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292A - Bezel styling accessory of wearable device - Google Patents

Bezel styling accessory of wear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292A
KR20200099292A KR1020190017068A KR20190017068A KR20200099292A KR 20200099292 A KR20200099292 A KR 20200099292A KR 1020190017068 A KR1020190017068 A KR 1020190017068A KR 20190017068 A KR20190017068 A KR 20190017068A KR 20200099292 A KR20200099292 A KR 20200099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decorative
wearable device
bent portion
inn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0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어스
Priority to KR102019001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292A/en
Publication of KR2020009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2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3/00Clocks with attached or built-in means operating any device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intervals
    • G04C23/02Constructional details
    • G04C23/04Housings, supports, shielding, or similar stationary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decorative member for the bezel of the wearabl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corative unit disposed on the top of the bezel coupled to an upper part of a case of the wearable apparatus; and an adhesive unit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unit and coupling the decorative unit to the bezel. An inner bent unit bent downward is formed at one side end of the decorative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ange a design of the wearable apparatus easily and simply, and a user can easily find a coupling position of the decorative unit at once.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BEZEL STYLING ACCESSORY OF WEARABLE DEVICE}Decorative member for bezel of wearable device {BEZEL STYLING ACCESSORY OF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부의 내측 단부에 하향 절곡된 내측절곡부가 형성되어 장식부를 베젤의 상부에 한 번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easily coupling the decorative part to the top of the bezel by forming an inner bent downwardly bent at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art It relates to a dragon decorative member.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는 다시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In general, terminals can be divided into mobile/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depending on whether they can be moved, and mobile terminals are handheld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m. It can be divided into (vehicle mounted terminal).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단순히 통화, 문자 전송의 기능을 넘어 점점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 등이 있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increasingly diversifying beyond the functions of simply calling and sending text messages. For example, there are functions of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taking pictures and videos through a camera, recording voice, playing music files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images or videos to the display.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Some terminals add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perform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recent mobile terminals are configured to receive broadcast and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러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 이동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되어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se functions, the mobile terminal is basically connected to other devices or network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can provide a user with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at is, mobile terminals have evolved into smart devices that enable connectivity to a network and always-on computing.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로서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전통적으로 사용자가 손에 쥘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었으며, 사용자는 이를 손에 들고 다니거나 가방 또는 주머니에 넣고 다닐 수 있다.Such a smart device as a mobile terminal has traditionally been manufactured in a size that can be held by a user, and the user can carry it in his or her hand or carry it in a bag or pocket.

한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는 더욱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되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로 발전되어 오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 중에서 최근에는 시계의 형태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 워치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mart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to wearable devices that are manufactured in a smaller size and worn directly on the user's body. In particular, among such wearable devices, a smart watch worn on a user's wrist in the form of a watch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스마트 워치는 착용 가능한 작은 크기에서 통상적인 시계의 기능, 예를 들어 시간 정보의 제공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로서의 다양하고 향상된 기능들을 갖도록 개발되어 왔다. 더 나아가, 최근에 개발된 스마트 워치는 이동 단말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앞서 언급된 이동 단말기의 모든 기능들을 갖는다.Smart watches have been developed to have various and improved functions as a mobile terminal as well as providing functions of a conventional watch, for example, time information in a small wearable size. Furthermore, the recently developed smart watch has all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mentioned above to be able to replace the mobile terminal.

최근 들어, 웨어러블 장치는 제조업체에서 제작된 그대로 단순 사용되기보다는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디자인적 요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Recently, a variety of 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to provide new design elements to users rather than simply being used as manufactured by a manufacturer.

가장 간단한 예로, 본체 케이스와 스트랩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의 스마트 워치에 교체형 스트랩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스트랩의 교체를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의 형태 및 색상 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As a simplest example, there may be a method of providing a replaceable strap to a smart watch formed by combining a main body case and a strap. By replacing the strap, users can change the shape and color of the smart watch in various ways.

그러나 종래 스마트 워치의 스트랩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본체 케이스는 그대로 유지될 수밖에 없으므로 디자인 변경에 제한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본체 케이스 자체를 완전히 교체하지 않는 이상 획기적인 디자인의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when the strap of a conventional smart watch is replaced, the main body case is inevitably maintained as it is,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esign change is limited, and accordingly, a revolutionary design change is impossible unless the main body case itself is completely replaced.

아울러, 종래 스마트 워치의 베젤을 변경하여 본체 케이스의 디자인적 요소를 변경하는 방법도 있으나, 스마트 워치의 베젤 자체를 변경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지나치게 어렵고 제품 단가 측면에서도 고비용이 소요되며 베젤을 변경하다가 스마트 워치가 고장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changing the design elements of the main body case by changing the bezel of the conventional smart watch, but changing the bezel of the smart watch itself is too difficult for the user, and it is expensive in terms of product cost.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failure.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 상부에 장식부를 결합하여 쉽고 간편하면서 획기적인 디자인 변경을 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easy, simple and innovative design change by combining a decorative part on an upper portion of the bezel of the wearable device a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장식부의 내측 단부에 하향 절곡된 내측절곡부가 형성되어 장식부를 베젤에 결합할 때 사용자가 한 번에 쉽게 그 위치를 찾아 결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in which an inner bent portion bent downward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ortion so that a user can easily find and couple the decorative portion to the bezel at a time. It has a different purpos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웨어러블 장치의 케이스 상부에 결합된 베젤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의 하면에 배치되어 장식부를 베젤에 결합시키는 접착부; 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부의 일측 단부에는 하향 절곡된 내측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ecorative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a bezel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case of a wearable device; And an adhesive part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to couple the decorative part to the bezel. Including, but characterized in that the downwardly bent inner bent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ecorativ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에서 상기 장식부는 중앙의 개구부와 장식내경부 및 장식외경부를 구비하는 환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절곡부는 장식내경부의 단부에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decorative member for bezel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ative part is formed in an annular ring shape having a central opening, a decorative inner diameter part, and a decorative outer diameter part, and the inner bent part is an end of the decorative inner diameter part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long the perimeter.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에서 상기 내측절곡부는 장식내경부의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베젤에 형성된 베젤내경부의 측부에 면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bezel decoration member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bent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bezel formed in the bezel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에서 상기 내측절곡부의 최하단은 베젤내경부의 최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내측절곡부의 두께는 베젤내경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bezel decoration member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bent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ly low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bezel inner diameter, and the thickness of the inner bent portion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ezel inner diameter. Small is preferr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에서 상기 장식부의 장식외경부 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외측절곡부가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outer bent portion extends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nd of the decorativ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decorativ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에서 상기 외측절곡부는 베젤에 형성된 베젤외경부의 상단에 놓이며, 베젤외경부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bezel decorative member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bent portion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bezel outer diameter portion formed on the bezel, and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lurality of teeth formed on the bezel outer diameter portion. It is desirable to be characteriz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에서 상기 내측절곡부는 장식부의 내측 단부에 하향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 및 장식부의 내측 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함몰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돌출부와 다수의 함몰부는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corative member for bezel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ben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downward to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ortion and a plurality of depressions formed in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는 상기 장식부의 내측 단부에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부가 돌출 연장된 위치규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ortion; And a position regulat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protrude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는 상기 장식부의 내측 단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수납홀; 및 상기 수납홀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절곡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절곡부는 수납홀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베젤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hole formed vertically through an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art;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 the receiving hol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inner bent portion. It further includes, and the inner bent portion is preferably accommodated in the storage hole or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selectively contact the inner side of the bezel.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에서 상기 장식부는 그 폭 방향을 따라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로 구획되고, 상기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의 사이에는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가 접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장식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내측절곡부는 제1장식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2장식부의 단부에는 마찰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decorative member for bezel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ative part is divided into a first decorative part and a second decorative 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reof, and between the first decorative part and the second decorative part It is preferable that a decorative spring that provides elasticit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ecorative parts are folded is installed, and the inner bent par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decorative part, and the friction par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decorative part.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의 케이스 및 베젤의 교체 없이도 장식부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쉽고 간편하게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design of the wearable device can be changed using the decorative part without replacing the case and the bezel of the wearable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satisfying the needs of the user easily and simply.

또한, 본 발명은 장식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내측절곡부를 이용하여 장식부를 베젤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쉽게 한 번에 결합 위치를 규제할 수 있고, 결합 이후에 장식부가 베젤의 배치 위치와 어긋나거나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corative part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zel by using the inner bent part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art, the coupling position can be easily regulated, and the decorative part is deviated from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bezel 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prevent the phenomenon from happening.

나아가, 본 발명은 베젤 상부에 장식부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베젤 외측에 배치된 다수의 톱니부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베젤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디자인적 요소를 가져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various design elements can be obtained without deteriorating the function of the bezel because a plurality of teeth disposed outside the bezel may be exposed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decorative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z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의 단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의 단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의 단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deco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ecor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coration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의 케이스(100) 상부에 베젤(200)이 결합되고, 상기 베젤(200)의 상부에 추가로 장식부(300)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ezel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0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decorative part 300 is addition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zel 200.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장치는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렌즈,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의 액세서리형, 전자 의복 등의 의류 일체형, 스킨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등의 신체 부착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에서는 본 발명이 스마트 워치에 적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device is a watch, ring, bracelet, anklet, necklace, eyeglasses, contact lens, accessory type such as HMD (head mounted display), integrated clothing such as electronic clothing, body such as skin pad or tattoo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ttachment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a cas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mart watch.

상기 케이스(100)는 디스플레이(display), 메모리(memory), 통신모듈(communication module), 입출력 인터페이스(input/output interface) 및 프로세서(processor) 등을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00 may include a display, a memory, a communication module, an input/output interface, a processor, and the like as components.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된 중앙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얻거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 display is generally disposed at an opened central portion of the case 10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user can obtain information through such a display or perform various functions by touching the display.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를 감쌀 수 있도록 베젤(200)이 결합된다. 상기 베젤(200)은 일반적으로 환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나,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링, 타원형 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 bezel 20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100 to wrap a display. The bezel 200 is generally formed in an annular ring shap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ring or an elliptical r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play.

상기 베젤(200)은 케이스(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젤(20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일정한 각도로 회전량이 제한되거나 또는 무한히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ezel 200 may be installed on the case 100 so as to be rotatable. That is, the bezel 200 may be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amount of rotation may be limited at a certain angle or may be configured to be infinitely rotatable.

상기 베젤(200)의 외측면에는 베젤의 회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톱니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톱니부(210)는 사용자가 베젤(200)을 회전시킬 때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eeth 2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zel 200 so that the bezel can be easily rotated. The toothed portion 210 may provide a constant friction force when the user rotates the bezel 200.

상기 베젤(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200)은 디스플레이 및 그 상부의 보호필름 또는 보호글래스 등을 감싸 보호할 수 있으며, 장식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bezel 2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bezel 200 may be wrapped and protected by a display and a protective film or protective glass thereon, and may also be used for decorative purposes.

그러나 상기 베젤(200)은 웨어러블 장치 케이스(100)의 다른 부품들과 함께 일체로 조립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교체하기 어렵고, 천편일률적인 디자인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질릴 수 있으며 사용자 개개인의 개성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However, the bezel 200 is integrally assembled with other parts of the wearable device case 100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rbitrarily replace it, and since it is provided in a uniform design, the user can easily get tired and it is difficult to show the individual individuality of the user. I can.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젤(200)의 상부에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장식부(300)를 결합하여 웨어러블 장치를 바꾸지 않고도 획기적인 디자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decorative portion 300 having various design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zel 200, it is possible to bring about a breakthrough design change without changing the wearable device.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식부(300)는 그 하면에 접착부(400)가 배치되어 베젤(2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부(400)는 베젤(200)의 상면과 장식부(30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며(도 1에서는 보이지 않음), 베젤(200)과 장식부(300) 사이를 결합시킨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corative part 3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zel 200 by arranging the adhesive part 400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hat is, the adhesive part 4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300 (not shown in FIG. 1 ), and couples the bezel 200 and the decorative part 300.

상기 장식부(300)의 상면에는 베젤(200)의 회전 파라미터 또는 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디케이터 요소는 장식부(300)의 상면에 도료로 도포되거나 각인되는 방식으로 새겨질 수 있다.An indicator element for recognizing a rotation parameter or time of the bezel 200 to the user may be inclu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300. Such an indicator element may be engrav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300 in such a manner as to be coated or engraved with a paint.

상기 베젤(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장식부(300)는 베젤(200)과 마찬가지로 환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나,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링, 타원형 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coration part 3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zel 200 is formed in an annular ring shape like the bezel 200,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ring or an elliptical r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pla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의 단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젤(200)의 상부에는 장식부(300)가 결합되고, 베젤(200)과 장식부(300)의 사이에는 접착부(400)가 배치되어 베젤(200)의 상면과 장식부(300)의 하면을 접착시킨다.As shown, a decorative part 3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zel 200, and an adhesive part 400 is disposed between the bezel 200 and the decorative part 300 to deco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 300 is adhered.

상기 장식부(300)는 디스플레이 등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 개구부(310)가 형성되고, 개구부(310)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장식내경부(320)와 개구부(310)로부터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는 장식외경부(330)를 포함하여 환형의 링 형태로 형성된다.The decorative part 300 has an opening 310 formed in the center so as to expose a display, etc., and a decorative inner diameter part 320 relatively adjacent to the opening 310 and a decoration that is relatively apart from the opening 310 It is formed in an annular ring shape including the neck 330.

상기 장식부(300)의 단면은 장식내경부(320)로부터 장식외경부(330)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장식부(300)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상면의 폭이 하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The cross-section of the decorative part 300 is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hape whose heigh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decorative inner diameter part 320 toward the decorative outer diameter part 330. The cross-section of the decorative part 300 is generally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the lower surface.

상기 장식내경부(320)의 단부에는 하향 절곡된 내측절곡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절곡부(321)는 장식내경부(320)의 둘레를 따라 환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연직 아래방향으로 배치된다.An inner bent portion 321 bent downward is formed at an end of the decorative inner diameter portion 320. The inner bent portion 321 is formed in an annular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ecorative inner diameter portion 320 and is disposed vertically downward.

상기 장식내경부(320)의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내측절곡부(321)는 베젤(200)에 형성된 베젤내경부(220)의 측부에 면 접촉된다. 즉, 상기 내측절곡부(321)에 의해 장식부(300)는 베젤(200) 상부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좌우방향 이동이 규제된다.The inner bent portion 32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decorative inner diameter part 32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ezel inner diameter part 220 formed on the bezel 200. That is, by the inner bent portion 321, the decorative portion 300 can be coupled to an exact position on the bezel 200, and the horizontal movement is restric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절곡부(321)를 이용하여 장식부(300)를 베젤(20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쉽게 한 번에 결합 위치를 규제할 수 있고, 결합 이후에 장식부(300)가 베젤(200)의 배치 위치와 어긋나거나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corative part 30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zel 200 using the inner bent part 321, the coupling position can be easily regulated at a time, and the decorative part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300) deviates from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bezel 200 or opens.

이때, 상기 내측절곡부(321)의 최하단은 베젤내경부(220)의 최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내측절곡부(321)의 두께는 베젤내경부(22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bent portion 321 is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ly low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bezel inner diameter portion 220, and the thickness of the inner bent portion 321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ezel inner diameter portion 220 Is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절곡부(321)의 두께는 베젤내경부(220)의 두께의 약 1/5 내지 1/2 정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측절곡부(321)의 두께가 베젤내경부(220)의 두께의 1/5 미만이면 내측절곡부(321)가 위치 규제 기능을 거의 수행할 수 없으며, 내측절곡부(321)의 두께가 베젤내경부(220)의 두께의 1/2 초과이면 베젤(200) 안쪽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에 보호필름 또는 보호글래스 등을 장착하였을 때 내측절곡부(321)의 하단이 이러한 보호필름 등에 닿아 손상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inner bent portion 321 is preferably about 1/5 to 1/2 of the thickness of the bezel inner diameter portion 220. This means that if the thickness of the inner bent part 321 is less than 1/5 of the thickness of the bezel inner diameter part 220, the inner bent part 321 can hardly perform the position regulation func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inner bent part 321 is If the thickness of the bezel inner diameter part 220 is more than 1/2, when a protective film or protective glass is mounted on the display mounted inside the bezel 200, the lower end of the inner bent part 321 touches such a protective film and damages it. Because there is a fear of giving.

상기 장식부(300)의 개구부(310)로부터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는 장식외경부(330)의 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외측절곡부(331)가 아래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외측절곡부(331)의 두께는 내측절곡부(321)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외측절곡부(331)는 베젤(200)에 형성된 베젤외경부(230)의 상단에 놓이게 된다.At the end of the decorative outer diameter part 330 relatively away from the opening 310 of the decorative part 300, an outer bent part 331 is formed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thereof. The thickness of the outer bent portion 331 is formed relative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ner bent portion 321, and the outer bent portion 331 is placed on the top of the bezel outer diameter portion 230 formed on the bezel 200.

다시 말하면, 상기 외측절곡부(331)는 베젤외경부(230)의 상단에 배치되어 장식부(300)의 하면과 베젤(200)의 상면 사이에는 외측절곡부(331)의 두께만큼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 접착부(400)가 배치된다.In other words, the outer bent portion 331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bezel outer diameter portion 230,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ortion 3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outer bent portion 331 Is formed, and the adhesive part 400 is disposed in this space.

한편, 상기 외측절곡부(331)의 외측 단부는 베젤외경부(230)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부(210)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소정의 갭(G)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측절곡부(331)가 톱니부(21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톱니부(210)는 장식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편리하게 베젤(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end of the outer bent portion 331 is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teeth 210 formed in the bezel outer diameter portion 230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gap (G). Since the outer bent portion 331 is spaced apart from the toothed portion 210, the plurality of toothed portions 21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decorative portion 300 is coupled,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bezel 200 Can be rotated.

또한, 상기 외측절곡부(331)는 장식부(300)의 단면 두께감을 키울 수 있으므로 장식부(300)를 베젤(200)의 상면에 결합하였을 때 장식부(300)가 더욱 디자인적으로 도드라져 보이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outer bent portion 331 can increase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decorative portion 300, so when the decorative portion 3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the decorative portion 300 becomes more design. It also has the effect of making it visible.

상기 외측절곡부(331)의 하면은 베젤(200)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배젤의 상면에 완전히 면 접촉되고, 전술한 것처럼 상기 내측절곡부(321)의 측면은 베젤(200)의 측면에 면 접촉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bent portion 331 is forme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so as to complete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and as described above,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bent portion 321 is on the side of the bezel 200. Face contact.

상기 장식부(300)는 합성수지, 천연수지, 금속소재 또는 알루미늄(aluminium)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식부(300)를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 가볍고 견고하며 깔끔하게 인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decoration part 30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synthetic resin, natural resin, metal material, or aluminum. When the decorative part 300 is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light, solid, and can be printed neatly.

아울러, 상기 장식부(300)는 철(Fe)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크롬(Cr) 60 내지 80 중량부, 니켈(Ni) 10 내지 20 중량부, 몰리브덴(Mo) 2 내지 6 중량부 및 규소(Si) 0.3 내지 0.9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ecorative part 300 includes 60 to 80 parts by weight of chromium (Cr), 10 to 20 parts by weight of nickel (Ni), 2 to 6 parts by weight of molybdenum (Mo) and silicon ( Si) 0.3 to 0.9 parts by weight may be included.

위와 같이 구성된 장식부(300)는 적당한 무게감을 가져 베젤(200)의 상부에 결합되었을 때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고,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쉽게 휘거나 부러지지 않으며 광택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The decorative portion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feel a foreign body feeling when i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zel 200 by having an appropriate weight, is not easily bent or broken due to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durability, and has excellent gloss.

한편, 종래 일반적인 웨어러블 장치의 장식부재가 단순 프레스 가공으로 제조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300)는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conventional decorative member of a typical wearable device manufactured by simple press processing, the decorative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that it is CNC (Computer Numerical Control) processing using a cutting tool.

프레스 가공이란 상부에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램을 설치하되 램의 단부에 금형을 붙이고, 하부에 하형을 고정한 후, 재료소재를 놓아 램의 하강행정에서 압축하중을 걸어 원하는 모양과 치수의 제품을 만드는 제조 방법이다.Press processing means installing a ram that moves up and down in the upper part, attaching a mold to the end of the ram, fixing the lower mold to the lower part, and then placing a material and applying a compressive load on the ram's descending stroke to make a product of the desired shape and dimensions.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종래 일반적인 웨어러블 장치의 장식부재는 본 발명의 내측절곡부 등과 같은 입체적인 구성 없이 단순 평판 형태로 형성되므로 프레스 가공만으로도 충분히 제작 가능하다.Since the decorative member of a conventional general wearable device is formed in a simple flat plate shape without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such as an inner ben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ufficiently manufactured only by pressing.

CNC 가공은 마이크로컴퓨터를 내장한 수치제어 장치(NC)로서, 공작도면으로부터 공작물의 모양·치수, 가공조건으로서의 가공순서·절삭속도 및 절삭공구의 종류나 크기 등을 특수한 숫자로 된 기호로 번역하고, 이 기호를 근본으로 하여 천공 테이프 또는 자기테이프를 만든다. 이것을 제어장치에 넣으면, 공작기계에 지령이 내려져서 절삭공구는 그 지령대로 작동하여 자동으로 절삭한다.CNC machining is a numerical control device (NC) with a built-in microcomputer. It translates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work piece from the drawing drawing, the processing sequence as a processing condition, the cutting speed, and the type or size of the cutting tool into special numeric symbols. , Using this symbol as the basis, make a perforated tape or magnetic tape. When this is put into the control device, a command is given to the machine tool, and the cutting tool operates according to the command and cuts automatically.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300)는 내측절곡부(321) 및 외측절곡부(331)를 포함하여 그 단면이 입체적인 형태로 형성되므로 절삭공구를 이용해 깎아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decorative portion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ner bent portion 321 and the outer bent portion 331 and has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so it is preferable to be manufactured by cutting it using a cutting tool.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장식부(300)의 하면에는 내측절곡부(321)와 인접하여 환형의 가이드홈(322)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22)은 장식부(300)를 절삭공구로 가공할 때 장식부(300)를 잡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2, an annular guide groove 322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300 adjacent to the inner bent part 321. The guide groove 322 is a component for holding and fixing the decorative part 300 when processing the decorative part 300 with a cutting tool.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deco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내측절곡부(321)는 장식부(300)의 내측 단부에 하향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323) 및 장식부(300)의 내측 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함몰부(324)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bent portion 321 is a plurality of protrusions 323 extending downward to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ortion 300 and recessed in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ortion 300 It includes a plurality of depressions 324 to be formed.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절곡부(321)가 장식부(300)의 장식내경부(320)에 환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측절곡부(321)는 돌출부(323)와 함몰부(324)가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Unlike the above-described inner bent portion 3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annular ring shape in the decorative inner diameter portion 320 of the decorative portion 300, the inner si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t portion 32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s 323 and the recessed portions 324 are alternately arranged.

이와 같이 형성된 돌출부(323) 및 함몰부(324)는 사용자가 베젤(200)에 장식부(300)를 결합할 때 사용자에게 내측절곡부(321)가 위치하는 부분을 더욱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무게감 및 재료적인 측면에서도 일실시예와 다른 차이점을 만들 수 있다.The protrusions 323 and depressions 324 formed as described above allow the user to more clearly recognize the portion where the inner bent portion 321 is positioned when the user combines the decorative portion 300 with the bezel 200. And, it is possible to make a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in terms of weight and material.

아울러, 상기 함몰부(324)의 상단은 장식부(300)의 상면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함몰부(324)는 장식부(300)의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단순 링 형태의 장식부와는 다른 심미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recessed part 324 exte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300, and this recessed part 324 is different from the simple ring-shaped decorative part in terms of design of the decorative part 300 You can give it a different aesthetic.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323)와 함몰부(324)는 거의 동일한 폭으로 촘촘히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식부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323 and the recessed portion 324 are expressed as being densely formed with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decorative portion.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23)는 장식부(300)의 내측 단부 둘레를 따라 거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324)는 시각적으로 포인트가 되는 부분에 좁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sion 323 is formed to be elongated to occupy most of the area along the inner end circumference of the decorative portion 300, and the depression 324 is formed to be narrowly formed in a visually pointed portion. I can.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decor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장식부(300)의 내측 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다수의 천공부(340)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340)에는 하면에 다수의 삽입부(342)가 돌출 연장된 위치규제부(341)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erforations 340 are formed along the periphery at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ortion 300, and a plurality of perforations 340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ortion 340. The position regulation part 341 from which the part 342 protrudes and extends may be selectively inserted.

상기 삽입부(342)는 천공부(3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젤(200)의 측부에 면 접촉되어 장식부(300)가 베젤(200) 상면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식부(300)가 베젤(200)의 위치와 벌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insertion part 342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ezel 20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part 340 so that the decorative part 30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at the correct position and decorated at the same time. The portion 300 serves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bezel 200 and not to be opened.

사용자는 장식부(300)를 베젤(200)의 상면에 결합할 때에는 위치규제부(341)의 삽입부(342)를 천공부(340)에 삽입하여 장식부(300)가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하고, 장식부(300)의 결합이 완료된 다음에는 위치규제부(341)를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user attaches the decorative part 3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the insertion part 342 of the position regulation part 341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part 340 so that the decorative part 300 comes to the correct position. , After the coupling of the decoration part 300 is completed, the position regulation part 341 may be removed.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천공부(340)는 장식부(300)의 둘레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되고, 삽입부(342)는 위치규제부(341)의 둘레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 상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개수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342)의 두께는 베젤내경부(22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four perforation parts 340 are formed at 90 degree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ecoration part 300, and the insertion part 342 is formed at 90 degree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osition regulation part 341. Although it is expressed as being formed of fou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and intervals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use.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insertion part 342 is preferably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ezel inner diameter part 220.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절곡부(321)가 장식내경부(320)에 환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치규제부(341)와 천공부(340)는 삽입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Unlike the above-described inner bent portion 3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annular ring shape in the decorative inner diameter portion 320, the position control portion 341 and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ation 340 can be inserted or rem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천공부(340)와 위치규제부(341)는 케이스(100) 또는 베젤(200)의 안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등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장식부(300)를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rforation part 340 and the position control part 34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height of the display disposed inside the case 100 or the bezel 200, and the decorative part 300 ) Can be easily combined.

예컨대, 베젤내경부(220)의 높이는 웨어러블 장치의 모델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보호 필름, 보호 글래스 등을 부착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bezel inner diameter part 22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wearable device, and may vary as the user attaches a protective film or glas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상기 위치규제부(341)의 삽입부(342)는 사용자가 직접 천공부(340)에 삽입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장식부(300)가 결합된 후에는 제거될 수 있으므로 베젤내경부(220)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장식부(300)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상면이 눌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342 of the position regulation portion 341 can be directly adjusted by the user to adjust the depth of insertion into the perforation portion 340, and can be removed after the decoration portion 300 is coupled, so the bezel inner diameter portion 220 It is possible to stably couple the decoration part 300 regardless of the height of ),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from being pressed or damaged.

또한, 상기 위치규제부(341)는 베젤(200)의 안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황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의 상면을 보호하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령, 뚜껑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regulation unit 341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disposed inside the bezel 200,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protects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or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for example, a lid. It can also play a role as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의 단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상기 장식부(300)의 내측 단부에는 수납홀(35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납홀(35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351)가 설치된다.As shown,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hole 350 is formed vertically through an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art 300, and an elastic member 351 is formed inside the storage hole 350. Installed.

상기 탄성부재(351)는 내측절곡부(321)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내측절곡부(321)는 수납홀(350)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어 베젤(200)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351 provides an elastic force of the inner bent portion 321, and the inner bent portion 321 is accommodated in o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hole 350 to selectively b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bezel 200. Can be contacted.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절곡부(321)가 장식내경부(320)에 환형의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내측절곡부(321)는 수납홀(350)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노출될 수 있다.Unlike the above-described inner bent portion 321 protruding from the decorative inner diameter portion 320 in an annular ring shape, the inner bent portion 32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ccommodated or exposed in the storage hole 350.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절곡부(321)가 형성된 장식부(300)는 다수의 장식부(300)를 다단으로 쌓아 보관하기에는 내측절곡부(321)가 돌출되어 걸리므로 보관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In the decoration portion 300 having the inner bent portion 321 form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inner bent portion 321 protrudes and hangs in order to store a plurality of decoration portions 300 in multiple stages. It may be of an inappropriate shape.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내측절곡부(321)는 수납홀(350) 내부에 수납 가능하므로 다수의 장식부(300)를 다단으로 쌓아 보관할 때 내측절곡부(321)가 수납되고 장식부(300)의 상면과 이웃하는 장식부(300)의 하면이 면 접촉되어 수월하게 보관할 수 있다.Since the inner bent part 32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hole 350, when the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300 are stacked and stored in multiple stages, the inner bent part 321 is accommodated and the decorative part The upper surface of the 3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neighboring decorative part 3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easily stored.

상기 내측절곡부(321)에는 다수의 장식부(300)를 보관할 때 내측절곡부(321)가 수납홀(350)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테이퍼진 테이퍼단부(321a) 및 장식부(300)를 베젤(200)의 상면에 결합할 때 내측절곡부(321)가 베젤내경부(220)의 측부에 면 접촉되도록 하는 일자 형상의 밀착단부(321b)가 형성된다.The inner bent portion 321 includes a tapered end portion 321a and a decorative portion 300 that allow the inner bent portion 321 to move into the storage hole 350 when storing the plurality of decorative portions 300. Whe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200, a straight contact end portion 321b is formed so that the inner bent portion 321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of the bezel inner diameter portion 220.

즉, 사용자가 다수의 장식부(300)를 다단으로 쌓아 보관할 때, 테이퍼단부(321a)가 이웃하는 장식부(300)의 상면에 접촉되며 내측절곡부(321)가 수납홀(350)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고, 장식부(300)를 베젤(200)에 결합할 때, 내측절곡부(321)가 탄성부재(35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베젤(200)의 베젤내경부(220)에 접촉되어 장식부(300)가 올바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a user stacks and stores a plurality of decorative parts 300 in multiple stages, the tapered end 321a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neighboring decorative part 300 and the inner bent part 321 is moved into the storage hole 350. It is pushed in, and when the decorative part 300 is coupled to the bezel 200, the inner bent part 321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elastic member 351 and at the same time, the bezel inner diameter part 220 of the bezel 200 It is in contact so that the decorative part 300 can be coupled to the correct posi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의 단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부(300)는 그 폭 방향을 따라 제1장식부(301)와 제2장식부(302)로 구획된다. 상기 제1장식부(301)는 베젤(200)의 내측면에 인접 배치된 장식부(300)이고, 제2장식부(302)는 베젤(200)의 외측면에 인접 배치된 장식부(300)이다.As shown, the decoration part 300 is divided into a first decoration part 301 and a second decoration part 302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reof. The first decoration part 301 is a decoration part 300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ezel 200, and the second decoration part 302 is a decoration part 300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ezel 200. )to be.

상기 제1장식부(301)의 내측 단부에는 내측절곡부(321)가 아래를 향해 돌출 연장되고, 상기 제2장식부(302)의 외측 단부에는 외측절곡부(331)가 아래를 향해 돌출 연장되며, 외측절곡부(331)의 단부에는 마찰부(361)가 형성된다.An inner bent part 321 protrudes downward at an inner end of the first decorative part 301, and an outer bent 331 protrudes downward at an outer end of the second decorative part 302 And, a friction portion 361 is formed at an end of the outer bent portion 331.

전술한 것처럼 상기 내측절곡부(321)는 베젤(200)의 내측면에 면 접촉되고, 상기 외측절곡부(331) 및 마찰부(361)는 베젤(200)의 상면에 놓인다. 상기 제1장식부(301)와 제2장식부(302)의 사이에는 장식스프링(360)이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bent portion 321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ezel 200, and the outer bent portion 331 and the friction portion 361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A decorative spring 36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decorative part 301 and the second decorative part 302.

상기 장식스프링(360)은 제1장식부(301)와 제2장식부(302)가 접혀지는 방향(도시된 실시예에서 아래 방향)으로 제1장식부(301)와 제2장식부(30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제1장식부(301)와 제2장식부(302)에는 기본적으로 베젤(200)의 상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The decorative spring 360 includes a first decorative part 301 and a second decorative part 30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decorative part 301 and the second decorative part 302 are folded (downwar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o provide elasticity. That is, the elastic force acts on the first decorative part 301 and the second decorative part 30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is basically pressed.

상기 제1장식부(301)의 내측절곡부(321)가 베젤(200)의 내측면에 걸려있고, 제2장식부(302)의 마찰부(361)가 베젤(20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장식부(300)는 탄성력에 의해 별다른 접착제 없이도 베젤(2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inner bent part 321 of the first decorative part 301 is hu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zel 200, and the friction part 361 of the second decorative part 302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Therefore, the decorative part 300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without any special adhesive by the elastic force.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장식부(301)의 내측절곡부(321)가 베젤(200)의 내측면에 걸린 상태에서 장식스프링(360)이 계속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므로 제2장식부(302)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하나, 베젤(200)의 상면에 마찰부(361)가 가로막혀 있으므로 제2장식부(302)는 아래방향으로 접히지 못하고 베젤(200)의 상면을 가압하며 베젤(200)의 상면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In other words, while the inner bent portion 321 of the first decoration part 301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zel 200, the decorative spring 360 continues to apply an elastic force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e second decoration part 302 ) Tries to move downward, but the friction part 361 is blo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so the second decorative part 302 cannot be folded downward and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and presses the bezel 200 ) May be strong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상기 마찰부(361)는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수지 70 내지 75 중량부, 소포제 4 내지 5 중량부, 평활제 4 내지 5 중량부, 경화제 30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과 에머리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iction part 361 is a mixture of 70 to 75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4 to 5 parts by weight of an antifoaming agent, 4 to 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and 30 to 4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urethane resin, and emery 10 It may contain to 20 parts by weight.

이러한 마찰부(361)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투명 아크릴 수지가 혼합된 투명한 합성수지 혼합물에 에머리가 혼합되어, 미끄럼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내마모성은 물론 방수성까지 담보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361)는 43 내지 48N 정도의 마찰력을 갖게 되어 제2장식부(302)가 베젤(20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friction part 361, emery is mixed in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ixture in which a transparent acrylic resin is mixed with a polyurethane resin, thereby maximizing the anti-slip effect and ensuring abrasion resistance as well as waterproofness. The friction part 361 has a friction force of about 43 to 48N so that the second decoration part 302 can be stab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200.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의 케이스(100) 및 베젤(200)의 교체 없이도 장식부(30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쉽고 간편하게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design of the wearable device can be changed using the decoration part 300 without replacing the case 100 and the bezel 200 of the wear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imply satisfy the user's needs. have.

또한, 본 발명은 장식부(300)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내측절곡부(321)를 이용하여 장식부(300)를 베젤(20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쉽게 한 번에 결합 위치를 규제할 수 있고, 결합 이후에 장식부(300)가 베젤(200)의 배치 위치와 어긋나거나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zel 200 by using the inner bent portion 321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ortion 300, so it is easy to regulate the coupling position at o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decoration part 300 deviates from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bezel 200 or opens after the coupl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00 : 케이스 200 : 베젤 210 : 톱니부
220 : 베젤내경부 230 : 베젤외경부 300 : 장식부
301 : 제1장식부 302 : 제2장식부 310 : 개구부
320 : 장식내경부 321 : 내측절곡부 321a : 테이퍼단부
321b : 밀착단부 322 : 가이드홈 323 : 돌출부
324 : 함몰부 330 : 장식외경부 331 : 외측절곡부
340 : 천공부 341 : 위치규제부 342 : 삽입부
350 : 수납홀 351 : 탄성부재 360 : 장식스프링
361 : 마찰부 400 : 접착부
100: case 200: bezel 210: teeth
220: bezel inner diameter 230: bezel outer diameter 300: decoration
301: first decorative part 302: second decorative part 310: opening
320: decorative inner diameter portion 321: inner bent portion 321a: tapered end
321b: close contact end 322: guide groove 323: protrusion
324: recessed portion 330: decorative outer diameter portion 331: outer bent portion
340: perforation part 341: position regulation part 342: insertion part
350: storage hole 351: elastic member 360: decorative spring
361: friction part 400: adhesive part

Claims (10)

웨어러블 장치의 케이스 상부에 결합된 베젤의 상부에 배치되는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의 하면에 배치되어 장식부를 베젤에 결합시키는 접착부; 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부의 일측 단부에는 하향 절곡된 내측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
A decorative portion disposed on the bezel coupled to the upper case of the wearable device; And
An adhesive part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to couple the decorative part to the bezel; Including,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wherein an inner bent portion bent downwar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ecorativ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중앙의 개구부와 장식내경부 및 장식외경부를 구비하는 환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절곡부는 장식내경부의 단부에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decorative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ring shape having a central opening, a decorative inner diameter part, and a decorative outer diameter part,
The inner bent portion is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nd of the decorative inner diame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절곡부는 장식내경부의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베젤에 형성된 베젤내경부의 측부에 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bent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and the decorative member for the bezel of the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ezel inner diameter portion formed on the beze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절곡부의 최하단은 베젤내경부의 최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내측절곡부의 두께는 베젤내경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
The method of claim 3,
A bezel decorative member for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bent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ly low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bezel inner diameter, and the thickness of the inner bent portion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ezel inner diame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의 장식외경부 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외측절곡부가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
The method of claim 2,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an end of the decorativ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decorative portion, an outer bent portion extends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thereo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절곡부는 베젤에 형성된 베젤외경부의 상단에 놓이며, 베젤외경부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er bent portion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bezel outer diameter portion formed on the bezel, and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 plurality of teeth formed on the bezel outer diamete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절곡부는 장식부의 내측 단부에 하향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 및 장식부의 내측 단부에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함몰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돌출부와 다수의 함몰부는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ben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downwardly to an inner end of the decorat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depressions formed in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on portion,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depress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의 내측 단부에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부가 돌출 연장된 위치규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ortion; And
A position regulat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s protrude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portion;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의 내측 단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수납홀; 및
상기 수납홀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절곡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절곡부는 수납홀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어 베젤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
The method of claim 1,
A storage hole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inner end of the decorative part;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 the receiving hol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inner bent portion; It further includes,
The inner bent part is a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hole or exposed to the outside to selectively contact the inside of the bez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그 폭 방향을 따라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로 구획되고, 상기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의 사이에는 제1장식부와 제2장식부가 접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장식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내측절곡부는 제1장식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2장식부의 단부에는 마찰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베젤용 장식부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decorative part is divided into a first decorative part and a second decorative 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between the first decorative part and the second decorative part, a decoration that provides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decorative part and the second decorative part are folded Spring is installed,
The inner bent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decorative portion, and the fri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decorative portion, the decorative member for a bezel of a wearable device.
KR1020190017068A 2019-02-14 2019-02-14 Bezel styling accessory of wearable device KR202000992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68A KR20200099292A (en) 2019-02-14 2019-02-14 Bezel styling accessory of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68A KR20200099292A (en) 2019-02-14 2019-02-14 Bezel styling accessory of wear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292A true KR20200099292A (en) 2020-08-24

Family

ID=7223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068A KR20200099292A (en) 2019-02-14 2019-02-14 Bezel styling accessory of wear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29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53058U (en) System for to adapt to to take to fix and fix to user to rigidity casing or with electron device
EP2937744B1 (en) Wearable device
CN208386859U (en) A kind of dic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module
US20130175186A1 (en) Case for electronic devices
KR102362014B1 (en)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olling the same
KR200431587Y1 (en) Mobile phone case by double injection molding
EP1301011A3 (en) User changeable electronic device/mobile phone covers and method
CN106094505A (en) Wrist-watch including bluetooth earphone
KR200465995Y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2574355B1 (en) The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Microphone which obtain Sound using a Plurality of Openings
KR20200099292A (en) Bezel styling accessory of wearable device
US20020094838A1 (en) Structure of film type keyboard of cellular phones
KR102070054B1 (en) Wrist watch on which bezel is mounted and separated using lug
KR101426772B1 (en) Mobile phone case in kit form
US20220190865A1 (en) Device for safely supporting mobile phone
CN109831221B (en) DIY type intelligent wearable device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KR20120138983A (en) Artificial nail for capacitance type touch
KR20210150665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etachable ornamental member
JP3218152U (en) Smartphone case
CN202060194U (en) Sheath structure
CN212572656U (en) Mobile phone shell integrating ring buckle and protective shell
KR102643989B1 (en) Protective cover for mobile phone with decorative glass sheet
KR102525856B1 (en) Customizable three-dimensional hologram ring considering user diversity
JP3175101U (en) Sticky note holder
KR102189964B1 (en) Mobile phone safety hol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