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746A -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746A
KR20200101746A KR1020190020008A KR20190020008A KR20200101746A KR 20200101746 A KR20200101746 A KR 20200101746A KR 1020190020008 A KR1020190020008 A KR 1020190020008A KR 20190020008 A KR20190020008 A KR 20190020008A KR 20200101746 A KR20200101746 A KR 20200101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massager
unit
information
approv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6660B1 (ko
Inventor
조규상
오현종
Original Assignee
케비스전자 주식회사
오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비스전자 주식회사, 오현종 filed Critical 케비스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6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유 시설 내에 안마기를 편리하게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결제방식의 적용과 그에 따라 결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휴대성과 이용의 자율성뿐만 아니라 보안성을 강화시키는데 있다.
일례로, 무선 충전 가능한 이동식 안마기 본체; 및 상기 안마기 본체를 충전하고, 외부에 안마기 결제처리를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안마기 본체의 이용안내정보를 설정 받고,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안마기 본체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는 이동식 안마기;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이동식 안마기의 결제방식을 선택 받아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거나, 결제요청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공유시설의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따른 결제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충전 거치대로 결제승인정보를 전송하거나, 금융사 서버로부터 금융사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충전 거치대로 결제승인정보를 전송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PUBLIC ELECTRIC MASSAGE SERVIC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안마의자는 안마 서비스를 받는 장소나 위치가 정해져 있으며, 개별 기기마다 리모컨이 구비되어 있어 이용자가 직접 버튼을 눌러 작동, 정지, 종료가 이루어지는 개별 제어방식이었다.
또한, 기존의 안마의자의 결제시스템은 현금 또는 카드결제에 국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마의자를 여러 대 구비하여 전동안마휴게실을 운영하고자 할 경우, 직원이 일일이 개별 리모컨을 조작하여 이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설정해 주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이용자의 입장에서도 리모컨 조작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직원이 조작방법을 일일이 설명해주거나, 이용자의 오작동으로 인한 고장 및 사고의 우려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96508호(등록일자: 2018년09월03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4921호(공개일자: 2018년02월12일) 등록특허공보 제10-1828678호(등록일자: 2018년02월06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유 시설 내에 안마기를 편리하게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결제방식의 적용과 그에 따라 결제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휴대성과 이용의 자율성뿐만 아니라 보안성이 강화된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은, 무선 충전 가능한 이동식 안마기 본체; 및 상기 안마기 본체를 충전하고, 외부에 안마기 결제처리를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안마기 본체의 이용안내정보를 설정 받고,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안마기 본체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는 이동식 안마기;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이동식 안마기의 결제방식을 선택 받아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거나, 결제요청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공유시설의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따른 결제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충전 거치대로 결제승인정보를 전송하거나, 금융사 서버로부터 금융사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충전 거치대로 결제승인정보를 전송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마기 본체는, 전동 안마를 위한 안마 구동부; 상기 충전 거치대로부터 전력을 무선 수신하여 충전하고, 상기 안마 구동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안마 전원부; 자력에 의해 상기 충전 거치대와 탈부착되는 제1 전자석 잠금부; 상기 충전 거치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안마기 본체에 설치된 전원버튼 또는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충전 거치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안마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충전 거치대와의 연결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신호강도 이하가 되는 경우 제1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안마기 경고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거치대는, 상기 안마기 본체를 수용 및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본체부; 상기 안마 전원부로 전력을 무선 송신하는 안마기 충전부; 상기 중앙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 전자석 잠금부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제1 전자석 잠금부와 분리되는 제2 전자석 잠금부; 상기 안마기 본체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거치대 본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 본체부와 설치면 간의 접촉분리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부;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와의 연결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신호강도 이하가 되는 경우 제2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거치대 본체부의 접촉분리가 감지되는 경우 제3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거치대 경고신호 출력부;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석 잠금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안마기 본체로 동작허용명령을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 경고신호 또는 상기 제3 경고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안마기 본체로 동작금지명령을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본체 제어부; 및 상기 이동식 안마기의 음성안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언어를 설정 받고, 설정된 서비스 언어에 따른 음성 안내 방송을 송출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 인식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식 안마기에 대한 공유시설과 연동되는 후불결제,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한 코드결제, 및 IC카드결제 중 어느 하나의 결제방식을 선택 받고, 상기 후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안마기결제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코드결제 및 상기 IC카드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금융사 서버와 통신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앱 결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후불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결제요청정보를 공유시설의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으로 전송한 후 공유시설의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으로부터 공유시설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고, 공유시설 결제승인정보에 따른 결제승인정보를 상기 충전 거치대로 전송하는 제1 서버 결제 처리부; 및 상기 금융사 서버로부터 코드결제 또는 IC카드결제에 따른 금융사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금융사 결제승인정보에 따른 결제승인정보를 상기 충전 거치대로 전송하는 제2 서버 결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유 시설 내에 안마기를 편리하게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결제방식의 적용과 그에 따라 결제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휴대성과 이용의 자율성뿐만 아니라 보안성이 강화된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안마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중앙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안마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사용자 매뉴얼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안마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중앙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안마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거치대의 사용자 매뉴얼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용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1000)은 이동식 안마기(100), 어플리케이션(200) 및 중앙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용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1000)은 호텔, 게스트하우스와 같은 숙박시설, 찜질방, 사우나 등과 같은 휴게시설이나 카페 등과 같은 공유시설에 설치되며, 해당 공유시설의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billing system)과 연동하여 결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안마기(100)는 무선 충전 가능한 이동식 안마기 본체(110)와, 안마기 본체(110)를 충전하고, 외부에 안마기 결제처리를 위한 고유식별정보(예를 들어 QR코드)(40)가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안마기 본체(110)의 이용안내정보를 설정 받고,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승인정보에 따라 안마기 본체(110)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충전 거치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마기 본체(110)는 안마 구동부(111), 안마 전원부(112), 제1 전자석 잠금부(113),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4), 구동 제어부(115) 및 안마기 경고신호 출력부(1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마 구동부(111)는 안마 전원부(112)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신체의 어깨, 등, 목, 다리, 가슴 등의 특정 신체 부위를 각각 마사지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동을 수행하는 소형의 전동 구동 수단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형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안마 전원부(112)는 충전 거치대(120)로부터 전력을 무선 수신하여 충전하고, 안마 구동부(111)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마 전원부(112)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수신용 안테나, 수신용 안테나를 통해 발생되는 전류를 축적하기 위한 이차전지모듈, 구동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이차전지모듈의 전력을 안마 구동부(111)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석 잠금부(113)는 자력에 의해 충전 거치대(120)의 제2 전자석 잠금부(124)와 탈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자석 잠금부(113)는 일반적인 영구자석으로 구현되고 제2 전자석 잠금부(124)를 전류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여 제1 전자석 잠금부(113)의 영구자석과의 인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제2 전자석 잠금부(124)가 영구자석을 포함하거나, 제1 및 제2 전자석 잠금부(113, 124) 모두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이 각각 포함되도록 구현 가능하다.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4)는 충전 거치대(12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115)는 안마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전원버튼 또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4)를 통해 수신되는 충전 거치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마 구동부(1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버튼의 경우 온/오프 방식에 의해 안마 구동부(111)에 전력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미리 설정되거나 결제된 금액에 따른 시간 동안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거치대(120)의 제어신호에 따른 방식의 경우 충전 거치대(120)로부터 동작허용명령에 대한 무선제어신호를 수신한 후에 전원버튼의 이용이 가능하되, 미리 설정되거나 결제된 금액에 따른 시간 동안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동작금지명령에 대한 무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원버튼의 이용이 불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안마기 경고신호 출력부(116)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4)를 통해 충전 거치대(120)와의 연결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신호강도 이하가 되는 경우 제1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신호강도는 이동식 안마기(100)의 결제가 완료되어 제1 및 제2 전자석 잠금부(113, 124)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적용되는 데이터 값으로, 즉 사용자가 이동식 안마기(100)를 사용할 때 충전 거치대(120)로부터 너무 먼 거리로 이동할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충전 거치대(120)는 안마기 본체(110)의 충전, 거치식 보관, 부가서비스 제공 및 보안 등을 위한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거치대 본체부(121), 안마기 충전부(122), 서버 통신부(123), 제2 전자석 잠금부(124),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125), 마이크로 스위치부(126), 거치대 경고신호 출력부(127), 본체 제어부(128) 및 음성 안내 서비스부(12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본체부(121)는 안마기 본체(110)를 수용 및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안마기 본체(110)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갖는 수용부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부 내에는 안마기 충전부(122)와 제2 전자석 잠금부(124)이 설치될 수 있으며, 거치대 본체부(121)의 바닥면에는 마이크로 스위치부(12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마기 충전부(122)는 안마 전원부(112)로 전력을 무선 송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송신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통신부(123)는 중앙서버(300)와 연결되고, 중앙서버(300)로부터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통신부(123)는 중앙서버(300)와 로라 통신(LoRa)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중앙서버(300) 또한 해당 공유시설 내 설치되는 경우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2 전자석 잠금부(124)는 중앙서버(300)로부터 결제승인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력을 공급하여 제1 전자석 잠금부(113)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중앙서버(300)로부터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제1 전자석 잠금부와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자석 잠금부(113)는 일반적인 영구자석으로 구현되고 제2 전자석 잠금부(124)를 전류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여 제1 전자석 잠금부(113)의 영구자석과의 인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제2 전자석 잠금부(124)가 영구자석을 포함하거나, 제1 및 제2 전자석 잠금부(113, 124) 모두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이 각각 포함되도록 구현 가능하다.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125)는 안마기 본체(11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부(126)는 거치대 본체부(121)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거치대 본체부(121)와 설치면 간의 접촉분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스위치부(126)는 거치대 본체부(121)의 바닥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데, 즉 엑츄에이터가 돌출되어 있고, 설치면에 올려놓게 되면 해당 엑츄에이터가 인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충전 거치대(120)를 무단으로 가져가거나 옮기는 행위에 의해 충전 거치대(120)가 들리게 되면 엑츄에이터가 돌출되어 내부에 설치된 접점 단자가 접촉하게 됨으로써 거치대 본체부(121)와 설치면 간이 분리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경고신호 출력부(127)는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125)와 연결되고, 중앙서버(300)로부터 결제승인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114)와의 연결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신호강도 이하가 되는 경우 제2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로 스위치부(126)를 통해 거치대 본체부(121)의 접촉분리가 감지되는 경우 제3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동식 안마기(100)의 결제가 처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마기 본체(110)를 충전 거치대(120)로부터 강제 분리하는 경우 이를 제2 기준신호강도와의 비교를 통해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제2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외부에 알릴 수 있고, 충전 거치대(120)가 강제로 들어 올려지는 등을 감지하는 경우 도난으로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제3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제어부(128)는 중앙서버(300)로부터 결제승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2 전자석 잠금부(124)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안마기 본체(110)가 충전 거치대(12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안마기 본체(110)의 이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체 제어부(128)는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125)를 통해 안마기 본체(110)로 동작허용명령을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안마기 본체(110)가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제2 전자석 잠금부(124)의 잠금해제와 더불어 별도의 동작허용명령을 인가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본체 제어부(128)는 제2 경고신호 또는 제3 경고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안마기 본체(110)로 동작금지명령을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안마기 본체(110)가 강제 분리되거나 이동식 안마기(100)의 도난이 일어나더라도 안마기 본체(110)를 구동할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각각의 경고신호와 동작금지명령에 대한 리셋은 권한자에 의해 재설정되어 정상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안내 서비스부(129)는 이동식 안마기(100)의 음성안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언어를 설정 받고, 설정된 서비스 언어에 따른 음성 안내 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안내 방송 언어를 선택할 수 이는 버튼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밖에 QR 코드 형태의 고유식별정보(40)도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200)는 휴대통신단말(10)을 통해 충전 거치대(120)에 표시된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이동식 안마기(100)의 이용을 위한 결제방식을 선택 받아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거나, 결제요청정보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200)은 고유식별정보 인식부(210)와 앱 결제 처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식별정보 인식부(210)는 휴대통신단말(10)을 통해 고유식별정보(40)를 인식할 수 있다. 즉, 휴대통신단말(10)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QR코드 형태의 고유식별정보(40)를 스캔한 후 해당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식별정보(40)는 이동식 안마기(100)의 고유식별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후불결제를 위한 웹 사이트 주소 정보(URL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앱 결제 처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식 안마기(100)에 대한 공유시설과 연동되는 후불결제,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한 코드결제, 및 IC카드결제 중 어느 하나의 결제방식을 선택 받을 수 있다. 또한, 앱 결제 처리부(220)는 후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고유식별정보(40)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안마기결제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중앙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코드결제 또는 IC카드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금융사 서버(20)와 통신하여 결제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휴대통신단말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며,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는 무선통신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서버(300)는 어플리케이션(200)을 통해 선택된 결제방식이 후불결제방식인 경우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200)으로부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공유시설의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30)과 연동하여 해당 결제요청정보에 따른 결제처리를 수행한 후, 충전 거치대(120)로 결제승인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후불결제방식이 아닌 코드결제 또는 IC카드결제방식인 경우 금융사 서버(20)로부터 금융사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한 후 충전 거치대(120)로 결제승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서버(300)는 제1 서버 결제 처리부(310)와 제2 서버 결제 처리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 결제 처리부(310)는 어플리케이션(200)으로부터 후불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결제요청정보를 공유시설의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30)으로 전송한 후 공유시설의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30)으로부터 공유시설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고, 공유시설 결제승인정보에 따른 결제승인정보를 충전 거치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거치대(120)는 제2 전자석 잠금부(124)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더불어 동작허용명령을 안마기 본체(110)에 전송하여 안마기 본체(110)가 결제된 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동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2 서버 결제 처리부(320)는 금융사 서버(20)로부터 코드결제 또는 IC카드결제에 따른 금융사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금융사 결제승인정보에 따른 결제승인정보를 충전 거치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거치대(120)는 제2 전자석 잠금부(124)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더불어 동작허용명령을 안마기 본체(110)에 전송하여 안마기 본체(110)가 결제된 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동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이동식 안마기(100)에 대하여 결제금액만큼 혹은 미리 설정된 동작시간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종료되나, 종료되기 이전에 안마동작에 대한 연장여부확인을 알리는 안내문구가 안마기 본체(110)를 통해 출력되고, 안마시간을 연장하고자 할 경우 어플리케이션(200)을 통해 이전 결제방식 혹은 새로운 결제방식을 선택하여 추가 결제한 후 연장이용 할 수 있으며, 안마기 본체(110)가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동작하는 경우 직전 결제수단을 통해 과금 형태의 추가 금액을 청구하여 결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100: 이동식 안마기
110: 안마기 본체
111: 안마 구동부
112: 안마 전원부
113: 제1 전자석 잠금부
114: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
115: 구동 제어부
116: 안마기 경고신호 출력부
120: 충전 거치대
121: 거치대 본체부
122: 안마기 충전부
123: 서버 통신부
124: 제2 전자석 잠금부
125: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
126: 마이크로 스위치부
127: 거치대 경고신호 출력부
128: 본체 제어부
129: 음성 안내 서비스부
200: 어플리케이션
210: 고유식별정보 인식부
220: 앱 결제 처리부
300: 중앙서버
310: 제1 서버 결제 처리부
320: 제2 서버 결제 처리부
10: 휴대통신단말
20: 금융사 서버
30: 공유시설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
40: 고유식별정보

Claims (5)

  1. 공유시설에 설치된 공용 전동 안마기를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 충전 가능한 이동식 안마기 본체; 및 상기 안마기 본체를 충전하고, 외부에 안마기 결제처리를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안마기 본체의 이용안내정보를 설정 받고,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안마기 본체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충전 거치대를 포함하는 이동식 안마기;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이동식 안마기의 결제방식을 선택 받아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거나, 결제요청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결제방식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공유시설의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따른 결제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충전 거치대로 결제승인정보를 전송하거나, 금융사 서버로부터 금융사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충전 거치대로 결제승인정보를 전송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기 본체는,
    전동 안마를 위한 안마 구동부;
    상기 충전 거치대로부터 전력을 무선 수신하여 충전하고, 상기 안마 구동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안마 전원부;
    자력에 의해 상기 충전 거치대와 탈부착되는 제1 전자석 잠금부;
    상기 충전 거치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안마기 본체에 설치된 전원버튼 또는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충전 거치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안마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충전 거치대와의 연결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신호강도 이하가 되는 경우 제1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안마기 경고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거치대는,
    상기 안마기 본체를 수용 및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본체부;
    상기 안마 전원부로 전력을 무선 송신하는 안마기 충전부;
    상기 중앙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 전자석 잠금부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제1 전자석 잠금부와 분리되는 제2 전자석 잠금부;
    상기 안마기 본체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거치대 본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 본체부와 설치면 간의 접촉분리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부;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근거리무선통신부와의 연결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신호강도 이하가 되는 경우 제2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거치대 본체부의 접촉분리가 감지되는 경우 제3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거치대 경고신호 출력부;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결제승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석 잠금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제2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안마기 본체로 동작허용명령을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 경고신호 또는 상기 제3 경고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안마기 본체로 동작금지명령을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본체 제어부; 및
    상기 이동식 안마기의 음성안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언어를 설정 받고, 설정된 서비스 언어에 따른 음성 안내 방송을 송출하는 음성 안내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 인식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식 안마기에 대한 공유시설과 연동되는 후불결제,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한 코드결제, 및 IC카드결제 중 어느 하나의 결제방식을 선택 받고, 상기 후불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안마기결제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코드결제 및 상기 IC카드결제가 선택되는 경우 금융사 서버와 통신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앱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후불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결제요청정보를 공유시설의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으로 전송한 후 공유시설의 POS시스템 또는 전자결제시스템으로부터 공유시설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고, 공유시설 결제승인정보에 따른 결제승인정보를 상기 충전 거치대로 전송하는 제1 서버 결제 처리부; 및
    상기 금융사 서버로부터 코드결제 또는 IC카드결제에 따른 금융사 결제승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금융사 결제승인정보에 따른 결제승인정보를 상기 충전 거치대로 전송하는 제2 서버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020008A 2019-02-20 2019-02-20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KR10221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008A KR102216660B1 (ko) 2019-02-20 2019-02-20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008A KR102216660B1 (ko) 2019-02-20 2019-02-20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746A true KR20200101746A (ko) 2020-08-28
KR102216660B1 KR102216660B1 (ko) 2021-02-17

Family

ID=7226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008A KR102216660B1 (ko) 2019-02-20 2019-02-20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6051A (zh) * 2020-11-21 2021-03-09 湖南九波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支付启动石墨稀功能的理疗仪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45Y1 (ko) * 2012-05-29 2013-09-13 리스토어 인터내셔널 코., 엘티디. 휴대용 전자기식 안마기
KR20170061459A (ko) * 2015-11-26 2017-06-05 주식회사 뮤솔버스 피트니스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14921A (ko) 2016-08-02 2018-02-12 주식회사 미스터즈 고속도로 휴게소 및 쉼터용 이동식 전동안마 휴게실
KR101828678B1 (ko) 2016-05-18 2018-02-13 주식회사 로하스테크 코인투입식 안마의자의 관리 시스템
KR101896508B1 (ko) 2016-01-08 2018-09-11 주식회사 미스터즈 전동안마서비스 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6456A (ko) * 2017-03-20 2018-10-01 코나아이 (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45Y1 (ko) * 2012-05-29 2013-09-13 리스토어 인터내셔널 코., 엘티디. 휴대용 전자기식 안마기
KR20170061459A (ko) * 2015-11-26 2017-06-05 주식회사 뮤솔버스 피트니스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896508B1 (ko) 2016-01-08 2018-09-11 주식회사 미스터즈 전동안마서비스 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828678B1 (ko) 2016-05-18 2018-02-13 주식회사 로하스테크 코인투입식 안마의자의 관리 시스템
KR20180014921A (ko) 2016-08-02 2018-02-12 주식회사 미스터즈 고속도로 휴게소 및 쉼터용 이동식 전동안마 휴게실
KR20180106456A (ko) * 2017-03-20 2018-10-01 코나아이 (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6051A (zh) * 2020-11-21 2021-03-09 湖南九波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支付启动石墨稀功能的理疗仪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660B1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6930B2 (en) System and method of authorizing off-lin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9914364B2 (en) System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EV)
US8774714B2 (en) External power supply system for a lock comprising NFC-type contactless communication means
RU252038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бесконтактной авторизации платежа
CN105960660B (zh) 被提供有移动装置的用户被车辆的验证
KR20130035905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CN110571951B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相关设备
CN105450417B (zh) 移动场景下的用户行为验证方法及装置
EP34494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automated authentication
US20170331319A1 (en)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arging device
KR102216660B1 (ko) 공용 전동 안마기 서비스 시스템
US200800681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User Instructions Of A User Controllable Telecommunications Device
CN114584929B (zh) 业务处理方法及相关设备
KR101426732B1 (ko) 유괴 및 미아방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시스템
CN111489470A (zh) 无源智能门锁系统的控制方法
KR20160007704A (ko)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CA2989255C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applying an intermediate
CN109217047A (zh) 一种提供充电的插座
CN103903321A (zh) 智能锁
JP2007028370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端末制御方法
CN111489469A (zh) 无源智能门锁
CN205901810U (zh) 一种基于蓝牙通信的闸机系统
CN109191697A (zh) 一种提供充电验证的系统与方法
CN109461048B (zh) 一种用电租赁系统与充电设施
KR20170134888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2채널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