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807A - Shape structure of converging divergent film cooling holes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 Google Patents

Shape structure of converging divergent film cooling holes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807A
KR20200102807A KR1020190021285A KR20190021285A KR20200102807A KR 20200102807 A KR20200102807 A KR 20200102807A KR 1020190021285 A KR1020190021285 A KR 1020190021285A KR 20190021285 A KR20190021285 A KR 20190021285A KR 20200102807 A KR20200102807 A KR 20200102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oling
region
cooling hole
shape structur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8874B1 (en
Inventor
김광용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74B1/en
Publication of KR2020010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8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8Hollow blades, i.e. blades with cooling or heating channels or cavities; Heating, heat-insulating or cooling means on blades
    • F01D5/186Film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10Two-dimensional
    • F05D2250/14Two-dimensional ellip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1Inlet
    • F05D2250/511Inlet augmenting, i.e. with intercepting fluid flow cross sectional area greater than the rest of the machine behind the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 F05D2260/202Heat transfer, e.g. cooling by film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hape structure of a converging divergent film cooling hole for cooling a gas turbine blade. The shape structure is formed in a certain length to guide cooling fluid and includes a passage unit divided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region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is introduced.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A second region include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ou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Description

가스 터빈 블레이드의 냉각을 위한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Shape structure of converging divergent film cooling holes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Shape structure of converging divergent film cooling holes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본 발명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냉각을 위한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냉각 홀의 구조를 변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냉각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형상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pe structure of a convergent and divergent type film cooling hole for cooling a gas turbine blade, and more particularly, a convergent divergence type film cooling for efficiently performing a cooling function of a gas turbine blade by modifying the structure of the film cooling hole. It relates to the shape structure of the hole.

일반적으로, 가스터빈 엔진의 효율 및 성능을 높이기 위해 최근 가스터빈 엔진은 1,500~1700°C에서 작동되도록 설계되고 있으며, 열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터빈 입구온도를 연평균 20°C씩 꾸준히 상승시켜 설계하는 추세이다.In general,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gas turbine engines, recent gas turbine engines are designed to operate at 1,500 to 1700°C, and to further increase thermal efficiency, the trend of designing by steadily increasing the turbine inlet temperature by 20°C per year on average. to be.

따라서 높은 입구온도로부터 터빈 블레이드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냉각기법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막냉각(film-cooling) 방법은 블레이드 표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홀(hole)을 통해 냉각유체를 분사하여 블레이드 표면에 막을 형성함으로써 고온의 주유동가스로부터 표면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매우 효과적인 냉각성능으로 인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various cooling techniques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to protect the turbine blades from high inlet temperatures. Among them, the film-cooling method sprays cooling fluid through a hole formed at a certain angle with the blade surface. As a method of protecting the surface from high temperature mainstream gas by forming a film on the blade surface, this method is most commonly used due to its very effective cooling performance.

막냉각을 위해서는 압축기로부터 추출된 고압의 냉각공기가 사용되므로 과도한 [0004] 양의 압축공기의 사용은 가스터빈의 효율을 감소시키므로 효과적인 냉각방식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으며, 홀의 형상은 막냉각 효율에 크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막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홀의 형상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For film cooling, high-pressure cooling air extracted from the compressor is used, so the use of an excessive amount of compressed air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gas turbine, and therefore the need for an effective cooling method is emerging, and the shape of the hole is in accordance with the film cooling efficiency. Since it greatly affects the film cooling efficiency, various hole shapes are being developed.

그 중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31738호에는 벨 형상의 막냉각 홀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구부측의 단면적이 점차 확장되는 형태이며, 확관형 출구부를 갖는 막냉각 홀의 형상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구조로 발전되어 왔다.Among them, U.S. Patent Publication No. 2008/0031738 discloses a configuration of a bell-shaped membrane cooling hole, the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of which is a form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side gradually expands, as shown in FIG. The shape of the negative film cooling hole has been developed into various structure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하지만, 냉각유체가 막냉각 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막냉각 홀 내에서 분리거품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는 냉각 효율의 현저한 감소를 일으키는 원인으로서 여러차례 지적돠어 왔고, 이러한 문제점은 확관형 출구부를 갖는 종래의 막냉각 홀에서도 여전히 존재하였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cooling fluid through the membrane cooling hole, separation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membrane cooling hole, which has been pointed out several times as a cause of remarkable decrease in cooling efficiency, and this problem is due to the conventional It was still present in the film cooling hole.

또한, 막냉각 홀의 입구부 형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대부분의 형상이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에 국한되었다. In addition, hardly any studies on the shape of the inlet portion of the film cooling hole existed, and most of the shapes were limited to a cylinder having a constant diameter.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7676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7676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향상된 막냉각 성능을 나타내는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m cooling hole shape structure exhibiting improved film cooling performanc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performing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are as follows.

가스 터빈 블레이드의 냉각을 위한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에 있어서,In the shape structure of a film cooling hole for cooling a gas turbine blade,

냉각유체를 안내하도록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통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guide the cooling fluid, and includes a passage portion divided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region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is introduced, and the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and the second area include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ou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경계면을 구성하는 상기 통로부의 단면은,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원형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part constitut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a circular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또한, 상기 원형 단면의 직경의 길이를 D라 할 때, 상기 제1영역의 길이는 2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is D,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2D.

또한, 상기 통로부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면의 직경의 길이를 D라 할 때, 상기 제2영역의 길이는 4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ssage portion is formed with a constan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as turbine blade, and whe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is D,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is 4D.

또한, 상기 원형 단면의 직경의 길이를 D라 할 때, 상기 통로부는,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is D, the passage portion,

길이가 6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6D.

한편,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방향으로 0~20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확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panded to have a slope of 0 to 20 degrees in both lateral directions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ssage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영역은,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확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panded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in both later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단면이 타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portion forms an elliptical shap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렴형 입구부와 발산형 출구부를 포함하는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에 따르면, 홀 내부의 분리거품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막냉각 홀의 하부 냉각제 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hape structure of the film cooling hole including the converging inlet part and the diverging outle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lower coolant layer of the film cooling hole by reducing the size of the separation bubble inside the hole. to provide.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냉각효율을 계산하기 위한 계산영역 및 경계조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냉각효율을 계산하기 위한 그리드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서로 다른 메쉬 크기에 대한 축방향 평균 막냉각 효과의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축방향으로 평균화 된 막냉각 효과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블로잉 비율에 따른 막냉각 효과를 종래기술과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축방향으로 평균화된 막냉각 효과를 블로잉 비율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세가지 다른 블로잉 비율에서 국부적인 막냉각 효율의 분포를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성형된 막냉각 홀의 확산 부분에 있는 분리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z/D=0에서의 x-y평면상의 속도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내부 표면을 블로잉 비율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단면에서의 속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x/D가 1에서의 y-z 평면상 온도 및 와도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x/D=10에서의 y-z 평면상 온도 및 와도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에서 입구부의 경사각을 일부 달리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입구부 경사구조의 변화에 따른 냉각효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입구부 경사구조의 변화에 따른 유동박리 생성 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rging and diverging typ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culation area and boundary conditions for calculat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a convergent and diverging typ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a grid system for calculat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a converging and diverging typ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average film cooling effect in the axial direction for different mesh sizes.
5 shows experimental data on the film cooling effect averaged in the axial direction.
6 shows a result of comparing the film cooling effect according to the blowing ratio with the prior art.
7 shows a film cooling effect averaged in the axial direction of a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blowing ratio.
8 shows the distribution of local film cooling efficiency at three different blowing ratios of th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prior art.
9 shows a separation region in the diffusion portion of the formed film cooling hol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locity distribution on an xy plane at z/D=0 of a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ner surface of a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 blowing rat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the spe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mperature and vorticity distribution in a yz plane at an x/D of 1 of a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llustrates temperature and vorticity distributions on a yz plane at x/D=10 of a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artially different inclination angle of the inlet in FIG. 1.
FIG. 16 shows the cool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inlet in FIG. 15.
FIG. 17 shows the degree of flow sepa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inlet in FIG. 15.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또한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m.

이하 도면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기술한다.It will be logically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1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rging and diverging typ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에 형성된 통로부로 이루어지며, 통로부는 제1영역(110)과 제2영역(130)으로 구분된다.1, the converging and diverging typ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assage portion formed in a gas turbine blade, and the passage portion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10 and a second region 130. do.

통로부는, 냉각수 플레넘으로부터 유입된 냉각유체를 주채널로 안내한다. 통로부를 통과한 냉각유체는 터빈 블레이드와 주 채널 사이에 냉각수 층을 생성하고 이는 터빈 블레이드를 과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냉각막으로서 기능한다. 블레이드를 관통하여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1영역(110)과 제2영역(130)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passage part guides the cooling fluid introduced from the cooling water plenum to the main channel. The cool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passages creates a layer of coolant between the turbine blades and the main channel, which functions as a cooling film to protect the turbine blades from overheating. 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the blade, and can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10 and a second region 130 along the length direction.

제1영역은, 냉각유체가 냉각수 플레넘으로부터 유입되는 입구를 포함하며,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점차 그 단면적이 감소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영역은 제1영역(110)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from the cooling water plenum, and there is a region whos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A region whos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first region 110.

제2영역(130)은, 냉각유체가 주 채널로 유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며,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점차 그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점차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은 제2영역(130)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130 include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out to the main channel, and there is an area whos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A region whos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second region 130.

제1영역(110)과 제2영역(130)의 경계면은 통로부의 일 단면을 구성하고, 이 단면(120p)은 통로부의 수렴-발산 경계가 된다. 이를 경계단면(120p)이라 정의할 때, 경계단면(120p)은,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일 수 있다. The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first region 110 and the second region 130 constitutes a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portion, and this cross-section 120p becomes a convergence-divergence boundary of the passage portion. When this is defined as the boundary cross-section (120p), the boundary cross-section (120p) may be a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110)은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한 점을 향해 수렴하는 형태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b), the first region 110 may have a shape that converges toward a point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바람직하게는, 통로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그 단면적이 균일하게 좁아지는 수렴영역으로 나타날 수 있다. Preferably, it may appear as a converging area having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and uniformly narrowing its cross-sectional area.

도 1 (b)의 상부 그림은, 터빈 블레이드 면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 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터빈 블레이드 면을 x-z평면이라 정의하고, 통로부의 길이방향을 x축 방향이라 정의할 때, 제1영역(110)은, x축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z축 방향으로 확장되어 나가는 형태이다. 경계단면(120p)이 지나는 x축 상의 점을 원점이라고 가정할 때, 제1영역(110)은 -x축을 따라 형성된다.The upper figure of FIG. 1 (b) shows a perspective plan view from above the surface of the turbine blade. When the turbine blade surface is defined as the x-z plan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portion is defined as the x-axis direction, the first region 110 has a certai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x-axis and extends in the ±z-axis direction. Assuming that the point on the x-axis passing through the boundary section 120p is the origin, the first region 110 is formed along the -x axis.

바람직하게는, x-z평면상에서 제1영역(110)이 갖는 경사각은 2.5° 내지 10° 일 수 있다.Preferabl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egion 110 on the x-z plane may be 2.5° to 10°.

x-y평면상에서 제1영역의 경사각이 2.5° 미만인 경우는 측면 방향에 대해서는, 종래의 원통형 막냉각홀과 큰 형상의 차이가 없고, 따라서 막냉각홀의 막냉각 성능 및 효율도 미세한 차이만 있게 된다. 제1영역의 x-y평면상의 경사각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확장으로 인한 막냉각 효율의 상대적인 변화는 크지 않고, 추가적인 확장으로 막냉각홀 배치에 있어 측면방향으로 홀과 홀 사이의 간극이 멀어져 전체적인 막냉각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원통부의 직경 대비, 확관부의 확장이 지나치게 커지게 되면 막냉각홀을 터빈 블레이드에 형성하는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가장 바람직한 경사각은 5° 일 수 있다.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egion on the x-y plane is less than 2.5°, there is no large difference in shape from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film cooling hol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us there is only a slight difference in the film cooling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film cooling hol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n the xy plane of the first region exceeds 10°, the relative change in the film cooling efficiency due to additional expansion is not large, and the gap between the hole and the hole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film cooling hole arrangement due to additional expansion This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lm cooling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as a result of the separation.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the film cooling hole in the turbine blade when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pipe becomes too large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The most preferred angle of inclination may be 5°.

경계단면(120p)을 기점으로 제1영역(110)과 인접하여 형성된 제2영역(130)은 x축을 따라 연장되고, x축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z축 방향으로 확장되어 나가는 형태이다. 마찬가지로, 경계단면(120p)이 지나는 x축 상의 점을 원점이라고 가정할 때, 제2영역(130)은 +x축을 따라 형성된다. The second region 130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110 with the boundary cross-section 120p as a starting point extends along the x-axis, has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x-axis, and extends in the ±z-axis direction. Similarly, assuming that the point on the x-axis passing through the boundary cross-section 120p is the origin, the second region 130 is formed along the +x-axis.

바람직하게는, x-z평면상에서 제2영역(130)이 갖는 경사각은 14°일 수 있다.Preferabl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region 130 on the x-z plane may be 14°.

각 영역의 단면적이 균일하게 확장되도록 경사는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통로부의 내면을 일부 만곡하게 형성하거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등 구조적인 변경을 가하는 것도 통상의 기술자가 적용가능한 범위 내라 할 것이다. 따라서, 각 영역의 단면은, 반드시 원형 또는 타원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로부 전체의 수렴-발산형 구조를 유지하는 범위 내라면 단면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lope is formed to be uniform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region is uniformly expanded, but structural changes such as forming a partial curvature of the passage portion or further including a protrusion are also within the applicable range of the skilled person. will be. Accordingly, the cross-section of each reg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as long as it is within a range that maintains the converging-diverging structure of the entire passage portion.

도 2 (b)의 하부 그림은, 터빈 블레이드(20)를 그 면에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상의 통로부를 도시한 것이다. The lower figure of FIG. 2(b) shows a passage part in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rbine blade 20 cut perpendicular to its surface.

터빈 블레이드(20)를 관통하며 형성된 통로부는, 터빈 블레이드 면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두고 형성되며, 통로부의 축과 블레이드 면이 형성하는 경사는 30°가 가장 적절할 것이다.The passage portion formed while penetrating the turbine blade 20 is formed with a constan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turbine blade surface, and an inclination formed by the axis of the passage portion and the blade surface may be most appropriate.

터빈 블레이드(20)의 수직 절단면을 x-y평면으로 정의하고, 터빈 블레이드(20)의 깊이방향을 y축으로 정의할 때, 제1영역(110)은 x-y평면상에서 통로부의 축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형성하며 확관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확관되는 경사각은 양측으로 0~2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vertical cutting plane of the turbine blade 20 is defined as the xy plane and the depth direction of the turbine blade 20 is defined as the y-axis, the first region 110 forms a constan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passage part on the xy plane. It may be in the form of expansion. At this time, the angle of inclination to be expanded is preferably 0 to 20° to both sides.

본 발명에 따른 수렴형 입구형상의 막냉각홀 구조에 있어서, 제1영역의 x-y평면상에서 경사각이 0° 미만인 경우는 수렴형 입구형상의 막냉각홀 구조가 아니고, 반대로 확산형 입구형상의 막냉각홀 구조가 된다. 따라서, x-y평면상의 경사각이 0° 미만인 경우는 본 발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수렴형 입구형상의 막냉각홀 구조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1영역의 x-y평면상 경사각이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확장으로 인한 막냉각 효율의 상대적인 변화는 크지 않고, 추가적인 확장으로 다른 열(array)의 막냉각홀을 침범 할 가능성이 있거나 홀의 열과 열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막냉각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원통부의 직경 대비, 확관부의 확장이 지나치게 커지게 되면 막냉각홀의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In the film cooling hole structure of the converging type inlet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clination angle is less than 0° on the xy plane of the first area, it is not a converging type inlet-shaped film cooling hole structure. Becomes. Therefore, when the angle of inclination on the x-y plane is less than 0°, it is not preferable to obtain a film cooling hole structure with a converging inlet shape to be obtain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inclination angle on the xy plane of the first area exceeds 20°, the relative change in film cooling efficiency due to additional expansion is not large, and additional expansion may invade the film cooling hole of another array or This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lm cooling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increased distance between the heat and the heat.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e film cooling hole when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portion becomes too large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제1영역에서 확관되는 부분은 통로의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터빈 블레이드의 단면도에서 볼 때, 제1영역에 형성된 입구부에는 터빈 블레이드의 면과 예각을 이루는 부분이 존재한다. The portion expanded in the first region may have a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passage. Accordingly, when viewed from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rbine blade, a portion forming an acute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turbine blade exists at the inlet portion formed in the first region.

다만, 제2영역(130)은 x-y평면상에서 경사면 없이 일정한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However, the second region 130 may extend in a constant width without an inclined surface on the x-y plane.

다시 말해서, 제1영역(110)의 경우, 통로부는 x-y평면과 x-z평면 모두에서 각각 일정한 경사로 확관되나, 제2영역(130)의 경우, 통로부는 x-z평면 상에서만 일정한 경사로 확관되는 형태일 수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first region 110, the passage portion is expanded with a constant slope in both the xy and xz planes, but in the case of the second region 130, the passage portion may be expanded with a constant slope only on the xz plane. .

또한, 경계단면(120p)의 직경을 D라 정의할 때, 제1영역의 길이는 2D, 제2영역의 길이는 4D로서, 통로부 전체의 길이는 6D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수치적인 한정에서 일부 벗어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라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할 것이다.Further, when the diameter of the boundary cross-section 120p is defined as 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is 2D,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is 4D, and the length of the entire passage is 6D. However, even if some deviates from these numerical limitations, it will be said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i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technical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 (c)를 참조하면, 제1영역(110)과 제2영역(130) 사이에 실린더 영역(120v)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실린더 영역(120v)은 경계단면(120p)과 동일한 면적으로 통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정형성 된다. 즉, 경계단면(120p)이 통로부의 길이방향으로 부피를 갖도록 확장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냉각수 플렌지를 통해 유입된 냉각유체는, 제1영역(110)을 통과한 후 바로 제2영역(130)에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실린더 영역(120v)을 경유하게 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C, a cylinder region 120v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egion 110 and the second region 130. The cylinder region 120v has the same area as the boundary cross-section 120p and i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ssag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boundary cross-section 120p is expanded to have a volu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In this case, the cooling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cooling water flange does not enter the second region 130 immediately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region 110, but passes through the cylinder region 120v.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냉각효율을 계산하기 위한 계산영역 및 경계조건을 도시한 것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culation area and boundary conditions for calculat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a convergent and diverging typ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2는 고온 가스의 주 채널, 닫힌 끝이 있는 냉각수 플레넘 및 막냉각 홀로 구성된 계산 영역을 도시한다. 주 채널 입구에서 막냉각 홀의 출구 중심까지의 거리는 30D이고, 주채널과 냉각수 플레넘의 총 길이는 70D와 40D이며 주 채널과 냉각수 플레넘의 높이는 각각 8D와 6D이다.Specifically, FIG. 2 shows a calculation area consisting of a main channel of hot gas, a cooling water plenum with a closed end, and a film cooling hole.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f the main channel to the center of the outlet of the membrane cooling hole is 30D, the total length of the main channel and cooling water plenum is 70D and 40D, and the height of the main channel and cooling water plenum is 8D and 6D, respectively.

작동 유체는 이상기체(공기)로 가정하였다. 주류 유입구에는 13.8m/x의 균일한 유입 속도와 321K의 온도가 정해졌으며 레이놀즈 수는 막냉각 홀의 직경과 주류 유입 속도에 기반하여 11,000으로 설정하였다. 냉각수 플래넘 입구의 냉각수 흐름은 296K의 온도에서 플로잉 비율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한 질량 유량을 갖는다. 블로잉 비율(M)은 주류에 대한 냉각제 흐름의 질량 유속 비율로 정의된다. M=0.5, 1.0 및 1.5의 세 가지 발포 비율이 테스트되었다.The working fluid was assumed to be an ideal gas (air). A uniform inflow velocity of 13.8m/x and a temperature of 321K were set at the mainstream inlet, and the Reynolds number was set to 11,000 based on the diameter of the membrane cooling hole and the inflow velocity of the liquor. The coolant flow at the inlet of the coolant plenum has a constant mass flow to fix the flow rate at a temperature of 296K. Blowing ratio (M) i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mass flow rate of the coolant flow to the liquor. Three foaming ratios of M=0.5, 1.0 and 1.5 were tested.

주 채널에서의 고온 가스에 대한 냉매의 밀도 비(DR)는 1.083이었다. 대기압(제로 게이지 압력)은 주 채널의 출구에서 지정되었다. 모든 벽은 노 슬립 및 단열 벽이며, 막냉각 홀 배열이 고려되었기 때문에 측면 경계에서 주기조건이 사용되었다. 인접한 막냉각 홀 사이의 거리(홀의 피치)는 6D였다. 주 채널 입구의 난류 강도는 3%였다. 매쉬 생성은 ANSYS ICEM 15.0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The density ratio (DR) of the refrigerant to the hot gas in the main channel was 1.083. Atmospheric pressure (zero gauge pressure) was specified at the outlet of the main channel. All walls are no-slip and insulated walls, and since the film cooling hole arrangement was considered, periodic conditions were used at the side boundary. The distance (hole pitch) between adjacent film cooling holes was 6D. The turbulence intensity at the inlet of the main channel was 3%. Mesh generation was performed using ANSYS ICEM 15.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냉각효율을 계산하기 위한 그리드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3 shows an example of a grid system for calculat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a converging and diverging typ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주 채널의 그리드는 사면체 메쉬로 구성되어 있으며 냉각수 플레넘 및 막냉각 홀에 육면체 그리드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메쉬는 막냉각 홀 내부와 주 채널의 냉각면과 냉각수 플레넘의 윗면에 밀집되어 있다. 벽에 프리즘 레이어가 쌓여 있고 벽에 인접한 첫 번째 프리즘 레이어가 y+>30에 배치되어 경험적 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grid of the main channel is composed of a tetrahedral mesh, and a hexahedral grid system is used for the cooling water plenum and membrane cooling hole. The mesh is concentrated inside the membrane cooling hole and on the cooling surface of the main channe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oling water plenum. The prism layer is stacked on the wall, and the first prism layer adjacent to the wall is placed at y + >30 to implement the empirical wall function.

수치 해법의 수렴은 모든 유동 변수의 제곱 평균 제곱근 값이 1.0 × 10-6이하로 떨어질 때 그리고 전체 계산 영역에서 질량과 에너지의 불균형이 0.001 % 미만일 때 발생한다고 가정했다. 3.41-GHz 인텔 i7 프로세서가 장착 된 컴퓨터가 계산에 사용되었다. 단일 분석에 대한 계산은 5000 번의 반복 작업으로 종료되었으며, 형상에 따라 약 50 시간에서 60 시간의 계산 시간이 소요되었다.The convergence of the numerical solution is assumed to occur when the root mean square value of all flow variables falls below 1.0 × 10 -6 and when the mass and energy imbalance is less than 0.001% over the entire computational domain. A computer with a 3.41-GHz Intel i7 processor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The calculation for a single analysis ended in 5000 iterations, and it took about 50 to 60 hours depending on the shape.

공간적으로 평균화 된 막냉각 효과 (η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The spatially averaged film cooling effect (ηs) is defined a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her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Taw는 단열 벽 온도이고 Th와 Tc는 주 채널과 냉각수 플레넘 온도의 주류 온도이다. 공간적으로 평균화 된 막냉각 효과는 냉각면에서 3D의 폭과 길이 방향 길이가 20D인 영역에서 평균화되었다.Taw is the adiabatic wall temperature and Th and Tc are the main channel and coolant plenum temperatures. The spatially averaged film cooling effect was averaged over a region where the 3D width an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ere 20D on the cooling surface.

수치 솔루션의 그리드 독립성은 수렴-발산 막 냉각홀에 대해 평가되었다. 그리드 독립성 테스트를 위해 1.7에서 4.0 백만 범위의 세 노드 수가 테스트되었다.The grid independence of the numerical solution was evaluated for the convergent-diverging membrane cooling hole. For grid independence testing, three node counts ranging from 1.7 to 4.0 million were tested.

도 4는 서로 다른 메쉬 크기에 대한 축방향 평균 막냉각 효과의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average film cooling effect in the axial direction for different mesh sizes.

보다 구체적으로, 세 가지 다른 메쉬 크기에 대한 측 방향 평균 막냉각 효과의 분포를 도시한다.. 거의 동일한 분포가 260만개와, 400만개의 격자 노드에서 발생하였다. 따라서 최적의 그리드 노드 수는 260만개로 선택되었다.More specifically, the distribution of the lateral average film cooling effect for three different mesh sizes is shown. Almost the same distribution occurred at 2.6 million and 4 million grid nodes. Therefore, the optimal number of grid nodes was selected as 2.6 million.

시뮬레이션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가장 좋은 난류 모델을 선택하기 위해 세 가지 다른 난류 모델을 사용하는 부채꼴 및 원통형 홀의 수치 결과를 종래 실험 데이터(by Saumweber et al. 2008)와 비교하였다.(도 5 참조) 팬 모양 및 원통형 홀은 각각 FAN 및 CYL로 표시된다. 테스트 된 3 가지 난류 모델은 표준 k-ε 모델, 높은 Re SST 모델, 낮은 Re SST 모델 이다.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and to select the best turbulence model, the numerical results of the fan-shaped and cylindrical holes using three different turbulence models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experimental data (by Saumweber et al. 2008) (see Fig. 5). Shaped and cylindrical holes are denoted by FAN and CYL, respectively. The three turbulence models tested were the standard k-ε model, the high Re SST model, and the low Re SST model.

도 5는 축방향으로 평균화 된 막냉각 효과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블로잉 비율에 따른 막냉각 효과를 종래기술과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experimental data on the film cooling effect averaged in the axial direction. 6 shows a result of comparing the film cooling effect according to the blowing ratio with the prior art.

도 5 (a)는 M = 0.5에서 부채 모양의 홀에 대한 측 방향 평균 막냉각 효과의 분포를 보여준다. 높은 Re SST 모델을 사용한 수치 결과는 실험 데이터와 가장 잘 일치함을 보여준다. 표준 k-ε 모델은 약간 크지 만 유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낮은 Re의 SST 모델은 실험 데이터에 비해 막냉각 효과가 크게 예측된다. 따라서 경험적 벽 기능을 가진 high-Re SST 모델이 본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도 5 (b)는 M = 0.5 인 부채꼴 및 원통형 홀과 M = 1.5 인 부채꼴 홀에 대한 측 방향 평균 막냉각 효과의 분포를 나타낸다. 부채 형태의 홀에 대한 수치 결과는 두 가지의 비율에 대해 다소 과장 예측되었지만 일반적인 경향은 실험 데이터와 일치한다.Figure 5 (a)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average film cooling effect in the lateral direction for the fan-shaped hole at M = 0.5. The numerical results using the high Re SST model show the best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The standard k-ε model is slightly larger, but shows similar results. However, the SST model of low Re is predicted to have a large film cooling effect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data. Therefore, a high-Re SST model with empirical wall function was used in this study. Fig. 5(b)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average film cooling effect in the lateral direction for the fan-shaped and cylindrical holes of M = 0.5 and the fan-shaped holes of M = 1.5. The numerical results for the debt-shaped hole are somewhat exaggerated for both ratios, but the general trend is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수렴-발산 막냉각 홀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수렴발산 막냉각 홀(도 1 (b))의 공간 평균 된 막냉각 효과를 단순한 부채꼴 홀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도 1 (a)), 0.5, 1.0 및 1.5의 블로잉 비율로도 도 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수렴-발산 헐은 상기 팬 형 막냉각 홀의 그것과 비교하여, 공간 평균화 된 막냉각 효율을 4.34 %, 5.91 % 및 9.88 %였다. 공간적으로 평균화 된 막냉각 효율의 증가는 블로잉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커짐을 알 수 있다.In order to prove the effect of the convergent-diverging film cooling hole, the spatially averaged film cooling effect of the convergent-diverging film cooling hole (Fig. 1(b)) was compared with that of a simple fan-shaped hole. (Fig. 1 (a)), as shown in Fig. 6, with a blowing ratio of 0.5, 1.0, and 1.5, the convergence-dispersion hull has a spatially averaged film cooling efficiency compared to that of the fan-type film cooling hole. It was 4.34%, 5.91% and 9.88%. It can be seen that the spatially averaged increase in the film cooling efficiency increases as the blowing rate increase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축방향으로 평균화된 막냉각 효과를 블로잉 비율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7 shows a film cooling effect averaged in the axial direction of a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blowing ratio.

M = 0.5에서, 수렴-발산 막냉각 홀은 홀 바로 하류에서보다 높은 막냉각 효과를 나타내지만, 두 홀 모두 먼 하류 영역에서 거의 동일한 막냉각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송풍 비가 증가함에 따라, 수렴-발산 막냉각 홀은 막냉각 효과를 더 향상시킨다. 따라서 수렴-발산 박냉각 홀의 막냉각 효율의 레벨은 M = 1.0 및 1.5에서 전체 영역의 부채꼴 홀의 그것보다 높다.At M = 0.5, the convergent-diverging film cooling hole exhibits a higher film cooling effect than immediately downstream of the hole, but both holes exhibit almost the same film cooling effect in the far downstream region. However, as the blowing ratio increases, the converging-diverging film cooling hole further enhances the film cooling effect. Therefore, the level of the film cooling efficiency of the convergent-diverging thin cooling hole is higher than that of the fan-shaped hole in the whole area at M = 1.0 and 1.5.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세가지 다른 블로잉 비율에서 국부적인 막냉각 효율의 분포를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8 shows the distribution of local film cooling efficiency at three different blowing ratios of th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prior art.

수렴-발산 막냉각 홀은 팬 형상 막냉각 홀에 비해 홀 바로 하류에서보다 높은 막냉각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송풍 비율에 관계없이 냉각제의 스팬 방향으로 퍼짐에있어 명확한 개선은 없다. 이는 막냉각 효과의 향상이 냉각제 스프레드의 개선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The convergent-diverging film cooling hole exhibits a higher film cooling effect than the fan-shaped film cooling hole immediately downstream of the hole. However, there is no clear improvement in spreading in the span direction of the coolant regardless of the blowing rate. This indicates that the improvement of the film cooling effect is not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olant spread.

도 9는 성형된 막냉각 홀의 확산 부분에 있는 분리영역을 도시한 것이다.9 shows a separation region in the diffusion portion of the formed film cooling hole.

디퓨저의 입구에서 비대칭 속도 프로파일은 막냉각 홀의 축을 향한 냉각제의 편향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 현상을 분사 효과라 한다. 분리 영역은 디퓨저의 후방 벽에 형성되고 냉각제를 측면으로 변위시켜도 8에 도시 된 전형적인 이정표 효과 패턴을 유도한다.The asymmetric velocity profile at the inlet of the diffuser is caused by the deflection of the coolant towards the axis of the film cooling hole. This phenomenon is called the spray effect. Separation regions are formed on the rear wall of the diffuser and displace the coolant laterally, leading to the typical milestone effect pattern shown in Figure 8.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z/D=0에서의 x-y평면상의 속도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locity distribution on an x-y plane at z/D=0 of a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M = 0.5에서의 팬 - 모양 및 수렴-발산 막냉각 홀에 대한 z/D = 0에서의 x-y 평면상의 속도 윤곽을 보여준다. 이전의 연구에서 수렴 된 입구 형상은 분사 효과를 감소시키고 막냉각 홀 내부의 운동량의 균일성을 향상시켰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속은 부채 형 홀의 전방 벽 근처에서 증가하지만, 큰 분리 영역은 막냉각 홀의 후방 벽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수렴-발산 막냉각 홀에서, 확산기의 입구에서의 속도 프로파일은 부채형 홀의 프로파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균일하다.Specifically, it shows the velocity profile on the x-y plane at z/D = 0 for the fan-shape and convergence-divergent film cooling hole at M = 0.5. In the previous study, the converging inlet shape reduced the spraying effect and improved the uniformity of the momentum inside the film cooling hole. As shown in Fig. 10, the flow velocity increases near the front wall of the fan-shaped hole, but a large separation area occurs at the rear wall of the film cooling hole. However, in the convergent-diverging film cooling hole, the velocity profile at the inlet of the diffuser is relatively uniform compared to that of the fan-shaped hol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내부 표면을 블로잉 비율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ner surface of a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 blowing rat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o-surface는 U / U∞ = 0.1 인 표면을 나타내며, 막냉각 홀에 생성 된 분리 영역을 효율적으로 보여준다. 부채꼴 형태의 홀의 경우, 모든 분출 비에서 디퓨저 부분에 큰 분리 기포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면 막냉각 홀의 출구 바로 아래의 막냉각 효과가 감소한다. 그러나, 수렴-발산 막냉각 홀에서, 분리 버블의 크기는 상당히 감소하고, 따라서, 냉각제는 막냉각 홀을 통해 보다 고르게 배수된다.The iso-surface represents a surface with U/U∞ = 0.1, and efficiently shows the separation area created in the film cooling hole. In the case of a fan-shaped hole, large separation bubbles are formed in the diffuser portion at all ejection ratios. This reduces the film cooling effect just below the exit of the film cooling hole. However, in the converging-diverging film cooling hole, the size of the separating bubble decreases considerably, and thus, the coolant is drained more evenly through the film cooling hol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단면에서의 속도를 도시한 것이다.12 shows the spe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막냉각 홀 (평면 a, b, c 및 d)의 중심 축에 수직 인 4 개의 단면에서의 속도 윤곽을 보여준다. 냉각제는 양쪽 홀의 아래쪽에 위치한 분리 기포에 의해 위쪽으로 변위된다. 그러나, 수렴-발산 막냉각 홀 내의 분리 영역은 부채꼴 홀의 분리 영역보다 작다. 따라서, 수렴-발산 막냉각 홀은 부채꼴 홀보다 더 균일 한 속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수렴-발산 막냉각 홀은 냉각수가 홀 하류의 냉각 표면에 더 잘 접촉되도록 한다.Specifically, it shows the velocity profile in four sections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film cooling hole (planes a, b, c and d). The coolant is displaced upward by separating bubbles located at the bottom of both holes. However, the separation area in the converging-diverging film cooling hol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tor hole. Therefore, the convergent-diverging film cooling hole exhibits a more uniform velocity profile than the fan-shaped hole. For this reason, the converging-diverging film cooling hole allows the coolant to better contact the cooling surface downstream of the hol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x/D가 1에서의 y-z 평면상 온도 및 와도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mperature and vorticity distribution in a y-z plane at x/D of 1 of a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채꼴 및 수렴형 발산 막냉각 홀의 모두에서, 냉각제 층의 중앙부의 두께는 홀 내에 분리 된 기포의 존재로 인해 감소되었다. 그러나, 수렴-발산 형상의 경우, 도 1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감소 된 분리 기포로 인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층이 중앙 부분에 나타된다. 이는 냉각제 층의 폭이 거의 동일하더라도, 팬 형 막냉각 홀에 비해 수렴-발산 막냉각 홀이 냉각 효과의 향상에 더 기여함을 나타낸다.(도 7 및 도 8)In both the fan-shaped and converging diverging film cooling holes,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olant layer was reduced due to the presence of separated air bubbles in the hole.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rgent-diverging shape, as shown in Fig. 11, a relatively thick layer appears in the center portion due to the reduced separation air bubbles. This indicates that even if the width of the coolant layer is almost the same, the converging-diverging film cooling hole contributes more to the improvement of the cooling effect than the fan-type film cooling hole (Figs. 7 and 8).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의 x/D=10에서의 y-z 평면상 온도 및 와도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14 illustrates temperature and vorticity distributions in a y-z plane at x/D=10 of a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M = 1.5에 대한 x / D = 10에서 y-z 평면상의 온도와 와도 분포를 도시한다. 두 개의 신장 소용돌이가 발생했고, 신장 소용돌이 사이에서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다른 두 개의 소용돌이가 발생하였다. 수렴 - 발산 모양은 신장 소용돌이 사이의 추가적인 와류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이는 냉각제와 고온의 주변 유체 사이의 혼합을 감소시켜 막냉 각 효과를 향상시킨다. 수렴-발산 막냉각 홀의 경우의 냉각제 온도도 비교적 낮다Specifically, we plot the temperature and vorticity distribution on the y-z plane at x/D = 10 for M = 1.5. Two renal vortices occurred, and two other vortices flowing in opposite directions between the renal vortices. Converging-divergent shape reduces the intensity of additional vortices between the renal eddies. This improves the film cooling effect by reducing mixing between the coolant and the hot surrounding fluid. The coolant temperature is also relatively low in the case of the convergent-diffusion film cooling hole.

도 15는 도 1에서 입구부의 경사각을 일부 달리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입구부 경사구조의 변화에 따른 냉각효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입구부 경사구조의 변화에 따른 유동박리 생성 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15 is a partially different inclination angle of the inlet in FIG. 1. FIG. 16 shows the cool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inlet in FIG. 15. FIG. 17 shows the degree of flow sepa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inlet in FIG. 15.

제1영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수렴형 입구부라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발산형 출구부라 지칭될 수 있다. ‘수렴형 입구부의 하부’라는 표현에서 ‘하부’는 냉각 유체가 막냉각 홀을 따라 진행하는 방향을 하부에서 상부라고 할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확장각’은 ‘경사각’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래 설명들은 전술한 용어들에 기초하여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region may be referred to as a converging inle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econd region may be referred to as a diverging type exi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pression'lower part of the converging inlet','lower' is based on the case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oling fluid travels along the film cooling hole is from bottom to top. 'Expansion angle' can be used with the same meaning as'inclination angle'. The following descriptions may be understood based on the terms described above.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냉각 홀은 수렴형 입구부의 하부에 경사구조를 달리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뛰어난 막냉각 홀의 형상구조를 발견할 수 있다.15 to 17, the film coo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ifferent inclined structure under the converging inlet,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ind the shape structure of the film cooling hole with relatively excellent efficiency. I can.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 수렴형 입구부 하부의 유동방향 확장각(β)이 60°일 경우에 대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경우, 수렴형 입구부의 하부와 블래이드 표면은 수직을 이루게 된다.As shown in Fig. 15, th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case where the flow direction expansion angle (β) below the converging inlet was 60°. 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converging inlet and the blade surface are vertical.

이 경우,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렴형 입구부 하부에서의 유동방향 확장각(β) 60°인 경우가 15°인 경우에 비하여 측면평균-막냉각 효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막냉각 홀 출구 근처의 영역에서 그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6, it can be seen that the side average-film cooling efficiency is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low direction expansion angle (β) 60° below the convergent inlet is 15°. The difference was found to be large in the area near the exit of the hall.

도 17을 참조할 때, β = 60°인 경우가 β = 15°인 경우에 비하여 발산형 출구부 하부에서 생기는 유동박리가 더 넓게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발산형 출구부 상부에 냉각유체가 집중되게 되어 냉각유체의 국소적인 모멘텀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냉각유체가 주유동에 침투하려는 경향이 강화되어 막냉각 성능을 감소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 17,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β = 60°, the flow separation occurring in the lower part of the diverging type outlet is generated more widely than in the case of β = 15°. As a result, the cooling fluid is concentr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ivergent outlet, thereby increasing the local momentum of the cooling fluid. Accordingly, the tendency of the cooling fluid to penetrate into the main flow is strengthened, thereby reducing the film cooling performance.

수렴형 입구부가 유동박리를 억제시켜 막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게 되지만 오히려 발산형 출구부 하부에서의 유동박리가 과하게 억제될 경우, 막냉각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유동박리는 냉각유체의 국소적인 모멘텀을 증가시켜 막냉각 성능을 감소시키는 경향도 있지만 출구부 형상이 fan 형상처럼 발산형의 경우에서는 냉각유동을 두 갈래로 분리시키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냉각유동의 측면방향 확산성을 증가시켜준다. 이에 따라 입구부가 필요이상으로 확장되어 유동박리가 과하게 억제될 경우, 냉각유동의 측면방향 확산성이 감소하게 되어 막냉각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The converging inlet portion suppresses flow separation to improve the film cooling efficiency. However, if the flow separation under the diverging type outlet portion is excessively suppressed, the film cooling performance may decrease. The flow separation tends to decrease the film cooling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local momentum of the cooling fluid, but in the case of the diverging type, like the fan shape, the outlet shape also serves to separate the cooling flow into two branches. Increases diffusivity. Accordingly, when the inlet portion is expanded more than necessary and the flow separation is excessively suppressed, the diffusion of the cooling flow in the lateral direction may decrease,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film cooling performance.

이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구성들을 개시한 것이다.The following is a disclosure of configura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스 터빈 블레이드의 냉각을 위한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에 있어서,In the shape structure of a film cooling hole for cooling a gas turbine blade,

냉각유체를 안내하도록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통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guide the cooling fluid, and includes a passage portion divided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region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is introduced, and the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and the second area include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ou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경계면을 구성하는 상기 통로부의 단면은,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원형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part constitut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a circular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또한, 상기 원형 단면의 직경의 길이를 D라 할 때, 상기 제1영역의 길이는 2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is D,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2D.

또한, 상기 통로부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면의 직경의 길이를 D라 할 때, 상기 제2영역의 길이는 4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ssage portion is formed with a constant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as turbine blade, and whe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is D,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is 4D.

또한, 상기 원형 단면의 직경의 길이를 D라 할 때, 상기 통로부는,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is D, the passage portion,

길이가 6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6D.

한편,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방향으로 0~20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확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panded to have a slope of 0 to 20 degrees in both lateral directions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ssage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영역은,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확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panded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in both later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단면이 타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portion forms an elliptical shape.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터빈 블레이드 20
제1영역 110
경계단면 120p
제2영역 130
Turbine blade 20
Area 1 110
Boundary section 120p
Area 2 130

Claims (8)

가스 터빈 블레이드의 냉각을 위한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에 있어서,
냉각유체를 안내하도록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통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
In the shape structure of a film cooling hole for cooling a gas turbine blade,
It is formed in a certain length to guide the cooling fluid and comprises a passage portion divided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area,
It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is introduced, and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The second area,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and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경계면을 구성하는 상기 통로부의 단면은,
상기 냉각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원형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part constituting the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he shape structure of the converging and diverging film cool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단면의 직경의 길이를 D라 할 때,
상기 제1영역의 길이는 2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is D,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is 2D, the shape structure of the convergent and divergent type film cooling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면의 직경의 길이를 D라 할 때,
상기 제2영역의 길이는 4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The passage portion,
It is formed with a constant slope with respect to the gas turbine blade,
Whe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is D,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is 4D, the shape structure of the convergent and divergent type film cooling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단면의 직경의 길이를 D라 할 때,
상기 통로부는,
길이가 6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is D,
The passage portion,
The shape structure of the converging and diverging type film cool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6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방향으로 0~20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확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rea,
The shape structure of a converging and diverging type film cool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panded to have a slope of 0 to 20 degrees in both side directions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ssag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확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area,
The shape structure of the converging and diverging type film cool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is expanded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in both side directions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ssag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통로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단면이 타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렴발산형 막냉각 홀의 형상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rea,
The shape structure of the converging and diverging film cool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part has an elliptical shape.
KR1020190021285A 2019-02-22 2019-02-22 Shape structure of converging divergent film cooling holes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KR102318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285A KR102318874B1 (en) 2019-02-22 2019-02-22 Shape structure of converging divergent film cooling holes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285A KR102318874B1 (en) 2019-02-22 2019-02-22 Shape structure of converging divergent film cooling holes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07A true KR20200102807A (en) 2020-09-01
KR102318874B1 KR102318874B1 (en) 2021-10-29

Family

ID=7246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285A KR102318874B1 (en) 2019-02-22 2019-02-22 Shape structure of converging divergent film cooling holes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87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7904A (en) * 2020-12-23 2021-04-09 西北工业大学 Novel bucket type air film cooling hole and design method thereof
KR20220057769A (en) 2020-10-30 2022-05-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m cooling hole with multiple step structure
CN114687809A (en) * 2022-03-10 2022-07-01 西北工业大学 Design method and application for fan-shaped air film hole of turbine bla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006A (en) * 2011-04-08 2012-10-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hape of the film cooling hole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JP2016166606A (en) * 2015-02-24 2016-09-15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Engine compon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006A (en) * 2011-04-08 2012-10-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hape of the film cooling hole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KR101276760B1 (en) 2011-04-08 2013-06-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hape of the film cooling hole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JP2016166606A (en) * 2015-02-24 2016-09-15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Engine compon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769A (en) 2020-10-30 2022-05-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m cooling hole with multiple step structure
CN112627904A (en) * 2020-12-23 2021-04-09 西北工业大学 Novel bucket type air film cooling hole and design method thereof
CN112627904B (en) * 2020-12-23 2023-06-09 西北工业大学 Novel bucket type air film cooling hole and design method thereof
CN114687809A (en) * 2022-03-10 2022-07-01 西北工业大学 Design method and application for fan-shaped air film hole of turbine 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874B1 (en)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874B1 (en) Shape structure of converging divergent film cooling holes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Heidmann A numerical study of anti-vortex film cooling designs at high blowing ratio
Liu et al. Enhanced film cooling effectiveness with new shaped holes
Rigby et al. Improved film cooling effectiveness by placing a vortex generator downstream of each hole
Kim et al. Surrogate-based optimization of a cratered cylindrical hole to enhance film-cooling effectiveness
Yalçınkaya et al. Effect of slot-shaped pins on heat transfer performance in the extended jet impingement cooling
Xie et al. A review of impingement jet cooling in combustor liner
Lee et al. Numerical analysis of film-cooling performance and optimization for a novel shaped film-cooling hole
Cheng et al. Effect of film-hole configuration on film-cooling effectiveness of squealer tips
KR101276760B1 (en) The Shape of the film cooling hole for cooling gas turbine blades
Jose et al. Numerical investigation of adiabatic film cooling effectiveness over a flat plate model with cylindrical holes
Krishnababu et al. Aero-thermal investigations of tip leakage flow in axial flow turbines: Part I—Effect of tip geometry and tip clearance gap
Khajehhasani et al. Numerical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sister–shaped single–hole schemes on turbine blade leading edge film cooling
Alshehaby et al. Numerical optimization of geometry parameters for shaped film cooling holes
Kianpour et al. Film cooling effectiveness in a gas turbine engine: a review
Sathish et al. Numerical investigation on film cooling of gas turbine blade using anti-vortex holes
JP2018135883A (en) Method for cooling turbine blade
Kim et al. Shape optimization of a bended film-cooling hole to enhance cooling effectiveness
Cheng et al. Effects of casing motion on tip leakage flow and film-cooling effectiveness of squealer tips
Zhang et al. Enhanced heat transfer and thermal performance of a blade with tree-shaped film cooling channels
Tran et al. Investigation of Extruded Endwall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Channel with Staggering Pin-fins
He et al. Jet impingement heat transfer enhancement with different crossflow diverter shapes
Thirumalai et al. A new channel-based internal cooling design for turbine blade leading edge cooling using tangential crossover jets utilizing effects of rotation
Ademane et al. Influence of twisted tape insert on the coolant flow characteristics in swirled film cooling
Abdala et al. Computational film cooling effectiveness of dual trench configuration on flat plate at moderate blowing rat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