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319A -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319A
KR20200098319A KR1020190016314A KR20190016314A KR20200098319A KR 20200098319 A KR20200098319 A KR 20200098319A KR 1020190016314 A KR1020190016314 A KR 1020190016314A KR 20190016314 A KR20190016314 A KR 20190016314A KR 20200098319 A KR20200098319 A KR 20200098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unit
solar cell
cell modul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철
공예지
정용현
강성군
김지연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8319A/ko
Publication of KR2020009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J3/38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모듈, 인버터, ESS, 제어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전달된 신호의 입력 및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필요한 제어명령을 출력하도록 마이컴이 구비되어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 인버터, ESS, 제어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어부;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연결되어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기 일부가 저장된 ESS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충격감지센서 및 전력단속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 상기 태양전지모듈 또는 상기 ESS에서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단속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와 부하 사이에 설치되는 전력단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Control device of the electric-power supply of Photovoltaic-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체에너지 중 하나인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생산 설비인 태양전지모듈에 진동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지진 등 자연재해로 인해 태양전지모듈에 일정강도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외부로 출력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 태양광발전 분야가 그중 가방 활발하게 기술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태양광발전기술은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무한·청정기술로써, 세계 각국에서 가장 활발하게 대체에너지의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태양광발전시스템은 태양광을 수광하여 화학적인 변화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직류전기를 상용전력인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와,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와, 상기 태양전지를 태양광의 수광이 용이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구조물과,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의 축전, 배전,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반 등이 기본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은 여러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어레이로 구성되어 빛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어레이가 다수개의 병렬 접속되어 직류 전기를 축전지에 충전하거나 인버터에서 교류로 변환하여 부하측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반 상업용 태양광발전 설비는 발전된 전력을 매전(賣電)하여 수익을 올리는 구조이므로, 전기의 발전량 증대가 사업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일반 상업용 태양광발전소는 발전설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 관리하여 고장발생율을 억제하고, 고장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고장발생으로 인한 발전 정지시간 또는 전력공급 차단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태양광발전시스템은 그 시공도 중요하지만 시공 후 유지관리도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대부분의 태양광발전은 주변에 높은 건물이 없으면서 계절에 관계없이 태양광의 수광이 용이한 나대지나, 주변에 키가 큰 나무 등이 없어 그늘이 생기지 않는 개간된 밭이나 임야, 공장의 지붕 위에 대규모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태양광발전소의 태양광전지는 외부로부터 날라온 이물질에 의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게 되고, 시설물의 조립이나 부품 불량 또는 부품의 노화, 태풍이나 지진 등 각종 자연재해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고장 위험이 상존하게 된다.
특히,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모아 상용전력으로 변환하는 인터버나, 외부 부하측으로 생산된 전기를 공급하는 제어반에서 외력에 의해 전원공급라인이 훼손될 경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기가 그대로 흐르거나 공급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감전이나 화재 등 2차 사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태양광발전소의 태양전지모듈이나 제어반측에 고장이나 전기적인 단전 등 외력에 의한 장치의 손상이나 단선 등 전력공급라인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이를 관리자가 신속하게 파악하여 정상상태로 복구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물론, 종래의 경우 태양광발전소 시설에 다양한 보조적인 안전장치를 추가로 구성하여 외부 환경적으로 작용하는 충격이나 파손에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발명이나 고안이 안출되고는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안전장치는 그 시설비가 많이 들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 특허등록 제10-1793813호(등록일: 2017.10.30, 발명의 명칭: 태양광 발전소 낙뢰보호기 관제시스템) - 특허등록 제10-1201863호(등록일: 2012.11.09, 발명의 명칭: 단위모듈 감시가 가능한 태양광 진단시스템) - 특허등록 제10-1253992호(등록일: 2013.04.04, 발명의 명칭: 지진피해방지를 위한 배전기기 보호장치)
본 발명은 종래의 태양광발전소 설치 후 사후 관리의 불편함이나 고장시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태양광발전소의 주요 설비에 일정한 크기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라인을 일시 차단하여 누전으로 인한 제반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는 태양전지모듈, 인버터, ESS, 제어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전달된 신호의 입력 및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필요한 제어명령을 출력하도록 마이컴이 구비되어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 인버터, ESS, 제어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어부;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연결되어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기 일부가 저장된 ESS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전력단속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 상기 태양전지모듈 또는 상기 ESS에서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단속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와 부하 사이에 설치되는 전력단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ESS와 컨트롤러 및 태양전지모듈 사이의 정상 연결상태 여부를 표시하는 소형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전달된 충격 감지신호에 따라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오프상태가 유지되는 릴레이에 신호를 보내 다시 전기적 연결을 강제하는 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전원인가스위치;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수신된 신호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감지되어 전력공급제어부에서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그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원격지의 관리자용 관리서버로 전송 및 관리서버에서 일정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송수신부가 구비된 무선통신모듈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는 태양광발전소의 주요 구성인 태양전지모듈, 인버터, ESS, 제어반 중 어느 하나에 지진이나 외부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외부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일정시간 및 일정강도 이상의 충격이 발생될 경우 그 충격신호를 감지하여 태양전지모듈, 인버터, ESS, 제어반 중 어느 하나에서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강제로 셧다운시켜 전력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지진 등 기상악화로 인해 태양광발전소의 주요 구성품의 파손이나 훼손에 따른 누전 등으로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감전으로부터 인명 뿐만 아니라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한 개략적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에서 제어부의 주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의 동작내용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주요구성, 즉 태양전지모듈이나 인버터, 제어반 또는 ESS중 어느 한 곳에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을 감지한 경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안전한 전력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수신되어 전력단속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에 무선통신모듈을 구성하여 전력단속부레 전력단속에 필요한 제어명령이 출력될 때 그 신호를 감지하여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외부충격으로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상태를 공지의 인터넷망을 통해 통지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외부 충격상태를 인식하여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관리하는데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 후 일정시간이 도과되면, 전력단속부에 신호를 보내 다시 전력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수동으로 전력공급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인가스위치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공지된 기술이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거나 알려진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가급적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 위주로 자세한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에 대한 개략적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100)는 태양전지모듈(10)에 설치되어 지진이나 외부충격이 작용할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외부충격감지센서(20)와, 상기 외부충격감지센서(20)에서 외부충격을 감지하여 출력되는 일정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30)와, 상기 태양전지모듈(10)에서 생산된 전력을 부하(70)측으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태양전지모듈과 부하측 사이에 게재되는 컨트롤러(40)와, 상기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40)에서 부하(70)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단속부(50)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가 저장되면서 상기 컨트롤러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저장되는 ES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충격감지센서(20)는 태양전지모듈(1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구조물을 통해 태양전지모듈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감지하기 용이하도록 진동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진동감지센서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외부충격감지센서(20)와 데이터선이 연결되어 외부충격감지센서(20)에서 감지된 외부 충격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별도의 전원선으로 외부충격감지센서(20)와 연결되어 외부충격감지센서(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컨트롤러(40)에 USB케이블로 연결되어 컨트롤러(40)측에서 동작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외부충격감지센서 및 전력단속부는 제어부에서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40)에는 상기 ESS(60)와 컨트롤러(40) 및 태양전지모듈(10) 사이의 정상 연결상태 여부를 표시하는 소형 디스플레이부(42)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20)에서 전달된 충격 감지신호에 따라 부하(70)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전력단속부(50)가 차단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단락된 릴레이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인가스위치(4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4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근거리 무선통신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인가스위치(45)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 동작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단락된 릴레이의 접점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부하측으로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의 주요부인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블럭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오픈소스 컴퓨팅 플랫폼 및 소프트웨어가 구비된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성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디지털데이터 입/출력부(32)와, 아날로그데이터 입/출력부(36)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 등을 수행하는 CPU역할을 수행하는 MCU(34)가 구비되고, 각부의 동작상태 즉 회로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38)와, 상기 컨트롤러(40)측과 연결되어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USB단자(37), 외부전원 커넥터(39)를 비롯한 전기 및 전자부품들이 집적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에는 무선통신모듈(35)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일정한 제어명령, 즉 외부충격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전력단속부의 단속을 위한 제어명령이 MCU(34)에서 출력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측으로 태양발전시스템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시스템의 동작내용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태양전지모듈에 외부충격감지센서를 설치하고(S1), 상기 충격감지센서와 제어부 및 컨트롤러와 전력단속부를 상호 연결하고, 컨트롤러에 ESS를 연결하여 전력이 공급된 상태가 유지된다(S2).
이와 같이 외부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된 후에 지진이나 자연재해 등이 발생되어 태양전지모듈에 일정한 강도 이상의 충격이 작용하게 되면, 태양전지모듈에 설치된 외부충격감지센서에서 그 충격을 감지하게 된다(S3).
외부충격감지센서는 감지된 충격신호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S4)하여 기준치 이하일 경우 무시하고,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충격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된다(S5).
상기 외부충격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충격감지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에서는 프로그래밍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전달된 충격신호를 처리하여 전력단속부로 제어명령을 출력하게 된다(S6).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명령을 수신한 전력단속부는 컨트롤러에서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공급라인을 차단시켜 부하측으로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한다(S7).
상기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전원인가스위치는 수동 및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관리자가 직접 컨트롤러의 전원인가스위치를 동작(S8)시켜 전력단속기에서 차단된 부하측 공급전력을 정상상태로 복귀시켜 부하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9).
한편, 상기 제어부에서 전력단속에 대한 제어명령이 전력단속부로 출력될 때 그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자측으로 전력단속 신호가 출력되었다는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S10).
관리자는 제어부에서 전달된 충격발생신호를 원격지에서 수신(S11)하여 태양광발전소에서 외부충격이 발생되어 부하측 공급전력이 차단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관리자가 외부충격이 발생한 후에 태양광발전소를 방문하여 현장을 점검한 후에 안전상태가 확보된 상태에서 직접 컨트롤러의 전원인가스위치를 조작하여 부하측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전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2차 사고를 충분히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컨트롤러에서 전원인가스위치가 온되면 다시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을 부하측으로 공급되면서 전력생산 및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관리자는 원격지에서 전력공급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제어부에서 상기 컨트롤러측으로 신호를 보내 컨트롤러에서 전원인가스위치를 동작시켜 전력단속기의 차단된 전력을 복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부하측으로 전력공급이 중단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제어부에 외부충격감지센서에서 더 이상의 충격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는 전력단속부로 전력공급을 자동으로 재개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차단된 전력공급라인을 정상상태로 복귀시켜 부하측으로 전력공급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외부충격감지센서가 태양전미모듈에 설치된 일 실시예에 한정해서 설명하였으나, 태양전지모듈 이외에 다른 전기장치에 외부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외부충격 감지와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단속을 수행할 수 있다.
10 : 태양전지모듈 20 : 외부충격감지센서
30 : 메인제어부 32 : 디지털데이터 입/출력부
34 : MCU 35 : 무선통신모뎀
36 : 아날로그데이터 입/출력부 37 : USB단자
38 : Led 39 : 외부전원커넥터
40 : 컨트롤러 42 : 디스플레이부
45 : 전원인가스위치
50 : 전력단속부 60 : ESS
70 : 부하
100 : 전력공급제어장치

Claims (3)

  1. 태양전지모듈, 인버터, ESS, 제어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전달된 신호의 입력 및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필요한 제어명령을 출력하도록 마이컴이 구비되어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 인버터, ESS, 제어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어부;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연결되어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이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기 일부가 저장된 ESS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충격감지센서 및 전력단속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
    상기 태양전지모듈 또는 상기 ESS에서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단속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와 부하 사이에 설치되는 전력단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 공급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ESS와 컨트롤러 및 태양전지모듈 사이의 정상 연결상태 여부를 표시하는 소형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전달된 충격 감지신호에 따라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오프상태가 유지되는 릴레이에 신호를 보내 다시 전기적 연결을 강제하는 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전원인가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수신된 신호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감지되어 전력공급제어부에서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그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원격지의 관리자용 관리서버로 전송 및 관리서버에서 일정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송수신부가 구비된 무선통신모듈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20190016314A 2019-02-12 2019-02-1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KR20200098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314A KR20200098319A (ko) 2019-02-12 2019-02-1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314A KR20200098319A (ko) 2019-02-12 2019-02-1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319A true KR20200098319A (ko) 2020-08-20

Family

ID=7229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314A KR20200098319A (ko) 2019-02-12 2019-02-1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831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863B1 (ko) 2012-07-17 2012-11-15 곽기영 단위 모듈 감시가 가능한 태양광 진단 시스템
KR101253992B1 (ko) 2013-01-15 2013-04-11 (주)케이엔 지진 피해 방지를 위한 배전기기 보호장치
KR101793813B1 (ko) 2016-01-19 2017-11-03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소 낙뢰보호기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863B1 (ko) 2012-07-17 2012-11-15 곽기영 단위 모듈 감시가 가능한 태양광 진단 시스템
KR101253992B1 (ko) 2013-01-15 2013-04-11 (주)케이엔 지진 피해 방지를 위한 배전기기 보호장치
KR101793813B1 (ko) 2016-01-19 2017-11-03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소 낙뢰보호기 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1716B2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US106864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watch dog in solar panel installations
US9225285B2 (en) Photovoltaic installation with automatic disconnect device
US8659858B2 (en) Ground-fault detecting device, current collecting box using the ground-fault detecting devic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the current collecting box
KR101496199B1 (ko) 전력 차단 기능을 구비한 태양 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50924A1 (en) Current collecting box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KR101822820B1 (ko) 스마트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확대 예방이 가능한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361761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무정전 하이브리드 무선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023445B1 (ko) 태양전지모듈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KR200457335Y1 (ko) 스마트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306772B1 (ko) 태양광 발전시설의 종합보호 시스템
US202302832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watch dog in solar panel installations
KR101568667B1 (ko) 사물통신 기반 태양광발전 고장 자동복구 시스템
CN110345916A (zh) 一种杆塔倾斜度检测系统及方法
KR101821576B1 (ko) IoT 기반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89220B1 (ko) 자연재해 발생 감지 및 발전전력 공급경로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212742B1 (ko) 태양광 에너지 접속반 관리시스템
KR20190083857A (ko) 낙뢰감지센서를 이용한 전력 자동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4090B1 (ko)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보호 시스템
KR20180112917A (ko)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전기안전진단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8319A (ko)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공급 제어장치
CN114400791B (zh) 基于物联网的智能光伏发电监控装置及自动关断方法
JP2015015820A (ja) 遠隔操作受付用電源装置、遠隔操作受付用電源システム、遠隔制御装置、遠隔操作受付用プログラム、遠隔制御用プログラム
KR101475178B1 (ko) Ups 모니터링 태양광 발전장치
KR102521644B1 (ko) 태양광 발전소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