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076A -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076A
KR20200102076A KR1020190020228A KR20190020228A KR20200102076A KR 20200102076 A KR20200102076 A KR 20200102076A KR 1020190020228 A KR1020190020228 A KR 1020190020228A KR 20190020228 A KR20190020228 A KR 20190020228A KR 20200102076 A KR20200102076 A KR 20200102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ardiogram
user
state
graph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관철
서정민
김상현
정지홍
Original Assignee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정지홍
김상현
임관철
서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정지홍, 김상현, 임관철, 서정민 filed Critical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2076A/ko
Publication of KR2020010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61B5/040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3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ritical Car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 후 시각화하여 그래프로 제공하고, 측정된 심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기입력된 여러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분류 후 음성으로 통지하여 심장질환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심전도를 측정하는 측정부가 구비되고, 측정된 심전도를 그래프로 변환하는 변환부가 구비되며, 그래프로 시각화된 심전도를 표시하는 패널이 구비되고, 기저장된 심전도 정보와 사용자 정보 그리고 측정된 심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정상, 주의, 위험 또는 긴급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분류하는 분류부가 구비되며,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되고, 측정된 심전도 및 변환된 그래프 그리고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전송부가 구비되는 심전도 측정기 및, 심전도 측정기와 페어링 되어 전송되는 심전도 및 그래프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가 긴급 상태이면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긴급 메시지와 함께 응급기관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system using Arduino}
본 발명은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 후 시각화하여 그래프로 제공하고, 측정된 심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기입력된 여러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분류 후 음성으로 통지하여 심장질환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그리고 부정맥 등 심장과 관계되는 질환을 종합하여 심장질환이라고 하며, 최근에는 이러한 심장질환을 원인으로 하는 사망자의 수가 점차 증가하여 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심전도 검사를 통해 심장질환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나, 심전도 검사를 위해서는 병원 등의 의료 기관을 방문하여야 하고, 검사 전 대기 시간이 발생하며, 방문 및 검사에 비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바쁜 현대인들의 정기적인 검사 실시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병원 등의 의료 기관을 방문하지 않고도 개인이 비교적 간편하게 자신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5094호의 “휴대형 심전도-호흡신호 동시측정 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2020호의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패치형 심전도 측정장치, 통신장치”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1742호의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5094호의 “휴대형 심전도-호흡신호 동시측정 장치”에는 압전센서 및 심전전극 등 각각의 단일 증폭기에서 얻은 심전도와 호흡신호를 통합하여 신호처리하고 동시에 표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간단하게 진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2020호의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패치형 심전도 측정장치, 통신장치”에는 심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브로드캐스팅하여 피검사자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장치 등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으며,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1742호의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알림을 통해 사용자가 심전도 센서를 순서에 맞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잘못된 순서로 부착된 심전도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정상 채널에 매칭시켜줌으로써 올바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명들을 참고 및 개량하여, 사용자의 심전도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측정된 심전도를 시각화 및 청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심장질환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어 위급 상황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5094호(2006. 01. 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2020호(2010. 12. 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1742호(2018. 08. 20)
본 발명에 의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을 개량한 발명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심전도를 간편하게 측정하여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어 위급 상황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심전도를 측정하는 측정부가 구비되고, 측정된 심전도를 그래프로 변환하는 변환부가 구비되며, 그래프로 시각화된 심전도를 표시하는 패널이 구비되고, 기저장된 심전도 정보와 사용자 정보 그리고 측정된 심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정상, 주의, 위험 또는 긴급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분류하는 분류부가 구비되며,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되고, 측정된 심전도 및 변환된 그래프 그리고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전송부가 구비되는 심전도 측정기; 및,
상기 심전도 측정기와 페어링 되어 전송되는 심전도 및 그래프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가 긴급 상태이면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긴급 메시지와 함께 응급기관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의 내부에는 상기 변환부(120) 및 상기 분류부(140)의 구현을 위한 아두이노(Arduino)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심전도를 측정하는 측정부가 구비되는 심전도 측정기를 제시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심전도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측정된 심전도를 기반으로 시각화된 그래프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분류 후 음성으로 통지하므로, 사용자가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며,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가 긴급한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 및 긴급 메시지가 응급기관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위급 상황에 즉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의 측정부에서 측정된 심전도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심전도 그래프의 한 종류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의 전송부가 스마트 기기로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의 통신부가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의 스마트 기기의 세부 구성도.
본 발명은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심전도를 측정하는 측정부(110)가 구비되고, 측정된 심전도를 그래프로 변환하는 변환부(120)가 구비되며, 그래프로 시각화된 심전도를 표시하는 패널(130)이 구비되고, 기저장된 심전도 정보와 사용자 정보 그리고 측정된 심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정상, 주의, 위험 또는 긴급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분류하는 분류부(140)가 구비되며,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50)가 구비되고, 측정된 심전도 및 변환된 그래프 그리고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전송부(160)가 구비되는 심전도 측정기(100); 및,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와 페어링 되어 전송되는 심전도 및 그래프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가 긴급 상태이면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긴급 메시지와 함께 응급기관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는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한 후 시각화된 그래프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측정된 심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기입력된 여러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분류 후 음성으로 통지하는 장치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휴대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 측에 구비되는 측정부(110), 패널(130) 및 스피커(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케이스의 내부 측에 구비되는 변환부(120), 분류부(140) 및 전송부(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의 내부에는 상기 변환부(120) 및 상기 분류부(140)의 구현을 위하여 입출력 및 중앙처리장치가 포함되고, 다양한 센서나 부품을 연결할 수 있는 기판인 아두이노(Arduino)가 구비되며, 상기 측정부(110), 상기 패널(130), 상기 스피커(150) 및 상기 전송부(160) 또한 상기 아두이노에 연결되거나 아두이노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측정부(110)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의 외부 측에 구비된 상태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며,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식으로는 사용자가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의 외부 측에 구비된 건조 전극을 자신의 신체에 직접 접촉시키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심전도 측정기(100)에 심전도 케이블을 연결하고 그 심전도 케이블의 말단부에 구비된 부착 전극을 자신의 신체에 부착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측정부(110)는 건조 전극, 부착 전극이 구비된 심전도 케이블 또는 다양한 종류의 심전도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의 저면 등 일측에는 심전도 케이블 및 부착 전극을 보관할 수 있는 개폐식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심전도는 상기 변환부(120)에서 그래프화되며, 그래프로 시각화된 심전도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의 외부 측에 구비되는 패널(130)에서 표시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심전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심전도 그래프는 이를 해석 가능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에게는 무의미한 것이므로, 상기 변환부(120)는 사용자의 심전도가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와 정상 범위 외에 속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그래프를 구성하는 선의 각 부분의 색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그래프의 일측에는 각각의 색에 관한 부가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써, 상기 변환부(120)는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의 심전도를 그래프로 변환할 때, 이를 녹색의 선으로 표시할 수 있고,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 속하거나 정상 범위를 작게 벗어나 주의 상태인 사용자의 심전도를 황색의 선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정상 범위를 크게 벗어나 위험 상태인 사용자의 심전도를 적색의 선으로 표시할 수 있고, 정상 범위를 매우 크게 벗어나 긴급 상태인 사용자의 심전도를 보다 선명한 적색의 선 또는 흑색의 선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부(140)는 상기 변환부(120)가 각기 다른 색의 선으로 그래프를 구성할 수 있도록 기저장된 심전도 정보와 상기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심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정상, 주의, 위험 또는 긴급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분류하며, 이러한 분류 과정에는 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 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심전도 정보라 함은 상기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심전도를 해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정보이며, 상기 사용자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성별, 신장, 체중, 심장질환 이력 등 각 개인이 상기 스마트 기기(200)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 가능한 개인의 특성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분류부(140)에서 분류되는 사용자의 상태 중 정상 상태는 사용자의 심전도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주의 상태는 사용자의 심전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주의가 필요한 상태를 의미하며, 위험 상태는 사용자의 심전도가 정상 범위를 크게 벗어나 안정, 투약 등이 필요한 상태를 의미하며, 긴급 상태는 사용자의 심전도가 정상 범위를 매우 크게 벗어나 협십증, 심근경색 등의 심장질환 발생이 임박하였거나 이미 발생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부(140)에서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스피커(150)에서 음성으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출력되는 음성에는 사용자의 심전도 상태에 관한 정보뿐 아니라 그 상태에 따른 주의 사항, 행동 요령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부(160)는 상기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심전도 및 상기 변환부(120)에서 변환되어 생성된 심전도 그래프 그리고 상기 분류부(140)에서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를 상기 스마트 기기(200)로 전송하며, 전송부(160)에서 스마트 기기(200)로 전송되는 정보들은 분류부(140)에서 사용자의 상태가 분류되는 즉시 전송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 기기(200)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이 구비되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이 구비되며, 블루투스 기능 등의 근거리 통신 및 장거리 통신 등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이 구비되는 전자 기기로써,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성인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이 이용됨이 가장 바람직하나, 다른 기기가 이용될 수 있고, 별도의 전용 기기가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 또는 다른 기기에 본 발명을 이용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야 하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방식으로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자가 온라인상에 배포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후 설치하는 통상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마트 기기(200)가 별도의 전용 기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심전도 측정기(100)와 스마트 기기(200)를 페어링하여야 하며, 이러한 페어링의 실시는 최초 1회의 실시 후에는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200)는 상기 전송부(160)로부터 전송된 정보 중 사용자의 상태가 정상, 주의, 위험 또는 긴급 중 긴급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위도 및 경도에 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알리는 긴급 메시지와 함께 응급기관으로 무선 전송하며, 전송 완료 메시지를 화면에 시각적으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관한 현재 위치 정보는 상기 스마트 기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의미하는 것임이 더 명확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200)에는 위도 및 경도 등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 가능한 GPS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나, 스마트폰에는 GPS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기기(200)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상태가 긴급 상태인 경우,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 및 수집된 현재 위치 정보를 문자 메시지화하여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긴급 메시지의 전송 완료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등록된 단말기(300)를 소지한 사용자의 가족, 지인 등은 사용자가 긴급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를 즉시 파악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미리 상기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하나 이상의 타인의 단말기(300)를 등록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기기(200)가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에 비해 상기 단말기(300)는 이러한 제한이 없이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기기(200)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 상태인 경우, 수신된 사용자의 심전도 및 그에 관한 그래프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를 문자 메시지화하여 기등록된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등록된 단말기(300)를 소지한 사용자의 가족, 지인 등은 사용자가 위험 상태임을 인지하여 사용자를 안정시키고, 병원에의 방문을 권유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사용자의 상태가 긴급 상태인 경우와 위험 상태인 경우에 문자 메시지화된 사용자의 상태가 전송되는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각각 다르게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긴급 상태일 때 즉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웃들의 단말기(300)를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기기(200)는 상기 전송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심전도 및 그래프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210), 상기 GPS 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220),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230) 및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를 지정된 응급기관 및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통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송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심전도 및 그래프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의 수신 날짜 및 시각을 저장하고, 시간의 경과를 계산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마트 기기(200)의 분실, 배터리의 방전 등 다양한 이유로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와 스마트 기기(200)가 페어링되지 못하거나 페어링이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응급기관 및 기등록된 단말기(300)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 분류부(140)에서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 또는 긴급이나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와 상기 스마트 기기(200)가 페어링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스피커(150)에서 이러한 사실을 알리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상기 분류부(140)에서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이나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와 상기 스마트 기기(200)가 페어링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스피커(150)에서의 음성 출력 후 강한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주변의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기기(200)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심전도, 그래프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므로 순차적으로 저장된 사용자의 심전도 등을 통해 사용자의 심장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를 의료기관으로 전송함으로써 원격 진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200)는 기설정된 기간 이상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심전도 등의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화면에 심전도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심전도 상태가 주기적으로 수집되어 심장질환이 예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계산부는 상기 전송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심전도 및 그래프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를 마지막으로 수신한 날짜 및 시각을 저장하고, 그 이후로의 시간의 경과를 계산하므로, 기설정된 기간 이상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심전도 등의 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생성부(230)는 사용자에게 심전도 측정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2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성이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심전도 측정기
110 : 측정부 120 : 변환부
130 : 패널 140 : 분류부
150 : 스피커 160 : 전송부
200 : 스마트 기기
210 : 저장부 220 : 수집부
230 : 생성부 240 : 통신부
300 : 단말기

Claims (5)

  1.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심전도를 측정하는 측정부(110)가 구비되고, 측정된 심전도를 그래프로 변환하는 변환부(120)가 구비되며, 그래프로 시각화된 심전도를 표시하는 패널(130)이 구비되고, 기저장된 심전도 정보와 사용자 정보 그리고 측정된 심전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정상, 주의, 위험 또는 긴급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분류하는 분류부(140)가 구비되며,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50)가 구비되고, 측정된 심전도 및 변환된 그래프 그리고 분류된 사용자의 상태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전송부(160)가 구비되는 심전도 측정기(100); 및,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와 페어링 되어 전송되는 심전도 및 그래프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가 긴급 상태이면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긴급 메시지와 함께 응급기관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의 내부에는,
    상기 변환부(120) 및 상기 분류부(140)의 구현을 위한 아두이노(Arduino)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200)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 상태인 경우,
    수신된 심전도 및 그래프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를 기등록된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200)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상태가 긴급 상태인 경우,
    사용자의 상태 및 수집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등록된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200)는,
    상기 전송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심전도 및 그래프 그리고 사용자의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210);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220);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230); 및,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를 지정된 응급기관 및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통신부(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KR1020190020228A 2019-02-21 2019-02-21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KR20200102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228A KR20200102076A (ko) 2019-02-21 2019-02-21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228A KR20200102076A (ko) 2019-02-21 2019-02-21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076A true KR20200102076A (ko) 2020-08-31

Family

ID=7223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228A KR20200102076A (ko) 2019-02-21 2019-02-21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207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094A (ko) 2004-07-12 2006-01-17 주식회사 씨아이디 휴대형 심전도-호흡신호 동시측정 장치
KR101002020B1 (ko) 2008-03-27 2010-12-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패치형 심전도측정장치, 통신장치
KR101891742B1 (ko) 2016-12-28 2018-08-24 신준협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094A (ko) 2004-07-12 2006-01-17 주식회사 씨아이디 휴대형 심전도-호흡신호 동시측정 장치
KR101002020B1 (ko) 2008-03-27 2010-12-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패치형 심전도측정장치, 통신장치
KR101891742B1 (ko) 2016-12-28 2018-08-24 신준협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8748B2 (en) System and method of evaluating an association between a wireless sensor and a monitored patient
CN106413525B (zh) 工作流管理的系统和方法
US9636070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medical parameters for a patient
US20170007159A1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respiratory parameters
US82678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health index using electroconductive fiber
JP6476124B2 (ja) 身体機能および/または身体特性をモニタするための装置ならびに方法
JP2002224053A (ja) 遠隔医療管理システム
KR102359204B1 (ko) 근로자의 근무상태 및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RU189998U1 (ru) Домашний телемедицинский хаб
KR20150103568A (ko)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
CN103251396A (zh) 医疗检测仪
KR20150061195A (ko) 모바일 응급 관리 시스템
KR20150101892A (ko)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RU172819U1 (ru) Приборный блок носимого медицинского диагностического комплекса
JP7407419B2 (ja) 体調評価方法、および、体調評価システム
KR20200102076A (ko) 아두이노를 활용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KR100787148B1 (ko) 신체상태 무인 송출시스템
KR102002543B1 (ko) 핵자기공명 분석에 근거한 생체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CN208274564U (zh) 一种智能穿戴设备
JP2017188008A (ja) 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80067331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환자 관리 시스템
CN205019042U (zh) 一种医疗在线监控系统
US20220313137A1 (en) A portable ecg device and an ecg system comprising the portable ecg device
KR20030015651A (ko) 원격 건강관리 시스템
KR20110128382A (ko) 생체신호의 모니터링을 위한 생활 의료 보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