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499A - A hut having the floor of the function of table and the chiar of the function of swing - Google Patents

A hut having the floor of the function of table and the chiar of the function of sw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499A
KR20200104499A KR1020190022850A KR20190022850A KR20200104499A KR 20200104499 A KR20200104499 A KR 20200104499A KR 1020190022850 A KR1020190022850 A KR 1020190022850A KR 20190022850 A KR20190022850 A KR 20190022850A KR 20200104499 A KR20200104499 A KR 20200104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resent
floor
transfer
floor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8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3987B1 (en
Inventor
길석면
박원철
라상호
Original Assignee
길석면
라상호
박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석면, 라상호, 박원철 filed Critical 길석면
Priority to KR102019002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987B1/en
Publication of KR2020010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4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means for,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tabl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e.g. with adjustable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02Swings with two suspensory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okout shed and, more specifically, to a lookout shed which can be used as a space where people 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okout shed comprises a floor plate (300) and a chair (160), wherein the floor plate (300) provides a space in which people can take a seat to rest.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는 마루와 그네 기능을 갖춘 의자가 있는 원두막{A HUT HAVING THE FLOOR OF THE FUNCTION OF TABLE AND THE CHIAR OF THE FUNCTION OF SWING}A HUT HAVING THE FLOOR OF THE FUNCTION OF TABLE AND THE CHIAR OF THE FUNCTION OF SWING, which accommodates a height-adjustable table at the same time, and a chair with a swing function.

본 발명은 원두막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마루판상 중앙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는 테이블 겸 마루와 그네 기능을 갖춘 의자를 구비한 원두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n curd. In more detail, it relates to a bean curd having a chair with a swing function and a table that simultaneously accommodates a height-adjustable table in the center of the floorboard.

일반적으로 원두막에서 '원두'라는 말은 원래 참외,오이,수박,호박을 통들어 이르는 말이다. 수박,참외,딸기는 현장에서 따먹기가 쉽고, 옛날에는 동네의 짓궂은 청소년들이 서리를 하는 버릇이 있어 이를 막기 위하여 막을 짓고 지켰다.In general, the word'beans' in bean curd refers to melon, cucumber, watermelon, and pumpkin. Watermelon, melon, and strawberry are easy to eat on the spot, and in the old days, spiteful youths in the neighborhood had a habit of frosting, so they built and kept curtains to prevent them.

원두막은 기둥 4개를 세워 꼭대기에 짚으로 이엉을 엮어 지붕을 만들고 그 밑에 판자나 통나무로 누대를 만든다. 사방은 볏짚이나 밀짚을 엮어 둘러치되 개폐식으로 하여 막대기로 버티어 열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다리를 놓아 오르내리도록 하였다.For the Wondumak, four pillars are erected, and thatch is woven at the top to make a roof, and underneath it is made of planks or logs. On all sides, rice straw or straw was woven around it, but it was opened and closed so that it could be held up with a stick, and a ladder was put up and down.

원두막이 언제부터 시작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옛날부터 밭을 지킨다는 구실 외에도 동네 사람들의 좋은 피서처였으며 밤이면 젊은이들의 모임 장소가 되었다. 또 낮에는 길손들이 땀을 들이고 가는 휴식장소이기도 하였다.It is not clear when the hut started, but in addition to the pretext of protecting the field from the old days, it was a good refuge for the local people, and at night it became a meeting place for young people. Also, during the day, it was a resting place for gilsons to sweat.

한편, 옛 전통방식의 원두막 구조는 밭이나 과수원 지면에 기중설치 구덩이를 판 다음 네 개의 기둥을 세우고 적절한 높이에 반지름이 약 150mm 이상 200mm 미만의 곧고 긴 생소나무를 베어서 겉면을 다듬고 일정한 길이로 자른 네 개의 마루프레임 끝이 서로 잇대어서 기둥에 우물정자(井)의 모양으로 묶어 설치하고 그 프레임 윗면에 반지름 100mm 내외의 잘 다듬어진 곳은 소나무를 촘촘하게 잇대어서 마루를 형성하며 그 마루 위에 여러겹의 가마니를 펼쳐 깔아서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old traditional way, a crane-mounted pit was dug on the ground of a field or orchard, and then four pillars were erected, and a straight, long pine tree with a radius of about 150mm or more and less than 200mm was cut at an appropriate height, trimmed the surface, and cut it to a certain length. The ends of the four floor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e shape of a well pavilion on the pillars. At the top of the frame, a well-trimmed area with a radius of about 100 mm is closely connected with pine trees to form a floor. Spread out the bales so that you can sit or lie down.

석가래와 이엉을 얹혀서 지붕을 구성하는 구조인 반면에 정자의 구조는, 마을에서 풍치 및 경치가 좋은 장소에 자리를 잡은 다음 바닥을 잘 다듬고 구덩이를 파서 기둥 세울 주춧돌을 매설하며 주춧돌 위에 다면체로 잘 가공된 기둥을 정자의 모양에 따라 사각형 정자인 경우에는 네 개의 기둥을 세우나 팔각형 정자인 경우에는 여덟 개의 기둥을 세운다.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pavilion consists of a roof with stone garlands and thatch on top, while the pavilion structure is well processed into a polyhedron on top of the foundation by setting up a place in a place with good taste and scenery, then trimming the floor and digging a pit to bury the foundation for the pilla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vilion, four pillars are erected in the case of a square pavilion, but eight pillars are erected in the case of an octagonal pavilion.

지면으로부터 약 1m 위에 잘 다듬어진 목재로 마루프레임을 설치하며 이어서 마루판자를 깔아서 평상 마루를 형성하고 출입구 방향에 오르내릴 수 있는 네 계단 내지 다섯 계단의 계단을 형성하고 그 위에 난간대를 형성하며, 도리와 들보와 석가래를 얹고 기와를 얹여서 지붕을 구성하는 구조이다.A floor frame is installed about 1m above the ground with well-trimmed wood, and then a floorboard is laid to form a flat floor, and a staircase of four or five steps that can be raised or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is formed, and a railing is formed on it. It is a structure that constructs the roof by placing beams and stone garlands and roof tiles.

최근 문화적 생황의 향상과 시대적 변천에 따라서 농촌 지방이나 도시에는 시, 도립공원을 비롯하여 골프장, 경마장을 비롯한 대형음식점, 병원 및 대형빌딩 심지어 개인주택 정원에까지 설치하여 정서적 안정을 위한 쉼터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improvement of cultural growth and the changes of the times, it is true that rural areas and cities have been installed in cities, provincial parks, golf courses, racecourses, large restaurants, hospitals, large buildings, and even private home gardens, and are used as shelters for emotional stability. to be.

한편, 최근들어 제공되고 있는 원두막의 구조를 살펴보면, 목재소에서 가공이 잘된 목재(2 X 4 ~ 4 X 4 규격으로 가공된 목재)를 여러 개 중첩해서, 단면상 사각형이거나 팔각형이 되도록 네 개의 기둥목을 형성하여 사방네 모서리에 설치한 후 , 그 기둥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프레임받침대를 형성하고, 그 프레임받침대 윗면에 대못을 박아서 마루프레임을 종횡방향으로 고정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bean curd that has been recently provided, four columns are formed by overlapping several well-processed wood (wood processed in 2 X 4 ~ 4 X 4 standard) at a timber house to form a square or octagonal cross section. After installing it at four corners, form a frame stan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column, and fix the floor fram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by driving a nail on the top of the frame stand.

상기 고정된 마루프레임의 상단 마주 보는 길이 방향 모서리에 상향 개방된 일정한 깊이의 마루 설치홈을 형성하며, 상기 마루설치홈에는 여러 개의 마루판자를 연접시켜서 형성한 평상마루를 구성하며, 상기 평상마루의 둘레 상부 일정한 높이에는 난간대 끝을 기중에 대어 못을 박아서 난간대를 기둥에 고정설치한다.A floor installation groove of a certain depth opened upward is formed at a longitudinal edge facing the top of the fixed floor frame, and the floor installation groove constitutes a flat floor formed by connecting several floor boards,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flat floor At a constant height above the railing, attach the end of the railing to the air and drive a nail to fix the railing to the column.

상기 난간대가 설치된 기둥 상단부에는 도리, 들보, 석가래, 판자, 방습포를 설치하고 그 방습포 위에는 기와 또는 너와 또는 함석, 싱글(정형화한 아스팔트지/루핑)을 덮어서 지붕을 구성하는 구조로써, 주로 업체에서 제작한 후 중장비 및 차량으로 이동해서 현장에 설치하는 구조로 구축된다.The upper part of the column where the railing is installed is a structure that constructs a roof by installing a torii, a beam, a stone wall, a plank, and a moisture-proof cloth, and covering the roof with a tile or tuft or tin, single (standardized asphalt paper/roofing) on the moisture-proof cloth. It is constructed in a structure that is manufactured at the site and then moved to heavy equipment and vehicles and installed on site.

정자의 경우에는 상기 원두막 구조와는 달리 구조물의 특성상 현장에서 구축되는 것으로서, 먼저 정자가 구축될 자리를 선정하여 지면을 잘 정리한 다음 바닥 콘크리트와 기둥기초를 콘크리트 향생한 후 이 기둥기초 위에 정자의 모양이 평면상 사각형이면 네 개의 기둥을 팔각형이면 여덟 개의 기둥을 세워 설치한다.In the case of a pavilion, unlike the above-described bean-dumb structure, it is constructed on site due to the nature of the structure.First, select a site where the pavilion will be built, arrange the ground well, and then regenerate the concrete floor and the pillar foundation. If the shape is square, then four pillars, and if it is an octagon, eight pillars are erected.

상기 기둥은 상기 원두막 기둥과 같이 목재소에서 잘 가공된 목재(2 X 2 ~ 4 X 4) 여러 개를 겹쳐서 기둥의 단면이 사각형이나 팔각형 모양으로 형성하여 상기의 기둥 기초 위에 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설치된 기둥에는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는 못을 박아서 마루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프레임 받침대를 각각 형성한다.The pillar is formed in a square or octagonal cross section by overlapping several well-processed wood (2 X 2 ~ 4 X 4) in a lumberyard, such as the bean-dumb pillar, so that the pillar is installed on the pillar base, and the installed Each pillar is formed with a frame pedestal capable of fixing the floor frame by driving a nail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상기 형성된 프레임받침대 윗면에는 기둥을 따라 마루 프레임을 종횡방향으로 얹힌 다음 대못 또는 장축 상의 나사못을 박아서 마루프레임을 프레임 받침대에 고정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med frame base, the floor frame is moun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ong the pillars, and then the floor frame is fixed to the frame base by driving a nail or a screw on the long axis.

상기 고정된 마루프레임의 상단의 마주보는 길이방향 모서리에는 상향 개방된 일정한 깊이의 마루설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마루설치홈에는 여러 개의 마루판자를 연접시키고 못을 박아서 마루판자가 마루프레임에 고정된 평상마루를 구성한다.A floor installation groove of a certain depth opened upward is formed at the opposite longitudinal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fixed floor frame, and a plurality of floorboards are connected to the formed floor installation grooves and nails are installed to fix the floorboards to the floor frame. Construct the floor.

상기 구성된 평상마루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상부에는 일정한 폭을 가진 난간대를 설치하되, 난간대 끝에 못을 박아서 기둥에 난간대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난간이 설치된 기둥의 상단부에는 도리, 들보, 석가래, 판자, 방습포가 설치되고 그 방습포 위에 기와, 너와, 함석, 싱글(정형화된 아스팔트지/루핑) 등을 얹혀서 지붕을 구성하는 구조로써, 현장에서 제작되고 있다.A handrail having a certain width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certain height from the constructed flat floor, and the railing is fixed to the column by driving a nail at the end of the railing, and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on which the railing is installed is a dori, beam, stone, plank, moisture-proof It is a structure that constructs a roof by placing tiles, tufts, tin, and shingles (standardized asphalt paper/roofing) on top of the desiccant fabric, and is being manufactured on site.

상술한 바와 같은 원두막과 정자에는 벤치가 마련되어 있지 아니한 이유로 평상마루에 가부좌를 틀고 앉기 싫은 사람들은 난간대를 벤치로 사용하여 걸쳐 앉게 된다.Those who do not want to sit with a cross-legged on a flat floor for the reason that a bench is not provided in the bean curd and pavilion as described above use the handrail as a bench to sit over.

난간대에 걸쳐 앉아 있다가 자칫 실수하거나 몸 중심을 잃기라도 하게 되면 통상 2m 아래로 곤두박질 하듯이 지면으로 떨어지게 되어 크게 부상을 당하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If you make a mistake or lose the center of your body while sitting across the railing, you will fall to the ground as if you are heading down 2m, resulting in serious injuries or death in severe cases.

최근 제공되는 원두막 및 정자에는 수요자의 요청에 따라 벤치와 난간대가 동시에 적용 제공하기도 한다.At the request of the consumer, benches and railings are applied at the same time for the recently provided bean curds and pavilions.

벤치와 난간대가 동시에 적용 제공되는 원두막 및 정자의 벤치 및 난간대는, 기둥에 벤치목판고정대를 못을 고정한 후 상기 벤치목판고정대 윗면에 벤치목판을 얹혀놓고 단순 못을 박아서 벤치 목판을 기둥에 고정한 벤치목판고정대에 고정한다.The bench and railings of the bean curd and pavilion, which are applied at the same time as a bench and a handrail, are a bench in which a bench timber board is fixed to a column, and then a bench timber board is placed on the top of the bench timber board fixing bar, and a simple nail is inserted to fix the bench board to the column. It is fixed to the wooden board holder.

상기 난간대는 고정대조차 마련되지 않고 집적 못을 박아서 기둥에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미관상 미려하지도 않지만 견고하지 못하다.Since the handrail is not even provided with a fixing bar and uses a method of fixing it to the pillar by inserting an integrated nail, it is not beautiful in terms of aesthetics, but is not robust.

여름과 겨울 비바람을 비롯한 자외선 등 온도와 습도의 변화로 목재에 변형이 발생 될 때, 벤치목판과 난간대에 뒤틀리는 문제와 갈라지는 폐단이 발생 되고 고정수단으로 박아놓은 못이 녹슬고 빠지면서 파손되므로, 피부 노풀이 많은 여름철에는 부상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심각한 폐단이 발생 되고 있다.When the wood is deformed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such as ultraviolet rays, including summer and winter rain, a problem of twisting and cracking occurs in the bench wood board and railings, and the nails embedded as fixing means rust and fall out and are damaged. In many summer months, serious disruptions occur, with frequent injurie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14591는 더 편리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는 한편 목재가 습도와 기온의 차이로 뒤틀림 및 갈라지는 목재변형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차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연원목을 이용한 원두막의 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014591 relates to a bench structure of a bean curd using natural wood, which is provided to effectively prevent and block the wood deformation phenomenon in which wood is twisted and cracked due to differences in humidity and temperature while more convenient and convenient use.

상기 등록특허 10-1014591은 구성요소가 기재된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내용으로 살펴보면, 평면상 네 개의 기중이 세워지고 네 개의 기둥 공간 하부에 프레임들이 연결되고 마루판자가 프레임들에 이어지게 결합되어 마루를 형성한다.Looking at the contents described in claim 1 in which the components are described in Patent No. 10-1014591, four cranes are erected on a plane, frames are connected under the four pillar spaces, and a floorboard is connected to the frames to form a floor. .

상기 등록특허 10-1014591는 중앙이 비어 있는 원두막이기에 이동하기에는 수월하나 모임이나 사교의 장으로 사용할경우 만찬을 가지게 되는데 휴식의 공간으로 제작되어 식탁을 따로 준비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특히 정면을 기준으로 의자에 별도에 난간대가 존재하지 않아 넘어져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The above Patent No. 10-1014591 is easy to move because it is a bean curtain with an empty center, but when it is used as a meeting or social place, it is possible to have dinner, but it is produced as a space for rest, so a table must be prepared separate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separate railing, so it may fall and cause injury.

마루 위에는 난간대가 설치되고 기중 상당면에는 사방으로 도리와 얹혀져서 들보와 석가래가 차례로 얹혀지며, 싱글 또는 기와로 지붕이 마감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로 구성된다.It consists of a movable wooden structure with a railing on the floor and a torii on a significant side of the plane, and a beam and a stone wall in order, and the roof is finished with a single or tile.

지면으로부터 적정한 높이에는 평단면상 1/4 원의 분량을 파내어진 프레임홈이 형성되고, 수직방향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곡선형으로 점차 휘어져서 상단부가 ㄷ자형 마루의 중심을 향하여 ∠2 ~ ∠3 기울어지게 기둥이 설치된다.At the proper height from the ground, a frame groove is formed by digging a quarter of a circle on the flat section, and it is gradually bent in a curved shap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part is ∠2 ~ ∠3 toward the center of the c-shaped floor. Pillars are installed at an angle.

상기의 프레임홈에는 양쪽 단부에 직각턱이 형성 되고 일측의 수직 상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면에 적정한 간겨을 두고 수평장홈이 길게 형성된 장축횡프레임으로 구성된다.The frame groove is composed of a long-axis transverse frame in which right angle jaws are formed at both ends, and a horizontal long groove is formed long with an appropriate gap on the upper surfac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vertical upper surface of one side.

양쪽 단면에는 직각턱을 형성하나 일측면 길이 방향에는 일단부로부터 적정한 간격을 두고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수직홈과 이 수직홈으로부터 연장된 수평장홈과 일치하는 길이방향으로 수평장홈이 형성된다.Right angle jaws are formed on both ends, but horizontal groov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incident with the vertical grooves with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pen at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one end and the horizontal grooves extending from the vertical grooves.

상기 수평장홈의 선단부에는 일단부로부터 적정한 간격을 두고 마무리판자 넓이와 일치하는 마루판입구를 가진 단축횡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의 장축종프레임에 형성된 수평장홈과 적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일치하는 수평장홈이 형성된다.At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groove, a short axis transverse frame having a floorboard entrance coinciding with the width of the finished board is formed at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one end, and horizontal grooves coincide side by side with the horizontal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longitudinal frame. Is formed.

상기 수평장홈 선단부에는 단축횡프레임의 수직홈에 끼워지는 간격을 감안한 지점부터 마무리판자의 너비와 일치하는 마루판입구를 가진 단축종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장축횡프레임과 장축종프레임의 직각턱을 맞물려지도록 프레임홈에 끼운다. At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groove, a short length vertical frame having a floorboard entrance coinciding with the width of the finishing board is formed from a poin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inserted into the vertical groove of the short axis horizontal frame, and the long axis horizontal frame and the long axis vertical fram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sert it into the frame groove so that it can be removed.

상기 맞물려 끼워진 장축종프레임의 반대쪽 직각턱은, 정면프레임의 직각턱과 맞물려져서 정면 양쪽의 기둥에 형성된 프레임홈에 끼움으로, 상기 장축횡프레임, 장축종프레임, 정면프레임이 평면상 네 개의 기둥과 연결되도록 한다.The right angle jaw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terlocked long-axis vertical frame is engaged with the right-angled jaw of the front frame and is fitted into the frame grooves formed on both pillars of the front side, so that the long-axis horizontal frame, the long-axis vertical frame, and the front frame are four pillars in a plane. Make sure to connect.

상기의 단축횡프레임은, 수평장홈이 장축횡프레임의 수평장홈과 마주보는 상태로 양쪽 단부를 장축종프레임의 수직홈에 끼워서 결합하며, 단축종프레임은 수평장홈이 장축종프레임의 수평장홈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측단부는 단축횡프레임의 수직홈에 끼워진다.The short axis transverse frame is coupled by inserting both ends into the vertical groove of the longitudinal longitudinal frame with the horizontal longitudinal groove facing the horizontal longitudinal groove of the longitudinal transverse frame, and the horizontal longitudinal groove faces the horizontal longitudinal groove of the longitudinal longitudinal frame. In the viewing direction, one end is fitted into the vertical groove of the short axis transverse frame.

상기 단축횡프레임의 수직홈의 타단부에 형성된 ㄷ자형결합홈은, 상기 정면프레임에 형성된 ㄷ자형결합홈에 깍지끼움 형태로 결합한다.The C-shaped coupling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groove of the short axis transverse frame is coupled to the C-shaped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front frame in an interlocking manner.

너비와 길이는 동일하고 양쪽 단부에는 단턱 형상의 슬라이드를 가진 수 개의 슬라이드판자를 형성하여, 상기의 마루판입구를 통하여 수평장홈에 차례대로 밀착되도록 삽입을 한다.Several slide boards having the same width and length and stepped slides are formed at both ends, and are inserted in order to closely adhere to the horizontal groove through the floorboard entrance.

일단부에는 단턱 형상의 슬라이드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직각단면을 가진 마무리판자를 형성하여 마루판입구를 봉합(폐쇄)하며, 도리 상면 중앙에 이음이 없고 가공하지 않은 자연상태의 아치형 들보가 포함되어 축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진 원목으로 기둥과 들보로 축조하는 이동식 목조건축물임을 알 수 있다.At one end, a stepped slide is formed, and the other end forms a finished board with a right angle cross section to seal (close) the entrance to the floorboard, and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rii is constructed by including a natural, unprocessed arch beam. It can be seen that it is a movable wooden structure built with pillars and beams with curved log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made of wood.

본 발명은 사람들과의 모임을 가지는 장소에 하나인 원두막에서 식사 등을 하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 외관상 미려하고 안전하며 견고하게 지어야 하며 특히 계절 변화에 따라 구축 구조물 목재에 변형이 발생 될 때에, 변형의 원인을 차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eal or the like is eaten at a single bean hut in a place where people have a meeting, many people gather. It should be built beautifully, safely and sturdily in appearance, and, especially, when deformation occurs in the timber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due to seasonal changes, the cause of deformation is blocked.

원두막 및 정자의 벤치와 난간대가 파손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원인을 차단하여 오랜 세월을 견고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It is necessary to block the cause of shortening of the life span due to damage to the bench and railing of the bean curd and pavilion so that it can be used firmly and safely for many years.

레버를 돌게 하면 원두막 중앙에서 바닥이 상승하여 테이블을 형성하게 하고원두막의 일정 면에 그네 기능을 갖춘 의자가 구비된다.When the lever is turned, the floor rises from the center of the bean curd to form a table, and a chair with a swing function is provided on a certain surface of the bean curd.

의자는 흔들 수 있어 사용자에게 그네를 타는 재미를 줄 수 있으며 만찬 시에는 상기 그네 기능을 갖춘 의자를 고정하여 그네 기능을 제한하고 식탁에 앉는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Since the chair can be shaken, the user can have fun riding the swing, and at dinner, the chair with the swing function is fixed to limit the swing function and to be used for sitting at a t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간에 만남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원두막(100)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an curd 100 capable of meeting and taking a break between people.

본 발명은 사람 간에 만남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원두막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bean dumak that can take a meeting and a break between people;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마루판상(300);A floorboard (300) for taking a rest;

앉아서 쉴 수 있는 의자(160);A chair 160 that can sit and rest;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는 마루와 그네의 기능이 있는 의자가 포함되어 있는 원두막을 제공한다.A floor that accommodates a height-adjustable table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d a bean curd including a chair with a swing function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루판상(300)은 사람들이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특히 중앙부는 상승하여 식탁1(15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는 마루와 그네의 기능이 있는 의자가 포함되어 있는 원두막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board 300 provides a space where people can sit and rest, and in particular, the central part rises to become the dining table 1 150. It provides a bean curd with functional chai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앉아서 쉴 수 있는 의자(160)는 의자걸이(180)와 걸이봉(170)을 구비하여 결합부(180a)에 걸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80a)에 걸이봉(170)이 걸려있을 때 그네 기능이 되고, 의자(160)를 바닥(300)에 연결하는 구성을 구비하여 그네 기능의 의자(160)가 고정된 의자가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는 마루와 그네의 기능이 있는 의자가 포함되어 있는 원두막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r 160 that can sit and rest is provided with a chair hanger 180 and a hanger rod 170 to be hung on the coupling portion 180a, and a hanging rod 170 on the coupling portion 180a. The heigh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ir 160 of the swing function performs a function of becoming a fixed chair by having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chair 160 to the floor 300 when it is hung. It offers a floor that accommodates a table at the same time as possible, and a green curtain that includes a chair with a swing function.

본 발명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마루판상(300)과 앉아서 쉴 수 있는 의자(160)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floorboard 300 for taking a rest and a chair 160 for sitting and relaxing.

상기 마루판상(300)은 사람들이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중앙부는 상승하여 식탁1(150)이 된다.The floorboard 300 provides a space where people can sit and relax, and the central portion rises to become a dining table 1 150.

상승작용은 이송부1(136)과 이송부2(146)으로 가능하며 대칭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부1(136)과 이송부2(146)을 포함하여 2개를 더 구비한 상기 식탁1(150)을 구성한다.The synergistic action is possible with the transfer unit 1 (136) and the transfer unit 2 (146), and consists of a symmetrical structure to constitute the dining table 1 (150) having two more including the transfer unit 1 (136) and the transfer unit 2 (146) do.

상기 식탁1(150)은 양 측면으로 교차부재1(151)과 교차부재2(152)가 구비되어 식탁1(150)이 상승 시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하며 식탁1(150)의 4개의 모서리에 식탁다리(153)을 구비하여 외관상 식탁과 유사하게 보이도록 한다.The dining table 1 (150) is provided with cross member 1 (151) and cross member 2 (152) on both sides to prevent it from easily collapsing when the dining table 1 (150) rises, and a table leg at the four corners of the dining table 1 (150). (153) is provided so that it looks similar to a dining table in appearance.

상기 식탁1(150)의 4개의 모서리에 식탁다리(153)은 양측면에 구비된 교차부재1(151)과 교차부재2(152)는 상기 식탁다리(153)과 결합되며 볼트1(10)과 너트1(11)로 결합이 가능하다.The table legs 153 at the four corners of the table 1 150 are intersecting members 1 151 and 2 crossing members 2 152 provided on both sides thereof are coupled to the table leg 153, and the bolt 1 10 and It can be combined with nut 1(11).

상기 의자(160)은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흔들의자의 기능을 하기 위해 회전부(190)는 의자(160)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구비하여 의자를 흔들 수 있다.The chair 16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160 in order to function as a rocking chair in order to induce interest in the user, so that the chair can be shaken.

상기 회전부(190)는 지지부재1(191)와 지지부재2(191a)를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191)과 지지부재2(191a)의 양 끝단에는 고리결합부1(192)와 고리결합부2(192a)가 구비되면서 상기 의자(160)을 분리 결합기 가능한 수동 테이블과 지지부재 및 결합 해체 가능한 의자를 구비한 원두막을 제공한다.The rotating part 190 couples the support member 1 (191) and the support member 2 (191a), an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1 (191) and the support member 2 (191a), a ring coupling part 1 (192) and a ring While the coupling portion 2 (192a) is provided, it provides a coffee bean membrane having a manual table capable of separating and combining the chair 160, a support member, and a chair capable of being combined and disassembled.

본 발명은 넓은 판상을 하고 있어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기가 쉽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e plate shape, it is easy to use it as a space for people to rest.

본 발명은 결합부에 걸이봉이 걸려있을 때 지지부재 속에 스프링이 있어 완충작용과 동시에 흔들의자가 되어 남녀노소 불문하고 놀이에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spring in the support member when the hook rod is hung on the coupling part, so that it acts as a rocking chair at the same time as a buffer, so that it can be used for play regardless of gender.

본 발명은 의자에 지지부재 2개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15도 ~ 35도 거리를 두고 부재가 마주보는 한쌍이 더 존재하여 의자가 갑자기 뒤로 넘어가는 현상을 방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supporting members are viewed from the side, there is an additional pair of members facing each other at a distance of 15° to 35° to prevent the chair from suddenly falling back.

본 발명은 계단 올라갈 시 난간이 있어 밖으로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 해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railing when going up the stairs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falling outside.

본 발명은 마루판상의 중앙부가 상승하여 식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oorboard is raised and can be used as a dining table.

본 발명은 의자를 아래에서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식탁용 의자로 활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table chair by fixing the chair from below so as not to move.

본 발명은 기둥 고정부가 있어 지면으로 부터 기둥이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distortion of the pillar from the ground by having a pillar fixing part.

본 발명은 지붕이 있어서 비나 눈 같은 자연현상으로부터 보호해 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of to protect it from natural phenomena such as rain and snow.

본 발명은 구조물의 하방에 수평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재가 있어 그네로 이용할 때,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여 준다.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when used as a swing because there is a support member that can be adjus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원두막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원두막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두막 정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두막 저면도 이다.
도 4a은 본 발명의 마루판상 하측에 구비된 이송장치 평면도 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평면도 이다.
도 4c은 본 발명의 전달부와 이송부 내부에 있는 이송스크류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식탁 확대도 이다.
도 5a은 본 발명의 식탁 교차부재를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 사시도 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식탁 사시도 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의 사시도 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의 저면도 이다.
도 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의 정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자 정면도 이다.
도 6a는 의자 지지부재1과 지지부재2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이 캡이 벗겨져 있는 정면도 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의자 지지부재1과 지지부재2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이 캡이 씌워져있는 정면도 이다.
도 6c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다리가 구비된 저면도 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착석부의 저면도 이다.
도 6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다리 하측에 홈을 구비한 의자 저면도 이다.
도 6f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다리 하측에 구비한 홈의 확대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힌지결합가능한 회전부의 사시도 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힌지결합가능한 회전부를 결합시킨 사시도 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루판상과 의자 결합 사시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 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저면도 이다.
도 7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가능한 회전부의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두막 마루판상의 사시도 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두막 마루판상 측면에 구비된 지지다리고정부의 정면도 이다.
도 8b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8a에 제시된 원두막 마루판상 반대 측면에 구비된 지지다리고정부의 정면도 이다.
도 8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원두막 마루판상의 측면에 결합해제가 가능한 지지다리부 분해 평면도 이다.
도 9 본 발명의 회전부 결합해제 사시도 이다.
도 9a 본 발명의 회전부 결합상태 사시도 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의자걸이부 사시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n curd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n cu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bean cur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bean cur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lan view of the transfer device provided below the floor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lan view of the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transfer screw in the transf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din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lt and nut fixing the table cross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n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5C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D is a bottom view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E is a front view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front view of the chair support member 1 and the support member 2 in which the cap is removed from the spring.
6B is a front view of the chair support member 1 and the support memb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pring cap is covered.
Figure 6c is a bottom view provided with a chair le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D is a bottom view of a chair seat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E is a bottom view of a chair having a groove under the leg of the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F is an enlarged view of a groove provided under a chair le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ngeable rot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nge-coupleable rotary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orboard and a chair combin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C is a front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D is a bottom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E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ngeable rotat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board of the bean cu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front view of a supporting leg part provided on a side of a floorboard of a bean cu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leg portion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loorboard of the bean curd shown in Figure 8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c is an exploded plan view of a support leg that can be disassembled from a side of a floorboard on another bean curd floor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engagement of the rot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unit coupl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대해서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원두막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원두막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두막 정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두막 저면도 이다. 도 4a은 본 발명의 마루판상 하측에 구비된 이송장치 평면도 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평면도 이다. 도 4c은 본 발명의 전달부와 이송부 내부에 있는 이송스크류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식탁 확대도 이다. 도 5a은 본 발명의 식탁 교차부재를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 사시도 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식탁 사시도 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의 사시도 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의 저면도 이다. 도 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의 정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자 정면도 이다. 도 6a는 의자 지지부재1과 지지부재2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이 캡이 벗겨져 있는 정면도 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의자 지지부재1과 지지부재2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이 캡이 씌워져있는 정면도 이다. 도 6c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다리가 구비된 저면도 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착석부의 저면도 이다. 도 6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다리 하측에 홈을 구비한 의자 저면도 이다. 도 6f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다리 하측에 구비한 홈의 확대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힌지결합가능한 회전부의 사시도 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힌지결합가능한 회전부를 결합시킨 사시도 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루판상과 의자 결합 사시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 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저면도 이다. 도 7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가능한 회전부의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두막 마루판상의 사시도 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두막 마루판상 측면에 구비된 지지다리고정부의 정면도 이다. 도 8b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8a에 제시된 원두막 마루판상 반대 측면에 구비된 지지다리고정부의 정면도 이다. 도 8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원두막 마루판상의 측면에 결합해제가 가능한 지지다리부 분해 평면도 이다. 도 9 본 발명의 회전부 결합해제 사시도 이다. 도 9a 본 발명의 회전부 결합상태 사시도 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의자걸이부 사시도 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an curd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n cu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bean cur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bean cur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lan view of the transfer device provided below the floor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lan view of the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transfer screw in the transf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din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lt and nut fixing the table cross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n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5C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D is a bottom view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E is a front view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front view of the chair support member 1 and the support member 2 in which the cap is removed from the spring. 6B is a front view of the chair support member 1 and the support memb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pring cap is covered. Figure 6c is a bottom view provided with a chair le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D is a bottom view of a chair seat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E is a bottom view of a chair having a groove under the leg of the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F is an enlarged view of a groove provided under a chair le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ngeable rot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nge-coupleable rotary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orboard and a chair combin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C is a front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D is a bottom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E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ngeable rotat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board of the bean cu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front view of a supporting leg part provided on a side of a floorboard of a bean cu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leg portion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loorboard of the bean curd shown in Figure 8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c is an exploded plan view of a support leg that can be disassembled from a side of a floorboard on another bean curd floor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engagement of the rot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unit coupl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늘 및 만남의 장소 즉, 휴식 장소가 될 수 있는 원두막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수동 테이블과 지지부재 및 결합해체 가능한 의자를 구비한 원두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ffee table having a manual table and a support member and a detachable chair that functions as a shade and a place of meeting, that is, a place for res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 간에 만남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원두막(100)은 삼각형 모양 이외에도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 to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n curd 100 for meeting and rest between people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pentagon in addition to a triangular shape.

상기 원두막(100)은 지붕으로 덮여있어 비나 눈 등의 자연현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bean curd 100 may be covered with a roof to protect it from natural phenomena such as rain or snow.

상기 지붕(103)은 지붕지지대1(101)와 지붕지지대2(102)는 기둥(120)을 기준으로 80도 ~ 110도 사이 각도로 서로 지지하여 지붕(103)을 지지한다.The roof 103 supports the roof 103 by supporting the roof support 1 101 and the roof support 2 102 at an angle between 80° and 110° based on the pillar 120.

상기 지붕지지대1(101)은 타단으로 부터 5 ~ 15cm 이격하여 지붕지지대2(102)와 결합하게 된다.The roof support 1 (101)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by 5 to 15 cm and is combined with the roof support 2 (102).

상기 지붕지지대2(102)는 상기 기둥(120)에 결합이 가능하며 기둥은 각 변마다 존재하며 원두막 제작 형태에 따라 각 변에 들어가는 기둥(120)의 갯수가 다양해진다.The roof support 2 102 can be coupled to the pillar 120, and the pillars exist at each side, and the number of pillars 120 entering each side vari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ean curd production.

상기 기둥(120)은 지면과 맞닫는 부분이기 때문에 기둥(120)의 타단에 기둥고정부1(121)과 기둥고정부2(122)가 결합되어 있다.Since the column 120 is a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column fixing part 1 121 and the column fixing part 2 122 ar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lumn 12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고정부1(121)은 상기 원두막(100)의 재질인 목재가 땅으로부터 원두막(100)을 지지하고 차후 일어나는 현상으로 뒤틀림과 목재의 부패가 일어나 인해 원두막(100)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어역할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lumn fixing part 1 121 supports the coffee bean film 100 from the ground by the wood,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bean head film 100, and warping and decay of the wood occur due to a subsequent phenomenon. ) Can play a defense role to prevent collapse.

상기 기둥 고정부2(122)는 기둥(120)과 결합된 기둥고정부1(121)이 땅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특징을 제공한다.The column fixing part 2 122 provides a feature that prevents the column fixing part 1 121 coupled with the column 120 from entering deeply into the ground.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마루판상(300)은 넓은 판상을 하고 있어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기가 쉽다.The floorboard 300 that allows people to take a break has a wide board shape, so it is easy to use it as a space for people to relax.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앉아서 쉴 수 있는 의자(160)는 의자걸이(180)와 걸이봉(170)을 구비하여 결합부(180a)에 걸 수 있으며 상기 의자(160)를 힌지결합하는 회전부(190)의 자석손잡이부1(193)과 자석 손잡이부2(194)를 해제가능하며 힌지(196)가 벌어져 자석부(195)를 때어내어 상기 마루판상(300)에 앉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6, the chair 160 for sitting and rest can be hung on the coupling part 180a by having a chair hanger 180 and a hanger rod 170, and a rotating part that hinges the chair 160 ( 190), the magnet handle 1 (193) and the magnet handle 2 (194) can be released, and the hinge (196) is open to remove the magnet part (195) and can be used to sit on the floorboard (300). .

걸이봉(170)을 도 10에 제시된 의자걸이부의 결합부(180a)로 부터 해체가 가능하다.The hanging rod 170 can be disassembled from the coupling portion 180a of the chair hanging portion shown in FIG. 1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160)는 상기 결합부(180a)에 걸이봉(170)이 걸려있을 때 그네 기능이 있는 의자로 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hair 160 may be transformed into a chair having a swing function when the hanging rod 170 is hung on the coupling part 180a.

도 7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160)의 측면에 구비된 고리결합부(192)에 결합부2(720-1)가 결합되고 결합부2(720-1)는 고리연결부2(710-1)와 연결되어 있으며 고리연결부2(710-1)는 고정고리부(700)에 결합이 되어 있으며,7 and 7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2 (720-1) is coupled to the ring coupling portion 192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hair 160, and the coupling portion 2 (720-1) is a ring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 (710-1) and the ring connection part 2 (710-1) is coupled to the fixing ring part 700,

또한 의자(160)의 측면에 별개로 구비된 고리결합부(192b)에 결합부1(720)과 결합되고 결합부1(720)은 고리연결부1(710)과 연결되어 있으며 고리연결부1(710)은 고리부(700)에 결합이 되는 구조가 되어 있고,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1 (720) is coupled to the ring coupling portion (192b) provided separately on the side of the chair 160, the coupling portion 1 (720) is connected to the ring connection portion 1 (710), and the ring connection portion 1 (710) ) Has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ring portion 700,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의자(160)의 반대 측면에도 상기한 구조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흔들리는 그네 기능의 의자(160)의 좌우 측면을 바닥(300)에 고정되게 되어 흔들리는 그네 기능의 의자(160)가 고정된 의자가 되게 되는 기능이 나타나게 된다.Similarly,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lso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hair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winging swing function chair 160 are fixed to the floor 300 so that the swinging swing function chair 160 is The function of becoming a fixed chair appears.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한 고정고리부(700)는 바닥(30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ring part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floor 300.

도 7b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7b to 7e,

본 발명은 상기한 의자(160)의 4개의 귀퉁이를 바닥에 연결하는 구성을 구비하여 흔들리는 그네 기능의 의자(160)에 4 개의 다리가 형성되는 기능 및 의자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여 흔들리는 그네 기능의 의자(160)가 고정된 의자가 되게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four corners of the chair 160 to the floor so as to form four legs on the chair 160 with a swinging swing function and a swing swing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fixing the chair. The functional chair 160 may perform a function of becoming a fixed chair.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의 측면부에 4개로 형성된 고리결합부(192)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4개의 고리결합부(192)를 고리연결부2(710-1)로 바닥(300)에 형성된 고정고리부(700)와 연결하게 됨에 따라 고리연결부2(710-1)가 의자의 다리 기능이 됨은 물론 흔들리는 그네 기능의 의자(160)를 고정된 의자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7b,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four ring coupling portions 192 formed on the side of the chair, and the above four ring coupling portions 192 as a ring coupling portion 2 (710-1) As it is connected with the fixing ring part 700 formed on the floor 300, the ring connection part 2 (710-1) becomes a leg function of the chair, as well as the function of making the chair 160 of the swinging swing function a fixed chair. Will perform.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의자의 측면부에 4개로 형성된 고리결합부(192)는 의자의 착석부(165)의 밑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기능상 또는 미관상 유리하다.Preferably, the four ring coupling portions 192 formed on the side portions of the chair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functionality or aesthetics to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165 of the chair.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한 의자의 측면부에 4개로 형성된 고리결합부(192)와 결합부2(720-1)가 결합되고 결합부2(720-1)는 고리연결부2(710-1)와 연결되어 있으며 고리연결부2(710-1)는 바닥(300)에 형성된 고정고리부(700)에 결합이 되어 있게 되며, 이러한 구조는 의자의 4개의 귀퉁이 부분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게 된다.In detail again, the four ring coupling portion 192 and the coupling portion 2 (720-1) formed on the side of the chair are coupled, and the coupling portion 2 (720-1) is the ring connection portion 2 (710-1) and It is connected and the ring connection part 2 (710-1) is coupled to the fixing ring part 700 formed on the floor 300, and this structure is formed identically to the four corners of the chair.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흔들리는 그네 기능의 의자(160)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의자를 고정시켜 고정 의자가 되어 편안히 쉬게 하는 의자로 만들 수 있는 작용이 나타나게 된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hair 160 with a swing function that swings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 chair is fixed to become a stationary chair so that the chair can be comfortably rested.

도 9 내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90)는 자석부(195)가 구비되어 있어 쉽게 해체되지 않으며 자석손잡이부1(193)과 자석손잡이부2(194)를 잡고 자석부(195)을 해체하면 힌지(196)가 벌어져 상기 의자(160)를 상기 걸이봉(170)으로 부터 해체가 가능하다.9 to 9A, the rotating part 190 is provided with a magnet part 195 so that it is not easily disassembled, and the magnet part 195 is held by holding the magnet part 1 193 and the magnet part 2 194. ), the hinge 196 is opened so that the chair 160 can be disassembled from the hanging rod 170.

상기 회전부(190)는 자석부(195)로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지만 자석만으로는 약할 수 있기 때문에 1차적으로는 자석으로 결합이 가능하며 추가로 홀더(197)를 둠으로서 쉽게 결합해제가 되지 않도록 한다.The rotating part 190 can be coupled and released with the magnet part 195, but since it can be weak with a magnet alone, it can be primarily combined with a magnet, and by providing an additional holder 197, it is not easily disengaged. .

또한 자석부(195)를 자석으로 하지 않고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작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abricate the magnet part 195 to be coupled without using a magne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97)는 고정나사(198)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나사(198)로 고정하는 이유는 'ㄴ'형태의 홀더(197) 두개를 결합하여 만든 형태이기 때문에 고정나사(198)로 고정할 필요가 있으며 사용시간이 많이 흐른 후에 홀더의 벌어짐 현상을 막기위함이다. 상기 자석부(195)가 자석이 아니더라도 상기 자석손잡이부1(193)과 자석손잡이부2(194)를 잡아주는 홀더(197)가 있어 쉽게 해체되지 않는다. 상기 홀더(197)를 사용시 자석부(195)의 기능을 대신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holder 197 is fixed with a fixing screw 198. The reason for fixing with the fixing screw 198 is that it is made by combining two holders 197 of a'b' shape, so it is necessary to fix it with a fixing screw 198. It is to prevent. Even if the magnet part 195 is not a magnet, there are holders 197 that hold the magnet grip part 1 193 and the magnet grip part 2 194 so that it is not easily disassembled. When the holder 197 is used, the function of the magnet part 195 may be replaced.

도 6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160)의 하판인 착석부(165)의 하측면에는 그네 바로 아래쪽 마루의 중앙부에 고정부를 두고, 고정부를 중심으로 그네의 귀퉁이에 체인이나 봉재 등으로 고정시키면, 그네가 고정되면서 흔들리지 않게 되어 안정된 의자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6 to 6B, a fixing part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floor just below the swing on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part 165, which is the lower board of the chair 160, and a chain or a chain at the corner of the swing around the fixing part If it is fixed with a bar, etc., the swing is fixed and does not shake, so it can be used as a stable chair.

즉, 상기 의자(160)의 하판인 착석부(165)의 하측면에는 양측면으로 의자다리부1(166)과 의자다리부2(166a)를 구비하며 의자다리부1(166)은 마주보는 형태의 다리 한쌍을 구비하며 의자다리부2(166a)도 또한 마주보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있다.That is, on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165, which is the lower plate of the chair 160, a chair leg portion 1 (166) and a chair leg portion 2 (166a) are provided on both sides, and the chair leg portion 1 (166) faces each other. It has a pair of legs and the chair leg part 2 (166a) is also provided as a pair of facing each other.

상기 의자다리부1(166)과 의자다리부2(166a)는 식탁에서 사용시 펴서 상기 의자(160)로 사용이 가능하다.The chair leg portion 1 (166) and the chair leg portion 2 (166a) can be opened and used as the chair 160 when used at a dining table.

도 6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160)는 걸이봉(170)의 양 끝으로 부터 4 ~ 12cm 이격한 거리에 있는 회전부(190)의 중앙 하측에 지지부재1(191)과 지지부재2(191a)의 양 끝 타단과 상기 의자(160)의 앉는 좌석이 되는 착석부(165)의 양측면 끝에 구비된 고리결합부1(192)과 고리결합부2(192a)가 결합을 하여 의자를 공중에 띄우게 된다.As shown in FIGS. 6 to 6B, the chair 160 is supported with a support member 1 191 at the lower center of the rotating part 190 at a distance of 4 to 12 cm from both ends of the hanging rod 170. The other ends of the member 2 (191a) and the two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165, which is the seat of the chair 16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two side rings. Floats in the air.

상기 지지부재2(191a)의 내부에는 스프링(191b)이 구비되어 상기 의자(160)에 앉아 있을 때 딱딱함이 아닌 안락한 의자처럼 느껴지도록 완충작용이 가능하다.The support member 2 (191a) is provided with a spring (191b) in the interior of the chair 160, when sitting on the chair 160, it is possible to feel like a comfortable chair rather than a hard cushioning action.

상기 스프링(191b)은 의자(160)의 무게를 버텨야 하기 때문에 장력이 약한 스프링으로 제작하면 아니되며 철 및 합성철제 등의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다.Since the spring 191b needs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chair 160, it should not be made of a spring having a weak tension, bu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iron or synthetic ir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191)과 지지부재2(191a)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15도 ~ 35도 거리를 두고 부재가 한쌍이 더 존재하여 의자가 갑자기 뒤로 넘어가는 현상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5, the support member 1 (191) and the support member 2 (191a)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15 degrees to 35 degrees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a pair of additional members exist to prevent the chair from suddenly falling backward. do.

상기 지지부재1(191)과 지지부재2(191a)가 각각 한 쌍씩 마주보는 구조로 구비하여 높은 하중에도 버틸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 (191) and the support member 2 (191a) are provided in a structure facing each other, so that it can withstand high loads.

상기 원두막(100)은 각 변의 기둥(120)과 연결되는 난간 손잡이(200)와 상기 난간손잡이(200)의 하측으로 구비되는 여러개의 난간틀(201)로 구성된다.The bean curd 100 includes a handrail handle 200 connected to the pillars 120 of each side and a plurality of handrail frames 201 provided below the handrail handle 200.

상기 의자(160)에는 손걸이부1(161), 손걸이부2(162), 손걸이부3(163), 등받이부(164)와 착석부(165)로 구성된다. 상기 착석부(165)에 앉으면서 등받이부(164)와 손걸이부1(161), 손걸이부2(162), 손걸이부3(163)에 손을 얹으면 착석자는 착석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The chair 160 includes a handrest part 1 (161), a handrest part 2 (162), a handrest part 3 (163), a backrest part 164 and a seating part 165. While sitting on the seating part 165, if you put your hands on the backrest part 164, handrest part 1(161), handrest part 2(162), and handrest part 3(163), You can take it.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두막(100)은 지상으로부터 0.7 ~ 2m 이격되어 있어 높이가 있어 올라가기 쉽게 하기 위한 계단(110)이 구비되며 계단 올라갈 시 밖으로 추락 않도록 하기 위한 난간(111)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bean curd 100 is provided with a stairway 110 that is 0.7 to 2m apart from the ground so that it is high and easy to climb, and a handrail 111 for preventing falling outside when going up the stairs. ).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131), 연접봉1(132), 회전부1(133), 연결부1(134), 전달부1(135), 이송부1(136)로 구성된 것을 이송장치1(130)라고 한다.As shown in FIG. 4B, a transfer device 1 consisting of a handle part 1 131, a connecting rod 1 132, a rotation part 1 133, a connection part 1 134, a transfer part 1 135, and a transfer part 1 136 It is called (130).

상기 손잡이부1(131)를 시계방향으로 돌릴 때 이송부1(136)가 상승을 하며 반시계방향으로 돌릴 시 이송부1(136)가 하강하는 작용을 한다.When the handle part 1 131 is turned clockwise, the transfer part 1 136 rises, and when the handle part 1 131 is turned counterclockwise, the transfer part 1 136 descends.

상기 손잡이부1(131)은 손으로 잡고 돌리는 힘을 주는 부분이다. 도 3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131)에서 시계방향으로 힘을 작용시 연접봉1(132)로 힘이 가해진다.The handle part 1 (131) is a part that gives force to be held and turned by hand. As shown in FIGS. 3 to 3B,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handle 1 131 in a clockwise direction, a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rod 1 132.

상기 연접봉1(132)은 손잡이부(131)로부터 발생한 힘을 전달하는 부분이다.The connecting rod 1 (132) is a part that transmits the force generated from the handle portion (131).

상기 회전부1(133)은 연접봉1(132)을 통해 힘을 받아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1(133)은 회전을 통해 상기 전달부1(135)로 힘을 전달해준다.The rotating part 1 (133) is rotated by receiving a force through the connecting rod 1 (132). The rotation unit 1 (133) transmits force to the transmission unit 1 (135) through rotation.

상기 연결부1(134)은 회전부1(133)과 함게 회전을 하며 상기 전달부1(135)에 힘을 전달을 한다.The connection part 1 134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part 1 133 and transmits a force to the transmission part 1 135.

상기 전달부1(135)은 회전을 하며 상기 손잡이부1(131)로 부터 받은 힘을 이송부1(136)로 전달하여 상승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시킨다.The transfer unit 1 (135) rotates and transmits the force received from the handle unit 1 (131) to the transfer unit 1 (136) to satisfy the condition for ascending.

상기 전달부1(135)에는 이송부1(13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장치1(137)과 전달장치2(137a)가 수직으로 맞물리면서 회전을 한다.In order to raise the transfer unit 1 136, the transfer unit 1 135 rotates while the transfer unit 1 137 and the transfer unit 2 137a are vertically engaged as shown in FIG. 4C.

상기 전달장치2(137a)의 내부에 있는 나사선이 존재하며 상기 나사선과 이송스크류(138)와 맞물려 회전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다.There is a screw wire in the inside of the delivery device 2 (137a), and the screw wire and the transfer screw 138 rotate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so that it can rise and fall.

상기 회전부1(133)가 상기 전달장치1(137)의 상측 끝부분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138)가 상승 시 이송부1(136)이 상승작용을 하게 된다.When the rotation unit 1 133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device 1 137 and rotates, when the transfer screw 138 rises, the transfer unit 1 136 acts ascending.

도 4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141), 연접봉2(142), 회전부2(143), 연결부2(144), 전달부2(145), 이송부2(146)는 동일한 작용을 한다. 각 부분들을 합쳐 이송장치2(140)라고 하며 상기 이송장치1(130)과 이송장치2(140)를 포함하여 총 4개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to 4A, the handle part 2 141, the connecting rod 2 142, the rotating part 2 143, the connecting part 2 144, the transfer part 2 145, and the transfer part 2 146 are the same. It works. The part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transfer device 2 (140), and a total of four are provided including the transfer device 1 (130) and the transfer device 2 (140).

도 5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1(150)은 상기 이송부1(136)과 이송부2(146)를 포함하여 총 4개의 이송장치를 통해 상승작용을 하여 상기 식탁1(150)이 완성된다.As shown in FIGS. 5 to 5B, the dining table 1 150 synergizes through a total of four conveying devices including the conveying part 1 136 and the conveying part 2 146, thereby completing the dining table 1 150. do.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탁1(150)을 하강시키면 상기 마루판상(300)과 혼연일체가 된다. 상기 식탁1(150)은 상승 시 각 모서리에 식탁다리(153)가 구비되어 외관상 일반 식탁과 유사한 형태를 보여준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dining table 1 150 is lowered, the floorboard 300 and the floorboard 300 are mixed together. The dining table 1 150 is provided with table legs 153 at each corner when rising, so that the dining table 1 150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dining table.

도 5 내지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정면에서 봤을 때 양 측면에 구비된 교차부재1(151)과 교차부재2(152)는 상기 식탁다리(153)와 결합 가능하며 볼트1(10)과 너트1(11)로 고정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5 to 5B, the cross member 1 151 and cross member 2 15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ross member 1 151 and the cross member 2 152 provided on both sides can be combined with the table leg 153, and the bolt 1 10 and the nut It can be fixed with 1(11).

상기 볼트1(10)과 너트1(11)은 교차부재1(151)과 교차부재2(152)의 양 끝단에 설치되며 교차부재1(151)과 교차부재2(152)가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bolt 1 (10) and the nut 1 (11)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ross member 1 (151) and the cross member 2 (152), so that the cross member 1 (151) and the cross member 2 (152) do not go out of position. Plays a role.

상기 교차부재1(151)과 교차부재2(152)는 식탁이 상기 이송부1(136)과 이송부2(146)를 포함한 4개가 상승할 때 교차부재1(151)과 교차부재2(152)의 위치 고정으로 인해 이송부1(136)과 이송부2(146)를 포함한 4개의 이송부에 가해지는 힘을 줄여주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The crossing member 1 (151) and the crossing member 2 (152) of the crossing member 1 (151) and the crossing member 2 (152) when the table rises 4 including the transfer part 1 (136) and the transfer part 2 (146). I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force applied to the four transfer units including the transfer unit 1 (136) and the transfer unit 2 (146) due to the fixed position.

도 5c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2(460)는 넓은 판상의 식탁판상(450)과 측면에 구비된 이송 손잡이부(400)를 구비하며 정면과 마주보는 면의 양측 끝에서 5 ~ 8cm 이격된 거리에 구비된 이송막대 상 이송부1(440), 이송막대 상 이송부2(440-1), 이송막대 상 이송부3(440-2), 이송막대 상 이송부3(440-3)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5C to 5E, the dining table 2 460 includes a wide plate-shaped dining table 450 and a transfer handle 400 provided on the side, and is 5 to 8 cm from both ends of the surface facing the front. Including the transfer unit 1 (440) on the transfer bar, the transfer unit 2 (440-1) on the transfer bar, the transfer unit 3 (440-2) on the transfer bar, and the transfer unit 3 (440-3) on the transfer bar provided at a spaced distance. Make up.

상기 이송막대 상 이송부1(440), 이송막대 상 이송부2(440-1), 이송막대 상 이송부3(440-2), 이송막대 상 이송부3(440-3)은 안쪽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천공된 부분에는 이송막대1(410), 이송막대2(410-1)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이송막대1(410), 이송막대2(410-1)는 중앙부분에 이송부(401)을 구비하여 상기 이송 손잡이부(400)를 회전시켜 상기 이송막대1(410)은 위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 움직이며 상기 이송막대2(410-2)는 우측으로 움직인다.The transfer unit 1 (440) on the transfer bar, the transfer unit 2 (440-1) on the transfer bar, the transfer unit 3 (440-2) on the transfer bar, and the transfer unit 3 (440-3) on the transfer bar are perforated inward. In the part, a transfer bar 1 (410) and a transfer bar 2 (410-1)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transfer bar 1 (410) and the transfer bar 2 (410-1) are provided with a transfer unit 401 in a central portion to rotate the transfer handle unit 400 so that the transfer bar 1 (410) is to the left when viewed from above. And the transfer bar 2 (410-2) moves to the right.

상기 이송막대1(410)의 양끝단에는 교차부재3(420)이 결합하고 상기 이송막대2(421)가 결합하여 움직인다.Crossing members 3 (420)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ransfer rod 1 (410), and the transfer rod 2 (421) is coupled to move.

상기 교차부재3(420)과 교차부재4(421)는 서로 10도 ~ 100도로 교차하며 상기 교차부재3(320)과 교차부재4(421)를 한쌍으로 하여 8쌍이 존재하며 2쌍이 만나는 끝단에는 볼트2(430), 너트2(431)로 고정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The cross member 3 (420) and the cross member 4 (421) cross each other by 10 degrees to 100 degrees, and there are 8 pairs of the cross member 3 (320) and the cross member 4 (421) as a pair, and at the end where the two pairs meet It is fixed with 2 bolts 430 and 2 nuts 431 so that it can be moved.

상기 이송막대 상 이송부1(440), 이송막대 상 이송부2(440-1), 이송막대 상 이송부3(440-2), 이송막대 상 이송부3(440-3)은 마주보는 구조로 하측에 이송막대 하 이송부1(440-4), 이송막대 하 이송부2(440-5), 이송막대 하 이송부3(440-6), 이송막대 하 이송부3(440-7)을 구비하며 이송막대3(410-2), 이송막대4(410-3)이 마주보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The transfer unit 1 (440) on the transfer bar, the transfer unit 2 (440-1) on the transfer bar, the transfer unit 3 (440-2) on the transfer bar, and the transfer unit 3 (440-3) on the transfer bar face each other and are transferred to the lower side. Conveying unit 1 under the bar (440-4), 2 transfer unit under the transfer bar (440-5), 3 transfer unit under the transfer bar (440-6), and 3 transfer unit under the transfer bar (440-7). -2), the transfer rod 4 (410-3) is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루판상(300)의 측면에는 중앙부 상측에 울타리지지고정부2(350-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마루판상(300)의 측면의 양측 끝으로부터 30 ~ 50cm이격된 거리에 구비된 지지다리고정부3(340-2)과 지지다리고정부4(340-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다리고정부3(340-2)과 지지다리고정부4(340-3)를 마주보는 구조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다리고정부1(340)과 지지다리고정부2(340-1)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8A, the side of the floorboard 300 is provided with a fence support 2 350-1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and a distance of 30 to 50cm from both ends of the side of the floorboard 300 It is equipped with the support leg part 3 (340-2) and the support leg part 4 (340-3) provided in the. As shown in FIG. 8B, the supporting leg portion 3 (340-2) and the supporting leg portion 4 (340-3) face each other, and the supporting leg portion 1 340 and the supporting leg portion 2 340 -1) is provided.

도8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고정부1(340), 지지다리고정부2(340-1), 지지다리고정부3(340-2), 지지다리고정부4(340-3)는 마루판상지지부1(500), 마루판상지지부2(500-1), 마루판상지지부3(500-2), 마루판상지지부4(500-3)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부분이다.As shown in Figs. 8 to 8C, the support leg part 1 340, the support leg part 2 340-1, the support leg part 3 340-2, the support leg part 4 340- 3) is a part that combines and fixes the floorboard support part 1 (500), the floorboard support part 2 (500-1), the floorboard support part 3 (500-2), and the floorboard support part 4 (500-3).

상기 마루판상지지부1(500), 마루판상지지부2(500-1),마루판상지지부3(500-2), 마루판상지지부4(500-3)는 도 8내지 도 8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면에 다리승강부1(520), 다리승강부2(520-1), 다리승강부3(520-2), 다리승강부4(520-3)의 하측 끝단과 결합한 형태로 상기 원두막(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loorboard support 1 500, the floorboard support 2 500-1, the floorboard support 3 500-2, and the floorboard support 4 500-3 are front as shown in FIGS. 8 to 8A.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eg lifting part 1 (520), the leg lifting part 2 (520-1), the leg lifting part 3 (520-2), and the leg lifting part 4 (520-3), the bean head membrane 100 Serves to support

도 7 내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루판상(300)의 양측면 상측에 30 ~ 60cm 이격된 거리에 구비된 고정고리부(70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7 to 7A, fixing ring portions 700 provided at a distance of 30 to 60 cm are provided on upp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floorboard 300.

상기 고정고리부(700)는 고리연결부1(710)과 고리연결부2(710-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고리부(700)는 상기 고리연결부1(710)과 고리연결부2(710-1)를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xing ring portion 700 is a ring connecting portion 1 (710) and a ring connecting portion 2 (710-1) is coupled. The fixing ring part 700 is configured to enable coupling and disassembly of the ring connection part 1 710 and the ring connection part 2 710-1.

상기 고리연결부1(710)과 고리연결부2(710-1)의 끝타단에는 고리부1(720)과 고리부2(720-2)가 결합되어 있다.At the other ends of the ring connecting portion 1 (710) and the ring connecting portion 2 (710-1), a ring portion 1 (720) and a ring portion 2 (720-2) are coupled.

상기 고리부1(720)과 고리부2(720-2)는 상기 의자(160)의 양측면에 구비된 고리결합부1(190), 고리결합부2(192a)에 각각 결합되며 마주보는 구조로 한쌍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의자(16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ring portion 1 (720) and the ring portion 2 (720-2) are coupled to each of the ring coupling portion 1 190 and the ring coupling portion 2 (192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160 and facing each other. It is provided with a pair and serves to fix the chairs 160.

또한 도 6e 내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160)의 하측면에 구비된 의자자다리부1(166)과 의자다리부2(166a)의 하측에는 말발굽 모양으로 생긴 의자다리고정홈부1(169), 의자다리고정홈부2(169-1), 의자다리고정홈부3(169-2), 의자다리고정홈부4(169-3)를 통해 상기 고리부1(720)과 고리부2(720-2)로 고정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는 원두막 의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E to 6F, a chair leg portion 1 166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hair 160 and a chair leg fixing groove 1 formed in a horseshoe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chair leg portion 2 166a (169), through the chair leg fixing groove 2 (169-1), chair leg fixing groove 3 (169-2), chair leg fixing groove 4 (169-3) through the hook portion 1 (720) and the hook portion 2 ( 720-2) provides a chair that can amplify the fixed effec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두막(100)의 마루판상(300)의 측면에 구비된 지지울타리부(600)와 틈새울타리부(610)를 구비하며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손잡이(200)과 난간틀(201)은 원두막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As shown in FIG. 2, a support fence part 600 and a gap fence part 610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loorboard 300 of the bean membrane 100 are provided, and in particular, a handrail handle ( 200) and the railing frame 201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a fall from the bean curd.

상기 지지울타리부(600)과 틈새울타리부(610)는 지지울타리고정홈부1(350)과 지지울타리고정홈부2(350-1), 지지울타리고정홈부3(350-2)에 고정이 되며 상기 의자(160)를 흔들의자로 사용시 밖으로 벌릴 수 있어 흔들의자 또는 그네로 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support fence part 600 and the gap fence part 610 are fixed to the support fence fixing groove part 1 (350), the support fence fixing groove part 2 (350-1), and the support fence fixing groove part 3 (350-2). When the chair 160 is used as a rocking chair, it can be spread out, providing an effect of riding with a rocking chair or a swing.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는 테이블 겸 마루와 그네 기능을 갖춘 의자가 있는 원두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ble-cum-floor for accommodating a height-adjustable table made up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and a chair with a swing function.

10: 볼트1 11: 너트2
100: 원두막 101: 지붕지지대1
102: 지붕지지대2 103: 지붕
110: 계단 111: 난간
120: 기둥 121: 기둥고정부1
122: 기둥고정부2 130: 이송장치1
131: 손잡이부1 132: 연접봉1
133: 회전부1 134: 연결부1
135: 전달부1 136: 이송부1
137: 전달장치1 137a:전달장치2
138: 이송 스크류 140: 이송장치2
141: 손잡이부1 142: 손잡이부2
143: 회전부2 144: 연결부2
145: 전달부2 146: 이송부2
150: 식탁1 151: 교차부재1
152: 교차부재2 153: 식탁다리
160: 의자 161: 손걸이부1
162: 손걸이부2 163: 손걸이부3
164: 등받이부 165: 착석부
166: 의자다리부1 166a: 의자다리부2
169: 의자다리고정홈부1 169-1: 의자다리고정홈부2
169-2: 의자다리고정홈부3 169-3: 의자다리고정홈부4
170: 걸이봉 180: 의자걸이
180a: 결합부 190: 회전부
191: 지지부재1 191a: 지지부재2
191b: 용수철 192: 고리결합부1
192a: 고리결합부2 193: 자석손잡이부1
194: 자석손잡이부2 195: 자석부
196: 힌지 197: 홀더
198: 고정나사 200: 난간 손잡이
201: 난간틀 300: 마루판상
340: 지지다리고정부1 340-1: 지지다리고정부2
340-2: 지지다리고정부3 340-3: 지지다리고정부4
350: 지지울타리고정부1 350-1: 지지울타리고정부2
350-2: 지지울타리 고정부3 400: 이송 손잡이부
401: 이송부 410: 이송막대1
410-1: 이송막대2 410-2: 이송막대3
410-3: 이송막대4 420: 교차부재3
421: 교차부재4 430: 볼트2
431: 너트2 440: 이송막대 상 이송부1
440-1: 이송막대 상 이송부2 440-2: 이송막대 상 이송부3
440-3: 이송막대 상 이송부3 440-4: 이송막대 하 이송부1
440-5: 이송막대 하 이송부2 440-6: 이송막대 하 이송부3
440-7: 이송막대 하 이송부4 450: 식탁 판상
460: 식탁2 500: 마루판상지지부1
500-1: 마루판상지지부2 500-2: 마루판상지지부3
500-3: 마루판상지지부4 510: 판상지지다리1
510-1: 판상지지다리2 510-2: 판상지지다리3
510-3: 판상지지다리4 520: 다리승강부1
520-1: 다리승강부2 520-2: 다리승강부3
520-3: 다리승강부4 600: 지지울타리부
610: 틈새울타리부 700: 고정고리부
710: 고리연결부1 710-1: 고리연결부2
720: 결합부1 720-1: 결합부2
720-2: 결합부3 720-3: 결합부4
10: bolt 1 11: nut 2
100: bean curtain 101: roof support 1
102: roof support 2 103: roof
110: stairs 111: railing
120: pillar 121: pillar fixing 1
122: column fixing part 2 130: transfer device 1
131: handle 1 132: connecting rod 1
133: rotating part 1 134: connecting part 1
135: transfer unit 1 136: transfer unit 1
137: transmission device 1 137a: transmission device 2
138: feed screw 140: feed device 2
141: handle portion 1 142: handle portion 2
143: rotating part 2 144: connecting part 2
145: transfer unit 2 146: transfer unit 2
150: dining table 1 151: cross member 1
152: cross member 2 153: table leg
160: chair 161: handrest 1
162: hand holder 2 163: hand holder 3
164: backrest portion 165: seating portion
166: chair leg 1 166a: chair leg 2
169: chair leg fixing groove 1 169-1: chair leg fixing groove 2
169-2: Chair leg fixing groove 3 169-3: Chair leg fixing groove 4
170: hanging rod 180: chair hanger
180a: coupling portion 190: rotating portion
191: support member 1 191a: support member 2
191b: spring 192: ring coupling portion 1
192a: ring coupling portion 2 193: magnetic handle portion 1
194: magnetic handle portion 2 195: magnet portion
196: hinge 197: holder
198: fixing screw 200: handrail handrail
201: handrail 300: floorboard
340: Jiji Bridge Government 1 340-1: Jiji Bridge Government 2
340-2: Jiji Bridge Government 3 340-3: Jiji Bridge Government 4
350: Support Fence High School 1 350-1: Support Fence High Government 2
350-2: support fence fixing part 3 400: transfer handle part
401: transfer unit 410: transfer bar 1
410-1: Transfer bar 2 410-2: Transfer bar 3
410-3: transfer rod 4 420: cross member 3
421: cross member 4 430: bolt 2
431: nut 2 440: transfer part 1 on the transfer bar
440-1: Transfer unit 2 on the transfer bar 440-2: Transfer unit 3 on the transfer bar
440-3: Transfer section 3 above the transfer bar 440-4: Transfer section 1 below the transfer bar
440-5: Transfer part 2 under the transfer bar 440-6: Transfer part 3 under the transfer bar
440-7: transfer part 4 below the transfer bar 450: on the table plate
460: dining table 2 500: floorboard support 1
500-1: floorboard support 2 500-2: floorboard support 3
500-3: floorboard support 4 510: plate support leg 1
510-1: plate support leg 2 510-2: plate support leg 3
510-3: plate-shaped support leg 4 520: leg elevation 1
520-1: Leg elevation 2 520-2: Leg elevation 3
520-3: leg elevation 4 600: support fence
610: crevice fence part 700: fixing hook part
710: ring connection 1 710-1: ring connection 2
720: coupling portion 1 720-1: coupling portion 2
720-2: coupling part 3 720-3: coupling part 4

Claims (3)

사람 간에 만남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원두막에 있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마루판상(300);
앉아서 쉴 수 있는 의자(16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는 마루와 그네의 기능이 있는 의자가 포함되어 있는 원두막.
In the bean curd where people can meet and relax;
A floorboard (300) for taking a rest;
A chair 160 that can sit and rest;
A floor that accommodates a height-adjustable table at the same time, and a chair with a swing function is inclu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상(300)은 사람들이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특히 중앙부는 상승하여 식탁1(15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는 마루와 그네의 기능이 있는 의자가 포함되어 있는 원두막.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orboard 300 provides a space where people can sit and relax, and in particular, the central part rises to become a dining table 1 150. A chair having a function of a floor and a swing simultaneously accommodating a height adjustable table. The bean curd contains.
제 1항에 있어서,
앉아서 쉴 수 있는 의자(160)는 의자걸이(180)와 걸이봉(170)을 구비하여 결합부(180a)에 걸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80a)에 걸이봉(170)이 걸려있을 때 그네 기능이 되고, 의자(160)를 바닥(300)에 연결하는 구성을 구비하여 그네 기능의 의자(160)가 고정된 의자가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는 마루와 그네의 기능이 있는 의자가 포함되어 있는 원두막.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ir 160 that can sit and rest can be hung on the coupling part 180a by having a chair hanger 180 and a hanging rod 170, and a swing function when the hanging rod 170 is hung on the coupling part 180a. It ha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chair 160 to the floor 300 so that the chair 160 of the swing func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becoming a fixed chair. A green room with a floor and a chair with a swing function.
KR1020190022850A 2019-02-27 2019-02-27 A hut having the floor of the function of table and the chiar of the function of swing KR1023539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850A KR102353987B1 (en) 2019-02-27 2019-02-27 A hut having the floor of the function of table and the chiar of the function of s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850A KR102353987B1 (en) 2019-02-27 2019-02-27 A hut having the floor of the function of table and the chiar of the function of sw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499A true KR20200104499A (en) 2020-09-04
KR102353987B1 KR102353987B1 (en) 2022-01-21

Family

ID=7247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850A KR102353987B1 (en) 2019-02-27 2019-02-27 A hut having the floor of the function of table and the chiar of the function of sw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9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494A (en) 2021-09-24 2023-03-31 신정수 Canopy Structure For Ben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1394A1 (en) * 1999-11-15 2005-05-12 Jenway Industries Pty. Limited Swing for handicapped persons
KR101067684B1 (en) * 2010-08-18 2011-09-26 (주)다정목재방부 Pavilion having lift-down table
KR20120121114A (en) * 2011-04-26 2012-11-05 김낙성 A sw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1394A1 (en) * 1999-11-15 2005-05-12 Jenway Industries Pty. Limited Swing for handicapped persons
KR101067684B1 (en) * 2010-08-18 2011-09-26 (주)다정목재방부 Pavilion having lift-down table
KR20120121114A (en) * 2011-04-26 2012-11-05 김낙성 A sw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494A (en) 2021-09-24 2023-03-31 신정수 Canopy Structure For Ben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987B1 (en)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ris Illustrated dictionary of historic architecture
Young Gordion 1956: preliminary report
KR20200104499A (en) A hut having the floor of the function of table and the chiar of the function of swing
Jekyll et al. Gardens for small country houses
Harris American Architecture: An Illustrated Encyclopedia
Latipovich PLANNING DECISION OF LANDSCAPE OBJECTS AND LAF ON EXPLOITED ROOFS
PT1904684E (en) Decking
US7748786B1 (en) Footrest
GB2461335A (en) Multipurpose trampoline
Newcomb The Spanish House for America: Its Design, Furnishing, and Garden
Beals et al. Houses and house use of the sierra Tarascans
Lancaster Antebellum architecture of Kentucky
KR101312983B1 (en) Bench structure of the look-out for a melon field which uses the natural wood
US5540021A (en) Fun floors
KR101520465B1 (en) Romovable wondumak
AU2003200537A1 (en) Suspended chair assembly
Stickley More Craftsman homes: floor plans and illustrations for 78 mission style dwellings
CN219412012U (en) Old pavilion of gardens adaptation
Just Houses and house-building in Donggo
Robinson Domestic architecture
Yusof et al. ACEH ENCLAVED GARDEN DESIGN
Ireland et al. The Ottoman House
Baker American Country Homes and Their Gardens
Joshi Earthen architecture in Indian tribes
CN100348828C (en) Garret 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