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664A - Self-interior Service Method - Google Patents

Self-interior Servic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664A
KR20200095664A KR1020190013249A KR20190013249A KR20200095664A KR 20200095664 A KR20200095664 A KR 20200095664A KR 1020190013249 A KR1020190013249 A KR 1020190013249A KR 20190013249 A KR20190013249 A KR 20190013249A KR 20200095664 A KR20200095664 A KR 20200095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interior
products
item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2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2135B1 (en
Inventor
강병두
경동욱
Original Assignee
(주)씨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소 filed Critical (주)씨소
Priority to KR102019001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135B1/en
Publication of KR2020009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6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1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elf-interior service method. The interio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n indoor image; detecting indoor products from the generated indoor image; restoring the detected indoor products in 3D; and sorting and saving the restored indoor items in a list. Therefore, the indoor products owned by the user are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objects to be interiors in a desired indoor space, thereby providing a realistic interior service.

Description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Self-interior Service Method}Self-interior Service Method {Self-interior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가상 현실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처리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의 실내공간에서 가상의 실내용품들을 배치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service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ior service method of arranging virtual indoor products in a virtual indoor space by using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영상처리 기술과 영상편집 기술 등의 발달은, 캐드 등과 같은 복잡하고 어려운 전문 프로그램을 다룰 수 없는 일반인들까지도 실내 인테리어를 가상 공간에서 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development of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image editing technology has allowed even ordinary people who cannot handle complex and difficult professional programs such as CAD to perform indoor interiors in virtual spaces.

현재 출시된 실내 인테리어 프로그램은 3D로 다양한 객체들을 높은 디테일의 그래픽으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인테리어의 기본적인 목적에서 나아가 실감성과 엔터테인먼트 효과도 이루고 있다.The currently released indoor interior program provides a variety of objects in 3D as high-detailed graphics, so it is not only the basic purpose of the interior, but also a sensibility and entertainment effect.

하지만, 이들에 의한 가상 인테리어는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실내용품들을 활용한 인테리어가 아닌 컴퓨터 프로그램/툴에서 제공하는 객체들로 인테리어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However, the virtual interior by these has a problem that it is far from reality. Specifically, this is because interior work must be performed with objects provided by computer programs/tools rather than interiors using indoor items owned by the user.

물론, 사용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실내용품들에 해당하는 객체들만을 선별하여 인테리어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지만, 선별 작업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지신이 보유하고 있는 실내용품이 없는 경우에는, 제기된 문제 해결이 불가능하다.Of course,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selecting only the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indoor items owned by the user and interior, but a lot of effort and time are required for the selection process. In addition, if there is no indoor product owned by Jishin, it is impossible to solve the posed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실내용품들을 자동으로 객체화하여, 원하는 실내공간에 인테리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automatically objectifying indoor items possessed by a user to provide a service for interior decoration in a desired indoor space.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방법은, 실내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실내영상에서 실내용품들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실내용품들을 3D로 복원하는 단계; 복원된 실내용품들을 분류하는 단계; 실내용품들을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terior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an indoor image; Detecting indoor products from the generated indoor image; Restoring the detected indoor products in 3D; Classifying the restored indoor products; It includes; storing indoor items in a list.

그리고, 생성 단계는, 파노라마 촬영으로, 실내영상을 생성하고, 검출 단계는, 실내영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2D 이미지들에서 실내용품들을 검출하고, 복원 단계는, 검출된 실내용품들이 등장한 2D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실내용품들을 3D로 복원할 수 있다.And, in the generating step, a panorama is taken to generate an indoor image, in the detection step, indoor products are detected from a plurality of 2D images constituting the indoor image, and in the restoration step, the 2D images in which the detected indoor products appear. Indoor products can be restored in 3D.

또한, 실내용품은, 가구, 가전, 주방 용품, 욕실 용품 및 인테리어 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produ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urniture, home appliances, kitchen appliances, bathroom appliances, and interior appliances.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방법은, 리스트를 불러오는 단계; 실내공간을 불러오는 단계; 리스트에 나열된 실내용품들 중 선택한 실내용품을 실내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interio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alling a list; Bringing up an indoor space;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arranging the indoor product selected from among the indoor products listed in the indoor space.

또한, 배치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실내용품을 사용자가 선택한 실내공간의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rrangement step, the indoor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may be placed in an area of the indoor space selected by the user.

그리고, 배치 단계는, 자동으로 선택한 실내용품을 실내공간에서 자동으로 선택한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In the arrangement step, the automatically selected indoor product may be placed in an automatically selected area in the indoor space.

또한, 배치 단계는,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한 배치 결과들을 학습한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cement step may be performed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has learned placement results by a plurality of users.

그리고, 인공지능 모델은, 실내공간과 실내용품을 입력으로 하고, 실내용품이 배치된 실내공간의 영역을 출력으로 하는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 which an indoor space and an indoor product are input, and an area of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indoor product is disposed is output.

또한, 인공지능 모델은, 실내용품의 종류에 따른 실내공간의 영역의 제한을 반영하여, 실내용품을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arrange indoor products by reflecting the limitation of the area of the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type of indoor product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시스템은, 실내영상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실내영상에서 실내용품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실내용품들을 3D로 복원하며, 복원된 실내용품들을 분류하고, 실내용품들을 리스트에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system, the user terminal for generating an indoor image; And a server that detects indoor items in the indoor image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restores the detected indoor items in 3D, classifies the restored indoor items, and stores the indoor items in a lis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실내용품들을 간편하게 자동으로 객체화하여 원하는 실내공간에 인테리어함으로써, 현실성 있는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automatically converting indoor items owned by a user into objects and interior them in a desired indoor sp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alistic interior ser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실내용품들을 기반으로 이사 견적, 동산 가치 평가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uil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moving estimates and property value evaluations based on indoor items own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보유 실내용품 객체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셀프 인테리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주도형 셀프 인테리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1 is a view provided for explaining a method of objectifying indoor products owned by a user for self-interio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user-led self interio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provided for explain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led self-interio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4 is a block diagram of a self interior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전문가의 도움 없이 스스로 간편하게 인테리어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를 위해 다음의 절차들이 수행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f-interior service is provided that supports a user to conveniently perform interior decoration without the help of an expert. The following procedures are performed for self-interio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사용자 보유 실내용품 가상 객체화1. Virtual objectization of indoor items owned by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보유 실내용품 객체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신의 실내용품들을 가상 공간에서의 3D 객체로 복원하기 위한 과정에 해당한다.1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objectifying indoor products owned by a user for self-interio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rocess for restoring the user's current indoor items into 3D objects in a virtual space.

실내용품들은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것들로, 가구(침대, 쇼파, 책상 등), 가전(TV, 세탁기, 냉장고 등), 주방 용품(씽크대, 찬장 등), 욕실 용품(욕조, 변기, 세면대), 기타 인테리어 용품(커튼, 블라인드, 조명 등) 등을 포함한다.Indoor products are those placed in the indoor space, furniture (bed, sofa, desk, etc.), home appliances (TV, washing machine, refrigerator, etc.), kitchen supplies (sink, cupboard, etc.), bathroom products (bathtub, toilet, sink), Includes other interior items (curtains, blinds, lighting, etc.).

사용자 보유 실내용품 객체화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는 실내공간을 360°파노라마로 촬영하여 실내영상을 생성한다(S110).In order to objectify the user-owned indoor goods, as shown in FIG. 1, first,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user resides is photographed in a 360° panorama to generate an indoor image (S110).

S110단계를 위한 파노라마 촬영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가능한데, 그 밖의 다른 촬영 장치/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Panoramic photographing for step S110 is possible using a smartphone carried by the user, but of course it may be performed using other photographing devices/means.

다음, S110단계에서 생성된 실내영상을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서버'(이하, '셀프 인테리어 서버'로 약칭)에 업로드하면(S120), 셀프 인테리어 서버가 실내영상을 분석하여, 실내용품들을 검출한다(S130).Next, when the indoor image generated in step S110 is uploaded to the'self interior service providing server' (hereinafter, abbreviated as'self interior server') (S120), the self interior server analyzes the indoor image and detects indoor items. (S130).

실내영상은 파노라마 촬영을 통해 생성된 다수의 2D 이미지들이므로, S130단계에서의 검출은 이 2D 이미지들에서 실내용품들을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Since the indoor image is a plurality of 2D images generated through panoramic photographing, detection in step S130 means detecting indoor items from these 2D images.

이후, 셀프 인테리어 서버는 S130단계에서 검출한 실내용품들을 가상의 3D 객체들로 복원한다(S140). S140단계는 실내용품들이 등장한 2D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실내용품들을 3D로 합성하는 과정에 의한다.Thereafter, the self-interior server restores the indoor items detected in step S130 as virtual 3D objects (S140). Step S140 is by a process of synthesizing indoor items into 3D using 2D images in which indoor items have appeared.

그리고, 인테리어 서버는 S140단계에서 복원된 실내용품들의 종류를 분류한다(S150). 이를 테면, 실내용품을 '가구 - 침대'로 분류하거나, '가전 - 세탁기'로 분류하거나, '기타 인테리어 용품 - 커튼'으로 분류한다.Then, the interior server classifies the types of indoor products restored in step S140 (S150). For example, indoor products are classified as'furniture-bed','home appliance-washing machine', or'other interior goods-curtains'.

S150단계에서의 분류는, 실내용품들의 종류를 판별하도록 학습된 '실내용품 분류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실내용품 분류 인공지능 모델의 입력은 실내용품의 3D 객체나 3D 객체 복원 전의 2D 이미지로 된 실내용품 이미지로 구현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in step S150 may be performed using an'indoor product classifi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has been learned to determine the types of indoor products. In this case, the input of the indoor product classifi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implemented as a 3D object of the indoor product or an image of the indoor product as a 2D image before 3D object restoration.

다음, S140단계에서 복원된 실내용품들을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 저장한다(S160). S160단계에서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는 실내용품에 대한 3D 데이터는 물론, S150단계를 통해 파악된 실내용품의 종류가 저장된다.Next, the indoor products restored in step S140 are stored in the'user indoor product list' (S160). In step S160, the user's indoor product list stores 3D data on indoor products as well as types of indoor products identified through step S150.

나아가,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는 실내용품의 사이즈가 더 저장될 수 있는데, 사이즈는 S130단계와 S140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정보이다.Furthermore, the size of the indoor product may be further stored in the'user indoor product list', and the size is information that may be additionall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teps S130 and S140.

한편, S130단계에서 실내용품 검출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겹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옷장이 책상에 가려져 있는 경우와 같이, 실내용품들이 겹쳐져 촬영된 영역을 안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해소하고 다시 촬영할 것을 유도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130, in order to accurately detect indoor products, an overlapping guide messa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For example, as in the case where the closet is covered by the desk, the area where indoor items are overlapped is guided to induce the user to solve the problem and shoot again.

다른 한편으로, S140단계에서 실내용품을 3D 객체로 복원하는 과정에서 추가 촬영을 더 요구할 수도 있다. 이를 테면, 3D 복원 상태가 좋지 않은 실내용품에 대해, 수직 방향의 파노라마 촬영을 요구하는 것이다. S110단계에서 수행된 수평 방향의 파노라마 촬영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indoor product to a 3D object in step S140, additional photographing may be requested. For example, for indoor items with poor 3D restoration, vertical panoramas are required. This is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 of the image generated by the horizontal panorama photographing performed in step S110.

2. 셀프 인테리어 - 사용자 주도형2. Self Interior-User-l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주도형 셀프 인테리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전술한 "1. 사용자 보유 실내용품 가상 객체화"를 통해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 저장된 실내용품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가상의 실내공간에 배치하는 과정에 해당한다.2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user-led self-interio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corresponds to a process of arranging the indoor items stored in the user's indoor product list in the virtual indoor spac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1. Virtual objectization of user-owned indoor products".

이를 위해, 먼저, 기생성/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를 불러오기 하고(S210), 원하는 가상의 실내공간을 불러오기 한다(S220).To this end, first, a parasitic/stored user indoor product list is called (S210), and a desired virtual indoor space is called (S220).

S220단계에서 불러오기 하는 실내공간은, 셀프 인테리어 서버가 기보유하고 있는 가상의 실내공간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파노라마 촬영을 통해 생성하여 셀프 인테리어 서버에 등록한 가상의 실내공간일 수도 있다.The indoor space fetched in step S220 may be a virtual indoor space pre-owned by the self-interior server, or may be a virtual indoor space created by a user through panoramic photographing and registered in the self-interior server.

나아가, 실내공간의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다. 실내공간에는 주거공간, 사무공간, 상업공간을 포함한 다양한 공간들을 대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type of indoor space. Indoor space can include various spaces including residential space, office space, and commercial space.

다음, S210단계에서 불러오기 한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 나열되어 있는 가상의 실내용품들을 S220단계에서 불러오기 한 가상의 실내공간에 배치한다(S230).Next, the virtual indoor products listed in the user's indoor product list imported in step S210 are placed in the virtual indoor space imported in step S220 (S230).

S230단계에서의 배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실내용품을 사용자가 선택한 실내공간 영역에 배치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배치를 수정하거나 취소하는 절차로 이루어진다.The arrangement in step S230 is mad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pecifically, it consists of a procedure of placing an indoor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in an indoor space area selected by the user, and modifying or canceling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이후, 실내용품 배치가 완료된 실내공간, 즉, 인테리어 완료된 실내공간은 셀프 인테리어 서버에 등록된다(S240). 나아가, S240단계에서 등록된 인테리어 완료된 실내공간은 타인들이 감상할 수 있도록 게시될 수 있으며(S250), 타인들에 의해 평가될 수도 있다(S260).Thereafter,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arrangement of indoor products has been completed, that is,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interior has been completed, is registered in the self-interior server (S240). Further, the interior space registered in step S240 may be posted so that others can appreciate it (S250) and may be evaluated by others (S260).

3. 셀프 인테리어 - 인공지능 모델 주도형3. Self interior-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rive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주도형 셀프 인테리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전술한 "1. 사용자 보유 실내용품 가상 객체화"를 통해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 저장된 실내용품들을,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가상의 실내공간에 자동으로 배치하는 과정에 해당한다.3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n artificial intelligence-led self-interio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corresponds to a process of automatically arranging the indoor items stored in the user's indoor product list through the above-described "1. Virtual objectization of user-owned indoor products" in a virtual indoor space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이를 위해, 먼저, 기생성/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를 불러오기 하고(S310), 원하는 가상의 실내공간을 불러오기 한다(S320). 이 과정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진다.To this end, first, a parasitic/stored user indoor product list is called (S310), and a desired virtual indoor space is called (S320). These processes are performed at the user's choice.

다음, S310단계에서 불러오기 한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 나열되어 있는 가상의 실내용품들을 S220단계에서 불러오기 한 가상의 실내공간에 배치하는데(S330), 이 과정은 실내용품을 적정한 실내공간에 배치하도록 학습된 '실내 인테리어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수행된다.Next, the virtual indoor products listed in the user's indoor product list imported in step S310 are placed in the virtual indoor space imported in step S220 (S330), and this process is to arrange the indoor products in an appropriate indoor space. It is performed by the learned'indoor interi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실내 인테리어 인공지능 모델은 자신이 실내용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실내용품을 자신이 선택한 실내공간 영역에 배치하는 인공지능 모델이다. 실내 인테리어 인공지능 모델은 전술한 도 2의 S240단계에서 등록된 인테리어 완료된 실내공간들로 학습될 수 있다.The indoor interi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 which the person selects indoor products and places the selected indoor products in the area of the indoor space that he selects. The indoor interi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learned with interior spaces registered in step S240 of FIG. 2 described above.

도 2의 S240단계에서는 실내공간, 배치된 실내용품들 및 배치영역들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는데, 실내 인테리어 인공지능 모델은 실내공간과 배치된 실내용품을 입력으로 하고, 실내용품의 배치영역을 출력으로 하여, 학습이 이루어진다.In step S240 of FIG. 2, information on the indoor space, the arranged indoor products, and the arrangement areas are registered.In the indoor interi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 indoor space and the arranged indoor products are input, and the arrangement area of the indoor products is output. By doing so, learning takes place.

이를 통해, 실내 인테리어 인공지능 모델은 실내공간과 실내용품이 주어지면, 최적의 배치영역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학습되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indoor interi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learned to select an optimal arrangement area given an indoor space and indoor products.

나아가, 실내 인테리어 인공지능 모델은, 실내용품의 종류에 따른 배치영역의 제한사항을 반영하여, 실내용품을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이 제한사항은 실내용품의 용도와 실내공간의 목적을 반영한 것(이를 테면, 냉장고는 주방에 배치하고, 침대는 방에 배치함)일 수도 있고, 실내용품의 활용성을 반영한 것(이를 테면, 침대는 창가에 배치함) 일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indoor interi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arrange indoor products by reflecting the restrictions of the arrangement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indoor products. For example, these restrictions may reflect the purpose of indoor products and the purpose of the indoor space (for example, a refrigerator is placed in the kitchen and a bed is placed in a room), or reflects the utility of indoor products ( For example, the bed may be placed near the window).

S330단계가 완료된 후, 실내 인테리어 인공지능 모델은 배치하지 못하였거나 배치하는 것이 부적절한 실내용품을 사용자에게 안내한다(S340).After the step S330 is completed, the indoor product that the indoor interi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has not been placed or is inappropriate to be placed is notified to the user (S340).

배치하지 못한 경우는 실내공간에 실내용품을 배치할 영역이 없는 경우일 수 있고, 배치하는 것이 부적절한 경우는 비어 있는 실내공간 영역이 있지만 여기에 실내용품을 배치하지 않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되는 경우일 수 있다.If it is not possible to place it, it may be the case that there is no area to place the indoor product in the indoor space, and if it is inappropriate to place it, it may be the case that there is an empty indoor space area, but it is judged that it is better not to place the indoor product here. have.

더 나아가, 실내 인테리어 인공지능 모델은 비어 있는 실내공간 영역에 배치하기 적정한 실내용품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S350). 이를 테면, 침대 옆의 영역이 비어 있어, 해당 영역에 실내 조명을 배치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Furthermore, the indoor interi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guide a user of an indoor product suitable to be placed in an empty indoor space area (S350). For example, because the area next to the bed is empty, it is suggested to place indoor lighting in that area.

S340단계에서 안내되는 실내용품은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실내용품이지만, S350단계에서 안내되는 실내용품은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실내용품이라는 점에서, 양자는 차이가 있다.The indoor products guided in step S340 are indoor items included in the user's indoor product list, but the indoor products guided in step S350 are indoor item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user's indoor product list, so the two are different.

4. 견적/평가 서비스4. Quotation/Evaluation Service

전술한 "1. 사용자 보유 실내용품 가상 객체화"를 통해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 저장된 실내용품들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s by using the indoor products stored in the user's indoor product list through the above-described "1. Virtual objectization of user-owned indoor products".

이를 테면,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 저장된 실내용품들을 가지고 이사하는 경우, 실내용품들을 기초로 이사 비용을 견적하여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moving with indoor items stored in the'user indoor items li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estimates and guides moving costs based on indoor items.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서 버릴 실내용품을 삭제하고 보유할 실내용품들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delete the indoor items to be discarded from the'user indoor items list' and select only the indoor items to be retained.

나아가,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 저장된 실내용품들의 자산 가치를 평가하여, 사용자의 동산 자산을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guides the user's movable property by evaluating the asset value of the indoor products stored in the'user indoor product list'.

5.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5. Self interior service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400)과 셀프 인테리어 서버(500)가 인터넷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4 is a block diagram of a self interior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lf-interior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400 and the self-interior server 500 ar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사용자 단말들(400)은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공간을 파노라마 촬영하여 셀프 인테리어 서버(500)에 업로드하고, 인테리어 과정에서 실내공간을 선택하고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에서 실내용품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user terminals 400 are means for photographing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user resides and uploading it to the self-interior server 500, selecting an indoor space in the interior process, and selecting an indoor product from the user's indoor product list.

셀프 인테리어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들(400)에 의해 생성된 실내영상으로부터 사용자 실내용품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가상의 실내공간들을 제공하는 한편,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자동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self-interior server 500 generates a list of user indoor items from indoor images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s 400, provides virtual indoor spaces to the user, and provides automatic interior services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

나아가, 셀프 인테리어 서버(500)는 이사견적 서비스와 사용자 동산 가치 평가를 부수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lf-interior server 500 may additionally perform a moving estimate service and a value evaluation of user movable property.

6. 변형예6. Modification

위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는 실내공간을 파노라마로 촬영하여 생성한 실내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보유 실내용품을 객체화하는 것을 상정하였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n indoor product owned by a user is converted into an object using an indoo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user resides in a panorama.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파노라마 촬영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실내공간을 촬영하여 생성한 실내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보유 실내용품을 객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possible to objectify the indoor goods owned by the user by using an indoo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an indoor space in a manner other than panoramic shooting, and even in this cas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readable codes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any data storage device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stores data. For exampl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hard disk drive, or the like. Further, a computer-readable code o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nnected between computer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400 : 사용자 단말
500 : 셀프 인테리어 서버
400: user terminal
500: Self Interior Server

Claims (10)

실내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실내영상에서 실내용품들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실내용품들을 3D로 복원하는 단계;
복원된 실내용품들을 분류하는 단계;
실내용품들을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방법.
Generating an indoor image;
Detecting indoor products from the generated indoor image;
Restoring the detected indoor products in 3D;
Classifying the restored indoor products;
Interior method comprising a; storing indoor items in a list.
청구항 1에 있어서,
생성 단계는,
파노라마 촬영으로, 실내영상을 생성하고,
검출 단계는,
실내영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2D 이미지들에서 실내용품들을 검출하고,
복원 단계는,
검출된 실내용품들이 등장한 2D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실내용품들을 3D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eneration step is,
With panoramic shooting, indoor images are created,
The detection step is,
Detect indoor products from a number of 2D images constituting an indoor image,
The restoration steps are:
An interio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 items are restored in 3D using 2D images in which the detected indoor items appear.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내용품은,
가구, 가전, 주방 용품, 욕실 용품 및 인테리어 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door products,
An interior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furniture, home appliances, kitchen appliances, bathroom appliances, and interior appliances.
청구항 1에 있어서,
리스트를 불러오는 단계;
실내공간을 불러오는 단계;
리스트에 나열된 실내용품들 중 선택한 실내용품을 실내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Loading a list;
Bringing up an indoor space;
Arranging an indoor product selected from among the indoor items listed in the list in the indoor space.
청구항 4에 있어서,
배치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실내용품을 사용자가 선택한 실내공간의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batch step is,
An interio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 products selected by the user are arranged in an area of the indoor space selected by the user.
청구항 4에 있어서,
배치 단계는,
자동으로 선택한 실내용품을 실내공간에서 자동으로 선택한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batch step is,
Interio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ally selected indoor products are arranged in an automatically selected area in the indoor space.
청구항 6에 있어서,
배치 단계는,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한 배치 결과들을 학습한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atch step is,
Interio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has learned the placement results by a plurality of users.
청구항 7에 있어서,
인공지능 모델은,
실내공간과 실내용품을 입력으로 하고, 실내용품이 배치된 실내공간의 영역을 출력으로 하는 인공지능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 interio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takes an indoor space and an indoor product as inputs and outputs an area of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indoor product is arranged.
청구항 8에 있어서,
인공지능 모델은,
실내용품의 종류에 따른 실내공간의 영역의 제한을 반영하여, 실내용품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terio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 products are arranged by reflecting the limitation of the area of the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type of indoor products.
실내영상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실내영상에서 실내용품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실내용품들을 3D로 복원하며, 복원된 실내용품들을 분류하고, 실내용품들을 리스트에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시스템.
A user terminal for generating an indoor image;
Interior comprising: a server that detects indoor items from the indoor image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restores the detected indoor items in 3D, classifies the restored indoor items, and stores the indoor items in a list. system.
KR1020190013249A 2019-02-01 2019-02-01 Self-interior Service Method KR1022521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249A KR102252135B1 (en) 2019-02-01 2019-02-01 Self-interior Servi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249A KR102252135B1 (en) 2019-02-01 2019-02-01 Self-interior Servic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664A true KR20200095664A (en) 2020-08-11
KR102252135B1 KR102252135B1 (en) 2021-05-14

Family

ID=7204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249A KR102252135B1 (en) 2019-02-01 2019-02-01 Self-interior Servic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13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680B1 (en) * 2022-09-19 2023-01-31 김진석 Interior implementation system based on virtual images
KR102506320B1 (en) * 2022-09-21 2023-03-03 윤종민 Interior Results Simul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38B1 (en) * 2014-07-02 2015-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server,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furniture arrangement sevice and method for using furniture arrangement sevice
KR101813394B1 (en) * 2016-08-23 2017-12-28 양희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ouse interior service
KR20180060818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유오케이 Industrial infrastructure management platform build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38B1 (en) * 2014-07-02 2015-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server,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furniture arrangement sevice and method for using furniture arrangement sevice
KR101813394B1 (en) * 2016-08-23 2017-12-28 양희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ouse interior service
KR20180060818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유오케이 Industrial infrastructure management platform build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680B1 (en) * 2022-09-19 2023-01-31 김진석 Interior implementation system based on virtual images
KR102523492B1 (en) * 2022-09-19 2023-04-18 김진석 Virtual Interior Proposal System
KR102506320B1 (en) * 2022-09-21 2023-03-03 윤종민 Interior Results Simulation System
KR102530281B1 (en) * 2022-09-21 2023-05-08 윤종민 Interior virtual reality realization system
KR102577064B1 (en) * 2022-09-21 2023-09-08 윤종민 Interior simulation platform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135B1 (en)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tchie et al. Fast and flexible indoor scene synthesis via deep convolutional generative models
KR102476294B1 (en)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Digital Images for Creating AR/VR Digital Content
US8989440B2 (en) System and method of room decoration for use with a mobile device
CN105074615B (en) virtual sensor system and method
US1058786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20210133850A1 (en) Machine learning predictions of recommended products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JP58337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and moving 3D models of real world objects and correctly scaled metadata
JP666906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08012162A (en)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WO2017164947A1 (en) Efficient video annotation with optical flow based estimation and suggestion
US11158134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space view
JP660726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CN108009848A (en) A kind of household emulation mode and equipment
CN111643017B (en) Cleaning robot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schedule information and cleaning robot
US20210004599A1 (en) Real time object surface identification f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KR102252135B1 (en) Self-interior Service Method
US11900447B2 (en) Furnishing selection system
CN104267875B (en) A kind of exposal model display methods and device
CN106716501A (en) Visual decoration design method, apparatus therefor, and robot
Li et al. Generating activity snippets by learning human-scene interactions
JP202013682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WO20241144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odity virtual tryout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CN113143114B (en) Sweeper and naming method of sweeping area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047379B (en) House dec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7726908B (en) Training method and device for picture generation model,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