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920A -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 - Google Patents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920A
KR20200099920A KR1020190018169A KR20190018169A KR20200099920A KR 20200099920 A KR20200099920 A KR 20200099920A KR 1020190018169 A KR1020190018169 A KR 1020190018169A KR 20190018169 A KR20190018169 A KR 20190018169A KR 20200099920 A KR20200099920 A KR 20200099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ir
main body
ne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윤
김지혜
김진우
박진우
유승진
이수희
이우걸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920A/ko
Publication of KR2020009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는, 순환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팬이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본체부, 본체부에 장착 가능하고, 내부가 유선형 구조로써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환풍구가 마련된 프레임 및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한 네트를 포함하고, 본체부에는 프레임이 결합되기 위한 홈이 마련되어 있고, 홈을 통하여 순환 공기가 본체부로부터 프레임으로 이동 가능하며, 프레임의 외부면은 내부 유선형 구조와 상응하게 경사면을 갖고, 경사면에는 환풍구가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THE APPARATUS HAVING CURVED VENTILATOR AND DETACHABLE SCREEN}
본 발명은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기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유선형 환풍구를 갖는 조립식의 통기 파트와 방충망의 탈부착을 위한 홈(recess)이 통기 파트에 마련된 구조의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 안 등의 실내공간에서는 위생 등의 관점에서 환기가 중요하다. 다만, 최근에는 미세먼지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하여 환기를 꺼려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되곤 한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및 에어 헬스 케어에 관한 사용자들의 관심도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안티폴루션(anti-pollution) 제품도 다수 출현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방충망이 부착된 환풍기의 경우, 환풍기 팬(fan)의 미관상, 제작 크기 상의 이유로 창문의 모퉁이 등에 작게 설치되곤 하였다. 또한, 방충망이 원형의 팬 등과 상응하게 원형 등으로만 장착되어 있거나 팬에 의하여 창문이 가려지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사용자들로부터 일부 외면 받아왔다.
방충망의 경우, 사용에 따라 먼지 등이 부착되기 때문에 세척이 필요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제품으로는 방충망 틀(frame) 자체를 창문에 부착하였다가 창문으로부터 방충망을 탈거하여 세척 후 다시 부착해야 한다는 점에서 여간 불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위생, 미관, 사용상 편의성의 관점에서 전술한 기존 제품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제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718호 (등록일자 2018년10월18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여 환풍과 방충의 기능을 동시에 달성하며, 위생, 미관, 사용상 편의성을 더욱 제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는, 순환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팬이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본체부, 본체부에 장착 가능하고, 내부가 유선형 구조로써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환풍구가 마련된 프레임 및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한 네트를 포함하고, 본체부에는 프레임이 결합되기 위한 홈이 마련되어 있고, 홈을 통하여 순환 공기가 본체부로부터 프레임으로 이동 가능하며, 프레임의 외부면은 내부 유선형 구조와 상응하게 경사면을 갖고, 경사면에는 환풍구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에는 순환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팬과 모터모듈이 포함되고, 팬은 순환 공기를 생성하여 프레임으로 공급하기 위한 본체부 내부의 관을 향하여 배치되며, 팬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팬을 통하여 공기를 유출하기 위한 공기 입출부가 본체부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프레임에는 네트를 부착시키기 위한 요철 영역이 포함되고, 네트가 프레임에 장착될 때, 네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요철 영역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는 가로형 프레임 및 세로형 프레임이 포함되고, 가로형 프레임과 세로형 프레임은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며, 장치에는 2개의 세로형 프레임이 1개의 가로형 프레임과 결합되어 ㄷ자 형을 이루고, ㄷ자형의 프레임 결합체는 본체부와 연결되며, 세로형 프레임 및 가로형 프레임 각각에 마련된 환풍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며, 세로형 프레임과 가로형 프레임 각각은 공기의 유출입 목표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세로형 프레임의 일 단에는 본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돌출부가 본체부에 마련된 프레임 결합 홈에 삽입됨으로써 세로형 프레임과 본체부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이고, 방충망 및 방진망 중 적어도 하나가 겹쳐져서 프레임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장치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창문을 기준으로 내부 공간과 외부의 공기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 센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장치에는 환풍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 유량측정 센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장치에는 네트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도 측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를 이용하면, 환기를 위한 바람의 흐름 방향을 사용자가 손쉽게 설정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벌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활용하면 기존의 공기청정기로 제한된 부분에서만 공기를 정화시켜준다는 약점을 벗어나 방충망(방진망)에서 사전에 공기를 필터링 시켜줌에 따라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줄 수 있고, 공기의 흐름을 사용자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맑은 공기를 유입시키고, 분진이 함유가 더 되어있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기존의 창문 등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고, 방충망(방진망) 등은 세척이 용이하도록 탈부착될 수 있다. 나아가,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팬이 숨겨져 있으므로, 채광, 사용자의 창문 밖 조망권 등이 높게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의 (a) 정면, (b) 평면, (c)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a) 세로형 프레임과 본체부의 연결 과정, (b) 프레임의 저면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과 본체부가 결합되어 창문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결합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본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의 (a) 정면, (b) 평면, (c)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a) 세로형 프레임과 본체부의 연결 과정, (b) 프레임의 저면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과 본체부가 결합되어 창문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결합 상태도를 나타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본체부 구성,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흔히 창문에 부착되어서 사용하는 종래의 방충망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켜 미세먼지 등의 분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동시에 공기 흐름의 방향을 조절해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충망 자체는 직접적인 전류의 흐름이 없지만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고 이와 같이 발생한 정전기가 방충망을 통과하려는 먼지를 집진시키며. 베르누이의 법칙을 이용한 팬(fan)이 감춰진 환풍기 구조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자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1000)는, 순환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팬(120)이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에 장착 가능하고, 내부가 유선형 구조로써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환풍구(221)가 마련된 프레임(210, 220) 및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한 네트(300)를 포함하고, 본체부(100)에는 프레임이 결합되기 위한 홈(110)이 마련되어 있고, 홈을 통하여 순환 공기가 본체부(100)로부터 프레임으로 이동 가능하며, 프레임(210, 220)의 외부면은 내부 유선형 구조와 상응하게 경사면을 갖고, 경사면에는 환풍구(22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1000)는 각 파트(ex. 100, 210, 220, 230 등)의 조립을 통하여 창문(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0)에는 팬(120) 등의 동작을 위한 전력 공급 장치인 전원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는 교체가 가능한 배터리, 태양전지 등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0)는 기존의 공기청정기로는 제한된 영역에 대해서만 공기를 정화시켜줄 수 있다는 단점을 극복하고, 창문을 통하여 환기가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며,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기 전에 네트에서 미리 필터링을 시켜주고, 사용자의 목표 풍향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맑은 공기를 실내로 효과적으로 유입시키고 분진 등이 함유가 더 되어있는 공기는 실내로의 유입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체부(100)에는 순환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팬(120)과 모터모듈(130)이 포함되고, 팬(120)은 순환 공기를 생성하여 프레임으로 공급하기 위한 본체부(100) 내부의 관을 향하여 배치되며, 팬(120)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팬을 통하여 공기를 유출하기 위한 공기 입출부(140)가 본체부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210, 220)에는 네트(300)를 부착시키기 위한 요철 영역(223)이 포함되고, 네트(300)가 프레임(210, 220)에 장착될 때, 네트(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25)가 요철 영역(223)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10, 220)에는 네트(300)를 부착시키기 위한 요(凹) 영역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철(凸) 형태의 고정부재(225)를 이용하여 네트(300)가 프레임(210, 2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요철 영역과 암수 맞는 고정부재(225)가 네트(300)의 프레임(210, 220) 상으로의 부착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는 가로형 프레임(210) 및 세로형 프레임(220)이 포함되고, 가로형 프레임(210)과 세로형 프레임(220)은 연결파이프(230)를 통하여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며, 장치(1000)에는 2개의 세로형 프레임(220)이 1개의 가로형 프레임(210)과 결합되어 ㄷ자 형을 이루고, ㄷ자형의 프레임 결합체는 본체부(100)와 연결되며, 세로형 프레임(220) 및 가로형 프레임(210) 각각에 마련된 환풍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며, 세로형 프레임(220)과 가로형 프레임(210) 각각은 공기의 유출입 목표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연결파이프(230)는 그 내부가 순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 형상일 수 있고, ㄱ자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로형 프레임(210)과 세로형 프레임(220)은 연결파이프(230)를 통하여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장치(1000)에는 2개의 세로형 프레임(220)이 1개의 가로형 프레임(210)과 결합되어 ㄷ자 형을 이루고, ㄷ자형의 프레임 결합체는 본체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통하여 본체부(100)에서 생성된 순환 공기는 프레임(210, 220)으로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다. 세로형 프레임(220) 및 가로형 프레임(210) 각각에 마련된 환풍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환풍구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직선 라인형이거나, 유선형 또는 복수개의 열로 나란히 타공된 구멍들로 구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형 프레임(220)과 가로형 프레임(210) 각각은 공기의 유출입 목표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공기의 유출입을 희망하는 방향으로 순환 공기가 배출되거나 공기가 유입되어 밖으로 배출되도록 프레임(210, 220)을 소정의 방향(ex. 공기의 유출입 목표 방향)으로 본체부(10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210, 220) 등은 각각 분리가 가능하고 상호 결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공기의 유출입 목표 방향에 맞게 손쉽게 프레임(210, 220) 등을 결합시켜 본 장치(10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세로형 프레임(220)의 일 단부에는 본체부(100)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돌출부(227)를 갖고, 돌출부(227)가 본체부(100)에 마련된 프레임 결합 홈(110)에 삽입됨으로써 세로형 프레임(220)과 본체부(10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의 (a)에서와 같이, 홈(110)과 돌출부(227)를 통과한 순환 공기는 환풍구(221)로 유출되거나 유입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300)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이고, 방충망 및 방진망 중 적어도 하나가 겹쳐져서 프레임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방충망은 홑겹으로 또는 2겹 이상이 중첩되어 묶음으로써 프레임(210, 220)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방충망과 방진망이 각각 1장씩 중첩되어 묶음으로써 프레임(210, 220)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미세먼지 등의 집진을 위한 네트가 창문(10) 측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외부 마찰망(310)과 방진 섬유망(320)은 중첩되어 묶음으로써 창문(1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네트 묶음은 프레임(210, 220)의 요철 영역(223)을 통하여 장치(1000) 상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0)에는 타 디바이스(ex. PC, 휴대폰, 태블릿 PC 등)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200) 및 창문(10)을 기준으로 내부 공간과 외부의 공기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 센서부(1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타 디바이스를 통하여 팬 속도, 팬 동작 패턴 등을 제어할 수 있고, 타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은 통신부(1200)를 통하여 팬(120), 모터모듈(130)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장치(1000)에는 환풍구(22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 유량측정 센서부(1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풍구(221)는 개방 면적이 조절될 수 있도록 개방폐쇄조절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폐쇄조절부는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프레임(210, 220)으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를 갖는 형상이거나,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방 정도, 폐쇄 정도가 조절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측정된 공기 유량은 센서부(1400)를 통하여 직접 표출(ex. 센서부에 포함된 LED,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 센서부에 포함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하여 사운드로 표시 등)되거나, 타 디바이스로 측정 데이터가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장치(1000)에는 네트(300)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도 측정부(1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네트(300)의 오염도는 네트(300)의 변색 정도 등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네트(300)의 측정된 오염도는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오염도 측정부(1500)를 통하여 직접 표출되거나, 타 디바이스로 측정 데이터가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장치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장치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
10: 창문(프레임)
100: 본체부 110: 프레임 결합 홈
120: 팬 130: 모터모듈
140: 공기 입출부
210: 가로형 프레임 220: 세로형 프레임
230: 연결파이프
221: 환풍구
223: 요철 영역 225: 고정부재
227: 돌출부
300: 네트
310: 외부 마찰망 320: 방진 섬유망
1200: 통신부
1300: 공기질 측정 센서부
1400: 공기 유량측정 센서부
1500: 오염도 측정부

Claims (9)

  1.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로서,
    순환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팬이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 가능하고, 내부가 유선형 구조로써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환풍구가 마련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한 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기 위한 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홈을 통하여 순환 공기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의 외부면은 내부 유선형 구조와 상응하게 경사면을 갖고,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환풍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순환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팬과 모터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팬은 순환 공기를 생성하여 프레임으로 공급하기 위한 상기 본체부 내부의 관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팬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팬을 통하여 공기를 유출하기 위한 공기 입출부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네트를 부착시키기 위한 요철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네트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네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상기 요철 영역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가로형 프레임 및 세로형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가로형 프레임과 세로형 프레임은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며,
    상기 장치에는 2개의 세로형 프레임이 1개의 가로형 프레임과 결합되어 ㄷ자 형을 이루고, ㄷ자형의 프레임 결합체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세로형 프레임 및 가로형 프레임 각각에 마련된 환풍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며, 상기 세로형 프레임과 가로형 프레임 각각은 공기의 유출입 목표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형 프레임의 일 단에는 상기 본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 프레임 결합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세로형 프레임과 상기 본체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방충망 또는 방진망이고,
    상기 방충망 및 방진망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프레임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창문을 기준으로 내부 공간과 외부의 공기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 센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상기 환풍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 유량측정 센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상기 네트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도 측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90018169A 2019-02-15 2019-02-15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 KR20200099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169A KR20200099920A (ko) 2019-02-15 2019-02-15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169A KR20200099920A (ko) 2019-02-15 2019-02-15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920A true KR20200099920A (ko) 2020-08-25

Family

ID=7229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169A KR20200099920A (ko) 2019-02-15 2019-02-15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92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18Y1 (ko) 2018-03-20 2018-10-24 이태영 방충창용 환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18Y1 (ko) 2018-03-20 2018-10-24 이태영 방충창용 환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432660U (zh) 一种可以调节进风量和防尘的换气扇
KR20200074933A (ko) 이미지 교체 가능한 액자형 공기 청정기
CN203823918U (zh) 一种智能净化系统
KR20170133935A (ko)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
KR101482648B1 (ko) 생쥐 배양용 개별 환기 케이지 사육장비 통합관리방법
US20150224437A1 (en) Air treatment device with a detachable sensor module
CN203175370U (zh) 可自动除尘的智能化一体纱窗
KR20190025270A (ko) 창문형 환기 필터장치
KR20200099920A (ko) 유선형의 환풍구와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이 결합된 장치
JP2014217309A (ja) 植物栽培システム
CN204110116U (zh) 带有新风系统的婴儿座舱及装设其的婴儿推车
CN205730633U (zh) 空气净化器
SE1951111A1 (en) An infant transportation system
CN205756737U (zh) 粘捕式捕虫器
CN215169533U (zh) 安装于平开窗的窗式通风器和新风机
KR200488870Y1 (ko) 창틀 또는 문틀용 먼지유입 방지기구
CN210539314U (zh) 一种精密型智能私教检测仪
CN208456190U (zh) 无尘净化棚
CN206001646U (zh) 一种窗式遥控微电脑自动智能新风机
CN206709279U (zh) 一种改进的空气净化器
CN208981459U (zh) 声控式智能马桶
KR20100054247A (ko) 실외 공기 주입식 프로젝터 공기정화장치
CN214009517U (zh) 一种可拆卸式通风口结构
CN205400515U (zh) 一种拼装式防风沙窗户
CN205536372U (zh) 一种遥控微电脑自动智能空气交换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