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628A - Method of operating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of operating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628A
KR20200102628A KR1020190020819A KR20190020819A KR20200102628A KR 20200102628 A KR20200102628 A KR 20200102628A KR 1020190020819 A KR1020190020819 A KR 1020190020819A KR 20190020819 A KR20190020819 A KR 20190020819A KR 20200102628 A KR20200102628 A KR 20200102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ode
operating
electronic device
wireles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9502B1 (en
Inventor
전찬익
문병인
김양훈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02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502B1/en
Publication of KR2020010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6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04B5/006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rovided are operation methods of a radio signal recei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operation methods of the radio signal receiving system, which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radio signal receiving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 antenna device and a structure equipped with an auxiliary antenna, comprises the steps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 first mode; recognizing the proximity of the structure by the electronic device; and maintaining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first mode or operating in a second mode.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 first antenna; a second antenna; and a first switch electrically connecting or separating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In the first mode,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operate.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switch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he electrically connected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coupled to the auxiliary antenna to receive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Description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Method of operating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TECHNICAL FIELD [Method of operating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최근 휴대폰, 태블릿 PC 등을 비롯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다양한 무선통신 기능과 함께 무선전력 충전 기능이 구비되는 추세이다. 이때, 각 무선통신 및 무선전력 충전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되는 주파수가 상이하므로 각각의 주파수 또는 애플리케이션별로 안테나를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안테나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tend to be equipped with a wireless power charging function along with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In this case, since the frequencies used for each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charging ar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application, an antenna must be provided for each frequency or application. Accordingly,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s increasing.

이와 같이, WPC 안테나, NFC 안테나 및 MST 안테나 등 사용되는 안테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안테나들은 콤보(Combo) 형태로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As described above, as the number of antennas used, such as a WPC antenna, an NFC antenna, and an MST antenna, increases, a plurality of antennas are being applied in a combo form.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콤보 형태의 복수의 안테나를 탑재한 휴대형 전자 장치가 FM 주파수 또는 재난망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in whi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mbo-type antennas can receive an FM frequency or a disaster network frequenc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안테나 장치가 설치된 전자 장치 및 보조 안테나가 탑재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구조물의 근접을 인식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장치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가 상기 보조 안테나와 커플링 되어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n antenna device is installed and a structure in which an auxiliary antenna is mounted. Operating a device in a first mode, recognizing the proximity of the structure by the electronic device, and maintain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 first mode or operating in a second mode, wherein the antenna device comprises: A first antenna, a second antenna, and a first switch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r separating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nd in the first mode,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eparately operated,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switch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nd the electrically connected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coupled to the auxiliary antenna It is ringed to receive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루프 형태의 안테나이고, 상기 제2 모드에서,The antenna device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circu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signal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wherei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loop-type antennas, and in the second mode,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안테나의 일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타단은 상기 수신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witch may electrically connect one end of the first antenna and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ntenna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circuit.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직렬 연결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be connected in series.

상기 안테나 장치는, 제3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3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3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제3 안테나가 상기 전자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보조 안테나와 커플링 되어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antenna device further includes a third antenna and a second switch electricall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and in the second mode, the second switch A third antenna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electrically connected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are coupled with an auxiliary antenna located outside the electronic device to receive a signal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I can.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3 안테나는 루프 형태의 안테나이고,The antenna device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circu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signal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wherein the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are antennas in a loop shape,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안테나의 일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제2 안테나의 타단과 상기 제3 안테나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안테나의 타단 및 상기 제3 안테나의 타단은 상기 수신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the first switch electrically connects one end of the first antenna and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and the second switch electrically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ntenna and one end of the third antenna.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antenna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circuit.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3 안테나는, 각각 직렬 연결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the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may be connected in series, respectively.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보조 안테나와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ntenna device, and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auxiliary antenna and the housing.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직접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be disposed to directly contact the inside of the housing.

상기 구조물은 카드 형태일 수 있다.The structure may be in the form of a card.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은 FM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may be an FM frequency band.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NFC 안테나이고, 다른 하나는 무선 전력 전송용 안테나일 수 있다.One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be an NFC antenna, and the other may be an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상기 구조물의 근접을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구조물을 상호 거리가 10cm 이내인 경우에 인식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구조물의 근접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proximity of the structure, the electronic device recognizes the structure when the mutual distance is within 10 cm,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recognizes the proximity of the structure,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I can go over it.

상기 구조물은 상기 전자 장치가 근접을 인식하도록 하는 NFC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n NFC module allowing the electronic device to recognize proximity.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콤보 형태의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가 FM 주파수 또는 재난망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combo-type antennas may receive an FM frequency or a disaster network frequenc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illustrat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전면기준 및 배면기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의 개략적인 배치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알고리즘 순서도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1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들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2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과 카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1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들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2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과 카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signal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front reference and a rear reference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2.
4 is a schematic layout plan view of a c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n algorithm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states of combo antenna units of a smartphone when the antenna device is in a firs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states of a combo antenna unit and a card of a smart phone when the antenna device is in a secon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states of combo antenna units of a smartphone when the antenna device is in a firs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states of a combo antenna unit and a card of a smart phone when the antenna device is in a second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Although the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signal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은 전자 장치 및 구조물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와 구조물은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and a structure. Electronic devices and structures can be independently configured.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로서 스마트폰(10)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노트북, 모니터, TV, 휴대폰, MP3 플레이어, 의료측정기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HMD를 포함하는 각종 스마트 기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smartphone 10 will be described as an electronic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notebook, a monitor, a TV,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 medical measurement device, and various smart devices including a wearable device and an HMD, unless the idea of the invention is changed.

또한, 구조물로서 카드(2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카드(20)의 실시 형태로는 신분증, 현금직불카드, 신용카드, 교통카드 및 맴버쉽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20)는 일반적인 카드형의 형상으로 둥근 모서리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태를 갖는 것으로 예로 들었지만,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card 2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s a structure. For example, an embodiment of the card 20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card, a cash debit card, a credit card, a transportation card, and a membership card. The card 20 is exemplified as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cluding rounded corners in a general card-shaped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카드(20)와 일정 거리(L) 이내 근접한 스마트폰(10)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마트폰(10)은 단독으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가 탑재된 카드(20)와 스마트폰(10)이 일정 거리(L) 이내 근접하면, 스마트폰(10) 내 적어도 일부 안테나는 카드(20) 내 적어도 일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커플링(Cant)되어 새로운 안테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10)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smart phone 10 close to the card 20 within a certain distance L may receive a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In some embodiments, the smartphone 10 may not be able to receive signals of the specific frequency band alone. At this time, when the card 20 on which the antenna is mounted and the smartphone 10 are close within a certain distance L, at least some antennas in the smartphone 10 are electrically coupled to at least some antennas in the card 20 ( Since it is canned and can act as a new antenna, the smartphone 10 can receive a signal of the specific frequency band.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스마트폰(1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martphon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전면기준 및 배면기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2 is a front reference and a rear reference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은 제1 면(10a), 제2 면(10b) 및 테두리면(10c)을 포함한다.2 and 3, the smartphone 10 includes a first surface 10a, a second surface 10b, and an edge surface 10c.

일 실시예에서, 제1 면(10a)은 스마트폰(10)의 전면일 수 있다. 제1 면(10a)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배치되되,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rface 10a may be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10. The first surface 10a includes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The display area DA is defined as an area for displaying an image. The non-display area NDA is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DA, but is defined as an area in which an image is not displayed.

제2 면(10b)은 제1 면(10a)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스마트폰(10)의 배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면(10b)은 비표시 영역(NDA)만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면(10b)은 스마트폰(10)에 카드(20)가 근접해 위치한 경우, 스마트폰(10)이 재난망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1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포함한다.The second surface 10b is a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10a and may be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10. In an embodiment, the second surface 10b may include only the non-display area NDA,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surface 10b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of the smartphone 10 that allows the smartphone 10 to normally receive a disaster network when the card 20 is located close to the smartphone 10. .

테두리면(10c)은 제1 면(10a)과 제2 면(10b)을 연결하는 면이다. 테두리면(10c)의 폭은 스마트폰(10)의 두께를 정의할 수 있다.The rim surface 10c is a surface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10a and the second surface 10b. The width of the border surface 10c may define the thickness of the smartphone 10.

스마트폰(10)은 여러 부품들과 상기 부품들을 수용하는 수용체를 포함한다. 수용체는 스마트폰(10)의 내부를 둘러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여러 부품들은, 디스플레이 유닛(400), 콤보 안테나 유닛(200) 및 프로세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체는 하우징(100) 및 커버 윈도우(500)를 포함한다. 즉, 하우징(100)은 디스플레이 유닛(400), 콤보 안테나 유닛(200) 및 프로세서(300)의 일부를 둘러싸고, 커버 윈도우(500)는 나머지 일부를 둘러쌓을 수 있다.The smartphone 10 includes several parts and a receptor for receiving the parts. The receptor may surround the inside of the smartphone 10. For example, the various components may include a display unit 400, a combo antenna unit 200, and a processor 300. The receptor includes a housing 100 and a cover window 500. That is, the housing 100 may surround a part of the display unit 400, the combo antenna unit 200, and the processor 300, and the cover window 500 may surround the remaining part.

하우징(100)은 스마트폰(10)의 제2 면(10b)과 제3 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면(10b)에 대응되는 하우징(100)과 테두리면(10c)에 대응되는 하우징(100)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면(10b)에 대응되는 하우징(100)과 테두리면(10c)에 대응되는 하우징(100)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면(10b)에 대응되는 하우징(100)과 테두리면(10c)에 대응되는 하우징(100)은 같은 물질이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constitute a second surface 10b and a third surface of the smartphone 10. In an embodiment, the housing 10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rface 10b and the housing 100 corresponding to the edge surface 10c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the housing 10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rface 10b and the housing 100 corresponding to the edge surface 10c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and at this time,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rface 10b ( The housing 100 corresponding to the 100 and the edge surface 10c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커버 윈도우(500)는 스마트폰(10)의 제1 면(10a)을 구성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50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 입력수단이 접하는 곳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500)는 외부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스마트폰(10)의 여러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The cover window 500 may constitute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smartphone 10. The cover window 500 may be a place where an input means such as a user's finger comes into contact. The cover window 500 may protect various parts of the smartphone 10 from external scratches.

하우징(100)으로부터 스마트폰(10)의 내측으로 인접하여 콤보 안테나 유닛(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콤보 안테나 유닛(200)은 하우징(100)의 내측 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서 콤보 안테나 유닛(200)과 하우징(100) 사이에 다른 소자가 개재될 수 있다. The combo antenna unit 2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smartphone 10 from the housing 100. In one embodiment, the combo antenna unit 200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elem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bo antenna unit 200 and the housing 100 in another embodiment.

콤보 안테나 유닛(200)은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자세히 후술된다. 본 명세서에서, 콤보 안테나 유닛(200)과 안테나 장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에 따라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The combo antenna unit 200 may be an antenna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bo antenna unit 200 and the antenna device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terms are used interchangeab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콤보 안테나 유닛(200)의 일 측에 프로세서(30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카메라의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3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mbo antenna unit 200. The processor 300 is on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of a camera,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It can include more than that.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300)에 연결된 스마트폰(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 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300 may control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the smartphone 10 connected to the processor 300 by driving an operating system or application program, Various data processing and operations can be performed. The processor 300 may load and process a command or data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other components (eg, a communication module) into a memory, and store result data in the memory.

도면에서 프로세서(300)는 콤보 안테나 유닛(2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300)는 스마트폰(10)의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drawing, the processor 300 is shown to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mbo antenna unit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cessor 300 may be disposed at various locations inside the smartphone 10.

커버 윈도우(500)로부터 스마트폰(10)의 내측으로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00)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400)은 커버 윈도우(500)에 광학적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적 투명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400)과 커버 윈도우(500)는 표시패널을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40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액정 표시패널, 전계 방출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패널 또는 마이크로 LED 표시패널의 디스플레이 유닛(400)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smartphone 10 from the cover window 500. The display unit 400 may be adhered to the cover window 500 through an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or an optically clear resin (OCR). The display unit 400 and the cover window 500 may constitute a display panel. The display unit 400 may be a display unit 400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field emission display pan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a quantum dot emission display panel, or a micro LED display panel.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카드(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ard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의 개략적인 배치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layout plan view of a c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드(20)는 보조 안테나(621), NFC모듈(640), 제1 커버(601) 및 제2 커버(602)를 포함한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카드(20)는 제1 커버(601) 또는 제2 커버(602)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마크네틱 선, 및/또는 IC칩을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4 and 5, the card 20 includes an auxiliary antenna 621, an NFC module 640, a first cover 601 and a second cover 602. Although not shown, in some embodiments, the card 20 may further include a marknetic line and/or an IC chip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601 or the second cover 602,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보조 안테나(621)는 제1 커버(601)의 내측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조 안테나(621)는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안테나 장치의 보조 안테나일 수 있다. 보조 안테나(621)는 제1 커버(601)의 내측 면 상에 인쇄패턴으로 형성되거나,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antenna 621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601. In one embodiment, the auxiliary antenna 621 may be an auxiliary antenna of an antenna device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 The auxiliary antenna 621 may be formed in a printed pattern o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601.

명확히 도시하진 않았지만, 보조 안테나(621)는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코일로 구성된 루프 안테나일 수 있다. 보조 안테나(621)는 루프 형상으로 감긴 평판형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not clearly shown, the auxiliary antenna 621 may be a loop antenna composed of a conductive coil in one embodiment. The auxiliary antenna 621 may be formed of a flat coil wound in a loop shape.

몇몇 실시예에서, 카드(20) 내 보조 안테나(621)를 제어하는 별도의 소자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안테나(621)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1)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카드(20)는 보조 안테나(621)를 제어하는 별도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separate element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antenna 621 in the card 20 may not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auxiliary antenna 621 may not serve to receive a specific signal. However, the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card 20 may include a separate element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antenna 621.

일 실시예에서, 보조 안테나(621)는 외부 안테나와 커플링(Coupling, 도면에서 Cant)될 수 있다. 보조 안테나(621)는 외부의 안테나와 커플링(Cant)되어 미리 정해진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은 재난망 주파수 대역 혹은 FM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FM 주파수 대역은 80Mhz 내지 108 Mhz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재난망 주파수 대역은 650 Mhz 내지 850 Mhz일 수 있다. 다만, 재난망 주파수 대역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국가별 또는 지역별에 따른 다양한 재난망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uxiliary antenna 621 may be coupled to an external antenna (Coupling, Cant in the drawing). The auxiliary antenna 621 may be coupled with an external antenna to receive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a disaster network frequency band or an FM frequency band. The FM frequency band may be 80Mhz to 108Mhz. In some embodiments, the disaster network frequency band may be 650 Mhz to 850 Mhz. However, the disaster network frequency b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 disaster network frequency bands according to countries or regions.

NFC모듈(640)은 제1 커버(601)의 내측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NFC module 64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601.

NFC모듈(640)은 NFC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에 설치된 NFC 안테나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NFC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들 중의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NFC의 작동 모드들은 에뮬레이션(card emulation) 모드, 리더/라이터(reader/writer) 모드, 및 P2P(peer to pee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NFC module 640 may exchange signals with an NFC antenna installed on the smartphone 10 using NFC technology. Here, NFC refers to a non-contact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a frequency band of 13.56 MHz as one of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ethods. The operating modes of NFC may include a card emulation mode, a reader/writer mode, and a peer to peer (P2P) mode.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는 NFC 태그 또는 NFC IC가 내장된 NFC 장치가 마치 NFC 태그처럼 작동하는 모드이고, 상기 리더/라이터 모드는 상기 NFC 장치가 다른 NFC 태그를 읽는 리더로 작동하거나 다른 NFC 태그에 정보를 입력하는 라이터로 작동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모드이며, 상기 P2P 모드는 두 개의 NFC 장치들 간의 링크(link) 수준의 통신을 지원하는 모드이다.Card emul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an NFC tag or an NFC device with a built-in NFC IC operates like an NFC tag, and in the reader/writer mode, the NFC device operates as a reader to read another NFC tag or inputs information to another NFC tag. It is a mode that supports a function of operating as a writer, and the P2P mode is a mode that supports communication at a link level between two NFC devices.

일 실시예로, NFC모듈(640)은 카드(20)가 스마트폰(10)에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한 경우, 스마트폰(10)이 제1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예, 모드2(10-2))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0)은 제1 모드(10-1)로 작동 도중, 카드(20)가 스마트폰(10)에 근접하면, 카드(20)의 NFC모듈(640)을 인식하여, 제2 모드(10-2)로 변경하여 작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FC module 640 is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10 can receive the first frequency when the card 20 is close to the smartphone 10 within a certain distance (L) (e.g., mode 2(10-2)). That is, while the smart phone 10 is operating in the first mode (10-1), when the card 20 approaches the smart phone 10, the NFC module 640 of the card 20 is recognized and the second It can be operated by changing to mode (10-2).

제1 커버(601) 및 제2 커버(602)는 보조 안테나(621)과 NFC모듈(64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601) 및 제2 커버(602)는 각각 서로 접하는 면과 보조 안테나(621) 및 NFC모듈(640)과 접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커버(601)와 제2 커버(602)는 서로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고, 보조 안테나(621) 및 NFC모듈(640)과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버(601)와 제2 커버(602)사이에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first cover 601 and the second cover 602 may be disposed with the auxiliary antenna 621 and the NFC module 64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cover 601 and the second cover 602 may each include a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antenna 621 and the NFC module 640. However,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cover 601 and the second cover 602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member, and may be adhered to the auxiliary antenna 621 and the NFC module 640 and the adhesive member. In this case, an adhesive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first cover 601 and the second cover 602.

명확히 도시하진 않았지만, 카드(20)는 제1 커버(601)와 제2 커버(602)의 외측 표면 접하도록,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소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Although not clearly shown, the card 20 may further include a laminate material including a polymer material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ver 601 and the second cover 602.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안테나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antenna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알고리즘 순서도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1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들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2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과 카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6 is an algorithm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states of combo antenna units of a smartphone when the antenna device is in a firs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states of a combo antenna unit and a card of a smart phone when the antenna device is in a secon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는 카드(20)의 근접 여부에 따라, 스마트폰(10)이 제1 모드 작동단계(S310) 또는 제2 모드 작동단계(S320)를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smartphone 10 may perform a first mode operation step S310 or a second mode operation step S320 depending on whether the card 20 is in proximity.

안테나 장치는 스마트폰(10)의 제1 모드 작동단계(S100),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 카드 근접 인식 여부에 따라, 제2 모드 작동단계(S310) 또는 제1 모드 유지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device is a first mode operation step (S100) of the smartphone 10, a card proximity recognition step (S200), a second mode operation step (S310) or a first mode maintenance step (S320)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ard proximity is recognized. It may include.

먼저, 제1 모드 작동단계(S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모드 작동단계(S100)는, 스마트폰(10)이 카드(20)가 근접하기전, 제1 모드(10-1)를 작동하는 단계에 해당한다.First, the first mode operation step (S100) will be described. The first mode operation step (S100) corresponds to a step in which the smartphone 10 operates the first mode 10-1 before the card 20 approaches.

안테나 장치에 카드(20)가 근접하기전, 스마트폰(10)은 제1 모드 작동단계(S100)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작동단계(S100)는 WPT모드, MST모드 또는 NFC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Before the card 20 approaches the antenna device, the smartphone 10 may perform the first mode operation step S100. For example, the first mode operation step S100 may include a WPT mode, an MST mode, or an NFC mode.

다음으로,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에 대해 설명한다.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는 제1 모드가 작동단계(S100) 도중 스마트폰(10)이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하여, 제1 모드(10-1)를 유지할지 제2 모드(10-2)를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 해당한다.Next, the card proximity recognition step (S200) will be described. In the card proximity recognition step (S200), the smartphone 10 recognizes the proximity of the card 20 during the first mode operation step (S100), and whether to maintain the first mode 10-1 or the second mode 10 It corresponds to the step of deciding whether to operate -2).

한편, 스마트폰(10)은 카드(20)가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NFC안테나가 카드(20)의 NFC모듈(640)의 근접을 인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phone 10 can recognize the proximity of the card 20 when the card 20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L). The smartphone 10 may recognize the proximity of the NFC module 640 of the NFC antenna to the card 20.

다만, 도면상 스마트폰(10)은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와 제1 모드 작동단계(S100)와 차례로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는 제1 모드 작동단계(S100)의 유무와 관계없이, 스마트폰(10)이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알고리즘 순서도에 따라 각 단계가 차례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각 단계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각 단계사이에 다른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However, in the drawings, the smartphone 10 is shown to operate sequentially with the card proximity recognition step (S200) and the first mode operation step (S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card proximity recognition step S200,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irst mode operation step S100, the smartphone 10 may recognize the proximity of the card 20 to perform an operation.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ach step is described as being sequentially performed according to an algorithm flow chart, but unless the idea of the invention is changed, the order of each step is changed, some steps are omitted, or other steps are performed between each step. It is obvious that more can be included.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에서 스마트폰(10)이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하면, 스마트폰(10)은 제2 모드 작동단계(S31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에서 스마트폰(10)이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하지 못하면, 스마트폰(10)은 제1 모드 유지단계(S320)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에서 스마트폰(10)이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하지 못하면, 제1 모드 작동단계(S100)와 제1 모드 유지단계(S320)는 스마트폰(10)의 작동내용의 변경없이 동일한 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모드 작동단계(S100)와 제1 모드 유지단계(S320)는 스마트폰의 동일한 작동내용일 수 있다.When the smart phone 10 recognizes the proximity of the card 20 in the card proximity recognition step S200, the smart phone 10 may perform the second mode operation step S310. In addition, if the smart phone 10 does not recognize the proximity of the card 20 in the card proximity recognition step S200, the smart phone 10 may perform the first mode maintenance step S320. Here, in the card proximity recognition step (S200), if the smartphone 10 does not recognize the proximity of the card 20, the first mode operation step (S100) and the first mode maintenance step (S320) are performed by the smartphone 10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continuously without chang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That is, the first mode operation step S100 and the first mode maintenance step S320 may be the same operation contents of the smartphone.

이하 도 7 및 도 8을 결부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따라, 스마트폰(10)의 작동내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smartphone 10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콤보 안테나 유닛(200)은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제어부(210) 및 제1 스위치(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콤보 안테나 유닛(200)은 제1 모드(10-1)와 제2 모드(10-2)의 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o FIG. 7, the combo antenna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antenna 221, a second antenna 222, a control unit 210, and a first switch 231. In addition, the combo antenna unit 200 may include operation modes of a first mode 10-1 and a second mode 10-2.

제1 안테나(221) 및 제2 안테나(222)는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코일로 구성된 루프 안테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는 루프 형상으로 감긴 평판형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221)의 루프는 제2 안테나(222)의 루프 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may be loop antennas composed of a conductive coil in one embodiment. For example,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may be formed of a flat coil wound in a loop shape. In some embodiments, the loop of the first antenna 221 may be disposed within the loop of the second antenna 22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안테나(221)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제2 안테나(222)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과 제3 주파수 대역은 서로 다른 범위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의 범위의 적어도 일부와 제3 주파수 대역의 범위의 일부는 중첩될 수도 있다. 또는,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의 범위와 제3 주파수 대역의 범위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antenna 221 may be an antenna that receives a signal in a second frequency band. The second antenna 222 may be an antenna that receives a signal in a third frequency b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he third frequency band may be different frequency bands. In some embodiments, at least a portion of the range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a portion of the range of the third frequency band may overlap. Alternatively,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range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he range of the third frequency band may not overlap.

제1 안테나(221)는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용(Wireless Power Transfer, 이하 WPT) 안테나,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및 RFID 안테나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테나(221)가 WPT 안테나의 경우 주파수 대역이 100kHz 내지 300kHz일 수 있고, NFC 안테나인 경우 주파수 대역이 10MHz 내지 20MHz일 수 있다.The first antenna 221 may be one of a wireless power transfer (WPT)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antenna,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tenna, and an RFID antenna. Here, when the first antenna 221 is a WPT antenna, the frequency band may be 100 kHz to 300 kHz, and in the case of the NFC antenna, the frequency band may be 10 MHz to 20 MHz.

제1 안테나(221)의 일단은 제1 스위치(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안테나(221)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antenna 22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23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tenna 22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0.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일단'과 '타단'은 선형 물질의 양 단부를 지칭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의 위치는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위치는 단지 하나의 위치와 다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The terms'one end' and'the other end' as used herein are used to refer to a relative position indicating both ends of a linear material, but the positions of these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location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location from another.

제2 안테나(222)는 제1 안테나(221)로 예를 든 안테나 중 제1 안테나(221)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안테나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second antenna 222 may be one of the remaining antennas not selected as the first antenna 221 among antennas exemplified as the first antenna 221.

제2 안테나(222)의 일단은 제1 스위치(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안테나(222)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2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2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ntenna 2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0.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안테나(221)가 WPT 안테나이고, 제2 안테나(222)가 NFC 안테나 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first antenna 221 is a WP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222 is an NFC antenna, as an example, bu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에 구현되어 코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모드별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로부터 동작 신호를 받아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가 제1 모드(10-1)로 동작하거나 제2 모드(10-2)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 제1 안테나(221) 및 제2 안테나(222) 사이를 연결하는 수신 회로일 수 있다.The controller 210 may be implemented in the processor 300 and have a function of processing signals and information for each mode according to a coded program. For example, the controller 210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processor 300 and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operate in a first mode 10-1 or a second mode 10-2. )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10 may be a receiving circuit connecting the processor 300,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또한, 제어부(210)는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의 임피던스와 동작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보조 안테나(621)가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여 제1 안테나(221) 및/또는 제2 안테나(222)와 커플링(Cant) 되는 경우, 이를 인지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impedance and operating frequency of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When the auxiliary antenna 621 is close to within a certain distance L and is coupled to the first antenna 221 and/or the second antenna 222, the control unit 210 performs a function of recognizing and controlling this. You can also do it.

도면상, 프로세서(300)와 제어부(210)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 내 포함될 수도 있다.In the drawings, the processor 300 and the control unit 210 are illustrated as being configured separately,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10 may be included in the processor 300.

제1 스위치(231)는 제어부(210)에 의해 콤보 안테나 유닛(200)의 각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어부(210)의 연결을 바꿀 수 있다.The first switch 231 may chang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tenna 221, the second antenna 222, and the controller 210 according to each mode of the combo antenna unit 200 by the control unit 210.

다음으로, 각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Next, each mode will be described.

콤보 안테나 유닛(200)은 제1 모드(10-1) 또는 제2 모드(10-2)로 작동할 수 있다.The combo antenna unit 200 may operate in a first mode 10-1 or a second mode 10-2.

제1 모드(10-1)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에서 스마트폰(10)이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작동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제1 모드(10-1)는 스마트폰(10)이 제1 안테나(221)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이거나, 제2 안테나(222)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와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와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는 이시에 실행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와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The first mode 10-1 corresponds to a mode in which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be independently performed by the smartphone 10 is operated in a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The first mode (10-1) is a mode in which the smartphone 10 receives a wireless power signal using the first antenna 221 or a mode in which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is received using the second antenna 222 I can. In an embodiment, a mode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and a mode for recei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ignal may be independently executed.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a mode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and a mode for recei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may be executed at this time. In some other embodiments, a mode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and a mode for recei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ignal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제1 모드(10-1)에서, 제1 스위치(231)는 제1 안테나(221)의 일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안테나(222)의 일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10-1)에서는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는 제어부(210)를 통하지 않고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first mode (10-1), the first switch 231 allows one end of the first antenna 22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0, and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222 is the control unit 21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ccordingly, in the first mode 10-1,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ntrol unit 210.

제2 모드(10-2)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1)에서 안테나 장치의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가 보조 안테나(621)와 커플링(Cant) 되어 하나의 안테나로 작동하게끔 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드에 해당한다.In the second mode (10-2), in the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1,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of the antenna device are coupled with the auxiliary antenna 621 to form one antenna. It corresponds to a mode in which the first frequency band can be received by making it operate.

프로세서(300)는 카드(20)가 스마트폰(10)의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여, 제2 모드(10-2)를 수행하도록 제어부(210)에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제2 모드(10-2)가 작동하도록 스마트폰(10)에 별도의 입력 없이도, 카드(20)가 스마트폰(10)의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여, 제2 모드(10-2)는 작동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제2 모드(10-2)를 수행하도록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1 스위치(231)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00 recognizes that the card 20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L of the smartphone 10 and transmits a command to the controller 210 to perform the second mode 10-2. That is, in one embodiment, without a separate input to the smartphone 10 so that the user's second mode 10-2 operates, the card 20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L of the smartphone 10. Recognizing that, the second mode 10-2 may be operated. The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first antenna 221, the second antenna 222, and the first switch 231 to perform the second mode 10-2.

제2 모드(10-2)에서, 제1 스위치(231)는 제1 안테나(221)의 일단이 제2 안테나(22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안테나(221)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안테나(221)의 타단은 제2 안테나(222)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안테나(222)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는 제어부(210)와 함께 직렬 연결되어 새로운 루프 안테나로 작동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10-2, the first switch 231 may allow one end of the first antenna 22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222.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tenna 2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tenna 2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222,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10, so that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are connected in series together with the controller 210 to operate as a new loop antenna.

제2 모드(10-2)에서, 스마트폰(10)과 카드(20)가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면, 스마트폰(10)에 탑재된 제1 안테나(221) 및 제2 안테나(222)와 카드(20)에 탑재된 보조 안테나(621)는 하우징(100)을 사이에 두고 커플링(Cant)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정 거리(L) 이내라 함은 약 10cm 이하의 거리이거나, 접촉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10-2), when the smartphone 10 and the card 20 are close within a certain distance L,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mounted on the smartphone 10 ) And the auxiliary antenna 621 mounted on the card 20 may be coupled (Cant) with the housing 100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within a certain distance (L) may mean a distance of about 10 cm or less or a case of contact.

한편, 스마트폰(10)의 제어부(210)는 제2 모드(10-2)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받게 되면,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가 상술한 새로운 루프 안테나로 작동하도록 제1 스위치(231)를 작동하고, 카드(20) 근접여부를 확인한다. 카드(20)가 근접한 경우,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는 보조 안테나(621)와 커플링(Cant) 될 수 있고, 제어부(210)는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210)가 제1 안테나(221) 및 제2 안테나(222)가 제1 안테와 커플링(Cant) 된 것을 인지하면, 프로세서(300)는 스마트폰(10)이 재난망 주파수 수신 모드 또는 FM 주파수 수신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ler 210 of the smartphone 10 receives a command to perform the second mode 10-2,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ar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new loop antenna. The first switch 231 is operated to operate as, and the proximity of the card 20 is checked. When the card 20 is close,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may be coupled with the auxiliary antenna 621, and the controller 210 may recognize this. When the controller 210 recognizes that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are coupled to the first antenna, the processor 300 determines whether the smartphone 10 is in a disaster network frequency reception mode or FM frequency reception mode can be performed.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과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Next,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same elements in FIGS. 1 to 7 and in the drawings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1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들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2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과 카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states of combo antenna units of a smartphone when the antenna device is in a firs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states of a combo antenna unit and a card of a smart phone when the antenna device is in a second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 대비, 콤보 안테나 유닛(200-2)이 제3 안테나(223) 및 제2 스위치(232)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I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ared to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7 and 8, the combo antenna unit 200-2 further includes a third antenna 223 and a second switch 232. There is a difference.

제2 안테나(222)의 일단은 제1 스위치(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스위치(232)에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2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23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 232.

제3 안테나(223)는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코일로 구성된 루프 안테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안테나(223)는 루프 형상으로 감긴 평판형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안테나(223)의 루프는 제1 안테나(221) 및/또는 제2 안테나(222)의 루프 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rd antenna 223 may be a loop antenna formed of a conductive coil in one embodiment. For example, the third antenna 223 may be formed of a flat coil wound in a loop shape. In some embodiments, the loop of the third antenna 223 may be disposed within the loop of the first antenna 221 and/or the second antenna 22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3 안테나(223)는 앞선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221)로 예를 든 안테나 중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안테나 중 하나일 수 있다.The third antenna 223 may be one of the remaining antennas not selected as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among antennas exemplified as the first antenna 221 in the previous embodiment.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안테나(221)가 WPT 안테나이고, 제2 안테나(222)가 NFC 안테나고 제3 안테나(223)를 MST 안테나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first antenna 221 is a WPT antenna, the second antenna 222 is an NFC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223 is an MST antenna, as an example, but embodiments are limited thereto. It does not become.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에 구현되어 코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모드별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로부터 동작 신호를 받아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가 제1 모드(11-1)로 동작하거나 제2 모드(11-2)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10 may be implemented in the processor 300 and have a function of processing signals and information for each mode according to a coded program. For example, the controller 210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processor 300 and the first antenna 221, the second antenna 222, and the third antenna 223 operate in the first mode (11-1), or 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the second mode 11-2.

또한, 제어부(210)는 제3 안테나(223)의 임피던스와 동작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보조 안테나(621)가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여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또는 제3 안테나(223)와 커플링(Cant) 되는 경우, 이를 인지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impedance and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third antenna 223. When the auxiliary antenna 621 is close to within a certain distance L and is coupled to the first antenna 221, the second antenna 222 and/or the third antenna 223, It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recognizing and controlling this.

제2 스위치(232)는 제어부(210)에 의해 콤보 안테나 유닛(200-2)의 각 모드에 따라, 제2 안테나(222), 제3 안테나(223) 및 제어부(210)의 연결을 바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231)와 제2 스위치(232)는 모드 변경에 따라 동시에 작동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switch 232 can change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antenna 222, the third antenna 223, and the control unit 210 by the control unit 210 according to each mode of the combo antenna unit 200-2. hav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witch 231 and the second switch 232 may operate simultaneously according to a mode chang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1 모드(11-1)는 스마트폰(10)이 제1 안테나(221)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이거나, 제2 안테나(222)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이거나, 제3 안테나(223)를 이용하여 마그네틱 보안 전송(예, 무선 신용결제)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및 마그네틱 보안 전송 모드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및 마그네틱 보안 전송 모드는 모두 이시에 실행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및 마그네틱 보안 전송 모드 중 적어도 2개의 모드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The first mode (11-1) is a mode in which the smartphone 10 receives a wireless power signal using the first antenna 221, or a mode in which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is received using the second antenna 222 , It may be in a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eg, wireless credit payment) mode using the third antenna 223. In one embodiment, a mode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a mode for recei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and a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ode may be independently executed.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a mode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a mode for recei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and a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ode may all be executed at this time. In some other embodiments, at least two of a mode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a mode for recei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and a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ode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제1 모드(11-1)에서, 제1 스위치(231)는 제1 안테나(221)의 일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안테나(222)의 일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치(232)는 제2 안테나(222)의 타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3 안테나(223)의 일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11-1)에서는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는 제어부(210)를 통하지 않고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first mode (11-1), the first switch 231 allows one end of the first antenna 22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0, and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222 is the control unit 21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In addition, the second switch 232 may allow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ntenna 222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0, and the end of the third antenna 223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0. Accordingly, in the first mode 11-1, the first antenna 221, the second antenna 222, and the third antenna 223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ntrol unit 210.

제2 모드(11-2)는 안테나 장치가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가 보조 안테나(621)와 커플링(Cant) 되어 하나의 안테나로 작동하게끔 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드에 해당한다.In the second mode (11-2), the antenna device operates as one antenna by coupling the first antenna 221, the second antenna 222, and the third antenna 223 to the auxiliary antenna 621 This corresponds to a mode in which the first frequency band can be received.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모드(11-2)를 수행하도록 제어부(210)에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제2 모드(11-2)를 수행하도록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제3 안테나(223), 제1 스위치(231) 및 제2 스위치(232)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00 may transmit a command to the controller 210 to perform the second mode 11-2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e controller 210 includes a first antenna 221, a second antenna 222, a third antenna 223, a first switch 231, and a second switch 232 to perform the second mode 11-2. Can be controlled.

제2 모드(11-2)에서, 제1 스위치(231)는 제1 안테나(221)의 일단이 제2 안테나(22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치(232)는 제2 안테나(222)의 타단과 제3 안테나(223)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11-2, the first switch 231 may enable one end of the first antenna 22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222. Also, the second switch 232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ntenna 222 and one end of the third antenna 223.

즉, 제1 안테나(221)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안테나(221)의 타단은 제2 안테나(222)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안테나(222)의 타단은 제3 안테나(223)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안테나(223)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는 제어부(210)와 함께 직렬 연결되어 새로운 루프 안테나로 작동할 수 있다.That is,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tenna 2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tenna 2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222,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antenna 223,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antenna 22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0, so that the first antenna 221, the second antenna 222, and the The 3 antenna 223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controller 210 to operate as a new loop antenna.

제2 모드(11-2)에서, 스마트폰(10)과 카드(20)가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면, 스마트폰(10)에 탑재된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와 카드(20)에 탑재된 보조 안테나(621)는 커플링(Cant)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11-2), when the smartphone 10 and the card 20 are close within a certain distance L, the first antenna 221 and the second antenna 222 mounted on the smartphone 10 ) And the third antenna 223 and the auxiliary antenna 621 mounted on the card 20 may be coupled (Cant).

한편, 스마트폰(10)의 제어부(210)는 제2 모드(11-2)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받게 되면,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가 상술한 새로운 루프 안테나로 작동하도록 제1 스위치(231)를 작동하고, 카드(20) 근접여부를 확인한다. 카드(20)가 근접한 경우,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는 보조 안테나(621)와 커플링(Cant) 될 수 있고, 제어부(210)는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210)가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가 보조 안테나(621)와 커플링(Cant) 된 것을 인지하면, 프로세서(300)는 스마트폰(10)이 재난망 주파수 수신 모드 또는 FM 주파수 수신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ontroller 210 of the smartphone 10 receives a command to perform the second mode 11-2, the first antenna 221, the second antenna 222, and the third antenna 223 ) Operates the first switch 231 to operate as the above-described new loop antenna, and checks whether the card 20 is close. When the card 20 is close, the first antenna 221, the second antenna 222, and the third antenna 223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antenna 621, and the controller 210 I can recognize it. When the controller 210 recognizes that the first antenna 221, the second antenna 222, and the third antenna 223 are coupled to the auxiliary antenna 621, the processor 300 10) You can have this disaster network frequency reception mode or FM frequency reception mod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
10: 스마트폰
10a: 제1 면
10b: 제2 면
10c: 테두리면
10-1, 11-1: 제1 모드
10-2, 11-2: 제2 모드
20: 카드
100: 하우징
200, 200-1: 콤보 안테나 유닛
210: 제어부
221: 제1 안테나
222: 제2 안테나
223: 제3 안테나
231: 제1 스위치
232: 제2 스위치
300: 프로세서
400: 디스플레이 유닛
500: 커버 윈도우
621: 보조 안테나
640: NFC 모듈
Cant: 커플링
DA: 표시 영역
L: 일정 거리
NDA: 비표시 영역
S100: 제1 모드 작동단계
S200: 카드 근접 인식단계
S310: 제2 모드 작동단계
S320: 제1 모드 유지단계
1: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10: smartphone
10a: first side
10b: second side
10c: border surface
10-1, 11-1: first mode
10-2, 11-2: second mode
20: card
100: housing
200, 200-1: combo antenna unit
210: control unit
221: first antenna
222: second antenna
223: third antenna
231: first switch
232: second switch
300: processor
400: display unit
500: cover window
621: auxiliary antenna
640: NFC module
Cant: coupling
DA: display area
L: constant distance
NDA: Non-display area
S100: first mode operation step
S200: Card proximity recognition step
S310: second mode operation step
S320: 1st mode maintenance step

Claims (13)

안테나 장치가 설치된 전자 장치 및 보조 안테나가 탑재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구조물의 근접을 인식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장치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가 상기 보조 안테나와 커플링 되어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signal reception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 antenna device and a structure equipped with an auxiliary antenna,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 first mode;
Recognizing, by the electronic device, proximity of the structure; And
Maintaining the electronic device in a first mode or operating in a second mode,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 first antenna, a second antenna, and a first switch electricall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In the first mode,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operate,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switch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nd the electrically connected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coupled to the auxiliary antenna to obtain a predetermined frequency.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signal reception system that receives signals in the ban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루프 형태의 안테나이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안테나의 일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타단은 상기 수신 회로에 연결되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enna device further comprises a receiving circu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loop-shaped antennas,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switch electrically connects one end of the first antenna and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ntenna are connected to the receiving circu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직렬 연결된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mode,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in which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connected in seri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제3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3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3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제3 안테나가 상기 전자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보조 안테나와 커플링 되어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enna device,
A third antenna;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witch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r separating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In the second mode,
The second switch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The method of operating a radio signal reception system in which the electrically connected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are coupled with an auxiliary antenna located outside the electronic device to receive a signal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3 안테나는 루프 형태의 안테나이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안테나의 일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제2 안테나의 타단과 상기 제3 안테나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안테나의 타단 및 상기 제3 안테나의 타단은 상기 수신 회로에 연결되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antenna device further comprises a receiving circu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e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are loop-shaped antennas,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switch electrically connects one end of the first antenna and one end of the second antenna,
The second switch electrically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ntenna and one end of the third antenna,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signal reception system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antenna are connected to the reception circui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3 안테나는, 각각 직렬 연결된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respectively,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connected in seri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보조 안테나와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housing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ntenna device,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a method of operating a radio signal receiving system positioned between the auxiliary antenna and the hou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직접 접하도록 배치되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disposed to directly contact the inside of the hou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카드 형태인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ucture is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in a card for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은 FM 주파수 대역인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is an FM frequency band, a method of operating a radio signal reception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NFC 안테나이고, 다른 하나는 무선 전력 전송용 안테나인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y one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is an NFC antenna, and the other i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근접을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구조물을 상호 거리가 10cm 이내인 경우에 인식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구조물의 근접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로 넘어가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proximity of the structure,
The electronic device recognizes the structure when the mutual distance is within 10 cm,
When the electronic device recognizes the proximity of the structur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wireless signal reception system proceeds to the step of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전자 장치가 근접을 인식하도록 하는 NFC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ructure is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signal receiv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NFC module to allow the electronic device to recognize proximity.
KR1020190020819A 2019-02-22 2019-02-22 Electric device KR102209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19A KR102209502B1 (en) 2019-02-22 2019-02-22 Electr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19A KR102209502B1 (en) 2019-02-22 2019-02-22 Electr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628A true KR20200102628A (en) 2020-09-01
KR102209502B1 KR102209502B1 (en) 2021-01-29

Family

ID=7245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819A KR102209502B1 (en) 2019-02-22 2019-02-22 Electr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5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212A (en) *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nfc read device and nfc tag device perform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910A (en)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60011925A (en) * 2014-07-23 2016-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ransmitting apparatus for both wireless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70085069A (en) * 2014-12-18 2017-07-21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Multi-m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910A (en)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60011925A (en) * 2014-07-23 2016-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ransmitting apparatus for both wireless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70085069A (en) * 2014-12-18 2017-07-21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Multi-m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212A (en) *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nfc read device and nfc tag device perform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502B1 (en) 202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9045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apparatus
EP3232580B1 (en) Touch screen integrated with nfc antenna, terminal,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US9402278B2 (en)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for a mobile phone
EP2949050B1 (en) Indication of nfc location
EP2296292B1 (en) A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EP3747247B1 (e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1458761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N102882545A (en)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769540B1 (en) Double structured loop-antenna of rfid tag and reader &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335784A1 (en) NFC Architecture
CN106099311B (en) Communication equipment
US201000528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on control of rfid system
KR20180010010A (en) Method for coil shar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756238B1 (en) Smart c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nfc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568335A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built-in antenna and mobile terminal interaction method
CN107112622A (en) Nfc antenna module
CN102739829A (en) Intelligent terminal and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of intelligent terminal and external antenna
KR102209502B1 (en) Electric device
JP6100366B2 (en) Pendants and terminals
KR10259568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in close proximity
KR101874421B1 (en)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KR102128005B1 (en) Antenna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5512716A (en) Multifunctional IC card
US8058974B2 (en) Integrated circuit processing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processing method
JP2016024746A (en)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that make touch operation for radio communication eas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