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917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917A
KR20200095917A KR1020190013900A KR20190013900A KR20200095917A KR 20200095917 A KR20200095917 A KR 20200095917A KR 1020190013900 A KR1020190013900 A KR 1020190013900A KR 20190013900 A KR20190013900 A KR 20190013900A KR 20200095917 A KR20200095917 A KR 20200095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hops
address
serv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7715B1 (ko
Inventor
이중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3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715B1/ko
Priority to US16/775,627 priority patent/US11570208B2/en
Priority to PCT/KR2020/001486 priority patent/WO2020159283A1/en
Publication of KR2020009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41Countermeasures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66Active attacks involving interception, injection, modification, spoofing of data unit addresses, e.g. hijacking, packet injection or TCP sequence number atta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8Shortest path evaluation for finding disjoint paths
    • H04L45/1287Shortest path evaluation for finding disjoint paths with disjoin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0Hop count for routing purposes, e.g. TTL
    • H04L61/15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04L63/1416Event detection, e.g. attack signatur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8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bove the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0Integrity
    • H04W12/102Route integrity, e.g. using trusted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2Shortest path evaluation by minimising distances, e.g. by selecting a route with minimum of number of h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하고,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hop)의 개수를 식별하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연결성을 확인하여 중간자 공격을 탐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가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와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 상에 다양한 방식의 중간자 공격(Man In The Middle Attack: MITM)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가 탈취될 위험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중간자 공격은 중간자가 서버가 전송한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응답을 가로채고 이를 변조하여 전자 장치와 서버 상호 간에 HTTPS가 아닌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기법, 중간자가 입력된 도메인 주소와 유사해 보이는 서브 도메인을 반환함으로써 HSTS(Http Strict Tansport Security)의 적용을 우회하는 기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간자 공격은 전자 장치가 HTTPS 요청을 수행하면, 중간자가 루트 인증서(Root Certificate)를 해킹하여 즉석에서 위조 인증서를 생성하고, 위조 인증서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와 HTTPS 연결을 수행함과 동시에 서버와 HTTPS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를 스니핑(Sniffing)하는 기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중간자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어 기법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나, 그 방어 기법을 우회하거나 무력화할 수 있는 중간자 공격의 기법 또한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중간자 공격의 구체적인 공격 시나리오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중간자 공격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는 중간자 공격의 탐지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네트워크 연결성을 확인하여 중간자 공격을 탐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hop)의 개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와 상기 도메인 네임과 상이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가 공인 IP(Public IP) 주소이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하고,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회로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상기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hop)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와 상기 도메인 네임과 상이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가 공인 IP(Public IP) 주소이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 상기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hop)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중간자 공격이 탐지된 경우 보안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랩탑 PC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과 같이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 상호간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중요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신 구간에 SSL(Secure Socket Layer)과 같은 암호 규약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SSL을 적용하지 않거나 특정 통신 구간에 대해서만 SSL을 적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 상에 SSL(Secure Socket Layer) Strip, SSL Strip+ 및 SSL split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중간자 공격(Man In The Middle Attack)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가 탈취될 위험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다양한 방식의 중간자 공격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중간자가 서버(200)가 전송한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응답을 가로채고 이를 변조하여,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 상호 간에 HTTPS가 아닌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기법에 의해 중간자 공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SSL Strip 기법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HTTP를 사용하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면, 중간자는 악성 액세스 포인트 등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전송한 HTTP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HTTP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웹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이 수행되는 경우와 같이 암호화 통신이 필요한 경우, 서버(200)는 SSL이 적용될 수 있도록 HTTPS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중간자는 서버(200)가 전송한 HTTPS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을 HTTP로 변조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HTTP로 변조된 응답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는 SSL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HTTP를 통해 사용자의 계정 정보 등이 포함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게 되며, 이 때 중간자는 사용자가 전송한 정보를 수신하여 스니핑(Sniffing)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SSL Strip 방식의 중간자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HSTS(Http Strict Tansport Security)와 같은 방어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HSTS는 클라이언트 레벨에서 HTTPS의 사용을 강제하는 방법으로서, HSTS가 적용되면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HTTP 주소를 입력하더라도 자동으로 HTTPS를 사용하는 웹 페이지로 연결되어 SSL Strip 방식의 중간자 공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중간자가 입력된 도메인 주소와 유사해 보이는 서브 도메인을 반환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HSTS의 적용을 우회할 수 있는 중간자 공격의 기법이 존재한다. 이를 SSL Strip + 기법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 DNS(Domain Name System) 요청을 수행하면, 중간자는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인 DNS를 변조시키는 기법인 DNS 스푸핑(Spoofing)을 통해 입력된 도메인 주소와 유사해 보이는 서브 도메인을 전자 장치(100)에 반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입력된 도메인 네임인 www.ABC.com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 DNS 요청을 수행하면, 중간자는 wwww.ABC.com이라는 서브 도메인을 전자 장치(100)에 반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도메인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HSTS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 장치(100)는 서브 도메인을 바탕으로 HTTP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중간자에 의해 통신 내용이 스니핑되거나 변조될 수 있다.
한편, 모든 서브 도메인에 대해서 HSTS를 적용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SSL Strip + 공격에 대비할 수 있으나, 서버(200)의 부하 및 개발/운영 환경을 고려할 때, 모든 서브 도메인에 대해서 HSTS를 적용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전자 장치(100)가 HTTPS 요청을 수행하면, 중간자가 루트 인증서(Root Certificate)를 해킹하여 즉석에서 위조 인증서를 생성하고, 위조 인증서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HTTPS 연결을 수행함과 동시에 서버(200)와 HTTPS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송한 정보를 스니핑하는 기법이 존재한다. 이를 SSL split 기법이라고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을 탐지하기 위하여,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그에 따른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바탕으로 중간자 공격의 발생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중간자 공격 탐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 특별히 DNS 서버라고 명시하지 않는 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서버(200)라는 용어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200)를 의미한다.
여기서,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은 특정 도메인 네임을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에 대하여 본 개시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www.ABC.com와 같은 도메인 네임을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한편,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은 www.ABC.com와 같은 도메인 네임을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지정하고, 지정된 IP 주소에 대하여 본 개시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상에서는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하고 획득된 IP 주소에 대한 중간자 공격을 탐지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에 의해 IP 주소가 직접 입력되는 경우에도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특정 웹 페이지를 직접 관리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웹페이지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IP 주소에 대하여 본 개시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hop)의 개수를 식별한다. 여기서, 홉이란 네트워크의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위치한 경로의 한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홉의 개수는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통과해야 하는 중간 장치의 개수로서, 네트워크의 거리(network distance)를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획득된 정보 또는 네트워크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식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홉의 개수는 네트워크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포함되는 각 구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트레이스라우트(traceroute)와 같은 유틸리티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홉의 개수는 네트워크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각 경로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를 통해 식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는 전자 장치(100)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통한 동기화를 바탕으로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가 갱신됨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기 저장된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어느 정도 유지할 것인지는 본 개시의 구현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n 개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인 m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더라도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없으나,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중간자와의 관계에서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열 개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다섯 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전자 장치(100)에서부터 다섯 번째의 홉 이내의 위치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0)는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지 않으면 두 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며, 그리고 두 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지 않으면 세 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것과 같이, 한 개의 홉에서부터 홉의 수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한편,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IP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TTL(Time to Live) 값을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작게 설정하여 TCP handshake를 시도하고, 그에 따른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IP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TTL 값을 식별된 홉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TCP handshake를 시도하고, 그에 대한 응답 패킷에 포함된 TTL 값이 IP 패킷의 TTL 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고, 중간자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IP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S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 및 제1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와 제1 도메인 네임과 상이한 제2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리고 획득된 IP 주소가 공인 IP(Public IP) 주소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수행될 수 있는 필터링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그에 따른 연결성(reachability)를 바탕으로 중간자 공격을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자와의 연결성 자체를 확인하여 중간자 공격을 탐지한다는 점에서, 본 개시는 중간자 공격의 구체적인 공격 시나리오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중간자 공격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회로를 포함하며, 서버 또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서버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 또는 외부 장치로 각종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WiFi 모듈(111), Bluetooth 모듈(112), 무선 통신 모듈(113), 및 NFC 모듈(1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iFi 모듈(111)과 Bluetooth 모듈(112) 각각은 WiFi 방식, Bluetooth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WiFi 모듈(111)이나 Bluetooth 모듈(11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13)은 IEEE, 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NFC 모듈(11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 따라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전자 장치(1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20)에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20)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이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메모리(120)라는 용어는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메모리(120)에는 DNS 서버로부터 획득된 IP 주소 및 획득된 IP 주소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IP 주소는 도메인 네임과 매핑되는 형태로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는 전자 장치(100)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갱신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메모리(120)에 저장된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 또한 갱신될 수 있다.
그리고,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가 갱신됨에 따라 메모리(120)에 기 저장된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어느 정도 유지할 것인지는 본 개시의 구현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부(110) 및 메모리(1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과 연결되며, 상술한 바와 같은 메모리(1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임베디드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드웨어 컨트롤 로직, 하드웨어 유한 상태 기계(hardware Finite State Machine, FSM),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프로세서(130)라는 용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MPU(Main Processing Unit)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그에 따른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바탕으로 중간자 공격의 발생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중간자 공격 탐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은 특정 도메인 네임을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에 대하여 본 개시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www.ABC.com와 같은 도메인 네임을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한편,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은 www.ABC.com와 같은 도메인 네임을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지정하고, 지정된 IP 주소에 대하여 본 개시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상에서는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하고 획득된 IP 주소에 대한 중간자 공격을 탐지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에 의해 IP 주소가 직접 입력되는 경우에도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특정 웹 페이지를 직접 관리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웹페이지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IP 주소에 대하여 본 개시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획득되면,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hop)의 개수를 식별한다. 여기서, 홉이란 네트워크의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위치한 경로의 한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홉의 개수는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통과해야 하는 중간 장치의 개수로서, 네트워크의 거리(network distance)를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획득된 정보 또는 네트워크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식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홉의 개수는 네트워크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포함되는 각 구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트레이스라우트(traceroute)와 같은 유틸리티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홉의 개수는 네트워크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각 경로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를 통해 식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는 전자 장치(100)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통한 동기화를 바탕으로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면,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그리고,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더라도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없으나,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중간자와의 관계에서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열 개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다섯 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전자 장치(100)에서부터 다섯 번째의 홉 이내의 위치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IP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TTL(Time to Live) 값을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작게 설정하여 TCP handshake를 시도하고, 그에 따른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IP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TTL 값을 식별된 홉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TCP handshake를 시도하고, 그에 대한 응답 패킷에 포함된 TTL 값이 IP 패킷의 TTL 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30)가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것을 전제로 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도 특정한 개수의 홉을 바탕으로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그에 따른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바탕으로 중간자 공격의 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하고,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인 것이 자명한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도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중간자 공격을 탐지할 수 있다.
특히,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서부터 첫 번째의 홉 이내의 위치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장치는 전자 장치(100)에서부터 첫 번째의 홉 이내의 위치에 중간자 공격은 서버(200)와의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대한 중간자 공격이거나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서브네트워크(sub network)에서의 중간자 공격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도 특정한 개수의 홉을 바탕으로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그에 따라 중간자 공격을 탐지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고, 중간자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IP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 및 제1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와 제1 도메인 네임과 상이한 제2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리고 획득된 IP 주소가 공인 IP(Public IP) 주소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수행될 수 있는 필터링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다만,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고, 중간자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IP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 상에, 중간자가 서버(200)가 전송한 HTTPS 응답을 가로채고 이를 변조하여,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 상호 간에 HTTPS가 아닌 HTTP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SSL Strip 기법, 또는 중간자가 입력된 도메인 주소와 유사해 보이는 서브 도메인을 반환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HSTS의 적용을 우회하여 HTTP 통신을 유도하는 SSL Strip + 기법과 같은 중간자 공격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TCP 80번 포트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S305),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S310).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 상호 간에 HTTP 연결이 수립되기 전이라면(S315-N), 전자 장치(100)는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 상호 간에 HTTP 연결이 수립되면(S315-Y),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S320).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325).
그리고,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S330-Y),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3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HTTPS 요청을 수행하면, 중간자가 루트 인증서를 해킹하여 즉석에서 위조 인증서를 생성하고, 위조 인증서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와 HTTPS 연결을 수행함과 동시에 서버(200)와 HTTPS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송한 정보를 스니핑하는 SSL Split 기법과 같은 중간자 공격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S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TCP 443번 포트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S340),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S345).
그리고,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 상호 간에 HTTP 연결이 수립되기 전이라면(S350-N), 전자 장치(100)는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 상호 간에 HTTP 연결이 수립되면(S350-Y),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S355).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360).
그리고,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S365-Y),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70).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S 연결이 수립되고, 루트 인증서(Root Certificate)가 해킹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루트 인증서의 해킹에 관련된 정보는 외부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 또는 HTTPS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추가적인 필터링 조건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을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획득된 IP 주소가 공인 IP(Public IP) 주소이고,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획득된 IP 주소가 공인 IP 주소이고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S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 상에, 중간자가 입력된 도메인 주소와 유사해 보이는 서브 도메인을 반환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HSTS의 적용을 우회하여 HTTP 통신을 유도하는 SSL Strip + 기법과 같은 중간자 공격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중간자 공격 탐지 과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중간자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IP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와 제1 도메인 네임과 상이한 제2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1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제1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으며(S410), 또한 제2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제2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S420). 그리고, 제1 도메인 네임 및 제2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제1 IP 주소 및 제2 IP 주소는 각각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DNS 요청에 따라 DNS 서버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DNS 요청에 따른 IP 주소의 획득은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의 수신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제1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제1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제1 IP 주소를 획득하고, 제2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제2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2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제2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1 IP 주소와 제2 IP 주소가 동일하면,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200)가 IP 주소에 대응되는 멀티 도메인 네임을 제공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200)가 IP 주소에 대응되는 도메인 네임으로서 www.ABC.com 및 www.ABC1.com를 제공하는 경우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DNS 요청에 따른 IP 주소의 획득은 전자 장치(100)가 획득한 복수의 도메인 네임 각각에 대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DNS 요청에 따른 IP 주소의 획득은 전자 장치(100)의 HTTP 요청에 대한 서버(200)의 응답에 포함된 도메인 네임 또는 전자 장치(100)의 HTTP 요청에 대한 중간자의 응답에 포함된 도메인 네임에 대해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제1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중간자는 제1 도메인 네임과 유사해 보이는 서브 도메인인 제2 도메인 네임을 전자 장치(100)에 반환할 수 있으며, 서브 도메인 네임을 획득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서브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DNS 요청을 수행하여, 제2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경우, 제1 IP 주소 및 제2 IP 주소는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된 제1 IP 주소 및 제2 IP 주소가 동일하면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IP 주소 및 제2 IP 주소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IP 주소와 제2 IP 주소의 동일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1 IP 주소와 제2 IP 주소가 동일하지 않으면(S430-N), 전자 장치(100)는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제1 IP 주소와 제2 IP 주소가 동일하면(S430-Y),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제1 IP 주소 및 제2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S440).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450).
그리고,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S460-Y),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470).
이상에서는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필터링 과정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필터링 조건이 도 3a, 도 3b 및 도 4 각각의 실시 예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필터링 조건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와 제1 도메인 네임과 상이한 제2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며, 획득된 IP 주소가 공인 IP(Public IP) 주소이고,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링 과정은 본 개시에 따른 중간자 공격 탐지 과정의 효율성을 위한 것으로서, 중간자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IP에 해당하는 경우를 선별하기 위한 조건이라면, 어떠한 필터링 조건이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링 조건에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고, 중간자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IP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중간자 탐지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가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것을 전제로 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도 특정한 개수의 홉을 바탕으로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그에 따른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바탕으로 중간자 공격의 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S510), 전자 장치(100)는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S520).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530). 그리고,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S540-Y),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550).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인 것이 자명한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도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중간자 공격을 탐지할 수 있다.
특히,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서부터 첫 번째의 홉 이내의 위치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100)에서부터 첫 번째의 홉 이내의 위치에 중간자 공격은 서버(200)와의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대한 중간자 공격이거나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서브네트워크(sub network)에서의 중간자 공격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두 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전자 장치(100)에서부터 두 번째 홉 이내의 위치의 중간자 공격을 탐지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도,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보다 자명하게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그에 따른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바탕으로 중간자 공격의 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에서부터 x 번째 이후의 홉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경로가 보안성을 신뢰할 수 있는 경로에 해당한다면,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도 x-1 개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전자 장치(100)에서부터 x-1 번째 홉 이내의 위치의 중간자 공격을 탐지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중간자 공격이 탐지된 경우 보안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출력부(140) 및 입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를 실시함에 있어 이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출력부(140)는 회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30)는 출력부(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141), 스피커(142) 및 인디케이터(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1)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41)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하여 메모리(120)에 기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41)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4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141)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141)가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피커(142)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인디케이터(143)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하여 점등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부(140)를 통해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알림은 디스플레이(141)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보안 경고", "현재의 웹 페이지 이용에 주의 요함" 및 "현재의 웹 페이지에 대한 연결을 종료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10)를 디스플레이(141)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을 스피커(142)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으며, 또한 인디케이터(143)가 점등하도록 제어하여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보안 경고 알림이 제공되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의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회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30)는 입력부(150)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50)는 카메라(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리모컨 신호 수신부(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50)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디스플레이(141)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여,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의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140)를 통해 보안 경고 알림이 제공되면, 사용자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의 유지 여부를 능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710)를 통해 보안 경고 알림을 제공 받은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선택 명령 중 "예(720)"를 선택함으로써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종료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현재의 네트워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안성을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보안 경고 알림을 제공 받은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보안성이 높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보안 경고 알림에도 불구하고,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유지하기를 희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보안 경고 알림이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는 중간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었다는 점에서 발생된 경우와 같이 오탐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유지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보안 경고 알림이 중간자 공격에 의해 발생된 것이라고 판단되더라도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유지하기를 희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710)에 포함된 선택 명령 중 "아니오(730)"를 선택함으로써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상기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가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상기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가 수신된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부(140)를 통해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지 않고, 서버와(200)의 통신 연결을 종료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보안 경고 알림에 관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 유지 여부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의 유지 여부를 능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S810).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한다(S820). 구체적으로,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IP 주소가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hop)의 개수를 식별한다(S830). 여기서, 홉이란 네트워크의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위치한 경로의 한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홉의 개수는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통과해야 하는 중간 장치의 개수로서, 네트워크의 거리(network distance)를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S840). 그리고,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S850-Y),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860).
즉,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더라도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없으나,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중간자와의 관계에서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한편,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IP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TTL(Time to Live) 값을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작게 설정하여 TCP handshake를 시도하고, 그에 따른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IP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는 TTL 값을 식별된 홉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TCP handshake를 시도하고, 그에 대한 응답 패킷에 포함된 TTL 값이 IP 패킷의 TTL 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고, 중간자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IP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서버(200)와 HTTPS 연결이 수립되는 경우, 및 제1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와 제1 도메인 네임과 상이한 제2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리고 획득된 IP 주소가 공인 IP(Public IP) 주소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수행될 수 있는 필터링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200)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hop)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그에 따른 연결성(reachability)를 바탕으로 중간자 공격을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자와의 연결성 자체를 확인하여 중간자 공격을 탐지한다는 점에서, 본 개시는 중간자 공격의 구체적인 공격 시나리오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중간자 공격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고, 중간자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IP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간자 공격의 탐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중간자 탐지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서버(2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도 특정한 개수의 홉을 바탕으로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그에 따른 통신 연결의 수립 여부를 바탕으로 중간자 공격의 탐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 유지 여부에 주의를 기울임과 동시에 서버(200)와의 통신 연결의 유지 여부를 능동적으로 결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200: 서버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출력부
150: 입력부

Claims (21)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hop)의 개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와 상기 도메인 네임과 상이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가 공인 IP(Public IP) 주소이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획득하고,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회로를 포함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종료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상기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hop)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홉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를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와 상기 도메인 네임과 상이한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IP 주소가 공인 IP(Public IP) 주소이면,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의 개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한 개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 상기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웹 페이지의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IP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경로에 포함되는 홉(hop)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홉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홉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상기 네트워크에 중간자 공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90013900A 2019-02-01 2019-02-0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17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900A KR102617715B1 (ko) 2019-02-01 2019-02-0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6/775,627 US11570208B2 (en) 2019-02-01 2020-01-29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0/001486 WO2020159283A1 (en) 2019-02-01 2020-01-31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900A KR102617715B1 (ko) 2019-02-01 2019-02-0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917A true KR20200095917A (ko) 2020-08-11
KR102617715B1 KR102617715B1 (ko) 2023-12-27

Family

ID=7183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900A KR102617715B1 (ko) 2019-02-01 2019-02-01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70208B2 (ko)
KR (1) KR102617715B1 (ko)
WO (1) WO2020159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3893B2 (en) * 2018-01-16 2020-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on of man-in-the-middle in HTTPS transactions independent of certificate trust chain
US11671359B2 (en) * 2020-08-07 2023-06-06 Telia Company Ab Methods and apparatuses in a network comprising a plurality of switch devices
CN113973128A (zh) * 2021-09-16 2022-01-25 杭州深渡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远程调试的方法、系统、装置和存储介质
US11784762B2 (en) 2021-11-11 2023-10-1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limiting network function (NF) repository function (NRF) forwarding
US20230171182A1 (en) * 2021-12-01 2023-06-0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restricting a number of hops conducted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76248A1 (en) * 2016-12-21 2018-06-21 Verisign, Inc. Anycast-based spoofed traffic detection and mitigation
US10148688B1 (en) * 2015-02-09 2018-12-04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llegitimate devices on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1800B2 (en) 2006-01-31 2010-05-04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connectivity determination
KR100906300B1 (ko) 2007-10-05 2009-07-0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공격 탐지 방법
US20100153537A1 (en) 2008-12-11 2010-06-17 Jia Wa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etection of internet protocol address hijacking
KR20120068294A (ko) 2010-12-17 2012-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감시 노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IL210169A0 (en) * 2010-12-22 2011-03-31 Yehuda Binder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based internet security
KR101293954B1 (ko) 2011-09-30 2013-08-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우회 접속을 탐지하는 장치 및 방법
US9628502B2 (en) 2014-06-09 2017-04-18 Meadow Hills, LLC Active attack detection system
KR20160002269A (ko) 2014-06-30 2016-0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dn 기반의 arp 스푸핑 탐지장치 및 그 방법
EP2993842A1 (en) * 2014-09-05 2016-03-09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Search for disjoint paths through a network
US10021018B2 (en) * 2015-09-07 2018-07-10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multiple transport layer hops between clients and servers
US9762611B2 (en) 2016-02-16 2017-09-12 Cylance Inc. Endpoint-based man in the middle attack det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US9602531B1 (en) 2016-02-16 2017-03-21 Cylance, Inc. Endpoint-based man in the middle attack detection
JP6470201B2 (ja) 2016-02-16 2019-02-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攻撃検知装置、攻撃検知システムおよび攻撃検知方法
US10440053B2 (en) * 2016-05-31 2019-10-08 Lookou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nd preventing network connection compromise
US10250636B2 (en) 2016-07-07 2019-04-02 Attivo Networks Inc Detecting man-in-the-middle attacks
US10225237B2 (en) 2016-10-17 2019-03-05 Zscal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HTTPS security
KR102333144B1 (ko) 2017-06-16 202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9028293A1 (en) * 2017-08-02 2019-02-07 CipherTooth, Inc. DETECTION OF INTERCEPTOR ATTACKS ON A LOCAL NETWORK
US10693893B2 (en) * 2018-01-16 2020-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on of man-in-the-middle in HTTPS transactions independent of certificate trust cha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8688B1 (en) * 2015-02-09 2018-12-04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llegitimate devices on wireless networks
US20180176248A1 (en) * 2016-12-21 2018-06-21 Verisign, Inc. Anycast-based spoofed traffic detection and mit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70208B2 (en) 2023-01-31
KR102617715B1 (ko) 2023-12-27
WO2020159283A1 (en) 2020-08-06
US20200252426A1 (en)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771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30379362A1 (en) Honeypots for infrastructure-as-a-service security
US105818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ecure information
ES2898869T3 (es) Sistema y métodos para detección de dispositivo automática
US100752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US20160050559A1 (en) Preventing Location Tracking Via Smartphone MAC Address
KR102300098B1 (ko) 통신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통신 연결 방법
WO2016101730A1 (zh) 无线网络接入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60381621A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eacon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WO2018201745A1 (zh) 无线接入点的风险提示方法及设备
CN106209918A (zh) 一种网络安全性管理的方法及终端
EP3649569B1 (en) Server and method for defending malicious code using same
US20160162106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touch input
US11076291B2 (en) Emulated mobile device identification
US11356478B2 (en) Phishing protection using cloning detection
KR10261515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106871A (ko)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80124018A1 (en) Coordinated application firewall
CN106411862A (zh) 一种网络安全性管理的方法及终端
US1133707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US11696138B2 (en) Security appliance for protecting power-saving wireless devices against attack
US20230276240A1 (en) Security Appliance for Protecting Power-Saving Wireless Devices Against Attack
US108050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users
US11809550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20500569A (ja) エミュレーションによるリマスタ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