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018A - Multi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ulti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018A
KR20200097018A KR1020190014226A KR20190014226A KR20200097018A KR 20200097018 A KR20200097018 A KR 20200097018A KR 1020190014226 A KR1020190014226 A KR 1020190014226A KR 20190014226 A KR20190014226 A KR 20190014226A KR 20200097018 A KR20200097018 A KR 20200097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unit
area
housing
moni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9764B1 (en
Inventor
윤지영
Original Assignee
윤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영 filed Critical 윤지영
Priority to KR102019001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764B1/en
Publication of KR2020009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0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7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 multi-display device installed in spaces such as homes, hospitals, government offices, and airports is provided. The multi-display device connects a first monitor unit, a second monitor unit, a first monitor fixing unit, a second monitor fixing unit, a first monitor unit, and a second monitor unit, and may include a monitor connection unit for adjusting an angle of the first monitor unit and the second monitor unit, thereby facilitating angle adjustment between the displays.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Multi Display device}Multi Display device {Multi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정, 병원, 관공서, 공항 등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모니터들이 연결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splay device, and relates to a multi-display device to which a plurality of monitors installed in spaces such as homes, hospitals, government offices, and airports are connected.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overcome the device limitation of the display device, technology development for a multi-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s one display module has been continuously made.

이러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0인치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정방형으로 여러 개 조합하여 구성된 대형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정, 병원, 관공서, 공항 등에 설치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Such a multi-display device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ize and arrangement of each display device. For example, large display modules configured by combining multiple displays of 50 inches in a square shape are being installed in homes, hospitals, government offices, and airports. In addition, as the demand for multi-display device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is increasing,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is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isplay device in which angle adjustment between displays is eas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공간에 설치하기 용이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isplay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in various spac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각도에서 사각지대 없이 시청 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isplay device capable of viewing without blind spots from various angl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상술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display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정, 병원, 관공서, 공항 등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모니터 하우징과,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 내측에 마련된 제1 모니터를 갖는 제1 모니터부, 제2 모니터 하우징과,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 내측에 마련된 제2 모니터를 갖는 제2 모니터, 상기 제1 모니터부를 상기 공간부의 제1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제1 모니터 고정부, 상기 제2 모니터부를 상기 공간부의 제1 내측면과 접하는 제2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제2 모니터 고정부, 상기 제1모니터 하우징과 상기 제2모니터 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과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니터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 연결부는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에 형성된 제1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수용부 내에서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제1 회전 자석, 및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과 맞닿은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에 형성된 제2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수용부 내에서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제2 회전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과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은 상기 제1 회전 자석과 상기 제2 회전 자석의 자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ulti-display device is a multi-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space such as a home, a hospital, a government office, an airport, and the like, wherein the multi-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monitor housing and a first monitor provided inside the first monitor housing. A second monitor having a first monitor unit, a second monitor housing, and a second monitor provided inside the second monitor housing, a first monitor fixing unit fixing the first monitor unit to a first inner surface of the space unit, the A second monitor fixing unit for fixing the second monitor unit to a second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space unit, and connecting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and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the second A monitor connection part for adjusting an angle of the monitor housing, wherein the monitor connection part is inserted into a first accommodation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is freely rotatable about a Z axis within the first accommodation part. 1 rotation magnet, and a second rotation magnet inserted into a second receiv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nitor hous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freely rotatable about a Z axis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nd,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may be connected by magnetic force of the first rotating magnet and the second rotating magne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 연결부는,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에서 상기 제1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3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3 수용부 내에서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제3 회전 자석, 및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에서 상기 제2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4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4 수용부 내에서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제4 회전 자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는 상기 제1 수용부가 형성된 제1 영역이 상기 제3 수용부가 형성된 제3 영역에 비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는 상기 제3 영역과 맞닿으며 상기 제4 수용부가 형성된 제4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맞닿으며 상기 제2 수용부가 형성된 제2 영역에 비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저면 및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4 영역의 상면 각각에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치들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nitor connection unit is inserted into a third receiving unit formed under the first receiving unit at one side of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is freely rotatable around a Z axis within the third receiving unit. A third rotating magnet, and a fourth rotating magnet inserted into a fourth receiving portion formed under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t one side of the second monitor housing, and freely rotatable about a Z-axis within the fourth receiv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side portion of the first monitor housing in which the first area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protrudes outward compared to the third area in which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and one side of the second monitor housing is The fourth area in contact with the third area and in which the fourth receiving part is forme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rea and protrudes outward compared to the second area in which the second receiving part is form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rea and the first area facing the second area On each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four regions, teeth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thereof.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치들은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만나는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모서리를 기준으로 비대칭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eth may have a corner where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meet,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may b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orn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 내의 상기 제1 수용부 하부에는 제1 고정 자석이 마련되고, 상기 제4 영역 내의 상기 제4 수용부 상부에는 제2 고정 자석이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자석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fixed magnet is provided below the first receiving part in the first area, and a second fixed magnet is provided above the fourth receiving part in the fourth area, the first and The second fixed magnets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 주위에 위치하는 사람들과의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사람들과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ulti-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sensor unit senses a distance and a direction to people locate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and the control unit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people sensed from the sensor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및 제2 모니터부가 모니터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1 및 제2 모니터 고정부가 공간부의 내측면과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됨에 따라, 공간부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 사이의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됨에 따라, 공간부의 모서리 부분뿐만 아니라 벽면 부분에도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are connected by a monitor connection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fixing units are connecte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unit and the Z axis, The angle can be easily adjusted even when it is fixed in the space. In addition, a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is easily adjus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installed not only at the edge of the space but also at the w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된 치들을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된 치들의 측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shapes of teeth formed in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of teeth formed in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or that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s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its complementary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and/or' is us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In the specifica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elements, or a combination of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nd configurations It is not to be understoo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nection” is used to include both in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stituent elements and direct connecting.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multi-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of the devic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모니터부(100), 제2 모니터부(200), 제1 모니터 고정부(130), 제2 모니터 고정부(230), 모니터 연결부(300), 센서부(400), 및 제어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정, 병원, 관공서, 공항 등의 공간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1 to 3, a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nitor unit 100, a second monitor unit 200, a first monitor fixing unit 130, and a second display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monitor fixing unit 230, a monitor connection unit 300, a sensor unit 40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ulti-display device may be installed in spaces such as homes, hospitals, government offices, and airports.

상기 제1 모니터부(100)는 제1 모니터 하우징(120),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 내측에 마련된 제1 모니터(11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모니터(110)는 영상물이 출력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은 상기 제1 모니터(110)의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monitor unit 100 includes a first monitor housing 120 and a first monitor 110 provided inside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monitor 110 is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and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rame surrounding the first monitor 110. .

상기 제2 모니터부(200)는 제2 모니터 하우징(220),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 내측에 마련된 제2 모니터(21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모니터(210)는 영상물이 출력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은 상기 제2 모니터(210)의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monitor unit 200 includes a second monitor housing 220 and a second monitor 210 provided inside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monitor 210 is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ram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monitor 210. .

상기 모니터 연결부(300)는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 연결부(300)는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 및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을 연결한다. The monitor connection unit 300 may connect the first monitor unit 100 and the second monitor unit 200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monitor connection part 300 connects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또한, 상기 모니터 연결부(300)는 Z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 및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를 회동시켜,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 및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의 사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는 다양한 각도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모니터 연결부(300)는 예각 범위에서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 및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의 사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 connection part 300 rotates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around a Z axis, so that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are rotated. You can adjust the angle between ). Accordingly, the first monitor unit 100 and the second monitor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nitor connection part 300 may adjust an angle between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in an acute angle range.

상기 제1 모니터부(100)는 상기 제1 모니터 고정부(130)를 통하여 가정, 병원, 관공서, 공항 등의 공간부의 제1 내측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니터부(200)는 상기 제2 모니터 고정부(230)를 통하여 공간부의 제2 내측면(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면(10) 및 제2 내측면(20)은 상기 공간부 내에서 서로 접하는 측면일 수 있다. The first monitor unit 100 may be fixed to the first inner surface 10 of a space unit such as a home, a hospital, a government office, an airport, etc. through the first monitor fixing unit 130. The second monitor part 200 may be fixed to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20 of the space part through the second monitor fixing part 230. The first inner surface 10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20 may be side surfac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in the space.

상기 제1 모니터 고정부(130) 및 상기 제2 모니터 고정부(230)는 도 3에 도시된 Z축(130a, 230a)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 사이의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The first monitor fixing part 130 and the second monitor fixing part 230 may be rotated based on the Z-axis 130a and 230a shown in FIG. 3. Accordingly, the angle between the first monitor unit 100 and the second monitor unit 200 can be easily adjusted.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가 상기 모니터 연결부(300)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 모니터 고정부(130) 및 제2 모니터 고정부(230)에 의하여 공간부의 상기 제1 내측면(10) 및 제2 내측면(20)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 사이의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 내의 모서리 부분뿐만 아니라 벽면 부분에도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in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nitor unit 100 and the second monitor unit 200 are connected by the monitor connection unit 300, and the first monitor fixing unit As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surface 10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20 of the space part by the 130 and the second monitor fixing part 230, the angle can be easily adjusted even in a fixed state in the space part. Can be. In addition,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installed not only on the edge portion of the space but also on the wall portion a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is easily adjusted. There is an advantage.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0)는 가정, 병원, 관공서, 공항 등의 공간부 내의 사람들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40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nitor unit 100 and the second monitor unit 200. The sensor unit 400 may detect the location of people in spaces such as homes, hospitals, government offices, and airports.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센서부(400)로부터 감지된 사람들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according to positions of people sensed by the sensor unit 40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센서부(400)로부터 감지된 사람들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감지된 사람들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람들의 시야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모니터부(100, 200) 중 더 잘 보이는 곳을 판단한 후 잘 보이지 않는 다고 판단된 모니터부의 전원을 차단할(off)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강부 내에 사람의 수가 적거나 한쪽에만 몰려있는 경우, 사람들이 볼 수 없거나 잘 보이지 않는 시야에 배치된 모니터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power of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according to a position with peopl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0 can do.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not shown) determines that it is difficult to see after determining a better view of the first or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in the people's field of view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people. The power of the monitor unit can be turned off. Accordingly, whe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ball cavity is small or crowded on only one side, power of the monitor unit disposed in a field of view that is not visible or difficult to see by people is cut off, thereby preventing power waste.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센서부(400)로부터 감지된 사람들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감지된 사람들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람들이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의 정면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의 화면을 통합하여, 하나의 영상이 나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정, 병원, 관공서, 공항 등의 공간부 내의 사람들에게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control the screens of the first monitor unit 100 and the second monitor unit 200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peopl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0. I can.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people are in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s of the people, the control unit (not shown) By integrating the screens of (100, 200),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one image is displayed. Accordingly, an image can be provided on a larger screen to people in spaces such as homes, hospitals, government offices, and airports.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명되었다. 이하,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가 자석의 자력으로 연결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In the above,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are connected by magnetic force of a magne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display device.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모니터부(100), 제2 모니터부(200), 및 모니터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4 to 6,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monitor unit 100, a second monitor unit 200, and a monitor connection unit 300.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of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I can.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그리고 도면에서는 제1 모니터 고정부와 제2 모니터 고정부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monitor fixing part and the second monitor fixing part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y may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모니터 연결부(300)는, 제1 회전 자석(140) 및 제2 회전 자석(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는 상기 제1 회전 자석(140) 및 상기 제2 회전 자석(240)의 자력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The monitor connection part 30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magnet 140 and a second rotation magnet 240. The first monitor unit 100 and the second monitor unit 200 may be connected by magnetic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magnets 140 and 240.

상기 제1 회전 자석(140)은 제1 수용부(31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310)는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의 일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자석(140)은 상기 제1 수용부(310) 내에서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할 수 있다. The first rotating magnet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0.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The first rotating magnet 140 may be freely rotatable about the Z axis within the first receiving part 310.

상기 제2 회전 자석(240)은 제2 수용부(32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부(320)는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의 일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수용부(320)가 형성되는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의 일 측부는, 상기 제1 수용부(310)가 형성되는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의 일 측부와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자석(240)은 상기 제2 수용부(320) 내에서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할 수 있다. The second rotating magnet 24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320.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3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side of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in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320 is formed is, of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0 is formed. It can be in contact with one side. The second rotating magnet 240 may be freely rotatable about the Z axis within the second receiving part 3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회전 자석(140)은 N극 자석(140a)과 S극 자석(14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자석(140)은 N극 자석(240a)과 S극 자석(24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rotating magnet 140 may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an N-pole magnet 140a and an S-pole magnet 140b. The second rotating magnet 140 may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an N-pole magnet 240a and an S-pole magnet 240b.

이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 및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의 거리가 서로 가까워 지는 경우, 상기 제1 회전 자석(140) 및 상기 제2 회전 자석(240)이 회전하여,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 및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N극 자석(140a) 및 상기 S극 자석(240b)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 하우징(120, 220)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S극 자석(140b) 및 상기 N극 자석(240a)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 하우징(120, 220)이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is close to each other, the first rotating magnet 140 and the second rotating magnet 240 rotate, An attractive force is formed between magnet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so that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may be connected.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housings 120 and 220 may be connected by an attractive force formed between the N-pole magnet 140a and the S-pole magnet 240b. For anothe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housings 120 and 220 may be connected by an attractive force formed between the S-pole magnet 140b and the N-pole magnet 240a.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 및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 각각의 일 측부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like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angle can be adjusted while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o this end,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즉,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는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 하우징(120, 220)의 일 측부가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자석(140, 240)에 의하여 연결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도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monitor unit 100 and the second monitor unit 200,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housings 120 and 22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can be freely rotated around the Z axis. As they are conn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magnets 140 and 240, the angle can be easily adjusted even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센서부(4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0) 및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센서부(400) 및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된다.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sensor unit 40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like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ensor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the same as the sensor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명되었다. 이하, 제3 및 제4 회전 자석, 제1 및 제2 고정 자석을 더 포함하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In the above,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further including third and fourth rotating magnets and first and second fixed magne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모니터부(100), 제2 모니터부(200), 및 모니터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제1 모니터 고정부와 제2 모니터 고정부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7 and 8,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monitor unit 100, a second monitor unit 200, and a monitor connection unit 300.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of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I can.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monitor fixing part and the second monitor fixing part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y may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모니터 연결부(300)는 제1 내지 제 4 회전 자석(142, 242, 144, 2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회전 자석(142, 242, 144, 244)은 각각, 제1 내지 제4 수용부(310, 320, 330, 34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회전 자석(142, 242, 144, 244)은 상기 제1 내지 제4 수용부(310, 320, 330, 340) 내에서 Z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수용부(310, 320, 330, 340)은 각각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A1, A2, A3, A4)에 형성될 수 있다. The monitor connection part 300 may include first to fourth rotating magnets 142, 242, 144, and 244.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magnets 142, 242, 144, 244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portions 310, 320, 330, and 340, respectively.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magnets 142, 242, 144, 244 may be freely rotatable about the Z axis within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portions 310, 320, 330, and 340. The first to fourth receiving portions 310, 320, 330 and 340 may be formed in the first to fourth regions A 1 , A 2 , A 3 , and A 4 , respectively.

상기 제1 영역(A1) 및 상기 제3 영역(A2)은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의 일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A1)은 상기 제3 영역(A3) 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A1)은 상기 제3 영역(A3)과 비교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area A 1 and the third area A 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The first area A 1 may be formed above the third area A 3 , and the first area A 1 may protrude outward compared to the third area A 3 .

상기 제2 영역(A2) 및 상기 제4 영역(A4)은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의 일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영역(A4)은 상기 제2 영역(A2) 보다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4 영역(A4)은 상기 제2 영역(A2)과 비교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는, 상기 제1 회전 자석(142) 및 상기 제2 회전 자석(242) 사이의 자력과 상기 제3 회전 자석(144) 및 상기 제4 회전 자석(244) 사이의 자력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는 상기 제1 영역(A1)과 상기 제2 영역(A2)이 서로 맞닿고, 상기 제3 영역(A3)과 상기 제4 영역(A4)이 서로 맞닿도록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area A 2 and the fourth area A 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The fourth area A 4 may be formed below the second area A 2 , and the fourth area A 4 may protrude outward compared to the second area A 2 . The first monitor unit 100 and the second monitor unit 200 include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rotating magnet 142 and the second rotating magnet 242 and the third rotating magnet 144 and the It may be connected by magnetic force between the fourth rotating magnets 244. That is, in the first and second monitors 100 and 200, the first area A 1 and the second area A 2 contact each other, and the third area A 3 And the fourth area A 4 may be connected t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다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lso adjusts the angle while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like the other multi-display device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an be.

이를 위해,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120)에서 상기 제1 수용부(310)가 형성된 측부 및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220)에서 상기 제4 수용부(340)가 형성된 측부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 side portion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10 is formed in the first monitor housing 120 and a side portion in which the fourth accommodating portion 340 is formed in the second monitor housing 22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I can.

즉, 상기 제1 모니터부(100) 및 상기 제2 모니터부(200)는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 하우징(120, 220)의 일 측부가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기 제1 내지 제4 회전 자석(142, 242, 144, 244)에 의하여 연결됨에 따라,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도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monitor unit 100 and the second monitor unit 200,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housings 120 and 22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can be freely rotated around the Z axis. As the first to fourth rotating magnets 142, 242, 144, and 244 are connected, the angle can be easily adjusted even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영역(A1) 내의 상기 제1 수용부(310) 하부에는 제1 고정 자석(350)이 마련되고, 상기 제4 영역(A4) 내의 상기 제4 수용부(340) 상부에는 제2 고정 자석(36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자석(350)과 상기 제2 고정 자석(360)은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자석(350)과 상기 제2 고정 자석(360) 간의 자력은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 하우징(120, 22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fixed magnet 350 is provided under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0 in the first area A1, and a first fixed magnet 350 is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the fourth accommodating part 340 in the fourth area A4. 2 A fixed magnet 360 may be provided. The first fixed magnet 350 and the second fixed magnet 360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facing each other. Accordingl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fixed magnet 350 and the second fixed magnet 360 may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housings 120 and 220.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된 치들을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형성된 치들의 측면도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shapes of teeth formed in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ide view of teeth formed in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역(A1)의 저면 및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4 영역(A4)의 상면 각각에는 그 중심(401, 501)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치(410, 510)들이 형성될 수 있다. 7 and 9, eac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rea A 1 and the top surface of the fourth area A 4 facing the first area A 1 are positio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s 401 and 501. 410, 510 may be form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치들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치들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경사면(S1, S2)과 상기 제1 및 제2 경사면(S1, S2)이 만나는 모서리(E)를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eth may have an uneven shape as shown in FIG. 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eeth of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S 1, S 2) and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S 1, S 2) the corner meet, as illustrated in FIGS. 10 and 11 It can have a shape with (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들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제1 경사면(S1)과 상기 제2 경사면(S2)은 상기 모서리(E)를 기준으로 비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영역(A1)의 저면에 형성된 치들과 상기 제4 영역(A4)의 상면에 형성된 치들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teeth have a shape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first inclined surface (S 1 )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S 2 ) have an asymmetric structure based on the edge (E). Can have Accordingly, teeth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rea A 1 and teeth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area A 4 can be easily combined.

상기 제1 영역(A1)의 저면에 형성된 치들(410) 및 상기 제4 영역(A4)의 상면에 형성된 치들(510)은,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 사이에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are connected to the teeth 4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rea A 1 and the teeth 5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area A 4 If so,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may be improved.

또한, 상기 제1 영역(A1)의 저면 및 상기 제4 영역(A4)의 상면에 형성된 치들은(410, 510),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의 각도가 틀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A1)의 저면 및 상기 제4 영역(A4)의 상면은 그 중심을 축으로 치들이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100, 200)의 추가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eth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rea A 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area A 4 have an external impact on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When applied, the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are prevented from being distorted. Specifically,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rea A 1 and the top surface of the fourth area A 4 are added to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100 and 200 as the teeth are meshed around the center thereof. Rotation may be restricted.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센서부(4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0) 및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센서부(400) 및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된다.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sensor unit 400 and a controller (not shown) like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sensor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the same as the sensor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o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1 모니터부
110: 제1 모니터
120: 제1 모니터 하우징
130: 제1 모니터 고정부
140: 제1 회전 자석
200: 제2 모니터부
210: 제2 모니터
220: 제2 모니터 하우징
230: 제2 모니터 고정부
240: 제2 회전 자석
310, 320, 330, 340: 제1 내지 제4 수용부
100: first monitor unit
110: first monitor
120: first monitor housing
130: first monitor fixing part
140: first rotating magnet
200: second monitor unit
210: second monitor
220: second monitor housing
230: second monitor fixing part
240: second rotating magnet
310, 320, 330, 340: first to fourth receiving portions

Claims (5)

가정, 병원, 관공서, 공항 등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모니터 하우징과,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 내측에 마련된 제1 모니터를 갖는 제1 모니터부;
제2 모니터 하우징과,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 내측에 마련된 제2 모니터를 갖는 제2 모니터부;
상기 제1 모니터부를 상기 공간부의 제1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제1 모니터 고정부;
상기 제2 모니터부를 상기 공간부의 제1 내측면과 접하는 제2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제2 모니터 고정부;
상기 제1모니터 하우징과 상기 제2모니터 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과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니터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 연결부는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에 형성된 제1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수용부 내에서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제1 회전 자석; 및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과 맞닿은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에 형성된 제2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수용부 내에서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제2 회전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과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은 상기 제1 회전 자석과
상기 제2 회전 자석의 자력으로 연결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In a multi-display device installed in spaces such as homes, hospitals, government offices, and airports,
A first monitor unit having a first monitor housing and a first monitor provided inside the first monitor housing;
A second monitor unit having a second monitor housing and a second monitor provided inside the second monitor housing;
A first monitor fixing part fixing the first monitor part to a first inner surface of the space part;
A second monitor fixing unit fixing the second monitor unit to a second inner surface contacting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space unit;
A monitor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and adjusting an angle between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The monitor connection part
A first rotating magnet inserted into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freely rotatable about a Z axis with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It is inserted into a second receiv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nitor hous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includes a second rotating magnet freely rotatable about a Z axis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the second monitor housing are the first rotating magnet and
A multi-display device connected by magnetic force of the second rotating magn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연결부는,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에서 상기 제1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3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3 수용부 내에서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제3 회전 자석; 및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에서 상기 제2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4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4 수용부 내에서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제4 회전 자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는 상기 제1 수용부가 형성된 제1 영역이 상기 제3 수용부가 형성된 제3 영역에 비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모니터 하우징의 일 측부는 상기 제3 영역과 맞닿으며 상기 제4 수용부가 형성된 제4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맞닿으며 상기 제2 수용부가 형성된 제2 영역에 비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저면 및 이와 마주하는 상기 제4 영역의 상면 각각에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치들이 형성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nitor connection part,
A third rotating magnet inserted into a third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t one side of the first monitor housing, and capable of freely rotating about a Z axis within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And
A fourth rotating magnet inserted into a fourth receiving portion formed under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t one side of the second monitor housing, and freely rotatable about a Z-axis within the fourth receiving portion,
One side of the first monitor housing has a first area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protrudes outward compared to a third area in which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One side of the second monitor housing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area, and the fourth area in which the fourth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abuts the first area and protrudes outward compared to the second area in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A multi-display device in which teeth are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eac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rea and the top surface of the fourth area facing i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치들은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만나는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모서리를 기준으로 비대칭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eeth have a corner where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meet,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orn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의 상기 제1 수용부 하부에는 제1 고정 자석이 마련되고, 상기 제4 영역 내의 상기 제4 수용부 상부에는 제2 고정 자석이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자석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fixed magnet is provided below the first receiving part in the first area, and a second fixed magnet is provided above the fourth receiving part in the fourth area,
The first and second fixed magnets have different polarities.
제1 항에 있어서,
센서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 주위에 위치하는 사람들과의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사람들과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The sensor unit detects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people locate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nitor units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people sensed by the sensor unit.
KR1020190014226A 2019-02-07 2019-02-07 Multi Display device KR1021997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26A KR102199764B1 (en) 2019-02-07 2019-02-07 Multi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26A KR102199764B1 (en) 2019-02-07 2019-02-07 Multi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018A true KR20200097018A (en) 2020-08-18
KR102199764B1 KR102199764B1 (en) 2021-01-07

Family

ID=7226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226A KR102199764B1 (en) 2019-02-07 2019-02-07 Multi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76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585A (en) * 2007-06-19 2008-12-24 (주)올리브컴인터내셔날 Interactive imaging system of motor control method and method of motion thereof
JP2009531743A (en) * 2006-03-27 2009-09-03 サウ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Display mounting device
KR200465508Y1 (en) * 2012-07-25 2013-02-22 추정석 Multiple monitor
JP2014103631A (en) * 2012-11-22 2014-06-05 Nippon Antenna Co Lt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20180135327A (en) * 2017-06-12 2018-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housing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1743A (en) * 2006-03-27 2009-09-03 サウ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Display mounting device
KR20080111585A (en) * 2007-06-19 2008-12-24 (주)올리브컴인터내셔날 Interactive imaging system of motor control method and method of motion thereof
KR200465508Y1 (en) * 2012-07-25 2013-02-22 추정석 Multiple monitor
JP2014103631A (en) * 2012-11-22 2014-06-05 Nippon Antenna Co Lt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20180135327A (en) * 2017-06-12 2018-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hous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764B1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9824B2 (en) Electronic device
EP3537415B1 (en) Display device
KR101432057B1 (en) A method of control to billboards and billboard
US10931856B2 (en) Electronic device
WO2020055463A1 (en) Magnetic layout in electronic devices and accessory devices for electronic devices
US10412376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ixel arrangement in a display unit
AU2396895A (en) Transportable computer systems having dual viewing modes
US10438568B2 (en) Display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system
CA2634827C (en) Controller and graphics assemblies in multi-screen display systems
US20090091881A1 (en) Display device
CN113163142B (en) Display device
US106711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8619172B2 (en) Rotatable camera assembly
US10303212B2 (en) Rotary combination module for tablet computer
KR102199764B1 (en) Multi Display device
US20120086709A1 (en) 3d/2d display device switching module
JP2022091705A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216026B2 (en) Mainboard and display panel
JP2011248254A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device for achieving the same, tilt detector,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2589143B1 (en) Display apparatus
TWI443417B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barrier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20160090711A (en) Moving robot using magnetic-force and cleaning robot for window having the same
CN209281847U (en) A kind of holographic advertisement fan screen of low cost
JP2010117619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70004593A (en) Multi-function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