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010A -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010A
KR20200099010A KR1020190016855A KR20190016855A KR20200099010A KR 20200099010 A KR20200099010 A KR 20200099010A KR 1020190016855 A KR1020190016855 A KR 1020190016855A KR 20190016855 A KR20190016855 A KR 20190016855A KR 20200099010 A KR20200099010 A KR 20200099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terminal
information
accompaniment
song accompan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욱
Original Assignee
함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영욱 filed Critical 함영욱
Priority to KR102019001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010A/ko
Publication of KR2020009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010A/ko
Priority to KR1020200108760A priority patent/KR102330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05Musical accompaniment, i.e. complete instrumental rhythm synthesis added to a performed melody, e.g. as output by drum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노래방 기기에 무선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노래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람이 많거나 원거리에서도 자유자재로 노래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상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Singing room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래방 기기에 무선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노래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래 반주기는 노래방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선곡한 곡을 재생하고 이에 따라 배경 영상이나 가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상기 배경 영상이나 가사 이미지는 노래 반주기에 일반적으로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선곡한 곡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되어 재생된다.
이러한 노래 반주기는 적외선을 이용한 리모컨을 통해 제어되고 있어, 사람이 많이 모인 장소나 원거리에서 해당 노래 반주기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9436호 [제목: 노래방기기의 노래 검색 방법 및 노래 검색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래방 기기에 무선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노래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래방 기기에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과 배경 영상을 근거로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가 매핑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배경 영상을 표시하는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은 통신 연결된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조사 정보를 근거로 노래 앱을 실행한 후, 상기 제조사 정보와 관련한 노래 반주기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및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전송하는 단말; 및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 연결하고, 통신 연결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상기 노래 반주기와 관련한 제조사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및 예약 정보를 근거로 선곡 정보 내의 곡번호에 대해 예약 기능을 수행하고, 예약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선곡한 곡번호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곡번호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가 매핑된 배경 영상을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상기 노래 반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노래 반주기는, 인접한 다른 노래 반주기 및 다른 단말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지향성을 이용해서 특정 방향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사용자의 노래 선곡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제조사 정보와 관련한 노래방 전자책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노래방 전자책 정보는, 매장에 구비된 곡번호, 노래명 및 가수명이 인쇄된 인쇄물에 대응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선곡 정보는, 상기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가수명, 노래명 및 초성 중 어느 하나의 검색 방식을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곡번호, 하나 이상의 배경 영상 정보 및 하나 이상의 곡번호에 대응하는 노래의 MR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가수명, 노래명 및 초성 중 어느 하나의 검색 방식을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곡번호에 대해 우선 예약 기능을 위한 우선 예약 정보, 순서에 따른 예약 기능을 위한 일반 예약 정보 및 기예약된 곡번호에 대한 예약 취소를 위한 예약 취소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노래 반주기는, 상기 노래 반주기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MR 파일 또는 AR 파일을 수신할 때, 상기 노래 반주기와 상기 단말 간의 연동에 의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상기 MR 파일 또는 AR 파일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MR 파일 또는 AR 파일을 임시 저장한 후, 상기 MR 파일 또는 AR 파일을 수신 완료 후 상기 임시 저장된 MR 파일 또는 AR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노래 반주기는, 상기 노래 반주기에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 중이거나 또는 대기 중인 상태에서, 상기 노래 반주기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출력 중인 노래와 관련한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노래 반주기에 의해,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노래 반주기에 의해, 통신 연결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상기 노래 반주기와 관련한 제조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조사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에 미리 설치된 노래 앱을 실행한 후, 상기 제조사 정보와 관련한 노래 반주기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노래 반주기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및 예약 정보를 근거로 선곡 정보 내의 곡번호에 대해 예약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 반주기에 의해, 예약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선곡한 곡번호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곡번호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가 매핑된 배경 영상을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얼굴 인식 기능 또는 생체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과정; 상기 노래 앱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별 애창곡 리스트 중에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한 애창곡 리스트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애창곡 리스트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노래 반주기에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 중이거나 또는 대기 중인 상태에서, 상기 노래 반주기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노래 반주기에 의해,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출력 중인 노래와 관련한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래방 기기에 무선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노래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람이 많거나 원거리에서도 자유자재로 노래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상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래방 기기에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과 배경 영상을 근거로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가 매핑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배경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노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래방 시스템(10)은 노래 반주기(100) 및 하나 이상의 단말(2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노래방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노래방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노래방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노래 반주기(또는 노래 반주 장치/노래방 기기)(100)는 선곡된 곡번호와 관련한 가사 이미지가 매핑된 배경 영상과 함께, 곡번호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사용자 음성에 따른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로, 노래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그 노래의 반주 음악이 흘러나오도록 하는 장치(또는 기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래 반주기(100)는 본체(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마이크(140), 표시부(150), 스피커(160) 및 제어부(17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노래 반주기(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노래 반주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노래 반주기(100)가 구현될 구성된 수도 있다.
상기 본체(110)는 나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하부 일측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미도시)가 형성(또는 구성)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상기 단말(200), 서버(미도시), 결제 서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단말(200), 상기 서버, 상기 결제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인접한 다른 노래 반주기(100)나 해당 노래 반주기(100)와 관련없는 다른 단말과의 통신 연결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향성을 이용해서 특정 방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200)과 통신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해당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노래 반주기(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노래 반주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노래 반주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노래 반주기(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고, 노래 반주기(100)에 설치되어, 제어부(170)에 의하여 상기 노래 반주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래 반주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마이크(14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사용자의 음성(음성 신호 또는 음성 정보) 포함)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또한,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또는 모니터/노래 영상 출력부/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표시한다.
상기 스피커(또는 음성 출력부)(16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160)는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140)에는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160)는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16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효과)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controller, 또는 MCU(microcontroller unit)(17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노래 반주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래 반주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13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해당 노래 반주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또는 일정 반경 이내)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단말(200)과 통신한다. 이때, 상기 노래 반주기(1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200) 간에 통신 연결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해당 노래 반주기(100)와 관련한 제조사 정보를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200)에 각각 전송(또는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조사 정보는 상기 노래 반주기(100)를 통해 노래방 기능을 제공하는 회사 정보(예를 들어 태진, 금영 등 포함)일 수 있다.
또한, 매장(또는 노래방) 내의 복수의 룸에 복수의 노래 반주기(100)가 각각 설치된(또는 배치된/구비된) 상태인 경우, 복수의 노래 반주기(100)와 복수의 단말(200)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특정 룸 내에 설치된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지향성을 이용해서 특정 방향(예를 들어 해당 노래 반주기(100)의 전면 방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200)과 통신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노래 반주기(100)에 연결된 단말(200)의 식별 정보 일부(예를 들어 해당 단말(200)의 전화번호 중 끝 4자리)를 상기 표시부(150)의 일측에 표시하여, 해당 노래 반주기(10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2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또는 해당 노래 반주기(100)에 연결된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해당 노래 반주기(100)와 해당 단말(200) 간의 통신 연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또는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통신 연결된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선곡 정보는 해당 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터치/선택/제어)에 따른 가수명, 노래명, 초성 등의 검색 방식을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곡번호, 하나 이상의 배경 영상 정보, 하나 이상의 곡번호에 대응하는 노래의 MR(Music Recorded) 콘텐츠(또는 AR(Audio Recorded)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경 영상 정보는 해당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R 콘텐츠(또는 AR 콘텐츠)는 해당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또는 복수의 파일) 중에서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선택된 곡번호에 대해 우선 예약 기능을 위한 우선 예약 정보, 순서에 따른 예약 기능을 위한 일반 예약 정보, 기예약된 곡번호에 대한 예약 취소를 위한 예약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근거로 선곡 정보 내의 곡번호에 대해 예약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서 복수의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선곡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순서대로 또는, 상기 수신된 예약 정보를 근거로 해당 선곡 정보에 포함된 곡번호에 대한 예약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예약 순서에 따라 해당 단말(200)에서 선곡한 곡번호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상기 마이크(14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사전에 예약된 노래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에 따라 해당 선곡 정보에 포함된 곡번호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상기 마이크(14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160)를 통해 바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곡번호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또는 가사 정보)가 매핑된 배경 영상(또는 해당 곡번호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 및 배경 영상이 합성된 비디오 신호)을 상기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서 해당 곡번호와 관련한 배경 영상을 상기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수신된 배경 영상에 상기 가사 이미지를 매핑하여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MR 파일(또는 AR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단말(200)과의 연동에 의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해당 MR 파일(또는 AR 파일)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MR 파일(또는 AR 파일)을 임시 저장한 후, 해당 MR 파일(또는 AR 파일)을 수신 완료 후 상기 임시 저장된 MR 파일(또는 AR 파일)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서 상기 단말(200)에서 선곡한 노래에 대해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 중인 상태 또는 상기 노래 반주기(100)가 대기 중인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출력 중인 노래와 관련한 오디오 신호 또는 해당 노래 반주기(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예를 들어 마이크 등 포함)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시작, 취소, 간주 점프, 마디 점프, 곡 설정 정보(예를 들어 음성 증감, 템포 증감, 멜로디 증감, 뮤직 증감(멜로디와 별개로 노래 소리 자체를 늘이거나 줄임-노래 부르는 소리 증감), 마이크 증감(마이크의 음량 조절), 에코 유무, 남녀 음정 설정 등 포함), 통신 연결 종료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200)은 연결된 노래 반주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200)은 단말 통신부(210), 단말 저장부(220), 단말 표시부(230), 단말 음성 출력부(240) 및 단말 제어부(25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단말(2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 통신부(210)는 상기 노래 반주기(100)를 구성하는 상기 통신부(120), 상기 단말 저장부(220)는 상기 저장부(130), 상기 단말 표시부(230)는 상기 표시부(150), 상기 단말 음성 출력부(240)는 상기 스피커(160),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상기 제어부(170)에 각각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상기 단말(200)이 위치한 지점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또는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한 상기 노래 반주기(100)와 상기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단말(200)과 상기 노래 반주기(100) 간의 통신 연결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연결된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해당 단말(200)과 관련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상기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과 상기 노래 반주기(100)가 연결된 후,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상기 노래 반주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노래 반주기(100)와 관련한 제조사 정보를 상기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상기 수신된 제조사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200)에 미리 설치된 노래 앱(또는 노래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200)과 상기 노래 반주기(100)가 연결된 직후,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자동으로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상기 단말(200)에 미리 설치된 노래 앱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상기 수신된 제조사 정보와 관련한 해당 노래 반주기(100)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상기 단말 표시부(230)에 표시한다.
즉, 제조사별로 노래 반주기(100)와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르므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해당 노래 반주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제조사 정보를 근거로 해당 제조사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 표시부(2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노래 선곡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제조사 정보와 관련한 노래방 전자책 정보를 상기 단말 표시부(23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노래방 전자책 정보는 매장에 구비된 곡번호, 노래명, 가수명 등이 인쇄된 인쇄물에 대응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터치/제어)에 따른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선곡 정보는 해당 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터치/선택/제어)에 따른 가수명, 노래명, 초성 등의 검색 방식을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곡번호, 하나 이상의 배경 영상 정보, 하나 이상의 곡번호에 대응하는 노래의 MR 콘텐츠(또는 AR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경 영상 정보는 상기 단말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R 콘텐츠(또는 AR 콘텐츠)는 상기 단말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또는 복수의 파일) 중에서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선택된 곡번호에 대해 우선 예약 기능을 위한 우선 예약 정보, 순서에 따른 예약 기능을 위한 일반 예약 정보, 기예약된 곡번호에 대한 예약 취소를 위한 예약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상기 선곡 정보, 상기 예약 정보,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얼굴 인식 기능, 생체 인식 기능 등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해서 해당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또는 등록된) 애창곡 리스트(또는 애창곡 정보),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얼굴 인식 기능, 생체 인식 기능 등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해당 노래 앱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별 애창곡 리스트 중에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해서 해당 노래 앱에 미리 등록한 애창곡 리스트(또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한 애창곡 리스트)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상기 선곡 정보를 전송하는 대신에, 상기 확인된 애창곡 리스트,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애창곡 리스트, 상기 예약 정보,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얼굴 인식 기능, 생체 인식 기능 등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해서 해당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또는 등록된) 애창곡 리스트(또는 애창곡 정보)를 상기 단말 표시부(23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상기 단말 표시부(230)에서 표시 중인 애창곡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에 따라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곡 번호를 포함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서 상기 단말(200)에서 선곡한 노래에 대해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 중인 상태 또는 상기 노래 반주기(100)가 대기 중인 상태에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제어/터치)에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해당 노래 반주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시작, 취소, 간주 점프, 마디 점프, 곡 설정 정보(예를 들어 음성 증감, 템포 증감, 멜로디 증감, 뮤직 증감(멜로디와 별개로 노래 소리 자체를 늘이거나 줄임-노래 부르는 소리 증감), 마이크 증감(마이크의 음량 조절), 에코 유무, 남녀 음정 설정 등 포함), 통신 연결 종료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노래 반주기(100)와 상기 단말(200)이 연결된 후,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상기 노래 반주기(100) 및 결제 서버(미도시)와의 연동에 의해, 해당 단말(200)에서 제공하는 소액 결제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노래 반주기(100)의 사용에 따른 이용 요금(예를 들어 시간별 요금, 곡당 요금 등 포함)에 대한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250)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연결 중인 상기 노래 반주기(100)의 통신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래방 기기에 무선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노래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노래방 기기에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과 배경 영상을 근거로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가 매핑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배경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노래 반주기(100)는 해당 노래 반주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또는 일정 반경 이내)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단말(200)과 통신한다. 이때, 상기 노래 반주기(1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200) 간에 통신 연결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해당 노래 반주기(100)와 관련한 제조사 정보를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200)에 각각 전송(또는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조사 정보는 상기 노래 반주기(100)를 통해 노래방 기능을 제공하는 회사 정보(예를 들어 태진, 금영 등 포함)일 수 있다.
또한, 매장(또는 노래방) 내의 복수의 룸에 복수의 노래 반주기(100)가 각각 설치된(또는 배치된/구비된) 상태인 경우, 복수의 노래 반주기(100)와 복수의 단말(200)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특정 룸 내에 설치된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지향성을 이용해서 특정 방향(예를 들어 해당 노래 반주기(100)의 전면 방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200)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해당 노래 반주기(100)에 연결된 단말(200)의 식별 정보 일부(예를 들어 해당 단말(200)의 전화번호 중 끝 4자리)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ABC 노래방 내의 제 1 호실에 설치된 제 1 노래 반주기(100)는 해당 제 1 노래 반주기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예를 들어 10미터) 이내에 위치한 제 1 단말(200) 및 제 2 단말(200)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는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과 통신 연결된 이후,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에서 제공하는 제 1 제조사 정보(예를 들어 태진 노래방 기기를 제공하는 태진 미디어)를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는 해당 제 1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에 연결된 제 1 단말의 전화번호 끝 4자리(예를 들어 1234)와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에 연결된 제 2 단말의 전화번호 끝 4자리(예를 들어 7890)를 각각 표시한다(S410).
이후, 상기 단말(200)은 상기 노래 반주기(100)와 연결된 후, 상기 노래 반주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노래 반주기(100)와 관련한 제조사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제조사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200)에 미리 설치된 노래 앱(또는 노래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기 수신된 제조사 정보와 관련한 해당 노래 반주기(100)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앱 실행 결과 화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단말(200)은 사용자의 노래 선곡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제조사 정보와 관련한 노래방 전자책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노래방 전자책 정보는 매장에 구비된 곡번호, 노래명, 가수명 등이 인쇄된 인쇄물에 대응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된 후,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제조사 정보(예를 들어 태진 노래방 기기를 제공하는 태진 미디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1 제조사 정보를 근거로 해당 제 1 단말에 미리 설치된 노래 앱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제 1 노래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해당 제 1 제조사와 관련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와 근거리 통신 연결된 후,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제조사 정보(예를 들어 태진 노래방 기기를 제공하는 태진 미디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1 제조사 정보를 근거로 해당 제 2 단말에 미리 설치된 노래 앱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제 2 노래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해당 제 1 제조사와 관련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한다(S420).
이후, 상기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터치/제어)에 따른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선곡 정보는 해당 단말(200)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터치/선택/제어)에 따른 가수명, 노래명, 초성 등의 검색 방식을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곡번호, 하나 이상의 배경 영상 정보, 하나 이상의 곡번호에 대응하는 노래의 MR 콘텐츠(또는 AR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경 영상 정보는 해당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영상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R 콘텐츠(또는 AR 콘텐츠)는 해당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또는 복수의 파일) 중에서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선택된 곡번호에 대해 우선 예약 기능을 위한 우선 예약 정보, 순서에 따른 예약 기능을 위한 일반 예약 정보, 기예약된 곡번호에 대한 예약 취소를 위한 예약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선곡 정보, 상기 예약 정보,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얼굴 인식 기능, 생체 인식 기능 등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해서 해당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또는 등록된) 애창곡 리스트(또는 애창곡 정보),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단말(200)은 얼굴 인식 기능, 생체 인식 기능 등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고, 해당 노래 앱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별 애창곡 리스트 중에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해서 해당 노래 앱에 미리 등록한 애창곡 리스트(또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한 애창곡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애창곡 리스트,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애창곡 리스트, 상기 예약 정보,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얼굴 인식 기능, 생체 인식 기능 등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해서 해당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또는 등록된) 애창곡 리스트(또는 애창곡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 중인 애창곡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에 따라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곡 번호를 포함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상기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 1 선곡 정보(예를 들어 가수 홍진영의 '사랑의 배터리'에 대응하는 제 1 곡번호인 31308, 해당 노래에 대응하여 제 1 단말에 미리 저장된 제 1 MR 파일(또는 제 1 MR 콘텐츠) 등 포함), 제 1 예약 정보(예를 들어 바로 예약)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선곡 정보(예를 들어 제 1 곡번호인 31308, 제 1 MR 파일(또는 제 1 MR 콘텐츠) 등 포함), 제 1 예약 정보(예를 들어 바로 예약),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에 전송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 2 단말은 얼굴 인식 기능을 통해 인식된 홍길동과 관련해서 해당 제 2 단말에 미리 저장된 홍길동 애창곡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제 2 선곡 정보(예를 들어 가수 홍진영의 '따르릉'에 대응하는 제 2 곡번호인 49511와, 가수 홍진영의 '엄지척'에 대응하는 제 3 곡번호인 46235, 해당 제 2 단말에 미리 저장된 제 2 배경 영상 콘텐츠 등 포함), 제 2 예약 정보(예를 들어 제 2 곡번호 및 제 3 곡번호에 대해 일반 예약)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선곡 정보(예를 들어 제 2 곡번호인 49511, 제 3 곡번호인 46235 등 포함), 제 2 예약 정보(예를 들어 제 2 곡번호 및 제 3 곡번호에 대해 일반 예약),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에 전송한다(S430).
이후,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상기 수신된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근거로 선곡 정보 내의 곡번호에 대해 예약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서 복수의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상기 선곡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순서대로 또는, 상기 수신된 예약 정보를 근거로 해당 선곡 정보에 포함된 곡번호에 대한 예약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선곡 정보(예를 들어 제 1 곡번호인 31308, 제 1 MR 파일(또는 제 1 MR 콘텐츠) 등 포함), 제 1 예약 정보(예를 들어 바로 예약),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선곡 정보(예를 들어 제 2 곡번호인 49511, 제 3 곡번호인 46235, 제 2 배경 영상 콘텐츠 등 포함), 제 2 예약 정보(예를 들어 일반 예약), 제 2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는 상기 수신된 제 1 선곡 정보와 제 1 예약 정보, 상기 제 2 선곡 정보와 제 2 예약 정보를 근거로 제 1 곡번호인 31308(예를 들어 홍진영의 사랑의 배터리), 제 2 곡번호인 49511(예를 들어 홍진영의 따르릉), 제 3 곡번호인 46235(예를 들어 홍진영의 엄지척) 순으로 곡을 예약한다(S440).
이후,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예약 순서에 따라 해당 단말(200)에서 선곡한 곡번호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포함된 마이크(14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포함된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사전에 예약된 노래가 없는 경우,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에 따라 해당 선곡 정보에 포함된 곡번호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상기 마이크(14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160)를 통해 바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해당 곡번호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또는 가사 정보)가 매핑된 배경 영상(또는 해당 곡번호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 및 배경 영상이 합성된 비디오 신호)을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 포함된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서 해당 곡번호와 관련한 배경 영상을 상기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상기 수신된 배경 영상에 상기 가사 이미지를 매핑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서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MR 파일(또는 AR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상기 단말(200)과의 연동에 의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해당 MR 파일(또는 AR 파일)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MR 파일(또는 AR 파일)을 임시 저장한 후, 해당 MR 파일(또는 AR 파일)을 수신 완료 후 상기 임시 저장된 MR 파일(또는 AR 파일)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는 예약 순서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에서 선곡한 제 1 곡번호인 31308(예를 들어 홍진영의 사랑의 배터리)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1 곡번호인 31308에 대응하는 제 1 가사 이미지가 매핑된 제 1 배경 영상을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 1 곡번호인 31308(예를 들어 홍진영의 사랑의 배터리)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제 1 MR 파일(또는 제 1 MR 콘텐츠)일 수 있다(S450).
이후, 상기 노래 반주기(100)에서 상기 단말(200)에서 선곡한 노래에 대해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 중인 상태 또는 상기 노래 반주기(100)가 대기 중인 상태에서, 상기 노래 반주기(100)가 상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노래 반주기(100)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출력 중인 노래와 관련한 오디오 신호 또는 해당 노래 반주기(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예를 들어 마이크 등 포함)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시작, 취소, 간주 점프, 마디 점프, 곡 설정 정보(예를 들어 음성 증감, 템포 증감, 멜로디 증감, 뮤직 증감(멜로디와 별개로 노래 소리 자체를 늘이거나 줄임-노래 부르는 소리 증감), 마이크 증감(마이크의 음량 조절), 에코 유무, 남녀 음정 설정 등 포함), 통신 연결 종료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를 통해 상기 제 1 곡번호인 31308(예를 들어 홍진영의 사랑의 배터리)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가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템포를 한 단계 빠르게 하기 위한 템포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는 상기 수신된 제 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출력 중인 제 1 곡번호인 31308(예를 들어 홍진영의 사랑의 배터리)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에 대한 템포를 미리 설정된 한 단계만큼 빠르게 하여, 한 단계 빠르게 변환된 음악 신호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 1 곡번호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 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이 완료되어 점수가 표시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가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다음 예약곡에 대한 바로 시작을 위한 시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는 상기 수신된 제 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점수 표시를 중단하고, 다음 예약곡인 제 2 곡번호인 49511(예를 들어 홍진영의 따르릉)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2 곡번호인 49511에 대응하는 제 2 가사 이미지가 매핑된 제 2 배경 영상을 상기 제 1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 2 배경 영상은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2 배경 영상 콘텐츠일 수 있다(S46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노래방 기기에 무선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노래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람이 많거나 원거리에서도 자유자재로 노래방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상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노래방 기기에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등과 배경 영상을 근거로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가 매핑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배경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노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노래방 시스템 100: 노래 반주기
200: 하나 이상의 단말 110: 본체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마이크 150: 표시부
160: 스피커 170: 제어부
210: 단말 통신부 220: 단말 저장부
230: 단말 표시부 240: 단말 음성 출력부
250: 단말 제어부

Claims (10)

  1. 통신 연결된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조사 정보를 근거로 노래 앱을 실행한 후, 상기 제조사 정보와 관련한 노래 반주기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및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전송하는 단말; 및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 연결하고, 통신 연결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상기 노래 반주기와 관련한 제조사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및 예약 정보를 근거로 선곡 정보 내의 곡번호에 대해 예약 기능을 수행하고, 예약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선곡한 곡번호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곡번호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가 매핑된 배경 영상을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상기 노래 반주기를 포함하는 노래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기는,
    인접한 다른 노래 반주기 및 다른 단말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지향성을 이용해서 특정 방향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사용자의 노래 선곡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제조사 정보와 관련한 노래방 전자책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노래방 전자책 정보는,
    매장에 구비된 곡번호, 노래명 및 가수명이 인쇄된 인쇄물에 대응하는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곡 정보는,
    상기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가수명, 노래명 및 초성 중 어느 하나의 검색 방식을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곡번호, 하나 이상의 배경 영상 정보 및 하나 이상의 곡번호에 대응하는 노래의 MR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가수명, 노래명 및 초성 중 어느 하나의 검색 방식을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곡번호에 대해 우선 예약 기능을 위한 우선 예약 정보, 순서에 따른 예약 기능을 위한 일반 예약 정보 및 기예약된 곡번호에 대한 예약 취소를 위한 예약 취소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기는,
    상기 노래 반주기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MR 파일 또는 AR 파일을 수신할 때, 상기 노래 반주기와 상기 단말 간의 연동에 의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상기 MR 파일 또는 AR 파일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MR 파일 또는 AR 파일을 임시 저장한 후, 상기 MR 파일 또는 AR 파일을 수신 완료 후 상기 임시 저장된 MR 파일 또는 AR 파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기는,
    상기 노래 반주기에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 중이거나 또는 대기 중인 상태에서, 상기 노래 반주기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출력 중인 노래와 관련한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8. 노래 반주기에 의해,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노래 반주기에 의해, 통신 연결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상기 노래 반주기와 관련한 제조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조사 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에 미리 설치된 노래 앱을 실행한 후, 상기 제조사 정보와 관련한 노래 반주기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노래 반주기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선곡 정보 및 예약 정보를 근거로 선곡 정보 내의 곡번호에 대해 예약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 반주기에 의해, 예약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선곡한 곡번호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와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가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곡번호에 대응하는 가사 이미지가 매핑된 배경 영상을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래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선곡 정보, 예약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얼굴 인식 기능 또는 생체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과정;
    상기 노래 앱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별 애창곡 리스트 중에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와 관련한 애창곡 리스트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애창곡 리스트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노래 반주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기에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 중이거나 또는 대기 중인 상태에서, 상기 노래 반주기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노래 반주기에 의해,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출력 중인 노래와 관련한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노래 반주기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90016855A 2019-02-13 2019-02-13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99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855A KR20200099010A (ko) 2019-02-13 2019-02-13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200108760A KR102330576B1 (ko) 2019-02-13 2020-08-27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855A KR20200099010A (ko) 2019-02-13 2019-02-13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760A Division KR102330576B1 (ko) 2019-02-13 2020-08-27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010A true KR20200099010A (ko) 2020-08-21

Family

ID=7223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855A KR20200099010A (ko) 2019-02-13 2019-02-13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0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436A (ko) 2015-06-18 2016-12-28 오세현 노래방기기의 노래 검색 방법 및 노래 검색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436A (ko) 2015-06-18 2016-12-28 오세현 노래방기기의 노래 검색 방법 및 노래 검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041B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US202202532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terminal device
KR101972955B1 (ko) 음성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장치
US10939281B2 (en)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and terminal using the method
CN101882366B (zh) 主机设备、附件和遥控信号学习和处理方法
EP371963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4516709B (zh) 基于软件运行场景及语音助手的语音辅助方法及系统
US20180349298A1 (en) Information-sharing device, information-sharing method, information-sharing program and terminal device
CN110493729B (zh) 增强现实设备的交互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2330576B1 (ko)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33653A (ko)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4754421A (zh) 互动节拍特效系统及互动节拍特效处理方法
WO2017101260A1 (zh) 音频切换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KR20110067998A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211986B1 (ko)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외부 장치로의 연결 시스템 및 콘텐츠 재생 장치
TWM452421U (zh) 可語音控制之點歌系統
KR20200099010A (ko)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TWM497833U (zh) 多媒體播放系統
KR20140116638A (ko) 사용자 단말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095857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3365623A (zh) 产生声音效果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TW201702962A (zh) 導覽裝置與導覽方法
TWM509948U (zh) 導覽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