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410A -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410A
KR20200095410A KR1020200010962A KR20200010962A KR20200095410A KR 20200095410 A KR20200095410 A KR 20200095410A KR 1020200010962 A KR1020200010962 A KR 1020200010962A KR 20200010962 A KR20200010962 A KR 20200010962A KR 20200095410 A KR20200095410 A KR 20200095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rganic
area
substitute currenc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시게타
Original Assignee
엔제루 프레잉구 카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제루 프레잉구 카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제루 프레잉구 카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5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triggering distinct operating modes or functions dependent on the strength of an energy or interrogation field in the proximity of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16Construction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housing, seats, ergonomic aspects
    • G07F17/322Casino tables, e.g. tables having integrated screens, chip det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1/00Coins; Emergency money; Beer or gambling coins or token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47Constructional details the record carrier being shaped as a coin or a gambling to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1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hindering electromagnetic reading or wri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6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48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non-monetary media of fixed value, e.g. casino chips of fixed valu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1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media of variable value, e.g. programmable cards, programmable tok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과제) 카지노나 그 밖의 유기용 대용 화폐를 사용하는 게임 시설에 있어서, 사용 상황의 부정이 의심되는 유기용 대용 화폐가 유기장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및 유기용 대용 화폐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 (21) 과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을 갖는 단일의 RFID 태그 (2) 가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부여되어,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에,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소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기입하는 기입 장치 (14) 와, 복수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 (1) 로부터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정보를 심사하는 관리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의 이력에 이상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GAME TOKEN COIN}
본 발명은, 카지노나 그 밖의 유기용 (遊技用) 대용 화폐를 사용하는 게임 시설에 있어서, 부정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유기장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카지노 등의 유기장에 있어서 실시되는 많은 테이블 게임 중에는 바카라나 블랙잭이 있다. 카지노에 있어서는, 이러한 게임에 사용하기 위해 유기용 대용 화폐가 사용된다.
부정한 유기용 대용 화폐의 사용은 카지노에서 일어나서는 안 된다. 카지노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위조품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카지노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에 RFID 태그를 붙여 유기용 대용 화폐의 진위를 판정하고, 위조품의 사용을 방지하는 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RFID 가 부착된 유기용 대용 화폐는 공지되어 있고 국제 출원 공개 제WO2008/120749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 RFID 태그에는, RFID 태그 그 자체의 제조 고유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영역 이외에, 유저가 필요한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 영역이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RFID 가 부착된 유기용 대용 화폐에서는,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가액을 나타내는 정보나 시리얼 넘버 등이 기입되어 있다.
종래 RFID 가 부착된 유기용 대용 화폐에서는, 유저에 의한 정보의 기입이 가능한 메모리 영역에 필요한 정보를 한번 기입한 후, 그 메모리 영역을 로크함으로써, 부정한 재기입을 방지한다는 운용이 실시되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에서는, RFID 의 판독에 의해, 메모리 영역에 기입된 정보를 파악하여 유기용 대용 화폐 그 자체의 진위를 판정하는 것은 가능하였다. 그러나, 카지노의 현장에서 사용되던 중 얻어지는 정보를 RFID 가 기억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진정한 유기용 대용 화폐이지만, 장기간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이나, 본래의 소유자와는 상이한 소유자에 의해 사용이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등, 사용 상황의 면에서 이상한 이력을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는, 그 존재를 RFID 의 판독에 의해 파악할 수 없어, 그와 같은 사용 이력이 수상한 유기용 대용 화폐가 카지노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유기용 대용 화폐의 내력 (소재에 관한 정보의 이력) 이 불명료한 점을 이용하여, 카지노의 유기용 대용 화폐가, 예를 들어 머니 론더링과 같은 범죄에 이용될 우려가 있어, 해결이 요구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RFID 태그에 정보를 나중에 추가로 기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사용 이력을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RFID 태그 자체가 유지해 둠으로써, 기입되어 있는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이상한 사용 이력을 갖는 부정한 유기용 대용 화폐를 발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과,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단일의 RFID 태그가 유기용 대용 화폐에 부여되어,
상기 RFID 태그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은, 고정 정보로서,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생산 정보, 상품 정보, 카지노 정보, 금액 정보, 시리얼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은, 변동 정보로서,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소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고정 정보로부터, 동일한 당해 RFID 태그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변동 정보를 추출 가능한 구성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기입하는 기입 장치와,
복수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상기 고정 정보를 일괄하여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각 고정 정보와 쌍을 이루는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심사하는 관리 제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은, 상기 기입 장치에 의해 기입된 모든 소재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소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의 이력에 이상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이상이 있으면 에러 시그널을 생성하고, 이상이라고 판정한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고정 정보를 특정 가능한 구성이다.
그리고 또한,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은,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와 함께, 상기 기입 장치가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에 대한 기입을 실시한 시간의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이고,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이상인지의 여부의 판정으로서, 전회의 기입으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사용되고 있지 않거나, 혹은 기입되어 있어야 할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것 중 어느 사상 (事象) 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는, 케이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입장 혹은 퇴장을 나타내는 정보, 혹은 백야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한, 전회의 기입으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사용되고 있지 않은 사상은,
1)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케이지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다음의 정보의 기입이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되어 있는 것,
2)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입장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다음의 정보의 기입이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되어 있는 것,
3)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퇴장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다음의 정보의 기입이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되어 있는 것
중 어느 상황이고,
상기한, 기입되어 있어야 할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사상은,
4) 유기장으로의 입장시에 있어서,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의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로서, 퇴장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것,
5) 케이지에서의 사용시에 있어서, 백야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것,
6) 유기장으로부터의 퇴장시에 있어서, 케이지 또는 백야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것
중 어느 상황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는,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를 소유하는 소유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상기 소유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사상으로서,
1)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최종의 소유자와는 상이한 인물이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를 유기장 내에서 환금, 또는 환전하거나, 혹은 유기장에서 퇴장하는 것,
2)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퇴장시의 소유자와는 상이한 인물이,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를 유기장으로 반입하는 것,
상기한 1) 또는 2) 중 어느 상황을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소유하는 소유자에 관한 정보는, 얼굴 인증 또는 ID 카드의 판독에 의해 특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는 추가로, 상기 특정한 유기 테이블의 칩 트레이의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베팅 에어리어의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혹은 지불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상기 유기 테이블의 칩 트레이의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베팅 에어리어의 장소, 혹은 지불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사상으로서,
1)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최종의 소유자와는 상이한 인물이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를 유기 테이블에서 사용하는 것,
2) 유기 테이블에서의 사용 기록이 없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케이지에서의 구입시와는 상이한 인물이, 케이지에서 환금하는 것,
3) 케이지 또는 백야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없는 유기용 대용 화폐가 유기장 내에서 사용되는 것,
4)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베팅 에어리어 또는 지불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소정 기간 이상 경과 후에, 케이지에서 환금 또는 유기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것,
상기한 1) 내지 4) 중 어느 상황을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RFID 태그가 갖는 정보는 암호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은, 기능적으로 데이터의 기입이 불가능한 구성, 또는 데이터의 기입을 할 수 없도록 로크한 구성이어도 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판독 장치는,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소재에 관한 정보를 일괄하여 판독하는 구성이고,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 복수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복수의 상기 고정 정보로부터, 동일한 당해 RFID 태그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파악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기용 대용 화폐는,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과,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단일의 RFID 태그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은, 고정 정보로서,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생산 정보, 상품 정보, 카지노 정보, 금액 정보, 시리얼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은, 변동 정보로서, 기입 장치에 의해 기입된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소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이고,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고정 정보로부터, 동일한 당해 RFID 태그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변동 정보를 추출 가능한 구성이다.
그리고 또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는, 판독 장치에 의해 복수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상기 고정 정보를 일괄하여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판독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가 갖는 RFID 태그의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데이터의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의 전체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장치 및 기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데이터의 기록 방법 (베팅 타이밍, 회수 타이밍, 지불 타이밍 전부에 있어서 변동 정보를 갱신하는 예) 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B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데이터의 기록 방법 (베팅 타이밍 및 회수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를 갱신하는 예) 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C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데이터의 기록 방법 (베팅 타이밍 및 지불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를 갱신하는 예) 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D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데이터의 기록 방법 (회수 타이밍 및 지불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를 갱신하는 예) 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E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데이터의 기록 방법 (베팅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를 갱신하는 예) 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F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데이터의 기록 방법 (회수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를 갱신하는 예) 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G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데이터의 기록 방법 (지불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를 갱신하는 예) 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설명한다. 도 1 은 동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는, 여러 가지 정보를 기억 가능한 RFID 태그 (2) 가 매립되어 있다. RFID 태그 (2) 는,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 (21) 과,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을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 (21) 에는, 고정 정보 (3) 로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사용되는 동안에 변경되지 않는 정보, 또는 변경이 없는 정보, 혹은 변경되어서는 안 되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정보 (3) 로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생산 정보, 상품 정보, 카지노 정보, 금액 정보, 시리얼 넘버 등을 기억하고 있다. 생산 정보에는,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를 제조한 일시나, 제조 기계 등, 상품 정보에는, 예를 들어 카지노의 VIP 에어리어용의 칩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나, 칩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롤링 칩이나 캐시 칩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 (21) 은, RFID 태그의 사양상, 기능적으로 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이어도 되고, 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필요한 정보를 기입한 후에, 데이터의 기입을 할 수 없도록 로크한 영역이어도 된다.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에는, 변동 정보 (4) 로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사용되는 동안에, 변화되어 가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변동 정보 (4) 로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시, 시간에 관한 정보 (221) 나, 장소, 이벤트에 관한 정보 (222) 나, 소유자에 관한 정보 (223) 등을 포함하는, 소재에 관한 정보 (220) 를 기억하고 있다.
고정 정보 (3), 변동 정보 (4) 는, 타인에 의한 정보의 부정한 판독이나 기입을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 고정 정보 (3), 변동 정보 (4) 는, 메타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도 2 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변동 정보 (4) 의 데이터의 기록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시, 시간 정보 (221), 장소, 이벤트 정보 (222), 소유자 정보 (223) 로 이루어지는 소재에 관한 정보 (220) 를 한 덩어리의 블록으로 하여, 당해 블록의 정보가 체인상으로 연결되어,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소재에 관한 정보 (220) 의 이력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기억된 변동 정보 (4) 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어, 이하와 같은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2019년 1월 28일 16시 2분에 A 씨가 케이지 (9) 에서 현금과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교환한다. 동일 16시 15분에 A 씨가 테이블 No.325 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사용하여 베팅을 실시한다. 동일 16시 43분에 B 씨가 테이블 No.325 에서 베팅에서 이긴 상환금으로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수취한다. 동일 17시 1분에 B 씨가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가지고 카지노에서 퇴장한다.
변동 정보 (4) 는, 도 2 와 같이 최신의 정보만을 기억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기입된 모든 소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복수의 소재에 관한 정보 중, 몇 개를 선택하여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몇 개를 선택하여 기억하는 경우, 모든 소재에 관한 정보 (220) 중 적어도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 (220) 를 포함한, 복수의 소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어느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변동 정보 (4) 로부터,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사용 또는 이동의 이력을 알 수 있다. 즉,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트레이서빌리티 정보가,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 (1) 그 자체에 기입되어 있어, 파악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동 시스템의 전체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유기용 대용 화폐 (1) 는 먼저 공장 (6) 에 있어서, 기입 장치 (14) 에 의해, 제조 완료 또는 공장 출하의 정보를 포함하는 변동 정보 (4) 가 소재에 관한 정보 (220) 로서 RFID 태그 (2) 의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에 기입된다.
공장 (6) 으로부터 출하된 유기용 대용 화폐 (1) 는 카지노의 백야드 (7) 에서 수용 처리가 실시된다. 백야드 (7) 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에 기억되어 있는 변동 정보 (4) 를 판독 장치 (13) 가 판독하고,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관리 제어 장치 (15) 는, 기입되어 있어야 할 정보로서, 공장 (6) 에서 기입된 것을 나타내는 소재에 관한 정보 (220) 가, 최신의 변동 정보 (4) 로서 기입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공장 (6) 에서의 기입 기록이 없으면, 부정의 의심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 에러 시그널을 생성한다. 이로써, 카지노측에서의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수취를 거부하거나, 공장측에 조사를 의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입 기록에 문제가 없으면, 기입 장치 (14) 에 의해, 백야드를 나타내는 소재에 관한 정보 (220) 가 RFID 태그 (2) 의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에 기입된다. 기입시에는, 공장을 나타내는 소재 정보에 추가하여 백야드를 나타내는 소재 정보를 기재해도 되고, 공장을 나타내는 소재 정보를 삭제하고, 백야드를 나타내는 소재 정보를 기재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백야드 (7) 에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이나 기입은, 유기용 대용 화폐의 통상적인 밸리데이션이나 액티베이션 작업과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백야드 (7) 에서 수용 검사가 완료된 유기용 대용 화폐 (1) 는, 카지노의 창고 (8) 또는 케이지 (9) 로 운반된다. 창고 (8) 또는 케이지 (9) 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에 기억되어 있는 변동 정보 (4) 를 판독 장치 (13) 가 판독하고,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관리 제어 장치 (15) 는, 기입되어 있어야 할 정보로서, 백야드 (7) 에서 기입된 것을 나타내는 소재에 관한 정보 (220) 가, 최신의 변동 정보 (4) 로서 기입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또 변동 정보 (4) 의 이력에 공장 (6) 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지를 함께 검사해도 된다. 관리 제어 장치 (15) 는, 전술한 백야드 (7) 에서의 검사와 동일하게, 소재 정보의 이력에 이상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독 결과에 문제가 없으면, 기입 장치 (14) 는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에 창고 (8) 또는 케이지 (9) 를 나타내는 소재에 관한 정보 (22) 를 기입한다.
플레이어는 케이지 (9) 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구입한다. 플레이어가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구입할 때에는, 케이지 (9) 에 있는 기입 장치 (14) 에 의해,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가 구입된 시간, 및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소유자가 카지노에서 고객으로 바뀐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변동 정보 (4) 로서 기입된다. 플레이어는, 얼굴 인증 기술이나 카지노의 멤버스 카드나 마이 넘버 카드 등의 ID 카드에 의해, 특정하여 기록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플레이어는 환금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사용하여, 유희 (遊戱) 테이블에서 베팅 에어리어 (11) 에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놓음으로써 베팅을 실시한다. 판독 장치 (13) 는, 베팅된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RFID 태그 (2) 로부터 일시, 시간 정보 (221) 나, 장소, 이벤트 정보 (222) 나, 소유자 정보 (223) 로 이루어지는, 소재에 관한 정보 (220) 를 판독하고, 관리 제어 장치 (15) 는 이상이 없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마지막에 기입되어 있는, 유희 테이블에서의 사용의 정보나 케이지에서의 환금의 정보의 일시로부터 일정 기간 이상 경과한 경우나,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기억되어 있는 소유자 정보 (223) 와, 얼굴 인증이나 ID 카드에 의해 특정된 소유자 정보 (223) 가 상이한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판독 결과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베팅된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해, 기입 장치 (14) 는,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에, 소재에 관한 정보 (220) 를 추가로 기입한다. 소재에 관한 정보 (220) 는, 일시, 시간 정보 (221) 나, 장소, 이벤트 정보 (222) 나, 소유자 정보 (223) 를 포함하고 있다. 테이블에서는, 예를 들어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놓인 플레이어 포지션 번호 및 플레이어의 정보를 포함하는 변동 정보 (4) 가 기입 장치 (14) 에 의해 기입된다. 플레이어의 정보는 ID 카드나 얼굴 인증에 의해 특정해도 된다. 통상적으로, 유기용 대용 화폐 (1) 는 복수 장 겹쳐져 베팅 에어리어 (11) 에 놓여지기 때문에, 겹쳐 쌓인 상태에서 일괄하여, 기입이 실시된다.
플레이어는, 카지노 플로어로부터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반출할 때에는, 게이트 (10) 에서 퇴장의 처리를 실시한다. 퇴장시에는 판독 장치 (14) 에 의해 소재에 관한 정보 (220) 가 판독되고, 관리 제어 장치 (15) 에 의해, 변동 정보 (4) 의 이상이 없는지가 판정된다. 또 게이트 (10) 에서, 기입 장치 (14) 는, 퇴장을 나타내는 장소, 이벤트 정보 (222) 와, 소유자 정보 (223) 를 포함하는 변동 정보 (4) 를 기입한다.
플레이어는, 카지노 플로어로의 입장시에, 이전에 반출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반입하는 경우에는, 판독 장치 (13) 에 의해 소재에 관한 정보가 판독되고,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변동 정보 (4) 에 이상이 없는지가 판정된다. 예를 들어, 카지노로부터 일단 반출된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하여, 카지노로부터의 퇴장시의 소유자와, 입장시의 소유자가 상이한 경우에는, 카지노 밖에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의 수수 행위가 있었던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관리 제어 장치 (15) 는, 판독 장치 (13) 의 판독 결과에 기초한 판정이 이상하였던 경우에, 케이지 (9) 또는 게이트 (10) 에 알람을 출력해도 된다.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소유자가 케이지 (9) 에서 환금을 실시할 때나, 게이트 (10) 로부터 퇴장할 때에, 관리 제어 장치 (15) 가 출력한 알람에 기초하여 환금을 거부하거나, 퇴장시에 개별의 체크를 실시할 수 있다. 또, 관리 제어 장치 (15) 는 판정 결과가 이상하였던 경우에 각 유희 테이블의 딜러에게 게임을 중단하는 경고를 보내거나, 피트에게 경고를 보내거나, 피트 매니저가 게임을 중단하거나 혹은 속행하는 등의 판단이나,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교환하는 등의 대처를 판단해도 된다. 혹은, 관리 제어 장치 (15) 는 카지노의 전체 관리 제어 장치 (18) 와 접속되어 있어, 전체 관리 제어 장치 (18) 에 경고를 보내는 구성이어도 된다.
관리 제어 장치 (15) 는 마찬가지로, 케이지에서 환금이 이루어질 때에, 판독 장치 (13) 에 의한 변동 정보 (4) 의 판독를 실시하여, 이상을 판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지막에 기입되어 있는, 유희 테이블에서의 사용의 정보나 케이지에서의 환금의 정보의 일시로부터 일정 기간 이상 경과한 경우나,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기억되어 있는 소유자 정보 (223) 와 상이한 인물이 환금하려고 하고 있는 경우 등에 이상을 판정해도 된다. 이상을 판정한 경우, 관리 제어 장치 (15) 는 경고를 출력하고, 이상이 판정된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환금을 거부해도 된다.
또 상기한 설명에서는, 판독 장치 (13) 에 의한 판독, 및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한 판정 후, 기입 장치 (14) 에 의한 기입을 실시하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판독과 기입을 동시에 실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응용의 실시예의 상세를 나타낸다.
공장 (6) 에서는, 생산 완료시나, 출하시에, RFID 태그 (2) 의 판독 및 또는 기입을 실시한다. 생산 정보나 상품 정보를 고정 정보 (3) 로서 기입하고, 필요에 따라 재기입을 할 수 없도록 로크함과 함께, 변동 정보 (4) 를 기입한다.
백야드 (7) 에서는, 공장으로부터 출하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수취하여, 사용 가능한 유기용 대용 화폐 (1) 로서 액티베이트할 때에, RFID 태그 (2) 의 판독 및 또는 기입을 실시한다.
창고 (8) 에서는, 창고 (8) 로부터 케이지 (9) 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케이지 (9) 로부터 창고 (8) 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이동시킬 때에, RFID 태그 (2) 의 판독 및 또는 기입을 실시한다. 혹은, 창고 (8) 에 보관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해, 일정 시간마다나 소정의 타이밍에서 RFID 태그 (2) 의 판독 및 또는 기입을 실시해도 된다.
케이지 (9) 에서는, 창고 (8) 로부터의 이동 또는 창고 (8) 로의 이동, 및 고객의 현금과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환금시에, RFID 태그 (2) 의 판독 및 또는 기입을 실시한다. 케이지 (9) 에 있어서 환금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환금을 나타내는 장소, 이벤트 정보 (222), 환금을 실시한 플레이어 정보를 소유자 정보 (223) 로서 변동 정보 (4) 를 기입한다. 소유자 정보 (223) 는, 플레이어의 카지노 ID 카드나, 얼굴 인증 시스템, 크레디트 카드 등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게이트 (10) 에서는, 플레이어가 입퇴장할 때에, RFID 태그 (2) 의 판독 및 또는 기입을 실시한다. 플레이어가 퇴장할 때에 카지노로부터 반출하는 모든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해, 반출을 나타내는 장소, 이벤트 정보 (222), 반출하는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소유자 정보 (223) 를 변동 정보 (4) 로서 기입하여 등록을 실시하고, 입장시에도 동일하게 반입을 나타내는 장소, 이벤트 정보 (222), 반입하는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소유자 정보 (223) 를 변동 정보 (4) 로서 기입하여 카지노로 반입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해 등록을 실시한다.
베팅 에어리어 (11) 에서는 플레이어가 베팅에 참가하기 위해 베팅 에어리어 (11) 에 놓은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해 RFID 태그 (2) 의 판독 및 또는 기입을 실시한다. 또, 플레이어에 대한 상환금으로서 딜러가 베팅 에어리어 (11) 에 놓은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해, RFID 태그 (2) 의 판독 및 또는 기입을 실시한다.
칩 트레이 (12) 에서는, 칩 트레이로 회수된 유기용 대용 화폐 (1), 보관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해, RFID 태그 (2) 의 판독 및 또는 기입을 실시한다.
유희 테이블은 추가로 지불 에어리어를 구비하고, 플레이어에 대한 상환금으로서 딜러가 베팅 에어리어 (11) 에 놓은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해, RFID 태그 (2) 의 판독 및 또는 기입을 실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유기 테이블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베팅된 타이밍 (베팅 타이밍), 딜러에 의한 회수된 타이밍 (회수 타이밍), 딜러로부터 플레이어에 대한 지불의 타이밍 (지불 타이밍) 에서 변동 정보 (4) (즉, 소재에 관한 정보 (220)) 를 갱신할 수 있다. 이 베팅 타이밍, 회수 타이밍, 지불 타이밍 전부에서 변동 정보 (4) 를 갱신해도 되고, 그들의 일부의 타이밍에서 변동 정보 (4) 를 갱신해도 된다.
도 7A 는, 베팅 타이밍, 회수 타이밍, 지불 타이밍 전부에서 변동 정보 (4) 를 갱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타이밍에서 변동 정보 (4) 의 갱신을 실시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2019년 1월 28일 16시 27분에 C 씨가 케이지 (9) 에서 현금과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교환한다 (갱신 U701). 동일 16시 35분에 C 씨가 테이블 No.321 의 플레이어 포지션 No.1 의 자리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베팅한다 (갱신 U702). C 씨는 게임에 져, 동일 16시 38분에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칩 트레이 (12) 로 회수된다 (갱신 U703). 그 후, 동 테이블의 플레이어 포지션 No.3 에서 D 씨가 게임에 이겨, 동일 16시 52분에 딜러가 D 씨에게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지불한다 (갱신 U704).
이 예에 의하면, 먼저, 변동 정보 (4) 중 소유자의 정보 (223) 로서, 딜러, 어느 것의 플레이어의 정보를 기입할 수 있기 때문에, 소유자의 이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본 예에 의하면, 항상, 실제의 소유자와 소유자의 정보가 일치한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베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소유자의 정보 (223) 는, 베팅한 플레이어인 채로 해도 되고, 플레이어도 딜러도 아니라 베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로 해도 된다.
도 7B 는, 베팅 타이밍 및 회수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 (4) 를 갱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타이밍에서 변동 정보 (4) 의 갱신을 실시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2019년 1월 28일 16시 28분에 E 씨가 케이지 (9) 에서 현금과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교환한다 (갱신 U705). 동일 16시 36분에 E 씨가 테이블 No.322 의 플레이어 포지션 No.2 의 자리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베팅한다 (갱신 U706). E 씨는 게임에 져, 동일 16시 39분에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칩 트레이 (12) 로 회수된다 (갱신 U707).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게임에 이긴 F 씨에게 칩 트레이 (12) 로부터 지불되고, F 씨가 동일 16시 53분에 테이블 No.322 의 플레이어 포지션 No.4 의 자리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베팅한다 (갱신 U708).
이 예에 의하면, 칩 트레이 (12) 에 있는 (즉, 카지노가 소유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하여, 어느 플레이어로부터 회수했는지를 알 수 있다. 또,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하여, 카지노가 플레이어로부터 확실히 회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7C 는, 베팅 타이밍 및 지불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 (4) 를 갱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타이밍에서 변동 정보 (4) 의 갱신을 실시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2019년 1월 28일 16시 29분에 G 씨가 케이지 (9) 에서 현금과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교환한다 (갱신 U709). 동일 16시 37분에 G 씨가 테이블 No.323 의 플레이어 포지션 No.3 의 자리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베팅한다 (갱신 U710). G 씨가 게임에 져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칩 트레이 (12) 로 회수된 후의 동일 16시 53분에 딜러가 동 테이블의 플레이어 포지션 No.5 의 자리에서 게임에 이긴 H 씨에게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지불한다 (갱신 U711).
이 예에 의하면, 각 플레이어의 베팅 및 각 플레이어에 대한 지불 (상환) 을 파악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G 씨의 베팅 후에, H 씨에 대한 지불을 거치지 않고 H 씨가 베팅한 경우에는, G 씨로부터 H 씨에게 유기용 대용 화폐가 직접 건네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7D 는, 회수 타이밍 및 지불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 (4) 를 갱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타이밍에서 변동 정보 (4) 의 갱신을 실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2019년 1월 28일 16시 29분에 I 씨가 케이지 (9) 에서 현금과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교환한다 (갱신 U712). I 씨가 테이블 No.324 의 플레이어 포지션 No.4 의 자리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베팅한 결과, I 씨는 게임에 져, 동일 16시 40분에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칩 트레이 (12) 로 회수된다 (갱신 U713). 동일 16시 54분에 딜러가 동 테이블의 플레이어 포지션 No.6 의 자리에서 게임에 이긴 J 씨에게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지불한다 (갱신 U714).
이 예에 의해서도, 변동 정보 (4) 중 소유자의 정보 (223) 로서, 딜러, 어느 플레이어의 정보를 기입할 수 있기 때문에, 소유자의 이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본 예에 의하면, 항상, 실제의 소유자와 소유자의 정보가 일치한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7E 는, 베팅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 (4) 를 갱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베팅 타이밍에서 변동 정보 (4) 의 갱신을 실시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2019년 1월 28일 16시 30분에 K 씨가 케이지 (9) 에서 현금과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교환한다 (갱신 U715). 동일 16시 38분에 K 씨가 테이블 No.325 의 플레이어 포지션 No.5 의 자리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베팅한다 (갱신 U716). K 씨는 게임에 져,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칩 트레이 (12) 로 회수된 후에, 동 테이블의 플레이어 포지션 No.1 의 L 씨가 게임에 이겨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지불을 받고, 그 후, L 씨가 동 테이블의 동 플레이어 포지션에서 동일 16시 50분에 그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베팅한다 (갱신 U717). L 씨는, 그 게임에 이겼기 때문에,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자기 자리에 수납한 후, 동일 16시 59분에 동 테이블의 동 플레이어 포지션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베팅한다 (갱신 U718).
이 예에 의하면, 칩 트레이 (12) 를 통해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소유하는 플레이어가 어떻게 변천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확실히 베팅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머니 론더링에 이용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F 는, 회수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 (4) 를 갱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회수 타이밍에서 변동 정보 (4) 의 갱신을 실시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2019년 1월 28일 16시 28분에 M 씨가 케이지 (9) 에서 현금과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교환한다 (갱신 U719). M 씨가 테이블 No.326 의 플레이어 포지션 No.6 의 자리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베팅하고 게임에 져, 동일 16시 39분에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칩 트레이 (12) 로 회수된다 (갱신 U720). 그 후, 동 테이블의 플레이어 포지션 No.2 의 자리에서 N 씨가 게임에 이겨,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지불을 받고, N 씨는 그 후의 게임에서 동 테이블의 동 플레이어 포지션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베팅하고, 게임에 져, 동일 16시 59분에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칩 트레이 (12) 로 회수된다 (갱신 U721).
이 예에 의하면,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어느 유기 테이블에서 언제 사용되었는지를 알 수 있고, 부정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유기 테이블의 해당하는 시간대의 비디오를 검증할 수 있어, 머니 론더링에 이용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G 는, 지불 타이밍에 있어서 변동 정보 (4) 를 갱신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지불 타이밍에서 변동 정보 (4) 의 갱신을 실시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2019년 1월 28일 16시 29분에 O 씨가 테이블 No.327 의 플레이어 포지션 No.7 의 자리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지불을 받는다 (갱신 U722). 그 후, O 씨가 동 테이블에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베팅하고 게임에 짐으로써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칩 트레이 (12) 로 회수되고, 그 후, P 씨가 동 테이블의 플레이어 포지션 No.3 에서 게임에 이겨, 동일 16시 43분에 딜러가 P 씨에게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지불한다 (갱신 U723).
이 예에 의하면, 플레이어가 소유하고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하여, 어느 유기 테이블에 있어서 지불을 받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칩 트레이로부터 훔친 것이 아닌 것을 알 수 있어, 머니 론더링에 이용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관리 시스템에서는, 유기 테이블에서는, 베팅 타이밍, 회수 타이밍, 및 지불 타이밍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이밍에서 변동 정보 (4) (즉, 소재에 관한 정보 (220)) 가 갱신된다.
또한, 상기한 예에 있어서, 회수 타이밍에 있어서의 변동 정보 (4) 의 갱신은, 베팅 에어리어에서 실시해도 되고, 칩 트레이에서 실시해도 된다. 바카라 게임의 오퍼레이션에서는, 진 플레이어의 베팅 칩을 먼저 회수한 후에, 이긴 플레이어에 대한 지불을 실시하기 때문에, 이긴 플레이어의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해서는, 베팅 에어리어에서 변동 정보 (4) 를 갱신하는 시간을 비교적 길게 확보할 수 있어, 베팅 에어리어에 있어서도 비교적 확실하게 변동 정보 (4) 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으로, 회수해야 할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해서는, 회수될 것이 결정되고 나서 (게임 결과가 확정되고 나서) 회수될 때까지 베팅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시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베팅 에어리어에서 변동 정보 (4) 를 갱신하려고 하면, 갱신이 늦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회수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대해서는, 회수처인 칩 트레이에서 변동 정보 (4) 를 재기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관리 제어 장치 (15) 는, 각 장소에서의 판독 장치 (13) 의 판독 결과로부터 얻은 소재에 관한 정보 (220) 에 이상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상인지의 여부의 판정으로는, 전회의 기입으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사용되고 있지 않거나, 혹은 기입되어 있어야 할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것 중, 어느 사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전회의 기입으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사용되고 있지 않은 사상은,
1)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케이지 (9) 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다음의 정보의 기입이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되어 있는 것,
2)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게이트 (10) 에서의 입장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다음의 정보의 기입이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되어 있는 것,
3)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게이트 (10) 에서의 퇴장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다음의 정보의 기입이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되어 있는 것
중, 어느 상황이다.
기입되어 있어야 할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사상은,
4) 유기장으로의 입장시에 있어서,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의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로서, 게이트 (10) 에서의 퇴장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것,
5) 케이지 (9) 에서의 사용시에 있어서, 백야드 (7) 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것,
6) 유기장으로부터의 퇴장시에 있어서, 케이지 (9) 또는 백야드 (7) 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것
중 어느 상황이다.
관리 제어 장치 (15) 는, 판독 장치 (13) 로부터 얻은 소유자에 관한 정보 (223) 에 기초하여,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사상으로서,
1)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에 기억되어 있는 최종의 소유자와는 상이한 인물이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유기장 내에서 환금, 또는 환전하거나, 혹은 유기장에서 퇴장하는 것,
2)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에 기억되어 있는 퇴장시의 소유자와는 상이한 인물이,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를 유기장으로 반입하는 것
중, 어느 상황을 판정할 수 있다.
관리 제어 장치 (15) 는, 판독 장치 (13) 로부터 얻은 베팅 에어리어 (11) 의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칩 트레이 (12) 의 장소, 혹은 지불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사상으로서,
1)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에 기억되어 있는 최종의 소유자와는 상이한 인물이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유기 테이블에서 사용하는 것,
2) 유기 테이블에서의 사용 기록이 없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를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 (1) 의 케이지 (9) 에서의 구입시와는 상이한 인물이, 케이지 (9) 에서 환금하는 것,
3) 케이지 (9) 또는 백야드 (7) 를 나타내는 정보가 없는 유기용 대용 화폐 (1) 가 유기장 내에서 사용되는 것,
4)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베팅 에어리어 (11) 또는 지불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소정 기간 이상 경과 후에, 케이지 (9) 에서 환금 또는 유기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것,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상황을 판정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관리 시스템은 추가로, 유기용 대용 화폐 (1) 이외에, 동일한 고정 정보 (3), 변동 정보 (4) 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17) 를 구비하고 있다. 관리 제어 장치 (15) 는 판독 장치 (13) 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17) 에 정보를 기록함과 함께, 유기용 대용 화폐 (1) 에 기억되어 있는 고정 정보 (3) 와 변동 정보 (4) 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의 대조를 실시하여, 이상을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RFID 태그 (2) 에 있어서,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 (21) 의, 기능적으로 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은 TID 여도 된다.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 (21) 의 필요한 정보를 기입한 후에, 데이터의 기입을 할 수 없도록 로크한 영역은 EPC 또는 유저 영역이어도 된다.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 은 EPC 또는 유저 영역이어도 된다.
판독 장치 (13) 와 기입 장치 (14) 는, 장소에 따라 그 형태를 바꾸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공장 (6) 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대 (臺) 위의 것이고, 게이트 (10) 에서는 상자상이고, 베팅 에어리어 (11) 나 칩 트레이 (12) 에서는 베팅 에어리어 (11) 나 칩 트레이 (12) 그 자체가 판독 장치 (13) 와 기입 장치 (14) 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유기용 대용 화폐 (1) 는, 그대로 겹쳐 쌓여 있어도 되고, 칩 케이스 등에 수용된 상태에서 판독 기입이 실시되어도 된다. 또, 판독 장치 (13) 와 기입 장치 (14) 가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에 RFID 태그가 1 개 있고, 당해 단일의 RFID 태그가, 데이터에 기입이 불가능한 영역과,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에 대하여, 유기용 대용 화폐에 RFID 태그를 2 개 넣고, 일방의 RFID 태그는 고정 정보를 기억한 다음 데이터의 기입을 할 수 없도록 로크하고, 다른 일방의 RFID 태그는 변동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하도록 해 둔다고 하는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복수의 유기용 대용 화폐를 일괄 판독한 경우에,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정보 (3) 의 정보군과 변동 정보 (4) 의 정보군이 따로따로 판독되기 때문에, 특정한 유기용 대용 화폐의 고정 정보와 변동 정보의 조합을 결정할 수 없어, 변동 정보에 이상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특정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반해, RFID 태그가 1 개인 경우에는,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기용 대용 화폐를 일괄하여 판독한 경우에도 판독 장치가 판독한 고정 정보와 변동 정보의 상호의 대응 관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의 RFID 태그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보다 좋다고 생각된다.
또 일반적으로 RFID 태그는, 그 직경이 클수록 판독 정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유기용 대용 화폐에 RFID 태그를 넣는 경우에는, RFID 태그는, 적어도 유기용 대용 화폐의 반경 이상의 직경을 갖는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한 바, 유기용 대용 화폐에 RFID 태그를 2 개 넣음으로써, 개개의 RFID 태그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 RFID 태그를 2 개 넣으면, 판독하는 RFID 태그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복수의 유기용 대용 화폐를 판독할 때에는, 판독 속도의 저하로도 이어진다.
이상의 점에서, 단일의 RFID 태그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1 : 유기용 대용 화폐
2 : RFID 태그
3 : 고정 정보
4 : 변동 정보
5 : 블록 체인 정보
6 : 공장
7 : 백야드
8 : 창고
9 : 케이지
10 : 게이트
11 : 베팅 에어리어
12 : 칩 트레이
13 : 판독 장치
14 : 기입 장치
15 : 관리 제어 장치
16 : RFID 안테나
17 : 데이터베이스
21 :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
22 :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
220 : 소재에 관한 정보
221 : 일시, 시간 정보
222 : 장소, 이벤트 정보
223 : 소유자 정보

Claims (15)

  1.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과,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단일의 RFID 태그가 유기용 대용 화폐에 부여되어,
    상기 RFID 태그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은, 고정 정보로서,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생산 정보, 상품 정보, 카지노 정보, 금액 정보, 시리얼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은, 변동 정보로서,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소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고정 정보로부터, 동일한 당해 RFID 태그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변동 정보를 추출 가능한 구성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기입하는 기입 장치와,
    복수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상기 고정 정보를 일괄하여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각 고정 정보와 쌍을 이루는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심사하는 관리 제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은, 상기 기입 장치에 의해 기입된 모든 소재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소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의 이력에 이상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이상이 있으면 에러 시그널을 생성하고, 이상이라고 판정한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고정 정보를 특정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은,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와 함께, 상기 기입 장치가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에 대한 기입을 실시한 시간의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이고,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이상인지의 여부의 판정으로서, 전회의 기입으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사용되고 있지 않거나, 혹은 기입되어 있어야 할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것 중, 어느 사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는, 케이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입장 혹은 퇴장을 나타내는 정보, 혹은 백야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한, 전회의 기입으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사용되고 있지 않은 사상은,
    1)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케이지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다음의 정보의 기입이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되어 있는 것,
    2)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입장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다음의 정보의 기입이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되어 있는 것,
    3)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퇴장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다음의 정보의 기입이 소정 시간 이상 경과되어 있는 것
    중 어느 상황이고,
    상기한, 기입되어 있어야 할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사상은,
    4) 유기장으로의 입장시에 있어서,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의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로서, 퇴장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것,
    5) 케이지에서의 사용시에 있어서, 백야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것,
    6) 유기장으로부터의 퇴장시에 있어서, 케이지 또는 백야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것
    중 어느 상황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는,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를 소유하는 소유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상기 소유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사상으로서,
    1)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최종의 소유자와는 상이한 인물이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를 유기장 내에서 환금, 또는 환전하거나, 혹은 유기장에서 퇴장하는 것,
    2)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퇴장시의 소유자와는 상이한 인물이,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를 유기장으로 반입하는 것,
    상기한 1) 또는 2) 중 어느 상황을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를 소유하는 소유자에 관한 정보는, 얼굴 인증 또는 ID 카드의 판독에 의해 특정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는 추가로, 특정한 유기 테이블의 칩 트레이의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베팅 에어리어의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혹은 지불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구비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로부터 얻은 상기 유기 테이블의 칩 트레이의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베팅 에어리어의 장소, 혹은 지불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사상으로서,
    1)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최종의 소유자와는 상이한 인물이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를 유기 테이블에서 사용하는 것,
    2) 유기 테이블에서의 사용 기록이 없는 유기용 대용 화폐를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케이지에서의 구입시와는 상이한 인물이, 케이지에서 환금하는 것,
    3) 케이지 또는 백야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없는 유기용 대용 화폐가 유기장 내에서 사용되는 것,
    4) 최신의 소재에 관한 정보가 베팅 에어리어 또는 지불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소정 기간 이상 경과 후에, 케이지에서 환금 또는 유기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것,
    상기한 1) 내지 4) 중 어느 상황을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가 갖는 정보는 암호화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은, 기능적으로 데이터의 기입이 불가능한 구성, 또는 데이터의 기입을 할 수 없도록 로크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장치는,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소재에 관한 정보를 일괄하여 판독하는 구성이고,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 복수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복수의 상기 고정 정보로부터, 동일한 당해 RFID 태그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파악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기용 대용 화폐.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기용 대용 화폐의 판독 장치.
  14.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과,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단일의 RFID 태그를 구비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은, 고정 정보로서,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생산 정보, 상품 정보, 카지노 정보, 금액 정보, 시리얼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은, 변동 정보로서, 기입 장치에 의해 기입된 당해 유기용 대용 화폐의 소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이고,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고정 정보로부터, 동일한 당해 RFID 태그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변동 정보를 추출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는, 판독 장치에 의해 복수의 상기 유기용 대용 화폐의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불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상기 고정 정보를 일괄하여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한 영역에 기억된 상기 소재에 관한 정보를 판독 가능한 구성인, 유기용 대용 화폐.
KR1020200010962A 2019-01-31 2020-01-30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KR20200095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28885 2019-01-31
JPJP-P-2019-028885 2019-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410A true KR20200095410A (ko) 2020-08-10

Family

ID=6941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962A KR20200095410A (ko) 2019-01-31 2020-01-30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10885416B2 (ko)
EP (2) EP3690835A1 (ko)
JP (1) JP2020126628A (ko)
KR (1) KR20200095410A (ko)
CN (2) CN111507835A (ko)
AU (1) AU2020200635A1 (ko)
PH (1) PH12020000037A1 (ko)
SG (1) SG10202000857PA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5742A (en) 1995-09-20 1998-04-07 Chip Track International Gaming table tracking system and method
WO1999025439A1 (en) 1997-11-14 1999-05-27 John French Improved gaming tabl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7267614B1 (en) 2000-05-10 2007-09-11 Walker Digital, Llc Gaming token having a variable value
US8645685B2 (en) * 2002-02-27 2014-02-04 Igt Token authentication
US7938722B2 (en) 2005-09-12 2011-05-10 Igt Enhanced gaming chips and table game security
US8608548B2 (en) 2002-06-12 2013-12-17 Igt Intelligent wagering token and wagering token tracking techniques
JP4178285B2 (ja) * 2002-08-09 2008-11-12 豊丸産業株式会社 遊技機
US7597250B2 (en) * 2003-11-17 2009-10-06 Dpd Patent Trust Ltd. RFID reader with multiple interfaces
US20090293112A1 (en) * 2004-12-03 2009-11-26 Stephen James Moore On-line generation and authentication of items
GB0503972D0 (en) * 2005-02-25 2005-04-06 Firstondemand Ltd Identification systems
JP2007050046A (ja) * 2005-08-16 2007-03-01 Samii Kk 遊技管理システム、遊技集計管理装置、計数機及び交換率管理方法
JP2007325869A (ja) * 2006-06-09 2007-12-20 Kita Denshi Corp 遊技用管理装置及び遊技場システム
JP2008246103A (ja) 2007-03-30 2008-10-16 Angel Shoji Kk Rfidを内包した遊戯用代用貨幣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49247A1 (en) 2007-10-17 2009-06-11 Touch Technologies, Inc. Gambling team or group affiliation detection utilizin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hips or other rfid items
AU2009346872A1 (en) * 2009-05-29 2011-12-22 Aruze Gaming America, Inc. Game system
JP5743144B2 (ja) * 2011-05-02 2015-07-0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Rfidタグを備えた複数のチップからデータを読み取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12619118A (zh) * 2015-08-03 2021-04-09 天使游戏纸牌股份有限公司 游艺场的作弊检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34938A1 (en) 2021-02-04
US20220309305A1 (en) 2022-09-29
CN114613082A (zh) 2022-06-10
US20240086672A1 (en) 2024-03-14
PH12020000037A1 (en) 2020-10-19
US20200265281A1 (en) 2020-08-20
AU2020200635A1 (en) 2020-08-20
EP3690835A1 (en) 2020-08-05
EP4220592A1 (en) 2023-08-02
US11861436B2 (en) 2024-01-02
SG10202000857PA (en) 2020-08-28
CN111507835A (zh) 2020-08-07
JP2020126628A (ja) 2020-08-20
US11392812B2 (en) 2022-07-19
US10885416B2 (en)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25391A (ja) 総合金銭管理システム
KR20200133675A (ko)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AU2021254514B2 (en) Casino system
KR20240036718A (ko) 관리 시스템
KR20230044193A (ko) 카지노 시스템, 카지노 용품, 및 카지노 용품 제공 방법
KR101399068B1 (ko) 카지노칩 최종이력 관리를 통한 부정행위 방지 시스템
JP7463475B2 (ja) カジノ用品の管理システム
KR20200095410A (ko) 유기용 대용 화폐의 관리 시스템
NZ761258A (en) Management system for game token coin
KR20230135173A (ko) 케이지 시스템 및 칩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