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505A - 조절장치 및 조절장치를 구비한 보조기 - Google Patents

조절장치 및 조절장치를 구비한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505A
KR20200095505A KR1020207018643A KR20207018643A KR20200095505A KR 20200095505 A KR20200095505 A KR 20200095505A KR 1020207018643 A KR1020207018643 A KR 1020207018643A KR 20207018643 A KR20207018643 A KR 20207018643A KR 20200095505 A KR20200095505 A KR 20200095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race
base carrier
fixed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130B1 (ko
Inventor
마티아 실링
안드레 뮐러
Original Assignee
오토복 에스에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복 에스에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오토복 에스에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200095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61F5/0125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the device articulating around a single pivot-p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8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보조기 구성요소 (1, 2)를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1 보조기 구성요소 (1)를 고정하는 제1 체결장치 (31)를 구비한 제1 홀더 (10) 및 제2 보조기 구성요소 (2)를 고정하기 위해 제2 체결장치 (32)를 구비하는 제2 홀더 (20)를 포함하는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홀더 (10, 20)는 적어도 두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딩 되고,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절장치 및 조절장치를 구비한 보조기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보조기 구성요소를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절장치 및 그러한 조절장치를 구비한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조절장치는 제1 보조기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체결장치를 구비한 제1 홀더와 제2 보조기 구성요소를 체결하기 위해 제2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제2 홀더를 포함한다.
보조기 (orthosis)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보조장치 (auxiliary device)에 해당한다. 상기 보조기는 관절의 안정, 팔다리의 긴장 완화, 예를 들어, 굽히기 (flexion)와 펴기 (extension)의 제한을 통해 두 팔다리의 상대운동을 제한하거나, 또는 동작 제어 (motion control)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교정기능 (correction function)을 수행하는 보조기도 존재하며, 이때 교정기능은 관절 통증이 발생할 경우, 조인트 구성요소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거나, 또는 개별 관절 부분의 긴장을 완화 시키는 기능이다. 상기 보조기는 관절을 감싸도록 팔다리에 체결될 수 있거나, 또는 이용자의 몸통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보조기는 종종 복수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야 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기를 이용자에 맞게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보조기가 주어진 기능 또는 원하는 기능을 최대한 충족시키도록 상기 보조기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보조기를 제조하기 위해, 종종 표준화된 구성요소가 사용되며, 상기 표준화된 구성요소는 각각의 기능과 개별 이용자에 맞게 조절된다. 보조기의 최적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중요한 관점은 구성요소가 서로 정확하게 배치되고, 보조기가 개별 이용자의 올바른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며, 한편, 이것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한편 제한받지 않는 쾌적한 착용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발 리프팅 보조기를 조절하기 위해, 하퇴부 레일 (lower leg rail)이 신축성 있게 성형 됨으로써 이러한 하퇴부 레일이 하퇴부 형태에 맞게 조절된다. 발판은 신축성 있게 상기 하퇴부 레일과 연결되며, 발목 조인트 (ankle joint)는 자연 발목 관절 높이로 제공된다. 상기 하퇴부 레일은 체결 벨트를 통해 환자의 하퇴부에 고정되고, 발은 발 지지 부 또는 발판 위에 놓이며, 유각기 (swing phase)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스프링을 통해 지지 된다. 그러한 조절은 비용이 많이 들고, 육중한 금속 레일을 유연하게 변형시킬 때, 정형외과 기술자의 많은 경험이 요구된다.
US 6,540,703 B1은 고관절 탈골을 억제하기 위해 수술 이후에 사용하는 보조기를 공지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기는 조인트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랩 벨트 (lap belt) 및 대퇴부 커프 (upper leg cuff)를 포함한다. 조인트는 두 개의 금속 레일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금속 레일 가운데 하나의 레일은 랩 벨트에, 그리고 다른 하나의 레일은 대퇴부 커프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레일에는 긴 구멍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긴 구명을 따라 상기 랩 벨트 및 대퇴부 커프가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레일의 종 방향 연장 부를 중심으로 회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랩 벨트와 대퇴부 커프에는 크로스 슬롯을 포함하는 반원형 고정부가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절장치 및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보조기를 환자에 맞게 배치하기 위해, 보조기 구성요소가 조절장치 및 보조기를 통해 개선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조절장치 및 보조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보조기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형태 및 구현 예는 종속항,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설명된다.
적어도 두 개의 보조기 구성요소를 서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 즉 제1 보조기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장치를 구비한 제1 홀더 및 제2 보조기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체결장치를 구비한 제2 홀더를 포함하는 그러한 조절장치는 두 개의 홀더가 적어도 두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슬라이딩 되고,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고정 가능한 보조기 구성요소를 체결할 수 있는 그러한 두 개의 홀더로 구성된 조절장치의 형태로 인해, 복수의 면에서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수 및 조절 방향과 관련하여 구현 예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상기 조절장치로 인해, 표준화된 각각의 보조기 구성요소 및 팔다리를 고정하는 고정 지지 부와 같이 개별적으로 조절된 보조기 구성요소를 표준화된 구성요소에 매우 가변적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된 보조기의 기능이 보장된다. 조절 범위와 조절 방향은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 자체의 구조적 조건으로 인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에 각각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는 두 개의 홀더를 구비한 조절장치의 형태로 인해 선회 경로 또는 슬라이딩 경로 및 각각의 방향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홀더에서 적어도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서로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가 쉽고, 신속하고, 가역적으로 개별 환자에 맞게 최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 각각의 홀더는 베이스 캐리어 (base carrier)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coupling section)가 배열, 또는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캐리어로부터 돌출해 있다. 각각의 보조기 구성요소는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베이스 캐리어로부터 돌출해 있는 연결부를 통해, 깊이 조절 (depth adjustment) 또는 깊이 보정 (depth compensation)이 실시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에 대해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의 간격은 쉽게 변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베이스 캐리어에 체결장치가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의 보조기 구성요소는 이러한 체결장치를 통해 고정 또는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가 베이스 캐리어로부터 직교 방향 (orthogonal)으로 돌출할 경우,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연결부를 고정할 때, 상기 베이스 캐리어의 수직 방향 이동은 서로 떨어진 상태로, 또는 서로 겹쳐진 상태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대해 연결부의 경사진 방향, 즉 직각 (right angle)에서 벗어난, 특히 90°초과의 둔각 (obtuse angle)으로 경사진 그러한 방향에서 연결부를 따라 베이스 캐리어가 슬라이딩 될 때, 오버랩 운동 (overlaped movement)이 실시되며, 이러한 운동에서 상기 베이스 캐리어는 서로 떨어진 상태로, 또는 서로 겹쳐진 상태로 이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베이스 캐리어의 배치가 서로 변하고, 상기 연결부의 간격은 적합하게 조절된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 각각 서로 반대쪽에 놓여 있는 두 개의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일종의 포크 (fork) 또는 U자 형태의 구조가 제공되며, 이로 인해 전술한 두 개의 홀더 및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가 특히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를 고정할 때, 상기 베이스 캐리어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연결부로 인해 한 쌍 (pair)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쪽에 놓여 있는 그러한 두 개의 연결부에 균일한 힘이 분포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보조기 구성요소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제공되어 있고, 서로 반대쪽에 놓여 있는 두 개의 연결부의 구현 예에서, 상기 제1 홀더의 연결부는 내측 표면 사이의 내측 간격을 포함하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 표면 (inner surface)을 구비하고, 제2 홀더의 연결부는 서로 반대쪽을 향해 있는 외 측면을 구비한다. 이때, 제2 연결부의 외 측면 간격은 상기 제1 홀더 연결부의 두 개의 내측 면 또는 내측 표면 사이의 내측 간격에 대응한다. 이로 인해, 제1 홀더에 제공된 두 개의 연결부 사이에 제2 홀더가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홀더가 제2 홀더를 바깥쪽으로부터 감쌀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홀더가 통제불능 상태로 상기 제1 홀더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억제되며, 또한 상기 제1 홀더의 연결부를 통해 제2 홀더의 가이드 부가 제공된다. 내측 표면 사이의 내측 간격은 일반적으로 상기 제2 연결부에 제공된 외 측면의 외측 간격에 대응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제공된 두 개의 연결부는 서로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제공된 연결부의 간격이 서로 조절된다. 전술한 것은 예를 들어 상기 제1 홀더 내에 제2 홀더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며,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 또는 치수를 갖는 홀더와 전술한 종류 또는 치수를 갖는 또 다른 홀더와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딩 가능한 두 개의 연결부는 겹쳐진 방향으로 초기 장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초기 장력은 예컨대 스프링, 자석 또는 강자성 (ferromagnetic) 부품과 예를 들어 강자성 부품 버전인 자석의 대응하는 결합을 통해 발생 된다. 이로 인해, 두 개의 연결부는 겹쳐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두 개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안쪽에 있는 홀더 및 연결부가 제1 홀더의 연결부의 외 측면에 인접해 있는 바깥쪽의 홀더를 구비하는 조절장치 구조에 약간의 유지력 (holding force)이 작용하기 때문에, 홀더의 예비-고정이 실시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연결부가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 부하가 걸릴 수 있고, 힘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쪽으로부터 제2 홀더의 두 개의 연결 요소 쪽으로 압력을 가하기 위해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에 압력이 가해진다. 물론, 이것은 바깥쪽에 있는 연결부가 없을 경우,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가이드 부와 스토퍼 (stopper)가 필요하다.
상기 홀더는 앵글 (angle) 또는 포크 (fork)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반대쪽에 놓여 있는 두 개의 연결부에 포크 형태의 구조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홀더는 앵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증가한 휨 토크가 상기 베이스 캐리어와 연결부를 포함하는 홀더에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슬롯 (slot) 또는 리세스 (recess)가 형성 및/또는 이러한 연결부에 가이드 부가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 내에 또는 이러한 가이드 부에 각각 또 다른 연결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슬롯 또는 가이드 부에는 각각의 연결부가 가이드 되어 있고, 상기 슬롯 또는 가이드 부는 직선 또는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연결부의 상대 이동을 통해 상호 완전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리세스, 슬롯 및/또는 가이드 부는 상기 연결부의 종 방향 연장 부 또는 횡 방향 연장 부 쪽을 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한편, 이것은 상기 베이스 캐리어의 운동을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편, 상대적으로 서로 슬라이딩 또는 상대적으로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변형된 구현 예에 따라, 홀더마다 리세스, 슬롯 및/또는 가이드 부가 단지 한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며, 서로 다른 연결부의 리세스, 슬롯 및/또는 가이드 부가 서로 다른 방향, 바람직하게는 서로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각각의 연결부 또는 한 쌍을 형성하고 있는 각각의 연결부가 단지 조절 방향으로만 제공된다. 이것은 어떤 가이드 부를 통해 어떤 이동이 가능한지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정형외과 기술자 또는 보조기 이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제1 보조기 구성요소의 간격을 조절, 예컨대 팔다리를 위한 고정 지지 부의 체결요소에 대해 레일을 조절하기 위해 단지 하나의 체결장치 또는 고정장치가 각각의 연결부를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 홀더 및 보조기 구성요소의 병진 조절 (translational adjustment)과 함께 회전 조절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홀더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회전된 각각의 지점에서 서로 고정될 수 있는 홀더의 그러한 회전 가능한 고정으로 인해,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의 또 다른 자유도 (degree of freedom)가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곡률 (curvature)을 구비하기 때문에, 예컨대 바깥쪽에 있는 연결부의 내측 면에 제공되는 것과 대응하는 내측 곡률 (internal curvature)을 포함하며, 안쪽에 있는 연결부의 외 측면 곡률을 통해 회전 가이드 부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는 부분 외피 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부분 외피 면에 인접해 있거나, 또는 마주보는 방향의 표면에 대응하는 부분 외피 면 곡률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 캐리어는 공통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를 각각의 홀더, 특히 베이스 캐리어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장치는 형상 끼워 맞춤 요소 또는 억지 끼워 맞춤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형상 끼워 맞춤 요소로서 나사 산 (screw thread), 나사, 클립 연결 (clip connection), 바요네트 체결장치 (bayonet fastener) 또는 유사한 고정 장치 또는 나사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볼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connector)를 통해 각각의 홀더 또는 베이스 캐리어에 제공된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의 형상 끼워 맞춤 체결이 실시될 수 있다. 형상 끼워 맞춤 고정과 함께,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가 억지 끼워 맞춤 방식, 특히 클립 또는 나사 클램핑 (screw clamping)을 통해 상기 홀더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조절 범위의 조절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베이스 캐리어의 리세스, 슬롯 및/또는 가이드 부에 고정, 특히 이러한 베이스 캐리어의 종 방향 연장 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 자체도 마찬가지로 조절 가능하게 상기 체결장치 내에 고정, 예를 들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것은 클램핑 고정시 순조로운 조절을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보조기 구성요소를 체결장치에 형상 끼워 맞춤 방식의 잠금 및 체결을 통해 미리 정해진 지점의 이산적 간격으로 고정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의 구성요소는 보조기 레일로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또 다른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팔다리 또는 몸통을 위한 고정 지지 부 또는 고정부 또는 체결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팔다리 또는 몸통을 고정하는 구성요소는 체결장치, 예컨대 텐션 벨트 (tension belt), 또는 벨크로 패스너 (velcro fastener)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통해 팔다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기 레일은 신축성 있게 또 다른 보조기 구성요소, 예컨대 또 다른 보조기 레일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기 레일은 마찬가지로 조절장치 및 고정 지지 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 보조기 (leg orthosis)는 각각의 고정 지지 부를 통해 대퇴부와 하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지 부는 이용자의 가장 바람직한 지점에 체결될 수 있다. 표준화된 다리 보조기는 상기 조절장치를 통해 대퇴부 레일, 보조기 무릎 조인트 및 하퇴부 레일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기 무릎 조인트는 자연 무릎 관절의 최적의 지점에 배치되며, 각각의 보조기 레일의 종 방향 연장 부뿐만 아니라, 각각의 보조기 레일의 종 방향 연장 부에 대해 고정 지지 부의 간격, 회전 및 대퇴부와 하퇴부에 대해 보조기 레일의 간격 조절과 관련하여 다양한 조절 가능성을 갖는 조절장치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구현 예에 따라, 위치 조정 표시 선 (alignment mark) 또는 눈금은 연결부 및/또는 베이스 캐리어에 배열 또는 형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것은 한편, 이용자 또는 정형외과 기술자에게 정해진 조절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한편, 예를 들어 구성요소를 교체하고 난 후에 한 번 실행된 조절 지점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테스트 목적을 위해 서로 다른 배치가 테스트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는 표시 선을 통해 쉽게 식별할 수 있고, 확인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의 방향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도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에 잠금장치가 배열 또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장치는 각각의 홀더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홀더 및 보조기 구성요소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잠금장치를 통해 홀더의 연결부가 서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팔다리 또는 몸통에 대해 보조기의 배치가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나사, 너트를 포함하는 나사 산, 클램핑 요소 (clamping element), 클램프 토글 (clamp toggle) 및/또는 웨지 (wedge)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장치는 완전한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 연결부의 가이드 부, 슬롯 또는 리세스에 가이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아래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기본 지점에 있는 조절장치를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보조기 레일을 따라 이동한 조절장치를 도 1에 따른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베이스 캐리어를 따라 슬라이딩 된 보조기 구성요소를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깊이 조절된 조절장치를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앵글 조절된 조절장치를 측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다리 보조기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보조기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도 6에 따른 보조기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조절장치의 첫 번째 변형된 형태를 세 가지 유형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슬라이딩 된 첫 번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도 9의 변형된 형태를 세 가지 유형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슬라이딩 된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도 9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슬라이딩 된 홀더를 포함하는 도 11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서로 회전된 홀더를 포함하는 도 12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두 개의 보조기 구성요소를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조절장치를 두 개의 도면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 가운데 단지 제1 보조기 구성요소 (1)만 보조기 레일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절장치는 두 개의 홀더 (10, 20)를 구비하고, 도 1에서 위쪽 도면설명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아래쪽 도면설명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1 홀더 (10)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베이스 캐리어 (11)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베이스 캐리어로부터 두 개의 연결부 (12)가 직교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상기 제1 홀더 (10)의 베이스 캐리어 (11)는 두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첫 번째 부분 (11a)을 구비하며, 이러한 첫 번째 부분에는 가이드 부 (110), 예컨대 두 번째 부분 (11b)의 핀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 (110)를 따라 첫 번째 부분 (11a)에 대해 두 번째 부분 (11b)이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가이드 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홀더 (10)의 두 개의 연결부 (1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두 부분 (11a, 11b)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자석, 스프링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를 통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초기 장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두 부분 (11a, 11b)은 항상 출발 위치로 되돌아 오며, 출발 위치 방향으로 힘에 의한 부하가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 (10)는 평면도에서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제1 홀더의 베이스 캐리어 (11)에는 나사 삽입을 위해 보어 (bore) 형태의 체결장치 (31)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체결장치 (31)는 두 개의 보조기 구성요소를 제1 홀더 (1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의 아래쪽 도면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홀더 (20)는 일반적으로 상기 제1 홀더에 대응하여 구성되며, 베이스 캐리어 (21) 및 이러한 베이스 캐리어로부터 직각 형태로 돌출해 있는 두 개의 연결부 (22)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캐리어 (20)는 일체형으로 실시되며, 상기 제1 홀더 (10) 내에서 이러한 홀더의 연결부 (12) 사이에 배열된다. 두 개의 베이스 캐리어 (11, 21)는 서로 인접하게 제공되며, 각각의 연결부 (12, 22)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홀더 (20)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금속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두 연결부 (22)는 상기 베이스 캐리어 (21)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해 있다. 상기 두 연결부 (22) 사이의 베이스 캐리어 (21)에는 보조기 레일 (1)을 위한 체결장치 (32)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체결장치 (32)는 베이스 캐리어 (21)의 종 방향 연장 부를 따라 제2 리세스 (210) 내에서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리세스 가운데 하나의 리세스 (210)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리세스 (210)는 제2 체결장치 (32)에 의해 덮여 있다. 두 개의 가이드 핀 (325)은 각각 슬롯 형태의 가이드 부 (210)에 고정되어 있고, 내측 육각 나사 (326)를 통해 가이드 부 (210)에서 클램핑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 (1)은 U자 형태의 홀더 (320)와 클랭핑 플레이트 (321) 사이에서 두 개의 나사 (328)를 통해 억지 끼워 맞춤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고, 두 개의 체결장치 (32) 내에서 레일 (1)의 종 방향 연장 부를 따라 순조롭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슬라이딩은 도 1의 위쪽 도면설명에서 쌍방향 화살표로 암시되어 있다. 클램핑 체결을 통해 두 개의 홀더 (10, 20)를 포함하는 조절장치의 위치는 상기 레일 (1)의 종 방향 연장 부를 따라 순조롭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의 위쪽 도면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연결 부 (12, 22)는 굽은 형태로 제공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 (12, 22)는 부분 외피 면처럼 성형 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홀더 (10, 20)가 중앙 회전 축을 중심으로 선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홀더 (20) 내에 가이드 부가 리세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의 종 방향 연장 부는 연결부 (22)의 종 방향 연장 부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기능은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가이드 부 내에 잠금장치 (40)가 나사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장치를 통해 상기 홀더 (10, 20)의 클램핑 고정이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체결장치의 높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 (1)은 체결장치 (32) 내에서 위쪽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체결장치는 제1 보조기 구성요소에 대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상기에서 나사 (328)를 통해 클램핑 고정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바깥쪽 연결부 (12) 사이에는 내측 간격 (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측 간격 내에서 연결부 (22)를 포함하는 제2 홀더 (20)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2 홀더에 제공된 연결부 (22)의 굽은 바깥쪽 표면 또는 외 측면 (23)은 제1 홀더에 제공된 연결부 (12)의 대응하여 굽은 내측 표면 또는 내측 면 (13)에 인접해 있으며, 상기 잠금장치 (40)를 통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홀더 (10, 20)가 서로 함께 나란히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 (40)는 헤드 (41)와 너트 (42)를 포함하는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장치를 통해 홀더 (10, 20)의 연결부 (12, 22)가 서로 클램핑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위쪽 도면설명에서 조절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아래쪽 도면설명에서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체결장치 (32)는 도 2에 따른 위치로부터 가이드 부 (210)를 따라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가이드 부 (210)는 제2 홀더 (20)의 베이스 캐리어 (21)에 가이드 되어 있다. 두 개의 가이드 부 (210)는 서로 다른 면에 배열 및 서로 이동하여 베이스 캐리어 (21)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은 상기 베이스 캐리어 (2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체결장치 (32)는 상기 제2 홀더 (20)의 두 개의 연결부 (22) 사이에서 연결부 (22)의 전체 내측 간격을 지나 슬라이딩 된다. 상기 제1 홀더 (10)의 이중 화살표는 두 번째 부분 (11b)의 슬라이딩을 암시하고 있다. 상기 잠금장치 (40)는 너트 (42) 및 나사 헤드 (41)를 포함하는 볼트를 통해 제2 홀더 (20)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형태에서 제1 홀더 (10)의 제1 연결부 (12) 내에 종 방향 가이드 부 (121)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홀더 (20)는 연결부 (12)의 종 방향 연장 부를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슬라이딩은 이중 화살표를 통해 암시되어 있다. 상기 제1 홀더 (10)에 제공된 연결부 (12)를 따라 종 방향 가이드 부에 상기 제2 홀더 (20)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캐리어 (11, 21) 사이의 간격이 변하고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 (40)를 조임으로써 상기 홀더 (10, 20)의 원하는 각각의 위치와 두 개의 보조기 구성요소 (1, 2)를 서로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홀더 (10, 20)가 회전된 지점에 위치한 조절장치를 위쪽 도면설명서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아래쪽 도면설명에서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홀더 (20)의 연결부 (22) 내에 이러한 연결부의 종 방향 연장 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식별할 수 없지만 가이드 부가 삽입되어 있고, 이러한 가이드 부에서 나사 헤드 (41)가 슬라이딩 된다. 상기 나사 헤드 (41)는 연결부 (22) 내의 너트에 가이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나사 헤드는 상기 연결부 (22)의 내측 표면을 지나 돌출하지 않는다. 도 5의 위쪽 도면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두 개의 홀더 (10, 20)는 서로 회전 축 (A)을 중심으로 서로 선회할 수 있다. 동일한 반경으로 제공되었으며, 나란히 가이드 되는 각각의 연결부 (22, 12)의 표면 (23, 13)은 서로 인접해 있으며, 상기 베이스 캐리어 (11, 21)는 서로 틸팅 되므로, 이로 인해 제2 캐리어 (20) 및 이와 함께 상기 제2 홀더 (20)에 견고하게 장착된 보조기 레일 (1)에 대해 상기 제1 홀더 (10)가 선회할 수 있다. 도 5의 아래쪽 도면설명에서 제1 홀더 (10)의 제1 연결부 (12) 내에 제공된 종 방향 가이드 부 (121)가 식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종 방향 가이드 부를 따라 잠금장치 (40)가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 (121)는 긴 구멍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원주형 홈 (depression)을 구비하며, 이러한 홈 내에 너트 (42)가 가이드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체결장치는 상기 제1 연결부 (12)에 제공된 종 방향 가이드 부 (121)를 통해 각각의 연결부 (11, 21)의 종 방향 연장 부를 따라 상기 두 개의 홀더 (10, 20)가 조절될 수 있고, 제2 홀더 (20)에 제공된 연결부 (22) 내의 가이드 부를 통해 회전 축 (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이드 부는 제1 가이드 부 (121)의 종 방향 연장 부에 대해 직교 방향과 연결부 (22)의 종 방향 연장 부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장치 (32)를 통해 제2 홀더 (20)에 제공된 두 개의 연결부 (22) 내의 제1 구성요소 (1)의 슬라이딩이 가이드 부 (210)를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추가로, 보조기 레일 (1)은 체결장치 (32)의 클램핑 된 고정부 내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세 개의 병진 자유도 및 회전 자유도가 조절장치를 통해 커버 되므로, 조절장치로 인해 구성요소, 예컨대 보조기 레일 및 고정 지지 부의 다양한 조절 가능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대퇴부 레일, 하퇴부 레일 및 족부를 포함하는 다리 보조기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족부는 인공 발목 관절을 통해 선회 가능하게 하퇴부 레일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퇴부 레일은 보조기 무릎 조인트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대퇴부 레일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보조기 레일은 제1 보조기 구성요소 (1)를 나타내며, 이러한 보조기 구성요소는 이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설명되었다. 두 개의 홀더 (10, 20)를 포함하는 조절장치는 상기 제2 체결장치 (32)의 나사가 해제됨으로써 각각의 보조기 레일 (1)의 종 방향 연장 부를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이어서 원하는 높이로 다시 순조롭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 (10)에 제공된 두 개의 종 방향 가이드 부 (121)가 정면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 방향 가이드 부를 통해 상기 보조기 레일 (1)에 대해 제2 구성요소 (2)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보조기 구성요소 (2)는 팔다리를 위한 고정 지지 부, 즉 대퇴부 고정 지지 부 및 하퇴부 고정 지지 부에 해당한다. 벨트 또는 버클과 같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체결장치를 통해 각각의 고정 지지 부 (2)가 대퇴부 및 하퇴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보조기의 기능적 구성요소와 팔다리의 연결, 즉 조인트 및 경우에 따라 전기 조절되는 저항 장치 (resistance device)와 가이드 부 레일 (1)의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구성요소 (2)는 나사 또는 나사 구멍 형태의 제1 체결장치 (31)를 통해 상기 제1 홀더 (10)와 연결 및 고정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홀더 (10, 20)는 서로 틸팅 된다. 도 7은 틸팅된 상태를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홀더 (20)는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 즉 상기 베이스 캐리어 (10)가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단 에지를 구비하도록 그러한 수평 방향으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홀더 (10)에 제공된 제1 베이스 캐리어 (11)의 상단 에지는 시계 방향에 대해 대략 20°정도 틸팅 되어 있으며, 이것은 대략 공통의 축 (A)을 중심으로 실시된 최대 틸팅 앵글에 대응한다. 상기 보조기에는 각각 두 개의 홀더 (10, 20)를 포함하는 각각 두 개의 조절장치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것은 보조기 레일 (1)에 대해 고정 지지 부 (2)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환자에 맞게 최적의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대퇴부 레일 (1), 전체적으로 네 개의 홀더 (10, 20) 및 고정 지지 부 형태의 두 개의 제2 보조기 구성요소 (2)를 포함하는 보조기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구현 예의 세 가지 유형을 정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조절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조절장치에 대응한다. 또한, 구현 예도 전술한 것에 대응한다. 도 1에 따른 구현 예와 차이는 홀더 (10, 20)가 베이스 캐리어 (11, 21) 쪽을 향해 있는 직각 형태의 연결부 (12, 22)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 캐리어 (11, 21)와 연결부 (12, 22) 사이에 90°초과의 앵글 (α)을 구비하며, 둔각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캐리어 (11, 21)와 각각의 연결부 (12, 22) 사이의 앵글 (α)은 바람직하게는 90°내지 130°의 앵글 범위이다. 상기 제1 홀더 (10)가 두 부분의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제1 홀더 (10)의 베이스 캐리어 (11)를 종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 9는 제1 홀더 (10)에 제공된 최대 길이의 베이스 캐리어 (11)를 도시하고 있고, 제2 홀더 (20)는 이러한 제2 홀더의 베이스 캐리어 (21)와 함께 상기 제1 홀더 (10)의 베이스 캐리어 (11)에 인접해 있다. 상기 제2 체결장치 (32)는 정면도 및 평면도로 바라볼 때, 제2 홀더 (20)에 제공된 리세스 (210) 내의 가장 좌측에 놓여 있다. 레일 형태의 상기 제1 보조기 구성요소 (1)는 상기 제2 체결장치 (32)에 클램핑 상태로 고정된다. 나사 (328)는 제1 보조기 구성요소가 이러한 제1 보조기 구성요소 쪽으로 슬라이딩, 즉 도 9의 위쪽 도면설명에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억제하다. 이것은 나사 (328)에 제공된 이중 화살표를 통해 암시되어 있다. 상기 나사 (326)는 제2 체결장치 (32)를 제2 홀더 (20)에 고정한다. 상기 제2 체결장치 (32)는 우측 및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리세스 (2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나사 (326)의 조임 및 해제를 통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맨 좌측 지점과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맨 우측 지점 사이의 임의의 지점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고, 클램핑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캐리어 (11, 21)의 상호 거리 유지는 제1 캐리어 (10)의 두 개의 연결부 (12)에 제공된 리세스 (121)를 따라 제1 홀더 (10)에 대해 제2 홀더 (20)가 이동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헤드 (41)와 너트 (42)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40)를 통해 분리될 수 있는 순조로운 조절이 리세스 (121)를 따라 실시될 수 있다. 도 9에 따른 도면설명에서 상기 제2 홀더 (20)는 제1 홀더에 대해 최대한 근접한 지점에 놓여 있다.
도 10은 도 9의 변형된 구현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도 9는 보조기 레일 형태의 제1 보조기 구성요소 (1)가 제2 체결장치 (32) 내에서 슬라이딩 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기 구성요소 (1)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2 보조기 구성요소의 높이가 이러한 슬라이딩 및 나사 (326)에 의한 고정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된 구현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구현 예에서 제2 체결장치 (32)는 정면도 및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맨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있다. 좌측 리세스 (21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제1 리세스 (210)의 상단에 배열되어 있다.
도 12는 도 11의 변형된 구현 예, 특히 도 12의 중간 도면설명에 상응하는 평면도의 변형된 구현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베이스 캐리어 (11, 21)와 관련하여 상기 제2 홀더 (20)가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는 지점에 놓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베이스 캐리어 (11, 21)에 대해 연결부 (12, 22)의 경사진 지점으로 인해, 제1 캐리어 (10)의 연결부 (12)에 제공된 리세스 (121)를 따라 상기 제2 홀더 (20)가 종 방향 슬라이딩할 때, 상기 홀더 (10)의 두 부분 (11a, 11b)은 겹쳐진 상태로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캐리어 (11, 21)가 서로 최대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동시에 최대한 근접해 있는 상태로 제공됨으로써 서로 인접하게 놓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체결장치 (32)에 대해 상기 제1 체결장치 (31)의 깊이가 조절될 수 있고, 이로써 제1 보조기 구성요소 (1)가 두 번째 방향 또는 제2 보조기 구성요소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방향은 도 12에서 이중 화살표로 암시되어 있다. 두 개의 보조기 구성요소 (1, 2)는 서로 다른 방향, 서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또는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도 5와 유사하게 앵글 조절된 조절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홀더 (20)의 두 연결부 (22)에는 주사기 형태의 리세스 (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세스는 연결부 (22)의 외 측면 (23)의 둥근 형태 및 연결부 (12)의 둥근 내측 면 (13)과 함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평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선회 운동하도록 제공된다. 가능한 선회 운동은 위쪽 도면설명에서 굽은 형태의 이중 화살표로 암시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제2 보조기 구성요소 (2)를 제1 체결장치 (31)에 견고하게 체결할 때, 모든 세 개의 병진 자유도에서 이동 및 자유도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때문에, 상기 보조기 구성요소 (1, 2)가 신속하고, 단순하며 순조롭게 배치되고, 개별 환자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홀더 (10, 20) 및 체결장치 (31, 32)의 순조로운 클램핑 조절에 대해 선택적으로, 맞물림 장치를 통한 형상 끼워 맞춤 잠금으로 단계별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22)

  1. 적어도 두 개의 보조기 구성요소 (1, 2)를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1 보조기 구성요소 (1)를 고정하는 제1 체결장치 (31)를 구비한 제1 홀더 (10) 및 제2 보조기 구성요소 (2)를 고정하기 위해 제2 체결장치 (32)를 구비하는 제2 홀더 (20)를 포함하는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 (10, 20)는 적어도 두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딩 되고,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홀더 (10, 20)는 베이스 캐리어 (11, 21)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12, 22)가 상기 베이스 캐리어에 배열 또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 (12, 22)는 베이스 캐리어 (11, 21)로부터 돌출해 있는,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12, 22)는 직교 방향 또는 둔각 (α)으로 상기 베이스 캐리어 (11, 21)로부터 돌출해 있는, 조절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각각 서로 반대쪽에 놓여 있는 두 개의 연결부 (12, 22)는 상기 베이스 캐리어 (11, 21)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는, 조절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10)의 연결부 (12)는 내측 표면 사이의 내측 간격 (14)을 포함하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 표면 (13)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홀더 (20)의 연결부 (22)는 서로 반대쪽을 향해 있는 외 측면 (23)을 구비하며, 제2 연결부 (22)의 외 측면 (23) 간격은 내측 표면 (13) 사이의 내측 간격 (14)에 대응하는, 조절장치.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12, 22)는 서로 슬라이딩 및/또는 이러한 연결부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 캐리어 (11, 21)에 고정될 수 있는, 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12, 22)는 겹쳐진 방향으로 초기 장력이 발생하는, 조절장치.
  8. 청구항 2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12, 22)에는 슬롯 또는 리세스 (121, 221)가 형성 및/또는 이러한 연결부 (12, 22)에 가이드 부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 부 안에 또는 이러한 가이드 부에는 각각 또 다른 연결부 (12, 22)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는, 조절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121, 221), 슬롯 및/또는 가이드 부는 상기 연결부 (12, 22)의 종 방향 연장 부 또는 횡 방향 연장 부 쪽을 향해 있는, 조절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홀더 (10, 20)마다 리세스 (121, 221), 슬롯 및/또는 가이드 부가 단지 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다른 연결부 (12, 22)의 리세스 (121, 221), 슬롯 또는 가이드 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는, 조절장치.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10, 20)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조절장치.
  12. 청구항 2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12, 22)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곡률을 구비하는, 조절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12, 22)는 부분 외피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부분 외피 면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캐리어 (11, 21)는 공통의 축 (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조절장치.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장치 (31, 32)는 형상 끼워 맞춤 요소 또는 억지 끼워 맞춤 요소로서 형성되어 있는, 조절장치.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 (31, 32)는 리세스 (210), 슬롯 및/또는 가이드 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베이스 캐리어 (11, 21)에 고정되어 있는, 조절장치.
  16.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1, 2) 가운데 하나의 구성요소는 보조기 레일로서 형성되어 있는, 조절장치.
  17.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1, 2) 가운데 하나의 구성요소는 팔다리 또는 몸통을 위한 고정 지지 부 또는 고정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조절장치.
  18. 청구항 2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12, 22) 및/또는 베이스 캐리어 (11, 21)에는 위치 조정 표시 선 또는 눈금이 배열 또는 형성되어 있는, 조절장치.
  19. 청구항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10, 20)에는 잠금장치 (40)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잠금장치는 상기 홀더 (10, 20)를 서로 고정하는, 조절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 (40)는 나사 (41), 너트 (42)를 포함하는 나사 산, 클램핑 요소, 토글 및/또는 웨지로서 형성되어 있는, 조절장치.
  21. 청구항 19 또는 20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 (40)는 연결 요소 (12, 22)의 가이드 부, 슬롯 또는 리세스 (121, 221)에 가이드 되어 있는, 조절장치.
  22. 적어도 두 개의 보조기 구성요소 (1, 2) 및 청구항 1 내지 21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보조기.
KR1020207018643A 2017-12-01 2018-11-30 조절장치 및 조절장치를 구비한 보조기 KR102442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8613.6 2017-12-01
DE102017128613.6A DE102017128613A1 (de) 2017-12-01 2017-12-01 Verstelleinrichtung und Orthese mit einer Verstelleinrichtung
PCT/EP2018/083163 WO2019106153A1 (de) 2017-12-01 2018-11-30 Verstelleinrichtung und orthese mit einer verstell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505A true KR20200095505A (ko) 2020-08-10
KR102442130B1 KR102442130B1 (ko) 2022-09-08

Family

ID=6457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643A KR102442130B1 (ko) 2017-12-01 2018-11-30 조절장치 및 조절장치를 구비한 보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52769A1 (ko)
EP (1) EP3716921B1 (ko)
JP (1) JP7080973B2 (ko)
KR (1) KR102442130B1 (ko)
CN (1) CN111417368A (ko)
DE (1) DE102017128613A1 (ko)
WO (1) WO20191061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21336A1 (de) * 2018-12-10 2020-06-10 Vetter Pharma-Fertigung GmbH & Co. KG Befestigungsanordnung zum Befestigen eines Prüfvorrichtungshalters an einer Kraftmesseinrichtung, Kraftmesseinrichtung mit einer solchen Befestigungsanordnung; Prüfvorrichtungshalter, und Schlittenteil für eine Kraftmesseinrichtung
USD962451S1 (en) * 2020-12-05 2022-08-30 Vision Quest Industries Incorporated Orthopedic device with multiple Q-angle adjusters
USD972153S1 (en) * 2020-12-09 2022-12-06 Parker-Hannifin Corporation Movement assistance device for an ortho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0879A1 (en) * 1988-07-20 1990-02-08 Arthur D. Little, Inc. Hand position/measurement control system
US5848979A (en) * 1996-07-18 1998-12-15 Peter M. Bonutti Orthosis
EP1588678A1 (de) * 2004-04-23 2005-10-26 Wilhelm Julius Teufel GmbH Modulare Hüftorthes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9154A (en) * 1993-06-30 1995-03-21 Empi, Inc. Constant torque range-of-motion splint
US6540703B1 (en) 2000-11-20 2003-04-01 Max Lerman Post-operative hip abduction orthosis
US7431708B2 (en) * 2005-09-19 2008-10-07 Ossur Hf Knee brace having lateral/medial width adjustment
DE102008008284A1 (de) * 2008-02-07 2009-08-13 Otto Bock Healthcare Gmbh Orthopädisches Kniegelenk sowi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orthopädischen Kniegelenkes
DE102008034750A1 (de) * 2008-07-24 2010-02-04 Otto Bock Healthcare Gmbh Gelenkeinsatz
DE102010053176A1 (de) * 2010-12-03 2012-06-06 Otto Bock Healthcare Gmbh Verstelleinrichtung
CN103747763B (zh) * 2011-06-20 2016-03-30 奥索有限责任公司 矫形装置、矫形装置的使用及其制造方法
DE102012200165B4 (de) * 2012-01-06 2013-09-19 Oped Ag Orthese und Verfahren zum Anlegen einer Orthese
DE102012102012B4 (de) * 2012-03-09 2018-03-29 Helmut Wagner Unterschenkelorthese
DE102013011382A1 (de) * 2013-07-09 2015-01-15 Otto Bock Healthcare Gmbh Orthesengelenk
DE102014009028A1 (de) * 2014-06-24 2015-12-24 Otto Bock Healthcare Gmbh Beinorthese und Orthese
DE102016107779A1 (de) * 2016-04-27 2017-11-02 Thomas Böckh Orthesengelenk, Baukastensystem zur Bildung eines Orthesengelenkes und Verwendung dessen
DE102016108183A1 (de) * 2016-05-03 2017-11-09 Oped Ag Orthese zur Stabilisierung eines Körpergelen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0879A1 (en) * 1988-07-20 1990-02-08 Arthur D. Little, Inc. Hand position/measurement control system
US5848979A (en) * 1996-07-18 1998-12-15 Peter M. Bonutti Orthosis
EP1588678A1 (de) * 2004-04-23 2005-10-26 Wilhelm Julius Teufel GmbH Modulare Hüftorthe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52769A1 (en) 2020-11-12
EP3716921B1 (de) 2021-06-30
WO2019106153A1 (de) 2019-06-06
JP7080973B2 (ja) 2022-06-06
KR102442130B1 (ko) 2022-09-08
DE102017128613A1 (de) 2019-06-06
CN111417368A (zh) 2020-07-14
EP3716921A1 (de) 2020-10-07
JP2021504010A (ja)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130B1 (ko) 조절장치 및 조절장치를 구비한 보조기
EP2827810B1 (en) Orthopedic device
US20200229960A1 (en) Adjustment system
US10806620B2 (en) Orthopedic device
US7011641B1 (en) Knee brace immobilizer
CA2537472C (en) Adjustable splint device for relieving contractures
US10874525B2 (en) Surgical instrument for knee balancing
US11458032B2 (en) Anatomical brace for dynamically stabilizing the patella during knee articulation so as to address patella tracking error
US9855154B2 (en) Post-operative residual limb support
JP2014526948A (ja) 調整可能なボルスターを備える膝支持具
US20200085604A1 (en) Orthosis, In Particular Orthosis For Gonarthrosis
US20140142483A1 (en) Dynamic splints
JP2021504010A5 (ko)
US20210393430A1 (en) Knee Brace
CN112770685A (zh) 医疗定位装置
US7753863B2 (en) Non invasive external limb stabilizer
US1921987A (en) Surgical splint
US11752024B2 (en) Eccentric and polycentric articulated tensioning joint for orthopedic braces
US11612507B2 (en) Adjustable low-profile orthopedic hip brace
CN108712892B (zh) 用于矫形器的柔性支撑元件
US20220071792A1 (en) Joint for an orthoped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