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341A - 구강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구강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341A
KR20200098341A KR1020190016365A KR20190016365A KR20200098341A KR 20200098341 A KR20200098341 A KR 20200098341A KR 1020190016365 A KR1020190016365 A KR 1020190016365A KR 20190016365 A KR20190016365 A KR 20190016365A KR 20200098341 A KR20200098341 A KR 20200098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d
light emitting
ben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096B1 (ko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김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우 filed Critical 김형우
Priority to KR102019001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0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source of radiation, e.g. UV, IR, LASER, X-ray for irradiating the teeth and associat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관리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광부를 갖는 발광장치를 이용하여 치아에 빛을 조사(照射)하여 치아와 잇몸을 건강하게 하고자 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강관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투명 헤드부와 밴딩부와 파지부와 내부방수를 위한 밀폐캡을 갖는 본체와, 헤드부에 내입되어 빛을 조사(照射)하는 발광부와, 파지부에 내입되어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발광부와 전선으로 연결된 전원공급수단과, 밴딩부에 내입되어 발광부가 점멸되도록 발광부와 전원공급수단이 전선으로 연결된 스위치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치아와 잇몸에 있는 유해한 세균을 멸균하여 치아질환, 치주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적외선이 세포의 활성화를 도와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며, 구취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감소시켜 입 냄새를 방지할 수 있으며, 치아에 광원을 조사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이 감소하게 되어 치아의 색소 침착을 방지하여 미용측면에서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스위치 작동 없이 파지만으로 또는 치아에 밀착시키는 것만으로도 작동이 손 쉬워 남녀노소 누구나 사전지식 없이도 사용하기 용이하게 되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구강관리장치{Oral care device}
본 발명은 구강관리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광부에 의해 살균, 미백 등을 위해 치아에 빛을 조사(照射)하여 구강 내 치아와 잇몸을 건강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와 대비해 현대는 위생과 미용이 삶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치아의 경우 의료비 내지 미백에 소요되는 비용이 높고 시간도 많이 걸려, 학업과 업무에 바쁜 개인이 치아를 스스로 직접 관리하는 것에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치아의 자가 관리와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04477호(2009년 06월 17일자 등록)에 게재된 바와 같이 칫솔의 머리부에 구비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를 손잡이부의 접촉을 감지하여 양치를 하고 있을 때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약모드로 동작시켜 입안을 조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양치시간이 지났다고 판단하여 발광다이오드를 강모드로 동작시켜, 별도의 칫솔 살균기 없이도 칫솔 자체에서 살균 및 건조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목적에 비해 구성이 구체적이지 않아 작용이 모호하고, 소형의 칫솔에 사용하기에는 센서와 구동장치가 복잡하여 고장이 잦은 문제가 있으며, 타이머에 의한 강모드로 발광다이오드를 1시간씩 조사하는 경우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가 커져 수명이 급격히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KR 10-0904477 B1 (2009.06.17.)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스위치 구조를 명확하고 간소화하여 고장률을 낮추고, 스위치를 켜고 끄는 별도의 추가되는 스위칭 조작 없이 구강관리장치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또는 치아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자동으로 발광부가 점등되도록 한 구강관리장치를 제공코자 함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강관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투명 헤드부와 밴딩부와 파지부와 내부방수를 위한 밀폐캡을 갖는 본체와 헤드부에 내입되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밴딩부에 내입된 스위치부와 파지부에 내입된 전원공급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가 포함되며,
헤드부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칫솔모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헤드부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과, 헤드부가 내입되며 상기 결합홈에 대응 결합되도록 내향 돌출 된 결합돌기와 헤드부의 전후 모서리가 걸리는 걸림턱과 일면에 결합 고정된 칫솔모로 이루어진 투명한 착탈헤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부는 밴딩부 내측에 결합된 고정단자와, 밴딩부 내측에 결합되어 평상시 고정단자와 소폭 이격되되 밴딩부의 휨에 따라 고정단자와 접하는 가변단자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고정단자와 가변단자가 대응되는 밴딩부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밴딩부의 휨에 따라 가변단자의 후방에서 가변단자를 고정단자로 밀어주는 가압돌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부는 밴딩부 내측에 고정된 고정단자와 밴딩부 내측에 상향 또는 하향토록 휘어지게 형성되어 밴딩부의 상측 또는 하측을 눌러줌에 따라 가변단자가 하향 또는 상향되어 고정단자와 이격되거나 접점되는 가변단자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구강관리장치의 발광부에서 인공적으로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만들어 치아에 조사함으로서 치아와 잇몸에 있는 유해한 세균을 멸균하여 치아질환, 치주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적외선이 세포조직의 활성화를 도와 노화를 방지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
구취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감소시켜 입 냄새를 방지할 수 있다.
치아에 광원을 조사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이 감소하게 되어 치아의 색소 침착을 방지하여 미용측면에서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별도의 살균장치 없이, 구강관리장치의 자체적으로 구강에 닿는 헤드부분을 소독하고 건조하는 효과가 있다.
필라멘트 또는 발광다이오드에는 인체에 유해한 수은 등이 함유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인체와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수명도 긴 편이다.
별도의 스위치 작동 없이 파지만으로 또는 치아에 밀착시키는 것만으로도 작동이 손 쉬워 남녀노소 누구나 사전지식 없이도 사용하기 용이하게 되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가 적용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리도
도 4는 착탈헤드의 다른 일례를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스위치부의 일례를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스위치부의 다른 일례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스위치부의 또 다른 일례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발광부의 일례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
도 10은 발광부의 다른 일례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
본 발명은 구강관리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며,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어 해석해서는 아니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강관리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봉형태를 갖는 본체(2)의 일측이 투명한 경질의 헤드부(21)로 형성되고, 본체(2)의 타측은 파지부(23)를 이루며, 헤드부(21)와 파지부(23)의 사이에 밴딩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밴딩부(22)는 연질의 재질로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소정의 각도로 휘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파지부(23)를 손으로 잡고, 헤드부(21)를 입 안으로 내입시켜 헤드부(21)가 치아에 닿게 되면 밴딩부(22)가 휘어지면서 내부의 전자회로가 동작하여 투명한 헤드부(21)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발광부(3)가 발광한다.
상기 발광부(3)는 필라멘트(31) 또는 LED(32)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필라멘트(31) 또는 LED(32)에서 원적외선, 중적외선, 근적외선 등의 각종 적외선이 또는 자외선이 발산된다.
구강 내 치아와 잇몸과 볼 내측(이하 치아로 통칭함)에 적외선 또는 자외선의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치아에 조사되는 적외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 작용과 함께 발명의 효과에 기재된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1)에 칫솔모(51)를 갖는 투명한 착탈헤드(5)를 추가로 결합하여 칫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칫솔 형태로 사용하면 칫솔모(51)에 치약을 발라 규칙적으로 양치질을 하는 것만으로도, 구강관리장치(1)의 유용한 효과를 자연스럽게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을 도 3에서 같이 자세히 살펴 볼 수 있다.
도시된 본체(2)는 내부 구성을 표현하기 위해 임의로 절개하여 표현한 것이며, 생산 공정에 따라 조립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막대 형태의 본체(2)의 일측은 투명한 경질의 헤드부(21)이고, 본체(2)의 타측은 파지부(23)이며, 헤드부(21)와 파지부(23)의 사이는 본체(2)의 목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로 외력에 의해 본체(2)가 자연스럽게 휘어지도록 연질의 밴딩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21)와 밴딩부(22)와 파지부(23)는 온도 차이를 이용한 다중사출성형방법으로 일체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헤드부(21)는 치아에 닿거나 문질러도 닳지 않는 경도를 가지며, 헤드부(21)의 내측은 중공부(211)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발광부(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토록 한다.
발광부(3)가 점등하는 경우, 적외선 또는 자외선의 빛이 헤드부(21)를 관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헤드부(21)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발광부(3)의 후방으로 발광부(3)에 전원을 공급할 전선(W)이 발광부(3)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선(W)은 양극과 음극이 서로 합선되지 않도록 피복이 씌워지며, 전선 중 하나의 끝단은 고정단자(41)에 결합되어 있으며, 다른 전선의 끝단은 가변단자(42)에 결합되어 있다.
전선(W)은 본체(2)의 내측에 다수 형성된 전선고정홈(223)에 내입되어 구강관리장치(1)의 흔들림이나 휘어짐에도 전선(W)의 위치가 이탈되어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자(41)와 가변단자(42)는 본체(2)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단자홈(221)과 가변단자홈(222)에 각각 결합 형성되되, 본체(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고정단자(41)와 가변단자(42)는 소폭 이격되게 형성되어 구강관리장치(1)는 평상시 단락(短絡)되게 구성된다.
고정단자홈(221)은 밴딩부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되며, 가변단자홈(222)은 밴딩부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한다.
가변단자(42)의 끝단은 가변단자(42)가 본체(2)에서 빠지지 않도록 적당히 절곡되어 내측전원단자(43)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가변단자(42)의 끝단에 다시 전선(W)이 결합되어 별개의 내측전원단자(43)에 전선(W)이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2)의 파지부(23)에는 전원공급수단(B)이 내입된다.
전원공급수단(B)은 교체식의 알칼라인전지를, 또는 충전식의 리튬이온전지(Lithium-ion battery)를, 또는 충전을 위해 교체를 하는 NiMH(니켈 메탈 하이드라이드)전지 등을 사용하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어떤 전원공급수단(B)을 사용하든 양극과 음극이 있으므로, 양극 또는 음극 중 하나는 내측전원단자(43)에 접점된다.
나머지 극은 파지부(23)의 후방에 전원공급수단(B)을 삽탈 할 수 있도록 개구된 삽입부(231)에 본체(2)가 밀폐되도록 봉해주는 밀폐캡(24)에 내입 돌출된 내측전원단자(43)에 접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밀폐캡(24)의 삽입부(231)에 대한 결합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암수의 나사식 결합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측전원단자(43)와 연결 형성된 외측전원단자(44)는 캡의 일측에 노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발광부(3)에서 연장되되 고정단자(41)에 연결되지 않았던 전선(W)의 끝단에 캡단자(45) 등의 접점수단을 구비하여 연결토록 한다.
본체(2)의 헤드부(21)는 견고하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2)의 파지부(23)는 연질로 형성될 경우 외력에 의해 전원공급수단(B)과 내외측전원단자(43)(44)가 단락될 수도 있으며, 밀폐캡(24)과의 틈이 벌어져 방수성과 방진성이 떨어져 물이나 이물질이 본체(2)의 내부로 침투될 우려가 있으므로 파지부 역시 가능한 견고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2)의 목 부분에 해당하는 밴딩부(22)는 추후 설명될 작용에 따라 외력에 의해 적당하게 휘어져야 하므로, 적은 외력으로도 쉽게 휘어지면서도 강한 외력에 부러지지 않도록 연질로 형성된다.
헤드부(21)에 칫솔모(51)를 갖는 착탈헤드(5)가 결합될 수 있다.
착탈헤드(5)는 상면에 다수의 칫솔모(51)가 상향되게 결합 형성되어 있고, 착탈헤드(5)의 하부는 헤드부(21)가 내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구강관리장치(1)가 칫솔로 사용되는 경우 치아에 칫솔모(51)를 문지를 때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빠지거나 헛돌지 않도록, 착탈헤드(5)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걸림턱(52) 내지 결합돌기(53)를 형성토록 한다.
걸림턱(52)은 좌우로 양치질을 할 때 받는 힘의 방향에 대응되게 헤드부(21)를 앞뒤에서 감싸듯이 형성되며, 결합돌기(53)는 상하로 양치질을 할 때 착탈헤드(5)가 헤드부(21)에서 헛돌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내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53)에 대응되는 결합홈(212)이 헤드부(21)의 양측에 내입형성된다.
따라서 헤드부(21)에 착탈헤드(5)를 결합하면, 헤드부(21)의 상면의 앞뒤로는 착탈헤드(5)의 걸림턱(52)이 밀착되고, 동시에 헤드부(21)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착탈헤드(5)의 결합돌기(53)가 내입결합되어 단단한 고정성을 갖게 된다.
또 다른 착탈헤드(5)의 결합방식으로는 도 4와 같이 본체(2)의 헤드부(21)의 일면에 회전방지면(214)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면(214)에 대응되도록 착탈헤드(5)의 내측에 결합면(54)이 형성되어, 결합된 착탈헤드(5)가 의도치 않게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작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도 5의 (가)와 같이 사용 중이 아닐 때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본체(2)의 밴딩부(22)는 휘어지지 않고 꼿꼿한 상태이며, 따라서 고정단자(41)와 가변단자(42)는 서로 이격되어 단락된 상태로 유지되어, 발광부(3)가 점등되지 않는 상태이며, 전원공급수단(B)의 전력도 유지되게 된다.
도 5의 (나)와 같이 사용자가 구강관리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 파지부(23)를 손으로 잡고, 헤드부(21) 또는 헤드부(21)에 장착된 착탈헤드(5)를 입 속의 치아에 밀착하여 가압하면, 연질의 밴딩부(22)가 휘어지게 된다.
치아에 밀착된 헤드부(21)를 기준으로 파지부(23)가 힘이 주어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연질의 밴딩부(22)가 회전축이 되어 휘어지므로, 밴딩부(22)의 내부공간이 협소하게 좁아지게 되면서, 그와 동시에 밴딩부(22)의 중심에서 벗어나 한쪽으로 치우치게 설치된 가변단자(42)는 밴딩부(22)의 휨에 따라 가변단자홈(222)에 결합된 가변단자(42)의 일단(一端)이 회전하게 되어 가변단자(42)의 타단(他端)이 원운동을 하면서 고정단자(41)에 닿아 구강관리장치(1)의 내부 회로가 통전(通電)되게 되어 전원공급수단(B)이 발광부(3)로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부(3)가 점등되어, 치아에 빛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치아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강관리장치(1)를 사용한 뒤 헤드부(21)가 치아에서 이격되면 밴딩부(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5의 (가)의 형태로 돌아가게 되므로 가변단자(42)는 다시 고정단자(41)와 분리되어 단전되므로 발광부(3)가 소등되게 된다.
도 6과 같이 가변단자(42)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밴딩부(22)를 헤드부(21)보다 파지부(23)에 가깝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헤드부(21) 내지 착탈헤드(5)를 치아에 가압하는 방식 외에 파지한 엄지손가락으로도 쉽게 통전시켜 발광부(3)를 점등할 수도 있다.
도 7의 (가) 또는 (나)와 같이 가변단자(42)의 양측에 임의의 격벽을 세워 가변단자(42)가 상향 또는 하향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면서 휘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가변단자(42)를 상기와 같이 구성 할 경우 헤드부(21) 또는 착탈헤드(5)를 치아에 가압하는지 유무와 상관없이 연질의 밴딩부(22)를 손가락으로 눌러 가변단자(42)의 휘어진 방향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임의 조절하여, 발광부(3)의 점등을 조절 할 수 있다.
밴딩부(22)를 하측에서 눌러 가변단자(42)를 상향시키면 내부 회로가 통전되어 발광부(3)가 점등되며, 반대로 밴딩부(22)를 상측에서 가변단자(42)를 하향시키면 내부 회로가 단전되어 발광부(3)가 소등되게 된다.
도 8과 같이 밴딩부(22) 내부로 돌출시켜 빈 공간의 상하간격을 좁히고, 내부 일측에 가변단자(42)를 내향되는 형태로 형성하고, 내부 타측에 가변단자(42)를 내향되는 형태로 형성하여, 한 쌍의 가변단자(42)가 서로 마주보되 소폭 이격 되도록 형성한다.
이 경우 헤드부(21) 또는 착탈헤드(5)의 치아 가압유무에 따른 작동은 물론이고, 파지된 손의 작은 악력에 의해서도 한쌍의 가변단자(42) 끼리 접하게 되므로 악력만으로도 쉽게 통전시켜 발광부(3)를 점등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필라멘트(31) 대신 LED(32)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의 경우 반구형의 고휘도 LED 내지 UV(적외선) LED를 적용한 것이고, 도 10의 경우 칩형태의 고휘도 LED 내지 UV LED를 적용한 것이다. 수개의 LED(32)를 조립하기 용이토록 하기 위해 LED(32)는 별도의 LED기판(33)에 결합된 형태로 사용되며, 상기 LED기판(33)이 헤드부(21) 내측에서 고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LED기판(33)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헤드부(21)의 내부에 기판결합홈(213)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가시광선 LED의 경우 다양한 색상에 따른 서로 다른 빛의 파장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발광부(3)에서 다양한 색상을 임의 조합할 수도 있다.
UV LED의 경우 뛰어난 살균효과로 다양한 분야에 이미 적용되어 있으므로 LED의 효능에 대해서는 생략토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양한 구성의 조합을 갖는 구강관리장치(1)를 사용하면, 쉽게 구강 내의 세균을 멸균할 수 있으며, 부가적인 유용한 효과를 다수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구강관리장치
2:본체 21:헤드부 22:밴딩부 23:파지부 24:밀폐캡
211:중공부 212:결합홈 213:기판결합홈 214:회전방지면
221:고정단자홈 222:가변단자홈 223:전선고정홈
224:가압돌기 231:삽입부
3:발광부 31:필라멘트 32:LED 33:LED기판
4:스위치부 41:고정단자 42:가변단자 43:내측전원단자
44:외측전원단자 45:캡단자
5:착탈헤드 51:칫솔모 52:걸림턱 53:결합돌기 54:결합면
W:전선 B:전원공급수단

Claims (9)

  1. 투명 헤드부(21)와 밴딩부(22)와 파지부(23)와 내부방수를 위한 밀폐캡(24)을 갖는 본체(2);
    헤드부(21)에 내입되어 빛을 조사(照射)하는 발광부(3);
    파지부(23)에 내입되어 발광부(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발광부(3)와 전선(W)으로 연결된 전원공급수단(B);
    밴딩부(22)에 내입되어 발광부(3)가 점멸되도록 발광부(3)와 전원공급수단(B)이 전선(W)으로 연결된 스위치부(4);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부(21)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식립된 칫솔모(51);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부(21)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칫솔모(51)가 식립된 투명한 착탈헤드(5);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착탈헤드(5)는 헤드부(21)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대응 결합되도록 내향 돌출 된 결합돌기(53)와, 헤드부(21)의 전후 모서리가 걸리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턱(52)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착탈헤드(5)는 헤드부(21)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방지면(214)에 대응 결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 된 결합면(54)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4)는
    밴딩부(22) 내측에 결합된 고정단자(41);
    밴딩부(22) 내측에 결합되어 평상시 고정단자(41)와 이격되되 밴딩부(22)의 휨에 따라 고정단자(41)와 접하는 가변단자(42);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고정단자(41)와 가변단자(42)가 대응되는 밴딩부(22)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밴딩부(22)의 휨에 따라 가변단자(42)의 후방에서 가변단자(42)를 고정단자(41)로 밀어주어 접합을 쉽게 하고, 통전성(通電性)을 높이는 가압돌기(224);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4)는
    밴딩부(22) 내측에 고정된 고정단자(41);
    밴딩부(22) 내측에 상향 또는 하향토록 휘어지게 형성되며, 밴딩부(22)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사용자가 눌러줌에 따라 가변단자(42)가 하향 또는 상향되어 고정단자(41)와 이격되어 단전되거나, 접하여 통전되는 가변단자(42);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4)는
    밴딩부(22) 내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게 설치되되, 밴딩부(22)를 가압시 내측으로 휘어져 접점되는 한쌍의 가변단자(42);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장치.
KR1020190016365A 2019-02-12 2019-02-12 구강관리장치 KR10218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365A KR102182096B1 (ko) 2019-02-12 2019-02-12 구강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365A KR102182096B1 (ko) 2019-02-12 2019-02-12 구강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341A true KR20200098341A (ko) 2020-08-20
KR102182096B1 KR102182096B1 (ko) 2020-11-23

Family

ID=7229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365A KR102182096B1 (ko) 2019-02-12 2019-02-12 구강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0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204B1 (ko) * 1999-02-12 2001-01-15 박재석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KR20090031163A (ko) * 2007-09-20 2009-03-25 전병옥 온도제어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발열장치 및 그를 이용한온열 칫솔
KR100904477B1 (ko) 2009-02-17 2009-06-23 티엔씨 퍼스트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204B1 (ko) * 1999-02-12 2001-01-15 박재석 레이저를 이용한 살균 칫솔
KR20090031163A (ko) * 2007-09-20 2009-03-25 전병옥 온도제어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발열장치 및 그를 이용한온열 칫솔
KR100904477B1 (ko) 2009-02-17 2009-06-23 티엔씨 퍼스트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096B1 (ko)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503B2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CN108697495A (zh) 具有电子信号互锁控制的发射短波长可见光的牙刷
KR101362704B1 (ko) 구강 살균 장치
RU238176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CN113164243B (zh) 口腔治疗装置、系统和方法
US20090083924A1 (en) Photocatalysis process toothbrush
US200802335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US20110296643A1 (en) Photocatalysis process toothbrush
WO20071217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WO1999062372A1 (fr) Brosse a dents
KR102022291B1 (ko) 구강살균 전동칫솔
JP5820494B2 (ja) 歯ブラシ
CN101856175A (zh) 光学牙刷装置
KR200482663Y1 (ko) 엘이디를 갖는 칫솔
KR102182096B1 (ko) 구강관리장치
JP2012075755A (ja) 照射機能付歯ブラシ
KR20100025434A (ko) 살균 및 미백 효과를 갖는 구강 위생 장치 및 방법
KR20200010860A (ko) 구강 살균기
KR20100079228A (ko) Led를 응용한 치아 미백 및 소독칫솔
KR100773210B1 (ko) 살균 및 잇몸치료 기능을 갖는 칫솔
KR102283837B1 (ko) 브러시 교체형 칫솔이 적용된 휴대용 칫솔 살균장치
KR101166065B1 (ko) 광출사 장치, 브러쉬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칫솔
KR20150032685A (ko) 마우스피스
KR200444198Y1 (ko) 살균기능 칫솔
KR200327446Y1 (ko) 음이온 발생 및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