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107A -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107A
KR20200097107A KR1020190014444A KR20190014444A KR20200097107A KR 20200097107 A KR20200097107 A KR 20200097107A KR 1020190014444 A KR1020190014444 A KR 1020190014444A KR 20190014444 A KR20190014444 A KR 20190014444A KR 20200097107 A KR20200097107 A KR 20200097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chain
input data
data
stored
ap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5272B1 (ko
Inventor
김재훈
현만석
최광훈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2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etermining packet size, e.g. maximum transfer unit [MTU]
    • H04L67/3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블록체인 앱들(block chain applications)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블록체인에 저장되도록 요청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련되는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통신 환경의 변화에 기초하여 입력 데이터 상호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재가공을 수행하는 단계, 및 재가공의 결과를 블록체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data stored in block chain}
본 개시는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블록체인으로 전달되는 데이터의 통신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데이터를 재가공하여 데이터가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블록들이 연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데이터를 저장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주체를 중앙 집권화되는 특정 관리자로부터 데이터 저장에 관여하는 모든 사용자들로 분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블록체인은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데이터 저장 기록, 거래 내역 등을 검증할 수 있어,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데이터의 변조가 방지될 것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이 활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양한 블록체인 앱들(applications)을 통해 블록체인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체인 앱들은 암호 화폐일 수 있고, 암호 화폐의 거래 내역에 관한 데이터가 블록체인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블록체인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신 환경이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하고, 블록체인에 데이터가 전달되는 속도와 블록체인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속도 사이에 불균형이 생기는 경우, 데이터 저장이 지연될 수 있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환경의 불균형이 생기는 경우에도 블록체인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통신 환경의 변화를 측정하여 블록체인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과정을 관리하는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록체인 앱들(block chain applications)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되도록 요청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련되는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통신 환경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 상호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재가공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재가공의 결과를 상기 블록체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되도록 요청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련되는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통신 환경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 상호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재가공을 수행하고, 상기 재가공의 결과를 상기 블록체인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및 서버를 통해, 블록체인에 저장되도록 요청되는 입력 데이터의 통신 환경이 모니터링될 수 있고, 입력 데이터 상호간의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입력 데이터가 재가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블록체인에 데이터가 전달되는 속도와 블록체인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속도 사이에 불균형이 생기는 경우에도 입력 데이터의 재가공에 의해 불균형이 해소될 수 있어, 블록체인에 데이터가 보다 원활하게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설명은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로 선택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가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은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10)은 블록체인 앱들(100),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200) 및 블록체인(30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300)은 연쇄적으로 연결되는 블록들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블록체인(300)의 사용자들에게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이 분산될 수 있어,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한 위조 또는 변조가 어려워질 수 있다.
블록체인 앱들(100)은 블록체인(300)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체인 앱들(100)은 암호 화폐를 통한 금전 거래, 물류의 유통 경로 추적,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및 소프트웨어 보안 등과 같이 데이터가 안정적으로 저장되고, 데이터가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을 것을 요구하는 다양한 사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앱들(100)은 특정 데이터를 블록체인(300)에 저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도록 요청되는 입력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입력 데이터는 블록체인(300)으로 전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블록체인(300)에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새로운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도록 요청되는 입력 데이터는 저장 대상이 되는 데이터 패킷 및 입력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을 나타내는 저장 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체인 앱들(100)이 암호 화폐 이더리움(Ethereum)을 통한 금전 거래인 경우, 입력 데이터는 이더리움의 거래 내역 및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비용에 해당하는 가스(gas)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300)에 입력 데이터가 저장되기 위해서는 특정 처리 과정이 수행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더리움의 거래 내역이 저장되기 위해서는 트랜잭션(transaction)이 수행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트랜잭션은 암호 화폐의 거래 내역이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으나, 암호 화폐가 아닌 다른 블록체인 앱들(100)의 경우에도 그에 상응하는 처리 과정이 트랜잭션에 해당할 수 있다.
블록체인(300)에 입력 데이터가 저장되기 위해 요구되는 트랜잭션이 수행되는 경우 저장 비용이 소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더리움의 거래 내역에 대한 트랜잭션이 수행되는 경우 가스가 소모될 수 있다. 암호 화폐가 아닌 다른 블록체인 앱들(10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트랜잭션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저장 비용이 요구될 수 있다.
블록체인(300) 내부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속도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특정 시점에 블록체인(300)에 대한 트랜잭션 처리 요청이 집중되는 경우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300)에 대해 트랜잭션이 무분별하게 요청되는 경우 가스 등의 저장 비용이 증가하여 자원 낭비의 문제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200)는 블록체인 앱들(100) 및 블록체인(300)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200)는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서버(20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재가공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블록체인(3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가 블록체인 앱들(100) 및 블록체인(3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조정함에 따라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보다 원활하게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블록체인(300)에서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속도에 한계가 있으므로,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전달되는 속도와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속도 사이에 불균형이 생길 수 있으나, 블록체인 앱들(100) 및 블록체인(300) 사이에서 서버(200)가 동작하여 불균형이 해소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보다 원활하게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200)는 메모리(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2에 도시되는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요소들이 서버(2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서버(200)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처리될 데이터로서 입력 데이터, 데이터 패킷, 저장 비용 및 트랜잭션 등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21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blu-ray)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22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복수 개의 프로세싱 엘리먼트들(processing elements)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도록 요청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련되는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전달되는 속도와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속도 사이에 불균형이 생기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가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을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입력 데이터가 서버(200)에 전송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입력 데이터의 트래픽(traffic)을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에 의해 입력 데이터의 트래픽이 분석됨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련되는 통신 환경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를 블록체인(300)에 저장하기 위해 수행되는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속도는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속도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블록체인(300)에서 트랜잭션의 처리가 지연되는지 여부가 모니터링되어 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련되는 통신 환경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통신 환경의 변화에 기초하여 입력 데이터 상호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가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및 입력 데이터를 블록체인(300)에 저장하기 위해 수행되는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속도로부터 통신 환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통신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전달되는 속도와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속도 사이에 불균형이 생기는 경우,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 상호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우선 순위를 설정함으로써 불균형이 생기는 상황에서, 특히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전달되는 속도가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속도보다 더 크게 되어 데이터 저장의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처리되어야 할 데이터를 먼저 블록체인(30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가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경우, 일부 사용자들의 요청에 대한 처리 속도는 감소할 수 있다. 다만, 빠른 처리를 요구하지 않는 다른 사용자들의 요청보다 우선적으로 처리될 것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요청이 먼저 처리될 수 있어, 블록체인(300)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전체적인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를 블록체인(300)에 저장하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용은 저장 비용으로서, 예를 들면 이더리움의 가스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블록체인(30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즉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기 위해 높은 비용을 지불하는 사용자의 데이터가 먼저 저장될 수 있어, 시스템(10)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재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에 대해 먼저 트랜잭션이 처리되고, 그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가 먼저 블록체인(3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재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재가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디사이징(desizing)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서버(200)에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가 적체되는 경우,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사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재가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를 블록체인(300)에 저장하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을 조정하는 비용 컨트롤(cost control)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300)에서 트랜잭션의 처리가 적체되어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데이터의 트랜잭션 및 그에 따른 저장이 지연되는 경우, 프로세서(220)는 비용 컨트롤을 수행하여 입력 데이터의 저장 비용을 조정할 수 있다.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서버(200)로 데이터 전달이 지연되는 경우,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사이징을 수행할 수 있고, 서버(200)로부터 블록체인(300)으로 데이터 전달이 지연되는 경우,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한 비용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중복으로 디사지이 및 비용 컨트롤이 수행됨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블록체인(300)에 저장될 수 있어, 시스템(10)의 전체 효율 및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재가공의 결과를 상기 블록체인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우선 순위 설정 및 재가공을 수행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블록체인(300)에 전송할 수 있다. 블록체인 앱들(100) 및 블록체인(300) 사이에서 프로세서(220)가 위와 같이 동작함에 따라 시스템(10)의 통신 환경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블록체인(300)으로 저장되는 데이터의 흐름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220)의 동작들에 더하여,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이 유효한지 여부 및 입력 데이터가 악성인지 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일부 사용자에 의해 과도한 입력 데이터의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일부 사용자에 의한 디도스 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유효성을 검사함으로써 무의미한 요청들에 의해 트래픽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유효성을 검사함으로써 입력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이 유효한지 여부 및 입력 데이터가 악성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로부터 데이터 유효성이 부정되는 경우, 프로세서(220)는 입력 데이터 및 해당 사용자를 거부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의 데이터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 프로세서(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재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단계 310 내지 단계 3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3에 도시되는 단계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단계들이 도 3의 방법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의 방법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되는 서버(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도 3의 방법에 대하여 생략되는 내용이라 할지라도, 도 1 내지 도 2의 서버(200)에 대하여 이상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도 3의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310에서, 서버(200)는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도록 요청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서버(200)는 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련되는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서버(200)는 통신 환경의 변화에 기초하여 입력 데이터 상호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서버(200)는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재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서버(200)는 재가공의 결과를 상기 블록체인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블록체인 앱들(100)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30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그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 시스템
100: 블록체인 앱들
200: 서버
210: 메모리
220: 프로세서
300: 블록체인

Claims (8)

  1. 블록체인 앱들(block chain applications)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되도록 요청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련되는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통신 환경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 상호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재가공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재가공의 결과를 상기 블록체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데이터가 상기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위해 수행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이 처리되는 속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디사이징(desiz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을 조정하는 비용 컨트롤(cost control)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이 유효한지 여부 및 상기 입력 데이터가 악성인지 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전달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체인 앱들로부터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되도록 요청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련되는 통신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통신 환경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 상호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재가공을 수행하고,
    상기 재가공의 결과를 상기 블록체인에 전송하는, 서버.
KR1020190014444A 2019-02-07 2019-02-07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165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444A KR102165272B1 (ko) 2019-02-07 2019-02-07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444A KR102165272B1 (ko) 2019-02-07 2019-02-07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07A true KR20200097107A (ko) 2020-08-18
KR102165272B1 KR102165272B1 (ko) 2020-10-13

Family

ID=7226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444A KR102165272B1 (ko) 2019-02-07 2019-02-07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6053A (zh) * 2020-10-20 2021-03-12 国佳云为(常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工业园区环境监测管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560B1 (ko) 2020-11-13 2021-06-21 주식회사 케이사인 블록 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데이터의 변경 이력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875A (ko) * 2010-12-24 2012-07-04 중소기업은행 은행 전산 시스템의 사용률에 따른 수수료 요율 조정방법 및 장치
US20180254982A1 (en) * 2017-03-01 2018-09-06 Cisco Technology, Inc. Communication Paths for Distributed Ledger Systems
KR20180113140A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875A (ko) * 2010-12-24 2012-07-04 중소기업은행 은행 전산 시스템의 사용률에 따른 수수료 요율 조정방법 및 장치
US20180254982A1 (en) * 2017-03-01 2018-09-06 Cisco Technology, Inc. Communication Paths for Distributed Ledger Systems
KR20180113140A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안상욱, ‘비트코인은 망했다’, http://www.bloter.net/archives/248241 (2016.01.2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6053A (zh) * 2020-10-20 2021-03-12 国佳云为(常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工业园区环境监测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272B1 (ko)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6965B2 (en) Network service request throttling system
US10853750B2 (en) Controlled resource provisioning in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EP2933955B1 (en) Deep packet inspection method, device, and coprocessor
US10243936B2 (en) Automatic security parameter management and renewal
Xiao et al. Security and privacy in cloud computing
US20220005027A1 (en) Smart contract regulation
CN110401720B (zh) 信息处理方法、装置、系统、应用服务器和介质
US115396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dserver facilitation of long-haul transport of telemetry for cloud-based services
CN102137059A (zh) 一种恶意访问的拦截方法和系统
JP2012150829A (ja) コードのメータリングされた実行
KR102165272B1 (ko)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PH12014502633B1 (en) Network based management of protected data sets
US11625382B2 (en) Blockchain as a servi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210140962A (ko) 블록체인 데이터 기록 방법 및 그 장치
CN111343102A (zh) 流速控制方法、服务端服务器、客户端服务器和系统
CN111316272A (zh) 使用行为和深度分析的先进网络安全威胁减缓
US20140223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software object
US10552612B2 (en) Resource usage optimized auditing of database shared memory
US20180060583A1 (en) Application Behavior Information
US10210020B2 (en) Scheduling requests in an execution environment
US20210044589A1 (en) Access control
CN114389855B (zh) 异常网际互联协议ip地址的确定方法及装置
US202303281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dserver integration and transformation of telemetry for cloud - based services
CN117768155A (zh) 访问请求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CN105103159A (zh) 为方便数据变换而导入系统调用数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