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167A -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167A
KR20200101167A KR1020190019456A KR20190019456A KR20200101167A KR 20200101167 A KR20200101167 A KR 20200101167A KR 1020190019456 A KR1020190019456 A KR 1020190019456A KR 20190019456 A KR20190019456 A KR 20190019456A KR 20200101167 A KR20200101167 A KR 20200101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eodorizing
deodorization
washing apparatu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민
최동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1167A/ko
Publication of KR2020010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취필터와 자외선 LED를 구비하여 세탁물 또는 세탁장치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세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건조덕트가 없는 워시 온리 타입의 세탁장치에 탈취모듈을 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탈취모듈을 세제박스의 후면에 배치함으로써, 탈취된 공기가 세제박스의 급수관을 통하여 터브의 내부로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deodoriz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취필터와 자외선 LED를 구비하여 세탁물 또는 세탁장치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세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문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크게 교반식(agitator type)과 와류식(pulsator type) 및 드럼식(drum type) 세탁기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수류와 포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은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포를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드럼 세탁기는 다시 세탁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워시 앤 드라이 타입(wash & dry type)과, 세탁 기능만을 수행하는 워시 온리 타입(wash only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세탁기는 물을 사용하게 되고, 세탁을 마친 포는 탈수된 상태이기는 하나 수분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상태이다.
세탁기의 내부에 세탁이 완료된 포를 장시간 방치할 경우 세균, 곰팡이 등이 증식하여 악취 및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특허문헌 1(KR 등록특허 10-0692555호) 및 특허문헌 2(KR 공개특허 10-2005-0114107호)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탈취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드럼 세탁기는 터브(24)의 하측에 연결되는 응축덕트(26)와, 응축덕트(26)와 연통되는 건조덕트(30)를 포함하되, 탈취를 위한 정화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정화부(60)는 건조덕트(30)와 연결된 필터부재(62)와, 필터부재(62)의 외측을 감싼 형상으로 설치된 커버부재(64)와, 커버부재(64)의 내측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광하는 램프부재(66)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드럼 세탁기는 드럼(20) 내부가 보이도록 도어(11)에 마련된 투시창의 둘레를 따라 원형고리 형상의 탈취유닛(50)을 구비한다. 그리고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끌어내 다시 드럼(20) 내부로 순환시키는 덕트(31,32)가 마련된다.
탈취유닛(50)은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원형 고리형상의 필터케이스(51)와, 필터케이스(51) 내에 장착되는 탈취필터를 포함한다. 필터케이스(51)의 내부에는 탈취필터와 UV-LED 램프가 배치되고, 탈취유닛(50)은 송풍덕트(32)와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의 드럼 세탁기는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건조덕트(또는 송풍덕트)가 구비된 형태로, 건조덕트(또는 송풍덕트)의 내부에 탈취필터를 배치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워시 온리 타입의 드럼 세탁기의 경우 건조덕트가 구비되지 않아 도 1 및 도 2의 구조가 적용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KR 등록특허 10-0692555호 (공고일자 2007년 3월 14일) KR 공개특허 10-2005-0114107호 (공개일자 2005년 12월 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워시 온리(wash only) 타입의 드럼 세탁기의 탈취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이 완료된 포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건조덕트가 없는 워시 온리 타입의 세탁장치에 탈취모듈을 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탈취모듈을 세제박스의 후면에 배치함으로써, 탈취된 공기가 세제박스의 급수관을 통하여 터브의 내부로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취모듈은 흡기팬을 통하여 터브 내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탈취필터로 공급하고, 탈취필터는 광촉매를 구비하여 자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워시 온리 타입의 세탁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며, 세탁장치에 잔류하는 포에서 발생하는 냄새와 세탁장치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탈취모듈이 세제박스의 후면에 배치되어 탈취된 공기가 터브의 내부로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탈취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특허문헌 1(KR 등록특허 10-0692555호) 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탈취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특허문헌 2(KR 공개특허 10-2005-0114107호)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탈취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의 내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기의 전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가스켓과 탈취모듈과 세제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탈취모듈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세제박스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성능을 향상한 세탁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기의 전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1)과, 캐비닛 내로 포가 출입하도록 캐비닛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112)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닛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2)와, 터브(122)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드럼(124)과, 드럼에 토크를 인가하여 회전시키는 드럼 모터(113)와,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3)와, 사용자 입력을 받아 들이며 세탁기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114)과, 탈취모듈(20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전방은 도어(112)측을 의미하고, 후방은 드럼 모터(113)측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122), 드럼(124), 세제박스(133), 탈취모듈(200)을 포함한다.
캐비닛(111)은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 출입홀이 형성된다. 캐비닛(111)에는 포 출입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비닛(111)에는 컨트롤 패널(114)이 구비된다. 캐비닛(111)의 상부 일측에는 세제박스(133)가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122)는 캐비닛(111) 내부에 스프링(115) 및 댐퍼(117)에 의하여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122)는 세탁수를 수용한다. 터브(124)는 드럼(124)의 외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터브(122)는 양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터브 본체와, 터브 본체의 개구된 전방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전면 터브 커버와, 터브 본체의 개구된 후방에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후면 터브 커버를 포함한다.
터브(122)의 일측에는 터브 홀이 형성된다. 터브 홀은 드럼(124) 내부로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 출입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터브 홀은 전면 터브 커버에 형성된다.
드럼 모터(113)는 회전력을 발생한다. 드럼 모터(113)는 드럼(124)을 다양한 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드럼 모터(113)는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와, 코일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발생시켜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한다.
드럼(124)은 포를 수용하고 회전한다. 드럼(124)은 터브(122) 내부에 배치된다. 드럼(124)은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124)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을 구비한다. 드럼(124)은 드럼 모터(1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드럼(124)의 전방에는 드럼 홀이 형성된다. 드럼 홀은 드럼(124) 내부로 포의 풀입이 가능하도록 포 출입홀 및 터브 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드럼(124)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드럼 본체와, 드럼 본체의 개구된 전방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드럼 전면 커버와, 드럼 본체의 개구된 후방에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후면 드럼 커버를 포함한다.
드럼(124)의 회전에 따라 포가 들어올려졌다가 낙하할 수 있도록, 드럼(124)의 내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리프터(151)가 배치될 수 있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와 캐비닛(111) 사이를 밀봉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의 입구와 포 출입홀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128)은 드럼(124)의 회전시 도어(1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세제박스(133)는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된다. 세제박스(133)는 캐비닛(111)의 전면에 상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박스(133) 내의 세제는 세탁수 공급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캐비닛(111) 내부에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131)와, 급수 밸브(131)에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33)로 흐르는 급수유로(132)와, 세제박스(133)에서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터브(122) 내로 유입하도록 안내하는 급수관(134)이 구비된다.
또한, 캐비닛(111)의 내부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유출되는 배수관(135)과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키는 펌프(136)와,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137)와, 세탁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 유로(138)가 구비된다.
세탁장치의 실시예에 따라서 펌프(136)는 순환 펌프와 배수 펌프로 별도로 구비되어 순환 유로와 배수 유로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4)에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작동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작동 명렬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세탁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가스켓과 탈취모듈과 세제박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탈취모듈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세제박스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에 탈취모듈(200)은 세제박스(133)의 후면에 배치된다.
세제박스(133)는 세탁장치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세제박스 베이스(133a)와, 상기 세제박스 베이스(133a)에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제박스 몸체(133b)와, 상기 세제박스 몸체(133b)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세제박스 커버(133c)를 포함한다.
탈취모듈(200)은 세탁장치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세제박스 베이스(133a)에 장착될 수 있다.
탈취모듈(200)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210)와, 흡기를 수행하기 위한 흡기팬(220)과, 흡기팬(2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230)와, 흡기팬(220)을 통해 흡기되는 공기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탈취필터(240)와, 상기 탈취필터(24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촉매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자외선 램프(UV-LED)(250)을 포함한다.
또한, 세제박스 베이스(133a)에 결합되어 세제박스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탈취모듈(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가이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가이드(260)는 상면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탈취모듈(2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부로 토출되도록 하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탈취모듈(200)은 탈취유로(300)를 통해 세탁장치(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탈취유로(300)는 일측은 개스킷(128)에 연결되고, 타측은 탈취모듈(200)의 케이스(21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100)의 탈취모듈(200)은 세제박스(133)의 후면에 연결된다. 세제박스(133)는 세탁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세제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고 세제가 세탁수와 함께 자연배수를 통하여 급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세제박스(133)의 후면에 탈취모듈(200)을 배치하면, 세탁수가 탈취모듈(20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취모듈(200)에서 토출되는 탈취된 공기가 세제박스(133) 근방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탈취된 공기가 터브와 소통되는 급수관(134)을 통해 터브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탈취모듈(200)이 동작하여 터브(1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면, 터브(122)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터브(122)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런데, 도어(112)가 닫힌 상태에서 터브(122)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주된 경로는 세제박스(133)와 터브(122)를 연결하는 급수관(134)이 된다.
따라서, 탈취모듈(200)에서 탈취된 공기가 급수관(134)을 통해 다시 터브(12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취필터(240)는 내측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냄새 입자를 흡착하기 용이하도록 세라믹 필터나 활성탄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탈취필터(240)에는 광촉매가 코팅되며, 자외선 램프(25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반응되어 탈취필터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분해함으로써, 탈취필터(240)의 성능을 확보하게 된다.
광촉매는 자외선 램프(250)의 자외선에 반응하여 오염물질을 산화시키기 위한 물질은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화티탄을 광촉매로 사용할 수 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외선 램프(250)는 자외선을 생성하는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램프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하여, 이로 인하여 더욱 강력한 공기의 정화와 함께 항균작용 및 유해물질 분해작용을 하게 된다.
자외선 램프(250)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1개 또는 복수개가 적용될 수 있다.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1개 적용되는 경우, 광촉매 반응 효과가 우수한 340~380nm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복수개 적용하여 자외선 램프(250)를 구성하는 경우라면, 일부는 광촉매 반응 효과가 우수한 340~380nm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일부는 살균효과가 우수한 240~2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냄새는 세균의 증식과도 관련이 있으므로, 탈취모듈에서 처리되는 공기를 탈취함과 동시에 살균하도록 함으로써, 냄새 제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 장치는 세탁 종료 후 의류를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의류의 냄새를 탈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하였는데 드럼 내부의 포의 중량을 감지하고, 포의 중량이 감지되면 드럼을 회전시키며, 탈취 모듈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탈취 모듈의 동작이라 함은 송풍팬의 회전과 자외선 램프의 점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 장치는 세탁 종료 후 빈통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탈취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탁 종료 후 일정시간 경과하였는데 드럼 내부의 포의 중량을 감지하고, 빈통인 것으로 인식되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탈취 모듈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탈취 모듈의 동작이라 함은 송풍팬의 회전과 자외선 램프의 점등을 의미한다. 빈통인 경우 드럼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나, 내부 공기의 효율적인 순환을 위하여 드럼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세탁장치 111: 캐비닛
112: 도어 113: 드럼 모터
114: 컨트롤 패널 115: 스프링
117: 댐퍼 122: 터브
124: 드럼 128: 개스킷
131: 급수 밸브 132: 급수유로
133: 세제박스 133c: 세제박스 커버
133b: 세제박스 몸체 133a: 세제박스 베이스
134: 급수관 135: 배수관
136: 펌프 137: 순환유로
138: 배수 유로 151: 리프터
200: 탈취모듈 210: 케이스
220: 흡기팬 230: 팬모터
240: 탈취필터 250: 자외선 램프
260: 방수가이드 300: 탈취유로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되며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캐비닛 사이를 밀봉하는 개스킷;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수용되며 회전 가능한 드럼;
    상기 캐비닛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는 세제박스;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탈취하는 탈취모듈; 및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탈취모듈로 안내하는 탈취유로;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듈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와,
    냄새 입자를 흡착하는 탈취필터와,
    터브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탈취필터로 송풍하기 위한 흡기팬과,
    상기 흡기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듈은
    상기 탈취필터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산화시키기 위하여 광촉매작용을 일으키기 위한 광촉매를 구비하고,
    상기 탈취필터에 자외선을 제공하는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세탁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유로는 상기 개스킷과 상기 탈취모듈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듈은 상기 세제박스의 후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되며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캐비닛 사이를 밀봉하는 개스킷;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수용되며 회전 가능한 드럼;
    상기 캐비닛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는 세제박스;
    상기 세제박스에 수용된 세제와 세탁수가 상기 터브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급수관;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탈취하는 탈취모듈; 및
    상기 개스킷과 상기 탈취모듈을 연결하는 탈취유로;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듈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와,
    냄새 입자를 흡착하며 광촉매를 구비하는 탈취필터와,
    상기 탈취필터에 자외선을 제공하는 자외선 램프와,
    냄새 입자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탈취필터로 송풍하기 위한 흡기팬과,
    상기 흡기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듈은 상기 세제박스의 후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340∼3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일부는 240∼2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90019456A 2019-02-19 2019-02-19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KR20200101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56A KR20200101167A (ko) 2019-02-19 2019-02-19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56A KR20200101167A (ko) 2019-02-19 2019-02-19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167A true KR20200101167A (ko) 2020-08-27

Family

ID=7223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456A KR20200101167A (ko) 2019-02-19 2019-02-19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11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5970A (zh) * 2020-09-10 2022-03-11 emz-汉拿两合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的空气处理设备
EP3967334A1 (de) * 2020-09-10 2022-03-16 emz-Hanauer GmbH & Co. KGaA Luftaufbereitungsvor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KR20220034692A (ko) * 2020-09-10 2022-03-18 이엠젯-하나우어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아아 가전 제품용 공기 처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107A (ko)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가 구비된 세탁기 및 그 탈취방법
KR100692555B1 (ko) 2006-03-29 2007-03-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공기여과기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107A (ko)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가 구비된 세탁기 및 그 탈취방법
KR100692555B1 (ko) 2006-03-29 2007-03-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공기여과기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5970A (zh) * 2020-09-10 2022-03-11 emz-汉拿两合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的空气处理设备
EP3967334A1 (de) * 2020-09-10 2022-03-16 emz-Hanauer GmbH & Co. KGaA Luftaufbereitungsvor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KR20220034692A (ko) * 2020-09-10 2022-03-18 이엠젯-하나우어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아아 가전 제품용 공기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14107A (ko) 탈취필터가 구비된 세탁기 및 그 탈취방법
KR20200109194A (ko)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KR20200101167A (ko)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US20130192084A1 (en) Automatic Laundry Washer with Active Venting
KR20050114106A (ko) 세탁기 및 그 탈취방법
EP2113605B1 (en) Household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appliance and relative operating method
JP2005198860A (ja) 洗濯機
KR100730936B1 (ko)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드럼 세탁기
JP4353993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915442B2 (ja) 洗濯乾燥機
EP2072658B1 (en) Electric device for washing and/or drying articles
JP4388974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16137034A (ja) 洗濯機
JP5667788B2 (ja) 洗濯機
JP2005192901A (ja) 洗濯機
JP2004275271A (ja) 洗濯機
JP2020065591A (ja) 洗濯乾燥機
KR20070100052A (ko)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
CN210975228U (zh) 一种带有消毒杀菌功能的洗衣机
JP6462270B2 (ja) 洗濯機
KR20200109193A (ko) 살균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KR20030045445A (ko) 세탁기의 살균장치
KR20200101168A (ko) 살균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WO2024029443A1 (ja) 洗濯機、洗濯乾燥機、及び洗濯機の外槽の除菌方法
KR102649374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