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991A - Clothing care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ing car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991A
KR20200103991A KR1020190022283A KR20190022283A KR20200103991A KR 20200103991 A KR20200103991 A KR 20200103991A KR 1020190022283 A KR1020190022283 A KR 1020190022283A KR 20190022283 A KR20190022283 A KR 20190022283A KR 20200103991 A KR20200103991 A KR 20200103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aft
shaft portion
cloth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4428B1 (en
Inventor
권용국
Original Assignee
(주)레드팟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드팟 filed Critical (주)레드팟
Priority to KR102019002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428B1/en
Publication of KR2020010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9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aiding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comprises: a main body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shaft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be arrang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structed to hold hangers thereon; a power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transfer torque to the shaft unit; and a vibration transfer unit installed on the shaft unit, and rotated along with the shaft unit when the shaft unit rotates to move the hangers held on the shaft unit back and for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unit to transfer vibration to the hang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is manufactured at low costs in comparison to a conventional commercialized clothing management device to facilitate access by consumers, and can store and manage a large quantity of clothing therein to improve usability and efficiency.

Description

의류 관리 장치{CLOTHING CARE APPARATUS}Clothing management device {CLOTHING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에 진동, 스팀, 바람 등을 가하여 의류의 습기, 세균, 냄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manage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ing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moisture, bacteria, odors, etc. from clothing by applying vibration, steam, wind, etc. to the clothing.

일반적으로 의류들은 단순히 소정 장소에 보관된다. 예를 들어, 단순히 먼지가 의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된 의류보관용 가구(장농, 옷장)에 의류를 보관하거나 외부에 노출된 형식으로 옷걸이를 이용하여 행거에 의류를 걸어서 보관한다.In general, clothes are simply stored in a predetermined place. For example, in order to simply prevent dust from adhering to clothing, clothing is stored in sealed clothing storage furniture (shopping, wardrobe) or by hanging clothing on a hanger using a hanger in a form exposed to the outside.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의류보관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However, the general clothing storage method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의류가 손상될 수 있다. 기존의 의류보관용 가구에 의류를 보관할 경우에는 보통 외부 환경에 의해 의류에 습기가 존재하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의류를 보관하게 되면 의류에 곰팡이가 생기게 되어 의류가 손상되게 된다.First, clothing can be damaged. When clothing is stored in the existing clothing storage furniture, moisture usually exists in the clothing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f the clothing is stored in an airtight space for a long time in this state, mold will form on the clothing, causing damage to the clothing.

둘째,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존의 의류보관용 가구는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밀폐된 공간으로서 이러한 밀폐된 공간에 의류를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 진드기 또는 세균들이 기생, 증식하게 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Second, it can have a bad effect on the human body. Existing clothing storage furniture is an enclosed space with poor ventilation, and if clothing is stored in such an enclosed space for a long time, mites or bacteria may parasitize and multiply, thereby adversely affecting the human body.

셋째, 의류에 밴 냄새 탈취가 불가능하다. 실생활에서 의류에는 다양한 냄새가 스며드는데, 기존의 의류보관용 가구에 냄새가 밴 상태로 의류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냄새가 탈취되지 않아 다시 의류를 재착용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Third, it is impossible to deodorize the smell of clothing. Various odors permeate clothing in real life. However, if the clothing is stored in a state where the existing clothing storage furniture is scented, the odor is not deodorized and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when re-wearing the clothing.

넷째, 외부 환경에 취약하다. 기존의 의류보관용 가구들은 그 구조상 외부의 습기 또는 냄새들이 쉽게 내부로 유입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습기 등이 의류에 쉽게 스며들어 의류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의류의 수명이 단축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Fourth, it is vulnerabl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Existing clothing storage furniture has no choice but to allow moisture or odors from outside to easily enter the interior due to its structure, so moisture etc. easily penetrate into the clothing and damage the clothing, which is a cause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clothing.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내부에 의류를 걸어 보관 가능하고, 의류에 스팀 및 바람을 분사하여 의류의 구김 제거 및 탈취 등을 수행하는 의류 관리기가 개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conventionally, a clothing manager has been developed that allows clothing to be hung and stored inside and to remove wrinkles and deodorize clothing by spraying steam and wind onto the clothing.

종래의 의류 관리기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에 수납된 옷에 바람을 분사하는 송풍장치 및 옷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conventional clothes manager includes a case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 blower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spraying wind onto clothes stored in the case, and a steam device spraying steam onto clothes.

그러나, 종래의 의류 관리기는 고가의 비용으로 소비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우며, 내부 공간이 매우 협소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소량의 옷들만 보관 가능하고, 높이가 높은 구조로 제작되어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clothing managers are difficult to access easily by consumers at high cost, and as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in a very narrow structure, only a small amount of clothes can be stored, and it is manufactured in a high-height structure so that the internal space can be fully utilized. There was no problem.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6806호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368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의 비용으로 제작되어 소비자의 접근성이 용이하고, 대량의 옷들을 보관 및 관리 가능함은 물론,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의류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at a low cost, so that the accessibility of the consumer is easy, it is possible to store and manage a large amount of clothes, as well as efficiently utilize the internal space. It is to provide a clothing management device that can.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옷걸이를 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축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부; 및 상기 축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의 회전 시 상기 축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축부에 거치된 상기 옷걸이를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켜 상기 옷걸이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진동전달부;를 포함한다.A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comprises: a main body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shaft portion installed in the main body in a rotatable stat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figured to mount a hanger; A power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unit; And a vibration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the shaft portion and configured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hanger by rotating the hanger together with the shaft portion when the shaft portion rotates to reciprocate and move the hanger mounted on the shaf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Include.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축부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진동전달부의 일 측 및 타 측에는 상기 축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진동전달부 사이에는 나선형상의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에 수용된 상기 옷걸이는, 상기 축부의 회전 시 상기 축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거치홈을 형성하는 상기 경사면에 가압되어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The vibration transmission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shaft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ibration transmission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portion, a plurality of A spiral mount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vibration transmission parts, and the hanger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rotates together with the shaft portion when the shaft portion rotates and is pressed against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mounting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It can be reciprocated along the way.

상기 축부의 일 측 또는 타 측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비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축부의 회전 시 상기 축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축부의 일 측 또는 타 측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축부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rrang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ne or the other end of the shaft, is formed in an asymmetrical structure, rotates together with the shaft when the shaft is rotated, and presses one or the other end of the shaft to lift the shaft. It may further include a; cam portion configured.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추가 수납공간을 형성 가능한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part installed on the main body, configured to be protruding and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and selectively forming an additional storage space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확장부는, 전면이 개구되고, 측면 및 후면이 상기 본체의 내벽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확장본체; 및 상기 확장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확장본체의 전면을 개폐 시키도록 구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pansion unit includes: an expansion body having a front opening and a side surface and a rear surface movable vertically along an inner wall of the body; And an opening/closing unit installed on the expansion body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expansion bod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축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부; 상기 축부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옷걸이를 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거치부; 및 상기 축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의 회전 시 상기 축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축부에 설치된 상기 거치부를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켜 상기 거치부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진동전달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shaft portion installed in the body in a rotatable state and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power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unit; A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shaft portion and configured to mount a plurality of hangers; And a vibration transmission part installed in the shaft part and configured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mounting part by rotating the mounting part installed in the shaft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art by rotating together with the shaft part when the shaft part rotates. Include.

상기 거치부는, 상기 축부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전달부에 가압되어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왕복 이동 시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운동 가능하고, 내측에 옷걸이를 거치 가능한 복수개의 거치공을 형성하는 회전진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a link member installed on the shaft portion and pressurized by the vibration transmission portion to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And a rotational vibration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when the link member reciprocates, and forming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in which a hanger can be mounted.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상용화된 의류 관리기에 비하여 저가의 비용으로 제작되어 소비자의 접근성이 용이하고, 내부에 대량의 옷들을 보관 및 관리 가능하여 사용성 및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manufactured at a lower cost than a conventionally commercialized clothing manager, it is easy for consumers to access it, and a large amount of clothes can be stored and managed inside, thereby improving usability and efficiency.

또한, 경사면을 구비한 진동전달부를 통해 복수개의 진동전달부 사이에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거치홈을 형성하고, 축부의 회전 시 거치홈에 수용된 옷걸이가 경사면을 통해 직접적으로 가압되어 축부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캠부를 통해 축부를 상하 이동시켜 옷걸이에 직접적으로 진동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축을 인위적으로 흔들거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종래의 의류 관리기에 비해 옷에 전달되는 진동을 보다 역동적으로 구현하여 옷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 가능하고, 장기간 사용 시에도 축부의 변형 또는 고장확률이 적으며, 장비에 무리 없이 안정적으로 옷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a mounting groove formed in a spiral structure is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vibration transmission units through a vibration transmission unit having an inclined surface, and when the shaft unit is rotated, the hanger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is directly pressed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to follow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unit. By reciprocating and moving the shaft up and down through the cam unit so that the vibration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hanger,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clothes is realized more dynamically than the conventional clothes manager configured to artificially shake or move the shaf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age clothes more effectively, and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bability of deformation or failure of the shaft is less, and vibration can be stably transmitted to the clothes without difficulty in equipment.

또한, 선택적으로 내부공간을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 성능을 극대화하고, 취급과 보관 및 사용성이 우수하며, 기본 설치 장소로부터 제3의 장소로 이동이나 운반이 손쉽게 가능하여 사용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expand the internal space to maximize the use performance, excellent handling, storage, and usability, and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usability by being able to easily move or transport from the basic installation place to a third plac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확장 전과 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가 확장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가 확장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축부 및 축부에 설치된 거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before and after expansion of a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2.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3.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5.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5.
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ft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shaft portion of a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Certain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terms. The above-described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Meanwhile, a "module" or "unit" for a component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the "module" or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r operation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excluding "module" or "unit" to be performed in specific hardware or performed by at least one processor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abbreviated or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의 확장 전과 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가 확장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가 확장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100 before and after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 FIG.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2. In addi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3,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and FIG. 6 is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5, and FIG.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5.

도 1의 (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이하 '의류 관리 장치(100)'라 함)는 본체(1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A to 3, a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본체(110)는 내부에 의류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110a)을 형성하고,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10a) capable of accommodating clothes therein.

더 자세하게는, 본체(110)는, 내부에 수용공간(110a)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111)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main body 11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110a therein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housing 111 and the housing 111 with an open front surfac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1 A possible cover 112 may be included.

하우징(111)은 전폭이 높이에 비하여 더 큰 크기로 형성되어 종래의 의류 관리기에 비해 더 많은 양의 의류를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하우징(111)의 양 측면 및 후면에는 후술할 확장부(160)의 외벽(1611)이 수용되는 수용홈(1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수용홈(1111)은 확장부(160)의 외벽(161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확장부(160)의 이동 시 확장부(160)의 외면을 지지하여 확장부(16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The housing 111 has an overall width that is larger than its height,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 larger amount of clothing than a conventional clothing manager, and expansion portions 160 to be described later on both sides and rear of the housing 111 A receiving groove 1111 in which the outer wall 1611 of)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For example, as the receiving groove 1111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wall 1611 of the expansion unit 160, the expansion unit 160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expansion unit 160 when the expansion unit 160 moves. Can guide the movement of.

또한, 하우징(111)의 저면에는 본 의류 관리 장치(100)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에 지지되어 구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이동수단(1112)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수단(1112)은 잠금 기능을 구비한 바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수단(1112)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ving means 1112 configured to perform a rolling motion by being supported on the floor so as to move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111. For example, the moving means 111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wheel having a locking function. However, the moving means 111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within conditions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또한, 하우징(11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판(1113)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하우징(111)의 내부공간은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iaphragms 1113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1,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rough this.

구체적으로, 하우징(111)의 내부공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0a)과, 수용공간(110a)의 상측에 위치하여 후술할 공기청정부(173), 제어부(175), 조작부(174) 및 디스플레이부(176) 등이 수용될 수 있는 제1 설치공간(110b) 및 수용공간(110a)의 하측에 위치하여 후술할 스팀부(171), 송풍부 및 히터부(172) 등이 수용될 수 있는 제2 설치공간(110c)으로 구획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1 is an accommodation space 110a in which clothes can be accommodated, as described above, and an air cleaning unit 173 and a control unit 175 to be described later by being located above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 the operation unit 174 and the display unit 176 are located below the first installation space 110b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steam unit 171, a blower unit, and a heater unit ( 172) and the like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installation space 110c.

또한, 하우징(111)의 측벽에는 상술한 확장부(16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1114)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opper 1114 capable of fixing the above-described expansion unit 160 may be provided on a sidewall of the housing 111.

스토퍼(1114)는 확장부(160)가 본체(110)의 외측으로 확장된 상태 혹은, 확장부(160)가 본체(110)의 외측으로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111)의 측벽 및 확장부(16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확장부(1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114)는 확장부(16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11)의 둘레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스토퍼(1114)는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거나, 하나의 스토퍼(1114)를 작동시킬 경우 모든 스토퍼(1114)가 동시에 작동 가능한 통합 제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토퍼(1114)는 나사산을 구비하여 하우징(111)의 측벽과 확장부(160)의 측벽에 회전을 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거나, 하우징(111)의 측벽과 확장부(16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걸림쇠와 걸림쇠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버튼식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1114)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stopper 1114 is a sidewall and extension of the housing 111 in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art 160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or in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art 160 is not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It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idewall of the part 160, so that the expansion part 160 may be fixed. Here, a plurality of stoppers 1114 may be installed around the housing 111 so that the expansion unit 160 can be more stably fix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toppers 1114 may be configured to be individually operated, or when one stopper 1114 is operated, all of the stoppers 1114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For example, the stopper 1114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lt that can be fastened through rotation to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111 and the side wall of the expansion unit 160 by having a thread, or the side wall and the expansion unit 160 of the housing 111 )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utton-type pin having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top and the stopper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sidewall of the. However, the stopper 1114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within conditions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커버(112)는 하우징(111)의 전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개구된 하우징(111)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커버(112)는 반드시 회전을 통하여 하우징(111)의 전면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하우징(111)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112)에는 수용공간(110a)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시창과,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파지수단에는 커버(112)가 하우징(111)의 전면을 폐쇄할 경우 커버(112)를 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잠금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over 112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1 in a rotatable state, and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1. However, the cover 112 is not necessarily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housing 111 through rotation, and if necessary, slid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r change to a detachable structure from the housing 111 to be applied. I can. For example, the cover 112 may be provided with a viewing window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and a gripping means capable of being gripped by a user. Here, the hold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locking means capable of fixing the cover 112 in its current state when the cover 112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1.

또한, 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축부(120) 및 동력부(1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shaft portion 120 and a power portion 13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축부(12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수용공간(110a)에 배치되고, 옷걸이(200)를 거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축부(120)의 양 단부에는 본체(110)의 하우징(111)에 설치되어 축부(120)의 양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축부(120)의 회전 시 축부(120)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3 and 4, the shaft portion 120 is installed in a rotatable state on the main body 110 and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unt the hanger 200.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shaft part 120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111 of the main body 110 to rotatably support both ends of the shaft part 120,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part 120 when the shaft part 120 rotates. A bearing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load may be provided.

동력부(130)는 본체(110)에 설치되어 축부(120)와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경우,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하여 축부(12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동력부(130)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특정 rpm으로 회전 가능한 기어드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동력부(13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power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and connected to the shaft unit 120, and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power unit 130 is configured to rotate at a preset speed and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unit 120. For example, the power unit 130 may be applied as a geared motor capable of rotating at a specific rpm according to a set condition. However, the power unit 13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within conditions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진동전달부(1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4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진동전달부(140)는 축부(120)에 설치되고, 축부(120)의 회전 시 축부(120)와 함께 회전되어 축부(120)에 거치된 옷걸이(200)를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켜, 옷걸이(200)에 걸린 의류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3 and 4, the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shaft part 120, and when the shaft part 120 rotates, the hanger 20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haft part 120 to be mounted on the shaft part 120. By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120,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vibration to the clothes hung on the hanger 200.

더 자세하게는, 진동전달부(14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축부(120)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 진동전달부(140)의 일 측 및 타 측에는 축부(120)의 중심축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진동전달부(140) 사이에는 서로 대향 배치된 복수개의 경사면(141)을 통하여, 옷걸이(200)를 거치 가능한 나선형상의 거치홈(14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홈(140a)에 수용된 옷걸이(200)는, 축부(120)의 회전시 축부(120)와 함께 회전되며 거치홈(140a)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경사면(141)에 가압되어,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4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spaced apart from the shaft portion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120. Here, an inclined surface 141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120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each vibration transmission part 14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art 120. Through this, a spiral mounting groove 140a capable of mounting the hanger 200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vibration transmission units 140 through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141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herefore, the hanger 200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140a)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haft portion 120 when the shaft portion 120 rotates and is pressed against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141 forming the mounting groove (140a), the shaft portion ( It can be reciproca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120).

예컨대, 서로 이웃한 복수개의 진동전달부(140)는 10 내지 20mm 사이의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진동전달부(140)에 형성된 경사면(141)은 축부(120)의 중심축에 대하여 65 내지 75도 사이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홈(140a)에 수용된 옷걸이(200)는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25 내지 35mm 이내의 거리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웃한 복수개의 진동전달부(140)는 15mm의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고, 진동전달부(140)에 형성된 경사면(141)은 축부(120)의 중심축에 대하여 70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홈(140a)에 수용된 옷걸이(200)는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30mm의 거리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축부(120)에 구비된 진동전달부(140)재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vibration transmission units 140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of 10 to 20 mm, and the inclined surface 141 formed on the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40 is 65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120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between to 75 degrees. Accordingly, the hanger 200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140a may reciprocate a distance within 25 to 35m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120. Preferably, a plurality of vibration transmission units 140 adjacent to each other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of 15 mm, and the inclined surface 141 formed on the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40 is at an angle of 7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unit 120 It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Accordingly, the hanger 200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140a may reciprocate a distance of 30 m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120. However, the material of the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40 provided in the shaft unit 12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in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within conditions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cam unit 15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캠부(150)는 축부(120)의 일 측 또는 타 측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비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축부(120)의 회전 시 축부(12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캠부(150)는 축부(120)의 회전 시 축부(120)의 일 측(또는 타 측) 단부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연속적으로 가압하여 축부(12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3 and 4, the cam part 150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one or the other end of the shaft part 120 and is formed in an asymmetrical structure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haft part 120 when the shaft part 120 rotates. It can be configured to be. Accordingly, the cam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shaft unit 120 by continuously pressing one (or the other) end of the shaft unit 12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he shaft unit 120 rotates. have.

그러나, 캠부(15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축부(120)를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연속적으로 승강 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cam unit 15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shaft unit 120 can be continuously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a preset interval.

즉, 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축부(120)를 인위적으로 흔들거나 이동시켜 축부(120)에 걸린 옷걸이(200)에 간접적으로 진동을 전달하지 않고, 경사면(141)을 구비한 진동전달부(140)를 통해 복수개의 진동전달부(140) 사이에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거치홈(140a)을 형성하고, 축부(120)의 회전 시 거치홈(140a)에 수용된 옷걸이(200)가 경사면(141)을 통해 직접적으로 가압되어 축부(12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캠부(150)를 통해 축부(120)를 상하 이동시켜 옷걸이(200)에 직접적으로 진동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축을 인위적으로 흔들거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종래의 의류 관리기에 비해 옷에 전달되는 진동을 보다 역동적으로 구현하여 옷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 가능하고, 장기간 사용 시에도 축부(120)의 변형 또는 고장확률이 적으며, 장비에 무리 없이 안정적으로 옷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That is,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00 does not indirectly transmit vibration to the hanger 200 hung on the shaft 120 by artificially shaking or moving the shaft 120, and a vibration transmission unit having an inclined surface 141 A mounting groove (140a) formed in a spiral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vibration transmission units (140) through 140, and the hanger 200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140a) when the shaft portion (120) is rotated is inclined surface (141). ) Is directly pressed through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part 120 to reciprocate, and at the same time, the shaft part 120 is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cam part 150 so that the vibration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hanger 20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lothing manager configured to artificially shake or move the shaft,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clothes more effectively by implementing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clothes more dynamically, and the probability of deformation or failure of the shaft part 120 is small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 It can transmit vibration to clothes stably without difficulty in equipment.

또한, 본 의류 관리 장치(100)는 확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unit 160.

도 1의 (b),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확장부(160)는 본체(110)에 설치되고, 본체(110)로부터 출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본체(110)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추가 수납공간(160a)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1(b), 5, and 6, the extension part 160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appear and protrude from the main body 110, and is selectively add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It is configured to form a storage space (160a).

더 자세하게는, 확장부(160)는, 전면이 개구되고, 측면 및 후면이 상기 본체(110)의 내벽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확장본체(161)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expansion unit 160 may include an expansion body 161 in which a front surface is opened and a side surface and a rear surface thereof are formed to be slid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body 110.

확장본체(161)는 본체(110)의 수용홈(1111)에 수용되어 수용홈(1111)을 형성하는 본체(110)의 내벽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전면이 개구된 외벽(1611)과, 외벽(1611)의 상부에 설치되어 확장본체(161)의 천장을 형성하고 내측에 외부공간과 추가 수납공간(160a)을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연통공(16121)이 형성되는 상판(16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pansion body 161 is configured to be sli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11 of the main body 110 to form the receiving groove 1111 and has an open front outer wall ( 1611), and a top plate 1612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6121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wall 1611 to form the ceiling of the expansion body 161 and to communicate the external space and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inside. ) Can be included.

이에 따라, 추가 수납공간(160a)에 수용된 옷들은 외부공간과 추가 수납공간(160a)을 유동하는 공기를 통하여 자연 건조될 수 있다.Accordingly, clothes accommodated in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may be naturally dried through air flowing through the external space and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한편, 본체(110)에는 본체(110)의 수용공간(110a)과 확장본체(161)의 추가 수납공간(160a)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환기로(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ventilation path (not shown) capable of selectively communicating the receiving space 110a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of the expansion main body 161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main body 110.

이에 따라, 추가 수납공간(160a)에 수용된 옷들은 본체(110)의 수용공간(110a)에 수용된 옷들과 함께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can be mana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0a of the main body 110.

또한, 확장본체(161)는, 확장부(16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본 의류 관리 장치(100)를 운반할 때 사용 가능한 손잡이(1613) 및 행거(1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ansion body 161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1613 and a hanger 1614 that are usable when the expansion unit 160 is slid or moved or when the garment management apparatus 100 is transported.

도 1의 (b),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1613)는 확장본체(161)에 설치되되, 사용 시에만 확장본체(16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확장본체(161)의 외면에 출몰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1613)는 확장본체(161)의 상면에 설치되고, 확장본체(16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확장본체(16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본체(161)의 상면에는 손잡이(1613)를 수용 가능하도록 손잡이 수용홈(161a)이 형성될 수 있다.1B, 5, and 6, the handle 1613 is installed on the expansion body 161, so that i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xpansion body 161 only when in use, the expansion body 161 ) May be provided in a shape capable of appear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r example, the handle 1613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body 161 and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pansion body 161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expansion body 161. Here, a handle receiving groove 161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body 161 to accommodate the handle 1613.

행거(1614)는 봉 형태로 형성되어 확장본체(161)의 내부 천장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행거(1614)는 필요에 따라 확장본체(161)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The hanger 1614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and installed on the inner ceiling side of the expansion body 161. In addition, the hanger 1614 may be detachable from the expansion body 161 as needed.

또한, 확장부(160)는 확장본체(161)에 설치되어 확장부(160)의 전면을 개폐 시키도록 구성되는 개폐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개폐부(162)는 확장본체(1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 형상의 회전부(1621)와, 회전부(1621)에 설취되어 회전부(1621)의 회전시 회전부(1621)로부터 풀리거나, 회전부(1621)에 권취되어 확장본체(161)의 전면을 개폐 가능한 스크린부(1622) 및 회전부(1621)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수단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후술할 제어부(1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75)의 제어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부(1621)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ansion unit 160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unit 162 installed on the expansion body 161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expansion unit 160. 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part 162 is a roll-shaped rotating part 1621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expansion body 161 and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part 1621 to be released from the rotating part 1621 when the rotating part 1621 is rotated, or It may include a driving means (not shown) for driving the screen unit 1622 and the rotating unit 1621, which is wound on the 1621 to open and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expansion body 161. Here, the driv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be manually operated by a user, or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175 to be described later to automatically drive the rotating unit 1621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175.

또한, 확장부(160)는 확장본체(161)를 승강 시키는 승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승강수단은 확장본체(161)의 일 측에 구비되는 랙기어, 본체(110)에 설치되어 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 및 구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발생부로 구성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부(175)에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동력발생부에 상기 제어명령을 전송할 경우, 자동으로 확장부(16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승강수단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구성 및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ansion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means (not shown) for lifting the expansion body 161. For example, the elevat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 rack gea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pansion body 161, a drive gear installed on the body 110 and meshed with the rack gear, and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gear. 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75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the expansion unit 160 may be automatically raised or lowered. However, the lifting mean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in various configurations and forms within conditions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function.

따라서, 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상술한 확장부(160)를 통하여, 더 많은 양의 의류를 보관 및 관리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 본 의류 관리 장치(100)를 타 공간으로 이동해야 할 경우 부피를 축소시켜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00 may store and manage a larger amount of clothing through the above-described expansion unit 160, as well as when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00 needs to be moved to another space. Mobilit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volume.

또한, 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스팀부(171), 송풍부, 히터부(172) 및 공기청정부(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steam unit 171, a blower unit, a heater unit 172, and an air cleaning unit 173.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팀부(171)는 송풍부 및 히터부(172)와 함께 본체(110)의 제2 설치공간(110c)에 수용되고, 수용공간(110a)과 제2 설치공간(110c)을 구획하는 격판(1113)에 설치된 스팀 분사 노즐(1713)을 통하여 수용공간(110a)으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팀부(171)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1711), 물탱크(1711)와 연결되어 물탱크(1711)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스팀히터(1712) 및 스팀히터(1712)로부터 연장되어 격판(1113)에 설치되고 스팀히터(1712)에서 발생된 스팀을 수용공간(110a)으로 분사하는 스팀 분사 노즐(1713)을 포함할 수 있다.3, 6 and 7, the steam unit 171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110c of the main body 110 together with the air blower and the heater unit 172, and the receiving space 110a Steam can be spray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through the steam spray nozzle 1713 installed on the diaphragm 1113 partitioning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110c. Illustratively, the steam unit 171 is a water tank 1711 in which water is stored, a steam heater 1712 and a steam heater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711 to heat and vaporiz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1711 It may include a steam spray nozzle 1713 extending from 1712 and installed on the diaphragm 1113 and spraying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heater 1712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송풍부(미도시)는 히터부(172)의 상측 또는 히터부(172)의 하측에 배치되거나, 히터부(172)와 일체로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격판(1113)에 형성된 복수개의 송풍공(미도시)을 통하여 수용공간(110a)으로 바람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송풍부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송풍부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을 발생시켜 수용공간(110a) 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blower unit (not shown) is disposed above the heater unit 172 or at the lower side of the heater unit 172, is formed to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heater unit 172, and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to form a plurality of the diaphragm 1113. It may be configured to supply wind to the receiving space (110a) through the four air blow holes (not shown). For example, the blowing unit may include a blowing fan and a driving motor that rotates the blowing fan, but the blowing un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tructures and structures within a condition capable of generating wind and supplying it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It can be changed into shape and applied.

히터부(172)는 내부에 발열체(미도시)를 구비하여 후술할 제어부(175)의 제어명령에 따라 발열체를 가동시켜 미리 설정된 온도의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부(172)가 구동될 경우, 수용공간(110a)에는 송풍부(미도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의 열풍이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히터부(172)는 PTC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로 적용되며, 이를 통해 별도의 조절장치 없이도 수용공간(110a)을 원하는 온도 영역에서 적정온도로 최적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히터부(172)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열을 발산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heater unit 17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heating element (not shown) therein to operate the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75 to be described later to emit heat of a preset temperature. Accordingly, when the heater unit 172 is driven, hot air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may be suppli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through a blower (not shown). For example, the heater unit 172 is applied as a PTC heater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in a desired temperature range without a separate control device. However, the heater unit 17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in a form capable of dissipating heat in various ways.

공기청정부(173)는 제2 설치공간(110c)에 수용되고, 수용공간(110a) 및 추가 수납공간(160a)에 부유된 먼지를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청정부(173)는 내부에 별도의 팬(미도시)을 구비하여, 수용공간(110a)의 공기를 추가 수납공간(160a) 측으로 토출시킴과 동시에, 수용공간(110a)에 부유된 먼지를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부(173)는 추가 수납공간(160a)에서 대류 중인 공기를 내측으로 흡입하여 다시 토출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추가 수납공간(160a)에 부유된 먼지를 여과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청정부(173)는 팬(미도시)과, 먼지가 포집되는 필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청정부(173)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공간(110a) 및 추가 수납공간(160a)의 먼지를 여과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air cleaning unit 173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110c, and may be configured to filter dust suspen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For example, the air cleaning unit 173 has a separate fan (not shown) therein, and discharges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toward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is suspen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It can be configured to filter dust. In addition, since the air cleaning unit 173 is configured to suck air in convection in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and discharge it again,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dust suspended in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For example, the air cleaning unit 173 may include a fan (not shown) and a filter through which dust is collected. However, the air cleaning unit 173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capable of filtering dust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또한, 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조작부(174), 제어부(175), 디스플레이부(176) 및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174, a control unit 175, a display unit 176, and a sensing unit.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조작부(174)는 제2 설치공간(110c)에 수용되어 일부가 본체(110)의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본체(110)에 설치되고, 후술할 제어부(1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 시 제어부(175)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부(174)는 버튼, 터치스크린, 조그다이얼, 스위치 및 기타 모든 입력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1 and 7, the operation unit 174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110c and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so that a part is exposed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control unit 175 to be described later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ler 175 when a user manipulates it.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174 may be applied to a button, a touch screen, a jog dial, a switch, and all other input devices.

제어부(175)는 제2 설치공간(110c)에 수용되어 조작부(174), 동력부(130), 스팀부(171), 송풍부, 히터부(172), 공기청정부(173), 디스플레이부(176) 및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조작부(174)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 및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따라 동력부(130), 스팀부(171), 송풍부, 히터부(172) 및 공기청정부(17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5)는 입력된 제어명령이나, 전달된 감지신호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저장, 연산 및 판단하여 동력부(130), 스팀부(171), 송풍부, 히터부(172) 및 공기청정부(17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되거나, 범용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75)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드웨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5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110c and is a control unit 174, a power unit 130, a steam unit 171, a blower unit, a heater unit 172, an air cleaning unit 173, and a display unit. The power unit 130, the steam unit 171, the blower unit, and the heater unit 17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176 and the sensing unit,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174 and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 And the driving of the air cleaning unit 173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5 stores, calculates, and determines the input control command or the transmitted detection signal through a preset algorithm, and the power unit 130, the steam unit 171, the blower unit, the heater unit 172 and In order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air cleaning unit 173, it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a combination of a general microprocessor and a memory storing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the microprocessor. However, the controller 175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hardware.

또한, 제어부(175)는 IoT(Internet of Things) 미터, 게이트웨이, 클라우드 서버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축부(120), 동력부(130), 스팀부(171), 송풍부, 히터부(172) 및 공기청정부(173)의 작동상태를 확인 가능함은 물론, 축부(120), 동력부(130), 스팀부(171), 송풍부, 히터부(172) 및 공기청정부(173)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5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n Internet of Things (IoT) meter, a gateway, a cloud server, or the like. Through this,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shaft unit 120, the power unit 130, the steam unit 171, the blower unit, the heater unit 172 and the air cleaning unit 173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shaft unit 120, the power unit 130, the steam unit 171, the blower unit, the heater unit 172, and the air cleaning unit 173 can be remotely controlled.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can be applied to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디스플레이부(176)는 제2 설치공간(110c)에 수용되어, 일부가 본체(110)의 외부공간으로 노출되고, 제어부(1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축부(120)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 스팀의 강도 및 분사시간, 바람의 세기 및 토출시간, 수용공간(110a) 및 추가 수납공간(160a)의 청정도, 수용공간(110a) 및 추가 수납공간(160a)의 내부온도, 그리고 입력된 제어명령 정보 및 각 구성들의 상태정보 등을 문자나 이미지 등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76)는 LCD, LED, OLED, PDP, 터치스크린 등의 전자적 디스플레이로 적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76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110c, a part of which is exposed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5 to provide the rotation speed and rotation time of the shaft unit 120, Steam intensity and injection time, wind intensity and discharge time, cleanliness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and input control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command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as text or image.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76 may be applied as an electronic display such as LCD, LED, OLED, PDP, and touch screen.

감지부(미도시)는 본 의류 관리 장치(100)에 다수 설치되어 제어부(1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축부(120)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 수용공간(110a) 및 추가 수납공간(160a)의 온/습도, 미세먼지정도 등을 감지하고, 이를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75)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본체(110) 및 확장부(160)의 전면의 개폐여부, 스팀부(171)의 물 잔여량, 축부(120)에 작용하는 하중 등을 감지하고, 이의 신호를 제어부(175)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not shown) are installed in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5, and the rotation speed and rotation time of the shaft unit 120,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temperature/humidity, the degree of fine dust, etc., convert it into a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75.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detects whether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expansion unit 160 is opened or closed,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in the steam unit 171, the load acting on the shaft unit 120, and the like, and the control unit 175 Can be configured to send to.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전원부(미도시), 살균부(미도시) 및 탈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 sterilization unit (not shown), and a deodorization unit (not shown).

전원부는 본 의류 관리 장치(100)에서 전원이 필요한 모든 구성에 직접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거나, 전원이 필요한 구성에 간접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부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전원부는 공지된 다양한 전원 공급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nected to directly supply power to all components requiring power in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or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to indirectly supply power to components requiring power. For example, the power unit may be applied to various known power supply means.

살균부는 본체(110) 및 확장부(160)에 개별 설치되어 수용공간(110a) 및 추가 수납공간(160a)에 수용된 의류에 UV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수용공간(110a) 및 추가 수납공간(160a)에 수용된 의류에 살균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unit may be individual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and the expansion unit 160 to irradiate UV light onto the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erform sterilization treatment on the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탈취부는 본체(110) 및 확장부(160)의 내벽에 수납되어, 의류에 스며든 냄새(악취) 등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탈취부는 향기시트 방향제와 활성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eodorization unit may be accommodated on the inner walls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expansion unit 160 and may be configured to remove odors (odors) penetrating into clothing. For example, the deodorizing unit may be composed of a fragrance sheet and activated carb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의류 관리 장치(1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for each configuration for describing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100 are used, and the same or overlapping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의 축부(120) 및 축부(120)에 설치된 거치부(18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ft portion 120 and a mounting portion 180 installed on the shaft portion 120 of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0a)을 형성하는 본체(110), 본체(1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수용공간(110a)에 배치되는 축부(120) 및 본체(110)에 설치되어 축부(12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부(130)를 포함한다.3 and 6,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otatable state in the main body 110, the main body 110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110a) therein. It includes a shaft portion 120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0a and a power portion 13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and configured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portion 120.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는 거치부(18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unit 180.

도 8을 참조하면, 거치부(180)는 축부(120)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옷걸이(200)를 거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거치부(180)는 축부(120)의 회전 시 후술할 진동전달부(140)에 가압되어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8, the mounting part 180 is installed on the shaft part 120 and configured to be capable of mounting a plurality of hangers 200.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80 is configured to be pressed against the vibration transmission portion 14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shaft portion 120 rotates to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120.

더 자세하게는, 거치부(180)는, 축부(120)에 설치되고 진동전달부(140)에 가압되어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링크부재(181)와, 링크부재(1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링크부재(181)의 왕복 이동 시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진동부재(1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진동부재(182)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옷걸이(200)를 거치 가능한 복수개의 거치공(1821)이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mounting portion 180 is installed on the shaft portion 120 and pressed against the vibration transmission portion 140 to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120, a link member 181, and a link member 181 )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member 181 may include a rotational vibration member 182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120. Here,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1821 capable of mounting a plurality of hangers 200 may be formed inside the rotational vibration member 182.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진동전달부(1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40.

도 8을 참조하면, 진동전달부(140)는 축부(120)에 설치되고, 축부(120)의 회전 시 축부(120)와 함께 회전되어 축부(120)에 설치된 거치부(180)를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켜, 거치부(180)에 걸린 옷걸이(200)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8, the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shaft part 120, and when the shaft part 120 rotates, the mounting part 180 installed on the shaft part 12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haft part 120 By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20),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vibration to the hanger 200 hung on the mounting portion 180.

더 자세하게는, 진동전달부(14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축부(120)의 일 측 및 타 측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 진동전달부(140)의 일 측 및 타 측에는 축부(120)의 중심축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진동전달부(140) 사이에는 서로 대향 배치된 복수개의 경사면(141)을 통하여, 거치부(180)의 링크부재(181)를 거치 가능한 나선형상의 거치홈(14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홈(140a)에 수용된 링크부재(181)는, 축부(120)의 회전시 축부(120)와 함께 회전되며 거치홈(140a)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경사면(141)에 가압되어, 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고, 링크부재(1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진동부재(182)는 링크부재(181)의 왕복 이동 시 축부(12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내측에 거치된 옷걸이(20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4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spaced apart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haft part 1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art 1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Here, an inclined surface 141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120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each vibration transmission part 14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art 120. Through this, a spiral mounting groove 140a capable of mounting the link member 181 of the mounting part 180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vibration transmission parts 140 through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141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I can. Accordingly, the link member 181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140a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haft 120 when the shaft 120 is rotated and pressed against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141 forming the mounting groove 140a, The rotational vibration member 182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20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member 181 is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120 when the link member 181 reciprocates.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hanger 200 mounted inside.

또한, 도 1,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0)는 축부(12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캠부(150), 본체(110)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추가 수납공간(160a)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확장부(160), 수용공간(110a)으로 스팀을 분사 가능한 스팀부(171), 수용공간(110a)으로 바람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송풍부(미도시), 미리 설정된 온도의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히터부(172), 수용공간(110a) 및 추가 수납공간(160a)에 부유된 먼지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부(173), 사용자의 조작 시 제어부(175)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조작부(174), 동력부(130), 스팀부(171), 송풍부, 히터부(172) 및 공기청정부(173)의 구동을 제어 가능한 제어부(175), 축부(120)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 스팀의 강도 및 분사시간, 바람의 세기 및 토출시간, 수용공간(110a) 및 추가 수납공간(160a)의 청정도, 수용공간(110a) 및 추가 수납공간(160a)의 내부온도, 그리고 입력된 제어명령 정보 및 각 구성들의 상태정보 등을 문자나 이미지 등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176), 및 축부(120)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 수용공간(110a) 및 추가 수납공간(160a)의 온/습도, 미세먼지정도 등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and 6 to 8, a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 unit 150 configured to elevate the shaft unit 120, and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n expansion unit 160 configured to selectively form an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a steam unit 171 capable of injecting steam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a blowing unit configured to supply wind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Not shown), the heater unit 172 configured to emit heat of a preset temperature, the air cleaning unit 173 configured to filter the dust suspen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the use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74, the power unit 130, the steam unit 171, the blower unit, the heater unit 172, and the air cleaning unit 173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75 during operation of Controllable control unit 175,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 time of the shaft unit 120, steam strength and injection time, wind strength and discharge time, cleanliness of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the display unit 176 configured to display the input control command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in text or image, and the rotation of the shaft unit 120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not shown) configured to detect the speed and rotation time, the temperature/humidity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and the additional storage space 160a, and the degree of fine dust.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상용화된 의류 관리기에 비하여 저가의 비용으로 제작되어 소비자의 접근성이 용이하고, 내부에 대량의 옷들을 보관 및 관리 가능하여 사용성 및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anufactured at a lower cost than a conventionally commercialized clothing manager, so that accessibility of the consumer is easy, and a large amount of clothes can be stored and managed inside, thereby improving usability and efficiency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의류 관리 장치
110. 본체
110a. 수용공간
110b. 제1 설치공간
110c. 제2 설치공간
111. 하우징
1111. 수용홈
1112. 이동수단
1113. 격판
1114. 스토퍼
112. 커버
120. 축부
130. 동력부
140. 진동전달부
140a. 거치홈
141. 경사면
150. 캠부
160. 확장부
160a. 추가 수납공간
161. 확장본체
161a. 손잡이 수용홈
1611. 외벽
1612. 상판
16121. 연통공
1613. 손잡이
1614. 행거
162. 개폐부
1621. 회전부
1622. 스크린부
171. 스팀부
1711. 물탱크
1712. 스팀히터
1713. 스팀 분사 노즐
172. 히터부
173. 공기청정부
174. 조작부
175. 제어부
176. 디스플레이부
180. 거치부
181. 링크부재
182. 회전진동부재
1821. 거치공
200. 옷걸이
100. Clothing Management Device
110. Main body
110a. Accommodation space
110b. 1st installation space
110c. 2nd installation space
111. Housing
1111. Reception groove
1112. Transportation
1113. Plate
1114. Stopper
112. Cover
120. Shaft
130. Power Department
140.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40a. Mounting groove
141. Slope
150. Cam part
160. Extension
160a. Additional storage space
161. Expansion body
161a. Handle receiving groove
1611. Exterior wall
1612. Top
16121. Communication Ball
1613. Handle
1614. Hanger
162. Opening and closing part
1621. Rotating part
1622. Screen unit
171. Steam
1711. Water tank
1712. Steam heater
1713. Steam spray nozzle
172. Heater
173. Air Purification Government
174. Control Panel
175. Control
176. Display
180. Mounting part
181. Link member
182. Rotary vibration member
1821. Mounting hole
200. Hanger

Claims (3)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옷걸이를 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축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부; 및
상기 축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의 회전 시 상기 축부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축부에 거치된 상기 옷걸이를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켜 상기 옷걸이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진동전달부;
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A body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shaft portion installed in the main body in a rotatable stat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figured to mount a hanger;
A power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unit; And
A vibration transmission unit installed on the shaft portion and configured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hanger by rotating the hanger together with the shaft portion when the shaft portion rotates to reciprocate the hanger mounted on the shaf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Clothing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축부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진동전달부의 일 측 및 타 측에는 상기 축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진동전달부 사이에는 나선형상의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에 수용된 상기 옷걸이는, 상기 축부의 회전시 상기 축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거치홈을 형성하는 상기 경사면에 가압되어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의류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ibration transmission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shaft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ibration transmission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portion, a plurality of A spiral mount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vibration transmission parts,
The clothes hanger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haft portion when the shaft portion is rotated and is pressed against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mounting groove to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일 측 또는 타 측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비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축부의 회전 시 상기 축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축부의 일 측 또는 타 측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축부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캠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rrang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ne or the other end of the shaft, is formed in an asymmetrical structure, rotates together with the shaft when the shaft is rotated, and presses one or the other end of the shaft to lift the shaft. Clothing manage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am portion configured.
KR1020190022283A 2019-02-26 2019-02-26 Clothing care apparatus KR1022844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283A KR102284428B1 (en) 2019-02-26 2019-02-26 Clothing car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283A KR102284428B1 (en) 2019-02-26 2019-02-26 Clothing car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991A true KR20200103991A (en) 2020-09-03
KR102284428B1 KR102284428B1 (en) 2021-08-02

Family

ID=7245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283A KR102284428B1 (en) 2019-02-26 2019-02-26 Clothing car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42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959B1 (en) * 2021-03-02 2021-06-07 주식회사 본작 Overseas sourcing design product database system
KR102324993B1 (en) * 2021-04-30 2021-11-11 주식회사 본작 Overseas sourcing design product databas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884B1 (en) * 2009-03-03 2012-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50004095U (en) * 2014-04-30 2015-11-09 장규환 Moving clothes hanger for wardrobe
KR20170141489A (en)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80136806A (en) 2017-06-15 201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ing care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884B1 (en) * 2009-03-03 2012-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50004095U (en) * 2014-04-30 2015-11-09 장규환 Moving clothes hanger for wardrobe
KR20170141489A (en)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80136806A (en) 2017-06-15 201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ing care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959B1 (en) * 2021-03-02 2021-06-07 주식회사 본작 Overseas sourcing design product database system
KR102324993B1 (en) * 2021-04-30 2021-11-11 주식회사 본작 Overseas sourcing design product databas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428B1 (en)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4879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0062907A1 (en) Smart home shoe cabinet
KR20200103991A (en) Clothing care apparatus
CN211431636U (en) Domestic wardrobe with intelligence dehumidification
CN214904829U (en) Intelligent dehumidifying and sterilizing wardrobe
KR102259365B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1059766B1 (en) Book disinfection device
KR100929715B1 (en) Storage unit with dust hairs
CN109452771B (en) Disinfection wardrobe convenient to maintain
CN210812749U (en) Container, especially container for transporting goods
KR20140134002A (en) Books Sterilizer with vibrators
KR200404861Y1 (en) Shoe chest
JP2001275795A (en) Case for exhibition
KR101703142B1 (en) The storage box
KR20160053226A (en) A Sterilizer for clothes
CN210672610U (en) Dust-free clothes storage cabinet for dust-free room
CN211863390U (en) Double-chamber type disinfection cabinet for clothes
CN111133266B (en) Food storage appliance
KR101834294B1 (en) Laundry drying apparatus
KR102218159B1 (en) Built in sterilizing Drying rack
CN216019873U (en) Furniture with split endoscope
CN216477954U (en) Circulation fan devic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CN216723708U (en) Shoe cabinet with deodorizing device
CN215993174U (en) But intelligence house is with intelligent wardrobe that dehumidifies
CN216166782U (en) Intelligence article strorage device for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