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160A -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 Google Patents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160A
KR20200101160A KR1020190019442A KR20190019442A KR20200101160A KR 20200101160 A KR20200101160 A KR 20200101160A KR 1020190019442 A KR1020190019442 A KR 1020190019442A KR 20190019442 A KR20190019442 A KR 20190019442A KR 20200101160 A KR20200101160 A KR 20200101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neovascularization
group
de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철
우제문
김낙성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1160A/ko
Priority to PCT/KR2020/000155 priority patent/WO2020171374A1/ko
Publication of KR2020010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보세라닙(rivoceranib)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리보세라닙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점안액이 동물모델에서 각막 신생혈관 면적과 신생혈관 지수를 감소시키고, 각막 조직에서 혈관 및 림프관의 수와 면적을 감소시키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각막 신생혈관 억제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inhibition of ocular angiogenesis comprising rivoceranib and method for inhibition of ocular angiogenesi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보세라닙(rivoceranib), 과거 명칭 아파티닙(Apatinib)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막에 점안 투여되어 신생혈관을 억제하고 관련 안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막은 인체에서 유일한 무혈관 조직으로 눈의 투명도를 유지함에 있어 혈관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평상시에는 각막의 혈관형성 인자와 혈관형성 억제인자가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혈관형성 인자들이 증가하면 혈관이 자라나게 된다. 특히 각막의 감염, 염증 및 면역반응, 부종, 윤부 세포 결핍증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각막 신생혈관이 발생하게 되면, 심각한 시력장애가 발생할 뿐 아니라, 이차적인 각막 이식수술의 예후 또한 불량하게 된다.
혈관형성 인자들에는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염기성 섬유모세포 성장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등이 있으나, 이중 가장 중요한 인자가 혈관내피형성인자인 VEGF이다. 특히 VEGFR-2는 각막 신생혈관에서 VEGF에 대한 대부분의 세포반응을 매개하는 가장 핵심적인 수용체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각막 혈관을 억제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치료법이 연구되어 왔고, 앤지오스타틴(angiostatin), 엔도스타틴(endostatin),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트롬보스폰딘(thrombospondin) 및 CD36, 네트린(netrin)-4, 기질(substance) P 등의 혈관형성 억제제와 더불어 레이저 광응고 또는 광역학치료 등의 시술이 시도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확실하게 입증되어 사용화되지는 못했다.
최근 눈의 황반변성에서 신생혈관을 억제할 수 있는 VEGF 억제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면서, 각막 신생혈관의 치료에도 응용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동물실험과 임상실험에서 베바시쥬맙(Bevacizumab)(아바스틴(Avastin)), 라니시쥬맙(Ranicizumab)(루센티스(Lucentis)), 아플리버셉트(Aflibercept)(아일리아(Eylea))의 점안액 또는 결막하 주사를 통한 국소 투여가 각막 신생혈관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왔다.
한편, 리보세라닙(rivoceranib) YN968D1은 선택적으로 혈관내피성장인자-2(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2)를 타겟으로 하는 티로신 인산화효소(tyrosine kinase) 억제제로서, 경구투여가 가능하고 암세포에서 VEGF 매개 내피세포 이동과 증식을 억제하여 신생혈관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고, 현재 다양한 인체 암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제로서 임상시험 중에 있다. 그러나 눈의 신생혈관에서 리보세라닙의 억제 역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 없으며, 리보세라닙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를 안과적 치료 목적으로 각막에 적용한 결과에 대한 문헌 또한 보고된 바도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각막 신생혈관을 억제 또는 치료하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고자 연구하던 중, 리보세라닙(rivoceranib)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점안액이 동물모델에서 각막 신생혈관 면적과 신생혈관 지수를 감소시키고, 각막 조직에서 혈관 및 림프관의 수와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의 안구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보세라닙의 안구 신생혈관 억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보세라닙(rivoceranib)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막의 신생혈관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리보세라닙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점안액이 동물모델에서 각막신생혈관 면적과 신생혈관 지수를 감소시키고, 각막 조직에서 혈관 및 림프관의 수와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이다.
상기 신생혈관 억제는 신생혈관 면적 감소, 신생혈관화 지수 감소, 혈관 면적 감소 또는 림프관 면적 감소를 통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신생혈관 면적"은 특정 면적 범위 내에서 신생혈관이 해당하는 면적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신생혈관화 지수"는 특정 범위 내에서 혈관화를 길이 정도에 따라 점수화하여 나타낸 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혈관 면적"은 혈관 마커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학염색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혈관 마커 항체로는 항-CD31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림프관 면적"은 림프관 마커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학염색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림프관 마커 항체로는 항-LYVE-1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구는 각막, 공막 및 망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각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 변성(macular degeneration), 미숙아 망막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각막 이식 거부(corneal graft rejection), 후수정체 섬유증식증(retrolental fibroplasia), 녹내장, 망막정맥 페쇄증, 허혈성 망막증 및 저산소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점안제, 주사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겔, 시럽, 현탁제, 유제, 점적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점안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리보세라닙을 0.01 내지 2.00%(w/v), 0.01 내지 1.80%(w/v), 0.01 내지 1.60%(w/v), 0.01 내지 1.40%(w/v), 0.01 내지 1.20%(w/v), 0.01 내지 1.00%(w/v), 0.01 내지 0.80%(w/v), 0.01 내지 0.60%(w/v), 0.05 내지 2.00%(w/v), 0.05 내지 1.80%(w/v), 0.05 내지 1.60%(w/v), 0.05 내지 1.40%(w/v), 0.05 내지 1.20%(w/v), 0.05 내지 1.00%(w/v), 0.05 내지 0.80%(w/v), 0.05 내지 0.60%(w/v), 0.10 내지 2.00%(w/v), 0.10 내지 1.80%(w/v), 0.10 내지 1.60%(w/v), 0.10 내지 1.40%(w/v), 0.10 내지 1.20%(w/v), 0.10 내지 1.00%(w/v), 0.10 내지 0.80%(w/v), 0.10 내지 0.60%(w/v), 0.20 내지 2.00%(w/v), 0.20 내지 1.80%(w/v), 0.20 내지 1.60%(w/v), 0.20 내지 1.40%(w/v), 0.20 내지 1.20%(w/v), 0.20 내지 1.00%(w/v), 0.20 내지 0.80%(w/v), 0.20 내지 0.60%(w/v), 0.40 내지 2.00%(w/v), 0.40 내지 1.80%(w/v), 0.40 내지 1.60%(w/v), 0.40 내지 1.40%(w/v), 0.40 내지 1.20%(w/v), 0.40 내지 1.00%(w/v) 또는 0.40 내지 0.80%(w/v), 예를 들어, 0.40 내지 0.60%(w/v)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리보세라닙의 약학적 유효량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리보세라닙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1 내지 20 ul, 1 내지 18 ul, 1 내지 16 ul, 1 내지 14 ul, 1 내지 12 ul, 1 내지 10 ul, 2 내지 20 ul, 2 내지 18 ul, 2 내지 16 ul, 2 내지 14 ul, 2 내지 12 ul, 2 내지 10 ul, 5 내지 20 ul, 5 내지 18 ul, 5 내지 16 ul, 5 내지 14 ul, 5 내지 12 ul 또는 5 내지 10 ul, 예를 들어, 8 u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안구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이다.
상기 신생혈관 억제는 신생혈관 면적 감소, 혈관화 지수 감소, 각막혈관화 지수 감소, 혈관 수 감소 또는 림프관 수 감소를 통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안구는 각막, 공막 및 망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각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은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 변성, 미숙아 망막증, 각막 이식 거부,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녹내장, 망막정맥 페쇄증, 허혈성 망막증 및 저산소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점안제, 주사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겔, 시럽, 현탁제, 유제, 점적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점안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리보세라닙을 0.01 내지 2.00%(w/v), 0.01 내지 1.80%(w/v), 0.01 내지 1.60%(w/v), 0.01 내지 1.40%(w/v), 0.01 내지 1.20%(w/v), 0.01 내지 1.00%(w/v), 0.01 내지 0.80%(w/v), 0.01 내지 0.60%(w/v), 0.05 내지 2.00%(w/v), 0.05 내지 1.80%(w/v), 0.05 내지 1.60%(w/v), 0.05 내지 1.40%(w/v), 0.05 내지 1.20%(w/v), 0.05 내지 1.00%(w/v), 0.05 내지 0.80%(w/v), 0.05 내지 0.60%(w/v), 0.10 내지 2.00%(w/v), 0.10 내지 1.80%(w/v), 0.10 내지 1.60%(w/v), 0.10 내지 1.40%(w/v), 0.10 내지 1.20%(w/v), 0.10 내지 1.00%(w/v), 0.10 내지 0.80%(w/v), 0.10 내지 0.60%(w/v), 0.20 내지 2.00%(w/v), 0.20 내지 1.80%(w/v), 0.20 내지 1.60%(w/v), 0.20 내지 1.40%(w/v), 0.20 내지 1.20%(w/v), 0.20 내지 1.00%(w/v), 0.20 내지 0.80%(w/v), 0.20 내지 0.60%(w/v), 0.40 내지 2.00%(w/v), 0.40 내지 1.80%(w/v), 0.40 내지 1.60%(w/v), 0.40 내지 1.40%(w/v), 0.40 내지 1.20%(w/v), 0.40 내지 1.00%(w/v) 또는 0.40 내지 0.80%(w/v), 예를 들어, 0.40 내지 0.60%(w/v)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리보세라닙(rivoceranib)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리보세라닙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점안액이 동물모델에서 각막 신생혈관 면적과 신생혈관 지수를 감소시키고, 각막 조직에서 혈관 및 림프관의 수와 면적을 감소시키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각막 신생혈관 억제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각막 신생혈관 유도 후 점안액 투여군의 각막 혈관면적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각막 신생혈관 유도 후 점안액 투여군의 각막 신생혈관 억제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각막 신생혈관 유도 후 점안액 투여군의 혈관화 지수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각막 신생혈관 유도 후 점안액 투여군의 각막혈관화 지수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각막 신생혈관 유도 후 각막 조직의 플랫 마운트(flat mount)에서 혈관 마커 항체를 처리하는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하여 점안액 투여군의 혈관 억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는 각막 신생혈관 유도 후 각막 조직의 플랫 마운트에서 림프관 마커 항체를 처리하는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하여 점안액 투여군의 림프관 억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실시예 1: 리보세라닙 국소제제의 제조
리보세라닙 점안액은 상품화된 분말(과거명 아파티닙, Apatinib mesylate, Selleckchem.com)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희석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cellulose)를 사용하여 0.1%(1 mg/ml, w/v)와 0.5%(5 mg/ml, w/v) 리보세라닙 점안액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리보세라닙 점안액을 이용한 각막 신생혈관 억제 효과에 대한 실험
2-1. 각막 신생혈관 모델(Corneal neovascularization) 제작
동물의 마취를 위해 케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ketamine hydrochloride) 50 mg/kg와 자일라진(xylazine) 10 mg/kg을 근육주사하고 눈에 프로파라케인(proparacaine) 안약을 점안하였다.
8주령 C57BL/6 마우스(대한바이오링크, 충북 음성, 대한민국)의 오른쪽 눈의 각막 표면에 1N NaOH가 적셔진 2 mm 직경의 종이에 10초 동안 접촉하여 각막 화상에 의한 신생혈관을 유도하였다. 10초 후 15 ml 멸균식염수로 각막 표면을 세척하였다.
그 다음 각막 나이프를 이용하여 각막 윤부와 평행하게 회전시키면서 각막과 각막 윤부의 상피를 제거하였다. 각막 상피 제거 후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Cravit, Santen, Japan) 안약을 즉시 점안하였다.
2-2. 동물실험 방법 및 실험군
실험기간 동안에 동물의 행동, 음식 및 물 섭취는 제한되지 않았다. 마우스는 각막 신생혈관 유도 후 1주일째, 점안 치료방법에 따라 다음 6개 그룹으로 분배하였다: 점안액 미투여 대조군; 생리식염수(PBS) 점안액 투여군; 0.1%(w/v) 리보세라닙(rivoceranib) 점안액 투여군; 0.5%(w/v) 리보세라닙 점안액 투여군; 및 0.5%(5 mg/ml, w/v) 베바시주맵(bevacizumab) 점안액 투여군.
이때, 리보세라닙과 베바시주맵 점안액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cellulose)에 희석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각막 신생혈관을 유도한 마우스에 하루 4차례 2 ul의 점안액을 투여하였다.
결과는 표준오차(± SEM)로 나타냈으며, 실험 그룹간 차이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은 크러스컬-월리스(Kruskal-Wallis) 검정, 터키 사후 검정, SPSS 17.0 소프트웨어(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0.05 이하의 P 값은 통계학적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2-3. 각막 신생혈관 면적 분석
마우스에서 각막 신생혈관 유도 후 치료 7일 및 14일째 대조군, PBS 투여군, 0.1%(w/v) 리보세라닙 점안액 투여군, 0.5%(w/v) 리보세라닙 점안액 투여군, 0.5%(w/v) 베바시주맵 점안액 투여군의 각막 혈관면적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체현미경검사는 각막 신생혈관 유도 7일 후 치료 직전(DAY 0), 치료 후 7일째(DAY 7)에 각각 10마리의 마우스에서 표준화된 10배의 배율로 사진 촬영하여 수행하였다. 케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자일라진으로 마취 후 세극등 생체현미경(F-801s, Nikon, Japan)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막 신생혈관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신생혈관 면적의 측정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Image-Pro Plus 4.0, Media Cybernetics, Silver Spring, MD,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진은 624X480 화소의 해상도로 하여 파일(tagged information file format)로 전환하였다.
각막 신생혈관의 정량분석은 본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제 3자가 차폐된 상태에서 시행하였으며, 컴퓨터 마우스로 신생혈관의 윤곽을 그린 다음 신생혈관의 면적을 계산하였다. 각막 신생혈관의 면적의 비교 분석은 전체 각막면적 대비 각막 신생혈관 면적의 비율을 백분율 변화로 계산하였다.
도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0.1%(w/v) 리보세라닙(27.77% 감소)과 0.5%(w/v) 리보세라닙(37.36% 감소) 투여군에서 0.5%(w/v) 베바시주맵(37.08% 감소) 투여군과 동등하게 대조군과 PBS 투여군 대비 유의하게 각막 신생혈관의 면적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조군 PBS 0.1% 리보세라닙 0.5% 리보세라닙 0.5% 베바시주맵
DAY 0 74.17 ± 3.76 73.33 ± 11.69 75.00 ± 3.17 75.83 ± 3.76 74.17 ± 5.85
DAY 7 77.50 ± 2.73 71.67 ± 5.16 54.17 ± 5.85 47.50 ± 6.13 46.67 ± 5.16
2-4. 각막 신생혈관화 지수 분석
마우스에서 각막 신생혈관 유도 7일 후 치료 직전(DAY 0)과 7일째(DAY 7) 대조군, 생리식염수(PBS) 투여군, 0.1%(w/v) 리보세라닙 점안액 투여군, 0.5%(w/v) 리보세라닙 점안액 투여군, 0.5%(w/v) 베바시주맵 점안액 투여군의 각막 신생혈관화 지수를 분석하였다.
각막 신생혈관 유도 7일 후 치료 직전 및 7일째에 각각 10마리의 마우스에서 상기 실시예 2-3의 각막 신생혈관 면적 분석과 같은 방법으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각막을 4등분하여, 각막윤부에서 각막 중심부까지의 혈관화 길이 정도에 따라 각막윤부에만 혈관이 있는 경우인 0점부터 각막중심부까지 혈관이 있는 경우인 1점까지로 점수화하였다.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0.1%(w/v) 리보세라닙과 0.5%(w/v) 리보세라닙 투여군에서는 0.5%(w/v) 베바시주맵 투여군과 동등하게, 대조군과 PBS 투여군 대비 유의하게 각막 신생혈관화 지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수 대조군 PBS 0.1% 리보세라닙 0.5% 리보세라닙 0.5% 베바시주맵
DAY 0 0.68 ± 0.08 0.60 ± 0.06 0.65 ± 0.10 0.67 ± 0.12 0.65 ± 0.16
DAY 7 0.73 ± 0.08 0.67 ± 0.07 0.52 ± 0.12 0.41 ± 0.10 0.39 ± 0.04
2-5. 면역조직학염색을 통한 혈관 분석
마우스에서 각막 신생혈관 유도 후 치료 7일째(DAY 7) 대조군, PBS 투여군, 0.1%(w/v) 리보세라닙 점안액 투여군, 0.5%(w/v) 리보세라닙 점안액 투여군, 0.5%(w/v) 베바시주맵 점안액 투여군의 각막조직에서 혈관의 면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막 신생혈관을 유도한 후 점안액을 처리한 마우스의 안구 조직을 10% 포르말린에 고정하고 파라핀 포매한 후, 4 um 두께로 박절하여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고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슬라이드 글라스를 에탄올에 침수시킨 후 소 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Normal horse serum, Vector, Burlingame, CA, USA)로 블로킹(blocking)시킨 후 혈관 마커 항체(No: sc-18916, FITC-conjugated rat anti-CD31, Santa Cruz, Dallas, TX, USA)를 상온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다음 PBS로 세척한 후, 마운팅 용액(No: S3023, Dako Flourescein Mounting Medium, Santa Clara, CA USA)으로 마운트한 후 디지털 카메라(Leica Microsystems, Heidelberg, Germany)가 장착된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CD31 염색 결과 면역조직학염색을 통해 전체 각막 면적 대비 각막 혈관 신생혈관화 면적의 비율을 지표(Blood neovascularization index)로 계산하였다.
도 5a 및 5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0.1%(w/v) 리보세라닙과 0.5%(w/v) 리보세라닙 투여군에서 0.5%(w/v) 베바시주맵 투여군과 동등하게, 대조군과 PBS 투여군 대비 유의하게 각막조직에서 혈관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 PBS 0.1% 리보세라닙 0.5% 리보세라닙 0.5% 베바시주맵
DAY 7 0.65 ± 0.05 0.63 ± 0.06 0.57 ± 0.08 0.48 ± 0.03 0.43 ± 0.03
2-6.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한 림프관 분석
마우스에서 각막 신생혈관 유도 후 치료 7일째(DAY 7) 대조군, PBS 투여군, 0.1%(w/v) 리보세라닙 점안액 투여군, 0.5%(w/v) 리보세라닙 점안액 투여군, 0.5%(w/v) 베바시주맵 점안액 투여군의 각막조직에서 림프관의 면적을 상기 실시예 2-5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되 림프관 마커 항체(No: 11-034, rabbit anti-LYVE-1, Angio Bio, San Diego, CA, USA) 및 Cy3가 결합된 2차 항체(No: 111-165-144, Cy3-conjugated goat anti-rabbit antibody, Jackson ImmunoResearch, West Grove, PA USA)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LYVE-1 염색 결과 면역조직학염색을 통해 전체 각막 면적 대비 각막 림프관 신생혈관화 면적의 비율을 지표(Lymphatic neovascularization index)로 계산하였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0.1%(w/v) 리보세라닙과 0.5%(w/v) 리보세라닙 투여군에서 0.5%(w/v) 베바시주맵 투여군과 동등하게 대조군과 PBS 투여군 대비 유의하게 각막조직에서 림프관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 PBS 0.1% 리보세라닙 0.5% 리보세라닙 0.5% 베바시주맵
DAY 7 0.77 ± 0.03 0.73 ±0.03 0.53 ± 0.06 0.48 ± 0.08 0.45 ± 0.05

Claims (12)

  1. 리보세라닙(rivoceranib)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생혈관 억제는 신생혈관 면적 감소, 혈관화 지수 감소, 각막혈관화 지수 감소, 혈관 수 감소 또는 림프관 수 감소를 통해 달성되는 것인,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는 각막, 공막 및 망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 변성(macular degeneration), 미숙아 망막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각막 이식 거부(corneal graft rejection), 후수정체 섬유증식증(retrolental fibroplasia), 녹내장, 망막정맥 페쇄증, 허혈성 망막증 및 저산소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인,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안제, 주사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겔, 시럽, 현탁제, 유제, 점적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인,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리보세라닙을 0.01 내지 2.00%(w/v) 함유하는 것인,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7. 리보세라닙(rivoceranib)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안구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생혈관 억제는 신생혈관 면적 감소, 혈관화 지수 감소, 각막혈관화 지수 감소, 혈관 수 감소 또는 림프관 수 감소를 통해 달성되는 것인,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는 각막, 공막 및 망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 변성(macular degeneration), 미숙아 망막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각막 이식 거부(corneal graft rejection), 후수정체 섬유증식증(retrolental fibroplasia), 녹내장, 망막정맥 페쇄증, 허혈성 망막증 및 저산소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인,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안제, 주사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겔, 시럽, 현탁제, 유제, 점적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인,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리보세라닙을 0.01 내지 2.00%(w/v) 함유하는 것인,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KR1020190019442A 2019-02-19 2019-02-19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KR20200101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42A KR20200101160A (ko) 2019-02-19 2019-02-19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PCT/KR2020/000155 WO2020171374A1 (ko) 2019-02-19 2020-01-06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42A KR20200101160A (ko) 2019-02-19 2019-02-19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160A true KR20200101160A (ko) 2020-08-27

Family

ID=7214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442A KR20200101160A (ko) 2019-02-19 2019-02-19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01160A (ko)
WO (1) WO202017137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6761A1 (en) * 2015-04-14 2016-10-20 Tiltan Pharma Ltd. Combination therapies and uses thereof in the treatment of cancer
EP3400014A1 (en) * 2016-01-08 2018-11-14 Clearside Bio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posterior ocular disorderswith aflibercept and other biolog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1374A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 et al. Effects of pirfenidone on proliferation, migration, and collagen contraction of human Tenon’s fibroblasts in vitro
Pérez-Santonja et al. Inhibition of corneal neovascularization by topical bevacizumab (Anti-VEGF) and Sunitinib (Anti-VEGF and Anti-PDGF) in an animal model
Memarzadeh et al. Postoperative use of bevacizumab as an antifibrotic agent in glaucoma filtration surgery in the rabbit
Grisanti et al. Decorin modulates wound healing in experimental glaucoma filtration surgery: a pilot study
US20070027102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Barros et al. The effects of the subconjunctival injection of bevacizumab (Avastin®) on angiogenesis in the rat cornea
JP2020530470A (ja) 老化細胞を排除する薬学的作用物質を用いる、黄斑変性症、緑内障、および糖尿病性網膜症などの眼病態の治療
CN102695511A (zh) 抑制眼部瘢痕形成的转化生长因子-β受体抑制剂的用途
AU202128643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rneal haze and scarring
Avci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apoptotic activity in photoreceptor cells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of bevacizumab and pegaptanib sodium in rabbits
Stival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subconjunctival bevacizumab for recurrent pterygium
US9872889B2 (en) Activators of CXCR3 for the treatment of angiopathies of the eye
Sapitro et al. Sup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effects in rabbit subconjunctival fibroblasts by activin receptor-like kinase 5 inhibitor
WO2019229116A1 (en) Intravitreal delivery of a decorin polypeptide for the treatment of choroidal neovascularisation
KR20200116953A (ko) 안내 혈관 신생 및/또는 안내 혈관 투과성 항진을 수반하는 안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US20230066364A1 (en) Compounds for Treatment of Eye Diseases Associated With Excessive Vascularisation
Unsal et al. The results of aflibercept therapy as a first line treatment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Dong et al. Overactivation of Norepinephrine–β2-Adrenergic Receptor Axis Promotes Corneal Neovascularization
KR20200101160A (ko) 리보세라닙을 포함하는 안구 신생혈관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구 신생혈관 억제 방법
Baiza-Durán et al. Safety and tolerability evaluation after repeated intravitreal injections of a humanized anti-VEGF-A monoclonal antibody (PRO-169) versus ranibizumab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Koc et al.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intravitreal Anti-VEGF versus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in treatment resistant diabetic Macular Edema
Kasiri Inhibition of corneal neovascularization by topically administered propranolol in a rabbit model
Steinle Topical administration of adrenergic receptor pharmaceutics and nerve growth factor
Coskun Effects of Intravitreal Injection of Ranibizumab and Aflibercept on Corneal Endothelium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Türkcü et al. Short term apoptotic activity of intravitreal bevacizumab on rabbit ret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