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619A - A Method of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an Initial Stability and an Implant Manufactured Thereof - Google Patents

A Method of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an Initial Stability and an Implant Manufacture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619A
KR20200095619A KR1020190012686A KR20190012686A KR20200095619A KR 20200095619 A KR20200095619 A KR 20200095619A KR 1020190012686 A KR1020190012686 A KR 1020190012686A KR 20190012686 A KR20190012686 A KR 20190012686A KR 20200095619 A KR20200095619 A KR 20200095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implant
spike
bone
desig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0475B1 (en
Inventor
임도형
서한솔
곽태양
반훈영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475B1/en
Publication of KR2020009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6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4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30942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49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9Tibi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41Sharp anchoring protrusions for impaction into the bone, e.g. sharp pins,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30942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 A61F2002/30948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e. CT s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30942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 A61F2002/30952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using CAD-CAM techniques or NC-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002/30985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3DP]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and an implant manufactured by the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and an implant manufactured by the method, wherein the method prevents rotation occurring at an interface between a bone joint surface of the implant and an implant seating surface of the bone through optimal spike design, even if bone cement is not used for bonding between the bone and the implant, thereby securing initial fixation force of the implant implanted in the bone.

Description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임플란트 {A Method of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an Initial Stability and an Implant Manufactured Thereof}A Method of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an Initial Stability and an Implant Manufactured Thereof

본 발명은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과 임플란트간의 결합에 골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최적의 스파이크 설계를 통해 임플란트의 골접합면과 골의 임플란트안착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and to an implant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lant through optimal spike design, even if bone cement is not used for bonding between the bone and the implant. By preventing the rotation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one junction surface and the implant seating surface of the bon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itial fixation force of the implant implanted in the bone. It is about implants.

슬관절(Knee Joint)이란, 무릎을 둘러싼 3개의 뼈인 대퇴골(Femur), 경골(Tibia), 슬개골(Patella)이 이루는 관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중을 지지하고 관절운동을 통해 걷거나 뛰는 등의 다리를 쓰는 운동에 관련된 핵심적인 관절에 해당한다. Knee Joint refers to a joint formed by the three bones surrounding the knee, Femur, Tibia, and Patella, and supports a load and uses a leg such as walking or running through joint motion. It is a key joint related to movement.

대퇴골 끝에는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이 존재하고, 경골 끝에는 반월상연골(Meniscus)이 존재하게 되는데 노화나 극심한 운동 등으로 이러한 연골이 손상되면 뼈와 뼈가 직접 맞닿게 되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Articular Cartilage is present at the end of the femur, and Meniscus is present at the end of the tibia.If such cartilage is damaged by aging or extreme exercise, the bones and bones come into direct contact, which can cause extreme pain.

슬관절 치환 수술은 이러한 슬관절 손상이 발생하였을 때 대퇴골과 경골의 일부를 절제(Resection)하고 인공 슬관절 임플란트를 대체 삽입하는 수술을 말한다.Knee replacement surgery refers to surgery in which a part of the femur and tibia is resectioned and an artificial knee implant is replaced when such a knee joint injury occurs.

도 1은 종래의 인공 슬관절 임플란트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미국등록특허공보 US5,609,643A(1997.03.11)에 개시되어 있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rtificial knee implant, which is disclosed in US 5,609,643A (1997.03.11).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인공 슬관절 임플란트(90)는 절제된 경골 근위단(Proximal End)에 삽입되는 경골요소(91)와, 상기 경골요소(91) 상에 안착되어 관절면(Articulating Surface)을 제공하는 베어링요소(93)와, 절제된 대퇴골 원위단(Distal End)에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요소(93)와 관절 운동하는 대퇴골요소(95)로 구성되었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artificial knee implant 90 has a tibia element 91 inserted into the resected proximal end of the tibia, and the tibia element 91 is seated on the articulating surface. ), and a femur element 95 for joint motion with the bearing element 93 by being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excised femur.

일반적으로 상기 경골요소(91)와 상기 대퇴골요소(95)는 생체적합성 금속인 티타늄(Titanium) 소재로 구성이 되었으며, 상기 베어링요소(93)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소재로 구성이 되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골요소(91)와 상기 대퇴골요소(95) 사이에 비금속인 상기 베어링요소(93)를 개재시킴으로써, 금속과 금속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해 원활한 관절운동을 가능하게 했다.In general, the tibia element 91 and the femur element 95 are made of a biocompatible metal titanium (Titanium) material, and the bearing element 93 is made of a polyethylene material, made of a metal. By interposing the non-metallic bearing element 93 between the tibia element 91 and the femur element 95, direct contact between the metal and the metal is blocked to enable smooth joint motion.

이러한 종래의 인공 슬관절 임플란트(90)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골과의 결합을 위해 골과 접하게 되는 임플란트의 골 접합면 상에 골 시멘트를 발라 이를 굳힘으로써 소정의 결합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었다.The conventional artificial knee implant 90 is generally configur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bonding force by applying bone cement on the bone junction surface of the implan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ne for bonding with the bone of the patient and hardening it.

하지만 이러한 골 시멘트를 사용해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방법은 시멘트 골절, 무균성 해리(Aseptic Loosening), 시멘트 주위의 과도한 골용해(Osteolysis) 등의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는바, 최근에는 이러한 시멘트형 임플란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골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무시멘트형(Cementless) 임플란트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However, this method of fixing an implant using bone cement has caused several problems such as cement fracture, aseptic loosening, and excessive osteolysis around the cement. Recently, these problems of cement-type implan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nterest in cementless implants that do not use bone cement is increasing.

무시멘트형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중 골과 접하는 골 접합면 상에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다공성층(Porous Layer)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다공성층에서 환자의 자생적인 골 성장이 촉진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Cementless implants are characterized by forming a porous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voids are formed on the bone junctio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ne of the implant, thereby promoting the patient's spontaneous bone growth in the porous layer.

상기 무시멘트형 임플란트의 경우, 골과 결합되는 방식상 환자의 골이 성장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아무리 슬관절 임플란트가 수술 전 계획된 위치상에 시술 되었다고 하더라도, 어떠한 원인에 의해 슬관절 임플란트가 본래의 위치를 벗어나게 된다면, 수술후 후유증, 합병증, 재수술 등의 문제가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case of the cementless implant, since a predetermined time is required for the patient's bone to grow in a manner in which it is combined with the bone, it is most important to secure the initial stability of the implant. No matter how much the knee implant is performed on the planned location before surgery, if the knee implant is out of its original location for some reason, problems such as postoperative sequelae, complications, and reoperation may occur.

도 2는 종래의 무시멘트형 경골요소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8-0701841호(1998.06.25)에 개시되어 있다.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mentless tibial element,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8-0701841 (1998.06.25).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2의 경골요소(91)는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베이스플레이트(911)의 골접촉면 상에 다공성층(913)을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911)의 골접촉면의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스템(915)과, 상기 스템(917) 주변으로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스파이크(917)와, 상기 스템(915)과 상기 스파이크(917)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지점에 형성되어, 환자의 경골에 삽입될 나사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나사수용홀(919)이 형성된 특징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경골요소(91)는 상기 스템(915), 상기 스파이크(917), 상기 나사수용홀(919)을 통해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ibia element 91 of FIG. 2 does not use cement, and constitutes a porous layer 913 on the bon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plate 911, and the bone of the base plate 911 The stem 915 protruding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surface, a plurality of spikes 917 protruding around the stem 917, and formed at a poin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tem 915 and the spike 917, A plurality of screw receiving holes 919 for receiving screws to be inserted into the tibia of the patient are formed. That is, the tibia element 91 shown in FIG. 2 secures the initial stability of the implant through the stem 915, the spike 917, and the screw receiving hole 919.

하지만, 도 2의 경골요소(91)는 무분별하게 많은 고정수단이 구성되어 있는바, 이러한 경골요소(91)에 의하면 환자의 근위부 경골에 많은 훼손을 가져오게 되고, 이는 결국 슬관절 재치환수술시, 최초 슬관절 치환 수술시 절제(Resection)되었던 경골에서, 추가적으로 더 많은 골 절제를 요구하게 됨에 따라, 환자의 골 소실이 심각해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However, the tibia element 91 of FIG. 2 is indiscriminately configured with many fixing means, and this causes a lot of damage to the patient's proximal tibia, which in turn results in a knee replacement surgery, In the tibia, which was resectioned during the initial knee replacement surgery, additional bone resection is required, resulting in severe bone loss of the patient.

따라서 관련업계에서는, 무시멘트형 임플란트를 구성할 때, 초기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달성하면서도, 최적의 고정 설계를 통해 골 훼손을 최소화하며, 시술의 편의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when constructing a cementless implant, the related industry demands the introduction of a new technology that achieves the stability of the initial implant while minimizing bone damage through an optimal fixation design and securing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It is a situation that is doing.

미국등록특허공보 US5,609,643A(1997.03.11)US Patent Publication US5,609,643A (1997.03.1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8-0701841호(1998.06.25)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1998-0701841 (1998.06.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스파이크 설계를 통해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initial stability of an implant implanted in a bone through an optimal spike desig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과 임플란트간의 결합에 골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작용하는 전단력(Shear Force)을 스파이크로 버틸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임플란트의 골접합면과 골의 임플란트안착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sign to withstand the shear force acting as spikes, even if bone cement is not used for the bonding between the bone and the implan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one junction surface of the implant and the implant seating surface of the bone. It is to prevent rotation from occur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의 임플란트안착면에 삽입되는 스파이크가 피질골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해면골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피질골에 스파이크를 삽입할 경우 삽입이 용이치 않은 문제와, 생물학적 고정력이 확보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blem in which the spike inserted into the implant seating surface of the bone does not invade the cortical bone region, so that it is not easy to insert the spike into the cortical bone, which has a relatively strong strength compared to the cancellous bone, It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biological fixation cannot be secur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파이크의 위치가 피질골에는 영향을 가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해면골의 경계선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와 골 간의 초기 고정력을 높이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initial fixation force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by allowing the position of the spike to be formed on the boundary line of the cancellous bone as much as possible without affecting the cortical bo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안착면 상에 중심점을 정하고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외측 및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각도 및 일정한 거리상에 스파이크를 위치설정시킴으로써, 균일한 초기 고정력을 확보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a uniform initial fixing force by determining a center point on the implant seating surface and positioning the spikes at a constant angle and at a constant distance, respectively, in the outer and inner directions from the center poi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심점으로부터 내외측으로 각각 편향된 스파이크의 각도가 60 ~ 80°범위 내에 있도록 함으로써, 스파이크가 피질골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고, 스파이크의 초기 고정력을 높이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pikes from invading the cortical bone and to increase the initial fixation force of the spikes by ensuring that the angles of the spikes each deflected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inside and outside are within the range of 60 to 80°.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파이크가 임플란트와 골 사이의 움직임을 임플란트와 골간의 안정성을 위한 미세움직임 범위 내로 제한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의 미세움직임이 골 유합을 방해하는 정도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pike has a shape that limits the motion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within the range of micro-motion for stability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so that the micro-motion of the implant does not occur to the extent that it interferes with bone union. To avoi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파이크의 단부를 첨두형으로 구성하여, 스파이크의 피질골 침범을 방지하면서 스파이크의 골 내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spike into the bone while preventing the spike from invading the cortical bone by configuring the end of the spike in a peak shap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파이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내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핀부를 구성하여, 스파이크에 의한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을 높이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initial fixing force of the implant by the spike by configuring a pin protruding in the anteroposterior interior and exterior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ik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핀부로 이루어진 스파이크를 구성하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낮은 응력과 낮은 변위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spike made of a pin portion so that relatively low stress and low displacement occur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의 해부학적 형상을 기반으로 임플란트에 형성될 스파이크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단계는, 골의 임플란트안착면 상에서 중심점을 산정하는 중심점산정단계와, 상기 중심점산정단계 이후에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스파이크의 위치를 산정하는 스파이크위치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ing step of setting a position of a spike to be formed on an implant based on an anatomical shape of a bone, and the positioning step comprises: on the implant seating surface of the bone And a center point estimating step of calculating a center point, and a spike position estimating step of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spike from the center point after the center point estimating step.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중심점산정단계는, 원점을 지정하는 원점지정단계와, 상기 원점지정단계 이후에 상기 원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원점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point calculation step includes an origin designating step of designating an origin, and an origin moving step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origin after the origin designating step.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원점지정단계는, 상기 임플란트안착면 상의 최후측라인과 최외측라인의 교차점인 제1교차점을 지정하는 제1교차점지정단계와, 상기 제1교차점지정단계 이후에 상기 임플란트안착면과 기계축의 교차점인 제2교차점을 지정하는 제2교차점지정단계와, 상기 제1교차점과 상기 제2교차점을 직선으로 연결할 때 상기 직선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제3교차점을 지정하는 제3교차점지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 designation step includes a first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first intersection point, which is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rearmost line and the outermost line on the implant seating surface, and the first After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a second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second intersection point, which is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and the machine axis, and when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and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he straight line is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intersection point designating step of designating a third intersection point that is a point meeting the outer peripher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원점이동단계는, 상기 원점을 전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측이동단계와, 상기 원점을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내측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 moving step includes a forward moving step of moving the origin in a forward direction, and an inward moving step of moving the origin in an inward direction.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측이동단계는, 상기 임플란트안착면 AP길이의 65% 만큼 상기 원점을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nterior movement step, the origin is moved anteriorly by 65% of the AP length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내측이동단계는, 제2교차점의 AP선상으로 상기 원점을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ward mov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gin is moved inward along the AP line of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파이크위치산정단계는,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전측방향으로 연장선을 그어 상기 연장선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외곽점을 지정하는 외곽점지정단계와, 상기 외곽점지정단계 이후에 상기 외곽점을 상기 연장선을 따라 상기 중심점 방향으로 피질골의 두께만큼 이동시킨 지점인 전이점을 지정하는 전이점지정단계와, 상기 전이점지정단계 이후에 상기 중심점에서부터 상기 전이점까지의 거리 중 최소값을 상기 중심점과 스파이크 간의 이격 거리로 산정하는 이격거리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pike position,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pike position, an extension line is drawn in an anterior direction from the center point to designate an outline point at which the extension line mee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After the designation step and the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a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transition point that is a point at which the outer point is mov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along the extension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point, and after the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the And a separation distanc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minimum value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transition point a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 and the spik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외곽점지정단계는, 상기 중심점의 AP선상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외측연장선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외측외곽점을 지정하는 외측외곽점지정단계와, 상기 중심점의 AP선상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내측연장선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내측외곽점을 지정하는 내측외곽점지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specifying an outer point, an outer outer point, which is a point where an outer extension line inclined outwardly on the AP line of the center point mee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is designated. And an inner outer point designating step of designating an inner outer point, which is a point where an inner extension line inclined inwardly from the AP line of the center point mee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외측연장선의 경사각은, 상기 내측연장선의 경사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uter extension line is the sam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ner extension li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외측연장선 및 상기 내측연장선의 경사각은, 6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uter extension line and the inner extension line is 60 to 8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이점지정단계는, 상기 외측외곽점을 상기 외측연장선을 따라 상기 중심점 방향으로 피질골의 두께만큼 이동시킨 지점인 외측전이점을 지정하는 외측전이점지정단계와, 상기 내측외곽점을 상기 내측연장선을 따라 상기 중심점 방향으로 피질골의 두께만큼 이동시킨 지점인 내측전이점을 지정하는 내측전이점지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esignating the transition point, the lateral transition point, which is a point in which the lateral outer point is mov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point along the lateral extension line, is designated. And an inner transition point designating step of designating an inner transition point, which is a point in which the inner outer point is mov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along the inner extension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poi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피질골의 두께는, 1.60 ~ 2.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is 1.60 ~ 2.00m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이격거리산정단계는, 상기 중심점에서부터 상기 외측전이점까지의 외측거리를 측정하는 외측거리측정단계와, 상기 중심점에서부터 상기 내측전이점까지의 내측거리를 측정하는 내측거리측정단계와, 상기 외측거리와 상기 내측거리 중 최소값을 상기 중심점과 스파이크 간의 이격 거리로 산정하는 최소값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istance calculation step includes an outer distanc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n outer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outer transition point, and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inner transition point. And an inner distanc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n inner distance, and a minimum value selecting step of calculating a minimum value of the outer distance and the inner distance a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 and the spik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중심점에서부터, 상기 외측연장선 및 상기 내측연장선을 따라, 상기 최소값선정단계를 통해 산정된 이격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ke is formed on a point separated from the center point by a distance calculated through the minimum value selection step along the outer extension line and the inner extension line. It featur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중심점에서부터, 상기 외측연장선 및 상기 내측연장선을 따라, 상기 최소값선정단계를 통해 산정된 이격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이외의 지점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ke is additionally at a point other than a point apart from the center point, along the outer extension line and the inner extension line, by a separation distance calculated through the minimum value selection step.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은, 상기 위치설정단계 이후에 골의 해부학적 형상을 기반으로 상기 스파이크의 형상을 설정하는 형상설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designing a spike for the implant further includes a shape setting step of setting the shape of the spike based on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after the position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형상설정단계는, 피질골을 침범하지 않는 스파이크의 형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sett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spike does not invade the cortical b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임플란트의 골접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가 첨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k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bone contact surface of the implant and has a peak en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임플란트와 상기 골 사이의 움직임을 임플란트와 골간의 안정성을 위한 미세움직임 범위 내로 제한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k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that limits the movement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within a range of fine movement for stability between the implant and b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임플란트와 골간의 안정성을 위한 미세움직임 범위는 20~5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골 형성을 억제하는 150㎛ 이상의 범위를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movement range for stability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may be composed of 20 to 50 μm, and does not have a range of 150 μm or more to suppress bone formation. To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파이크는, 스파이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전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핀부와, 후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핀부와,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핀부와,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4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ke i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pike, the first pin portion protruding in the front direction, the second pin portion protruding in the rear direction, and the outward dire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pin protruding and a fourth pin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최적의 스파이크 설계를 통해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initial stability of the implant implanted in the bone through the optimal spike design.

본 발명은, 골과 임플란트간의 결합에 골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작용하는 전단력(Shear Force)을 스파이크로 버틸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임플란트의 골접합면과 골의 임플란트안착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회전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bone cement is not used for the bonding between the bone and the implant, by designing to withstand the shear force acting as a spike, the rotation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one junction surface of the implant and the implant seating surface of the bone To derive the effect of preventing it.

본 발명은, 골의 임플란트안착면에 삽입되는 스파이크가 피질골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해면골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피질골에 스파이크를 삽입할 경우 삽입이 용이치 않은 문제와, 생물학적 고정력이 확보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spike inserted into the implant seating surface of the bone does not invade the cortical bone region, so that when the spike is inserted into the cortical bone, which has a relatively strong strength compared to the cancellous bone, it is difficult to insert it, and a biological fixation force is secured It has the effect of solving a problem that cannot be done.

본 발명은, 스파이크의 위치가 피질골에는 영향을 가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해면골의 경계선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와 골 간의 초기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initial fixation force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by allowing the position of the spike to be formed on the boundary line of the cancellous bone as much as possible without affecting the cortical bone.

본 발명은, 임플란트안착면 상에 중심점을 정하고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외측 및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각도 및 일정한 거리상에 스파이크를 위치설정시킴으로써, 균일한 초기 고정력을 확보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the effect of securing a uniform initial fixing force by determining a center point on the implant seating surface and positioning the spikes at a constant angle an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in the outer and inner direc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은, 중심점으로부터 내외측으로 각각 편향된 스파이크의 각도가 60 ~ 80°범위 내에 있도록 함으로써, 스파이크가 피질골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고, 스파이크의 초기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pikes from invading the cortical bone and increasing the initial fixing force of the spikes by ensuring that the angles of the spikes each deflected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inside and outside are within the range of 60 to 80°.

본 발명은, 스파이크가 임플란트와 골 사이의 움직임을 임플란트와 골간의 안정성을 위한 미세움직임 범위 내로 제한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의 미세움직임이 골 유합을 방해하는 정도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ke has a shape that limits the movement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within the range of micro-motion for stability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so that the micro-motion of the implant does not occur to the extent that it interferes with bone union. Have.

본 발명은, 스파이크의 단부를 첨두형으로 구성하여, 스파이크의 피질골 침범을 방지하면서 스파이크의 골 내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end of the spike in a peak shape, the effect of facilitating insertion of the spike into the bone while preventing the spike from invading the cortical bone is derived.

본 발명은, 스파이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내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핀부를 구성하여, 스파이크에 의한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initial fixing force of the implant by the spike by configuring a pin protruding in the front-to-back interior and exterior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ike.

본 발명은, 핀부로 이루어진 스파이크를 구성하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낮은 응력과 낮은 변위가 발생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figuring a spike made of a pin portion so that relatively low stress and low displacement occur even when an external force acts.

도 1은 종래의 인공 슬관절 임플란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무시멘트형 경골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임플란트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에 관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위치설정단계에 관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중심점산정단계에 관한 도면.
도 7은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제1교차점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기계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제2교차점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제3교차점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에서 원점의 전측이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에서 원점의 내측이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5의 스파이크위치산정단계에 관한 도면.
도 14는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외측외곽점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내측외곽점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환자의 경골 근위부 CT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전이점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중심점에서 전이점까지의 거리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경골요소의 골접합면 상에 돌출형성된 스파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
도 21은 핀부가 형성되지 않은 스파이크의 응력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핀부가 형성된 스파이크의 응력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사용상태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rtificial knee implant.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mentless tibia element.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mpla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of the positioning step of Figure 4;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enter point calculation step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8 is a view showing a mechanical axis.
Fig. 9 shows a second intersection point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10 is a view showing the third intersection point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11 is a view showing the anterior movement process of the origin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12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medial movement of the origin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ike position calculation step of FIG. 5.
14 is a view showing the lateral outer point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15 is a view showing the medial outer point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16 is a view showing a patient's proximal tibia CT.
Fig. 17 shows the transition point on the dissected proximal tibia.
18 show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transition point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19 is a view showing a spike formed protruding on the bone junction surface of the tibia element.
Fig. 20 is a view showing Fig. 19 from another viewpoint.
21 is a diagram showing a stress distribution of a spike in which a pin portion is not formed.
22 is a view showing a stress distribution of a spike formed with a pin portion.
23 is a state diagram of an implant having an initial s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a method for designing spikes for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an implant manufactured by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f there is a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follows the definition used in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인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S1)은, 환자의 자생적인 골 성장 등에 의한 골과 임플란트 간의 긴밀한 유합(Fusion)이 발생하기 이전에, 환자의 골에 삽입된 임플란트가 시술시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임플란트의 골접합면 상에 초기 안정성을 확보하는 스파이크를 형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도 3은 임플란트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임플란트를 제조하는 과정은, 우선적으로 CT 촬영 등을 통해 발생한 환자데이터(D)를, 컴퓨터와 같은 처리장치(C)에서 수집하고, 상기 처리장치(C)에서 설계 과정을 수행한 뒤, CNC, 3D 프린터 등을 통해 실제 제품으로 출력함으로써, 임플란트(1)를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S1)은 상기 처리장치(C) 내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or's method of designing spikes for implants with initial stability (S1), before close fusion between the bone and the implant occurs due to the patient's spontaneous bone growth, etc., the implant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ne is set during the procedure. It refers to a method of forming spikes to ensure initial stability on the bone junction surface of the implant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posi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implant. Referring to FIG. 3,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n implant preferentially transfers patient data D generated through CT imaging, etc. to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omputer (C ), and after performing the design process in the processing device (C), the implant 1 is manufactured by outputting it to an actual product through a CNC or 3D printer. Accordingly, the method (S1) of designing spikes for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iewed as a series of processes occurring in the processing apparatus (C).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에 관한 도면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S1)은, 위치설정단계(S10)와, 형상설정단계(S30)를 포함한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method of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1) includes: It includes a setting step (S10) and a shape setting step (S30).

상기 위치설정단계(S10)는, 골의 해부학적 형상을 기반으로 임플란트에 형성될 스파이크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골의 해부학적 형상은 CT, MRI 등의 의료영상장비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환자의 환부는 상기 의료영상장비를 통해 스캐닝(Scanning)되고, 스캐닝을 통해 획득된 환자데이터는 모델링(Modeling) 과정을 통해 가공되어, 환자의 골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3차원 골 데이터로 구현되게 된다. 이렇게 구현된 3차원 골 데이터를 가지고 골 내에 삽입될 임플란트를 설계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설정단계(S10)는 그중에서도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을 확보하는 스파이크가 형성될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를 가리킨다. 도 5는 도 4의 위치설정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위치설정단계(S10)는 중심점산정단계(S11), 스파이크위치산정단계(S13)를 포함한다.The positioning step (S10) refers to a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spike to be formed on the implant based on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may be obtained through medical imaging equipment such as CT and MRI. The patient's affected part is scanned through the medical imaging equipment, and the patient data acquired through the scanning is processed through a modeling process, so that it is implemented as 3D bone data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patient's bone. do. With the three-dimensional bone data implemented in this way, an implant to be inserted into the bone can be designed, and the positioning step (S10) refers to a step of designating a position where a spike will be formed to ensure initial stability of the implant. FIG. 5 is a diagram related to the positioning step of FIG. 4, and referring to FIG. 5, the positioning step S10 includes a center point calculating step S11 and a spike position calculating step S13.

상기 중심점산정단계(S11)는, 골의 임플란트안착면(S) 상에서 중심점(PC)을 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도 12 참조). 상기 골의 임플란트안착면(S)이란, 골 중에서 임플란트와 직접적으로 접하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슬관절 치환 수술의 대상이 되는 경골을 예로 들자면, 평평하게 절제(Resection)된 경골 근위부(Proximal Portion)를 가리킨다.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 상에 상기 중심점(PC)이 지정되면, 상기 중심점(PC)을 기준으로 스파이크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중심점산정단계(S1)는, 원점지정단계(S111), 원점이동단계(S113)를 포함한다.The center point calculation step (S11) refers to a step of calculating the center point (P C ) on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of the bone (see FIG. 12).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of the bone refers to a portion of the bone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implant, and when taking the tibia that is the target of knee replacement surgery, for example, it refers to a flat resectioned proximal portion of the tibia (Proximal Portion). . When the center point P C is designated on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the position of the spik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enter point P C. The center point calculation step (S1) includes an origin designation step (S111) and an origin moving step (S113).

상기 원점지정단계(S111)는, 도 10에 도시된, 원점(PS)을 지정하는 단계로, 상기 원점(PS)이란, 상기 중심점(PC)을 산정하기 위한 출발점을 말한다. 상기 원점(PS)이 지정이 되면, 지정된 상기 원점(PS)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중심점(PC)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러한 상기 원점지정단계(S111)는, 제1교차점지정단계(S1111), 제2교차점지정단계(S1113), 제3교차점지정단계(S1115)를 포함한다.The origin designation step (S111) is a step of designating the origin (P S ) shown in FIG. 10, and the origin (P S ) refers to a starting point for calculating the center point (P C ). When the origin (P S ) is designated, by moving the designated origin (P S ), it is possible to set the exact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P C ). As shown in Figure 6, the origin designation step (S111) includes a first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111), a second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113), and a third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115).

상기 제1교차점지정단계(S1111)는,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 상의 최후측라인(LP)과 최외측라인(LL)의 교차점인 제1교차점(P1)을 지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7은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제1교차점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도록 한다. 슬관절 치환 수술에서 절제된 경골 근위부는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이 되며, 이러한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의 평면도 상에서 가장 최후측에 있는 지점을 최후측지점(PP), 가장 최외측에 있는 지점을 최외측지점(PL)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후측지점(PP)에 접하는 ML(Medial-Lateral)선인 최후측라인(LP)을 긋고, 상기 최외측지점(PL)에 접하는 AP(Anterior-Posterior)선인 최외측라인(LL)을 그었을 때, 상기 최후측라인(LP)과 상기 최외측라인(LL)이 교차하게 되는 지점이 상기 제1교차점(P1)이 된다.The first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111) refers to a step of designating a first intersection point (P 1 ), which is an intersection of the last line (L P ) and the outermost line (L L ) on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 7 is a view showing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and referring to FIG. 7 below. The proximal tibia removed in knee replacement surgery becomes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and the most posterior point on the plan view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is the last point (P P ), the most outer point Can be defined as the outermost point (P L ). At this time, draw the last line (L P ), which is a medial-lateral (ML) line in contact with the last point (P P ), and the outermost line (anterior-posterior) line (AP) in contact with the outermost point (P L ) When L L ) is drawn, a point where the rearmost line L P and the outermost line L L intersect becomes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P 1 .

상기 제2교차점지정단계(S111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교차점지정단계(S1111) 이후에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과 기계축(AM)의 교차점인 제2교차점(P2)을 지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8은 기계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기계축(Mechanical Axis)(AM)이란, 대퇴골(F)의 대퇴골두(FH)의 중심에서부터 발목관절의 중심인 거골(A)의 중심을 잇는 선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기계축(AM)은 절제된 경골 근위부와 같은 임플란트안착면(S)을 통과하게 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과 상기 기계축(AM)이 만나는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 상의 점을 상기 제2교차점(P2)으로 지정하게 된다. In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designating step (S1113), as shown in FIG. 9, after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designating step (S1111),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which is the intersection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and the machine axis (A M ) Refers to the step of designating (P 2 ).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mechanical axi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mechanical axis (A M ) refers to the center of the ankle joint from the center of the femoral head F H of the femur. It refers to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alus (A). Therefore, the machine shaft (A M ) passes through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such as the resected proximal tibia, and as shown in FIG. 8,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and the mechanical shaft (A M ) are A point on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that meets is designated as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P 2 .

상기 제3교차점지정단계(S1115)는, 상기 제1교차점(P1)과 상기 제2교차점(P2)을 직선으로 연결할 때 상기 직선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제3교차점(P3)을 지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9는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제3교차점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교차점지정단계(S1111)를 통해 상기 제1교차점(P1)을 지정하고, 상기 제2교차점지정단계(S1113)를 통해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에 상기 제2교차점(P2)을 지정하게 되면, 지정된 상기 제1교차점(P1)과 상기 제2교차점(P2)을 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고, 연결된 직선은 절제된 경골 근위부의 바깥쪽 둘레선과 교차하게 되는바, 이때의 교차점이 상기 제3교차점(P3)이 되고, 이렇게 산정된 상기 제3교차점(P3)은 상기 원점(PS)이 된다.In the third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115), when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P 1 ) and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P 2 )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he straight line mee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It refers to the step of designating the 3 intersection point (P 3 ). 9 is a view showing a third intersection point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P 1 is designated through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designating step S1111, and the second When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P 2 ) is designated on the dissected tibia proximal portion through the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113), the designated first intersection point (P 1 ) and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P 2 ) can b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he connected straight line intersects the outer circumference line of the resected tibia proximal portion, and the intersection point at this time becomes the third intersection point (P 3 ), and the calculated third intersection point (P 3 ) is the origin point (P S ).

상기 원점이동단계(S113)는, 상기 원점지정단계(S111) 이후에 상기 원점(PS)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즉, 상기 원점이동단계(S113)는 상기 원점지정단계(S111)를 통해 지정된 상기 원점(PS)을 이동시킴으로써, 스파이크 위치를 결정하는데 기준이 되는 상기 중심점(PC)의 정확한 위치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원점이동단계(S1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이동단계(S1131), 내측이동단계(S1133)를 포함한다.The origin moving step (S113) refers to a step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origin (P S ) after the origin designating step (S111). That is, the origin moving step (S113) moves the origin point (P S ) designated through the origin point designation step (S111), so that the exact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P C ), which i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the spike position, is calculated. Make it possible. The origin moving step (S113), as shown in FIG. 6, includes a front moving step (S1131) and an inner moving step (S1133).

상기 전측이동단계(S1131)는, 상기 원점(PS)을 전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도 11은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에서 원점의 전측이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원점(PS)은 임플란트안착면(S)인 경골 근위부의 후측(Posterior)으로 편향되어 있는바, 이러한 상기 원점(PS)을 절제된 경골 근위부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게 필요하므로, 상기 전측이동단계(S1131)를 통해 상기 원점(PS)의 후측 편향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측이동단계(S1131)는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 AP길이(H)의 65% 만큼 상기 원점(PS)을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의 AP길이(H)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안착면(S)의 평면도 상에서 가장 최전측에 있는 지점을 최전측지점(PA), 가장 최후측에 있는 지점을 최후측지점(PP)이라고 정의했을 때, 상기 최전측지점(PA)에 접하는 ML(Medial-Lateral)선인 최전측라인(LA)과, 상기 최후측지점(PP)에 접하는 ML(Medial-Lateral)선인 최후측라인(LP) 간의 이격 거리를 말한다.The forward moving step (S1131) refers to a step of moving the origin (P S ) in the forward direc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anterior movement process of the origin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Referring to FIG. 11, the origin (P S )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is the posterior side of the proximal tibia, which is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Since it is biased to the bar, it is necessary to move the origin (P S ) to the center of the resected proximal tibia, so that the posterior deflection of the origin (P S ) can be compensated through the anterior movement step (S1131). Preferably, the anterior movement step (S1131) may be viewed as a process of moving the origin (P S ) anteriorly by 65% of the AP length (H) of the implant seat surface (S). The AP length (H)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is, as shown in FIG. 11, the most anterior point on the plan view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the foremost point (P A ), and the most rear-end When the point at is defined as the last point (P P ), the foremost line (L A ), which is a medial-lateral (ML) line in contact with the foremost point (P A ), and the last point (P P ) It refers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ast line (L P ) which is the ML (Medial-Lateral) line in contact with.

상기 내측이동단계(S1133)는, 상기 원점(PS)을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도 12는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에서 원점의 내측이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원점(PS)은 임플란트안착면(S)인 경골 근위부의 외측(Lateral)으로 편향되어 있는바, 이러한 상기 원점(PS)을 절제된 경골 근위부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게 필요하므로, 상기 내측이동단계(S1133)를 통해 상기 원점(PS)의 외측 편향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이동단계(S1133)는 상기 제2교차점(P2)의 AP(Anterior-Posterior)선(LC) 상으로 상기 원점(PS)을 내측 이동시켜 중심점(PC)을 정하는 과정이다.The inward moving step (S1133) refers to a step of moving the origin (P S ) in an inward direction.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medial movement of the origin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Referring to FIG. 12, the origin (P S )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is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which is the outer side of the proximal tibia. Since it is biased to the bar, it is necessary to move the origin (P S ) to the center of the resected proximal tibia, so that the lateral deflection of the origin (P S ) can be compensated through the inward moving step (S1133). Preferably, the inward moving step (S1133) is to determine the center point (P C ) by moving the origin point (P S ) inward on the anterior-posterior (AP) line (L C ) of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P 2 ). It's a process.

상기 스파이크위치산정단계(S13)는, 상기 중심점산정단계(S11) 이후에 상기 중심점(PC)으로부터 스파이크의 위치를 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중심점산정단계(S11)를 통해 임플란트안착면(S) 상에 중심점(PC)이 정해지게 되면, 상기 중심점(PC)을 기준점으로 하여, 임플란트안착면(S)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스파이크의 임플란트 상에서의 정확한 위치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도 13는 도 5의 스파이크위치산정단계에 관한 도면으로, 도 1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스파이크위치산정단계(S13)는, 외곽점지정단계(S131), 전이점지정단계(S133), 이격거리산정단계(S135)를 포함한다.The spike position calculation step (S13) refers to a step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spike from the center point (P C ) after the center point calculation step (S11). When the center point (P C ) is determined on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through the center point calculation step (S11), the center point (P C ) is used as a reference point and is inserted into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to generate a fixing force.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exact position of the spike on the implant. FIG. 13 is a diagram related to the spike position calculation step of FIG. 5. Referring to FIG. 13, the spike position calculation step (S13) includes an outline point designation step (S131), a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33), and a separation distance. It includes a calculation step (S135).

상기 외곽점지정단계(S131)는, 상기 중심점(PC)으로부터 전측방향으로 연장선을 그어 상기 연장선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외곽점을 지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임플란트에 형성될 스파이크는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을 하는바, 이러한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임플란트 상에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파이크가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스파이크 각각의 위치 지정을 위해서, 상기 연장선은 생성될 스파이크의 개수만큼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곽점지정단계(S131)는, 외측외곽점지정단계(S1311)와, 내측외곽점지정단계(S1313)를 포함한다.The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S131) refers to a step of designating an outer point, which is a point where the extension line mee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by drawing an extension line from the center point P C in the anterior direction. The spikes to be formed on the implant have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initial stability of the implant.To increase this effect, the spikes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n the implant, and if the spike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the position of each spike is designated. For this purpose, the extension line may be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the number of spikes to be generated. The outer point designating step (S131) includes an outer outer point designating step (S1311) and an inner outer point designating step (S1313).

상기 외측외곽점지정단계(S1311)는, 상기 중심점(PC)의 AP(Anterior-Posterior)선(LC)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θ1만큼 경사진 외측연장선(IL)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외측외곽점(P4)을 지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중심점(PC)은 상기 원점(PS)을 상기 제2교차점(P2)의 AP선(LC) 상으로 내측 이동시킨 것인바, 상기 제2교차점(P2)의 AP선(LC)은 상기 중심점(PC)의 AP선(LC)과 일치한다. 도 15는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외측외곽점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심점산정단계(S11)를 통해 산정된 상기 중심점(PC)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θ1만큼 경사진 외측연장선(IL)을 그리게 될 경우, 임플란트안착면(S)의 바깥쪽 둘레와 만나게 되는 교차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교차점을 상기 외측외곽점(P4)이라고 지정할 수 있다. 상기 θ1의 크기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60 ~ 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θ1의 크기가 60°미만일 경우 해부학적으로 피질골(Cortical Bone)을 침범하게 되고, 상기 θ1의 크기가 80°를 초과할 경우 스파이크의 초기 고정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In the outer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S1311), an outer extension line (I L ) inclined by θ 1 in an outward direction on the anterior-posterior (AP) line (L C ) of the central point (P C ) is the implant seating surface ( It refers to the step of designating the outer outer point (P 4 ), which is the point where the outer periphery of S) meets. The center point (P C) is AP line of said reference point (P S) the AP line (L C) Invar having been inside moved up by the second cross point (P 2) of the second cross point (P 2) (L C ) coincides with the AP line L C of the center point P C.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lateral outer point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Referring to FIG. 15, based on the central point P C calculated through the central point calculation step S11, θ 1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drawing the lateral extension line (I L ) inclined by the amount, an intersection point that meet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occurs, and this intersection point can be designated as the outer outer point (P 4 ). Although the size of θ 1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cept, it may be preferably configured as 60 to 80°. This is because when the size of θ 1 is less than 60°, the cortical bone is anatomically invaded, and when the size of θ 1 exceeds 80°, the initial fixing force of the spike decreases.

상기 내측외곽점지정단계(S1313)는, 상기 중심점(PC)의 AP(Anterior-Posterior)선(LC) 상에서 내측방향으로 θ2만큼 경사진 내측연장선(IM)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S)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내측외곽점(P5)을 지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16은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내측외곽점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심점산정단계(S11)를 통해 산정된 상기 중심점(PC)을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θ2만큼 경사진 내측연장선(IM)을 그리게 될 경우, 임플란트안착면(S)의 바깥쪽 둘레와 만나게 되는 교차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교차점을 상기 내측외곽점(P5)이라고 지정할 수 있다. 상기 θ1과 같이, 상기 θ2의 크기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60 ~ 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θ2의 크기가 60°미만일 경우 해부학적으로 피질골(Cortical Bone)을 침범하게 되고, 상기 θ2의 크기가 80°를 초과할 경우 스파이크의 초기 고정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연장선(IL)의 경사각(θ1)을 상기 내측연장선(IM)의 경사각(θ2)과 동일하게 구성하여(θ12), 보다 안정적이고 균일한 초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inner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S1313), an inner extension line (I M ) inclined by θ 2 in an inward direction on the anterior-posterior (AP) line L C of the central point P C is the implant seating surface ( It refers to the step of designating the inner outer point (P 5 ), which is the point where the outer periphery of S) meets.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medial outer point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Referring to FIG. 16, based on the center point P C calculated through the center point calculation step S11, θ 2 in the inward direction When drawing the inner extension line (I M ) inclined by as much, an intersection point that mee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occurs, and this intersection point can be designated as the inner outer point (P 5 ). Like θ 1 , the size of θ 2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cept, but may be preferably 60 to 80°. This is because when the size of θ 2 is less than 60°, the cortical bone is anatomically invaded, and when the size of θ 2 exceeds 80°, the initial fixing force of the spike decreases. More preferably, by configuring the inclination angle (θ 1 ) of the outer extension line (I L )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θ 2 ) of the inner extension line (I M ) (θ 12 ), more stable and uniform The initial fixing force can be secured.

상기 전이점지정단계(S133)는, 상기 외곽점지정단계(S131) 이후에 상기 외곽점을 상기 연장선을 따라 상기 중심점(PC) 방향으로 피질골의 두께만큼 이동시킨 지점인 전이점을 지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골은 외곽층을 구성하는 피질골(Cortical Bone)과 외곽층 안쪽의 해면골(Trabecular Bone)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피질골은 골 밀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고, 상기 해면골은 골 밀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다. 공극률(Porosity) 측면에서 본다면, 상기 피질골은 공극률이 낮고, 상기 해면골은 공극률이 높은 특성을 가지며, 대체적으로 골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공극률이 낮아지고, 골의 중심부인 안쪽으로 갈수록 공극률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스파이크의 용이한 고정을 위해서는 상기 피질골이 아닌 상기 해면골 상에 스파이크가 삽입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상기 외곽점은 피질골 상에 위치하는 지점이므로, 상기 전이점지정단계(S133)를 통해 상기 외곽점을 상기 피질골의 두께만큼 골 안쪽으로 이동시켜 스파이크를 해면골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16은 환자의 경골 근위부 CT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6을 참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골은 외곽에 강도가 강한 피질골이 위치해 있다. 피질골의 두께는 도 1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상이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1.60 ~ 2.00mm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상기 전이점지정단계(S133)는, 외측전이점지정단계(S1331)와, 내측전이점지정단계(S1333)를 포함한다.In the transition point designating step (S133), after the outer point designating step (S131), designating a transition point, which is a point in which the outer point is moved along the extension line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point (P C ). Say. Bone can be divided into cortical bone constituting the outer layer and trabecular bone inside the outer layer, and the cortical bone has a relatively high strength due to high bone density, and the cancellous bone has relatively low bone density. The intensity is low. In terms of porosity, the cortical bone has a low porosity, the cancellous bone has a high porosity, and generally, the porosity decreases toward the outside of the bone, and the porosity increases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one. Therefore, in order to easily fix the spik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spike to be inserted on the cancellous bone, not the cortical bone. Since the outer point is a point located on the cortical bone, through the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33), the outer point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bone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to place the spike on the cancellous bone. FIG. 16 is a view showing CT of the proximal tibia of a patient. Referring to FIG. 16, as described above, a cortical bone with strong strength is located outside the bone of the patient.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may be partially different, as shown in FIG. 16,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60 to 2.00mm. The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33) includes an outer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331) and an inner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333).

상기 외측전이점지정단계(S1331)는, 상기 외측외곽점(P4)을 상기 외측연장선(IL)을 따라 상기 중심점(PC) 방향으로 피질골(C)의 두께만큼 이동시킨 지점인 외측전이점(P6)을 지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17은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의 전이점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7을 참고하면, 절제된 경골 근위부(S) 상의 중심점(PC)으로부터 θ1만큼 외측으로 경사진 외측연장선(IL)을 그리게 될 경우, 절제된 경골 근위부(S)의 외주 상에는 상기 외측연장선(IL)과 만나는 외측외곽점(P4)이 산정된다. 상기 외측외곽점(P4)은 피질골(C) 상에 위치하게 되는바, 스파이크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서 상기 외측외곽점(P4)을 해당 부분의 피질골 두께만큼 골 안쪽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외측전이점(P6)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다.In the lateral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331), the lateral anterior chamber is a point in which the lateral outer point (P 4 ) is moved along the lateral extension line (I L )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C)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point (P C ). It refers to the step of designating the advantage (P 6 ). FIG. 17 is a view showing the transition point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Referring to FIG. 17, a lateral extension line (I L ) inclined outwardly by θ 1 from the center point (P C )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S) is drawn. In this cas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sected proximal tibia (S), the lateral outer point (P 4 ) meeting the lateral extension line (I L ) is calculated. Since the lateral outer point (P 4 ) is located on the cortical bone (C),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outer outer point (P 4 ) to the inside of the bone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of the corresponding part for easy insertion of the spike.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lateral transition point (P 6 ) is designated as shown in FIG. 17.

상기 내측전이점지정단계(S1333)는, 상기 내측외곽점(P5)을 상기 내측연장선(IM)을 따라 상기 중심점(PC) 방향으로 피질골(C)의 두께만큼 이동시킨 지점인 내측전이점(P7)을 지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17을 참고하면, 절제된 경골 근위부(S) 상의 중심점(PC)으로부터 θ2만큼 내측으로 경사진 내측연장선(IM)을 그리게 될 경우, 절제된 경골 근위부(S)의 외주 상에는 상기 내측연장선(IM)과 만나는 내측외곽점(P5)이 산정된다. 상기 내측외곽점(P5)은 피질골(C) 상에 위치하게 되는바, 스파이크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서 상기 내측외곽점(P5)을 해당 부분의 피질골 두께만큼 골 안쪽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내측전이점(P7)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다.The inner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333) is a point in which the inner outer point (P 5 ) is moved along the inner extension line (I M ) toward the center point (P C )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C). It refers to the step of designating the advantage (P 7 ). Referring to FIG. 17, when drawing the medial extension line (I M ) inclined inward by θ 2 from the center point (P C ) on the resected proximal tibia (S), the medial extension line ( The inner outer point (P 5 ) that meets I M ) is calculated. Since the inner outer point (P 5 ) is located on the cortical bone (C),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inner outer point (P 5 ) to the inside of the bone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of the corresponding part for easy insertion of the spike.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inner transition point (P 7 ) is designated as shown in FIG. 17.

상기 이격거리산정단계(S135)는, 상기 전이점지정단계(S133) 이후에 상기 중심점(PC)에서부터 상기 전이점까지의 거리 중 최소값을 상기 중심점(PC)과 스파이크 간의 이격 거리로 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상기 스파이크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고, 피질골의 두께는 부분별로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중심점(PC)에서부터 상기 전이점까지의 거리는 각각 다르게 측정될 수 있다. 하지만, 보다 안정적이고 균일한 초기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임플란트의 골접합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스파이크를 대칭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연장선(IL)의 경사각(θ1)을 상기 내측연장선(IM)의 경사각(θ2)과 동일하게 구성하고(θ12), 상기 중심점(PC)에서부터 상기 전이점까지의 거리 역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격거리산정단계(S135)는, 외측거리측정단계(S1351)와, 내측거리측정단계(S1353)와, 최소값선정단계(S1355)를 포함한다.The separation distance calculation step (S135) is, after the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33), to calculate the minimum value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P C ) to the transition point a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 (P C ) and the spike Say the steps.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spikes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nd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may be different for each par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P C to the transition point may be measured differently. However, in order to secure a more stable and uniform initial fixing force, it may be desirable to symmetrically form a plurality of spikes formed on the bone junction surface of the implant. To this end, the inclination angle (θ 1 ) of the outer extension line (I L ) is configured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θ 2 ) of the inner extension line (I M ) (θ 12 ), and from the center point (P C ) The distance to the transition point can be configured identically. The separation distance calculating step (S135) includes an outer distance measuring step (S1351), an inner distance measuring step (S1353), and a minimum value selecting step (S1355).

상기 외측거리측정단계(S1351)는, 상기 중심점(PC)에서부터 상기 외측전이점(P6)까지의 외측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로,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중심점(PC)에서부터 상기 외측전이점(P6)까지의 외측거리가 a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외측거리측정단계(S1351)를 통해 측정된 외측거리(a)는 후술할 내측거리측정단계(S1353)를 통해 측정된 내측거리와 비교가 된다.The outer distance measuring step (S1351) is a step of measuring an outer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P C ) to the outer transition point (P 6 ). Referring to FIG. 18, the outer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P C ) It indicates that the outer distance to the transition point (P 6 ) is a. The outer distance (a) measured through the outer distance measuring step (S1351) is compared with the inner distance measured through the inner distance measuring step (S135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내측거리측정단계(S1353)는, 상기 중심점(PC)에서부터 상기 내측전이점(P7)까지의 내측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심점(PC)에서부터 상기 내측전이점(P7)까지의 내측거리는 b로 측정될 수 있다. 임플란트안착면(S)의 외주 형상이 비정형적이고, 피질골의 두께는 부분별로 상이할 수 있는바, 상기 중심점(PC)으로부터 내외측 경사각을 동일(θ12)하게 설정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외측거리(a)와 상기 내측거리(b)는 상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The inner distance measurement step (S1353) refers to a step of measuring an inner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P C ) to the inner transition point (P 7 ). Referring to FIG. 18, the inner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P C to the inner transition point P 7 may be measured as b.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is atypical and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may be different for each part, even if the inner and outer inclination angles from the center point (P C ) are the same (θ 1 = θ 2 ) , The outer distance (a) and the inner distance (b) may be measured differently.

상기 최소값선정단계(S1355)는, 상기 외측거리(a)와 상기 내측거리(b) 중 최소값을 상기 중심점(PC)과 스파이크 간의 이격 거리로 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안정적이고 균일한 초기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의 골접합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스파이크를 대칭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이격 거리를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스파이크는 피질골이 아닌 해면골에 삽입이 되어야 하는바, 상기 중심점에서부터 전이점까지의 거리가 복수 개일 경우 이중 최소값을 이격 거리로 산정해야 복수 개의 스파이크 모두가 해면골 상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거리(a)와 상기 내측거리(b)가 상이할 경우 이 중 작은 값을 상기 중심점(PC)과 스파이크 간의 이격 거리로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스파이크(30)는, 상기 중심점(PC)에서부터, 상기 외측연장선(IL) 및 상기 내측연장선(IM)을 따라, 상기 최소값선정단계(S1355)를 통해 산정된 이격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minimum value selecting step (S1355) refers to a step of calculating a minimum value of the outer distance (a) and the inner distance (b) a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 (P C ) and the spik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ecure a more stable and uniform initial fixing force, it is preferable to symmetrically configure a plurality of spikes formed on the bone junction surface of the implant,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a certain distance. do. The spikes should be inserted into the cancellous bone, not the cortical bone. I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transition point is plural, the minimum value should be calculated as the separation distance so that all of the plurality of spikes can be inserted on the cancellous bone. Therefore, when the outer distance (a) and the inner distance (b) are different,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a smaller value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 (P C ) and the spike. Eventually, the spike 30 is, from the center point (P C ), along the outer extension line (I L ) and the inner extension line (I M ), separated by a separation distance calculated through the minimum value selection step (S1355). It can be formed on a point.

전술한 내용에 따르면, 상기 스파이크(30)는 임플란트의 골접합면 전측에 2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개념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중심점(PC)에서부터, 상기 외측연장선(IL) 및 상기 내측연장선(IM)을 따라, 상기 최소값선정단계(S1355)를 통해 산정된 이격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이외의 지점에 추가적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전측(Anterior) 뿐만 아니라, 내측(Medial), 외측(Lateral), 후측(Posterior) 영역에 추가적인 스파이크(30)가 구성되게 되면서, 회전력으로부터 임플란트의 견고한 고정 및 미세 움직임 범위 내로의 제한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he spike 30 may be composed of two on the front side of the bone junction surface of the impla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concept, from the center point (P C ), the outer extension line Along the (I L ) and the inner extension line (I M ), it may be additionally formed at a point other than a point separated by the separation distance calculated through the minimum value selection step (S1355). As additional spikes 30 are formed in not only anterior, but also medial, lateral, and posterior regions, the rigid fixation of the implant from the rotational force and restriction within the range of fine motion can be ensured. I can.

상기 형상설정단계(S30)는, 상기 위치설정단계(S10) 이후에 골의 해부학적 형상을 기반으로 상기 스파이크의 형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위치설정단계(S10)를 통해 상기 스파이크의 위치가 결정되었으면, 해당 위치에 형성될 스파이크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정할 필요가 있게 된다. 스파이크의 위치는 점(Point)으로 결정이 되는바, 스파이크의 형상이 어떠한지에 따라 피질골 침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스파이크가 피질골을 침범할 경우, 피질골의 강한 강도로 인하여 삽입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고정력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형상설정단계(S30)에서는 피질골을 침범하지 않도록 스파이크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setting step (S30) refers to a step of setting the shape of the spike based on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after the positioning step (S10). If the position of the spike is determined through the positioning step (S10), it is necessary to set a specific shape of the spike to be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Since the location of the spike is determined by a point, problems such as cortical bone invasion may occu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pike. When the spikes invade the cortical bone, not only the insertion becomes difficult due to the strong strength of the cortical bone, but also the biological fixation force cannot be secured. Therefore, in the shape setting step (S30),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spike so as not to invade the cortical bone.

도 19는 경골요소의 골접합면 상에 돌출형성된 스파이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9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1) 가운데에서도 슬관절 치환 수술시 경골에 삽입되는 경골요소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경골요소(1)는 골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골접촉면(10) 상에 돌출형성된 스파이크(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파이크의 형상은 피질골을 침범하지 않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플란트(1)의 골접촉면(10)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가 첨두형으로 구성됨으로써, 골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 피질골의 침범을 방지할 수 있다.FIG. 19 is a view showing a spike protruding on the bone junction surface of the tibia element, and FIG. 19 shows the tibia element inserted into the tibia during knee replacement surgery even among the implant 1 having initial stability. The element 1 includes a spike 30 protruding on the bone contact surface 10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ne. The shape of the spike may be composed of various shapes that do not invade the cortical bone, but preferably, it is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bone contact surface 10 of the implant 1 and the end is formed in a peak shape, thereby inserting bone While facilita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invasion of the cortical bone.

상기 스파이크(30)는, 상기 임플란트(1)와 상기 골 사이의 움직임을 임플란트와 골간의 안정성을 위한 미세움직임 범위 내로 제한하는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움직임 범위는 20~5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골 형성을 억제하는 150㎛ 이상의 범위를 가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가 골에 삽입이 되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미세움직임(Micromotion)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움직임이 과도할 경우 임플란트와 골간의 적절한 유합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파이크(30)는 골유합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로 미세움직임을 제한하는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파이크(3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전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핀부(31)와, 후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핀부(33)와,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핀부(35)와,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4핀부(37)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pike 30 has a shape that limits the movement between the implant 1 and the bone within a range of fine movement for stability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and preferably, the fine movement range is composed of 20 to 50 μm. It may be, and may be configured not to have a range of 150㎛ or more to suppress bone formation. When an implant is inserted into a bone, micromotion may occur due to various causes. If such movement is excessive, it may be difficult to achieve proper union between the implant and bon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ike 30 is configured in a shape that limits fine movemen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bone union. To this end, the spike 30 i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pike 30, as shown in FIGS. 19 and 20, the first pin portion 31 protruding in the front direction, and the first pin portion 31 protruding in the rear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pin portion 33, a third pin portion 35 protruding in an outward direction, and a fourth pin portion 37 protruding in an inward direction.

도 21은 핀부가 형성되지 않은 스파이크의 응력분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1의 스파이크는 단부가 첨두형으로 구성되지만 핀부가 형성되지 않고 단면이 원형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도 22는 핀부가 형성된 스파이크의 응력분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2의 스파이크는 단부가 첨두형으로 구성되며 전후내외측으로 돌출된 핀부가 형성되어 단면의 형상이 십자형을 가진 특징이 있다. 상이한 형상을 가진 도 21 및 도 22의 임플란트에 동일한 하중을 가한 결과, 도 21 및 도 22의 색 분포에서 알 수 있듯이, 도 22의 경우가 도 21에 비해 보다 낮은 응력을 보였으며, 도 21의 경우는 전측변위가 0.16mm, 후측변위가 0.20mm, 내측변위가 0.23mm, 외측변위가 0.19mm로 나타난 반면, 도 21의 경우는 전측변위가 0.15mm, 후측변위가 0.19mm, 내측변위가 0.22mm, 외측변위가 0.18mm로, 도 22의 경우가 도 21에 비해 전후내외측 모두에서 낮은 변위값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FIG. 21 is a diagram showing a stress distribution of a spike in which a pin portion is not formed, and the spike in FIG. 21 is formed in a peak shape at an end, but shows a case where the pin portion is not formed and the cross section is circular. On the other hand, FIG. 22 is a view showing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spike with the pin portion formed, and the spike of FIG. 22 has a peak shape at the end and a pin portion protruding in and out of the front and rear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cross shape. .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ame load to the implants of FIGS. 21 and 22 having different shapes, as can be seen from the color distributions of FIGS. 21 and 22, the case of FIG. 22 showed lower stress than that of FIG. In the case, the anterior displacement was 0.16mm, the posterior displacement was 0.20mm, the inner displacement was 0.23mm, and the outer displacement was 0.19mm, whereas in the case of FIG. 21, the anterior displacement was 0.15mm, the posterior displacement was 0.19mm, and the medial displacement was 0.22. mm, the outer displacement was 0.18 mm,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se of FIG. 22 showed lower displacement values i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compared to FIG. 21.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사용상태도로, 이하에서는 도 23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3은 슬관절 치환 수술시 경골(T) 근위부에 삽입되는 경골요소(1)를 도시하고 있으며, 임플란트안착면(S)인 절제된 경골 근위부 상에는 상기 경골요소(1)가 삽입된다. 상기 경골요소(1)의 골접합면(10) 상에는 스파이크(30)가 형성되며, 상기 스파이크(30)는 피질골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위치에서 해면골에 삽입되어 생물학적 고정력을 발현함으로써,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을 확보시켜 준다.23 is a state diagram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3. 23 shows the tibia element 1 inserted in the proximal part of the tibia (T) during knee replacement surgery, and the tibia element 1 is inserted on the resected proximal part of the tibia, which is the implant seating surface (S). A spike 30 is formed on the bone junction surface 10 of the tibial element 1, and the spike 30 is inserted into the cancellous bone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vade the cortical bone region, thereby expressing a biological fixation force, so that the initial stability of the implant Secures.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a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change or modify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disclosed contents, and/or the scope of the art or knowledge in the art. The embodiments described describe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addition,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other embodiments.

S1: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S10: 위치설정단계
S11: 중심점산정단계
S111: 원점지정단계
S1111: 제1교차점지정단계
S1113: 제2교차점지정단계
S1115: 제3교차점지정단계
S113: 원점이동단계
S1131: 전측이동단계
S1133: 내측이동단계
S13: 스파이크위치산정단계
S131: 외곽점지정단계
S1311: 외측외곽점지정단계
S1313: 내측외곽점지정단계
S133: 전이점지정단계
S1331: 외측전이점지정단계
S1333: 내측전이점지정단계
S135: 이격거리산정단계
S1351: 외측거리측정단계
S1353: 내측거리측정단계
S1355: 최소값선정단계
S30: 형상설정단계
1: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
10: 골접합면
30: 스파이크
31: 제1핀부
33: 제2핀부
35: 제3핀부
37: 제4핀부
B: 골
S: 임플란트안착면
S1: Implant spike design method with initial stability
S10: Position setting step
S11: Central point calculation step
S111: Origin designation step
S1111: Step of designating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S1113: 2nd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115: 3rd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13: Origin moving step
S1131: Forward movement step
S1133: Inward movement step
S13: Spike position calculation step
S131: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S1311: Outer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S1313: Inner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S133: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331: lateral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333: Inner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S135: separation distance calculation step
S1351: Outside distance measurement step
S1353: Inner distance measurement step
S1355: Minimum value selection step
S30: Shape setting step
1: implant with initial stability
10: bone junction surface
30: spike
31: first pin part
33: second pin portion
35: third pin part
37: fourth pin part
B: Goal
S: implant seating surface

Claims (22)

골의 해부학적 형상을 기반으로 임플란트에 형성될 스파이크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단계는, 골의 임플란트안착면 상에서 중심점을 산정하는 중심점산정단계와, 상기 중심점산정단계 이후에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스파이크의 위치를 산정하는 스파이크위치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Including a positioning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spike to be formed on the implant based on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The positioning step includes a center poin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center point on the implant seating surface of the bone, and a spike position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spike from the center point after the center point calculation step. A method of designing spikes for implants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산정단계는, 원점을 지정하는 원점지정단계와, 상기 원점지정단계 이후에 상기 원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원점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er point estimating step includes an origin designating step of designating an origin, and an origin moving step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origin after the origin designating step.The spike design method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지정단계는, 상기 임플란트안착면 상의 최후측라인과 최외측라인의 교차점인 제1교차점을 지정하는 제1교차점지정단계와, 상기 제1교차점지정단계 이후에 상기 임플란트안착면과 기계축의 교차점인 제2교차점을 지정하는 제2교차점지정단계와, 상기 제1교차점과 상기 제2교차점을 직선으로 연결할 때 상기 직선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제3교차점을 지정하는 제3교차점지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origin designation step includes a first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first intersection point, which is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last line and the outermost line on the implant seating surface, and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and the machine axis after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designation step. A second intersection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second intersection point, and a third intersection point designating a third intersection point, which is a point where the straight line mee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when connecting the first intersection point and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in a straight line. A method for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ignation ste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이동단계는, 상기 원점을 전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측이동단계와, 상기 원점을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내측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origin moving step includes an anterior movement step of moving the origin in an anterolateral direction, and an inward movement step of moving the origin in an inward direction, wherein the spike design method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이동단계는, 상기 임플란트안착면 AP길이의 65% 만큼 상기 원점을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anterior mov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gin is moved anteriorly by 65% of the AP length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the spike design method of the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이동단계는, 제2교차점의 AP선상으로 상기 원점을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inward mov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moving the origin inward along the AP line of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the spike design method of the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위치산정단계는, 상기 중심점으로부터 전측방향으로 연장선을 그어 상기 연장선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외곽점을 지정하는 외곽점지정단계와, 상기 외곽점지정단계 이후에 상기 외곽점을 상기 연장선을 따라 상기 중심점 방향으로 피질골의 두께만큼 이동시킨 지점인 전이점을 지정하는 전이점지정단계와, 상기 전이점지정단계 이후에 상기 중심점에서부터 상기 전이점까지의 거리 중 최소값을 상기 중심점과 스파이크 간의 이격 거리로 산정하는 이격거리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pike position calculation step includes an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n outer point that is a point where the extension line mee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by drawing an extension line in an anterolateral direction from the center point, and the outer point after the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A transition point designating step of designating a transition point, which is a point mov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along the extension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point, and after the transition point designating step, the minimum value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ral point to the transition point is set to the central point. A method for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comprising a separation distanc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spik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점지정단계는, 상기 중심점의 AP선상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외측연장선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외측외곽점을 지정하는 외측외곽점지정단계와, 상기 중심점의 AP선상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내측연장선이 상기 임플란트안착면의 외주와 만나는 지점인 내측외곽점을 지정하는 내측외곽점지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includes an outer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n outer outer point, which is a point where an outer extension line inclined outwardly on the AP line of the center point mee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and on the AP line of the central point. An inner outer point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n inner outer point that is a point where an inner extension line inclined inwardly meets an outer periphery of the implant seating surfa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장선의 경사각은, 상기 내측연장선의 경사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uter extens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ner extension line, the spike design method of the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장선 및 상기 내측연장선의 경사각은, 6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uter extension line and the inner extens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60 ~ 80 °, the spike design method of the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점지정단계는, 상기 외측외곽점을 상기 외측연장선을 따라 상기 중심점 방향으로 피질골의 두께만큼 이동시킨 지점인 외측전이점을 지정하는 외측전이점지정단계와, 상기 내측외곽점을 상기 내측연장선을 따라 상기 중심점 방향으로 피질골의 두께만큼 이동시킨 지점인 내측전이점을 지정하는 내측전이점지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includes an lateral transition point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n lateral transition point, which is a point in which the lateral outer point is mov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along the lateral extension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point, and the inner outer point is the inner extension line. And an inner transition point designating step of designating an inner transition point, which is a point mov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along the center point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질골의 두께는, 1.60 ~ 2.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is 1.60 ~ 2.00mm,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ke design method of the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거리산정단계는, 상기 중심점에서부터 상기 외측전이점까지의 외측거리를 측정하는 외측거리측정단계와, 상기 중심점에서부터 상기 내측전이점까지의 내측거리를 측정하는 내측거리측정단계와, 상기 외측거리와 상기 내측거리 중 최소값을 상기 중심점과 스파이크 간의 이격 거리로 산정하는 최소값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paration distance calculation step includes an outer distanc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n outer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outer transition point, an inner distanc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n inner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inner transition point, and the outer distance And a minimum value selecting step of calculating a minimum value of the inner distance a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 and the spik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중심점에서부터, 상기 외측연장선 및 상기 내측연장선을 따라, 상기 최소값선정단계를 통해 산정된 이격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spike is formed on a point separated from the center point by a distance calculated through the minimum value selection step along the outer extension line and the inner extension lin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중심점에서부터, 상기 외측연장선 및 상기 내측연장선을 따라, 상기 최소값선정단계를 통해 산정된 이격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이외의 지점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pik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ditionally formed at a point other than a point apart from the center point by the distance calculated through the minimum value selection step along the outer extension line and the inner extension line, the spike of the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Desig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은, 상기 위치설정단계 이후에 골의 해부학적 형상을 기반으로 상기 스파이크의 형상을 설정하는 형상설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mplant spike design method further comprises a shape setting step of setting the shape of the spike based on the anatomical shape of the bone after the position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ke design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Wa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설정단계는, 피질골을 침범하지 않는 스파이크의 형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shape sett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setting the shape of the spike that does not invade the cortical bone, the spike design method of the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임플란트의 골접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가 첨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spike is a method of designing a spike for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ke is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bone contact surface of the implant and has a pointed en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임플란트와 상기 골 사이의 움직임을 임플란트와 골간의 안정성을 위한 미세움직임 범위 내로 제한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spik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that limits the movement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within a range of micro-motion for stability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the spike design method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와 골간의 안정성을 위한 미세움직임 범위는, 150㎛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micro-motion range for stability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is less than 150 μm,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ke design method of the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스파이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전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핀부와, 후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핀부와,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핀부와,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4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spikes ar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pikes, the first pin portion protruding in the front direction, the second pin portion protruding in the rear direction, the third pin portion protru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a fourth pin portion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A method for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initial stability, comprising a pin portion.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임플란트의 스파이크 설계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초기 안정성을 가지는 임플란트.An implant having an initial stability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designing a spike of an impla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1.
KR1020190012686A 2019-01-31 2019-01-31 A Method of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an Initial Stability and an Implant Manufactured Thereof KR1022204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86A KR102220475B1 (en) 2019-01-31 2019-01-31 A Method of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an Initial Stability and an Implant Manufacture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86A KR102220475B1 (en) 2019-01-31 2019-01-31 A Method of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an Initial Stability and an Implant Manufacture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619A true KR20200095619A (en) 2020-08-11
KR102220475B1 KR102220475B1 (en) 2021-03-02

Family

ID=7204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686A KR102220475B1 (en) 2019-01-31 2019-01-31 A Method of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an Initial Stability and an Implant Manufacture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47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643A (en) 1995-03-13 1997-03-11 Johnson & Johnson Professional, Inc. Knee joint prosthesis
KR19980701841A (en) 1995-01-30 1998-06-25 존 데이비드 홉스 Tibia prosthesis
JP2011512962A (en) * 2008-02-27 2011-04-28 バイオメット・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Press-fit prosthesis
KR20140133836A (en) * 2012-01-30 2014-11-20 짐머, 인크. Asymmetric tibial components for a knee prosthesis
US20170079801A1 (en) * 2015-09-21 2017-03-23 Nick Drury Prosthesis system including bearing component
US20170266011A1 (en) * 2011-11-21 2017-09-21 Zimmer, Inc. Tibial baseplate with asymmetric placement of fixation structur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1841A (en) 1995-01-30 1998-06-25 존 데이비드 홉스 Tibia prosthesis
US5609643A (en) 1995-03-13 1997-03-11 Johnson & Johnson Professional, Inc. Knee joint prosthesis
JP2011512962A (en) * 2008-02-27 2011-04-28 バイオメット・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Press-fit prosthesis
US20170266011A1 (en) * 2011-11-21 2017-09-21 Zimmer, Inc. Tibial baseplate with asymmetric placement of fixation structures
KR20140133836A (en) * 2012-01-30 2014-11-20 짐머, 인크. Asymmetric tibial components for a knee prosthesis
US20170079801A1 (en) * 2015-09-21 2017-03-23 Nick Drury Prosthesis system including bearing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475B1 (en)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8169B2 (en) Prosthetic hip implants
US20150342616A1 (en) Patient-specific instruments for total hip arthroplasty
US20080167723A1 (en) Prosthetic hip implants
US6436148B1 (en) Implantable prosthesis with bone engaging ribs
US7854767B2 (en) Single entry portal implant
EP3627999B1 (en) Augmented glenoid with groove
US10842915B2 (en) Hip implant
US20190209332A1 (en) Modular femoral prosthesis system for hip arthroplasty
US20240000579A1 (en) Calcaneal prosthesis
JP2015510826A (en) Tibial implant with anatomical stem
US20210393413A1 (en) Hip implant system
GB1597003A (en) Hip joint prosthesis
KR102220475B1 (en) A Method of Designing Spikes of an Implant Having an Initial Stability and an Implant Manufactured Thereof
US8900303B2 (en) Porous bone reinforcements
CA2674288C (en) Prosthetic hip implants
CA3217958A1 (en) Kit for the installation of prosthetic components and/or biomedical implants
AU2020380955A1 (en) Hip implant
CN114585331A (en) Femoral implant for animals
CN115768383A (en) Tibial implant with improved anterior load transfer
CN113645924A (en) Implants,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