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061A -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 - Google Patents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061A
KR20200099061A KR1020190084437A KR20190084437A KR20200099061A KR 20200099061 A KR20200099061 A KR 20200099061A KR 1020190084437 A KR1020190084437 A KR 1020190084437A KR 20190084437 A KR20190084437 A KR 20190084437A KR 20200099061 A KR20200099061 A KR 20200099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experimental apparatus
experiment spac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135B1 (ko
Inventor
장효철
Original Assignee
삼인싸이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인싸이언스(주) filed Critical 삼인싸이언스(주)
Priority to PCT/KR2019/00904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66771A1/ko
Publication of KR20200099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3Sending and receiving of information, e.g. using blue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 조건에 대응하여 실험장치의 각 부품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실험장치의 이상 상황 발생 시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실험장치가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은 유닛들의 작동에 필요한 환경조건을 바탕으로 유닛들의 작동에 따른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환경조건과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유닛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실험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이고, 실험장치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휴대단말 및 실험장치와 인터넷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계서버와 중계서버와 인터넷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서버가 포함된 서버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휴대단말과 제어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한편,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실험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실험장치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REMOTE CONTROL SYSTEM OF EXPERIMENTATION DEVICE AND EXPERIMENTATION DEVICE}
본 발명은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험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 조건에 대응하여 실험장치의 각 부품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실험장치의 이상 상황 발생 시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실험장치가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약이나 의약품은 상대적으로 고가인 경우가 많고 온도나 습도 등과 같은 보관 환경에 민감한 영향을 받으며 시간 경과에 따른 역가 감소 현상을 나타내므로 대부분의 경우 보관 조건과 유효기간 등이 정해져 있으며, 유효 기간이 경과하여 역가가 저하되거나 소실된 시약이나 약품을 사용하게 되면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지 못하여 잘못된 결론으로 유도될 수 있으므로 실험실이나 연구실 등에서의 시약 관리는 매우 중요한문제이며, 유효 역가를 보유한 시약을 적기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실험실이나 연구실의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 이러한 시약이나 약품의 보관 및 취급은 실험실 또는 연구실 내의 여러 시약장 내에 보관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수많은 시약들을 단순한 기억에 의존하거나, 시약 라벨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찾아야만 하고, 시약의 반납 또는 반출 시 번거롭고 수고스럽게 수기로 관리 대장에 기록함이 통상적이었으며, 이러한 관리 기장을 컴퓨터에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록매체가 종이인가 컴퓨터 메모리인가의 차이만 있을 뿐 번거롭고 수고스럽기는 마찬가지였다.
또한, 최근 통신 기기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저렴한 비용에, 저 전력(low energy)으로 구현하기 위한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 표준인 블루투스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블루투스 통신 기술은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슈(issue)에서 벗어나, 적은 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하고, 낮은 전력 소모로 이용 가능한 저전력(low energy) 블루투스 통신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술은 이동 컴퓨터, 휴대폰, 헤드셋, PDA, 태플릿 PC, 프린터뿐만 아니라 헬시 케어(Healthy care), 의료 기기,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30)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은 마스터 역할을 하는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1:1의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마스터 단말이 슬레이브 단말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단말이 슬레이브 단말과 1:1로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마스터 단말은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만을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나의 마스터 단말기가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들을 용이하게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5123호 (발명의 명칭 : 지능형 실험실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실 관리 방법, 2016. 10. 3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실험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 조건에 대응하여 실험장치의 각 부품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실험장치의 이상 상황 발생 시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실험장치가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험장치는 실험이 이루어지는 실험공간과, 상기 실험공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는 챔버유닛; 상기 지지기둥에서 상기 도어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실험공간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유닛; 상기 도어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실험공간의 개구부에서의 유입풍속 또는 상기 배기유닛에서의 배기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를 포함하는 제어센싱유닛; 및 상기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상기 실험공간의 개구부의 개구면적에 따라 상기 배기유닛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의 공기배기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실험공간의 개구부의 개구면적과 상기 실험공간의 송풍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가하도록 상기 배기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배기유닛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의 공기배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실험공간의 개구부의 개구면적과 상기 실험공간의 송풍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감소하도록 상기 배기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배기유닛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의 공기배기량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실험공간의 공기가 수용되되, 상기 실험공간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구비된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의 개도 조절을 위해 상기 배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댐퍼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된 상기 실험공간의 공기배기량에 대응하여 상기 댐퍼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가 포함된 개도조절유닛; 및 상기 배기구의 송풍량을 조절을 위해 상기 배기구의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의 출력을 조절하는 인버터가 포함된 유량조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장치는 상기 실험공간의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센싱유닛은, 상기 실험공간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상기 실험공간의 화재를 감지하면, 이상상황에 대처하도록 알람을 울린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장치는 상기 도어에 결합된 와이어의 끊어짐에 따른 상기 도어의 자유낙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를 정지시키는 추락방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추락방지유닛은, 상기 도어의 양측에 결합되는 압축부재; 상기 구동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압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압축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기둥에 걸림 지지되는 스토퍼; 및 상기 몸체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압축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재가 상기 도어의 자중에 의해 상기 몸체부재에 지탱되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스토퍼의 걸림 지지가 해제되고, 상기 압축부재가 상기 몸체부재에 지탱되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몸체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압축부재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지지기둥에 걸림 지지되도록 회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은 유닛들의 작동에 필요한 환경조건을 바탕으로 상기 유닛들의 작동에 따른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조건과 상기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닛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실험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이고, 상기 실험장치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휴대단말; 및 상기 실험장치와 인터넷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계서버와, 상기 중계서버와 인터넷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서버가 포함된 서버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제어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한편, 상기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실험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실험장치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중계서버와 인터넷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제어서버는, 각각, 하나의 실험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단말에 저장된 환경정보와 상기 제어서버에 저장된 환경정보가 중복되는 경우, 최신의 환경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하나의 실험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제어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된 제어정보와 상기 제어서버에서 생성된 제어정보가 중복되는 경우, 최신의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최신의 제어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하나의 실험장치를 기준으로 최신의 환경정보와 최신의 제어정보를 수집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에 따르면, 실험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 조건에 대응하여 실험장치의 각 부품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실험장치의 이상 상황 발생 시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실험장치가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 구축을 통해 실험장치별, 하나 이상의 실험장치가 배치된 연구실별, 하나 이상의 연구실이 마련된 연구소별로 그룹화되어 그룹 단위로 환경정보와 제어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장치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과 직접 통신하거나 중계서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과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고, 인터넷 통신이 불가능한 실험장치 또는 실험장치가 설치된 실험실에서도 원격제어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실험장치의 원격제어를 간편하게 하고, 실험장치의 운용이 용이해지며, 실험 효과를 높이면서 실험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범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실험장치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도어의 이상 개폐 동작시 실험자 또는 관리자에게 즉각 알림이 가능하므로 실험장치의 문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실험공간의 공기배기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유닛의 동작을 통해 실험 중 화학물질들의 반응 또는 실험자의 실수에 의해 발생되는 화재를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한편, 실험공간의 화재를 안정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끊어짐에 따른 도어의 자유낙하에 대응하여 챔버유닛에서 도어를 긴급 정지시킬 수 있고, 도어의 추락에 의한 실험자의 안전사고 및 도어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실험공간에서 개구부를 통해 유해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에서 실험장치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에서 실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장치에서 실험공간의 천장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장치에서 추락방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장치에서 추락방지유닛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장치에서 추락방지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실험장치(100)를 원격 제어한다.
여기서, 실험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은 휴대단말(310)과 서버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유닛은 중계서버(200)와, 제어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관리자단말(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장치(100)는 유닛들의 작동에 필요한 환경조건을 바탕으로 유닛들의 작동에 따른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환경조건과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유닛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챔버유닛(10)과, 구동유닛(20)과, 배기유닛(30)과, 제어센싱유닛과, 제어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장치는 소화유닛과, 추락방지유닛(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챔버유닛(10)은 실험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챔버유닛(10)은 실험이 이루어지는 실험공간(11)과, 실험공간(1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2)와, 도어(12)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기둥(123)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유닛(10)은 지지기둥(123)에서 이격되어 실험공간(11)의 외측에 지지되는 보조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둥(123)에는 도어(12)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도어가이드가 구비되고, 도어(12)의 양측면에는 도어가이드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도어프레임(1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어(12)와 도어프레임(121) 사이에는 후술하는 추락방지유닛(70)의 몸체부재(73)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구동유닛(20)은 지지기둥(123)에서 도어(12)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구동유닛(20)은 도어(12)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1)와, 구동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구동축(23)과, 도어(12) 또는 후술하는 추락방지유닛(70)에 결합되고 구동축(23)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20)은 구동력을 구동축(23)에 전달하는 벨트(22)를 더 포함하고, 구동축(23)은 벨트(22)에 의해 회전된다.
그러면, 제어유닛(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21)가 정동작되면, 와이어(24)가 구동축(23)에 감기면서 도어(12)가 상승되어 실험공간(11)의 개구부를 개방한다. 또한, 제어유닛(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21)가 역동작되면, 와이어(24)가 구동축(23)에서 풀리면서 도어(12)가 하강되어 실험공간(11)의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
배기유닛(30)은 실험공간(11)의 공기를 배기시킨다. 실험공간(11)의 공기에는 유해가스가 포함될 수 있다.
배기유닛(30)은 챔버유닛(10)에 구비되어 실험공간(11)의 공기가 수용되되 실험공간(11)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32)가 구비된 배기덕트(31)를 포함하고, 개도조절유닛과 유량조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도조절유닛에는 배기구(32)의 개도 조절을 위해 배기구(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댐퍼(33)와, 제어유닛(50)에 의해 제어된 공기배기량에 대응하여 댐퍼(33)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35)가 포함될 수 있다.
유량조절유닛에는 배기구(32)의 송풍량을 조절을 위해 배기구(32)의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팬(미도시)과, 배기팬(32)의 출력을 조절하는 인버터(36)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팬(미도시)은 제어유닛(5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정보에 따라 배기구(32)에서 실험공간(11)의 공기 배기를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인버터(36)는 제어유닛(5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정보에 따라 배기팬(미도시)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유닛(50)의 제어에 따라 댐퍼(33)의 회전량이 조절되거나 배기팬(미도시)의 출력이 조절됨으로써, 배기유닛(30)은 조절된 공기배기량에 대응하여 실험공간(11)의 공기를 안정되게 배기시킬 수 있다.
제어센싱유닛은 챔버유닛(10)에서 실험장치(100)의 상태를 감지한다.
실험장치(100)의 상태는 실험공간(11)의 개구부의 개폐 상태, 실험공간(11)의 배기 상태, 실험공간(11)의 상태, 구동유닛(20)의 상태, 배기유닛(30)의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은 제어유닛(50)에서 환경정보에 이용된다.
제어센싱유닛은 도어(12)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도어(12)의 개방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41)와, 실험공간(11)의 개구부에서의 유입풍속 또는 배기유닛(30)에서의 배기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센싱유닛은 실험공간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43)와 실험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근접센서(44)와, 실험공간(11)의 개구부로의 물체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45)와, 실험공간(11)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센서(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50)은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실험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유닛(50)은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실험장치(100)에 대한 환경정보를 생성하여 휴대단말(310)과 중계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유닛(50)은 휴대단말(310) 또는 중계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실험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50)은 구동유닛(20)과, 배기유닛(30)을 제어하고, 소화유닛을 더 제어하며, 기타 실험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50)은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을 표시하는 컨트롤패널(52)과,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실험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박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패널(52)에는 외부와의 블루투스 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첫째, 제어유닛(50)은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 중 위치센서(41)의 감지값과 풍속센서(42)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실험공간(11)의 개구부의 개구면적에 따라 배기유닛(30)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11)의 공기배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컨트롤패널(52)에는 위치센서(41)의 감지값과 풍속센서(42)의 감지값과 기설정된 면속도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박스(51)는 위치센서의 감지값과 풍속센서(42)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실험공간(11)의 개구부의 면속도를 산출하고, 기설정된 면속도 범위(컨트롤패널(52) 또는 휴대단말(310) 또는 제어서버(400)에서 설정값을 부여할 수 있음)에 포함되도록 실험공간(11)의 개구부의 개구면적에 따라 배기유닛(30)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11)의 공기배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박스(51)에서의 제어 상태는 컨트롤패널(52)을 통해 휴대단말(310)과 중계서버(200)에 전송된다.
제어유닛(50)은 실험공간(11)의 개구부의 개구면적과 실험공간(11)의 송풍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가하도록 배기유닛(3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배기유닛(30)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11)의 공기배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50)은 실험공간(11)의 개구부의 개구면적과 실험공간(11)의 송풍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감소하도록 배기유닛(3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배기유닛(30)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11)의 공기배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설정된 면속도 범위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예로, 실험공간(11)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어유닛(50)에 의해 구동유닛(20)이 정동작되어 실험공간(11)을 개방하는 경우, 제어유닛(50)은 배기팬의 출력이 증가되거나 댐퍼(33)가 배기구(32)를 개방하도록 배기유닛(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험공간(11)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어유닛(50)에 의해 구동유닛(20)이 역동작되어 실험공간(11)을 폐쇄하는 경우, 제어유닛(50)은 배기팬의 출력이 감소되거나 댐퍼(33)가 배기구(32)을 폐쇄하도록 배기유닛(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20)의 정동작에 의해 실험공간(11)이 완전 개방되어 실험공간(11)의 개구부의 개구면적이 최대인 경우, 제어유닛(50)은 배기팬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배기팬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배기구(32)가 최대로 개방되도록 액츄에이터(35)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기유닛(30)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11)의 공기배기량을 최대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20)의 역동작에 의해 실험공간(11)이 폐쇄되어 실험공간(11)의 개구부의 개구면적이 최소화되는 경우, 제어유닛(50)은 배기팬의 출력이 최소화되도록 배기팬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배기구(32)가 최소로 개방되도록 액츄에이터(35)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기유닛(30)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11)의 공기배기량을 최소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험공간(11)이 개방된 상태에서 댐퍼(33)를 이용한 배기구(32)를 조절하지 않고서도 제어유닛(50)은 인버터(36)를 이용 배기팬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기유닛(30)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11)의 공기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둘째, 제어유닛(50)은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 중 화재감지센서(43)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소화제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소화유닛은 실험공간(11)의 화재를 진압한다. 소화유닛은 소화제를 실험공간에 공급하는 소화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유닛에는 실험공간(11)으로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부(6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컨트롤패널(52)에는 화재감지센서(43)의 감지값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박스(51)는 화재감지센서(43)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화재 여부를 판단하고, 실험공간(11)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이상 상황에 따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알람을 울릴 수 있다. 또한, 제어박스(51)는 실험공간(11)으로 소화제가 공급되도록 소화유닛의 동작을 제어하여 소화제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박스(51)에서의 제어 상태는 컨트롤패널(52)을 통해 휴대단말(310)과 중계서버(200)에 전송된다.
또한, 자체 소화 이외에도 댐퍼(33)를 이용해서 불이 번지는 것을 차단, 인버터(36)의 정지 등을 이용하여 배기구(32)를 통한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구(32)는 장시간 사용에 따라 먼지나 실험물질의 흡착되기 때문에 불이 빠르게 번지는 도화선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셋째, 제어유닛(50)은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 중 근접센서(44)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실험공간(1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컨트롤패널(52)에는 근접센서(44)의 감지값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박스(51)는 근접센서(44)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실험장치 주위에서 실험자의 유무를 판단하고, 실험자가 챔버유닛(1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컨트롤패널(52) 또는 휴대단말(310) 또는 제어서버(400)에서 설정값을 부여할 수 있음)에서 장시간 벗어나거나 실험자가 실험장치(100) 주위에 없는 경우, 실험공간(11)이 폐쇄되도록 구동유닛(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박스(51)에서의 제어 상태는 컨트롤패널(52)을 통해 휴대단말(310)과 중계서버(200)에 전송된다.
넷째, 제어유닛(50)은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 중 물체감지센서(45)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도어(12)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컨트롤패널(52)에는 물체감지센서(45)의 감지값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박스(51)는 물체감지센서(45)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실험장치(100)의 동작 중 도어(12)가 슬라이드 이동 시 실험공간(11)의 개구부에서 물체의 진입 또는 진출이 감지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도어(12)가 정지되도록 구동유닛(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박스(51)에서의 제어 상태는 컨트롤패널(52)을 통해 휴대단말(310)과 중계서버(200)에 전송된다.
다섯째, 제어유닛(50)은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 중 온습도센서(46)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실험공간(11)의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컨트롤패널(52)에는 온습도센서(46)의 감지값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박스(51)는 온습도센서(46)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실험공간(11)의 온습도 상태를 판단하고, 실험공간(11)의 온습도 상태가 기설정된 온습도 상태(컨트롤패널(52) 또는 휴대단말(310) 또는 제어서버(400)에서 설정값을 부여할 수 있음)에서 벗어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별도의 온습도조절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험공간(11)의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박스(51)에서의 제어 상태는 컨트롤패널(52)을 통해 휴대단말(310)과 중계서버(200)에 전송된다.
추락방지유닛(70)은 도어(12)에 결합된 와이어(24)의 끊어짐에 따른 도어(12)의 자유낙하에 대응하여 챔버유닛(10)에서 도어(12)를 정지시킨다.
추락방지유닛(70)은 도어(12)의 양측에 결합되는 압축부재(71)와, 구동유닛(20)과 결합되고 압축부재(71)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재(73)와, 압축부재(71)의 상측에서 몸체부재(7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압축부재(71)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지지기둥(123)에 걸림 지지되는 스토퍼(75)와, 몸체부재(73)를 기준으로 압축부재(71)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77)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재(71)의 상부에는 리미트스위치(72)가 구비되어 스토퍼(75)의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스토퍼(75)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미트스위치(72)는 "off" 상태를 나타내고, 스토퍼(75)가 회전되면 스토퍼(75)의 회전축과 압축부재(71) 사이에서 리미트스위치(72)는 가압되어 "on" 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컨트롤패널(52)에는 리미트스위치(72)의 "on"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박스(51)는 리미트스위치(72)의 "on" 상태를 바탕으로 도어(12)가 긴급 정지되었음을 판단하고, 리미트스위치(72)가 "on" 상태인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구동유닛(20)과, 배기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험공간(11)의 공기 배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박스(51)에서의 제어 상태는 컨트롤패널(52)을 통해 휴대단말(310)과 중계서버(200)에 전송된다.
압축부재(71)에는 몸체부재(73)를 향해 승강돌기(7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재(73)에는 압축부재(71)에 대응하여 장공(731)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러면, 승강돌기(711)는 몸체부재(73)와 압축부재(71) 사이의 상대 운동에 대응하여 장공(731)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몸체부재(73)에서 상부에는 구동유닛(20)에 구비되는 와이어(24)가 결합되는 와이어연결부(74)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75)는 몸체부재(7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와, 회전축부의 회전에 의해 지지기둥(123)과 걸림 지지되도록 회전축부에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는 회전축부로부터 절곡 형성될 수 있고, 걸림부의 단부에는 걸림돌기(76)가 구비되어 걸림부와 지지기둥(123)의 걸림 지지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탄성부재(77)는 몸체부재(73)를 기준으로 압축부재(71)의 하부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77)는 도어(12)의 자중에 의해 압축되어 몸체부재(73)의 하부와 압축부재(71)의 하부 사이에 삽입 지지된다.
결국, 추락방지유닛(70)에서 압축부재(71)가 도어(12)의 자중에 의해 몸체부재(73)에 지탱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77)가 압축되므로, 스토퍼(75)가 초기 상태를 유지하고, 지지기둥(123)과 스토퍼(75)의 걸림 지지가 해제된다. 또한, 추락방지유닛(70)에서 압축부재(71)가 몸체부재(73)에 지탱되는 힘이 해제(와이어(24)의 단선, 몸체부재(73)의 하강이 도어(12)의 하강보다 빠른 경우)되면, 몸체부재(73)를 기준으로 탄성부재(77)에 의해 압축부재(71)가 상승함에 따라 스토퍼(75)는 지지기둥(123)에 걸림 지지되도록 회전됨으로서, 지지기둥(123)에 도어(12)를 긴급 정지시킬 수 있다.
휴대단말(310)은 실험장치(100)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실험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실험장치(100)는 하나의 휴대단말(310)을 기준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휴대단말(310)은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한편,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실험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제어유닛에 전송한다. 제어정보에는 챔버유닛(10)의 기설정값, 챔버유닛(10)의 동작 정보, 구동유닛(20)의 기설정값, 구동유닛(20)의 동작 정보, 배기유닛(30)의 기설정값, 배기유닛(30)의 동작 정보, 제어센싱유닛의 기설정값, 제어센싱유닛의 동작 정보, 제어유닛(50)의 기설정값, 제어유닛(50)의 동작 정보, 소화유닛의 기설정값, 소화유닛의 동작 정보, 추락방지유닛(70)의 기설정값, 추락방지유닛(70)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휴대단말(310)은 실험장치(100) 뿐만 아니라 실험장치(100)가 구비된 실험실의 별도 구동체와도 연결되어 별도 구동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에는 시약정보, 별도 구동체의 기설정값, 별도 구동체의 동작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310)은 스마트패드, 태블릿, 스마트폰 등 공지된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310)은 하나의 실험장치(100)를 기준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연결될 수 있다. 휴대단말(310)은 동시성 이벤트에 대해 우선 순위설정 및 순차적인 명령 실행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단말(310)에는 실험자 또는 관리자가 제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중계서버(200)는 실험장치(100) 및 휴대단말(310)과 인터넷 통신 방법(wifi, 3G, LTE, 5G 등)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중계서버(200)에는 양방향 통신에 따른 환경정보와 제어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제어보드(control board)의 데이터를 검증하여 송수신한 정보들을 분배할 수 있다.
중계서버(200)는 제어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스템 부하 체크와 같은 시스템의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실험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환경정보에서 화재감지센서(43)의 감지값이 실험공간(11)의 화재를 감지한 값이면, 중계서버(200)는 휴대단말(310)과 관리자단말(320)에 화재발생정보를 전송하여 실험자와 관리자가 화재발생에 대한 경고 메세지를 확인하고, 신속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단말(320)은 중계서버(200)와 연결되고, 휴대단말(3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서버(400)는 중계서버(200)와 인터넷 통신 방법(wifi, 3G, LTE, 5G 등)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서버(400)는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한편,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실험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중계서버(200)를 거쳐 실험장치(100)와 휴대단말(3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서버(400)는 해당 실험장치(100)에 대응하여 환경정보와 제어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다. 제어서버(400)는 실험장치(100)의 관리 상태 체크 기능, 정보처리 기능, 정보조회 기능, 정보통계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310)과 제어서버(400)는 각각 최신의 환경정보와 최신의 제어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실험장치(100)를 기준으로 하는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휴대단말(310)에 저장된 환경정보와 제어서버(400)에 저장된 환경정보가 중복되는 경우, 휴대단말(310)과 제어서버(400)는 각각 최신의 환경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실험장치(100)를 기준으로 하는 제어정보에 대응하여 휴대단말(310)에서 생성된 제어정보와 제어서버(400)에서 생성된 제어정보가 중복되는 경우, 휴대단말(310)과 제어서버(400)는 각각 최신의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최신의 제어정보롤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서버(400)는 하나의 실험장치(100)를 기준으로 최신의 환경정보와 최신의 제어정보를 수집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써, 타 시스템과 안정된 연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지만, 상호 다른 두 원격제어시스템 간에는 인가된 접근을 통해서 상호 연계를 가능한 중계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일예로, 흄후드 형태의 실험장치(100)인 경우, 공조나 관제와의 연계가 가능하다.
공조와의 연계인 경우, 인버터(35)를 이용한 단독 모델이 아닌 공조시스템 하에서 제품을 운영할 경우 댐퍼(33)만으로 시스템 효율을 높게 유지하기 어려운 부분을 중계 기능을 통해서 상호 연동으로 효율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습니다. 다른 표현으로, 공조와의 연계의 경우, 실험장치(100) 내에서 필요 이상의 배기를 제한한다거나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관제와의 연계인 경우, 실험장치(100) 또는 실험장치(100)가 설치된 실험실의 사용 유무 등에 대한 전파 및 제한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에 따르면, 실험장치(100)의 작동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 조건에 대응하여 실험장치(100)의 각 부품에 대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실험장치(100)의 이상 상황 발생 시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실험장치가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서버 구축을 통해 실험장치별, 하나 이상의 실험장치(100)가 배치된 연구실별, 하나 이상의 연구실이 마련된 연구소별로 그룹화되어 그룹 단위로 환경정보와 제어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험장치(100)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310)과 직접 통신하거나 중계서버(2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310)과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고, 인터넷 통신이 불가능한 실험장치(100) 또는 실험장치(100)가 설치된 실험실에서도 원격제어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310)을 이용하여 실험장치(100)의 원격제어를 간편하게 하고, 실험장치(100)의 운용이 용이해지며, 실험 효과를 높이면서 실험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어(12)의 개폐범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실험장치(100)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도어(12)의 이상 개폐 동작시 실험자 또는 관리자에게 즉각 알림이 가능하므로 실험장치(100)의 문제 해결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험장치(100)의 개폐량에 대응하여 실험공간(11)의 배기를 원활하게 하고, 실험장치(100)의 이상 개폐 동작에 대하여 원격으로 즉각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배기유닛(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실험공간(11)의 공기배기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소화유닛의 동작을 통해 실험 중 화학물질들의 반응 또는 실험자의 실수에 의해 발생되는 화재를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한편, 실험공간(11)의 화재를 안정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20)의 오동작 또는 도어(12)의 자유낙하에 대응하여 챔버유닛(10)에서 도어(12)를 긴급 정지시킬 수 있고, 도어(12)의 추락에 의한 실험자의 안전사고 및 도어(12)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실험공간(11)에서 개구부를 통해 유해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챔버유닛 11: 실험공간 12: 도어
121: 도어프레임 13: 지지기둥 20: 구동유닛
21: 구동모터 22: 벨트 23: 구동축
24: 와이어 30: 배기유닛 31: 배기덕트
32: 배기구 33: 댐퍼 35: 액츄에이터
36: 인버터 41: 위치센서 42: 풍속센서
43: 화재감지센서 44: 근접센서 45: 물체감지센서
46: 온습도센서 50: 제어유닛 51: 제어박스
52: 컨트롤패널 61: 소화부 70: 추락방지유닛
71: 압축부재 711: 승강돌기 72: 리미트스위치
73: 몸체부재 731: 장공 74: 와이어연결부
75: 스토퍼 76: 걸림돌기 77: 탄성부재
100: 실험장치 200: 중계서버 310: 휴대단말
320: 관리자단말 400: 제어서버

Claims (9)

  1. 실험이 이루어지는 실험공간과, 상기 실험공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는 챔버유닛;
    상기 지지기둥에서 상기 도어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실험공간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유닛;
    상기 도어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실험공간의 개구부에서의 유입풍속 또는 상기 배기유닛에서의 배기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를 포함하는 제어센싱유닛; 및
    상기 제어센싱유닛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상기 실험공간의 개구부의 개구면적에 따라 상기 배기유닛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의 공기배기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실험공간의 개구부의 개구면적과 상기 실험공간의 송풍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가하도록 상기 배기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배기유닛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의 공기배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실험공간의 개구부의 개구면적과 상기 실험공간의 송풍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감소하도록 상기 배기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배기유닛에서 배기되는 실험공간의 공기배기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실험공간의 공기가 수용되되, 상기 실험공간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구비된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의 개도 조절을 위해 상기 배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댐퍼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된 상기 실험공간의 공기배기량에 대응하여 상기 댐퍼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가 포함된 개도조절유닛; 및
    상기 배기구의 송풍량을 조절을 위해 상기 배기구의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의 출력을 조절하는 인버터가 포함된 유량조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공간의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센싱유닛은, 상기 실험공간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상기 실험공간의 화재를 감지하면, 이상상황에 대처하도록 알람을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결합된 와이어의 끊어짐에 따른 상기 도어의 자유낙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를 정지시키는 추락방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유닛은,
    상기 도어의 양측에 결합되는 압축부재;
    상기 구동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압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압축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기둥에 걸림 지지되는 스토퍼; 및
    상기 몸체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압축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재가 상기 도어의 자중에 의해 상기 몸체부재에 지탱되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스토퍼의 걸림 지지가 해제되고,
    상기 압축부재가 상기 몸체부재에 지탱되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몸체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압축부재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지지기둥에 걸림 지지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장치.
  7. 유닛들의 작동에 필요한 환경조건을 바탕으로 상기 유닛들의 작동에 따른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경조건과 상기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닛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실험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이고,
    상기 실험장치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휴대단말; 및
    상기 실험장치와 인터넷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계서버와, 상기 중계서버와 인터넷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서버가 포함된 서버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제어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한편, 상기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실험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실험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중계서버와 인터넷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제어서버는, 각각,
    하나의 실험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단말에 저장된 환경정보와 상기 제어서버에 저장된 환경정보가 중복되는 경우, 최신의 환경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하나의 실험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제어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된 제어정보와 상기 제어서버에서 생성된 제어정보가 중복되는 경우, 최신의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최신의 제어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하나의 실험장치를 기준으로 최신의 환경정보와 최신의 제어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KR1020190084437A 2019-02-13 2019-07-12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 KR10214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9049 WO2020166771A1 (ko) 2019-02-13 2019-07-23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6878 2019-02-13
KR1020190016878 2019-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061A true KR20200099061A (ko) 2020-08-21
KR102147135B1 KR102147135B1 (ko) 2020-08-24

Family

ID=7223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437A KR102147135B1 (ko) 2019-02-13 2019-07-12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1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941B1 (ko) * 2020-11-18 2021-12-22 주식회사 제이오텍 듀얼 컨트롤러가 구비된 실험용 작업대
IT202100007391A1 (it) * 2021-03-25 2022-09-25 Elmont S R L Cappa di sicurezza biologica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575A (ja) * 1997-05-20 1998-12-04 Itoki Crebio Corp ドラフトチャンバー
US20120261848A1 (en) * 2009-12-23 2012-10-18 Haraszati Gyoergy Method to create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nd the dental prosthesis making thereof
KR20160069657A (ko) * 2014-12-09 2016-06-17 (주)한국기계 자동소화챔버후드
KR20160125123A (ko)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지능형 실험실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실 관리 방법
KR101778132B1 (ko) * 2017-03-30 2017-09-13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사물인터넷(IoT)이 결합된 생물안전작업대
KR101939624B1 (ko) * 2018-05-18 2019-04-11 (주)유나 실험용 흄후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575A (ja) * 1997-05-20 1998-12-04 Itoki Crebio Corp ドラフトチャンバー
US20120261848A1 (en) * 2009-12-23 2012-10-18 Haraszati Gyoergy Method to create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nd the dental prosthesis making thereof
KR20160069657A (ko) * 2014-12-09 2016-06-17 (주)한국기계 자동소화챔버후드
KR20160125123A (ko)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지능형 실험실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험실 관리 방법
KR101778132B1 (ko) * 2017-03-30 2017-09-13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사물인터넷(IoT)이 결합된 생물안전작업대
KR101939624B1 (ko) * 2018-05-18 2019-04-11 (주)유나 실험용 흄후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941B1 (ko) * 2020-11-18 2021-12-22 주식회사 제이오텍 듀얼 컨트롤러가 구비된 실험용 작업대
WO2022107906A1 (ko) * 2020-11-18 2022-05-27 주식회사 제이오텍 듀얼 컨트롤러가 구비된 실험용 작업대
IT202100007391A1 (it) * 2021-03-25 2022-09-25 Elmont S R L Cappa di sicurezza biolog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135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135B1 (ko)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
JP3142812B2 (ja) 中央制御装置を有する回路キャビネット
US8077026B2 (en) Technician communications for automated building protection systems
US7845742B2 (en) Mobile storage unit with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US11176808B2 (en) Interface actuator device and method of use
CA2859348C (en) Barrier operator strain detection
JPH112442A (ja) 物体検出を用いた実験室ガスフード制御装置
EP1845500A2 (en) Communications for automated building protection systems
CN110147063A (zh) 机房监控系统
EP1845498A2 (en) Communications or reporting for automated protection systems
WO2020166771A1 (ko) 실험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과 실험장치
KR100800333B1 (ko) 자동제어를 이용한 국소청정의 환경제어시스템
KR20180112812A (ko) 모듈식 멀티 센서 화재 및/또는 스파크 감지기
KR20200099296A (ko) 풍속감지 기능을 갖는 배기기
JP6200223B2 (ja) ヒュームフード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CN207624128U (zh) 一种车载专用的小型化智能消防报警控制系统
KR20200099321A (ko)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배기기
US10629041B2 (en) Biometric feedback for intrusion system control
CN214665914U (zh) 一种用于网带式烘干机的触摸屏控制系统
KR20230126101A (ko) 빅도어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TWI770617B (zh) 消防安全通訊警示系統
KR102672519B1 (ko) 공기 질 센서 기반의 화재 감지 및 대응 기능을 포함하는 소형 소화 장치
KR20200099283A (ko) 실험장치의 전면 도어 스톱퍼 장치
KR20100098541A (ko) 무선센서를 활용한 방법 방재 장치와 그 활용
US20240212483A1 (en) Remote monitor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