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918A -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 - Google Patents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918A
KR20200098918A KR1020190016631A KR20190016631A KR20200098918A KR 20200098918 A KR20200098918 A KR 20200098918A KR 1020190016631 A KR1020190016631 A KR 1020190016631A KR 20190016631 A KR20190016631 A KR 20190016631A KR 20200098918 A KR20200098918 A KR 20200098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nector
augmented reality
identifi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8314B1 (en
Inventor
이성경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6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314B1/en
Publication of KR2020009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9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3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capable of allowing a worker to intuitively recognize relevant information including arrangement information of a cable.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an identifier and the cable assembly; and a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from the storage unit when the worker selects the identifier, and superimposing a virtual image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an environment viewed by the worker. Therefore, since relevant information on a cable assembly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by a worker, work on the cable assembly is easy. Also, since work is performed while a worker wears the recognition unit, both hands of the worker are free, and thus work convenience is greatly improved.

Description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

본 발명은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우주 분야의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in the aerospace field.

최근 들어, 첨단 전자장비의 증가와 더불어 항공기, 선박 및 차량 등에는 전자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케이블 어셈블리가 장착되고 있다. 특히, 항공분야에서는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라 불리는 전기배선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와이어 하네스는 적어도 두 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마차 하나의 와이어처럼 모듈화하고, 입출력 선단에 접속단자를 부가 접속한 형태의 와이어를 의미한다.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e of advanced electronic equipment, various cable assemblies for connecting electronic equipment have been installed in aircraft, ships, and vehicles. In particular, in the aviation field, an electric wiring device called a wire harness is used. A wire harness refers to a type of wir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wires are modularized like a single wagon wire, and a connection terminal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input and output ends.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에 대한 종래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25171호(와이어 하네스의 와이어 패스 검출 장치, 2004.03.24.)"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와이어 하네스의 와이어 패스를 검출하기 위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The prior art for such a wire harness has already been disclosed b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25171 (wire path detection apparatus of a wire harness, 2004.03.24.)". In the above disclosed patent, a technology for detecting a wire path of a wire harness is proposed.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의 제작에서는 패널 상에 핀 맵이라 불리는 인쇄물을 부착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제작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때, 핀 맵에는 해당 와이어 하네스의 배치정보 및 제작정보가 출력된 상태이며, 이에 작업자는 핀 맵에 출력된 배치정보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를 라우팅(Routing)시켜 와이어 하네스의 제작을 수행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의 제작은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배치정보 및 제작정보의 편집이 어려워 개선된 와이어 하네스의 제작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In the manufacture of such a wire harness, a printout called a pin map is attached to the panel to manufacture the wire harness.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information and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wire harness are output on the pin map, and the operator is manufacturing the wire harness by routing the wire harnes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utput on the pin map. However, manufacturing of a conventional wire harness is not only cumbersome, but also difficult to edit arrangement information and production information, thus requiring an improved wire harness manufacturing technolog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25171호(와이어 하네스의 와이어 패스 검출 장치, 2004.03.2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4-0025171 (wire path detection device for wire harness, 2004.03.24.)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배치정보를 포함한 관련정보를 작업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capable of intuitively recognizing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cable arrangement information to an operator.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식별자 및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및 작업자에게 착용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식별자를 선택할 때에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작업자가 보고 있는 환경에 상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가상 이미지를 겹쳐 나타내는 인식유닛을 포함한다.Th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by an identifier and a storage unit storing information on the cable assembly and an operator, and provi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from the storage unit 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identifier. And a recognition unit that superimposes the virtual image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 viewed by the operator.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과 커넥터의 연결에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자가 구비되는 핀 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인식유닛에서 상기 케이블의 배치도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는 버전 식별자와, 상기 인식유닛에서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커넥팅 정보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는 커넥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정보는 자재정보, 회로정보 및 참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may support the cable assembly in a connection between a cable and a connector of the cable assembly, and further includes a pin map having the identifier, wherein the identifier is a layout diagram of the cable in the recognition unit. A version identifier to be implemented in augmented reality, and a connector identifier to be implemented in augmented reality in the recognition unit, and the connecting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material information, circuit information, and reference information. It can contain one.

상기 자재정보는 상기 커넥터 정보 및 상기 커넥터 연결에 필요한 공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정보는 상기 커넥터에 포함된 라인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참고정보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구 및 작업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teri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connector information and tool information required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the circuit information includes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line included in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includes the cable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quirements, precautions, fixtures, and work methods necessary for connection of the connector.

상기 인식유닛이 상기 버전 식별자를 선택할 때에,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방식에 대한 리비전(Revision)을 확인하고, 상기 인식유닛에서는 리비전된 배치도가 증강 현실로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recognition unit selects the version identifier, the storage unit checks a revision of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cable and the connector, and the revised layout may be implemented in augmented reality in the recognition unit.

상기 커넥터 식별자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 이후에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가 항공기에 장착된 이후에, 상기 커넥터 식별자는 상기 인식유닛에서 자재정보, 회로정보 및 참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강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자재정보는 상기 커넥터의 정보, 고정정보 및 교체에 요구되는 공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정보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항공기 및/또는 항공기 구조물의 연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참고정보는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처리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구 및 작업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identifi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after the cable and the connector are connected, and after the cable assembly is mounted on the aircraft, the connector identifier is at least one of material information, circuit information, and reference information in the recognition unit. Is implemented as augmented reality, and the materi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connector, fixed information, and tool information required for replacement, and the circuit information is a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aircraft and/or aircraft structure. Information is included,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quirements, precautions, fixtures, and working methods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cabl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관련정보를 작업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어,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uitively recognize related information on a cable assembly to an operator, thereby facilitating work on the cabl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작업자가 인식유닛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작업자의 양 손이 자유로워지고 이로 인해 작업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or performs a task while wearing the recognition unit, both hands of the operator are free, thereby greatly improving work convenien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제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유지보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roduction of a cable assembly using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assembly using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flow chart showing a cable assembly maintenance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nly this embodiment mak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give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be fully informed.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a more clear explanation, and element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mean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100, 이하, 증강 현실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인식유닛(110), 저장유닛(120) 및 식별자(130)를 포함한다.1,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gmented reality system) includes a recognition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nd an identifier 130 do.

먼저, 인식유닛(110)은 작업자에게 착용되며, 작업자가 인식유닛(110)을 통해 증강 현실 시스템(10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인식유닛(110)은 작업자의 눈에 착용되어, 작업자가 보고 있는 환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 하나의 영상을 보여주는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인식유닛(110)은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인식유닛(11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First, the recognition unit 110 is worn by an operator, and enables the operator to control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10. Here, the recognition unit 110 may be worn on the worker's eyes and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AR) showing one image by overlapping a virtual image on an environment that the worker is viewing. As an example, the recognition unit 110 may be formed of smart glass, but the type of the recognition unit 110 is not limited.

한편, 저장유닛(120)에는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유닛(120)은 컴퓨터, 노트북(Laptop), 스마트폰, 휴대용 단말, 개인 정보 단말 또는 클라우드(Cloud)와 같이 인터넷 환경에 구축된 서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유닛(120)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torage unit 120 stores related information on the cable assembly. The storage unit 120 may be a computer, a laptop (Laptop),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or a server built in an Internet environment such as a cloud. However,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type of the storage unit 120 may be variously changed.

이러한 저장유닛(120)에는 케이블 어셈블리 제작 및 유지보수를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이에, 저장유닛(120)은 인식유닛(110)으로부터 관련 신호의 요청이 전달될 때에 해당 정보를 인식유닛(110)으로 전달하여 작업자의 시야에 해당 정보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Various information for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of a cable assembly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ccordingly, when a request for a related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recognition unit 110, the storage unit 12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recognition unit 110 so that the information is implemented as augmented reality in the field of view of the worker.

한편, 식별자(130)는 매칭된 정보가 설정된 위치에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한다. Meanwhile, the identifier 130 allows the matched information to be implemented as augmented reality at a set location.

일례로, 인식유닛(110)에서 식별자(130)를 촬영하고 작업자가 설정된 신호를 입력할 때에, 저장유닛(120)은 해당 신호를 기반으로 식별자(130)에 대응되는 정보를 인식유닛(110)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인식유닛(110)은 해당 식별자(130)와 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정보의 증강 현실 데이터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130)는 텍스트, 이미지 및 QR(Quick Response) 코드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식별자(130)의 종류 및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For example, when the identification unit 110 captures the identifier 130 and the operator inputs a set signal, the storage unit 120 recogniz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130 based on the signal. Provided by In addition, the recognition unit 110 may match the information with the corresponding identifier 130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data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text or images. The identifier 130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such as text, an image, and a quick response (QR) code, and the type and form of the identifier 130 are not limited.

한편, 본 실시에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어셈블리의 종류를 와이어 하네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 어셈블리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앞서 밝혀둔다. Meanwhile,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to manufacture a wire harness. However,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type of the cable assembly is not limited to the wire harness, and the type of the cable assembly may be variously changed.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제작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of a cable assembly using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assembly using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100, 이하, 증강 현실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2 and 3,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gmented reality system) may be used to manufacture the wire harness 10.

먼저, 와이어 하네스(10)는 복수 개의 케이블을 마치 하나의 케이블처럼 모듈화한 것으로,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에서는 복수 개로 케이블을 식별하여 해당 케이블에 매칭되는 커넥터를 연결해야 한다. 그리고 케이블과 커넥터의 연결에서는 케이블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라인과 커넥터의 연결부를 매칭시켜 매칭된 라인과 커넥터 연결부를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제작 시간이 지연되고 제작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First, in the wire harness 10, a plurality of cables are modularized like a single cable. In the manufacture of the wire harness 10, a plurality of cables must be identified and a connector matching the corresponding cable must be connected. In addition, in the connection of a cable and a connector, manufacturing time is delayed and manufacturing defects are likely to occur because a plurality of lines constituting the cable and the connector must be matched to connect the matched line and the connector connection.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시스템(100)을 활용하여 와이어 하네스(10)를 제작할 경우에 보다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오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wire harness 10 using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is easier and operation error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증강 현실 시스템(100)을 활용한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을 살펴보면, 먼저 패널의 일면에는 핀 맵(200)이 지지될 수 있다(S310). 여기서, 핀 맵(200)은 작업자와 마주하도록 패널에 지지될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핀 맵(200)의 배치형태 및 방향을 한정하지 않는다. Looking at fabrication of the wire harness 10 using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first, a pin map 200 may be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panel (S310). Here, the pin map 200 may be supported on the panel so as to face the operator, but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arrangement form and direction of the pin map 200 are not limited.

그리고 핀 맵(200) 상에는 복수 개의 식별자(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식별자(130)는 핀 맵(200) 상에 인쇄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식별자(130)의 구현 방식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identifiers 130 may be provided on the pin map 20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dentifiers 130 may be provided in a manner that is printed on the pin map 200, but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identifier 130 is not limited.

한편, 핀 맵(200)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식별자(130)는 버전 식별자(131) 및 복수 개의 커넥터 식별자(132)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identifiers 130 provided in the pin map 200 may include a version identifier 131 and a plurality of connector identifiers 132.

이에, 작업자는 인식유닛(110)을 통해 버전 식별자(131)를 선택할 수 있다(S320). 여기서, 식별자(130)의 선택은 인식유닛(110)에 표현되는 마커를 식별자(130)에 위치시키고 인식유닛(110)에 마련된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식별자(130)의 선택은 인식유닛(110)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erator may select the version identifier 131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10 (S320). Here, the selection of the identifier 130 may be made by placing a marker expressed on the recognition unit 110 on the identifier 130 and operating a button provided on the recognition unit 110. However, the selection of the identifier 13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recognition unit 110.

한편, 인식유닛(110)에 의해 버전 식별자(131)가 선택됨에 따라 저장유닛(120)은 버전 식별자(131)에 매칭되는 와이어 하네스(10)에 대한 라우팅 정보, 즉 배치정보를 인식유닛(110)으로 전달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version identifier 131 is selected by the recognition unit 110, the storage unit 120 receives routing information for the wire harness 10 that matches the version identifier 131, that is, the arrangement information. ).

이때, 저장유닛(120)은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에 요구되는 정보의 리비전(Revision)을 검토하여 현재 반영되고 있는 가장 최신의 정보를 인식유닛(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별도로 리비전을 검토하지 않더라도 현재 반영되고 있는 최신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작업 오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120 may review a revision of information required to manufacture the wire harness 10 and transmit the most recent information currently being reflected to the recognition unit 110. Accordingly,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separately review the revision, there is an advantage of remarkably reducing work errors by providing the latest information currently being reflected.

즉, 종래의 경우 리비전의 확보가 지연되거나 리비전 검토에 오류에 발생될 경우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작업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증강 현실 시스템(100)의 경우 와이어 하네스(10) 제작에 대한 배치정보를 사전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버전 식별자(131)를 선택할 경우 올바른 배치정보가 인식유닛(110)에 나타난다. 그리고 작업자는 배치정보와 핀 맵(200)을 비교한다. 이에, 작업 이전에 배치정보와 핀 맵(200)의 정보, 예컨대 커넥터 식별자(132)의 위치가 상이할 경우에 작업자는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에 대한 리비전 존재를 확인할 수 있어, 제작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case, if the acquisition of a revision is delayed or an error occurs in the revision review,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recognized and a work error occurs. However, in the case of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arrangement information for fabrication of the wire harness 10 may be obtained and stored in advance.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version identifier 131, correct arrange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recognition unit 110. And the operator compares the arrangement information and the pin map 200. Accordingly, if the arrangement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pin map 200, for example, the location of the connector identifier 132 are different before work, the operator can check the existence of the revision for the wire harness 10, thus preventing manufacturing errors. Can be prevented.

한편, 저장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인식유닛(110)은 핀 맵(200) 상에 해당 와이어 하네스(10)를 제작하기 위한 2D 배치도를 나타낸다(S330). 즉, 인식유닛(110)에서는 복수 개의 케이블의 배치 형태가 증강 현실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인식유닛(110)에서는 와이어 하네스(10)의 배치도뿐만 아니라 올바른 배치를 위해 각각의 케이블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storage unit 120, the recognition unit 110 displays a 2D layout diagram for manufacturing the corresponding wire harness 10 on the pin map 200 (S330). That is, in the recognition unit 110,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ables is displayed as augmented reality. At this time, in the recognition unit 110, not only the arrangement diagram of the wire harness 10 but also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cable for correct arrangement may be displayed.

이때, 2D 배치도의 획득은 와이어 하네스(10)의 설계부터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을 고려하여 2D 배치도가 작성될 수 있고 해당 정보는 저장유닛(120)에 사전 저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quisition of the 2D layout diagram may be performed by considering the production of the wire harness 10 from the design of the wire harness 10,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이에, 작업자는 증강 현실로 구현된 배치정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케이블(11)을 핀 맵 상에 지지시킨다(S340). 이때, 각각의 케이블(11) 선단에 이웃하는 영역에는 커넥터 식별자(132)가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worker supports the plurality of cables 11 on the pin map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implemented in augmented reality (S340). In this case, a connector identifier 132 may b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tip of each cable 11.

이후, 작업자는 케이블(11) 선단에 커넥터(12)를 연결하기 위하여, 인식유닛(110)을 통해 커넥터 식별자(132)를 선택한다(S350). 여기서, 커넥터 식별자(132)는 케이블(11)에 장착될 커넥터(12)를 나타내는 고유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커넥터 식별자(132)는 커넥터(12)가 장착된 이후 해당 커넥터(12)에 부착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operator selects the connector identifier 132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10 in order to connect the connector 12 to the tip of the cable 11 (S350). Here, the connector identifier 132 may be a unique text or image indicating the connector 12 to be mounted on the cable 11, and the connector identifier 132 is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or 12 after the connector 12 is mounted. Can be attached.

한편, 작업자가 커넥터 식별자(132)를 선택함에 따라 저장유닛(120)은 해당 커넥터 식별자(132)에 매칭되는 커넥팅 정보를 제공한다(S360). 이때, 인식유닛(110)에서는 케이블(11) 선단에 이웃하도록 복수 개 커넥팅 정보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고, 작업자는 인식유닛(110)을 통해 복수 개의 커넥팅 정보 중 필요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as the operator selects the connector identifier 132, the storage unit 120 provides connecting information matching the connector identifier 132 (S360). At this time, in the recognition unit 110, a plurality of connecting information is implemented as augmented reality so as to be adjacent to the tip of the cable 11, and the operator can select a necessary item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inform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10.

일례로, 인식유닛(110)에서 증강 현실로 나타나는 복수 개의 커넥팅 정보는 자재정보 및 회로정보일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인식유닛(110)을 통해 자재정보를 선택하면, 저장유닛(120)은 해당 케이블(11)에 연결되어야 하는 커넥터 정보, 커넥터 연결에 필요한 공구 등 케이블(11)과 커넥터(12)의 연결에 필요한 자재 리스트를 증강 현실로 나타낸다. 이에, 작업자는 자재정보를 확인하며 케이블(11)에 연결되어야 하는 커넥터(12)와 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information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in the recognition unit 110 may be material information and circuit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selects material inform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10, the storage unit 12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able 11, the cable 11 and the connector 12, such as tools required for connector connection. The list of materials required for connection of the device is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check the material information and prepare a connector 12 and a tool to be connected to the cable 11.

그리고 작업자가 인식유닛(110)을 통해 회로정보를 선택하면, 케이블(11)에 포함된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 연결을 위한 정보가 증강 현실로 나타난다. 케이블(11)과 커넥터(12)의 연결에서는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의 연결부를 매칭시켜 연결해야 한다. And when the operator selects circuit inform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10, information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nes 11a and the connector 12 included in the cable 11 is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ble 11 and the connector 12, it is necessary to match and connect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lines 11a and the connector 12.

이는 공정시간의 지연을 유발하고 라인(11a)과 커넥터(12) 연결부가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와이어 하네스(10)의 오작동 및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작업자가 회로정보를 선택할 경우 인식유닛(110)에서는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 연결부를 올바르게 연결하기 위한 회로정보가 텍스트 형태의 증강현실로 나타난다. 그리고 작업자는 회로정보를 참고하며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 연결부를 올바르게 연결하게 된다(S370).This causes a delay in the process time,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of the line 11a and the connector 12 is not properly connected, a malfunction and defect of the wire harness 10 are caused.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selects circuit information, the recognition unit 110 displays circuit information for correctly connecting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lines 11a and the connector 12 as augmented reality in text form. In addition, the operator refers to the circuit information and correctly connects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lines 11a and the connector 12 (S370).

또한, 작업자가 회로정보를 선택한 경우에, 인식유닛(110)에서는 커넥터(12) 연결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수 및 작업방법 등의 참고정보가 증강현실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참고정보를 확인하며 케이블(11)과 커넥터(12)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참고정보가 회로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참고정보는 별도의 항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selects circuit information, the recognition unit 110 may display 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requirements, precautions, dimensions, and work methods required for connection of the connector 12 in augmented reality.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check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connect the cable 11 and the connector 12. However,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referenc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ircuit information. However,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embodiment, and reference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item.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를 연결할 때에 텍스트 형태의 회로정보를 참고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증강 현실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라인(11a)과 커넥터(12)의 회로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출력 가능하다. 이때, 인식유닛(110)에서는 핀 맵(200) 상에 복수 개의 라인(11a)을 구별하기 위한 배치정보가 나타날 수 있고, 각각의 라인이 어느 커넥터(12) 연결부에 연결되어야 하는지가 이미지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operator performs a task by referring to the circuit information in the form of text whe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nes 11a and the connector 12. However,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may output circuit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lines 11a and the connector 12 in the form of an image. At this time, in the recognition unit 110, arrangement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plurality of lines 11a may be displayed on the pin map 200, and each line is connected to which connector 12 connection part in the form of an image. Can be presented.

이와 같이, 작업자는 증강 현실로 나타나는 정보를 참고하며 와이어 하네스(10)를 제작하게 된다. 이에, 증강 현실 시스템(100)은 와이어 하네스(10)의 제작 공정 난이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숙련도와 무관하게 제작 오류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is way, the worker manufactures the wire harness 10 by referring to information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Accordingly,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has the advantage of not only being able to reduce the difficul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ire harness 10 but also significantly reducing manufacturing errors regardless of work skill.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100)은 케이블 어셈블리가 항공기에 장착된 이후에도 케이블 어셈블리의 인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to recognize a cable assembly even after the cable assembly is mounted on an aircraft.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을 활용한 케이블 어셈블리 유지보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 chart showing a cable assembly maintenance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100, 이하, 증강 현실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와이어 하네스(10)가 항공기에 장착된 이후에도 유지보수 및 시험 등의 목적에서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gmented reality system) is for maintenance and testing purposes even after the wire harness 10 is mounted on the aircraft. Can be used in

즉, 와이어 하네스(10)가 항공기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작업자는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의 정보를 인식하며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에 대한 교체 및 수리 등의 처리를 수행해야할 필요가 있다. That is, even when the wire harness 10 is mounted on the aircraft, the operator needs to recognize information on the wire harness 10 and perform processing such as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wire harness 10.

이때, 작업자는 인식유닛(110)을 착용한 상태에서 커넥터(12)에 부착된 커넥터 식별자(132)를 선택한다(S410). 이에, 저장유닛(120)은 해당 커넥터(12)에 대한 정보를 인식유닛(11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인식유닛(110)은 자재정보, 회로정보, 및 참고정보 등을 포함하는 커넥팅 정보를 증강 현실로 나타낼 수 있다(S420). At this time, the operator selects the connector identifier 132 attached to the connector 12 while wearing the recognition unit 110 (S410). Accordingly, the storage unit 12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onnector 12 to the recognition unit 110. In addition, the recognition unit 110 may display connecting information including material information, circuit information, and reference information as augmented reality (S420).

이때, 자재정보는 해당 커넥터(12)의 일반정보, 고장정보 및 교체에 요구되는 공구 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회로정보는 커넥터(12)와 항공기 구조물의 연결 정보 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참고정보는 와이어 하네스(10)의 처리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수 및 작업방법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정보에 포함되는 세부정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aterial information may indicate general information, failure information, and tools required for replacement of the connector 12, and the circuit information may indicate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connector 12 and the aircraft structure. In addition, the reference information may indicate requirements, precautions, dimensions and working methods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wire harness 10. However,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embodiment, and detailed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piece of informa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또한, 증강 현실 시스템(100)에서는 작업자가 인식유닛(110)을 통해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에 대한 장착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S330). 이때, 인식유닛(110)은 와이어 하네스(10)의 장착형태를 증강 현실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인식유닛(110)에서 나타나는 와이어 하네스(10)의 장착 정보는 와이어 하네스(10)가 실제 항공기에 장착된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3D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the operator may request mounting information for the wire harness 10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10 (S330). In this case, the recognition unit 110 may represent the mounting type of the wire harness 10 as augmented reality. In this case, the mounting information of the wire harness 10 displayed in the recognition unit 110 may include a 3D image having the same form as the wire harness 10 is actually mounted on the aircraft.

이때, 3D 이미지의 획득은 와이어 하네스(10)의 설계부터 해당 와이어 하네스(10)의 실제 장착을 고려하여 3D 이미지를 작성할 수 있고 해당 정보는 저장유닛(120)에 사전 저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acquisition of the 3D image may create a 3D image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mounting of the wire harness 10 from the design of the wire harness 10, and th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20.

한편, 3D 이미지는 실제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뿐 실제 와이어 하네스(10)와 교차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증강 현실 시스템(100)에서는 커넥터 식별자(132)를 기준점으로 식별하여 실제 와이어 하네스(10)가 장착된 위치에도 3D 형태의 이미지가 교차되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S440).Meanwhile, the 3D image appears in the same shape as the actual shape and may not intersect with the actual wire harness 10. Accordingly,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may identify the connector identifier 132 as a reference point so that the 3D image is intersected even at the position where the wire harness 10 is actually mounted (S440).

이에, 실제 장착된 와이어 하네스(10)의 처리에서 작업자는 증강 현실로 나타나는 정보를 참고하게 된다. 따라서 증강 현실 시스템(100)은 와이어 하네스(10)를 처리하기 위한 공정 난이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숙련도와 무관하게 처리 오류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in the processing of the actually mounted wire harness 10, the operator refers to information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Accordingly,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100 not only reduces the difficulty of processing the wire harness 10,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processing errors regardless of work skill.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관련정보를 작업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어,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uitively recognize related information on a cable assembly to an operator, thereby facilitating work on the cable assemb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은 작업자가 인식유닛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작업자의 양 손이 자유로워지고 이로 인해 작업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operator performs a task while wearing the recognition unit, so that both hands of the operator are free, and thus, work convenience is greatly improved.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와이어 하네스
11 : 케이블
12 : 커넥터
100 :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110 : 인식유닛
120 : 저장유닛
130 : 식별자
200 : 핀 맵
10: wire harness
11: cable
12: connector
100: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
110: recognition unit
120: storage unit
130: identifier
200: pin map

Claims (5)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에 있어서,
식별자;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유닛; 및
작업자에게 착용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식별자를 선택할 때에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작업자가 보고 있는 환경에 상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가상 이미지를 겹쳐 나타내는 인식유닛을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In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
Identifi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cable assembly; And
A cable that is worn by a worker and includes a recognition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from the storage unit when the worker selects the identifier and superimposes a virtual image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 viewed by the worker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ssemb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과 커넥터의 연결에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자가 구비되는 핀 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인식유닛에서 상기 케이블의 배치도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는 버전 식별자와, 상기 인식유닛에서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커넥팅 정보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는 커넥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정보는 자재정보, 회로정보 및 참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in map capable of supporting the cable assembly in connection between the cable and the connector of the cable assembly and having the identifier,
The identifier includes a version identifier that enables the cable layout in the recognition unit to be implemented as augmented reality, and a connector identifier for the recognition unit to implement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cable and the connector as augmented reality,
The connecting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material information, circuit information, and reference informa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정보는 상기 커넥터 정보 및 상기 커넥터 연결에 필요한 공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정보는 상기 커넥터에 포함된 라인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참고정보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구 및 작업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materi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connector information and tool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The circuit information includes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a line included in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The referen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requirements, precautions, fixtures, and work methods required for connection of the cable and the connecto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유닛이 상기 버전 식별자를 선택할 때에,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방식에 대한 리비전(Revision)을 확인하고,
상기 인식유닛에서는 리비전된 배치도가 증강 현실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recognition unit selects the version identifier,
The storage unit checks a revision of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cable and the connector,
In the recognition unit, a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 cabl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vised layout is implemented as augmented realit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식별자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 이후에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가 항공기에 장착된 이후에,
상기 커넥터 식별자는 상기 인식유닛에서 자재정보, 회로정보 및 참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강현실로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자재정보는 상기 커넥터의 정보, 고정정보 및 교체에 요구되는 공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정보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항공기 및/또는 항공기 구조물의 연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참고정보는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처리에 필요한 요구사항, 주의사항, 치구 및 작업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용 증강 현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or identifi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after connection of the cable and the connector,
After the cable assembly is mounted on the aircraft,
The connector identifier enables at least one of material information, circuit information, and reference information to be implemented in augmented reality in the recognition unit,
The materi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connector, fixed information, and tool information required for replacement,
The circuit information includes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aircraft and/or aircraft structure,
The referen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requirements, precautions, fixtures, and work methods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cable assembly.
KR1020190016631A 2019-02-13 2019-02-13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 KR1021883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631A KR102188314B1 (en) 2019-02-13 2019-02-13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631A KR102188314B1 (en) 2019-02-13 2019-02-13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18A true KR20200098918A (en) 2020-08-21
KR102188314B1 KR102188314B1 (en) 2020-12-08

Family

ID=7223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631A KR102188314B1 (en) 2019-02-13 2019-02-13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3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3000A (en) * 2021-12-17 2022-04-1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Cable AR guiding assembly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5135B2 (en) 2020-05-29 2022-04-05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Asset tracking of communication equipment via mixed reality based labeling
US11374808B2 (en) 2020-05-29 2022-06-28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Automated logging of patching operations via mixed reality based label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171A (en) 2002-09-18 2004-03-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Detection Device for Wire Path of Wire Harness
JP2018081093A (en) * 2016-11-07 2018-05-24 リンカーン グローバ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welding trai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171A (en) 2002-09-18 2004-03-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Detection Device for Wire Path of Wire Harness
JP2018081093A (en) * 2016-11-07 2018-05-24 リンカーン グローバ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welding train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3000A (en) * 2021-12-17 2022-04-1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Cable AR guiding assembly system and method
CN114323000B (en) * 2021-12-17 2023-06-0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Cable AR guide assembly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314B1 (en)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309B1 (en) Method for mounting an electrical switching system and assembly support device for simplifying assembly of such switching system
KR102188314B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able Assembly
US9589390B2 (en) Wire harness assembly
JP4996138B2 (en) Wire harness assembly support device, wire harness assembly support unit, and wire harness assembly support method
JP2016526255A (en) Cable harness production support
US202001363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omated support of a connection process, in particular of components arranged in a control cabinet or on a mounting system
US11776422B2 (en) Method for assembling or repairing a connectorized electrical equipment in an environment
US20170090436A1 (en) Numerical control system
JP5586325B2 (en) Wire harness continuity inspection method and wire harness continuity inspection program
KR20150063703A (en) A Method for Block Inspection of a Vessel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US11325258B2 (en) Guid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failure recovery
JP6803794B2 (en) Image process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system
CN112214961A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wiring and wire harness manufacturing
US20160116898A1 (en)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of substrate in component mounting system
JP5190481B2 (en)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CN113614792A (en) Maintenance support system, maintenance support method, and program
EP4241142A1 (en) Method for inspecting a correct execution of a processing step of components, in particular a wiring harness, data structure and system
WO2017135107A1 (en) Wire connection work assist system
KR20200014574A (en) Vision-based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for CNC Machine Tools
JP7374908B2 (en) Manufacturing support systems, methods, programs
JP2016133410A (en) Wiring inspection system and wiring inspection method
WO2020113329A1 (en)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apparatus for producing connectorized equipment and managing the production thereof
JP2018067104A (en) Joint position determination support method
JP7149354B2 (en) MAINTENANCE SUPPORT SYSTEM, MAINTENANCE SUPPORT METHOD, AND MAINTENANCE SUPPORT PROGRAM
CN117283569A (en) Complex electronic product augmented reality assembly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