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222A -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222A
KR20200101222A KR1020190019547A KR20190019547A KR20200101222A KR 20200101222 A KR20200101222 A KR 20200101222A KR 1020190019547 A KR1020190019547 A KR 1020190019547A KR 20190019547 A KR20190019547 A KR 20190019547A KR 20200101222 A KR20200101222 A KR 20200101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ser
electronic device
receiving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표
유병인
박성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1222A/ko
Priority to PCT/KR2020/002171 priority patent/WO2020171490A1/ko
Publication of KR2020010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지문 센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1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릴리즈(release) 없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의 이동 거리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문 센서의 배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지정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정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터치 상태가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하여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Method for authentication of user fingerprin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 지문 인증 기술과 관련된다.
전자 장치가 다양한 기능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매체로 진화하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 개인 정보 또는 금융 정보 등과 같이 민감하고 사적인 정보 자원을 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는 수준 높은 보안 정책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사용자 고유의 신체적 특성에 근거한 생체 인증 시스템이 탑재되고 있다. 다양한 양상의 생체 인증 시스템 가운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활용하는 지문 인증 기술은 비교적 높은 보안성과 사용자의 운용 편의성 등으로 인하여 보편적인 생체 인증 수단으로 채용되고 있다.
지문 인식 기술의 운용 일례로, 디스플레이의 외부 영역에 별도의 지문 센서가 배치되던 방식 대신,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에서 지문 정보의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인-디스플레이(in-display)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인-디스플레이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지문 인증은 일련의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지문 인증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지문 인증이 진행될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전자 결제 화면 또는 사용자 로그인 화면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내의 지문 센싱 영역을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문 센싱 영역을 가이드하는 콘텐츠(예: 지문 이미지 등)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신체(예: 손가락)의 접촉에 따라 인증 결과와 관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는 다수의 스텝(step)을 포함하는 바, 일부 스텝의 진입을 위하여 번거로운 사용자 제어 동작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지문 인증에 걸리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 상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입력의 형태에 기초하여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연쇄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기능 동작 또는 사용자의 제어 동작이 간소화될 수 있는,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지문 센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1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릴리즈(release) 없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의 이동 거리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문 센서의 배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지정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정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터치 상태가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지문 인증과 관계된 전자 장치의 기능 동작 또는 사용자의 제어 동작이 간소화 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도모되고, 사용자 지문 인증의 소요 시간이 단축되는 지문 인증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지문 인증 실패 시의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에서의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과 관계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입력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은 터치(touch) 입력, 터치 릴리즈(touch release), 드래그(drag) 입력 및 홀드(hold)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은 예컨대, 디스플레이의 제1 지점에 사용자 신체(예: 손가락)가 접촉됨으로써 발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접촉은 상기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구현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와 기능적으로 연계된 터치 패널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전기적으로 유효하게 인식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터치 릴리즈(또는 단순히 '릴리즈')는 전술한 유효한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디스플레이 표면에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기능적으로, 터치 릴리즈는 전술한 터치 입력, 후술하는 드래그 입력 및 홀드 입력을 종료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상기 드래그 입력은 예컨대, 터치 릴리즈 없이 상기 터치 입력의 접촉 지점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홀드 입력은 상기 터치 입력의 접촉 상태가 소정 위치에서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발생한 제1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경우, 또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제2 지점으로 접촉 지점이 이동된 후, 제2 지점에서 제1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경우, 모두 홀드 입력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탑재된 기능 또는 서비스 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대한 생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결제 기반의 대금 처리, 사용자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또는 사용자 로그인 등과 관계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스케줄링 된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동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 획득을 지원하는 지문 센서(예: 도 2의 지문 센서(130))는 전자 장치(100) 상에서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영역(111)(또는, 뷰(view) 영역)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문 센서는 전자 장치(100)를 파지한 사용자 신체(예: 손가락)의 접근이 용이 하거나, 또는 사용자 신체의 동선 범위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111)의 하부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영역(111)은 상기 지문 센서가 배치된 위치와 대응하는 영역으로 센싱 영역(113)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영역(113)은 예컨대, 사용자의 지문 정보 획득과 관련하여 상기 지문 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도달하는 영역으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거나 노출이 최소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 영역(111)에서의 센싱 영역(113) 위치는 도시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면 영역(111) 하부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의 면적 또는 위치에 따라 화면 영역(111) 내에 다양한 위치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화면 영역(111)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면적의 지문 센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센싱 영역(113)은 화면 영역(111)의 전면적(all area)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 획득을 위한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사용자 입력이 터치 릴리즈 없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사용자 제스처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은 제1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10),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의 드래그 입력(20), 및 제2 지점에서의 홀드 입력(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터치 릴리즈는 발생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드래그 입력(20)의 크기(또는, 발생 거리)를 판단하고, 그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거리, 또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x좌표(또는 이에 수직한 y좌표)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터치 입력(10)이 발생한 위치(즉, 제1 지점)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의 제1 영역(예: 하단의 일정 영역)에서 터치 입력(10)이 발생한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2 영역(예: 측면의 일정 영역)에서 터치 입력(10)이 발생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지문 인증 프로세스가 시작될 수 있다. 다만 일부 실시 예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에 관계 없이 지문 인증 프로세스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드래그 입력(10)의 방향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입력(10)이 제1 방향(예: 가로 방향)을 향하거나, 혹은 드래그 입력의 주된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지문 인증 프로세스가 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주된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이라는 것은, 드래그 입력(10)의 이동 방향이 제1 방향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예: 세로 방향)을 포함하는 경우, 이 중 제1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드래그 입력(10)이 제2 방향(예: 세로 방향)을 향하거나, 혹은 드래그 입력의 주된 이동 방향이 제2 방향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지문 인증 프로세스가 시작될 수 있다. 다만 일부 실시 예에서, 드래그 입력(20)의 방향과 관계 없이 지문 인증 프로세스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지문 인증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전자 장치(100)는 상기 터치 입력(10)의 위치(예: 제1 지점)(또는, 좌표)에 관계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센싱 영역(113)에 지문 인식을 유도(또는, 가이드)하는 지정된 콘텐츠(5)(예: 지문 이미지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제어는 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가 항시 구동(예: always on)하는 상태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별도의 활성화 제어는 배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드래그 입력(20) 이후에 콘텐츠(5) 영역에 대한 홀드(hold) 입력(30)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홀드 입력(30)은 상기 드래그 입력(20)으로부터 연속된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드 입력(30)은 상기 드래그 입력(20)이 콘텐츠(5) 영역에 해당하는 제3 지점에 연속하여 도달한 후,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입력(20)에 의해 손가락의 접촉 위치가 제2 지점까지 이동되었을 때 제2 지점에서 조금 이격된 제3 지점에 콘텐츠(5)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제2 지점에서 제3 지점까지 추가로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고 접촉 상태를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3 지점에서 발생하는 홀드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일부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드래그 입력(20)이 도달한 제2 지점에 지문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면, 콘텐츠(5)는 제2 지점에서 표시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추가 드래그 없이 제2 지점에 접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사용자 입력이 터치 릴리즈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사용자 제스처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은 제1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10),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의 드래그 입력(20), 터치 릴리즈, 제3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 및 동일 지점에 대한 홀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10)과 드래그 입력(20)은 전술한 동작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드래그 입력(20)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의 일 지점, 예를 들어 제3 지점에 지문 인식을 유도하는 콘텐츠(5)를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5)가 표시되는 위치는 임의의 제3 지점일 수도 있으나, 드래그 입력(20)이 도달한 제2 지점에 지문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면, 제2 지점일 수도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콘텐츠(5)의 표시 이후에 터치 릴리즈를 허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터치 릴리즈가 발생하더라도 지문 인증 프로세스는 종료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릴리즈 이후에 콘텐츠(5)가 표시된 지점에 손가락을 가져갈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릴리즈 이후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 콘텐츠(5)에 해당하는 제3 지점에서 터치 및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홀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콘텐츠(5) 영역(예: 제3 지점)에서 발생된 홀드 입력(30)의 지속 시간을 카운트하고, 그 지속 시간이 지정된 시간 이상이면 사용자 지문 정보의 획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상기 지문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출시키고, 상기 신호의 응답을 수집하여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지문 인증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 예 및 이와 관련한 전자 장치(100)의 기능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터치 입력(10), 드래그 입력(20), 및 홀드 입력(30)에 의한 지문 인증에 대한 설명이 주로 제공되지만, 이하의 설명들은 전술한 터치 입력(10), 드래그 입력(20), 터치 릴리즈, 및 그 이후의 터치 입력 및 홀드 입력에 의해 지문 인증이 수행되는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지문 센서(130), 메모리(150), 통신 회로(170) 및 프로세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후술되는 도 9를 통하여 언급될 전자 장치(901)의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구동 신호를 지정된 프레임 속도(frame rate)로 수신하고, 상기 영상 구동 신호를 처리하여 각종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전자 장치(100) 상에서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가 개시되는 경우, 상기 지문 인증과 관계된 센싱 영역(도 1의 113)에 사용자 신체(예: 손가락)의 접촉을 유도(또는, 가이드)하기 위한 콘텐츠(예: 지문 이미지 등, 도 1의 5)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도 1의 111)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90)(또는, 터치 IC)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패널은 정전 방식, 감압 방식 또는 저항 방식 등의 내부 구조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좌표, 발생 시간 또는 지속 시간 등에 대한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9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영역(111)이 포함하는 센싱 영역(113)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영역(113)에 접촉되는 사용자 신체에 대한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문 센서(130)는 상기 지문 정보의 획득과 관련하여 시분할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130)는 제1 주기 동안 상기 적어도 일부가 센싱 영역(113)을 지향하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예: TX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주기 이후의 제2 주기 동안 상기 센싱 영역(113)에 접촉된 사용자 신체로부터 반사되는 적어도 일부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예: 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지문 센서(130)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집하여 프로세서(190)(또는, 지문 센서 IC)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응답 신호는 사용자 지문 정보에 기초한 지문 이미지 생성에 참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전자 장치(100) 운용과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100) 구성요소들의 기능 동작과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디스플레이(110)의 터치 패널에 의해 획득되는 사용자 입력 관련 정보(예: 사용자 입력의 좌표, 발생 시간 또는 지속 시간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50)는 사용자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지문 이미지와 비교 대상으로 참조되는 사용자 지문 템플릿(template)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50)는 전자 장치(100) 제조 시 프리로드(preloaded) 형태로 탑재되거나, 온라인 마켓(예: 앱 스토어(app store))으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개인 정보, 또는 각종 제한된 기능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예: 지문 인증)이 요구되는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회로(170)는 전자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규정된 프로토콜(protocol)에 따른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립하고, 상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 운용에 관계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9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어, 상술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전자 장치(100) 구성요소들과 전기적 또는 기능적(operatively)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성요소들로 기능 동작과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전달하거나, 각종 연산 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디스플레이(110)의 터치 패널로부터 전달받는 사용자 입력 관련 정보(예: 사용자 입력의 좌표, 발생 시간 또는 지속 시간 등)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이전에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영역(111)에 대하여 지정된 개수 미만의 좌표값을 갖는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터치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90)는 상기 화면 영역(111)에 대하여 검출되는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개수 이상의 좌표값을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개수 이상의 좌표값이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연속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드래그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90)는 상기 화면 영역(111)에 대하여 지정된 개수 미만의 좌표값을 갖는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고, 검출된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홀드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상기 사용자 입력 관련 정보 및 사용자 입력의 형태 판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영역(111)에서 발생된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패턴(예: 터치 입력 및 드래그 입력이 연속되는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케줄링 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지문 센서(130)의 구동에 의해 획득되는 사용자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메모리(150)에 사전 저장된 사용자 지문 템플릿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사용자 지문 이미지 및 사용자 지문 템플릿을 매핑시켜 상호 간의 일치 비율을 판단하고, 그 비율이 지정된 값(또는, 퍼센트)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도 1 또는 도 2의 100)는 메모리(도 2의 150)에 저장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여 퀵(quick) 방식으로 실행(이하, 스와이프(swipe) 실행으로 참조함)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스와이프 실행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이 전술한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상술과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도 2의 190)는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영역(도 1의 111)에 임의의 화면(예: 전자 장치(100)의 홈 화면 또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화면의 하측 종단 영역에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 삼성 페이)의 스와이프 실행을 지원하는 제1 오브젝트(15)(예: 블러(blur) 처리된 바(bar))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스와이프 실행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사용자 신체가 상기 제1 오브젝트(150)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는 터치 입력(10)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90)는 메모리(150)에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과 관계되는 명령 또는 데이터를 로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터치 입력(10) 수신 이후의 시점(time)으로, 상기 터치 입력(10)으로부터 일 방향(예: 제1 오브젝트(15)를 기준하여 상측 방향)을 향하여 연속되는 드래그 입력(20)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90)는 제1 오브젝트(15)를 소멸시키고,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계된 제1 콘텐츠(16)(예: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설정된 신용카드 이미지 등)를 드래그 입력(20)의 진행 정도에 대응되게 점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상기 드래그 입력(20)의 크기(또는, 발생 거리)를 실시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판단되는 드래그 입력(20)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터치 입력(10)으로부터 드래그 입력(20)으로 연속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지문 인증과 관련한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90)는 상기 지문 인증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 동작으로서, 사용자에게 지문 센서(도 2의 130)의 센싱 영역을 명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제2 콘텐츠(5)(예: 지문 이미지 등)를 화면 영역(11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상기 지문 센서(13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111) 내의 일 영역으로 상기 제2 콘텐츠(5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메모리(130)에 로드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관련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지문 인증이 완료되기 이전까지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드래그 입력(20) 수신 이후의 시점으로, 상기 제2 콘텐츠(5) 영역에서 발생하는 홀드 입력(30)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드래그 입력(20)이 제2 콘텐츠(5) 영역으로 연속됨으로써 발생되는 홀드 입력(30)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90)는 드래그 입력(20)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범위 내의 인터벌을 갖고 제2 콘텐츠(5) 영역에서 발생되는 홀드 입력(30)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홀드 입력(30)을 수신하는 시점에, 드래그 입력(20)의 진행에 따라 점진적으로 표시되던 제1 콘텐츠(16)는 완전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예컨대 표시된 제2 콘텐츠(5)의 하부 레이어로 표시되어 상기 제2 콘텐츠(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상기 홀드 입력(30) 수신에 대응하여, 지문 센서(13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콘텐츠(5) 영역에 접촉된 사용자 신체에 대한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획득된 사용자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메모리(150)에 사전 저장된 사용자 지문 템플릿과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상기 사용자 지문 이미지 및 사용자 지문 템플릿이 지정된 비율(또는, 퍼센트) 이상으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를 인증하여 출력 중인 화면(예: 전자 장치(100)의 홈 화면 또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등)을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화면(17)(예: 결제 수단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 등)으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참조되는 도 4에 대한 설명은, 도 3를 통하여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인증 프로세스와 적어도 일부 유사한 구성 또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90)는 상술과 유사하게, 임의의 화면(예: 전자 장치(100)의 홈 화면 또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한 상태에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 엣지(edge) 패널)의 스와이프 실행을 지원하는 제2 오브젝트(25)(예: 블러 처리된 바)를 상기 화면의 우측(또는, 좌측) 종단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사용자 신체가 상기 제2 오브젝트(25)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는 터치 입력(10)을 수신한 후, 상기 터치 입력(10)으로부터 일 방향(예: 우측 종단 영역에 표시된 제2 오브젝트(25)를 기준하여 좌측 방향)을 향하여 연속되는 드래그 입력(20)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90)는 상기 드래그 입력(20) 수신에 대응하여 제2 오브젝트(25)를 소멸시키고,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계된 제1 인터페이스(26)를 드래그 입력(20)의 진행 정도에 대응되게 점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드래그 입력(20)의 크기(또는, 발생 거리)를 판단하여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터치 입력(10)으로부터 드래그 입력(20)으로 연속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지문 인증과 관련한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상기 지문 인증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 동작으로서, 지문 센서(13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도 1의 111) 내의 일 영역으로 상기 지문 센서(130)의 센싱 영역을 명시하는 제2 콘텐츠(5)(예: 지문 이미지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드래그 입력(20) 수신 이후, 상기 제2 콘텐츠(5) 영역에서 발생하는 홀드 입력(30)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90)는 상기 드래그 입력(20)의 진행에 따라 점진적으로 표시하던 제1 인터페이스(26)를 완전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인터페이스(26)를 제2 콘텐츠(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제2 콘텐츠(5)의 하부 레이어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90)는 상기 홀드 입력(20) 수신에 대응하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 송출 및 응답 신호 수신이 수행되도록 지문 센서(13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콘텐츠(5) 영역에 접촉된 사용자 신체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상기 획득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사용자 지문 이미지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를 인증하여 상기 제1 인터페이스(26)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정보(예: 사용자 개인 정보 등)를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27)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참조되는 도 5에 대한 설명은, 도 3를 통하여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인증 프로세스 또는 도 4를 통하여 상술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인증 프로세스와 적어도 일부 유사한 구성 또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90)는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여 임의의 화면(예: 전자 장치(100)의 홈 화면 등)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 신체가 상기 임의의 화면이 포함하는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35)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는 터치 입력(10)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상기 터치 입력(10) 수신 이후의 시점으로, 터치 입력(10)으로부터 일 방향을 향하여 연속되는 드래그 입력(20)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드래그 입력(20)의 크기(또는, 발생 거리)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90)는 터치 입력(10)으로부터 드래그 입력(20)으로 연속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지문 인증과 관련한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하여, 스케줄링 된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상기 지문 인증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 동작으로서, 지문 센서(13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도 1의 111) 내의 일 영역으로 상기 지문 센서(130)의 센싱 영역을 명시하는 제2 콘텐츠(5)(예: 지문 이미지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터치 입력(10)에 의하여 선택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35)에 대응하는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드래그 입력(20) 수신 이후의 시점으로, 상기 드래그 입력(20)으로부터 연속되거나, 또는 드래그 입력(20)과 지정된 시간 범위 내의 인터벌을 갖고 발생되는 홀드 입력(30)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상기 제2 콘텐츠(50)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발생되는 홀드 입력(30)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90)는 지문 센서(13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콘텐츠(5) 영역에 접촉된 사용자 신체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상기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메모리(150)에 저장된 사용자 지문 템플릿과 비교하고, 상호 지정된 비율(또는, 퍼센트) 이상으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35)에 대응하는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제한된 기능 또는 서비스를 별도의 사용자 로그인(예: 아이디 및 패스워드 기반의 사용자 로그인 등)을 배제하며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지문 인증 실패 시의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에서의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사용자 지문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추가적인 사용자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된 제2 콘텐츠(도 3, 도 4 또는 도 5의 5) 영역에 접촉되는 사용자 신체(예: 손가락)가 명확한 지문 정보 획득에 부적절한 상태(예: 습윤 상태 또는 건조 상태)이거나, 상기 제2 콘텐츠(5) 영역에서 발생되는 홀드 입력(도 3, 도 4 또는 도 5의 30)의 지속 시간이 지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지문 인증(또는, 사용자 지문 정보 획득)에 실패할 수 있다. 또는, 획득된 사용자 지문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사용자 지문 이미지가 메모리(150)에 사전 저장된 사용자 지문 템플릿과 대응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지문 인증에 실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도 2의 190)는 상기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사용자 지문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여 터치 입력(도 3, 도 4 또는 도 5의 10)의 위치와 관계되는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하고,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로그인 화면(45)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로그인 화면(45)은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로그인과 관계된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로그인 화면(45)은 SIP(software input panel) 자판(4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90)는 상기 로그인 화면(45) 상에서 SIP 자판(46)을 통한 로그인을 지원하는 동시에, 사용자 지문 인증에 기초한 로그인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90)는 로그인 화면(45) 내의 일 영역으로 지문 센서(도 2의 130)의 센싱 영역을 명시하는(또는, 사용자 신체의 접촉 영역을 가이드하는) 제2 콘텐츠(5)를 상기 로그인 화면(45)에 대하여 오버레이 버튼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오버레이 버튼 형태의 제2 콘텐츠(5)의 표시 영역(또는, 지문 센서(130)의 센싱 영역)은 SIP 자판(46)의 표시 영역과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90)는 상기 SIP 자판(46)이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버튼들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상기 소프트웨어 버튼들 및 제2 콘텐츠(5) 간의 중첩을 회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상기 오버레이 버튼 형태의 제2 콘텐츠(5)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버튼을 판단하고,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버튼이 제2 콘텐츠(5)와 간섭되지 않도록, 해당 소프트웨어 버튼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SIP 자판(46)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상기 로그인 화면(45) 상에서 SIP 자판(46)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예: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유효하거나, 제2 콘텐츠(5) 영역에서 발생되는 홀드 입력(30)에 의한 사용자 지문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로그인 화면(46)을 사용자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47)으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90)는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여 지정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 전자 결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55)을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지문 인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상기 지정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별도의 사용자 제어와 관계없이,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55)에 지문 센서(130)의 센싱 영역을 나타내는 제2 콘텐츠(5)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55)이 표시하는 임의의 콘텐츠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콘텐츠(5)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상기 제2 콘텐츠(5)를 오버레이 버튼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55)은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홈 화면, 결제 화면 및 설정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하여 진입 가능한 다양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콘텐츠(5) 영역에서 홀드 입력(도 3, 도 4, 도 5 또는 도 6의 30)이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된 후 릴리즈로 전환되면, 프로세서(190)는 제2 콘텐츠(5)를 사용자 지문 정보(또는, 사용자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사용자 지문 이미지)의 유효성이 판단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3 콘텐츠(6)(예: 로딩 이미지 등)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유효성 판단에 따라 사용자 지문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90)는 출력 중인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55)을 결제 수단 정보(예: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설정된 신용카드 정도 등)를 포함하는 화면(56)으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56)은 상기 결제 수단을 이용한 전자 결제(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결제)의 제한 시간을 명시하는 제4 콘텐츠(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800)과 관계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전자 장치(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또는 도 7의 100)의 프로세서(도 2의 190)는 제1 시점(time)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디스플레이(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또는 도 7의 110)를 제어하여 임의의 화면(예: 전자 장치(100)의 홈 화면 또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 신체가 상기 화면의 하측 종단, 우측 종단 또는 좌측 종단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오브젝트는 지정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스와이프 실행(예: 사용자 제어에 따라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퀵 방식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90)는 사용자 신체가 상기 화면에 표시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90)는 이전에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화면에 대하여 지정된 개수 미만의 좌표값을 갖는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터치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사용자 신체가 상기 오브젝트 또는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는 터치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와 관계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도 2의 150)에 로드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프로세서(190)는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상기 터치 입력으로부터 일 방향을 향하여 연속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상기 화면의 하측 종단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에서 발생된 터치 입력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를 기준하여 상측 방향을 항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90)는 상기 화면의 우측 종단 또는 좌측 종단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에서 발생된 터치 입력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를 기준하여 측 방향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90)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에서 발생된 터치 입력으로부터 임의의 방향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90)는 상기 화면에 대하여 검출되는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개수 이상의 좌표값을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개수 이상의 좌표값이 일 방향을 향하여 연속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드래그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드래그 입력이 화면의 하측 종단, 우측 종단 또는 좌측 종단에 표시된 오브젝트에서 발생된 터치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경우, 프로세서(190)는 상기 오브젝트를 소멸시키고, 터치 입력의 위치와 관계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콘텐츠(예: 신용카드 이미지 등) 또는 인터페이스를 드래그 입력의 진행 정도에 대응되게 점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프로세서(190)는 드래그 입력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의 개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드래그 입력의 크기(또는, 발생 거리)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90)는 판단된 드래그 입력의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으로부터 드래그 입력으로 연속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지문 인증과 관련한 지정된 패턴의 사용자 입력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프로세서(190)는 상기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 동작으로서, 상기 터치 입력의 위치와 관계된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사용자 지문 인증이 완료되기 이전까지, 상기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동작 809에서, 프로세서(190)는 상기 사용자 지문 인증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 동작으로서, 디스플레이(110)의 하부로 배치된 지문 센서(도 2의 1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 내의 센싱 영역(예: 도 1의 113)에 사용자 신체의 접촉을 유도(또는, 가이드)하기 위한 이미지(예: 지문 이미지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90)는 상기 동작 807에 따른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및 상기 동작 809에 따른 이미지 출력을 실질적으로 유사한 시점에 수행하거나,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지정된 순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11에서, 프로세서(190)는 상기 제2 시점 이후의 제3 시점에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서 발생하는 홀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홀드 입력은 상기 드래그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드래그 입력이 연속되어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도달함으로써 발생되는 홀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홀드 입력은 상기 드래그 입력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범위 내의 인터벌을 갖고 발생되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릴리즈로 전환된 후, 상기 전환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서 발생되는 홀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90)는 지정된 개수 미만의 좌표값을 갖는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홀드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90)는 홀드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드래그 입력의 진행에 따라 점진적으로 표시하던 콘텐츠 또는 인터페이스를 완전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상기 콘텐츠 또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센싱 영역을 명시하는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이미지의 하부 레이어로 표시할 수 있다.
동작 813에서, 프로세서(190)는 홀드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된 사용자 신체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 송출 및 응답 신호 수신이 수행되도록 지문 센서(13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응답 신호에 따른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90)는 상기 획득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메모리(150)에 사전 저장된 사용자 지문 템플릿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지문 센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1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릴리즈(release) 없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의 이동 거리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문 센서의 배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지정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정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터치 상태가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지점과 관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및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릴리즈 없이, 상기 드래그 입력으로부터 연속되는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릴리즈(release)로 전환된 후, 상기 전환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 발생되는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개인 정보 또는 제한된 기능 및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인증이 요구되는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측 종단에 표시되는 제1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기준하여 상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우측 종단 또는 좌측 종단에 표시되는 제2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제2 오브젝트를 기준하여 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으로 상기 제1 지점과 관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콘텐츠 또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지점과 관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 획득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1 지점과 관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로그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로그인 화면은,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지원하는 SIP(software input panel) 자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IP 자판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버튼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상기 로그인 화면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버튼과의 중첩이 회피되는 일 영역으로 상기 지정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1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의 릴리즈 없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드래그 입력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된 지문 센서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지정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지정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터치 상태가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은, 상기 드래그 입력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지점과 관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및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드래그 입력의 릴리즈 없이, 상기 드래그 입력으로부터 연속되는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드래그 입력이 릴리즈로 전환된 후, 상기 전환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 발생되는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측 종단에 표시되는 제1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오브젝트를 기준하여 상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우측 종단 또는 좌측 종단에 표시되는 제2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오브젝트를 기준하여 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900)에서 전자 장치(901)는 제 1 네트워크(9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9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904) 또는 서버(9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는 서버(908)를 통하여 전자 장치(9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는 프로세서(920), 메모리(930), 입력 장치(950), 음향 출력 장치(955), 표시 장치(960), 오디오 모듈(970), 센서 모듈(976), 인터페이스(977), 햅틱 모듈(979), 카메라 모듈(980), 전력 관리 모듈(988), 배터리(989), 통신 모듈(990), 가입자 식별 모듈(996), 또는 안테나 모듈(9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9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960) 또는 카메라 모듈(9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9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9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920)에 연결된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9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976) 또는 통신 모듈(9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9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9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9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20)는 메인 프로세서(9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9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923)은 메인 프로세서(9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923)는 메인 프로세서(9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9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9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9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9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921)와 함께, 전자 장치(9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960), 센서 모듈(976), 또는 통신 모듈(9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9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980) 또는 통신 모듈(9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930)는,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920) 또는 센서 모듈(9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30)는, 휘발성 메모리(9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9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940)은 메모리(9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942), 미들 웨어(944) 또는 어플리케이션(9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950)는, 전자 장치(9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9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9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9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9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9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9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960)는 전자 장치(9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9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9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9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970)은, 입력 장치(9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955), 또는 전자 장치(9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976)은 전자 장치(9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9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977)는 전자 장치(9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9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9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9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9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9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9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9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9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988)은 전자 장치(9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9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989)는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9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990)은 전자 장치(9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 전자 장치(904), 또는 서버(9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990)은 프로세서(9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990)은 무선 통신 모듈(9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9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9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992)은 가입자 식별 모듈(9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998)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9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9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9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998)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9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9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9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과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999)에 연결된 서버(908)를 통해서 전자 장치(901)와 외부의 전자 장치(9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902, 904) 각각은 전자 장치(9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902, 904, or 9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9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9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에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9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9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9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936) 또는 외장 메모리(9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9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9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지문 센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1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릴리즈(release) 없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의 이동 거리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문 센서의 배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지정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지정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터치 상태가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지점과 관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및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릴리즈 없이, 상기 드래그 입력으로부터 연속되는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릴리즈(release)로 전환된 후, 상기 전환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 발생되는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개인 정보 또는 제한된 기능 및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인증이 요구되는 보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측 종단에 표시되는 제1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기준하여 상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우측 종단 또는 좌측 종단에 표시되는 제2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제2 오브젝트를 기준하여 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으로 상기 제1 지점과 관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콘텐츠 또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지점과 관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 획득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1 지점과 관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로그인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화면은,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지원하는 SIP(software input panel) 자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IP 자판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버튼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상기 로그인 화면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버튼과의 중첩이 회피되는 일 영역으로 상기 지정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의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1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의 릴리즈 없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드래그 입력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된 지문 센서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지정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지정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터치 상태가 지정된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입력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지점과 관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및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드래그 입력의 릴리즈 없이, 상기 드래그 입력으로부터 연속되는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드래그 입력이 릴리즈로 전환된 후, 상기 전환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 발생되는 상기 홀드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측 종단에 표시되는 제1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오브젝트를 기준하여 상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우측 종단 또는 좌측 종단에 표시되는 제2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오브젝트를 기준하여 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KR1020190019547A 2019-02-19 2019-02-19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101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547A KR20200101222A (ko) 2019-02-19 2019-02-19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CT/KR2020/002171 WO2020171490A1 (ko) 2019-02-19 2020-02-14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547A KR20200101222A (ko) 2019-02-19 2019-02-19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222A true KR20200101222A (ko) 2020-08-27

Family

ID=7214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547A KR20200101222A (ko) 2019-02-19 2019-02-19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01222A (ko)
WO (1) WO20201714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4955A (ja) * 2012-02-23 2013-09-05 Panasonic Corp セキュリティを解除するための情報の入力が要求される情報処理装置及びログイン方法
KR20150018256A (ko) * 2013-08-09 2015-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1566A (ko) * 2015-06-01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29836A (ko) * 2015-09-08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6099B1 (ko) * 2017-07-13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정보 표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1490A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6584B2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r content associated with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same
US11487558B2 (en)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sharing method using same
US2022015100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en and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pen
JP2019128961A (ja) 指紋認識のための方法、電子装置及び格納媒体
US10867202B2 (en) Method of biometric authenticating using plurality of camera with different field of view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1275458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fingerprint recognition
US11907345B2 (en) Method for performing biometric authentication according to display of object related to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0010341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672089B1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ing resonant frequency modified according to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CN111241499B (zh) 应用程序登录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00053195A1 (en) Method for processing incoming call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2021004894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동작 제어 방법
KR102436435B1 (ko)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US1151510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key assembly comprising pressure 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210083059A (ko)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10174766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vided screen
KR20200117183A (ko) 메시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24408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US11476895B2 (en) External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antenna performance using same
KR20190105730A (ko) 오디오 모듈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101222A (ko) 사용자 지문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961439A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and electronic device assisting same
KR20210122541A (ko) 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06159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방법
KR20210124829A (ko) 지문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