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043A - A laundry hanger - Google Patents

A laundry 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043A
KR20200098043A KR1020190015643A KR20190015643A KR20200098043A KR 20200098043 A KR20200098043 A KR 20200098043A KR 1020190015643 A KR1020190015643 A KR 1020190015643A KR 20190015643 A KR20190015643 A KR 20190015643A KR 20200098043 A KR20200098043 A KR 2020009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pair
hook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7095B1 (en
Inventor
류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위드
Priority to KR102019001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095B1/en
Publication of KR2020009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0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hanger including: a pair of main supports; a hook support that combines the pair of main supports at the bottom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a pair of supports coupled to a side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respectively; and hanging rod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supports.

Description

빨래걸이대{A laundry hanger}A laundry hanger

본 발명은 이동가능하면서도 부착되어있어 문의 상부 또는 벽면의 타일에 부착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고리를 이용하여 걸거나 넓게 펴서 건조하는 것과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movable and attached to attach to a tile on the top of a door or on a wall, and relates to drying by hanging or spreading it widely using various rings.

도7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7 as follows.

일반적으로, 빨래 건조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위 "A"형 또는 "Y"형의 빨래 건조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 빨래 건조대는 "ㄷ" 자 형상으로 절곡성형되어 1쌍의 대응되는 다리틀(10-1)을 구성하며, 이 다리틀(10-1)의 끝단들이 힌In general, as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1, the laundry drying rack is mainly composed of a so-called "A"-type or "Y"-type laundry drying rack, and the laundry drying rack is bent into a "c" shape to correspond to a pair. It constitutes a little (10-1), and the ends of this bridge frame (10-1)

지축(20-1) 및 힌지캡(30-1)에 의하여 피버트 연결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다리틀(10-1)의 위에는 역시 "ㄷ" 자 형상으로 절곡성형되어 1쌍의 대응되는 걸이틀(60-1)를 구성하며, 이 걸이틀(60-1)의 끝단들은 상기 힌지축(20-1) 및 힌지캡(30-1)에 의하여 피버트 연결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다리틀(10-1)과 함께 서로 절첩가능 하게 조립된다.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ivot connection method by the support shaft 20-1 and the hinge cap 30-1, and the leg frame 10-1 is also bent in a "C" shape to correspond to a pair It constitutes a hanger frame (60-1), and the ends of the hanger frame (60-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ivot connection method by the hinge shaft (20-1) and the hinge cap (30-1), It is assembled to be foldable together with the leg frame (10-1).

상기 걸이틀(60-1)에는 세탁물을 널 수 있는 다수의 걸이봉(61-1)이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걸이틀(60-1)을 펼쳤을 때는 도 1 과 같이 받침대(50-1)로써 양쪽의 걸이틀(60-1)들을 받쳐서 걸이틀(60-1)의 걸이봉(61-1)에 세탁물을 널 수가 있다.A plurality of hanger rods 61-1 that can hang laundry are fixed to the hanger frame 60-1 at equal intervals across, so when the hanger frame 60-1 is unfolded, a support ( 50-1), it is possible to hang laundry on the hanger rods 61-1 of the hanger frame 60-1 by supporting the hanger frames 60-1 on both sides.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고전적인 빨래건조대로, 빨래를 걸기와 거두기가 불편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is structure is a classic clothes dryer, and it is inconvenient to hang and collect laundry, which is time consuming.

이를 해결하고자 별도의 사각 프레임에 가로로 이격 설치된 돌출굴절빨래걸리를 세로로 배열설치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프레임과 돌출굴절빨래걸이를 별도로 성형하여야하므로 초기 금형비가 많이들고, 너무 많은 돌출굴절빨래걸이가 돌출된 구조이므로 돌출굴절빨래걸이가 일부 파손되기도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which protruding and refractive laundry hangers installed horizontally apart from each other in a separate square frame have been developed. However, since the frame and the protruding refractive laundry hanger must be separately molded, the initial mold cost is high and too much protrusion and refractive laundry. Since the hanger is a protruding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rability is deteriorated because the protruding refractive laundry hanger is partially damaged.

대한민국특허청공개특허공보: 10-2015-0145908(2015.12.31)Korean Patent Office Publication: 10-2015-0145908 (2015.12.31)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344099(2013.12.20)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344099 (2013.12.20)

세면대에 하나의 걸이봉만 구성되어있어 수건 하나정도를 펼쳐놓으면 더 이상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Since there is only one hanger stick in the sink, it is trying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for any further purpose if one towel is spread out.

걸이대에 수건을 포함한 다양한 의류를 걸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by allowing various clothes including towels to be hung on the hanger.

걸이봉을 축소 또는 확장을 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경우 축소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효율화한 것이다.It is the efficient use of the space by reducing or expanding the hanging rod so that the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by reducing it when not in use.

걸이대를 활용하여 방문의 상부에 걸거나 타일이나 유리등에 흡착하여 걸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체결기구 없이 벽면에 흠집을 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The problem was solved so that it can be used without scratching the wall surface without a separate fastener by allowing it to be hung on the top of the door by using a hanger or by adsorbing it on tiles or glas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provided.

한쌍의 메인지지대;A pair of main supports;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의 하부에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를 서로 결합한 걸고리 지지대;A hook support for coupling the pair of main supports to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의 측면에 각각 결합구성한 한쌍의 지지대;A pair of supports coupled to each side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상기 한쌍의 지지대 상부에 결합 구성한 걸이봉; 을 포함하여 빨래걸이대를 구성한다.A hook ro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upports; Including a laundry rack.

여기서 상기 한쌍의 지지대는 각각 제6지지대의 일단과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 각각의 상측에 힌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6지지대의 타단과 제2지지대의 타단에 제2힌지부로 연결구성하고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에 제4지지대의 일단과 제2힌지부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4지지대의 타단과 제3지지대의 중앙부와 제3힌지부로 힌지결합하며,Here, the pair of supports constitutes a hinge part at one end of each of the sixth support and an upper side of each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and a second hinge par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ixth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Hinge-coupled with one end of the fourth support and the second hinge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fourth support and hinge-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pport and the central part and the third hinge part of the third support,

제1지지대의 타단과 상기 메인지지대의 하부에 이동힌지부로 결합구성하고,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lower part of the main support are combined with a moving hinge,

상기 제1지지대의 중앙부와 상기 제6지지대의 중앙부와 제1힌지부로 힌지결합하며,상기 제1지지대의 상측에 제5지지대의 일단과 제1힌지부로 힌지결합하며 상기 상기 제5지지대의 중앙부는 상기 제2지지대의 중앙부와 제2힌지부로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5지지대의 하측은 제3지지대의 타단과 제3힌지부로 힌지결합하되, A central part of the first support and a central part of the sixth support and a first hinge part are hinged, and one end of the fifth support and a first hinge part are hi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central part of the fifth support The central part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second hinge part are hinged, and the lower side of the fifth support is hin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third support and the third hinge part,

상기 제1지지대의 일단에는 제1걸이봉을 구성하고 상기 제2지대의 일단에 제2걸이봉을 구성하며 상기 제3지지대의 일단에 제3걸이봉을 구성하고 상기 제5지지대의 타단에 제4걸이봉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a first hanging rod is formed, a second hanging ro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and a third hooking ba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and a third hook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fth support.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a four-hanging rod.

여기서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의 하부는 이동힌지부 공간부를 구성하여 전면부 방향으로 걸이봉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때에 상기 한쌍의 지지대에 구성한 이동힌지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constitute a movable hinge part space part so that the moving hinge part configured in the pair of supports can move up and down when the hook bar is expanded or contracted in the front direction.

여기서 상기 걸고리 지지대에는 걸고리를 복수개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plurality of hooks on the hook support.

여기서 상기 걸고리 지지대는 단차부를 구성하되 상기 메인지지대의 두께 만큼의 단차부를 구성하여 상기 걸고리 지지대의 중앙부와 상기 메인지지대의 면이 일직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the hook support is configured to have a stepped portion, but a stepped portion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support is configure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ok support and the surface of the main support are in a straight line.

여기서 상기 걸이봉은 상기 제1지지대,상기 제2지지대 및 상기 제3지지대의 일단과 상기 제5지지대의 타단에 각각 상기 제1걸이봉,상기 제2걸이봉,상기 제3걸이봉 및 상기 제4걸이봉을 체결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the hook rod is the first hook rod, the second hook rod, the third hook rod and the fourth hook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fifth support, respectively. It is better to configure the hook rod to be fastened.

여기서 상기 메인지지대의 상부와 걸이대를 체결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support and the hook.

여기서 상기 걸이대는 7자 모형으로 구성되어 문의 상단에 걸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the hanger is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hang on the top of the door is composed of a 7-shaped model.

여기서 상기 메인지지대에 흡착판을 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uction plate to be attached to the main support.

여기서 상기 흡착판은 숫나사부를 미리 결합구성하여 상기 메인지지대와 나사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the adsorption plat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crewed with the main support by pre-connecting the male screw portion.

걸이대에 수건을 포함한 다양한 의류를 다량으로 걸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a large amount of various clothes including towels to be hung on the hanger.

걸이봉을 축소 또는 확장을 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경우 축소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효율화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By reducing or expanding the hanging rod,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pace by reducing it when not in use so that the space can be used efficiently.

걸이대를 활용하여 방문의 상부에 걸거나 타일이나 유리등에 흡착하여 걸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체결기구 없이 벽면에 흠집을 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use it without scratching the wall surface without a separate fastener by allowing it to be hung on the top of the door or by adsorbing it on a tile or glass using a hanger.

제1a도는 문의 상단에 본발명을 적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b도는 제1지지대 내지 제6지지대의 배치구성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1c도는 제1b도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2a도 내지 제2c도는 지지대를 펼치고 접는 것에 따라 이동힌지부공간부에서 이동힌지부의 이동을 보이는 도이다.
제3a 및 제3b도는 걸고리지지대를 보이는 도이다.
제4a 및 제4b도는 걸이봉을 보이는 도이다.
제5a 및 제5d도는 걸이대를 보이는 도이다.
제6a 및 제6b도는 제2의 걸이대를 보이는 도이다.
Figure 1a is a diagram showing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op of the door.
Figure 1b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to sixth support.
Fig. 1c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Fig. 1b.
2a to 2c are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hinge part in the moving hinge part space part as the support is unfolded and folded.
Figure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the hook support.
4a and 4b are views showing the hanging rods.
Figures 5a and 5d are views showing the hook.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second hook.

도면1a 및 도면1b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a and 1b.

메인지지대(100)을 좌우측에 구성하고 그 사이를 걸고리 지지대(200)를 결합하고 메인지지대(100)의 측면에 제1지지대 내지 제6지지대(110~160)를 좌우측에 각각 구성하고 그 사이를 걸이봉 (310,320,330,350)을 체결하여 수건이나 의류 등을 걸거나 또한 의류를 건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The main support 100 is configur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support 200 is hook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to sixth supports 110 to 160 are respectively configur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support 100, and the gap between them is It is used to hang towels or clothes by fastening the hanger rods 310,320,330,350 or to dry clothes.

한쌍의 메인지지대;(100)A pair of main supports; (100)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100)의 하부에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100)를 서로 결합한 걸고리 지지대(200)A hook support 200 in which the pair of main supports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100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100)의 측면에 각각 결합구성한 한쌍의 지지대(180)A pair of supports 180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f the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100

상기 한쌍의 지지대(180) 상부에 결합 구성한 걸이봉; 을 포함하여 빨래걸이대(1000)를 구성한다.A hook ro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upports 180; Configures the laundry rack 1000, including.

여기서 상기 한쌍의 지지대(180)의 설명은 한쪽의 지지대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description of the pair of supports 180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one of the supports.

나머지 한쪽의 지지대도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The other support has the same configuration.

각각 제6지지대(160)의 일단과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100) 각각의 상측에 메인힌지부(162)를 구성하고 상기 제6지지대(160)의 타단과 제2지지대(120)의 타단에 제2힌지부(126)로 연결구성하고 상기 제2지지대(120)의 상부에 제4지지대(140)의 일단과 제2힌지부(122)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4지지대(140)의 타단과 제3지지대의 중앙부와 제3힌지부(132)로 힌지결합한다.One end of the sixth support 160 and a main hinge part 162 on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100,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of the sixth support 16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120 The second hinge part 126 is connected and hinged with one end of the fourth support 140 and the second hinge part 122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pport 140 The end and the center of the third support and the third hinge part 132 are hinged.

제1지지대(110)의 타단과 상기 메인지지대(100)의 하부에 이동힌지부(116)로 결합구성하고,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1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support 100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a moving hinge part 116,

상기 제1지지대(110)의 중앙부와 상기 제6지지대(160)의 중앙부와 제1힌지부(114)로 힌지결합하며,상기 제1지지대(110)의 상측에 제5지지대(150)의 일단과 제1힌지부(112)로 힌지결합하며 상기 상기 제5지지대(150)의 중앙부는 상기 제2지지대(120)의 중앙부와 제2힌지부(124)로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5지지대(150)의 하측은 제3지지대(130)의 타단과 제3힌지부(134)로 힌지결합한다.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11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xth support 160 and the first hinge portion 114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fifth support 150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110 And the first hinge part 112, and the central part of the fifth support 150 is hinged with the central part of the second support 120 and the second hinge part 124, and the fifth support 150 The lower side of)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support 130 and the third hinge part 134.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단에는 제1걸이봉(310)을 구성하고 상기 제2지대(120)의 일단에 제2걸이봉(320)을 구성하며 상기 제3지지대(130)의 일단에 제3걸이봉(330을 구성하고 상기 제5지지대(150)의 타단에 제4걸이봉(35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hanging rod 3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110, a second hanging rod 3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120,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130.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three-hanging rod (330) and a fourth hanging rod (350) at the other end of the fifth support (150).

제1걸이봉 내지 제4걸이봉(310,320,330,350)은 제1 내지 제3지지대(110,120,130)의 일단인 상부에 나사결합하고 제5지지대(150)의 타단 즉 하단부에 나사결합하여 구성한다.The first to fourth hanging rods 310, 320, 330, 350 are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s 110, 120, 130 and screwed to the other end,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fifth support 150.

도2a 내지 도2c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C as follows.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100)의 하부는 이동힌지부 공간부(170)를 구성하여 전면부 방향으로 걸이봉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때에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100)에 구성한 이동힌지부(116)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100 constitutes a movable hinge part space part 170 to expand or contract the hook bar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100, the moving hinge part 116 configured in the pair of main supports 100 It is advisable to configure it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도2a는 제1지지대 내지 제6지지대를 확장하였을 경우 즉 전면부로 힘을 가하여 잡아당길 경우로써 걸이봉을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FIG. 2A is a case in which the first to sixth supports are extended, that is,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portion to be pulled, and corresponds to a case in which a hook rod is to be conveniently used.

이때에는 이동힌지부(116)이 상부로 이동한다.In this case, the moving hinge part 116 moves upward.

도2b는 중간정도의 확장하였을 경우 즉 전면부로 힘을 가하여 중간정도로 잡아당길 경우로써 걸이봉의 간격이 좁아진다.Fig. 2b shows a case of medium expansion, that is, a case where a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part and pulled to a medium degre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bars is narrowed.

이동힌지부(116)가 이동힌지부 공간부(17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It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moving hinge part 116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oving hinge part space part 170.

도2c는 이동힌지부(116)가 이동힌지부 공간부(17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2C is a view showing that the moving hinge part 116 is located below the moving hinge part space part 170.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봉(300)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데 적은 부피를 유지하는 것이다.As shown, it is to maintain a small volume to store without using the hanging rod 300.

도3a 내지 도3c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as follows.

걸고리 지지대(200)에는 걸고리를 복수개(230~260) 구성하는 것이 좋다.It is good to configure a plurality of hooks (230 to 260) in the hook support 200.

여기서 상기 걸고리 지지대(200)는 단차부(212,222)를 구성하되 상기 메인지지대(100)의 두께 만큼의 단차부를 구성하여 상기 걸고리 지지대(200)의 중앙부(290)와 상기 메인지지대(100)의 면이 일직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the hook support 200 constitutes stepped portions 212 and 222, but comprises a stepped portion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support 100, and the central portion 290 of the hook support 200 and the surface of the main support 100 It is better to configure it so that it is in a straight line.

도4a 및 도4b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4A and 4B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걸이봉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어있어 제1걸이봉(310)을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hanging rod is config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the first hanging rod 310 will be described.

걸이봉의 일단과 타단에는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제1걸이봉암나사부(312)가 형성되어있고 A first hook rod female thread 312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ok rod to be screwed.

상기 제1지지대 내지 제3지지대(110~130)의 일단인 상측부에 숫나사결합부(314)와 나사결합한다.The first to third supports 110 to 130 are screwed with the male screw coupling part 314 to the upper part of one end.

여기서 상기 걸이봉(300)은 상기 제1지지대(110),상기 제2지지대(120) 및 상기 제3지지대의 일단과 상기 제5지지대(150)의 타단에 각각 상기 제1걸이봉(310),상기 제2걸이봉(320),상기 제3걸이봉(330) 및 상기 제4걸이봉(350)을 체결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the hanging rod 300 is the first hanging rod 310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110, the second support 120 and the third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fifth support 150, respectively. , It is preferable to fasten the second hanging rod 320, the third hanging rod 330 and the fourth hanging rod 350.

여기에 지지대를 복수개 두어 걸이봉을 더 구성하여도 좋다.Here, a plurality of supports may be placed to further constitute a hanging bar.

하부에도 제4걸이봉(350)외에도 더 구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to the fourth hanging rod 350 in the lower portion may be further configured.

도5a 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A.

상기 메인지지대(100)의 상부와 걸이대(400)를 체결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support 100 and the hook 400 to be fastened.

체결은 나사결합한다. 물론 다른 체결기구를 활용하여도 무방하다.Fastening is screwed. Of course, it is okay to use other fasteners.

여기서 상기 걸이대는 7자 모형으로 구성되어 문의 상단에 걸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the hanger is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hang on the top of the door is composed of a 7-shaped model.

걸이대(400)의 하부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홀(410,420)이 구성되어있다.Holes 410 and 420 are configured to be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nger 400.

본 발명에서는 길이방향으로 메인지지대(100)와 결합하여 길이에 적합하게 홀을 길이 방향으로 두개의 홀(410,420)을 구성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with the main suppor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wo holes 410 and 420 we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hole suitable for the length.

여러개를 구성할 수도 있고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이격시켜서 구성할 수 도 있다.Several can be configured or can be configured by separating the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5b 내지 5d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It will be described below focusing on 5b to 5d.

또한 창문두께가 다양할 수 있어 다양한 창문두께에 견고하게 걸수 있도록 두께폭을 조정할 수있다.Also, since the window thickness can be varied, the thickness width can be adjusted so that it can be firmly hung on various window thicknesses.

즉, 7 자형의 상부걸고리 부분을 축소 및 확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configured to reduce and expand the 7-shaped upper hook portion.

주로 목욕실의 출입문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It is recommended to install it mainly on the entrance door of the bathroom.

장홀(450)이 폭방향의 판(440)에 구성하여 걸이대의 창틀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5b도처럼 구성하고 창틀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는 5c,5d처럼 구성하는 것이다.When the long hole 450 is configured on the plate 440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window frame of the hanger is thick, it is configured as shown in 5b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window frame is thin, it is configured as 5c and 5d.

두께에 따라서 자유자재로 볼트(460)로 고정시킨다.It is freely fixed with bolts 460 according to the thickness.

도6a, 6b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as follows.

상기 메인지지대(100)에 흡착판(500)을 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uction plate 500 to be attached to the main support 100.

여기서 상기 흡착판(500)은 숫나사부를 미리 결합구성하여 상기 메인지지대(100)와 나사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the adsorption plate 5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crewed with the main support 100 by pre-connecting the male screw portion.

상기 흡착판은 유리나 타일의 벽면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The adsorption plate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wall of glass or til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application, these can be repla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100:메인지지대 110:제1지지대 112,114:제1힌지부 116:이동힌지부
115,125,135,155:걸이봉결합체결부 120:제2지지대
122,124,126:제2힌지부 130:제3지지대 132,134:제3힌지부
140:제4지지대 150:제5지지대 160:제6지지대 162:메인힌지부
170:이동힌지부공간부 180:지지대
200:걸고리지지대 210:제1체결부 212,222:단차부 215,225:체결홀 220:제2체결부 230,240,250,260:걸고리 270,280:체결구
290:중앙부
300:걸이봉 310:제1걸이봉 312:제1걸이봉암나사부 314:숫나사결합부 320:제2걸이봉 330:제3걸이봉 350:제4걸이봉
400:걸이대 410,420:체결홀 510:숫나사부 520:암나사부
100: main belt 110: first support 112, 114: first hinge 116: movable hinge
115,125,135,155: hook rod coupling part 120: second support
122,124,126: second hinge part 130: third support 132,134: third hinge part
140: fourth support 150: fifth support 160: sixth support 162: main hinge
170: moving hinge part space 180: support
200: hook support 210: first fastening part 212,222: stepped part 215,225: fastening hole 220: second fastening part 230,240,250,260: hook 270, 280: fastening hole
290: central part
300: hook rod 310: first hook rod 312: first hook rod female thread 314: male thread coupling portion 320: second hook rod 330: third hook rod 350: fourth hook rod
400: hook 410,420: fastening hole 510: male thread 520: female thread

Claims (10)

한쌍의 메인지지대;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의 하부에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를 서로 결합한 걸고리 지지대;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의 측면에 각각 결합구성한 한쌍의 지지대;
상기 한쌍의 지지대 상부에 결합 구성한 걸이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걸이대.
A pair of main supports;
A hook support for coupling the pair of main supports to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A pair of supports coupled to each side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A hook ro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upports; A laundry rack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대는 각각 제6지지대의 일단과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 각각의 상측에 힌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6지지대의 타단과 제2지지대의 타단에 제2힌지부로 연결구성하고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에 제4지지대의 일단과 제2힌지부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4지지대의 타단과 제3지지대의 중앙부와 제3힌지부로 힌지결합하며,
제1지지대의 타단과 상기 메인지지대의 하부에 이동힌지부로 결합구성하고,
상기 제1지지대의 중앙부와 상기 제6지지대의 중앙부와 제1힌지부로 힌지결합하며,상기 제1지지대의 상측에 제5지지대의 일단과 제1힌지부로 힌지결합하며 상기 상기 제5지지대의 중앙부는 상기 제2지지대의 중앙부와 제2힌지부로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5지지대의 하측은 제3지지대의 타단과 제3힌지부로 힌지결합하되,
상기 제1지지대의 일단에는 제1걸이봉을 구성하고 상기 제2지대의 일단에 제2걸이봉을 구성하며 상기 제3지지대의 일단에 제3걸이봉을 구성하고 상기 제5지지대의 타단에 제4걸이봉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걸이대.
2. Hinge-coupled with one end of the fourth support and the second hinge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and hinge-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pport and the central part and the third hinge part of the third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lower part of the main support are combined with a moving hinge,
A central part of the first support and a central part of the sixth support and a first hinge part are hinged, and one end of the fifth support and a first hinge part are hi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central part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second hinge part are hinged, and the lower side of the fifth support is hin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third support and the third hinge part,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a first hanging rod is formed, a second hanging ro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and a third hooking ba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fifth support A laundry ra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4 hook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메인지지대의 하부는 이동힌지부 공간부를 구성하여 전면부 방향으로 걸이봉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때에 상기 한쌍의 지지대에 구성한 이동힌지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걸이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main support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oving hinge part is movable up and down when expanding or contracting the hook bar in the front direction by forming a moving hinge space part. Clothes hang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 지지대에는 걸고리를 복수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걸이대.
The laundry ra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plurality of hooks are formed on the hook suppo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 지지대는 단차부를 구성하되 상기 메인지지대의 두께 만큼의 단차부를 구성하여 상기 걸고리 지지대의 중앙부와 상기 메인지지대의 면이 일직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걸이대.
The laundry hang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hook support comprises a stepped portion, but comprises a stepped portion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support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ok support and the surface of the main support are in a straight l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은 상기 제1지지대,상기 제2지지대 및 상기 제3지지대의 일단과 상기 제5지지대의 타단에 각각 상기 제1걸이봉,상기 제2걸이봉,상기 제3걸이봉 및 상기 제4걸이봉을 체결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걸이대.
According to claim 4, The hanging rod is the first hanging rod, the second hanging rod, the third hanging rod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fifth support, respectively. And a laundry rack configured to fasten the fourth hanger r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의 상부와 걸이대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걸이대.
The laundry hang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support and the hanger are fasten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는 7자 모형으로 구성되어 문의 상단에 걸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걸이대.
[8] The laundry rack of claim 7, wherein the hanger has a 7-shaped model and is configured to hang on the top of the do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에 흡착판을 부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걸이대.
The laundry rack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uction plate is attached to the main suppo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숫나사부를 미리 결합구성하여 상기 메인지지대와 나사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걸이대.

The laundry rack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uction plate is configured to be screwed with the main support by pre-connecting the male screw part.

KR1020190015643A 2019-02-11 2019-02-11 A laundry hanger KR102157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43A KR102157095B1 (en) 2019-02-11 2019-02-11 A laundry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43A KR102157095B1 (en) 2019-02-11 2019-02-11 A laundry ha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43A true KR20200098043A (en) 2020-08-20
KR102157095B1 KR102157095B1 (en) 2020-09-17

Family

ID=7224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643A KR102157095B1 (en) 2019-02-11 2019-02-11 A laundry 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09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032Y1 (en) * 1985-06-01 1988-08-31 김형동 Shelf and laundry dry stand
KR200465052Y1 (en) * 2012-11-15 2013-01-31 김재현 Balustrade mounting type dry hanger
KR101344099B1 (en) 2013-08-29 2013-12-20 이흥재 A laundry drying stand with protruded & refracted laundry hanger drying device
KR20150145908A (en) 2014-06-20 2015-12-31 조영국 Laundry drying stand
KR20160130656A (en) * 2015-05-04 2016-11-14 동용원 Drying the laund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032Y1 (en) * 1985-06-01 1988-08-31 김형동 Shelf and laundry dry stand
KR200465052Y1 (en) * 2012-11-15 2013-01-31 김재현 Balustrade mounting type dry hanger
KR101344099B1 (en) 2013-08-29 2013-12-20 이흥재 A laundry drying stand with protruded & refracted laundry hanger drying device
KR20150145908A (en) 2014-06-20 2015-12-31 조영국 Laundry drying stand
KR20160130656A (en) * 2015-05-04 2016-11-14 동용원 Drying the laund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095B1 (en)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095B1 (en) A laundry hanger
US8448794B1 (en) Suspension closet
KR20100003169U (en) Hanger Having Sliding Hook
US11647870B2 (en) Shower shelving system
CN201537042U (en) Extractable towel hanger
RU2278193C1 (en) Linen drying apparatus
KR102026896B1 (en) A foldable hanger for wash installed to a door
CN211722929U (en) Retractable hanger for bathroom
KR101701823B1 (en) Foldable drying rack with wall fixed type
CN211432658U (en) Hardware towel rack
KR200321911Y1 (en) Cloth hanger fixation device for closet
KR200164848Y1 (en) A trouser hanger
CN211186756U (en) Clothes hanger and cloakroom
KR20210036300A (en) Device for hanging laundry, clothes or stuff
KR940004620Y1 (en) Domestic laundry drier
KR101521858B1 (en) Clothes horse
RU217163U1 (en) Clothes dryer wall-mounted folding
KR200208954Y1 (en) Easel
KR101295480B1 (en) Drying stand for laundry
JPH05161533A (en) Hanger device for clothing and the like
KR200403207Y1 (en) Drying rack
JPS627274Y2 (en)
KR102091545B1 (en) Laundry drying implement
KR20160076043A (en) Hanger of drying clothes
KR200294325Y1 (en) drier for laund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