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118A -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118A
KR20200098118A KR1020190015832A KR20190015832A KR20200098118A KR 20200098118 A KR20200098118 A KR 20200098118A KR 1020190015832 A KR1020190015832 A KR 1020190015832A KR 20190015832 A KR20190015832 A KR 20190015832A KR 20200098118 A KR20200098118 A KR 20200098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user
information
wardrobe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942B1 (ko
Inventor
최한나
Original Assignee
최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나 filed Critical 최한나
Priority to KR102019001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9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소지한 의류들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보관 및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의류에 대한 정보 및 보관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의류 정리 및 검색으로 인한 시간소모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옷장이 실제옷장에 매칭되어 실제옷장의 위치정보가 저장됨과 동시에 위치정보에 실제옷장의 방 위치, 방 내 위치, 층 위치 등이 포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관된 의류에 대한 정확한 실제옷장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의류에 대한 상세한 정보들이 최초 저장되어 상세한 정보들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기반으로 의류를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스타일을 추천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로 다른 종류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의류들에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등록하되, 차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스타일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의류 활용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dress mirror system for supplying clothes arrangement and style recommending service}
본 발명은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유저(User)가 보유한 의류의 보관 및 정리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날씨, 외출목적, 기분 등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적합한 코디를 추천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삶의 질이 개선되고 외모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옷, 신발, 모자 및 액세서리 등의 의류가 단순히 의복 용도를 넘어서 스타일이나 멋을 내기 위한 용도로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의류는 옷장 등의 가구에 보관 및 정리되는데, 의류의 수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보관 및 정리하는데 불필요한 시간 및 공간소모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해당 의류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보관 상태가 엉망인 경우 의류의 질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의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구입한 의류를 손상 없이 정리 및 보관하기 위한 가구, 보관방법 및 장치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최근 통신 인프라가 확장되고 디지털 디바이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률이 급증하였고,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성능은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여 데스크톱 PC의 수준에 도달함과 동시에 인간과 밀접한 생활분야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일례로,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는 거울에 비서역할이 가능한 컴퓨팅 성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연산처리를 수행한 후, 수행된 연산 처리값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특정 분야에 대한 개인비서 역할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를 효율적으로 보관 및 정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133200호(발명의 명칭 : 기록매체에 기록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의류에 대응하는 의류 이미지를 입력받는 의류 스캔부(110)와, 의류 이미지에 고유의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각 의류 이미지에 의류정보를 설정하며 아이콘화 하여 변환된 의류 이미지를 카테고리 별로 가상옷장에 등록하는 의류 관리부(120)와, 카테고리 별로 분할된 영역을 포함하고 등록된 하나 이상의 의류 이미지의 아이콘이 해당 영역에 배치되는 가상옷장을 표시하는 화면 제공부(130)와, 가상옷장이 저장되는 단말DB(140)를 포함한다.
또한 의류 관리부(120)는 의류 이미지가 최초 등록인 경우 상기 가상옷장에 등록하고 기 등록된 의류 이미지인 경우 대응되는 의류정보를 추출하는 의류 등록부(121)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의류 이미지 별로 상기 의류정보를 설정하는 의류정보 설정부(122)와, 의류 이미지별로 문자, 숫자 및 기호의 조합에 의해 상기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식별코드 부여부(123)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가상옷장을 통해 모바일 단말로 관리함으로써 기존의류의 보유여부 확인에 따라 동일 의류의 재구매를 방지하여 의류에 대한 충동구매를 억제하고 불용의류의 합리적인 재소비를 유도하며, 개인별 소비성향에 맞춘 최신 의류구매 추천에 따라 개인별 맞춤 쇼핑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가상옷장과 실제옷장의 위치를 매칭시키기 위한 방법 및 수단이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상옷장의 의류를 선택하더라도, 선택된 의류가 실제 보관된 실제옷장을 식별 및 인지하기가 쉽지 않아 편의성 및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최신 의류구매를 추천하기 위한 기능은 구비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현재 상태(날씨, 기분, 외출목적 등)에 따른 코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즉 의류를 보관 및 정리하는 목적으로는 보유한 의류를 손상 없이 보관하기 위한 목적과, 선택된 의류를 쉽고 빠르게 실제옷장으로부터 빼내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이나, 종래기술(100)은 후술되는 목적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사용자가 특정 의류를 선택하더라도, 선택된 의류가 실제옷장의 어디에 보관되어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보유한 의류에 대한 명칭, 구입일, 등록일 등의 단순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의류의 경우 세탁방법, 보관방법 등이 의류에 따라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세탁 및 보관에 관련된 정보가 매우 중요하나, 종래기술(100)에는 이러한 세탁 및 보관에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서비스 질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등록된 의류들에 대한 단순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날씨, 외출목적, 기분 등의 현재 상태에 따른 코디를 추천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코디를 직접 짜야하기 때문에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의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소지한 의류들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보관 및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의류에 대한 정보 및 보관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의류 정리 및 검색으로 인한 시간소모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옷장이 실제옷장에 매칭되어 실제옷장의 위치정보가 저장됨과 동시에 위치정보에 실제옷장의 방 위치, 방 내 위치, 층 위치 등이 포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관된 의류에 대한 정확한 실제옷장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신규 의류 등록 시, 의류의 종류(상의, 하의, 반바지, 치마, 신발 등), 색상, 구입일, 외출목적, 옷 소재, 계절, 세탁 방법, 기타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는 의류 상세정보와, 해당 특정 의류를 보관할 옷장 식별정보 및 보관 위치(방 정보, 방 내 위치, 옷장 내 층 위치 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함으로써 의류에 대한 상세한 정보들이 최초 저장되어 상세한 정보들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기반으로 의류를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스타일을 추천할 수 있는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로 다른 종류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의류들에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등록하되, 차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스타일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의류 활용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이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실제옷장들 각각에 대응되는 가상옷장을 생성한 후, 생성된 가상옷장 및 해당 실제옷장에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하며, 사용자로부터 실제옷장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가상옷장에 매칭시켜 가상옷장을 등록하는 옷장 등록부; 신규 의류 등록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구동시켜 의류이미지를 획득하며, 사용자로부터 신규 의류에 대한 상세한 정보인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될 실제옷장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획득된 의류이미지에 매칭시키는 의류 등록부; 사용자로부터 검색키워드를 입력받으면, 기 등록된 의류들 각각의 의류 상세정보들을 탐색하여 입력된 검색키워드를 포함하는 의류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의류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류 상세정보는 의류의 종류, 색상, 구입일, 외출목적, 옷 소재, 계절, 세탁 방법, 기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실제옷장의 위치정보는 방 정보, 방 내 위치 및 옷장 내 층 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의류 색상, 의류 종류, 계절, 외출목적 및 빨래방법 중 어느 하나인 추천키워드를 입력받으면, 기 등록된 의류들 각각의 의류 상세정보들을 탐색하여 입력된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의류 종류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의류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타일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서로 다른 의류 종류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의류들을 선택받으며, 선택된 의류들에 스타일 식별번호를 부여한 후 등록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스타일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스타일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의류 종류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한 후, 제공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의류 종류에 대응되는 의류들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제공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의류에 대한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정보를 제공하는 옷장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기 등록된 가상옷장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한 후,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가상옷장의 층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며, 제공된 특정 가상옷장의 층들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층에 보관된 의류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옷장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소지한 의류들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보관 및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의류에 대한 정보 및 보관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의류 정리 및 검색으로 인한 시간소모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옷장이 실제옷장에 매칭되어 실제옷장의 위치정보가 저장됨과 동시에 위치정보에 실제옷장의 방 위치, 방 내 위치, 층 위치 등이 포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관된 의류에 대한 정확한 실제옷장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의류 등록 시, 의류의 종류(상의, 하의, 반바지, 치마, 신발 등), 색상, 구입일, 외출목적, 옷 소재, 계절, 세탁 방법, 기타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는 의류 상세정보와, 해당 특정 의류를 보관할 옷장 식별정보 및 보관 위치(방 정보, 방 내 위치, 옷장 내 층 위치 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함으로써 의류에 대한 상세한 정보들이 최초 저장되어 상세한 정보들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기반으로 의류를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스타일을 추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로 다른 종류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의류들에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등록하되, 차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스타일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의류 활용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133200호(발명의 명칭 : 기록매체에 기록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드레스 미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인터페이스 처리부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최초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옷장확인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의류 등록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4의 의류 검색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스타일 저장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드레스 미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드레스 미러 시스템(1)은 1)사용자가 보유한 의류 정리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2)실제옷장 및 가상옷장의 매칭되는 정보인 옷장관련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의 보관 위치를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3)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코디 추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때 현재 상태란, 날씨, 외출목적, 기분 및 계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드레스 미러 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각각 소지한 휴대단말기(4-1), ..., (4-N)들과, 휴대단말기(4-1), ..., (4-N)들 각각에 설치되어 의류정리 및 코디추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과,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들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의 전반적인 서비스 및 운영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서버(3)와, 관리서버(3) 및 휴대단말기(4-1), ..., (4-N)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망(10)은 관리서버(3) 및 휴대단말기(4-1), ..., (4-N)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 통신망(WAN)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망, 이동통신망, 3G, 4G, 5G,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4)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카메라, 메모리, 터치패널, 통신모듈 및 모니터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Smart-phon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단말기(4)에는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이 설치된다.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은 휴대단말기(4)에 설치되어 관리서버(3)와 연동하여 의류 보관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다.
또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은 사용자 최초 로그인 시, 사용자의 실제옷장들 각각에 대한 명칭, 보관 위치(방 정보, 방 내 위치, 옷장 내 층 위치 등) 및 부연설명 등을 포함하는 옷장관련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옷장관련정보를 통해 실제옷장들 각각에 대응되는 가상옷장들을 생성한 후, 생성된 가상옷장 및 해당 실제옷장에 동일한 식별코드를 부여하며, 부여된 식별코드를 옷장관련정보에 매칭시켜 휴대단말기(4)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은 식별코드가 매칭되는 옷장관련정보를 관리서버(3)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는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으로부터 전송받은 식별코드가 매칭된 옷장관련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한다.
또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은 사용자로부터 의류 등록을 요청받으면, 휴대단말기(4)의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을 통해 의류이미지를 획득하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의류에 대한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정보를 입력받으며, 해당 의류이미지에 식별ID를 부여한다.
이때 의류 상세정보는 등록된 의류의 종류(상의, 하의, 반바지, 치마, 신발 등), 색상, 구입일, 외출목적, 옷 소재, 계절, 세탁 방법, 기타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고, 보관정보는 해당 특정 의류를 보관할 옷장 식별정보 및 보관 위치(방 정보, 방 내 위치, 옷장 내 층 위치 등)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은 부여된 의류 식별ID, 획득된 의류이미지,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정보를 매칭시킨 등록정보를 휴대단말기(4)의 메모리에 저장함과 동시에 관리서버(3)로 전송함으로써 의류 등록을 완료한다.
또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은 사용자로부터 의류검색을 요청받으면, 기 저장된 데이터들을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는 등록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등록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이 의류 검색을 요청받는 방식은, 직접 사용자로부터 의류 식별ID를 입력받거나 또는 의류 상세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선택된 의류 상세정보에 해당하는 리스트를 나열하여 다시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은 사용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받아 스타일추천을 요청받으면, 기 설정된 추천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등록되어 있는 의류들 중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추천 코디를 검출하며, 검출된 추천 코디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키워드는 날씨, 외출목적, 기분 및 계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추천알고리즘은 기 등록된 의류들 각각의 의류 상세정보들을 참조하여 키워드를 포함하는 의류들을 검출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의류들을 선택받아 스타일 저장을 요청받으면, 고유ID가 부여된 선택된 특정의류들을 매칭시킨 스타일 정보를 휴대단말기(4)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스타일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관리서버(3)는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을 관리 및 제어하는 서버이다.
또한 관리서버(3)는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의 회원정보, 개인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관리서버(3)는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으로부터 옷장관련정보 및 등록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한다.
도 3은 도 2의 휴대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휴대단말기(4)는 통신망(10)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단말기(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41)와,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사용자 익스피어런스(UX, User Experience)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42)와, 통신망(1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모듈(43)과, 휴대단말기(4)의 O.S(Operating System)를 담당하는 제어모듈(44)과, 후술되는 도 4의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45)과, 촬영을 수행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46)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2의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은 휴대단말기(4)에 설치되어 관리서버(3)와 연동하여 의류 보관 및 코디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와, 데이터 입출력부(51), 데이터 파싱 및 저장부(52), 인터페이스 처리부(53), 옷장 등록부(54), 옷장 확인부(55), 의류 등록부(56), 의류 검색부(57), 스타일 추천부(58), 스타일 저장부(59)로 이루어진다.
제어부(50)는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51), (52), (53), (54), (55), (56), (57), (58), (5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최초 유저에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내용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구성부들을 구동시킨다.
데이터 입출력부(51)는 휴대단말기(4)와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데이터 파싱 및 저장부(52)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휴대단말기(5)의 메모리(41)에 파싱 및 저장한다.
인터페이스 처리부(53)는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또는 사용자 익스피어런스(UX)를 휴대단말기(4)의 모니터(42)에 전시함과 동시에 전시된 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요청받으며, 요청받은 명령에 따라 연산처리가 이루어지면 연산 처리된 결과데이터를 이에 대응되는 GUI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처리부(53)는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5) 실행 시, 사용자로부터 서비스를 요청(입력) 받기 위한 GUI(이하 최초 인터페이스라고 함)를 휴대단말기(4)의 모니터(41)에 전시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최초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요청된 서비스에 대응되는 구성수단을 구동시켜 요청데이터에 대응되는 결과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의 인터페이스 처리부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인터페이스 처리부(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4)의 모니터(42)에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최초 제공되는 최초 인터페이스(910)와, 최초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옷장 등록을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옷장 등록 인터페이스(920)와, 최초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옷장 확인을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와, 최초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의류 등록을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의류 등록 인터페이스(940)와, 최초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의류 검색을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의류 검색 인터페이스(950)와, 최초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스타일추천을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스타일추천 인터페이스(960)와, 최초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스타일저장을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스타일저장 인터페이스(970)들을 제공한다.
도 6은 도 5의 최초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최초 인터페이스(910)는 의류 관리 어플리케이션(5) 최초 실행 시 제공되는 GUI 또는 UX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초 인터페이스(910)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10)의 그래픽 방식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그래픽 방식 및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최초 인터페이스(9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상부에 날씨정보가 전시되는 전시란(911)과, 일측에 사용자로부터 카메라 촬영을 요청받기 위한 카메라 이모티콘(912)과, 우상부에 의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리스트들을 전시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입력받기 위한 리스트 전시 및 입력란(91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리스트 전시 및 입력란(913)은 옷장 등록 또는 옷장확인 서비스를 선택받기 위한 이모티콘과, 의류 등록 서비스를 선택받기 위한 이모티콘, 의류 검색 서비스를 선택받기 위한 이모티콘, 스타일추천 서비스를 선택받기 위한 이모티콘, 스타일저장 서비스를 선택받기 위한 이모티콘 등을 포함한다.
이때 최초 인터페이스(910)의 리스트 전시 및 입력란(913)을 통해 1)사용자로부터 옷장 등록이 클릭(터치, 선택)되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옷장 등록부(54)가 실행됨과 동시에 옷장 등록 인터페이스(920)가 제공되고, 2)사용자로부터 옷장 확인이 클릭되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옷장 확인부(55)가 실행됨과 동시에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가 제공되고, 3)사용자로부터 의류 등록 이모티콘이 클릭되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의류 등록부(56)가 실행됨과 동시에 의류 등록 인터페이스(940)가 제공되고, 4)사용자로부터 의류 검색 이모티콘이 클릭되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의류 검색부(57)가 실행됨과 동시에 의류 검색 인터페이스(950)가 제공되고, 5)사용자로부터 스타일추천 이모티콘이 클릭되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스타일 추천부(58)가 실행됨과 동시에 스타일추천 인터페이스(960)가 제공되고, 6)사용자로부터 스타일저장 이모티콘이 클릭되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스타일 저장부(59)가 실행됨과 동시에 스타일저장 인터페이스(970)가 제공된다.
도 7은 도 5의 옷장확인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는 전술하였던 도 6의 최초 인터페이스(910)의 리스트 전시 및 입력란(913)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옷장 확인 이모티콘이 클릭될 때,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의 그래픽 방식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그래픽 방식 및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실행 시 제공되며 의류 종류들에 대한 리스트가 전시되는 제1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1)와, 제1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1)에서 전시되는 의류 종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공되며 해당 의류 종류에 대응되는 의류들에 대한 리스트인 의류 리스트가 전시되는 제2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2)와, 제2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2)에서 전시되는 의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공되며 해당 의류에 대한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정보가 전시되는 제3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3)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는 제3 옷장확인 인터페이스(9303)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의류에 대한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옷장 등록부(54)는 전술하였던 도 6의 최초 인터페이스(910)의 리스트 전시 및 입력란(913)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옷장등록을 요청받을 때,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또한 옷장 등록부(54)는 우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소지한 실제옷장들 각각에 대한 명칭, 보관 위치(방 정보, 방 내 위치, 옷장 내 층 위치 등) 및 부연설명 등을 포함하는 옷장관련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옷장 등록부(54)는 실제옷장들 각각에 대응되는 가상옷장들을 생성한 후, 생성된 가상옷장 및 해당 실제옷장에 동일한 식별코드를 부여한다.
또한 옷장 등록부(54)는 부여된 식별코드를 옷장관련정보에 매칭시킨다. 이때 옷장 등록부(54)에 의해 식별코드가 부여된 옷장관련정보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휴대단말기(4)를 통해 관리서버(3)로 전송됨과 동시에 데이터 파싱 및 저장부(52)에 의해 휴대단말기(4)의 메모리(41)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실제옷장들 각각에 대응되는 가상옷장들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각 가상옷장에 대응되는 실제옷장의 실제 보관위치가 매칭되어 저장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의류를 검색하고자 할 때, 실제옷장의 방 정보, 방 내 위치, 옷장 내 층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지한 의류의 수량과 상관없이 정확하고 빠르게 보관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옷장 확인부(55)는 전술하였던 도 6의 최초 인터페이스(910)의 리스트 전시 및 입력란(913)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옷장확인을 요청받을 때,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또한 옷장 확인부(55)의 일실시예는 도 7에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의류 종류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한 후, 제공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의류 종류에 대응되는 의류들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제공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의류에 대한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옷장 확인부(55)의 제2 실시예는 우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소지한 가상옷장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한 후,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가상옷장의 층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며, 제공된 특정 가상옷장의 층들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층에 보관된 의류들을 추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의류 등록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의류 등록부(56)는 전술하였던 도 6의 최초 인터페이스(910)의 리스트 전시 및 입력란(913)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의류 등록을 요청받을 때,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또한 의류 등록부(5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모듈(561)과, 의류 상세정보 입력모듈(562), 보관정보 입력모듈(563), 매칭모듈(564)로 이루어진다.
스캔모듈(561)은 최초 실행 시 구동되며, 휴대단말기(4)의 카메라(46)를 구동시켜 신규 등록대상인 의류를 촬영하여 의류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스캔모듈(561)에 의해 스캔된 의류이미지는 매칭모듈(564)로 입력된다.
의류 상세정보 입력모듈(562)은 사용자로부터 등록대상인 의류의 종류(상의, 하의, 반바지, 치마, 신발 등), 색상, 구입일, 외출목적, 옷 소재, 계절, 세탁 방법, 기타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는 의류 상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때 의류 상세정보 입력모듈(562)에 의해 입력된 의류 상세정보는 매칭모듈(564)로 입력된다.
보관정보 입력모듈(563)은 등록대상인 의류를 옷장 식별정보 및 보관 위치(방 정보, 방 내 위치, 옷장 내 층 위치 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관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보관정보 입력모듈(563)에 의해 입력된 보관정보는 매칭모듈(564)로 입력된다.
매칭모듈(564)은 스캔모듈(561)에 의해 획득된 의류이미지와, 의류 상세정보 입력모듈(562)에 의해 입력된 의류 상세정보와, 보관정보 입력모듈(563)에 의해 입력된 보관정보를 매칭시킨다.
이때 매칭모듈(564)에 의해 매칭된 데이터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휴대단말기(4)를 통해 관리서버(3)로 전송됨과 동시에 데이터 파싱 및 저장부(52)에 의해 휴대단말기(4)의 메모리(41)에 저장된다.
도 9는 도 4의 의류 검색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의류 검색부(57)는 전술하였던 도 6의 최초 인터페이스(910)의 리스트 전시 및 입력란(913)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의류 검색을 요청받을 때,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또한 의류 검색부(5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 입력모듈(571)과, 키워드기반 검색 및 추출모듈(572), 전시모듈(573)로 이루어진다.
키워드 입력모듈(571)은 사용자로부터 의류 검색에 활용될 키워드인 검색키워드를 입력받는다. 이때 검색 키워드는 의류 색상, 의류 종류, 계절, 구입일, 외출목적, 빨래방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키워드기반 검색 및 추출모듈(572)은 휴대단말기(4)의 메모리(41)에 저장된 각 의류의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정보들을 탐색하여 키워드 입력모듈(571)에 의해 입력된 검색키워드를 포함하는 의류 상세정보 또는 보관정보를 갖는 의류들을 추출한다.
전시모듈(573)은 키워드기반 검색 및 추출모듈(572)에 의해 추출된 의류들의 리스트를 휴대단말기(4)의 모니터(42)에 전시한다.
이때 전시모듈(573)은 키워드에 대응되는 의류들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의류의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정보를 제공한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스타일 추천부(58)를 살펴보면, 스타일 추천부(58)는 우선, 사용자로부터 스타일 추천에 활용될 키워드인 추천키워드를 입력받는다. 이때 추천키워드는 의류 색상, 의류 종류, 계절, 외출목적, 빨래방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타일 추천부(58)는 휴대단말기(4)의 메모리(41)에 저장된 각 의류의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정보들을 탐색하여 입력된 추천키워드에 대응되는 의류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의류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0은 도 4의 스타일 저장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스타일 저장부(59)는 전술하였던 도 6의 최초 인터페이스(910)의 리스트 전시 및 입력란(913)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스타일 저장을 요청받을 때,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또한 스타일 저장부(59)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제공모듈(591)과, 의류 선택모듈(592), 식별번호 부여모듈(593), 스타일 등록모듈(594), 전시모듈(595)로 이루어진다.
리스트 제공모듈(591)은 의류 종류별로 등록된 의류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의류 선택모듈(592)은 리스트 제공모듈(591)에 의해 제공되는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서로 다른 종류의 적어도 2개 이상의 특정 의류들을 선택받는다.
식별번호 부여모듈(593)은 의류 선택모듈(592)에 의해 선택된 의류들에 스타일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스타일 등록모듈(594)은 식별번호 부여모듈(593)에 의해 식별번호가 부여된 의류들을 매칭시켜 등록한다.
전시모듈(595)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스타일 등록모듈(594)에 의해 기 등록되어 있는 스타일 정보들을 전시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의류들 중 서로 다른 의류 종류의 의류(적어도 2개 이상)들을 저장시킴으로써 차후 이를 활용하여 의상을 수월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드레스 미러 시스템(1)은 의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소지한 의류들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보관 및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의류에 대한 정보 및 보관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의류 정리 및 검색으로 인한 시간소모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드레스 미러 시스템(1)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옷장이 실제옷장에 매칭되어 실제옷장의 위치정보가 저장됨과 동시에 위치정보에 실제옷장의 방 위치, 방 내 위치, 층 위치 등이 포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관된 의류에 대한 정확한 실제옷장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레스 미러 시스템(1)은 신규 의류 등록 시, 의류의 종류(상의, 하의, 반바지, 치마, 신발 등), 색상, 구입일, 외출목적, 옷 소재, 계절, 세탁 방법, 기타 정보 등으로 이루어지는 의류 상세정보와, 해당 특정 의류를 보관할 옷장 식별정보 및 보관 위치(방 정보, 방 내 위치, 옷장 내 층 위치 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함으로써 의류에 대한 상세한 정보들이 최초 저장되어 상세한 정보들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기반으로 의류를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스타일을 추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드레스 미러 시스템(1)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로 다른 종류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의류들에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등록하되, 차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스타일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의류 활용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1:드레스 미러 시스템 3:관리서버
4-1, ..., 4-N:휴대단말기들 5: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 10:통신망
41:메모리 42:모니터
43:통신 인터페이스모듈 44:제어모듈
45: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 50:제어부
51:데이터 입출력부 52:데이터 파싱 및 저장부
53:인터페이스 처리부 54:옷장 등록부 55:옷장 확인부
56:의류 등록부 57:의류 검색부
58:스타일 추천부 59:스타일 저장부 910:최초 인터페이스
920:옷장등록 인터페이스 930:옷장확인 인터페이스
940:의류 등록 인터페이스 950:의류 검색 인터페이스
960:스타일추천 인터페이스 970:스타일저장 인터페이스

Claims (6)

  1.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이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실제옷장들 각각에 대응되는 가상옷장을 생성한 후, 생성된 가상옷장 및 해당 실제옷장에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하며, 사용자로부터 실제옷장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가상옷장에 매칭시켜 가상옷장을 등록하는 옷장 등록부;
    신규 의류 등록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구동시켜 의류이미지를 획득하며, 사용자로부터 신규 의류에 대한 상세한 정보인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될 실제옷장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획득된 의류이미지에 매칭시키는 의류 등록부;
    사용자로부터 검색키워드를 입력받으면, 기 등록된 의류들 각각의 의류 상세정보들을 탐색하여 입력된 검색키워드를 포함하는 의류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의류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상세정보는 의류의 종류, 색상, 구입일, 외출목적, 옷 소재, 계절, 세탁 방법, 기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실제옷장의 위치정보는 방 정보, 방 내 위치 및 옷장 내 층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3.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의류 색상, 의류 종류, 계절, 외출목적 및 빨래방법 중 어느 하나인 추천키워드를 입력받으면, 기 등록된 의류들 각각의 의류 상세정보들을 탐색하여 입력된 추천키워드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의류 종류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의류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타일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서로 다른 의류 종류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의류들을 선택받으며, 선택된 의류들에 스타일 식별번호를 부여한 후 등록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스타일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스타일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의류 종류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한 후, 제공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의류 종류에 대응되는 의류들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제공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의류에 대한 의류 상세정보 및 보관정보를 제공하는 옷장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6.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기 등록된 가상옷장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한 후,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가상옷장의 층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며, 제공된 특정 가상옷장의 층들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층에 보관된 의류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옷장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KR1020190015832A 2019-02-12 2019-02-12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KR10235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832A KR102355942B1 (ko) 2019-02-12 2019-02-12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832A KR102355942B1 (ko) 2019-02-12 2019-02-12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118A true KR20200098118A (ko) 2020-08-20
KR102355942B1 KR102355942B1 (ko) 2022-01-26

Family

ID=7229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832A KR102355942B1 (ko) 2019-02-12 2019-02-12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9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721A (ko) * 2012-03-28 2013-10-08 (주)네오위즈게임즈 개인 의류 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50106473A (ko) * 2014-03-11 2015-09-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의류 조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디지털 옷장
JP2017107520A (ja) * 2015-12-11 2017-06-15 ▲れい▼達科技股▲ふん▼有限公司Leadot Innovation, Inc. 収納したアイテムの位置を追跡する方法
KR20180133200A (ko) * 2018-04-24 2018-12-13 김지우 기록매체에 기록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721A (ko) * 2012-03-28 2013-10-08 (주)네오위즈게임즈 개인 의류 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50106473A (ko) * 2014-03-11 2015-09-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의류 조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디지털 옷장
JP2017107520A (ja) * 2015-12-11 2017-06-15 ▲れい▼達科技股▲ふん▼有限公司Leadot Innovation, Inc. 収納したアイテムの位置を追跡する方法
KR20180133200A (ko) * 2018-04-24 2018-12-13 김지우 기록매체에 기록된 의류관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942B1 (ko)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801B2 (en) Map screen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US86563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item management
JP6212013B2 (ja) 商品推奨装置及び商品推奨方法
US201400194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a Search
CN104992343A (zh) 服装搭配推荐方法及装置
TW201706928A (zh) 業務物件資訊的圖片展示方法及裝置
US2014001928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reating and using shopping portals
US10026176B2 (en) Browsing interface for item counterparts having different scales and lengths
TW201939323A (zh) 提供服飾搭配資訊的方法、裝置及電子設備
CN115917512A (zh) 人工智能请求和建议卡
CN111815404A (zh) 虚拟物品分享方法及装置
US20200265233A1 (en) Method for recognizing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200372560A1 (en) Method for exploring and recommending matching products across categories
JP2013250743A (ja) コーディネート提案装置、コーディネート提案システム、コーディネート提案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14117155A (zh) 商品对象信息搜索方法及电子设备
KR20200118615A (ko)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타일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단말 장치
WO2021070641A1 (ja) 管理サーバおよび商品検索方法
KR102355942B1 (ko) 의류 정리 및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레스 미러 시스템
KR102212942B1 (ko) 유명 의상 디자이너 스타일 코디 제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230034462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item, an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item
CN115082149A (zh) 一种电子设备、服务器及烹饪设备推荐方法
KR20180000711A (ko) 앱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0681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gmenting a communal display device
CN105825418A (zh) 一种服装电商移动终端
JP202114936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