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453A - 교육여행 추진시 객관적 의사결정 및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교육여행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육여행 추진시 객관적 의사결정 및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교육여행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453A
KR20200103453A KR1020190021980A KR20190021980A KR20200103453A KR 20200103453 A KR20200103453 A KR 20200103453A KR 1020190021980 A KR1020190021980 A KR 1020190021980A KR 20190021980 A KR20190021980 A KR 20190021980A KR 20200103453 A KR20200103453 A KR 20200103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vel
educational
unit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주
Original Assignee
이용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찬 filed Critical 이용찬
Priority to KR102019002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3453A/ko
Publication of KR2020010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여행 통합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여행을 위한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교육여행이 시작되기 이전에 외부의 제1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교육여행의 진행 중 또는 종료 후에 외부로부터 여행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정보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여행 결과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지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여행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육여행 추진시 객관적 의사결정 및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교육여행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An Integrat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bjective Decision Making and Improving Work Efficiency in the Promotion of Education Travel}
본 발명은 교육여행 추진시 객관적 의사결정 및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교육여행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교육여행은 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여행으로, 대상은 주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와 같은 학교(교육기관을 통칭하는 의미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함)이다. 상기 교육여행은 학교 내/외에서 진행되는 교육적 활동을 말하며 교육여행 종류에는 국내외 수학여행, 수련활동, 체험학습, 캠프, 신입생 OJT, 간부수련회, 해외자매교류 등이 포함된다. 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해당 규정에 따라 최저가 입찰의 형태로 여행 서비스 제공 업체를 선정한다.
최근의 교육여행은 대규모 관광위주의 단체여행에서 소규모 테마여행 형태의 여행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으며 주제별 맞춤형 교육여행 및 체험활동 위주의 행사가 증가하고 있다.
소규모 수학여행은 대규모 여행에 비해 학생들이 원하는 체험을 다양하게 할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여행 인원이 줄면서 인당 비용은 늘어나 학부모 부담이 커지고 담당교사가 떠안는 업무와 책임도 크게 늘어 교육여행에 특화된 여행정보 및 소규모 단체 여행의 시장의 확대가 전망된다.
도 1은 학교에서 기존의 방식으로 교육여행을 추진할 경우에 수행하는 교육여행 추진 업무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육기관에서 교육여행을 추진할 경우, 교육여행 준비부터 완료까지 13단계에 이르는 업무절차 등으로 인해 교육기관 내 직원 또는 선생님들의 업무 부담이 초래된다. 또한 여행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입찰 진행 시에도 12단계에 이르는 복잡한 업무가 포함되어 업무 부담은 더욱 가중된다.
또한 교육여행은 학교(발주처)에서 제시한 여행 일정(여행지 포함), 차량운행계획, 숙박, 식단, 통솔인력, 안전대책 등의 계획이 필요하며 이는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여행 서비스 제공업체 입장에서는 가격 산정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여행 일정 등은 수시로 변경될 수도 있고 가격 만을 우선시하여 구성할 경우 자칫 저가경쟁으로 인해 여행의 질이 낮아져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세월호 참사 이후 수학여행 참가율이 40%에서 69%로 증가하는 추세이고, 여행지로는 제주도가 3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 또한 안전문제를 걱정하는 경우가 많다. 교육당국은 이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고 명 미만의 소규모 테마형 수학여행을 장려하고 명당 인 이상의 안전요원을 확보하라고 지침을 내리고 있으나 이마저도 실효성이 적다는 지적이 있다.
다만 교육여행을 위한 예산은 한정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합리적인 가격에 안전 등의 요구 사항에 부합하는 교육여행이 추진될 수 있도록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에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양방향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정보 서비스 플랫폼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학교에서 교육여행 업무의 추진 시 업무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교육 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여행 평가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향후 더욱 향상된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안전 정보 등의 여행 운영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생성된 일정에 대하여 사용자 요청에 맞는 여행사를 추천하고 상기 일정에 대응하는 견적을 외부의 여행사에 일괄 요청함으로써 보다 신뢰도 높은 입찰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육여행을 위한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교육여행이 시작되기 이전에 외부의 제1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교육여행의 진행 중 또는 종료 후에 외부로부터 여행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정보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여행 결과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지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여행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기반으로, 상황별 안전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운영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행 운영 정보는 상기 여행지 정보에 매칭되고, 상기 정보 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여행 운영 정보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정보 송신부가 상기 대응되는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 조건 정보는 인원 정보, 예산 정보, 여행지 정보 및 여행타입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기간 동안 외부의 웹 페이지에 노출된 여행 관련 데이터를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하고, 상기 여행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 트렌드 정보를 생성하는 여행 트렌드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행상품 정보는 복수 개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여행상품 정보 각각의 텍스트와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의 텍스트 간의 유사도들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여행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여행 계획 정보의 생성의 기반이 되는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여행상품 정보 및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여행 계획 후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여행 계획 후보 정보 각각의 텍스트와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의 텍스트 간의 유사도들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여행 계획 후보 정보 중에서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행 평가 정보는 사용자 만족도 정보 및 설문조사 응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교육여행의 시작부터 종료 사이에 수집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온라인 게시판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그 수신한 순서로 누적하여 게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여행 계획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입찰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고, 상기 정보 수신부는, 복수의 외부의 제2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찰 정보에 포함된 입찰 자격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업체의 정보를 기초로 업체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업체 추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 조건 정보는 예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예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견적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견적 정보 중 상기 정보 송신부가 송신할 견적 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로그 데이터베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관리 데이터베이스; 회원의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회원 데이터베이스; 여행지별 관광 정보를 포함하는 관광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관련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비스 메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및 이벤트 또는 홍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홍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수신부는, 외부로부터 여행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여행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여행 상품 정보, 상기 여행지별 관광 정보, 상기 서비스 관련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또는 홍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보 수신부, 정보 송신부, 제어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에서 교육여행을 위한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정보 수신부가 상기 교육여행이 시작되기 이전에 외부의 제1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수신부가 상기 교육여행의 진행 중 또는 종료 후에 외부로부터 여행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여행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여행상품 정보 및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지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여행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여행지 정보에 매칭되는 여행 운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보 수신부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수신부가 상기 여행 운영 정보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에 더 포함되는 여행 트렌드 정보 생성부가, 소정 기간 동안 외부의 웹사이트에 노출된 여행 관련 데이터를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 생성부가 상기 여행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 트렌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송신부가, 상기 여행 계획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입찰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수신부가 복수의 외부의 제2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송신부가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 조건 정보에 포함된 예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견적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견적 정보 중 상기 입찰 관리부가 송신할 견적 정보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육여행을 위한 통합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여행 평가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교육여행의 시작부터 종료 사이에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여행 평가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여행 운영 정보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일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의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지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여행 운영 정보를 상기 여행지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하고, 상기 여행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 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교육여행 통합 정보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함으로써, 학교에서 교육여행 업무의 추진 시 업무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여행 평가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향후 더욱 향상된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안전 정보 등의 여행 운영 정보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생성된 일정에 대하여 사용자 요청에 맞는 여행사를 추천하고 상기 일정에 대응하는 견적을 외부의 여행사에 일괄 요청함으로써 보다 신뢰도 높은 입찰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학교에서 기존의 방식으로 교육여행을 추진할 경우에 수행하는 교육여행 추진 업무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교육 여행 추진 업무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서비스 플랫폼의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외부 기기 간의 네트워크 통신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외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교육 여행 추진 업무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육 여행 추진 업무 목록은 교육 여행 계획 업무, 교육 여행 운영 업무 및 교육 여행 평가 업무 및 교육 여행 공유 업무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의 업무 각각에 대응되는 여행 계획 정보, 여행 운영 정보, 여행 평가 정보 및 여행 공유 정보를 통합하여 플랫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상기의 플랫폼 서비스는, 학교업무 지원 서비스 모바일 실시간 행사공유서비스 관광정보 체험학습 활동과 관련된 정보등 다양한 기능을 한 화면 (통합 Web & Mobile)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여행 계획 정보는 설정된 여행 조건 정보에 맞는 일정과 여행지를 자동으로 추천 및 비교 검색한 결과, 지역별 업무 매뉴얼, 단계별 업무 양식/레포트 및 진행 단계 점검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행 운영 정보는 온라인 교육여행 운영 자료 및 상황별 안전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행 평가 정보는 학교 임직원, 학생, 학부모 등의 사용자에게 온라인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피드백된 응답일 수 있다. 즉, 교사, 학생, 학부모 별로 개별 작성된 설문 문항 및 템플릿이 상기 정보 송신부(120)를 통해 송신되어, 상기 학교 임직원, 학생, 학부모가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온라인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여행 평가 정보는 결과 실시간으로 외부에 공개될 수 있고, 정보공개 서비스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설문조사 및 동의서를 실시간 집계하여 공개 서비스로 제공할 집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행사결과 및 보고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여행 공유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집된 사진, 텍스트 등의 데이터로서 실시간 온라인 커뮤니티와 같은 온라인 게시판에 게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을 통해 알림사항을 작성하고 해당 학생 및 학부모는 이를 확인 할수 있으며 지도상에 이동 경로가 표기되고 주변 관광지 음식점 편의정보 등 다양한 정보 확인이 가능하여 현지 여행지에 대한 실시간 공유와 평가가 가능한 서비스를 구축하여 모바일 위치기반 실시간 참여형 교육여행 커뮤니티 Ap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위치기반 실시간 참여형 교육여행 커뮤니티 App 서비스는 아래와 같은 기능(e-j)을 제공할 수 있다.
e. 교육여행 행사진행시 그룹간 실시간 정보공유 및 알림 비공개 기능
f. 현지 여행 정보 실시간 공유 커뮤니티 와 방문 여행지 평가 기능
g. 그룹간 여행일정 공유 및 실시간 변경사항 및 알림 기능
h. 교육여행지 사전 정보 제공 및 온라인 가이드
i. 안전교육 및 일정별 진행결과 작성 및 확인 기능
j. 서비스 이용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전송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서비스 플랫폼의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초중고 학교에 대한 교육여행을 추진하는 선생님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교육여행 계획부터 운영 평가 공유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확장 가능한 참여형 교육여행 통합 정보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랫폼은 사용자인 학교 측(학교 담당자, 학생, 학부모)에게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온라인 여행 온라인 교육여행 계획업무 서비스, 사용자 요구 맞춤형 교육여행 큐레이션, 모바일 위치 기반 실시간행사 진행 정보 공유 서비스, 행사 평가 및 정보 공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학교의 입장에서는 상기 플랫폼에 교육여행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랫폼은 사용자 학교에 상기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 행사 진행을 공유하고 평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학교 행사진행시 단계별 필요한 업무 지침과 매뉴얼 작성 양식을 제공하고 각 진행단계별로 진행단계를 점검이 가능한 서비스를 구축하고 행사 진행에 대한 동의서 설문조사 및 만족도 조사가 가능한 서비스를 구축하여 온라인 웹(Web)서비스 기반 교육여행 업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은 외부의 여행사에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학교 행사 정보 , 지역별 서비스 공급사 확보를 위한 정보 및 입찰에 대한 대응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여행 프로그램을 등록할 기회를 부여하는 등으로 여행사 입장에서 내실있게 입찰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여행사는 여행사 정보, 체험활동 컨텐츠, 견적을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은 외부의 서비스 공급 사업자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제휴 서비스를 연계하고 원첸 데이터 및 마케팅 홍보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학교 담당자(임직원, 선생님 등)는 기획에 필요한 정보를 사전에 얻을 수 있어 객관적인 예산 수립 및 업무가 용이하며 입찰에 경험이 없어 특정 여행사만 참여했던 지역여행사 및 대리점은 해당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해당 학교의 여행관련 추진계획과 입찰에 대응 정보 및 교육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지역 여행사의 활성화 및 공정한 경쟁 입찰 참여가 가능해 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수신부(110); 정보 송신부(120); 제어부(130); 및 데이터베이스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여행 트렌드 정보 생성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는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여행정보 편의를 위하여 클라우드 인프라와 함께 구축 및 운영되고, 여행 전 단계에 걸쳐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분석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체계와 함께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110)는, 상기 교육여행이 시작되기 이전에 외부의 제1 단말기(5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 조건 정보는 인원 정보, 예산 정보, 여행지 정보 및 여행타입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500)는 사용자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어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이다. 통상의 PC, 모바일 단말기, 랩탑 컴퓨터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500)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는 학교 담당자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110)는 상기 교육여행의 진행 중 또는 종료 후에 외부로부터 여행 평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정보 수신부(110)는 상기 교육여행의 진행 중 또는 종료 후에 외부의 제3 단말기로부터 여행 평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말기는 통상의 데스크탑 컴퓨터, 모바일 단말기, 랩탑 컴퓨터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말기에 상기 여행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는 학생 또는 학부모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여행 결과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전자적 회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대용량의 빅데이터 저장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통합 교육여행 플랫폼에서 제공할 여행정보를 세분화하여 효율적인 콘텐츠 활용 및 운영관리가 가능하도록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유관기관에서 운영중인 국내외 여행정보서비스와 연동 기능을 구축하여 다양한 관광데이터를 확보하고, 이용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데이터 수집 분류 축적 기능에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개발하여 빅데이터화 할수 있도록 구축한다. 이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여행 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지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의 여행 계획 정보의 생성 작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상기 여행결과 정보 각각에 포함된 텍스트의 유사도를 기준으로 가장 부합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상기 여행결과 정보 각각에 하나 이상의 조건, 예를 들어 금액과 같은 특정한 의미를 지니는 수치 정보등을 포함시키고, 상기 여행조건 정보에 포함된 조건과의 대조를 통해 가장 부합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여행 결과 정보는 교육여행 추진시 단계별로 필요한 여행지, 행사일정, 견적 및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행사 결과보고서 등 기존 교육 여행 결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행상품 정보는 여행사들의 여행상품과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여행 계획 정보는 여행지 정보, 해당 여행에 대한 인당 예상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행 계획 정보는 지역 학교별 교육여행 추진시 단계별 필요한 보고서 양식 및 지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에서 제1 단말기(500)에 제공하는 여행 계획 정보는 아래와 같은 특징(a-d)을 지닐 수 있다.
a. 사용자가 입력한 여행조건 정보(여행지 일자 인원 여행 목적 등)에 따라서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추천 교육여행 코스 및 컨텐츠를 포함하여 직관적인 형태로 제공됨
b. 사용자가 상기 여행 계획 정보에 포함된 여행 일정 정보를 자유롭게 추가 변경 삭제 가능하며, 상기 여행 일정은 GUI를 통해 지도상에서 맵핑된 형태로 제공됨
c. 사용자가 결정한 여행 일정 정보는 공개 및 비공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공개되는 경우 타 사용자에 해당 일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됨
d. 사용자가 결정한 여행 일정 정보는 실시간으로 교육결과 정보에 추가되어되어 데이터베이스부(140)의서비스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또는 전송됨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된 여행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와 외부 기기 간의 네트워크 통신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500), 모바일 단말기(600),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 및 제2 단말기(9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양방향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기반으로, 상황별 안전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운영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행 운영 정보는 상기 여행지 정보에 매칭될 수 있다.
즉, 상기 여행지 정보와 매칭되는 안전 지도 정보가 여행 중인 학생 등에게 실시간 될 수 있어 안전 사고에 대한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60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여행 운영 정보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정보 송신부(120)가 상기 대응되는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6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600)는 상기 여행 운영 정보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일부를 GUI를 통해 여행지의 지도(map)에 매핑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 조건 정보는 인원 정보, 예산 정보, 여행지 정보 및 여행타입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구현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서비스 플랫폼은 단순히 여행정보 및 가격을 제공하는 여타의 서비스 플랫폼과는 달리 검증된 교육여행에 필요한 관광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기반으로 고객이 설정한 조건에 맞는 일정계획과 여행지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인원 예산별 여행지별 여행타입별 다양한 선택조건에 따라 맞춤형 정보 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교육여행(수학여행, 체험활동 등) 계획 시 교직원 및 학생이 직접 참여하여 행사 일정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위치기반 모바일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존 교육여행 플랫폼 본 발명의
교육여행 통합정보 플랫폼
교육 여행
정보 제공
· 단일 체험위주 정보만 제공
(기획형 테마학습 정보)
· 패키지형 정해진 가격 정보
· 조건에 맞는 여행지, 지역관광정보,
숙박정보, 안전교육, 테마파크등 다양한 정보와 예산에 필요한 가격 제공.
실시간
모바일
서비스
· 상품중개 및 체험활동 리뷰 위주의 서비스 · 모바일 위치기반 실시간 체험학습 진행 공유 및 평가 서비스 제공
· 모바일 설문조사 및 만족도 조사
교육여행
컨텐츠
· 소규모 체험학습 상품 정보제공
· 테마형 소규모 체함학습 상품정보 만 제공
· 대.중.소 교육여행(수학여행,체험학습 등) 교육 관광정보 제공
· 유관기관과 연계한 30만건 이상의 지역별 관광정보를 다국어로 제공
여행 구성
(일정 및
가격)
· 패키지 형태의 정해진 일정과 인원수에 따라서 사용자를 모집하는 방식 고객이 원하는 여행을 구성하기 힘듬. · 사용자가 직접 교육여행 컨텐츠를 구성 및 예상 금액 확인 가능
· 고객이 설정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추천 및 변경 가능 (예산, 장소, 인원등)
그리고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 생성부(150)는, 소정 기간 동안 외부의 웹 페이지(800)에 노출된 여행 관련 데이터를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하고, 상기 여행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 트렌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는, 인터넷 기사 등에 포함된, 여행과의 유사도가 높은 단어들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단어들은 인터넷 기사와 같은 텍스트 단위에서 여행과 같은 기준 단어와 함께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여행상품 정보, 여행결과 정보 등을 활용하되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에 포함된 단어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일정 문턱 조건(threadhold)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최신 트렌드에 맞는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행상품 정보는 복수 개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복수의 여행상품 정보 각각의 텍스트와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의 텍스트 간의 유사도들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여행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여행 계획 정보의 생성의 기반이 되는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여행상품 정보 및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여행 계획 후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여행 계획 후보 정보 각각의 텍스트와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의 텍스트 간의 유사도들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여행 계획 후보 정보 중에서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는 코사인 유사도 등의 알려진 방식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행 평가 정보는 사용자 만족도 정보 및 설문조사 응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60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600)가 상기 교육여행의 시작부터 종료 사이에 수집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외부의 온라인 게시판(700)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그 수신한 순서로 누적하여 게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600) 등에 구비된 카메라 촬영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여행자인 학생 등이 모바일 단말기(600)를 통해 작성한 여행 감상문 등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송신부(120)는, 상기 여행 계획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입찰 정보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110)는, 복수의 외부의 제2 단말기(900)로부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120)는, 상기 제2 단말기(500)에 상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900)는 PC, 모바일 단말기 등으로 구현되어 상기 장치(100)에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고, 외부 여행사 또는 외부 업무 제휴 공급사에 의해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입찰참가 자격을 만족하는 지역 여행사 등의 서비스 업체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정보 송신부(120)를 통해 제1 단말기(500) 또는 외부 모바일 단말기(6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찰 정보에 포함된 입찰 자격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업체의 정보를 기초로 업체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업체 추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5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장치(100)는, 생성된 일정에 대한 견적을 진행하기 위하여 해당 지역 검증된 여행사 및 서비스공급자 추천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생성된 일정에 대한 견적을 여행사 및 서비스공급자에 일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 조건 정보는 예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예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견적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견적 정보 중 상기 정보 송신부(120)가 송신할 견적 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로그 데이터베이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관리 데이터베이스; 회원의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회원 데이터베이스; 여행지별 관광 정보를 포함하는 관광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관련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비스 메타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및 이벤트 또는 홍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홍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의 인적 정보는, 플랫폼 기반 서비스를 쉽게 사용하기 위한 통합 ID 회원관리 체계를 통해 관리되며, 상기 체계는 간편 회원가입 또는 외부인증 구글 페이스북 카카오 등 을 통한 최소한의 정보수집으로 회원가입 후 사용할 수 있는 기능, 학교 및 사용자에 따른 권한관리 및 가입 탈퇴 절차, 서비스 공급 및 제휴 파트너 회원 관리 기능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세분화 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여행조건 여행지, 일자, 인원, 여행 목적등 입력에 따라서 조건에 맞는 여행일정과 인당 예상비용 등을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기반 사용자 맞춤형 여행일정 생성 큐레이션 기능이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정보 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여행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된 여행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여행 상품 정보, 상기 여행지별 관광 정보, 상기 서비스 관련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또는 홍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갱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을 위한 통합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600)는, 위치 정보 관리부(610); 인터페이스부(620); 데이터 수집부(630); 송신부(650); 및 수신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관리부(6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여행 평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PC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반응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630)는, 상기 교육여행의 시작부터 종료 사이에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650)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여행 평가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640)는, 상기 외부의 서버(200)로부터 여행 운영 정보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지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여행 운영 정보를 상기 여행지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하고, 상기 여행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서버(20O)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부(110), 정보 송신부(120), 제어부(130) 및 데이터베이스부(140)를 포함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교육여행을 위한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정보 수신부(110)가 상기 교육여행이 시작되기 이전에 외부의 제1 단말기(5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110)가 상기 교육여행의 진행 중 또는 종료 후에 외부로부터 여행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가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여행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여행상품 정보 및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지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수신된 여행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시키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육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에 기반하여 교육여행 추진시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여행계획부터 종료까지의 담당교직원과 학생 학부모가 직접 참여하여 교육여행 추진을 진행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복잡한 행정절차를 온라인 로 진행 단계별로 점검하고 상황별 안전지도 및 설문조사 만족도 조사를 실시간으로 집계 파악이 가능해 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여행지 정보에 매칭되는 여행 운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10); 상기 정보 수신부(11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60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20); 및 상기 정보 수신부(110)가 상기 여행 운영 정보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600)로 송신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100)에 더 포함되는 여행 트렌드 정보 생성부(150)가, 소정 기간 동안 외부의 웹사이트에 노출된 여행 관련 데이터를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하는 단계(S135); 및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 생성부(150)가 상기 여행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 트렌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0)에서,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정보 송신부(120)가, 상기 여행 계획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입찰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단계(S310); 상기 정보 수신부(110)가 복수의 외부의 제2 단말기(900)로부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20); 및 상기 정보 송신부(120)가 상기 제1 단말기(500)에 상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송신하는 단계(S330); 및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 조건 정보에 포함된 예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견적 정보 각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견적 정보 중 상기 입찰 관리부가 송신할 견적 정보를 선정하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설치 데이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장치들은 설치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110: 정보 수신부
120: 정보 송신부 130: 제어부
140: 데이터베이스부 150: 여행 트렌드 정보 생성부
200: 서버
500: 제1 단말기 600: 모바일 단말기
610: 위치 정보 관리부 620: 인터페이스부
630: 데이터 수집부 640: 수신부
650: 송신부 660: 디스플레이부
700: 온라인 게시판 800: 웹 페이지
900: 제2 단말기

Claims (8)

  1. 교육여행을 위한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육여행이 시작되기 이전에 외부의 제1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교육여행의 진행 중 또는 종료 후에 외부로부터 여행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정보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여행 결과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지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여행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기반으로, 상황별 안전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운영 정보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여행 계획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입찰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고,
    상기 정보 수신부는,
    복수의 외부의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입찰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상기 하나 이상의 견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찰 정보에 포함된 입찰 자격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업체의 정보를 기초로 업체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업체 추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기간 동안 외부의 웹 페이지에 노출된 여행 관련 데이터를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하고, 상기 여행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 트렌드 정보를 생성하는 여행 트렌드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여행 트렌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교육여행의 시작부터 종료 사이에 수집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온라인 게시판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그 수신한 순서로 누적하여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
  7. 교육여행을 위한 통합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여행 평가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교육여행의 시작부터 종료 사이에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여행 평가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여행 운영 정보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일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의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지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여행 운영 정보를 상기 여행지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하고,
    상기 여행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여행 통합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8. 정보 수신부, 정보 송신부, 제어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장치에서 교육여행을 위한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가 상기 교육여행이 시작되기 이전에 외부의 제1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수신부가 상기 교육여행의 진행 중 또는 종료 후에 외부로부터 여행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적어도 하나의 여행상품 정보 및 여행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행조건 정보, 여행상품 정보 및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지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여행 평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여행 결과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육여행 통합정보 제공 방법.
KR1020190021980A 2019-02-25 2019-02-25 교육여행 추진시 객관적 의사결정 및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교육여행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3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80A KR20200103453A (ko) 2019-02-25 2019-02-25 교육여행 추진시 객관적 의사결정 및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교육여행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80A KR20200103453A (ko) 2019-02-25 2019-02-25 교육여행 추진시 객관적 의사결정 및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교육여행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53A true KR20200103453A (ko) 2020-09-02

Family

ID=7244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80A KR20200103453A (ko) 2019-02-25 2019-02-25 교육여행 추진시 객관적 의사결정 및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교육여행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34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0371A1 (en) * 2020-11-12 2021-07-15 Hajsalehi Sanam Decision management system with hybrid strategy optimization for tourist's travel plan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0371A1 (en) * 2020-11-12 2021-07-15 Hajsalehi Sanam Decision management system with hybrid strategy optimization for tourist's travel plan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lkkula et al. Archetypes of service innovation: implications for value cocreation
US20190273627A1 (en)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such as for progressive announcements
US10298410B2 (en) Progressive announcements in a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US96544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mong members of meeting groups
US9264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rming attendance for in-person meetings or events
US99470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al group membership fees
Puchongkawarin et al. An integrativ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tourism logistics and public transportation in Thailand
Roth-Cohen et al. Going undercover: Online domestic tourism marketing communication in closed and open Facebook groups
Leung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rom e-tourism to smart tourism
Ikeda et al. Development of social recommendation GIS for tourist spots
WO2012094469A2 (en) Collaboration meeting management in a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Xu et al. Privately owned autonomous vehicle optimization mode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with activity-based modeling and dynamic traffic assignment framework
Gómez‐Barrón et al.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echnological design patterns
KR20200103453A (ko) 교육여행 추진시 객관적 의사결정 및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교육여행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687B1 (ko) P2p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hvanova et al. The essence and structure of smart technology in mobile education
Douglass et al.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a transit agency’s social media engagement with travelers
Zimmermann et al. Motivating change in commuters’ mobility behaviour: Digital nudging for public transportation use
Babu et al.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e-tourism service quality in Kerala
Wealands et al. User Assessment as Input for Useful Geospatial Representations within Mobile Location‐Based Services
Rakabe An investig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dissemination needs: case of Gautrain operations
Neog et al. Transit Ridership Growth in Small Urbanized Areas: Lessons from Seven US Transit Systems
KR20160008834A (ko) 현장 학습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시스템
Garbett Designing community driven participatory platforms: reconfiguring roles, resources, infrastructure, and constraints for community commissioning
Karayazi et al. Leveraging newly available big data for urban architectural heritage: Designing a recommendation system for heritage sites through the lens of social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