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282A -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282A
KR20200095282A KR1020190013176A KR20190013176A KR20200095282A KR 20200095282 A KR20200095282 A KR 20200095282A KR 1020190013176 A KR1020190013176 A KR 1020190013176A KR 20190013176 A KR20190013176 A KR 20190013176A KR 20200095282 A KR20200095282 A KR 20200095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view
design
reference poi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
Priority to KR102019001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5282A/ko
Publication of KR20200095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06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 design-rule based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얼리 등의 3차원 디자인의 모방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모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은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제1 이미지 파일이 입력되는 단계와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기준점을 산출하는 단계와 기준점을 기반으로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육면도를 도출하는 단계와 육면도를 하나의 제2 이미지 파일로 구성하는 단계와 제2 이미지 파일로부터 특징부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특징부와 비교 판단하여 모방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및 시스템 {A method of verifying a design imitation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3차원 디자인의 모방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얼리 등의 3차원 디자인이 창작성이 있는 것인지 모방한 것인지 여부에 대한 검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패션 업계에서 유통되는 상품들은 시중의 트렌드를 따라 디자인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디자인간 유사성이 높은 경우가 많고 모방이 용이하다. 특히 하나의 디자인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 그와 유사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모방 상품들이 시중에 대거 등장하여 창작자가 자신의 창작물에 대한 가치를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주얼리 등 보석류의 디자인은 평면적이지 않고 3차원의 입체적인 특징을 갖는다. 종래의 3차원 이미지 파일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기술은 대중적으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분야에서만 특색 있는 관점(예를 들어, 설계 도면의 유사도 검사, 부품의 유사도 측정 등)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현재 이용되고 있는 3차원 디자인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 대상인 3차원 이미지 파일 B1 및 B2에 대해서 각 파일간 이미지 복셀(voxel)을 거칠게(즉, 대략적으로) 비교한다. 즉, 3차원 이미지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 비교 판단하여 유사성이 있는 부분을 도출한다 (S1).
복셀이라는 용어는 체적 요소로서 3차원 공간에서 정규 격자 단위의 값을 나타내며, 부피(volume)와 픽셀(pixel)을 조합한 혼성어이다. 즉, 복셀은 3차원 공간의 한 점을 정의한 일단의 그래픽 정보를 의미한다.
이후 도출된 부분에 대해서 복셀에 대한 세밀한 판단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3차원 이미지간 차이에 대한 세밀 이미지를 도출하고, 각 값에 RBG 값을 할당한다 (S2).
다음으로, 복셀간 차이의 색을 결정하고(S3), 복셀 비교 결과를 도출한다 (S4).
이러한, 종래의 3차원 디자인 파일 간 유사도를 측정하는 기술은 각 데이터의 내용을 텍스트 내지 산출값 정보로 도출하고 해당 텍스트 내지 산출값 간의 유사도를 기준으로 하거나 매우 복잡한 이미지 생성 및 비교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연산의 복잡도가 높은데다가 정확한 유사도 측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3차원 이미지 파일의 유사도를 측정하기 어려운 이유는, 2차원 이미지는 크기의 조절, 회전 등 조작 만으로 형상의 유사도가 측정되나, 3차원 이미지는 3축의 회전하는 기준점을 정의하기 어렵고 3차원 이미지의 모든 측면을 대응하도록 비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2차원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 측정 및 검사는 이미지 검색이라는 종래 서비스에서 나타나는 정도로 많은 부분이 개발되고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3차원 디자인에 대한 유사도 측정에 대한 연구개발 실적은 매우 희소하고 특정한 분야에 한정된 이용이 가능한 수준이다.
(1) 주얼리디자인 비교 분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 (2011) - 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 귀금속 보석 디자인에서 디자인 비교 분석을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 (2013) - 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위 논문들은 주얼리 산업분야에서 형태를 활용한 합리적 디자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 체계적인 형태 위주의 속성 분류 및 형태 비교를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해당 논문들은 합리적인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비교 분석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된 형태 분석 방법을 주얼리 디자인에 적합하게 설계하여 분류체계를 정립하고, 디자인의 외형적 특성인 형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형태 조합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입체 스캐너를 사용하여 주얼리 디자인의 디지털 자료를 생성하는 방법과 모델을 제시하며, 주얼리 디자인 비교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기존 형태와의 유사 관계를 전산 프로그램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위 논문은 새로운 주얼리 디자인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을 뿐, 창작된 디자인에 대한 유사성 검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본원 발명에서 제안하는 육면도에서 특징적인 부분을 추출하여 비교하는 방법과는 전혀 다르다.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디자인의 창작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자인 또는 해당 디자인을 적용한 제품이 모방 디자인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서 주얼리 등의 3차원 디자인이 창작성이 있는 것인지 모방한 것인지 여부에 대한 검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모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은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제1 이미지 파일이 입력되는 단계와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기준점을 산출하는 단계와 기준점을 기반으로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육면도를 도출하는 단계와 육면도를 하나의 제2 이미지 파일로 구성하는 단계와 제2 이미지 파일로부터 특징부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특징부와 비교 판단하여 모방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육면도는 (1) 정면도, (2) 배면도, (3) 좌측면도, (4) 우측면도, (5) 평면도 및 (6) 저면도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된 육면도 형태의 제1 이미지 파일이 이와 같은 순서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이미지 파일의 정면도에서 기준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준점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육면도를 이와 같은 순서로 재구성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파일은 3차원 이미지 파일 또는 2차원 이미지 파일이되, 육면도 형태의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는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된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 파일 및 시중에 유통 중인 주얼리 제품에 대한 이미지 파일이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모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은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제1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은 이미지 파일 입력부와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기준점을 산출하는 기준점 추출부와 기준점을 기반으로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육면도를 도출하고 육면도를 하나의 제2 이미지 파일로 구성하는 이미지 가공부와 제2 이미지 파일로부터 특징부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특징부와 비교 판단하여 모방 여부를 검증하는 특징부 추출 및 비교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육면도는 (1) 정면도, (2) 배면도, (3) 좌측면도, (4) 우측면도, (5) 평면도 및 (6) 저면도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 파일은 3차원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제1 이미지 파일은 2차원 이미지 파일이되, 육면도 형태의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만약, 입력된 육면도 형태의 제1 이미지 파일이 이와 같은 순서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이미지 파일의 정면도에서 기준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준점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육면도를 이와 같은 순서로 재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는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된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 파일 및 시중에 유통 중인 주얼리 제품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얼리 디자인에 창작성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이를 통해 창작성 있는 제품이 정당한 창작자로부터 구매되도록 관리하여 소비자로부터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투명한 가치 분배를 통해 공정한 거래 문화를 시장에 이식할 수 있으며, 정당한 창작자에게 수익 분배가 이뤄질 수 있도록 모방 제품의 거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창작성 있는 제품이 시장에서 모방 제품에 노출되어 저가 경쟁에 휘말리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고,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현재 이용되고 있는 3차원 디자인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3차원 디자인 이미지로부터 디자인의 모방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육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2차원 디자인 이미지로부터 디자인의 모방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과 같은 형태의 육면도가 아닌 임의의 형식으로 작성된 육면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서 주얼리 등의 3차원 디자인이 창작성이 있는 것인지 모방한 것인지 여부에 대한 검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부분, 장치 및/또는 구성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부분, 장치 및/또는 구성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또는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 및/또는 기호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주얼리"라는 용어는 보석, 귀금속 또는 보석이나 귀금속은 아니나 이와 유사한 재질 및/또는 형태의 제품을 이용하여 만든 각종 장신구 등을 의미한다. 또한, 주얼리라는 용어는 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벨트, 팬던트 등 패션 소품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3차원 디자인 이미지로부터 디자인의 모방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을 통해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입력 받고, 3차원 이미지 파일로부터 기준점을 찾는다 (S2010).
S2010 단계에서, 기준점은 주얼리에 보석 등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보석을 기준점으로 삼는다. 예를 들어, 보석이 한 개 사용된 경우에는 해당 보석을 기준점으로 사용하며, 여러 개의 보석이 사용된 경우에는 디자인의 주된 보석을 기준점으로 삼을 수 있다. 만약, 여러 보석의 주종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해당 주얼리의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삼을 수 있다.
S2010 단계에서 도출한 기준점을 기반으로 3차원 이미지에서 육면도를 산출한다. 이때, 육면도는 모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주얼리에 대한 것으로서, (1) 정면도, (2) 배면도, (3) 좌측면도, (4) 우측면도, (5) 평면도 및 (6) 저면도의 순서로 산출된다. 육면도의 형상은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육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주얼리의 일례로서 반지의 형상에 대한 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반지는 여러 개의 보석이 사용되는데, 반지의 가운데에 가장 큰 주된 보석이 배치되고, 그 주위를 대칭 형태로 종된 작은 보석들이 배치된 디자인을 갖는다. 따라서, 도 3에서는 반지의 주된 보석(즉, 스톤) 부분을 기준으로 육면도가 산출된다. 즉, 주된 보석(즉, 기준점)을 정가운데로 (a) 정면도가 도출되고, 이를 기준으로 (b) 배면도, (c) 좌측면도, (d) 우측면도, (e) 평면도, (f) 저면도가 도출된다.
팬던트, 귀걸이나 고정된 형태를 갖는 팔찌 등은 반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육면도를 도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도 3과 같이 산출된 육면도를 한 개의 이미지로 만든다. 즉,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를 순서대로 연결하여 붙이되, 마지막으로 평면도와 저면도를 연결하여 붙인다. 이렇게 하면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가 연결되어 형성된 1개의 긴 띠 형상의 이미지와 평면도, 저면도인 2개의 원형 형상의 이미지 파일로 가공 및 생성된다 (S2030).
이러한 이미지 파일을 확정한 다음 다른 디자인과의 유사도 비교는 하나의 이미지 상에서 특징부끼리 비교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형태의 육면도의 경우 특징부는 반지에 대한 띠 형상부분과 원형 형상부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도출된 띠의 형상 이미지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띠의 형상 이미지를 비교하여 모방 여부를 판단하고, 도 3의 원형 이미지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원형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모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40, S2050).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만약, 반지의 스톤 부분이 정가운데에 오지 않는 정면도일 경우에는 띠 이미지를 비교 대상에 맞게 간격을 이동/조절 시킴으로써 비교 대상과의 비교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2차원 디자인 이미지로부터 디자인의 모방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방법의 경우, 주얼리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파일이 있는 경우에 해당 디자인의 모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3차원 이미지 파일이 없더라도 이차원 이미지 파일이 육면도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본원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자인 검증 시스템에서 모방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에 3차원 이미지 파일이 아닌 2차원의 이미지 파일이 육면도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식의 육면도가 구비된 형태의 이미지 파일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010).
만약, 입력된 육면도 이미지가 도 3과 같은 형태가 아닌 경우에는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에서 정면도를 기반으로 기준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기준점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형태의 이미지로 재구성한다 (S4020).
도 5는 도 3과 같은 형태의 육면도가 아닌 임의의 형식으로 작성된 육면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입력된 이미지 파일이 2차원 이미지로서 6면도 형상이나 반지에 대해 기준점의 설정 없이 제작된 육면도(예를 들어, 정면도, 배면도(생략),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저면도)가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S4020 단계와 같이,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에서 도면의 순서를 재구성할 수 있다. 도 5(b)는 재구성된 육면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재구성된 도면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형태의 평면도, 저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를 띠 형상의 이미지로 구성하되, 정면도 및 배면도를 원형 형상의 이미지로 구성함으로써 1개의 이미지 파일을 만들 수 있다. 즉,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를 순서대로 연결하여 붙이되, 마지막으로 평면도와 저면도를 연결하여 붙인다. 이렇게 하면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가 연결되어 형성된 1개의 긴 띠 형상의 이미지와 평면도, 저면도인 2개의 원형 형상의 이미지로 가공 및 생성된다 (S4030).
육면도를 이용하여 1개의 이미지 파일을 만드는 이유는 1개의 이미지 파일 내에 둘 이상의 특징부가 추출되더라도, 둘 이상의 특징부는 하나의 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들이므로 서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에 입력된 디자인 이미지는 추후 다른 디자인에 대한 유사성 판단 여부의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특징부 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반지가 아닌 목걸이에 대해서 반지의 디자인이 모방 비교 대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를 가공한 다음 다른 디자인과의 유사도, 즉 모방 여부 비교는 하나의 이미지 상에서 특징부끼리 비교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재구성된 육면도의 경우 특징부는 반지에 대한 띠 형상부분과 원형 형상부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을 통해 구성된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부터 특징부들이 도출되고 (S4040), 도출된 띠 형상의 이미지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띠 형상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모방 여부를 판단하고, 원형 형상의 이미지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원형 형상의 이미지들을 비교함으로써 디자인의 모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50).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600)은 이미지 파일 입력부(610), 기준점 추출부(620), 이미지 가공부(630), 특징부 추출 및 비교 판단부(640) 및 데이터 베이스(6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은 도 2 및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 입력부(610)는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는 이미지 파일 입력부(610)는 2차원 형상의 육면도 이미지 파일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기준점 추출부(620)는 3차원 이미지 파일 또는 2차원 이미지 파일로부터 기준점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 파일이 입력되는 경우 앞서 도 2의 설명과 같이 주얼리 디자인의 보석 등을 중심으로 기준점을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 가공부(630)는 추출된 기준점을 기반으로 3차원 이미지 파일로부터 2차원 이미지인 육면도를 추출하여 도 3과 같은 형태의 1개의 이미지로 가공할 수 있다. 물론,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육면체 이미지가 입력된 경우 기준점을 중심으로 재배열, 재구성하여 1개의 이미지로 가공할 수 있다.
특징부 추출 및 비교부(640)는 1개의 이미지 파일로부터 특징부를 추출할 수 있다. 주얼리가 반지인 경우에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띠 형태의 특징부 1개와 원형 형태의 특징부 2개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특징부 추출 및 비교부(640)는 데이터 베이스(65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반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파일들과 추출한 특징부들을 비교하여 해당 디자인의 모방 여부를 비교하여 검증한다.
데이터 베이스(650)는 주얼리 디자인의 모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비교 대상이 되는 이미지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3가지 소스로부터 추출한 비교 대상 이미지 파일, 정보, 3차원 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자가 구축한 플렛폼(즉,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에 등록된 디자인, 특허청에 출원되거나 공개된 디자인 및 주요 기업들에서 현재 판매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디자인이 3개의 소스를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650)에 저장된 정보는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소스 디자인들 중 플렛폼에 등록된 디자인의 경우 등록 시점에 바로 반영되고, 특허청으로부터 공개된 디자인은 2주마다 갱신되며, 시중에 판매중인 제품의 디자인의 경우 제품이 출시될 때마다 갱신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650)는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600) 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 형태에 따라 외부 데이터 베이스로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600) 내에 데이터 베이스(650)가 구성되는 경우에도 다른 데이터 베이스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600)의 데이터 저장의 부담을 줄이고 외부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됨으로써 더 많은 디자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데이터 베이스의 예로서는 특허청에서 제공하는 디자인 공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600: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
610: 이미지 파일 입력부
620: 기준점 추출부
630: 이미지 가공부
640: 특징부 추출 및 비교 판단부
650: 데이터 베이스

Claims (7)

  1.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모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제1 이미지 파일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기준점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점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육면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육면도를 하나의 제2 이미지 파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로부터 특징부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특징부와 비교 판단하여 모방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면도는 (1) 정면도, (2) 배면도, (3) 좌측면도, (4) 우측면도, (5) 평면도 및 (6) 저면도의 순서로 구성되는,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은 3차원 이미지 파일인,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은 2차원 이미지 파일이되, 육면도 형태의 이미지 파일인,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입력된 육면도 형태의 제1 이미지 파일이 제2항의 순서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이미지 파일의 정면도에서 기준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준점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육면도를 제2항의 순서로 재구성하는,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된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 파일 및 시중에 유통 중인 주얼리 제품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7.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모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은,
    상기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제1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은 이미지 파일 입력부;
    상기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기준점을 산출하는 기준점 추출부;
    상기 기준점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로부터 육면도를 도출하고 상기 육면도를 하나의 제2 이미지 파일로 구성하는 이미지 가공부; 및
    상기 제2 이미지 파일로부터 특징부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특징부와 비교 판단하여 모방 여부를 검증하는 특징부 추출 및 비교 판단부를 포함하는, 디자인 모방 검증 시스템.
KR1020190013176A 2019-01-31 2019-01-31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5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176A KR20200095282A (ko) 2019-01-31 2019-01-31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176A KR20200095282A (ko) 2019-01-31 2019-01-31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445A Division KR20210005837A (ko) 2020-12-30 2020-12-30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0200188463A Division KR20210005838A (ko) 2020-12-30 2020-12-30 Ai 챗봇을 활용한 주얼리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282A true KR20200095282A (ko) 2020-08-10

Family

ID=7204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176A KR20200095282A (ko) 2019-01-31 2019-01-31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528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697A1 (ko) 2020-07-30 2022-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2025696A1 (ko) 2020-07-30 2022-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1664986B2 (en) 2022-04-20 2023-05-30 Ellansa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etching internal surfaces of transparent gemstones with information pertaining to a blockchain
US11783145B2 (en) 2022-12-21 2023-10-10 EllansaLabs Inc. Systems for authentication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11867637B2 (en) 2022-12-15 2024-01-09 EllansaLabs Inc. Systems for authentication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주얼리디자인 비교 분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 (2011) - 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 귀금속 보석 디자인에서 디자인 비교 분석을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 (2013) - 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만, 위 논문은 새로운 주얼리 디자인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을 뿐, 창작된 디자인에 대한 유사성 검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본원 발명에서 제안하는 육면도에서 특징적인 부분을 추출하여 비교하는 방법과는 전혀 다르다.
위 논문들은 주얼리 산업분야에서 형태를 활용한 합리적 디자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 체계적인 형태 위주의 속성 분류 및 형태 비교를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해당 논문들은 합리적인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비교 분석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된 형태 분석 방법을 주얼리 디자인에 적합하게 설계하여 분류체계를 정립하고, 디자인의 외형적 특성인 형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형태 조합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입체 스캐너를 사용하여 주얼리 디자인의 디지털 자료를 생성하는 방법과 모델을 제시하며, 주얼리 디자인 비교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기존 형태와의 유사 관계를 전산 프로그램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697A1 (ko) 2020-07-30 2022-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2025696A1 (ko) 2020-07-30 2022-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1664986B2 (en) 2022-04-20 2023-05-30 Ellansa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etching internal surfaces of transparent gemstones with information pertaining to a blockchain
US11671252B2 (en) 2022-04-20 2023-06-06 Ellansa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l etching surfaces of transparent materials with information pertaining to a blockchain
US11867637B2 (en) 2022-12-15 2024-01-09 EllansaLabs Inc. Systems for authentication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11783145B2 (en) 2022-12-21 2023-10-10 EllansaLabs Inc. Systems for authentication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5282A (ko)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5837A (ko) 디자인 모방 검증 방법 및 시스템
US8194069B2 (en) Layered personalization
KR20140142470A (ko) 나무 모델과 숲 모델 생성 방법 및 장치
CN103262126B (zh) 图像处理装置、照明处理装置及其方法
Probst et al. Intercomparison of photogrammetry software for three-dimensional vegetation modelling
Comes et al. Digital Reconstruction of Fragmented Cultural Heritage Assets: The Case Study of the Dacian Embossed Disk from Piatra Roșie
Vandenbeusch et al. Layer by layer: the manufacture of graeco-roman funerary masks
US20240169107A1 (en) System and method of bridging 2d and 3d assets for product visualization and manufacturing
Patwardhan How 3D Printing Will Change the Future of Borrowing Lending and Spending?
Li et al. 3d compat: Composition of materials on parts of 3d things
CN103295268A (zh) 网格生成设备和方法
Avadanei et al. A new approach to dynamic anthropometry for the ergonomic design of a fashionable personalised garment
Abdellah et al. Metaball skinning of synthetic astroglial morphologies into realistic mesh models for in silico simulations and visual analytics
Zheng et al. Diegetic innovation templating
Bayliss et al. Interpretative chronologies for the female graves
US10353892B2 (en) Multidimensional correlated data extracting device and multidimensional correlated data extracting method
Li et al. Fashionable sportswear working as a body measurement collecting tool
Elnashar et al. Textile patterns based on ancient Egyptian ornaments
CN110414331A (zh) 模特筛选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Shimabukuro et al. Visualisation and reconstruction in dentistry
Nyström On quantitative shape analysis of digital volume images
KR101521358B1 (ko) 다중 모델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Mohamed et al. The Aesthetic and utilitarian value of metal jewelry in the light of intellectual property
Kaminski Using 3D technology to digitise and replicate the near Lewes H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