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934A -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934A
KR20200100934A KR1020190018927A KR20190018927A KR20200100934A KR 20200100934 A KR20200100934 A KR 20200100934A KR 1020190018927 A KR1020190018927 A KR 1020190018927A KR 20190018927 A KR20190018927 A KR 20190018927A KR 20200100934 A KR20200100934 A KR 2020010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housing
housing
coupled
floating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049B1 (ko
Inventor
서광철
강태이
조민근
박용주
최재우
Original Assignee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0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 내부하우징과,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는 펌프와, 상기 제1 내부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체형상의 제2내부하우징과, 상기 제2 내부하우징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부력체와, 상기 제2 내부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하우징과 제1 내부하우징 사이공간은 수밀되며, 제2 내부하우징은 상기 부력체에 의해, 개방된 상부가 수면위로 노출되되, 상기 펌프가 구동됨에 따라 수중으로 소정거리 하강되어 내부공간으로 해수 및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펌프를 활용하여, 해수면 위를 부유하는 쓰레기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거름망으로 수거되도록 하여 부유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Apparatus of collecting float}
본 발명은 해양에 부유하는 부유 쓰레기를 수거하여 해양을 청소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쓰레기 통합정보시스템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매년 우리나라 바다로 들어오는 해양쓰레기의 총량은 약 177천톤으로 추정된다. 육지에서 들어오는 것이 67%, 바다에서 들어오는 것이 33%정도 이다. 육지에서는 홍수 때 하천을 따라 들어오는 양이제일 많고, 바다에서는 수산업에서 발생한 폐어구가 제일 많이 들어오고 있다.
이러한 해양쓰레기 중 버려진 밧줄 또는 어망은 선박의 추진기에 감기거나, 비닐봉지가 냉각수 파이프에 빨려 들어가 엔진에 부하가 걸려 운항을 할 수 없게 만들며, 어업 생산성을 떨어뜨리며,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귀중한 식수원 및 먹거리인 해산물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이 되므로 반드시 수거해야 한다.
현재 이러한 해양 쓰레기들을 처리하기 위해, 중장비를 이용하거나 인력에 의존하는 수거 작업을 하는 등 쓰레기를 수거하는데 막대한 비용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제10-1235835호의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선박의 선체에 부유물 수거장치를 설치하여 부유 쓰레기를 수거 및 처리하는 종래의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유물 수거 선박은 대형으로 제작되며, 주로 넓은 지역에서 활동하는 것으로서, 작은 강이나 호수와 같은 소규모 지역에서의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703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35835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소형화가 용이하여, 강이나 하천 등에도 적용 가능하며, 펌프를 사용하여, 물 위를 부유하는 부유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 내부하우징과,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는 펌프와, 상기 제1 내부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체형상의 제2내부하우징과, 상기 제2 내부하우징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부력체와, 상기 제2 내부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하우징과 제1 내부하우징 사이공간은 수밀되며, 제2 내부하우징은 상기 부력체에 의해, 개방된 상부가 수면위로 노출되되, 상기 펌프가 구동됨에 따라 수중으로 소정거리 하강되어 내부공간으로 해수 및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의 저면에는 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일정높이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상부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상기 외부하우징과 제1 내부하우징 사이공간이 수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외부하우징과 상기 제1 내부하우징 사이공간으로 해수 및 부유물이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제2 내부하우징의 외주연과 접촉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의 저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의 저면에도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들을 모두 관통하여 배출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원통형상의 중공체이며, 상기 부력체의 외경은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부력체의 내경은 제2 내부하우징 외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가 제2 내부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마련되되, 제1 내부하우징 내부에서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부하우징과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을 모두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외부하우징과 상기 제1 내부하우징으로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관과, 상기 외부하우징에 일단이 결합되되, 중공체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펌프에 연결된 전선을 외부에 구비된 전원공급부로 안내하는 연결관과, 상기 고정관과 상기 연결관이 모두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관과 연결관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는 태양광으로 전기를 발전시키는 태양광발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펌프는 상기 태양광발전유닛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펌프를 활용하여, 해수면 위를 부유하는 쓰레기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거름망으로 수거되도록 하여 부유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펌프에 의해 흡입된 해수의 배출방향을 하부방향으로 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잔고장이 없으므로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광발전유닛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장치가 구동될 때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함으로써, 육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 공간에 제한이 없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외부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제1 내부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제2 내부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부력체의 사시도이다.
도7은 펌프 미 작동시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상태도이다.
도8은 펌프 작동시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는 해양이나, 강가 등에 설치되어, 부유되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는, 외부하우징(100), 제1내부하우징(200), 펌프(210), 제2내부하우징(300), 부력체(310), 거름망(320) 및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외부하우징(1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이되, 저면에는 배출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외주면에는 관통구(120)와 연결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120)와 연결구(130)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120)가 상기 연결구(1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관통구(120)는,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펌프(210)에 연결된 전선을 외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130)는 제1 내부하우징(200)을 상기 외부하우징(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은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내부에 결합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부하우징(20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외부하우징(10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저면에는 배출구(202)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연결구(2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202)에는 배출관(112)이 결합되되, 상기 배출관(112)은 상기 외부하우징(100)에 형성된 배출구(110)와도 연통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112)은 외부하우징(100)의 배출구(110)를 관통하여, 외부하우징(100)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112)의 실시례로서, 상기 배출관에는 발전기(도면미도시)가 결합되어질 수 있다.
상기 발전기는, 상기 펌프(21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배출관(11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함으로써 전력을 생산하는 요소로, 상기 배출관(112)을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이용하여 회전체를 구동시킴으로써 전력을 생산한다.
이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첫 구동 시, 외부의 전력을 활용하여 펌프(210)를 구동시키다가, 이 후 상기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펌프(210)가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는 상기 배출관(112)에 별도의 바이패스를 결합하고, 상기 파이패스 상에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지지부재(220)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이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내부에 일정높이를 가지면서 설치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은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의 상부는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상부와 동일선상에 배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은 상기 외부하우징(10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이 상기 외부하우징(100) 내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하부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과 외부하우징(100) 사이에는 상부플레이트(140)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과 외부하우징(100) 사이공간을 수밀함으로서, 상기 제1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 사이공간으로 해수 및 부유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40)는 후술할 제2 내부하우징(300)의 외주면과과 접촉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해수 및 부유물이 제2 내부하우징(300)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제1 내부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40)의 내주면에는 넓은 폭을 가지는 링 형상의 연질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의 외주면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40)의 내주면과 접촉될 때, 서로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140)는, 외부하우징(100)과 제1 내부하우징과(200)의 사이공간에는 경질의 스틸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과 제2 내부하우징(300)의 사이공간에는 연질의 연질부재로 형성되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외부하우징(100)과 제1 내부하우징(200) 사이공간은 완전히 수밀되어야 하므로 경질의 스틸재질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과 제2 내부하우징(300)의 사이공간은 연질의 연질부재로 형성하여, 제1 내부하우징(200)과 제2 내부하우징(300) 사이공간으로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내부하우징(300)이 승하강될 때,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과 상부플레이트(140)가 서로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의 저면에는 펌프(210)가 결합된다.
상기 펌프(210)는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력을 제공하여, 해수 및 부유물이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되게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펌프(210)에 의해 유입된 해수는 배출관(112)을 통해 수중으로 배출되어진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은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과 제2 내부하우징(300)은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의 외주연 하부에는 부력체(310)가 결합되어,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은 평소(펌프 미 작동시)에는 상단이 수면위로 노출되며, 상기 펌프(210)가 구동되면, 일정간격 수중으로 하강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310)는 원통형상의 중공체이며, 상기 부력체(310)의 외경은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의 내경보다 작고, 부력체(310)의 내경은 제2 내부하우징(300)의 외경보다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310)가 제2 내부하우징(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마련되되, 제1내부하우징(200) 내부에서 용이하게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의 내부에는 거름망(32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거름망(32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부유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지되, 메쉬형상으로 형성되어, 해수와 같은 액체는 통과시키고, 부유물과 같은 고체는 거르도록 마련된다.
상기 거름망(320)의 상부에는 손잡이(도면미도시)가 결합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거름망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외부하우징(100)과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을 고정하고, 상기 외부하우징(100)이 일정한 높이로 물에 잠기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400)는 고정관(410), 지지플레이트(420), 연결관(4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관(410)은, 상기 외부하우징(100)과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을 고정결합시키되,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이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내부에 일정높이를 가지면서 설치되도록 하는 요소이다.
상기 고정관(410)의 일단은 제1 내부하우징(200)에 형성된 상기 연결구(204)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420)에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고정관(410)은 상기 연결구(204)에 결합되되, 외부하우징(100)에 형성된 연결구(130)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그 끝단이 지지플레이트(4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즉,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은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20)는 판재형상으로,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외측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20)에는 두 개의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들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부측에 형성된 관통구에는 고정관(410)이 결합되고, 하부측에 형성된 관통구에는 연결관(430)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관(430)은 상기 외부하우징(100)을 항구의 부두 등에 연결하여 고정시켜, 상기 외부하우징(100)의 일부구간이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430)의 일단은 외부하우징(100)에 형성된 관통구(120)에 결합되고, 타단은 항구의 부두 등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중공체로써, 상기 외부하우징(100)과 제1 내부하우징(200) 사이공간에 배치된 펌프(210)에 연결된 전선을 외부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후술할 태양광발전유닛(500) 또는 육상 등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력공급유닛 등 상기 펌프를(210)를 구동시키는 전력공급원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는 태양광발전유닛(500)을 더 포함한하며, 상기 태양광발전유닛(500)은 상기 펌프(2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양광발전유닛(500)은 태양광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태양광발전유닛은 태양광패널, 저장배터리, 전력변환부,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패널은 입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해서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도록 하는 요소이다.
상기 저장배터리는 태양광패널에서 발전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할 뿐만 아니라, 육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및 방전되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력변환부는 태양광패널에서 생성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펌프(210)에 공급하고, 저장배터리를 충방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태양광발전유닛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작업자는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저장배터리에 충전된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펌프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부유쓰레기 수거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7은 펌프 미 작동시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상태도이고, 도8은 펌프 작동시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의 상태도이다.
상기 외부하우징(100)과 제1 내부하우징(200) 사이공간은 수밀되어 있으며, 제2 내부하우징(300)은 상기 부력체(310)에 의해 개방된 상부가 수면위로 노출되되, 상기 펌프(210)가 구동됨에 따라 수중으로 소정거리 하강되어 내부공간으로 해수 및 부유물을 유입하게 된다.
상기 제1 내부하우징(200)의 저면에 결합된 펌프(210)가 구동되면, 상기 제2내부하우징(300)은 상기 펌프(210)의 흡입력에 의해 수중으로 소정거리 하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의 내부공간으로 해수 및 부유물이 유입되어진다.
이 때,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에는 거름망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해수는 제2 내부하우징(30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제1 내부하우징(200) 및 배출관(112)을 거친 후 수중으로 배출되며, 부유물은 거름망(320)에 걸러지게 된다.
이 후, 상기 펌프(210)가 작동을 멈추면,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의 상면은 다시 수면 위로 노출되므로,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으로 흘러들어오는 해수의 양이 조절되어 부유 쓰레기의 수거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 내부로 유입된 해수의 양이 많을 경우, 제1 내부하우징(200)의 내부에도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2 내부하우징(300)에 작용하는 부력이 크다.
이 경우, 상기 펌프(210)의 흡입력에 의해 제2 내부하우징(300)이 하강되는 정도가 작으므로,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 내부로 적은 양의 해수가 유입된다.
반대로,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적을 경우,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은, 제1 내부하우징(200) 내부에서 이미 하강 된 상태일 뿐만 아니라, 부력이 약하므로, 상기 펌프(21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즉, 상기 제2 내부하우징(300)은 제1 내부하우징(200)의 내부에 잔류하는 해수의 양에 따라 승하강되는 정도가 조절되며, 유입되는 해수 및 부유물의 양을 조절하여 부유쓰레기의 수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외부하우징
110:배출구
112:배출관
120:관통구
130:연결구
140:상부플레이트
200:제1 내부하우징
202:배출구
204:연결구
210:펌프
220:지지부재
300:제2 내부하우징
310:부력체
320:거름망
400:연결부
410:고정관
420:지지플레이트
430:연결관
500:태양광발전유닛

Claims (4)

  1.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 내부하우징;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는 펌프;
    상기 제1 내부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체형상의 제2내부하우징;
    상기 제2 내부하우징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부력체; 및
    상기 제2 내부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하우징과 제1 내부하우징 사이공간은 수밀되며, 제2 내부하우징은 상기 부력체에 의해, 개방된 상부가 수면위로 노출되되, 상기 펌프가 구동됨에 따라 수중으로 소정거리 하강되어 내부공간으로 해수 및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의 저면에는 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일정높이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1 내부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상부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상기 외부하우징과 제1 내부하우징 사이공간이 수밀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제2 내부하우징의 외주연과 접촉되도록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는 태양광으로 전기를 발전시키는 태양광발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펌프는 상기 태양광발전유닛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KR1020190018927A 2019-02-19 2019-02-19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KR10223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27A KR102239049B1 (ko) 2019-02-19 2019-02-19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27A KR102239049B1 (ko) 2019-02-19 2019-02-19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934A true KR20200100934A (ko) 2020-08-27
KR102239049B1 KR102239049B1 (ko) 2021-04-09

Family

ID=7223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927A KR102239049B1 (ko) 2019-02-19 2019-02-19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796B1 (ko) * 2022-06-17 2022-10-06 주식회사 와이피오 부유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2450799B1 (ko) * 2022-06-17 2022-10-06 주식회사 와이피오 부유 쓰레기 수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306B1 (ko) 2002-11-05 2005-02-05 강선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KR20110105020A (ko) *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솔라비 부유 오염물질 수거 장치
KR101235835B1 (ko) 2012-04-24 2013-02-21 (주)신원이앤씨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KR101772984B1 (ko) * 2016-03-10 2017-08-30 주식회사두산지에스피산업 부유물 제거장치
KR20170116660A (ko) * 2016-04-12 2017-10-20 지수민 부유물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306B1 (ko) 2002-11-05 2005-02-05 강선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KR20110105020A (ko) *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솔라비 부유 오염물질 수거 장치
KR101235835B1 (ko) 2012-04-24 2013-02-21 (주)신원이앤씨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KR101772984B1 (ko) * 2016-03-10 2017-08-30 주식회사두산지에스피산업 부유물 제거장치
KR20170116660A (ko) * 2016-04-12 2017-10-20 지수민 부유물 회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796B1 (ko) * 2022-06-17 2022-10-06 주식회사 와이피오 부유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2450799B1 (ko) * 2022-06-17 2022-10-06 주식회사 와이피오 부유 쓰레기 수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049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606B1 (ko) 부유물 청소 및 녹조방지장치
KR101483162B1 (ko) 적외선 센서와 gps를 이용한 녹조 저감 및 부유물 제거 장치
CN206512692U (zh) 一种便携式河湖水面垃圾及污染物收集清理装置
KR102239049B1 (ko) 부유 쓰레기 수거장치
CN215052797U (zh) 水利水电工程用漂浮式河道漂浮物收集装置
CN216156530U (zh) 一种水面垃圾自动收集装置
CN113047252A (zh) 一种漂浮移动式海洋垃圾收集装置
AU2020102348A4 (en) Water cleaning device
CN109750647A (zh) 水表漂浮垃圾回收装置及方法
CN212896273U (zh) 一种水面漂浮垃圾收集装置
CN213265932U (zh) 一种兼顾水体充氧功能的河湖漂浮物捕集装置
CN114163083B (zh) 一种漂浮式海洋污水处理装置
CN109197741B (zh) 一种悬浮式渔业养殖水域清理泵
CN213928612U (zh) 具有能量回收功能的水上垃圾收集装置
CN216041051U (zh) 一种水面漂浮垃圾处理设备
CN210031735U (zh) 水表漂浮垃圾回收装置
CN215562478U (zh) 一种水面垃圾清理装置
CN212896272U (zh) 一种水面漂浮垃圾收集装置
CN216640518U (zh) 一种表层取水设备
CN210857161U (zh) 一种水利水电工程用清污装置
CN213114563U (zh) 一种水面漂浮垃圾收集装置
CN212316865U (zh) 一种水上垃圾回收装置
CN209833924U (zh) 一种用于清理水面污物的船
CN210049217U (zh) 水面垃圾清理装置
CN111877289A (zh) 一种智能式水面漂浮物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