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998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998A
KR20200098998A KR1020190016837A KR20190016837A KR20200098998A KR 20200098998 A KR20200098998 A KR 20200098998A KR 1020190016837 A KR1020190016837 A KR 1020190016837A KR 20190016837 A KR20190016837 A KR 20190016837A KR 20200098998 A KR20200098998 A KR 20200098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x
terminal
base station
configur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혁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6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8998A/ko
Priority to EP20756588.8A priority patent/EP3923623A4/en
Priority to US17/430,992 priority patent/US12010755B2/en
Priority to PCT/KR2020/001819 priority patent/WO2020166905A1/ko
Publication of KR20200098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Cell (secondary cell) 설정 정보, DRX (discontinuous reception) 에 이용되는 타이머 설정 정보 및 채널 상태 측정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며, 측정된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증가로 인해 폭발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성능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기술 (Discontinous Reception, DRX)을 사용 시 채널상태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SCell (secondary cell) 설정 정보, DRX (discontinuous reception) 에 이용되는 타이머 설정 정보 및 채널 상태 측정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송수신하는 데이터 양 등에 따라 채널상태를 보고하는 방법을 동적으로 조절하여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단말의 반송파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d는 단말의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이하 DRX라 칭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채널보고설정을 받은 단말과기지국 간의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f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채널보고설정을 받은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e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DRX 설정을 받은 단말과 기지국 간의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f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DRX 설정을 받은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g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h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에서 단말이라 함은, 후술할 MCG와 SCG별로 각각 존재하는 단말 내의 MAC entity를 칭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현재 존재하는 통신표준 가운데 가장 최신의 표준인 3GPP LTE(1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는 3GPP NR (New Radio: 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고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지국들 (1a-05)(1a-10)(1a-15)(1a-20)과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1a-20) 및 S-GW (Serving-Gateway)(1a-30)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a-35)은 기지국(1a-05)(1a-10)(1a-15)(1a-20) 및 S-GW(1a-30)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기지국들(1a-05)(1a-10)(1a-15)(1a-20)은 셀룰러 망의 접속 노드로서 망에 접속하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지국(1a-05)(1a-10)(1a-15)(1a-20)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단말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스케쥴링을 수행함으로써 단말들과 코어 망(CN, Core network)간에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MME(1a-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되며, S-GW(1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MME(1a-25) 및 S-GW(1a-30)는 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bearer) 관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기지국(1a-05)(1a-10)(1a-15)(1a-20)으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기지국 (1a-05)(1a-10)(1a-15)(1a-20)으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1b-05)(1b-40), RLC(Radio Link Control)(1b-10)(1b-35), MAC (Medium Access Control)(1b-15)(1b-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1b-05)(1b-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 (1b-10)(1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할 수 있다.
MAC(1b-15)(1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MAC(1b-15)(1b-30)은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리 계층(1b-20)(1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이를 무선 채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물리 계층(1b-20)(1b-25)은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물리 계층(1b-20)(1b-25)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에 관한 정보는 HARQ ACK/NACK 정보라 설명될 수 있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PUCCH는 일반적으로 후술할 PCell의 상향링크에서 전송이 되지만, 기지국은 단말이 지원하는 경우, 해당 단말에게 후술할 SCell로부터 추가로 전송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PUCCH SCell이라 칭한다.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고 한다) 계층이 존재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은 RRC 계층을 통해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물리 계층(1b-20)(1b-25)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반송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은 반송파 집적 기술 (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칭함)이라 설명될 수 있다. CA 기술이란 단말 (또는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 (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에서는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PCell (Primary Cell)이라 하며, 부차반송파를 SCell (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도 1c는 단말의 반송파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이 송출되고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c-05)에서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1c-15)와 중심 주파수가 f3(1c-10)인 캐리어가 송출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두 개의 캐리어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1c-05)은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1c-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단말(1c-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로 하나의 기지국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하나의 순방향 캐리어와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캐리어 집적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최대 전송 속도는 집적되는 캐리어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된다.
이하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순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역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개시는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d는 단말의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이하 DRX라 칭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RX란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스케줄링 정보를 얻기 위해, 모든 물리 다운링크 제어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라 칭함)을 모니터링하는 대신, 기지국의 설정에 따른 설정정보를 기초로 일부의 PDCCH만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이다. 기본적인 DRX 동작은 DRX 주기 (1d-00)를 갖고, onDuration (1d-05) 시간 동안만 PDCCH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연결 모드에서 DRX 주기는 long DRX 와 short DRX의 두 가지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엔 long DRX 주기가 적용되며, 필요에 따라, 기지국은 추가로 short DRX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Long DRX 주기와 short DRX 주기가 모두 설정된 경우, 단말은 drxShortCycleTimer가 시작됨과 동시에, short DRX 주기를 반복하며, drxShortCycleTimer가 만료 후까지 신규 트래픽이 없는 경우, 단말은 short DRX 주기를 long DRX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on-duration (1d-05) 시간 동안, 새로운 패킷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가 PDCCH에 의해 수신되면 (1d-10), 단말은 InactivityTimer 를 시작(1d-15)할 수 있다. 단말은 InactivityTimer 동안 active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HARQ RTT timer 를 시작(1d-20)할 수 있다. HARQ RTT timer는 단말이 HARQ RTT (Round Trip Time) 시간 동안, 불필요하게 PDCCH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며, 상기 타이머 동작 시간 동안,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단, InactivityTimer와 HARQ RTT timer가 동시에 동작하는 동안에는 단말은 InactivityTimer를 기준으로 PDCCH 모니터링을 지속할 수 있다. HARQ RTT timer가 만료되면, DRX retransmission timer 가 시작(1d-25)된다. DRX retransmission timer가 동작하는 동안,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DRX retransmission timer의 동작 시간 동안, HARQ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1d-30).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은 바로 DRX retransmission timer를 중지시키고, 다시 HARQ RTT timer을 시작할 수 있다. 전술한 동작은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1d-35).
한편 MAC 계층에는 DRX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MAC 계층의 제어 메시지 (MAC Control Element: MAC CE)가 존재할 수 있다. 단말의 on-duration 또는 InactivityTimer가 동작하는 동안에 기지국이 더 이상 해당 단말에게 보낼 데이터가 없는 경우, 기지국은 (LCID 만을 포함하는) DRX Command MAC C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동작하고 있는 on-duration 타이머와 InactivityTimer를 모두 멈추고, short DRX 가 설정된 경우, short DRX 주기를 우선 사용하고, long DRX 만 설정된 경우, long DRX 주기를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지국은 단말에게 Long DRX Command MAC CE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를 수신한 단말은 on-duration 타이머와 InactivityTimer를 모두 멈추고, short DRX 가 설정된 경우, drx-ShortCycleTimer까지 멈추어, 바로 Long DRX cycle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inactivityTimer의 길이가 0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 경우에 inactivityTimer가 만료된 경우, short DRX가 설정이 되어 있었다면, 단말은 drx-ShortCycleTimer 를 시작 (또는 재시작)하고 Short DRX 주기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inactivityTimer의 길이가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새로운 패킷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가 PDCCH에 의해 수신되자마자 즉시 drx-ShortCycleTimer 를 시작 (혹은 재시작)하고 Short DRX 주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채널보고설정을 받은 단말과기지국 간의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e에서 단말 (1e-01)은 기지국 (1e-03)에 접속을 수행하여 기지국과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1e-11). 전술한 연결 설정 절차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랜덤엑세스를 수행하여, RRC 계층의 연결요청메시지 (RRCSetupRequest)를 전송하고, 연결메시지(RRCSetup)를 수신하며, 이에 대한 확인메시지 (RRCSetupComplete)를 전송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단말의 능력에 따라, 단말(1e-01)에게 각종 설정을 내려줄 수 있으며, 각종 설정에 관한 정보는 RRC 계층의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1e-13). 설정에는 SCell (1e-05)을 추가/수정/해지하고 해당 셀을 사용하기 위한 각종 설정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DRX를 설정하고 DRX에 사용되는 각종 타이머들 (retransmissionTimer, drxStartOffset, long DRX cycle, short DRX cycle, drx-ShortCycleTimer, inactivityTimer, onDurationTimer)의 길이 설정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PCell 및 SCell에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어떠한 하향링크 채널상황을 어떻게 측정하고 어떻게 보고하는지에 대한 측정 설정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측정 설정 관련 정보들의 집합 (예를 들어, 측정하는 대역폭, 보고하는 상향링크의 위치, 보고하는 주기 등)을 복수 개를 단말 (1e-01)에게 설정할 수 있으며, 복수 개 가운데 기본설정으로 사용할 설정을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아래와 같은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 채널상태정보 보고설정 1 (기본 설정): 데이터 송수신 없을 시 사용하는 설정
. PCell: PCell 대역 중 전대역(광대역)을 측정하여, 긴 주기로 보고;
. SCell: 보고하지 않음.
- 채널상태정보 보고설정 2: 활발한 데이터 송수신 시 사용하는 설정
. PCell: PCell 대역 중 특정 협대역을 측정하여, 짧은 주기로 보고;
. SCell: 두 가지 설정으로 보고:
. SCell set 1: SCell 대역 중 특정 협대역을 측정하여, 주기1로 보고;
. SCell set 2: SCell 대역 중 전대역(광대역)을 측정하여, 주기2로 보고;
- First active CSI reporting config ID: 본 RRC 설정 직후 사용할 보고설정 식별자 (예를 들어 본 예시에서는 '채널상태정보 설정 1'을 설정할 수 있음)
이에 따라, 단말(1e-01)이 RRC 설정값들을 수신하면, 단말(1e-01)은 RRC 계층의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하여, 해당 RRC 메시지를 제대로 수신하였음을 기지국에게 알릴 수 있다 (1e-15). 그리고, 수신한 설정 정보에 따라, 단말(1e-01)은 DRX 동작을 수행하며, First active CSI reporting config ID로 지시된 채널상태정보 보고설정에 따라 기지국으로 채널상태를 측정하여 보고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1e-21).
이후, 데이터 양이 증가하는 것을 감지하는 등의 이유로, 기지국은 단말에 CSI CONFIG CHANGE MAC CE를 전송할 수 있다 (1e-23). MAC CE는 MAC 계층의 제어 메시지이다. CSI CONFIG CHANGE MAC CE는 설정받은 복수개의 채널상태정보 보고설정 가운데 어떠한 보고설정을 사용할지를 지시하는 MAC CE이며, 해당 MAC CE에는 CSI CONFIG CHANGE MAC CE임을 알리는 논리채널식별자 (logical channel ID, LCID) 및 보고설정 식별자 (본 예시도면에서는 보고설정 2를 지시)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보다 상세하고 빠르게 채널상태보고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빨리 스케쥴링할 수 있도록, 보고설정 2로 전환하라는 지시를 단말에게 내린다. MAC CE를 수신한 단말은, 특정 시점에 지시된 보고설정으로 설정을 변경하고, 변경된 설정에 따라 채널상태정보를 보고할 서빙 셀들과 서빙 셀 별 보고할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다 (1e-25). 특정 시점이라 함은, 만약 DRX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MAC CE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HARQ ACK이 전송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전술한 시점은 MAC CE가 스케쥴링이 되는 PDCCH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DRX가 설정된 경우에는, 시점은 onDurationTimer 가 시작되는 시점일 수 있다. 이는 고정된 정해진 타이밍에서 보고설정을 변경하여 단말과 기지국 간의 혼선을 막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특정 시점에서부터 단말은 지시된 보고설정에 따라 채널상태를 보고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1e-31)
한편, 늘어난 데이터를 모두 스케쥴링하고 데이터가 없어진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원래 사용하던 기본 보고설정을 사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기본 보고설정을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CSI CONFIG CHANGE MAC CE를 전송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DRX를 단말에게 설정한 경우, 특정 DRX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 전술한 기본 보고설정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다. 특정 DRX 타이머의 예시로는 전술한 inactivityTimer 또는 drxShortCycleTime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타이머들이 송수신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만료되는 타이머들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시나리오에서 타이머들이 만료되면 (1e-33), 단말은 보고설정을 기본 보고설정 (즉, 상기 예시에서 보고설정 1)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설정에 따라 채널상태정보를 보고할 서빙 셀들과 서빙 셀 별 보고할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다 (1e-35). 또한, 타이머 만료 후 단말은 정해진 보고설정 (기본 보고설정 또는 First active CSI reporting config ID로 지시된 보고설정)에 따라 채널상태를 보고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1e-41).
도 1f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채널보고설정을 받은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f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을 수행하여 기지국으로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f-03). 연결 설정은 단말이 기지국으로 랜덤엑세스를 수행하여, RRC 계층의 연결요청메시지 (RRCSetupRequest)를 전송하고, 연결메시지(RRCSetup)를 수신하며, 이에 대한 확인메시지 (RRCSetupComplete)를 전송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각종 설정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RRC 계층의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될 수 있다 (1f-05). 설정에는 SCell을 추가/수정/해지하고 해당 셀을 사용하기 위한 각종 설정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DRX를 설정하고 DRX에 사용되는 각종 타이머들 (retransmissionTimer, drxStartOffset, long DRX cycle, short DRX cycle, drx-ShortCycleTimer, inactivityTimer, onDurationTimer)의 길이의 설정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PCell 및 SCell에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어떠한 하향링크 채널상황을 어떻게 측정하고 어떻게 보고하는지에 대한 측정 설정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복수개의 측정 설정 관련 정보들의 집합 (예를 들어, 측정하는 대역폭, 보고하는 상향링크의 위치, 보고하는 주기 등)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으며, 복수 개 가운데 기본설정으로 사용할 설정을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아래와 같은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 채널상태정보 보고설정 1 (기본 설정): 데이터 송수신 없을 시 사용하는 설정
. PCell: PCell 대역 중 전대역(광대역)을 측정하여, 긴 주기로 보고;
. SCell: 보고하지 않음.
- 채널상태정보 보고설정 2: 활발한 데이터 송수신 시 사용하는 설정
. PCell: PCell 대역 중 특정 협대역을 측정하여, 짧은 주기로 보고;
. SCell: 두 가지 설정으로 보고:
. SCell set 1: SCell 대역 중 특정 협대역을 측정하여, 주기1로 보고;
. SCell set 2: SCell 대역 중 전대역(광대역)을 측정하여, 주기2로 보고;
- First active CSI reporting config ID: 본 RRC 설정 직후 사용할 보고설정 식별자 (예를 들어 본 예시에서는 '채널상태정보 설정 1'을 설정할 수 있음)
이에 따라, 단말이 RRC 설정값들을 수신하면, 단말은 RRC 계층의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하여, 해당 RRC 메시지를 제대로 수신하였음을 기지국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한 설정 정보에 따라, 단말은 DRX 동작을 수행하며, 단말은 First active CSI reporting config ID로 지시된 채널상태정보 보고설정에 따라 기지국으로 채널상태를 측정하여 보고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1f-07).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CSI CONFIG CHANGE MAC CE를 수신할 수 있다 (1f-09). MAC CE를 수신한 단말은, 특정 시점에 지시된 보고설정으로 설정을 변경하고 (1f-11), 변경된 설정에 따라 채널상태정보를 보고할 서빙 셀들과 서빙 셀 별 보고할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다 (1f-15). 특정 시점이라 함은, 만약 DRX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MAC CE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HARQ ACK이 전송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상기 시점은 MAC CE가 스케쥴링이 되는 PDCCH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DRX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시점은 onDurationTimer 가 시작되는 시점일 수 있다. 이는 고정된 정해진 타이밍에서 보고설정을 변경하여 단말과 기지국 간의 혼선을 막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특정 시점에서부터 단말은 지시된 보고설정에 따라 채널상태를 보고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1f-07)
또한, 단말에게 DRX가 설정된 경우, 특정 DRX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1f-09). 특정 DRX 타이머의 예로는 전술한 inactivityTimer 또는 drxShortCycleTimer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타이머들이 송수신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만료되는 타이머들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술한 타이머들이 만료되면, 단말은 보고설정을 기본 보고설정 (기본 보고설정 혹은 상기 First active CSI reporting config ID로 지시된 보고설정; 상기 예시에서 보고설정 1)으로 변경하고 (1f-13), 변경된 설정에 따라 채널상태정보를 보고할 서빙 셀들과 서빙 셀 별 보고할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다 (1f-15). 이 후, 단말은 기본 보고설정에 따라 채널상태를 보고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1f-07).
도 2e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DRX 설정을 받은 단말과 기지국 간의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e에서 단말 (2e-01)은 기지국 (2e-03)에 접속을 수행하여 기지국으로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2e-11). 연결 설정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랜덤엑세스를 수행하여, RRC 계층의 연결요청메시지 (RRCSetupRequest)를 전송하고, 연결메시지(RRCSetup)를 수신하며, 이에 대한 확인메시지 (RRCSetupComplete)를 전송하는 절차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단말의 능력에 따라, 단말에게 각종 설정을 내려줄 수 있으며, 이는 RRC 계층의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2e-13). 설정에는 전술한 DRX 관련 설정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DRX 관련 설정정보로는 전술한 DRX 관련 타이머들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으며, 타이머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 공통 DRX 설정
. retransmissionTimer, drxStartOffset, long DRX cycle, short DRX cycle
- DRX 설정 1 (데이터 송수신 별로 없을 시 사용하는 설정)
. onDuration1, inactivityTimer1
- DRX 설정 2 (활발한 데이터 송수신 시 사용하는 설정)
. onDuration2, inactivityTimer2
- Beginning DRX configuration id: 본 RRC 설정 직후에 사용할 DRX 설정 식별자 (예를 들어, DRX 설정 1로 설정)
이와 같이 DRX 타이머들을 별도로 설정하는 이유는, 공통 DRX 설정에 포함된 DRX 관련 타이머들은 송수신할 데이터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값들인 반면에, DRX 설정 1/2에 포함된 DRX 관련 타이머들은 송수신할 데이터 양에 따라 다른 값을 사용할 경우, 지연을 줄이고 전력소모를 줄이는데 크게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단말 및 기지국이 송수신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 onDuration 타이머와 inactivityTimer 타이머의 길이를 긴 값을 사용하면, Active Time이 증가하여 해당 시간동안 빠르게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Long DRX cycle로 천이할 수 있다.
반면, 데이터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짧은 길이의 onDuration 타이머와 inactivityTimer 타이머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가 있음에도 Active Time에 있을 수 있는 시간이 적어서 데이터를 모두 송수신하는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단말의 전력 소모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이 RRC 설정값들을 수신하면, 단말은 RRC 계층의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하여, 해당 RRC 메시지를 제대로 수신하였음을 기지국에게 알릴 수 있다 (2e-15). 그리고, 수신한 설정 정보에 따라, 단말은 공통 DRX 설정과 Beginning DRX configuration id로 지시된 DRX 설정값 (즉, DRX 설정 1)의 조합에 따라서 DRX 동작을 수행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2e-21).
이후, 데이터 양이 증가하는 것을 감지하는 등의 이유로, 기지국은 단말에 Change DRX MAC CE (종류 1)를 전송할 수 있다 (2e-31). Change DRX MAC CE (종류 1)는 LCID와 전술한 DRX 설정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에게 특정 DRX 설정으로의 변경을 MAC CE로 지시할 수 있다. 도 2e에서는 DRX 설정을 DRX 설정 2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한다.
이에 따라, MAC CE를 수신한 단말은, 현재 onDuration과 inactivityTimer가 구동되고 있는 경우 본 타이머들이 모두 멈춘 다음에, 혹은 타이머들이 구동되고 있지 않은 경우 즉시, 지시받은 DRX 설정으로 (즉 DRX 설정 2로) onDuration과 inactivityTimer를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새로 설정받은 inactivityTimer의 값이 0인 경우, 단말은 설정 즉시 drx-ShortCycleTimer를 시작 (또는 재시작)할 수 있다 (2e-33).
또 다른 실시예로 기지국은 단말에 Change DRX MAC CE (종류 2)를 전송할 수 있다 (2e-41). Change DRX MAC CE (종류 2)는 LCID와 InactivityTimer 및 onDurationTimer 값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에게 상황에 따라 RRC 계층의 설정메시지 (즉, RRC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아닌 MAC CE를 사용하여, 단말의 onDuration과 InactivityTimer 값을 조정할 수 있다.
MAC CE를 수신한 단말은, 현재 onDuration과 inactivityTimer가 구동되고 있는 경우 본 타이머들이 모두 멈춘 다음에, 또는 타이머들이 구동되고 있지 않은 경우 즉시, 지시받은 DRX 설정으로 (즉 DRX 설정 2로) onDuration과 inactivityTimer를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새로 설정받은 inactivityTimer의 값이 0인 경우, 단말은 설정 즉시 drx-ShortCycleTimer를 시작 (또는 재시작)할 수 있다 (2e-43).
이후 단말은 지시된 값에 따라 DRX를 운용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f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DRX 설정을 받은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f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을 수행하여 기지국으로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2f-03). 연결 설정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랜덤엑세스를 수행하여, RRC 계층의 연결요청메시지 (RRCSetupRequest)를 전송하고, 연결메시지(RRCSetup)를 수신하며, 이에 대한 확인메시지 (RRCSetupComplete)를 전송하는 절차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각종 설정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RRC 계층의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2f-03). 설정에는 DRX 관련 설정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DRX 관련 설정정보로는 전술한 DRX 관련 타이머들의 길이 관련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타이머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 공통 DRX 설정
. retransmissionTimer, drxStartOffset, long DRX cycle, short DRX cycle
- DRX 설정 1 (데이터 송수신 별로 없을 시 사용하는 설정)
. onDuration1, inactivityTimer1
- DRX 설정 2 (활발한 데이터 송수신 시 사용하는 설정)
. onDuration2, inactivityTimer2
- Beginning DRX configuration id: 본 RRC 설정 직후에 사용할 DRX 설정 식별자 (예를 들어, 상기의 DRX 설정 1로 설정)
이와 같이 DRX 타이머들을 별도로 설정하는 이유는, 공통 DRX 설정에 포함된 DRX 관련 타이머들은 송수신할 데이터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값들인 반면에, DRX 설정 1/2에 포함된 DRX 관련 타이머들은 송수신할 데이터 양에 따라 다른 값을 사용할 경우, 지연을 줄이고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단말 및 기지국이 송수신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 onDuration 타이머와 inactivityTimer 타이머의 길이를 긴 값을 사용하면, Active Time이 증가하여 해당 시간동안 빠르게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Long DRX cycle로 천이할 수 있다.
반면, 데이터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짧은 길이의 onDuration 타이머와 inactivityTimer 타이머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가 있음에도 Active Time에 있을 수 있는 시간이 적어서 데이터를 모두 송수신하는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단말의 전력 소모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이 RRC 설정값들을 수신하면, 단말은 RRC 계층의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하여, 해당 RRC 메시지를 제대로 수신하였음을 기지국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한 설정 정보에 따라, 단말은 공통 DRX 설정과 Beginning DRX configuration id로 지시된 DRX 설정값의 조합에 따라서 DRX 동작을 수행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2f-07).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RX 설정변경 관련 MAC CE를 수신할 수 있다 (2f-09). DRX 설정 변경 관련 MAC CE의 예시로는 Change DRX MAC CE (종류 1) 및 Change DRX MAC CE (종류 2)가 포함될 수 있다.
Change DRX MAC CE (종류 1)는 LCID와 전술한 DRX 설정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에게 특정 DRX 설정 (예를 들어, DRX 설정 2)으로의 변경을 MAC CE로 지시할 수 있다.
Change DRX MAC CE (종류 2)는 LCID와 InactivityTimer 및 onDurationTimer 값을 직접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은 상황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InactivityTimer 및 onDurationTimer를 특정한 길이로 설정받을 수 있다.
MAC CE를 수신한 단말은, 현재 onDuration과 inactivityTimer가 구동되고 있는 경우 본 타이머들이 모두 멈춘 다음에, 또는 타이머들이 구동되고 있지 않은 경우 즉시, 수신한 정보에 따라 onDuration과 inactivityTimer를 변경할 수 있다 (2f-11). 또한 만약 새로 설정받은 inactivityTimer의 값이 0인 경우, 단말은 설정 즉시 drx-ShortCycleTimer를 시작 (또는 재시작)하여 Short DRX cycle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지시된 값에 따라 DRX를 운용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2f-07).
도 2g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g를 참고하면, 단말은 RF (Radio Frequency) 처리부 (2g-10), 기저대역 (baseband) 처리부 (2g-20), 저장부 (2g-30) 및 제어부 (2g-40)를 포함할 수 있다.
RF처리부 (2g-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처리부 (2g-10)는 기저대역처리부 (2g-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 (2g-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2g-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g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 (2g-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 (2g-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 (2g-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2g-2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 (2g-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 (2g-20)는 RF처리부 (2g-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g-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2g-20)는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g-20)는 RF처리부(2g-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2g-20)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 (2g-20) 및 RF처리부 (2g-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 (2g-20) 및 RF처리부 (2g-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대역처리부(2g-20) 및 RF처리부 (2g-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 (2g-20) 및 RF처리부(2g-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 (2g-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 (2g-30)는 무선랜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랜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g-30)는 제어부 (2g-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 (2g-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g-40)는 기저대역처리부 (2g-20) 및 RF처리부 (2g-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g-40)는 저장부(2g-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 (2g-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g-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 (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 (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 (2g-40)는 다중 연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다중연결처리부 (2g-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g-40)는 단말이 전술한 단말의 동작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g-4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MAC CE 및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보고설정을 변경하여, 채널상태를 측정하고 보고하는데 사용하는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g-4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MAC CE 에 따라 특정 타이밍에 DRX 설정을 일괄적으로 전환하여, 데이터 전송 지연을 줄이고 단말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2h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RF처리부(2h-10), 기저대역처리부(2h-20), 백홀통신부(2h-30), 저장부(2h-40), 제어부(2h-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처리부(2h-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RF처리부(2h-10)는 기저대역처리부(2h-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RF처리부(2h-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2h-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h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기지국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2h-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2h-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2h-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F 처리부(2h-10)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2h-20)는 제 1 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h-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h-20)는 RF처리부(2h-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h-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h-20)는 RF처리부(2h-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2h-20)는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2h-20) 및 RF처리부(2h-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2h-20) 및 RF처리부(2h -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부(2h-40)는 전술한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h-40)는 제어부(2h-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h-50)는 기지국이 전술한 기지국의 동작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h-50)는 기저대역처리부(2h-20) 및 RF처리부(2h-10)를 통해 또는 통신부(2h-3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h-50)는 저장부(2h-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h-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복수개의 구성 메모리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SCell (secondary cell) 설정 정보, DRX (discontinuous reception) 에 이용되는 타이머 설정 정보 및 채널 상태 측정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016837A 2019-02-13 2019-02-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98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837A KR20200098998A (ko) 2019-02-13 2019-02-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20756588.8A EP3923623A4 (en) 2019-02-13 2020-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7/430,992 US12010755B2 (en) 2019-02-13 2020-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20/001819 WO2020166905A1 (ko) 2019-02-13 2020-02-1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837A KR20200098998A (ko) 2019-02-13 2019-02-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98A true KR20200098998A (ko) 2020-08-21

Family

ID=7204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837A KR20200098998A (ko) 2019-02-13 2019-02-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23623A4 (ko)
KR (1) KR20200098998A (ko)
WO (1) WO20201669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818B1 (ko) * 2011-08-10 2021-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2621242A1 (en) * 2012-01-26 2013-07-31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with additional wake up opportunities
CN103391549B (zh) * 2012-05-10 2018-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不连续接收的动态配置方法、终端和基站
WO2014112751A1 (en) * 2013-01-16 2014-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pplying timer for discontinuous reception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WO2017168396A1 (en) * 2016-04-01 2017-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w complexity multi-configuration csi reporting
CN111213325B (zh) * 2017-06-14 2023-06-20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报告信道状态信息的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6905A1 (ko) 2020-08-20
EP3923623A4 (en) 2022-04-20
US20220183101A1 (en) 2022-06-09
EP3923623A1 (en)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862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수행 시 설정된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0150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887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supplementary uplink frequ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589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1444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빔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5001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신뢰 저지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52592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113293A (ko)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연속수신모드가 적용시 채널상태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733659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US202202794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3148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베디드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4829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0380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beam failure detection resource d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set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812186A (zh) 触发用于支持动态功率共享的功率余量报告的方法和装置
US120107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9236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788858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重传在不连续接收中配置的上行链路数据的方法和装置
US20230217374A1 (en) Method of performing power control when pucch repetition transmission is applied through 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in next-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7002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9937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의 시작 시점이 서로 다른 서빙셀들에 대해 캐리어 집적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7734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Carrier Aggregation 기술에서 복수 개의 DRX을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13492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55471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pucch 자원과 연관된 빔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