 적절하여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rough thi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emergency rescue, the first blade including a first oral illumination with an illumination angle of 80 degrees or more and a first oral camera with a viewing angle of 80 degrees or more, and a second oral cavity with an illumination angle of 100 degrees or more A second blade including a second oral camera having an illumination and a viewing angle of 100 degrees or more, a third oral illumination having an illumination angle of 120 degrees or more, and a third blade including a third oral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of 120 degrees or more; And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replace and use a fourth blade including a fourth oral illumination having an illumination angle of 140 degrees or more and a fourth oral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of 140 degrees or more.

넷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일체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를 형성하되, 방수 기능을 추가하여 폭우 상황 등에서도 정상적인 기능이 작동하는 효과를 갖는다. Fourth, the display panel,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and the monitoring photographing light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a display panel device, and a waterproof function is added to have the effect of operating a normal function even in a heavy rain situation.

다섯째,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의사 단말기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응급구조 상황을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Fifth, the display panel device, includ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can cope with an emergency rescue situa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a doctor's terminal.

여섯째,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카메라에서 획득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구강 영상을 각각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 분할을 통해서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Sixth, the display panel device may display an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and an oral image acquired from a monitoring camera using lighting for monitoring photographing,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display through screen division.

일곱째,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가장자리는 파손 방지 돌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여, 응급구조를 하면서 비디오 후두경이 낙하하거나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Seventh,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device includes a protruding edge to prevent damage, so that the video laryngoscope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r being damaged by collision while performing emergency rescue.

아홉째,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서,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Ninth, through the physiological signal acquisition unit disposed in the ambulanc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hysiological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respiration, pulse, heart rate, body temperature, oxygen saturation, electrocardiogram, EEG, and EMG of the emergency patient.

이를 통해서, 의사 단말기에서는,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즉 각각 또는 함께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Through this, in the doctor terminal, it is possible to display at least one or more of an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an emergency patient oral image, and an emergency patient's biological signal, that is, individually or togeth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의 기능적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에서 구강 영상에 기초하여, 각 응급구조 상황에 맞는 제 1 블레이드 내지 제 4 블레이드 가운데 대응되게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a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conceptual diagram of a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display panel of a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rresponding selection of first to fourth blades suitable for each emergency rescue situation based on an oral image in the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alternative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1798141호(2017.11.0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에 기재된 설명이나 도면을 참조한다. In addition, reference is made to the description or drawings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1798141 (registered on November 9, 2017, title of invention: VIDEO LARYNGOSCOPE) of the present applicant.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의 기능적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에서 구강 영상에 기초하여, 각 응급구조 상황에 맞는 제 1 블레이드 내지 제 4 블레이드 가운데 대응되게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a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unctional conceptual diagram of a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display panel of the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based on the oral image in the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orresponding selection of the first blade to the fourth blade suitable for the emergency rescue situa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은, 그립 하우징, 블레이드, 구강용 카메라, 구강용 조명, 디스플레이 패널,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 통신모듈부, 중계기, 및 의사 단말기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4,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ip housing, blade, oral camera, oral lighting, display panel,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for monitoring photographing It includes a lighting, a communication module unit, a repeater, and a pseudo terminal.

여기서, 그립 하우징은, 배터리가 내장된 하우징으로서, 응급구조자가 파지하는 몸체 하우징이다. 그립 하우징의 단면은 원형, 반구형,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원통 형상에 손가락이 잘 안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손가락 형상의 그립 홈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 하우징은 블레이드와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구강용 카메라, 모니터링 카메라, 디스플레이 패널, 통신모듈부, 온도 센서, 및 가열 소자에 구동 전력을 제공한다. 후술하는 구급차 내의 전원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grip housing is a housing in which a battery is embedded, and is a body housing held by an emergency rescuer. The cross section of the grip housing can be formed in any one of a circular, hemispherical, or polygonal shape, and a plurality of finger-shaped grip groove patterns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operator. It is desirable to be. The grip housing can be stored separately from the blade. Here, the battery provides driving power to an oral camera, a monitoring camera, a display panel, a communication module unit, a temperature sensor, and a heating element.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power by connecting a display panel to a power source in an ambulance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블레이드는,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탈부착될 수 있는 만곡 형상의 프레임이다. 블레이드는 환자의 구강을 통해 인두나 후두에 삽입되어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그립 하우징의 착탈홈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진다. 블레이드는 그립 하우징과 결합되어 기도 삽관기 역할을 하게 되는데, 따라서 그립 하우징과 블레이드가 체결 결합된 비디오 후두경은 "L"자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즉, 그립 하우징은, "L"자 중에서 수직방향의 획을 이루고, 블레이드는 "L"자 중에서 수평방향의 획을 이룬다. 블레이드가 그립 하우징과 착탈할 때, 전기공급을 위한 결합과 전기적 신호, 예를 들어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의 전달을 전기신호를 위한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혹은 블레이드가 그립 하우징과 착탈할 때, 전기공급을 위한 결합만 이루어지며,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의 디스플레이 패널로의 신호 전달은 별도의 유선 연결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lade is a curved frame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wer end of the grip housing. The blade is inserted into the pharynx or larynx through the patient's oral cavity to secure the patient's airway, and has a structure that is fitted into the detachable groove of the grip housing. The blade is combined with the grip housing to act as an airway intubator, and thus, the video laryngoscope to which the grip housing and the blade are fastened has a “L”-shaped structure. That is, the grip housing forms a stroke in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the "L" characters, and the blade forms a strok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mong the "L" characters. When the blade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grip housing, the coupling for electrical supply and the transmission of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an image signal captured by an oral camera, are simultaneously combined for the electrical signal. Alternatively, when the blade is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grip housing, only the coupling for supplying electricity is made, and the signal transmission of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oral camera to the display panel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wired connection.

또한, 블레이드는, 조명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1 블레이드, 조명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2 블레이드, 조명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3 블레이드, 및 조명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4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lade is a first blade including a first oral illumination having an illumination angle of 80 degrees or more and a first oral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of 80 degrees or more, and a second oral illumination having an illumination angle of 100 degrees or more, and a viewing angle of 100 degrees. A second blade including a second or more oral camera, a third oral illumination having an illumination angle of 120 degrees or more, and a third blade including a third oral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of 120 degrees or more, and an illumination angle of 140 degrees or more It includes a fourth blade including a fourth oral camera having 4 oral illumination and a viewing angle of 140 degrees or more.

또한, 의사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지시에 따라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received from the doctor's terminal, when the vocal cords are completely visible i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the first blade is shown, when only the fibular muscle is seen i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the second blade is shown, and only the epiglottis is visible. In case the third blade is not visible, the fourth blade may be replaced and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grip housing.

또한, 구강용 카메라는, 블레이드의 선단 일측 외면에 매립 설치되어 환자 구강 영상을 촬영한다. 블레이드의 외면에 매립 내장 설치됨으로써, 구강내의 침이나 타액, 출혈 등 액체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방수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환자의 후두, 인두 및 기관 등의 구강을 촬영하여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그립 하우징에 마련된 영상처리부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구강용 카메라는 영상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는 촬상소자(예: CCD ), 광원 및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블레이드 선단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구강 영상의 획득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ral camera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tip of the blade to take an imag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By being embedded and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it can have a waterproof function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liquid substances such as saliva, saliva, and bleeding into the oral cavity. In addition, the camera takes a picture of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s larynx, pharynx, and trachea,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mage signal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d in the grip housing. Therefore, the oral camer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camera may include an image pickup device (eg, CCD), a light source, and a lens. It is desirable that the tip of the blad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oral images.

또한, 구강용 조명이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술한 블레이드의 선단 타측에 설치되어 응급환자의 구강 방향으로 빛을 방사한다. In addition, the oral lighting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ip of the above-described blade so that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can be photographed to emit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oral cavity of the emergency patient.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립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환자 구강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녹화기능, 영상캡쳐기능 및 화면밝기조절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립 하우징의 상단에서 상하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그립 하우징의 상단에서 좌우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시술자가 후두경을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에 튜브를 삽관할 때 튜브의 삽입 경로를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하 210°, 좌우 270°까지 회전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에도 180° 화면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시술자가 공간의 제약을 받지않고 시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내의 화면을 180°회전 가능하게 하여 시술자가 시술시 공간의 제약과 자세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연색성 패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grip housing to display an imag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taken by the oral camera. The display panel may have an image recording function, an image capture function, and a screen brightness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or's selection. It can rotate up and down at the top of the grip housing, and can also rotate left and right at the top of the grip housing. This is to enable the operator to conveniently observe the insertion path of the tube when intubating the tube into the patient's airway using a laryngoscope. The display panel can be rotated up to 210° up and down and 270° left and right, and 180° screen rotation is also possible on the display panel so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procedure without being limited by space. In addition, the screen in the display panel can be rotated by 180°,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eliminate the constraints of space and posture discomfort during the procedure. As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o use a high color rendering panel as the display panel.

또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는,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하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은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 방향으로 빛을 방사한다. 종래 비디오 후두경에는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또는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에 대해서 전혀 고민하지 않았지만, 본 출원에서는 원격에서의 의사 단말기에서 후두경 삽관 지시를 위하여, 모니터링 촬영용 카메라 및 조명을 이용하여 해당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구강 영상을 동시에 송신하여 종합적인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panel to shoot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so that the condition of the emergency patient's face or the area that needs treatment can be monitored, and the monitoring shooting light is used to shoot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hus, i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panel to emit light toward the face of the emergency patient or a region requiring treatment. In the conventional video laryngoscope, there was no concern about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or the lighting for monitoring photographing, but in this application,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and oral image using a camera and lighting for monitoring photographing in order to instruct the laryngoscope intubation from a remote doctor terminal. Wa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enable comprehensive judgment.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일체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의사 단말기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마이크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o form a display panel device by integrating a display panel, an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and lighting for monitoring photographing.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device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and a speaker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doctor terminal.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카메라에서 획득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구강 영상을 각각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 분할을 통해서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device may display an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and an oral image obtained from a monitoring camera using lighting for monitoring photographing,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display through splitting a screen.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가장자리는, 응급구조를 하면서 비디오 후두경이 낙하하거나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파손 방지 돌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정작 필요한 긴급한 상황에서 이동중 낙하하거나 충돌이 발생하여 예기치 못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을 막아서, 결과적으로 응급구조시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device includes a breakage-preventing protruding edge to prevent the video laryngoscope from falling or being damaged by collision while performing emergency rescue. Through this, it prevents unexpected damage to the display panel due to a fall or a collision while moving in an urgent situation where necessary, and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use in emergency rescue is improved.

또한, 통신모듈부는, 외부의 의사 단말기로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응급환자의 상태 영상을 외부의 의사 단말기에 중계기를 통해서 유선 또는 무선 전송한다. 따라서 주변기기들이 무선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시술장면을 실시간 보기,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교육용과 검증자료로 남길 수 있다. 특히 교육용으로 사용시에는 정확하고 선명한 화면을 각 학생들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생들한테 보여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transmits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he state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to an external doctor terminal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a repeater. Therefore, peripheral devices can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o view and store the treatment scene in real time, leaving it for educational and verification data. In particular, when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accurate and clear screens can be shown to students using each student's terminal.

또한, 통신모듈부를 통하여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주변의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설정한다. 주변의 단말기는 사전배포된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 설치하여 해당 앱을 접속하면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받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후두경의 작동 후 수 초(sec) 후에 자동으로 무선 인터넷망을 구성하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의과대학 등 교육장소에서 제품시연 시 주변의 모바일 기기와 대형스크린으로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하면 생생한 시술장면을 볼 수 있다. 나아가 비디오 후두경의 제조사가 배포한 앱으로만 접속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set to transmit the image captured by the oral camera to surrounding terminals in real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Nearby terminals can download and install a pre-distributed mobile app and receive the transmitted image data when accessing the app. For example, if you set up a program to automatically configure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 few seconds after the operation of the video laryngoscope, and connect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with a large screen and a mobile device in the vicinity during product demonstrations at educational places such as medical schools, You can see vivid treatment scenes. Furthermore,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only the app distribut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video laryngoscope can be accessed.

또한, 블레이드는, 그립 하우징의 하단과 탈부착될 수 있는 커넥터 모듈과, 개방된 바닥과 관통구가 형성된 일단면을 가지며 관통구를 통해 촬영되도록 내부에 구강용 카메라가 고정 설치된 만곡 형상의 본체 블레이드와, 본체 블레이드의 끝단에서 만곡 형상으로 연장 돌출된 선단 블레이드와, 본체 블레이드의 개방된 바닥을 덮는 덮개체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체 블레이드와 선단 블레이드의 재질은 SUS 316 계열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현한다.In addition, the blade has a connector module detachable from the lower end of the grip housing, an open bottom and one end surface having a through hole, and a curved body blade having an oral camera fixed therein so as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through hole. , And a tip blade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body blade in a curved shape, and a cover body covering the open bottom of the body blade. Here, the material of the main blade and the tip blade is made of SUS 316 series stainless steel.

본 발명은 블레이드 내부에 구강용 카메라를 위치에 맞게 구강용 카메라를 장착한 후 제습, 절연 효과가 있는 에폭시 작업을 하여 구강용 카메라를 완전고정하여 방진 제습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블레이드 하우징과 덮개면의 결합틈을 에폭시 처리하여 본체 블레이드 내부에 대한 방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ounting the oral camera to the position inside the blade, dehumidifying and insulating epoxy work is performed to completely fix the oral camera to have a dustproof dehumidifying effect. To this end, the coupling gap between the blade housing and the cover surface is epoxy-treated so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lade is waterproofed.

나아가, 방수 처리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블레이드 하우징과 덮개면간의 에폭시 처리된 후 SUS 316 계열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용접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부위인 만큼 316재질로 인체에 맞게 설계되어, 내부에 마련된 고성능 구강용 카메라는 외부와 완전히 단절되여 방수 방진에 강한 특징을 가지게 된다.Fur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waterproof treat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 housing and the cover surface are treated with epoxy and then welded with SUS 316 series stainless steel. Therefore, as it is a part that is inserted inside the human body, it is designed to fit the human body with 316 material, and the high-performance oral camera provided inside is completely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waterproof and dustproof.

한편, 블레이드는 렌즈앞에 김서림방지코팅을 하여 김서림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사용시간이 길어지면 김서림코팅이 없어져 선명한 모니터 화질을 볼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내부에 30초 내에 구강용 카메라의 렌즈 온도를 인체온도에 맞게 가열하고 온도 유지하여 김서림 현상을 제거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lades were coated with an anti-fog coating in front of the lens to prevent fogging. However, when the usage time was prolonged, the fogging coating disappeared, and the clear monitor quality could not be see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fogging phenomenon by heating the lens temperature of the oral camera to the body temperature within 30 seconds inside the blade and maintaining the temperature.

응급환자에 대한 구강 검사 시에 구강용 카메라의 렌즈에 맺히는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디오 후두경은,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에 마련된 PCB 기판과, PCB 기판에 탑재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PCB 기판에 탑재되어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 온도를 인체 온도와 동일한 온도가 되도록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를 가열하여 구강용 카메라의 렌즈 김서림을 방지하는 가열 소자를 구비한다.In order to prevent fogging on the lens of the oral camera during oral examination of an emergency patient, the video laryngo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CB board provided inside a main blade, a temperature sensor mounted on the PCB board to measure temperature, and , It is mounted on the PCB board and includes a heating element for preventing lens fogging of the oral camera by heating the inside of the body blade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ody blade becomes the same temperature as the body temperature.

또한, 비디오 후두경을 이용하여 환자 구강을 검사시에,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를 인체 체온(예컨대, 36.5℃)로 가열하여 구강용 카메라와 인체간의 온도차가 없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구강용 카메라(400)의 렌즈 김서림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examining the patient's oral cavity using a video laryngoscope, the inside of the body blade is heated to a human body temperature (eg, 36.5° C.) so that there is no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ral camera and the human body, and ultimately, the oral camera 400 It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lens fogging.

상기에서 인체 온도는, 미리 설정된 온도, 예컨대 사람의 체온인 36.5℃로 미리 설정되어, 비디오 후두경의 동작시에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를 36.5℃로 유지되도록 가열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human body temperature is preset to a preset temperature, for example, 36.5° C., which is a human body temperature, so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lade is maintained at 36.5° C. during operation of the video laryngoscope.

그러나 사람마다 체온이 틀리기 때문에 36.5℃로 고정된 인체 체온으로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를 유지하는 것은 구강용 카메라의 김서림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다.However, since the body temperature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maintaining the inside of the body blade with the body temperature fixed at 36.5℃ cannot completely prevent fogging of the oral camera.

이에 환자의 체온을 그때그때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PCB 기판이 안착되는 본체 블레이드의 내부면 영역(이하, '기판 안착 내부면')에 대응되는 본체 블레이드의 외부면(이하, '기판 안착 외부면')은, SUS 316 계열의 스테인레스 재질보다 더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필름으로 코팅되도록 한다. 그리고 온도 센서와 열전도성 필름은 열전도성 재질로 채워진 비아홀에 의해 열이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온도 센서는, 열전도성 필름을 통해서 전달되는 인체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he patient's body temperature on the fly is installed. To this e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lade (hereinafter referred to as'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seating')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area of the main blade on which the PCB board is seated (hereinafter, the'substrate seating inner surface') is made of SUS 316 series stainless steel. It is to be coat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film having a higher thermal conductivity.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film allow heat to be transferred through a via hole fill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herefore, the temperature sensor can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transmitted through the thermally conductive film.

예를 들어, 비디오 후두경의 블레이드를 환자의 혀에 갖다대 누르면서 구강을 촬영할 경우, 블레이드 면에 환자의 혀가 닿게 되어 환자의 혀의 체온이 블레이드의 기판 안착 외부면에 닿게 되어 이러한 혀의 체온이 열전도성 필름, 비아홀, 및 기판 안착 내부면을 차례로 거쳐서 온도 센서로 전달되게 된다.For example, when taking a picture of the oral cavity while pressing the blade of the video laryngoscope against the patient's tongue, the patient's tongu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lade surface, so that the patient's tongue body temperature reaches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s substrate seating. It is transmit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through the thermally conductive film, the via hole, and the substrate mounting inner surface in sequence.

한편, 기존의 비디오 후두경의 경우 모니터 화면에 영상 구현만 하고 있을 뿐이지, 기존의 제품들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현시대 의료인의 요구에 많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xisting video laryngoscope, only images are implemented on the monitor screen, but the existing products are falling a lot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modern medical professionals that are changing in various ways.

이에 본 발명은, 선택 가능한 화면자동끄기, 대기시간 선택, 여러 나라 언어 선택등 기능을 넣고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장착하여 시술자의 편리를 도모하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such as selectable screen auto-off, standby time selection, and language selection for various countries are incorporated, and a touch screen monitor is mounted to facilitate the operator's convenience.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 이러한 대기 모드는,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오프시킨 후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련된 대기 알림 램프를 점등시키는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user operation until a preset waiting time elapses from the user. In this standby mode, when the waiting time elapses,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is turned off and then the standby notification lamp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is turned on.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스크린패널로서, 사용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언어 선택 인터페이스 화면을 터치스크린패널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 언어를 터치 선택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언어를 터치를 통해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as a touch screen panel, may display a language selection interface screen for selecting a language to be used on the touch screen panel to receive a user's touch selection of a language to be use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select a language that suits them through touch.

또한, 중계기는 상기 통신모듈부와 상기 의사 단말기를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이다. In addition, the repeater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and the pseudo termina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또한, 의사 단말기는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의사 단말기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octor's terminal monitors the state of the emergency patient based o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including the emergency patient's face or areas requiring treatment, and provides the emergency rescue personnel at the site. It includes a doctor's terminal in which a laryngoscope intubation instruction is made to a patient.

또한, 119 구조 상황실 서버는 응급구조를 접수받아 구급차 출동을 지시하고,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고,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한다. In addition, the 119 rescue situation room server receives emergency rescue and instructs an ambulance to be dispatched, transmits a standby notification to the doctor terminal of a situation waiting doctor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and matches the video laryngoscop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The emergency patient transmits a notification to the hospital server to be transferred.

또한,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는,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한다. 이것을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에 제공하여, 의사 단말기에서는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구강 영상과 함께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도 같이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hysiological signal acquisition unit disposed in the ambulance acquires a physiological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respiration, pulse, heart rate, body temperature, oxygen saturation, electrocardiogram, EEG, and EMG of the emergency patient. By providing this to the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emergency patient's vital signs together with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and oral image in the doctor's terminal.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은,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응급구조 접수에 대응하여,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하면서 가용가능한, 상기 구급차에 출동 지시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고, 상기 119 구조 상활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를 이용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를 획득하고, 상기 구강용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구강용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는,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구강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하는 지시가 입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를,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a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emergency rescue from the 119 rescue control room server;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rescue, sending a dispatch instruction signal from the 119 rescue control room server to the ambulance that is closest and available to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rescue; Transmitting a waiting notification from the 119 rescue operation room server to the doctor's terminal of a situation waiting doctor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from the 119 rescue operation room server to a hospital server to which the emergency patient is to be transferred; Matching a video laryngoscop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in the 119 rescue control room server;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is acquired through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including the emergency patient's face or areas requiring treatment by using the monitoring photographing lighting, and the oral cavity of the emergency patient through the oral camera using the oral lighting Obtaining an image; Acquiring a physiological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respiration, pulse, heart rate, body temperature, oxygen saturation, electrocardiogram, EEG, and EMG of the emergency patient through a physiological signal acquisition unit disposed in the ambulance; In the doctor terminal,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he emergency patient oral image, and the emergency patient's vital signs; On the basis of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in the doctor's terminal, when the vocal cords are completely visible i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 first blade is used; Inputting an instruction to replace and attach a third blade when only the epiglottis is visible, and a fourth blade when the epiglottis is not visible, and transmitting the instruction to the display panel; Through the doctor terminal, based o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he condition of the emergency patient is monitored, and an instruction for intubation of the laryngoscope organ for the emergency patient is made to the on-site emergency rescue personnel. step;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he emergency patient oral image, and the vital signal of the emergency patient to a hospital server to which the emergency patient is to be transfer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al rang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Claims (8)

배터리가 내장된 그립 하우징;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탈부착되는 만곡 형상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일측에 설치되어 응급구조가 필요한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하는 구강용 카메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구강용 조명;
상기 그립 하우징과 기구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강용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구강용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계기를 통해서 의사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모듈부;
상기 통신모듈부와 상기 의사 단말기를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중계기; 및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의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하는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를 더 포함하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A grip housing with a built-in battery;
A curved blade detachable from the lower end of the grip housing;
An oral camer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ip of the blade to capture an oral image of an emergency patient who needs emergency rescue;
Oral lighting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blade to emit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oral cavity of the emergency patient so as to take an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 display panel that i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grip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oral camera to display an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photographed by the oral camera;
A communication module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a doctor terminal through a repeater;
A repeate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and the pseudo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Based on the emergency patient's oral image and the emergency patient's monitoring image including the emergency patient's face or areas requiring treatment, the condition of the emergency patient is monitored, and a laryngoscope for the emergency patient Including; a doctor terminal for intubation instruction
An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panel to capture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so as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emergency patient's face or a region requiring treatment; And a lighting for monitoring photographing tha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panel to emit light toward the face of the emergency patient or a region in need of treatment so that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can be photographed.
119 First Aid Video Laryngoscop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카메라 및 상기 구강용 조명은, 상기 응급환자의 출혈이나 타액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 내에 매립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 선단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ral camera and the oral lighting are embedded in the tip of the blade so as to obtain an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while preventing bleeding or contamination from saliva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he blade tip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119 First Aid Video Laryngoscope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조명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80도 이상인 제 1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1 블레이드;
조명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00도 이상인 제 2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2 블레이드;
조명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20도 이상인 제 3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3 블레이드; 및
조명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조명 및 시야각이 140도 이상인 제 4 구강용 카메라를 포함하는 제 4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blade,
A first blade including a first oral illumination having an illumination angle of 80 degrees or more and a first oral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of 80 degrees or more;
A second blade including a second oral illumination having an illumination angle of 100 degrees or more and a second oral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of 100 degrees or more;
A third blade including a third oral illumination having an illumination angle of 120 degrees or more and a third oral camera having a viewing angle of 120 degrees or more; And
Containing; a fourth blade including a fourth oral illumination with an illumination angle of 140 degrees or more and a fourth oral camera with a viewing angle of 140 degrees or more
119 First Aid Video Laryngoscope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하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vocal cords are completely visible i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the first blade is shown, the second blade when only the fibular muscle is visible i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the third blade when only the epiglottis is visible, and the epiglottis are also visible. If not, the fourth blade is replaced and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grip housing,
119 First Aid Video Laryngoscope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 및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일체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상기 의사 단말기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마이크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카메라에서 획득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상기 구강 영상을 각각 표시하거나 또는 화면 분할을 통해서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가장자리는, 응급구조를 하면서 비디오 후두경이 낙하하거나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파손 방지 돌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play panel,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and the lighting for monitoring photographing integrally form a display panel device,
The display panel device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and a speaker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doctor terminal,
The display panel device may display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and the oral image acquired from the monitoring camera using the monitoring photographing lighting,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display through screen division,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device includes a breakage-preventing protruding edge to prevent the video laryngoscope from falling or being damaged by collision while providing emergency rescue,
119 First Aid Video Laryngoscope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구조를 접수받아 구급차 출동을 지시하고,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고,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하는, 119 구조 상황실 서버;를 더 포함하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Receiving the emergency rescue, instructing the dispatch of an ambulance, sending a waiting notification to the doctor's terminal of the doctor waiting for the situation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matching the video laryngoscop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and the emergency patient to be transported. Further comprising a; 119 rescue situation room server fo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to the hospital server,
119 First Aid Video Laryngoscope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는, 상기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에 제공하여,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는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및 상기 구강 영상과 함께 상기 응급환자의 상기 생체 신호도 같이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physiological signal acquisition unit disposed in the ambulance acquires a physiological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respiration, pulse, heart rate, body temperature, oxygen saturation, electrocardiogram, EEG, and EMG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provides it to the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Thus, in the doctor terminal,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vital signal of the emergency patient together with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and the oral image,
119 First Aid Video Laryngoscope System.
제 7 항에 기재된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으로서,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응급구조 접수에 대응하여,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하면서 가용가능한, 상기 구급차에 출동 지시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에 대응하는 상황 대기 의사의 상기 의사 단말기에 대기 알림을 송신하고, 상기 119 구조 상활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에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119 구조 상황실 서버에서, 상기 응급구조와 대응하는 비디오 후두경과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촬영용 조명를 이용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포함한 응급환자 모니터링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를 획득하고, 상기 구강용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구강용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구급차 내에 배치된 생체 신호 획득부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호흡, 맥박, 심박수,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및 근전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는,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응급환자 구강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 단말기에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성대가 완전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제 1 블레이드를,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에서 피열근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2 블레이드를, 후두개만 보이는 경우에는 제 3 블레이드를, 후두개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블레이드를, 상기 그립 하우징의 하단에 교체하여 부착하는 지시가 입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응급환자의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응급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현장의 응급구조 요원에게 상기 응급환자에 대한 후두경 기관 삽관 지시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응급환자 모니터링 영상, 상기 응급환자 구강 영상 및 상기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를, 상기 응급환자가 이송될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19 응급구조용 비디오 후두경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
As an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119 emergency rescue video laryngoscope system according to claim 7,
Receiving the emergency rescue from the 119 rescue control room server;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rescue, sending a dispatch instruction signal from the 119 rescue control room server to the ambulance that is closest and available to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rescue;
Transmitting a waiting notification from the 119 rescue operation room server to the doctor's terminal of a situation waiting doctor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from the 119 rescue operation room server to a hospital server to which the emergency patient is to be transferred;
Matching a video laryngoscop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in the 119 rescue control room server;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is acquired through an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camera including the emergency patient's face or areas requiring treatment by using the monitoring photographing lighting, and the oral cavity of the emergency patient through the oral camera using the oral lighting Obtaining an image;
Acquiring a physiological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respiration, pulse, heart rate, body temperature, oxygen saturation, electrocardiogram, EEG, and EMG of the emergency patient through a physiological signal acquisition unit disposed in the ambulance;
In the doctor terminal,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he emergency patient oral image, and the emergency patient's vital signs;
On the basis of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in the doctor's terminal, when the vocal cords are completely visible i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 first blade is used; Inputting an instruction to replace and attach a third blade when only the epiglottis is visible, and a fourth blade when the epiglottis is not visible, and transmitting the instruction to the display panel;
Through the doctor terminal, based on the oral image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he condition of the emergency patient is monitored, and an instruction for intubation of the laryngoscope organ for the emergency patient is made to the on-site emergency rescue personnel. step;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patient monitoring image, the emergency patient oral image, and the vital signal of the emergency patient to a hospital server to which the emergency patient is to be transported; including,
119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rgency rescue.
KR1020190022955A 2019-02-27 2019-02-27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gency rescue and method of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KR1022888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55A KR102288863B1 (en) 2019-02-27 2019-02-27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gency rescue and method of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55A KR102288863B1 (en) 2019-02-27 2019-02-27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gency rescue and method of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28A true KR20200104528A (en) 2020-09-04
KR102288863B1 KR102288863B1 (en) 2021-08-11

Family

ID=7247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955A KR102288863B1 (en) 2019-02-27 2019-02-27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gency rescue and method of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86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90929A1 (en) * 2009-08-28 2012-07-26 Indian Ocean Medical Inc. Laryngoscope
KR20130012286A (en) * 2011-07-25 2013-02-04 (주)피지오랩 A first-aid information and emergency medical system using smart device
KR101798141B1 (en) * 2017-05-08 2017-11-16 케이지메디텍 주식회사 Video laryngosco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90929A1 (en) * 2009-08-28 2012-07-26 Indian Ocean Medical Inc. Laryngoscope
KR20130012286A (en) * 2011-07-25 2013-02-04 (주)피지오랩 A first-aid information and emergency medical system using smart device
KR101798141B1 (en) * 2017-05-08 2017-11-16 케이지메디텍 주식회사 Video laryngoscop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대한민국 특허 제10-1798141호(2017.11.0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
2. 대한민국 특허 제10-1600339호(2016.02.29 등록, 발명의 명칭 :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863B1 (en)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339B1 (en) Video laryngoscope
EP1738789B1 (en) Endotracheal video device
Berkow et al. The technology of video laryngoscopy
JP6126224B2 (en) Imaging evaluation / detection unit and remote diagnosis system
US20060020171A1 (en) Intubation and imaging device and system
JP4717843B2 (en) Wireless optical endoscopic device
US8029440B2 (en) Video blade laryngoscope
US10588486B2 (en) Multi-function video system with interchangeable medical tool
KR101798141B1 (en) Video laryngoscope
US20130197303A1 (en) Facial mask and endotracheal intubation system
CN103298391A (en) Disposable endoscopic access device and portable display
US20050244801A1 (en) System and method of training the proper placement of airway adjuncts in a training manikin
JP2007289697A (en) Ultra wide band wireless optical endoscopic device
WO2020170931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839362B2 (en) Visualiz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otologic procedures
KR102288863B1 (en) Video laryngoscope system for emegency rescue and method of emergency rescue using the same
KR100894709B1 (en) Video airway endscope
JP3108837U (en) Small camera radio system for tracheal intubation
CN107080595A (en) A kind of Portable movable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terminal
CN102068230A (en) Visual laryngoscope
JP2008289669A (en) Laryngoscope and laryngoscope system
CN201847662U (en) Laryngoscope image pick-up device
CN110251052A (en) A kind of novel visual laryngoscope
JPWO2003068056A1 (en) Laryngoscope
WO20210353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ubating a pat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