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149A - Roadside unit location design and fault unit detection apparatus, and roadside unit location design and fault unit detection method - Google Patents

Roadside unit location design and fault unit detection apparatus, and roadside unit location design and fault unit dete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149A
KR20200095149A KR1020190012887A KR20190012887A KR20200095149A KR 20200095149 A KR20200095149 A KR 20200095149A KR 1020190012887 A KR1020190012887 A KR 1020190012887A KR 20190012887 A KR20190012887 A KR 20190012887A KR 20200095149 A KR20200095149 A KR 20200095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oadside base
roadside
loc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6615B1 (en
Inventor
정홍종
권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티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티즈
Priority to KR1020190012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615B1/en
Publication of KR2020009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6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91Modelling the propagat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location design and fault unit detection apparatus of a roadside unit, and a location design and fault unit detection method of a roadside unit, which calculate the optimal installation location of a roadside unit around the road and detect fault unit in order to provide a smooth and reliably vehicle-to-everything (V2X)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osed apparatus comprises: a wireless channel modeling portion which designs a measurement scenario in consideration of a road environment at the site where a roadside unit is to be installed, and measures and models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product of a standard roadside unit to be installed and a vehicle; a location design portion which designs an optimal location of the roadside unit to be installed based on the modeling results in the wireless channel modeling portion,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passing on the road, and the shape of the road; and a monitoring portion which monitors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roadside unit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roadside unit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location design portion and detects a roadside unit which is less than the standard quality.

Description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 및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Roadside unit location design and fault unit detection apparatus, and roadside unit location design and fault unit detection method}The location desig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a bad base st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a location design and a bad base station detection method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TECHNICAL FIELD The roadside unit location design and fault unit detection apparatus and roadside unit location design and fault unit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 및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 및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desig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a bad base st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a location desig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and more particularly, a location design of a roadside base station for vehicle data communication and service provision and detection of a bad base st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차량과 노변 기지국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주행중인 차량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서비스로는 도로정보 수집, 실시간 도로 위험 정보 제공, 교통정보 제공, 도로 기상정보 제공 등이 있을 수 있다.Various services can be provided to a vehicle in mo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roadside base station. Here, various services may include collecting road information, providing real-time road hazard information,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and providing road weather information.

그런데, 주행중인 차량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통신 품질이 보장되어야 하고, 노변 기지국이 적재적소에 설치되어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o a running vehicle, communication quality must be guaranteed, and a roadside base station must be installed in the right place.

그에 따라,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통신 품질 보장 및 노변 기지국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간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기법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o ensure the communication quality required for service provision and to balance the cost required for building a roadside base station.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970호(도로교통 전용통신-기반 노변장치 및 차량단말기를 이용한 도로공사구간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Prior Ar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5970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construction section traffic information using a roadside device and vehicle terminal based on dedicated road traffic communication)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9235호(V2X 기반 차량 위성항법신호에 대한 오차보정데이터 생성을 위한 방법, 노변장치 및 정책서버)Prior Ar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39235 (Method for generating error correction data for V2X-based vehicle satellite navigation signals, roadside device and policy server)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8611호(WAVE-V2X 및 C-V2X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탑재 장치 및 노변 기지국)Prior Art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98611 (Hybrid vehicle mounting device and roadside base station supporting WAVE-V2X and C-V2X) 선행기술 4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40620호(기지국, 무선 단말, 및 그들의 방법)Prior Art 4: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8-0040620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and their metho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원활하고 신뢰성있는 V2X 차량간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도로 주변의 노변 기지국의 최적의 설치 위치를 계산하고 불량의 노변 기지국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 및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and to calculate the optimal installation location of roadside base stations around roads and detect bad roadside base stations in order to provide smooth and reliable V2X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er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and a method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는, 노변 기지국을 설치할 예정지의 도로 환경을 고려하여 측정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설치 예정인 기준 노변 기지국의 제품과 차량간의 통신 성능을 계측하여 모델링하는 무선 채널 모델링부; 상기 무선 채널 모델링부에서의 모델링 결과와 도로의 통행 차량 특성, 도로 형상을 근거로 설치할 노변 기지국의 최적의 위치를 설계하는 위치 설계부; 및 및 상기 위치 설계부에서의 설계에 따라 노변 기지국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과정에서 노변 기지국의 통신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기준 품질을 미달하는 노변 기지국을 탐지해 내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designing the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gns a measurement scenario in consideration of the road environment at the place where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and the reference roadsid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A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measuring and modeling communication performance between a product and a vehicle; A location designing unit for designing an optimal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based on a modeling result in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passing on a road, and a shape of a road; And a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s a roadside base station that is less than the reference quality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roadsid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location design unit.

상기 측정 시나리오는, 노변 기지국과 시험차간 가시거리(LOS, Line-of-sight)가 확보되는 상황, 노변 기지국과 시험차 사이에 방해차가 존재하여 비가시거리(NLOS, Non line-of-sight)인 상황, 및 노변 기지국과 시험차 사이에 건물이 존재하여 비가시거리(NLOS, Non line-of-sight)인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scenario is a situation in which the line-of-sight (LOS)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test vehicle is secured, and there is an interference difference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test vehicle, so that the non-line-of-sight (NLOS) It may include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a building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test vehicle, and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a non line-of-sight (NLOS).

상기 무선 채널 모델링부는, 상기 시험차를 운행시켜 상기 노변 기지국(RSU, Roadside Unit)과 상기 시험차간의 거리에 따른 패킷 수신 감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패킷 에러율(PER, Packet Error Rate), 채널 노이즈(Channel noise), 및 SNR(Signal to Noise ratio) 등을 측정할 수 있다.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operates the test vehicle to provide a packet reception sensitivity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nd a packet error rate (PER)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RSU) and the test vehicle. , Channel noise, and signal to noise ratio (SNR) can be measured.

상기 위치 설계부는, 노변 기지국 설치 예정 도로를 셀(cell) 단위로 구분하여 각 셀에 속성을 부여하고,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할 노변 기지국 설치지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노변 기지국의 지역과 주변 셀간의 통신에서 적용할 무선 채널 모델을 결정하고, 해당 노변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계산할 수 있다.The location design unit divides the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planned road by cell unit, assigns properties to each cell, selects a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area to be installed essential, and between the selected roadside base station area and neighboring cell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radio channel model to be applied in communication and calculate the coverage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노변 기지국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중에 상기 노변 기지국과 차량간 통신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데이터로 노변 기지국과 셀간 통신의 채널 모델을 갱신하고, 갱신된 상기 노변 기지국과 셀간 통신의 채널 모델로 해당 노변 기지국의 통신 커버리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통신 커버리지를 근거로 V2X 서비스가 요구하는 기준 성능 미달 지역의 노변 기지국을 찾을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monitors communication data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vehicle while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updates a channel mod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cell with the monitored data, and communicates between the updated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cell.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the corresponding roadside base station is calculated with the channel model of, and roadside base stations in an area where the reference performance required by the V2X service is insufficient can be found based on the calculated communication coverag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은, 무선 채널 모델링부가, 노변 기지국을 설치할 예정지의 도로 환경을 고려하여 측정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설치 예정인 기준 노변 기지국의 제품과 차량간의 통신 성능을 계측하여 모델링하는 단계; 위치 설계부가,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에서의 모델링 결과와 도로의 통해 차량 특성, 도로 형상을 근거로 설치할 노변 기지국의 최적의 위치를 설계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부가, 상기 설계하는 단계에서의 설계에 따라 노변 기지국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과정에서 노변 기지국의 통신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기준 품질을 미달하는 노변 기지국을 탐지해 내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method for designing the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designs a measurement scenario in consideration of the road environment at the site where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and Measuring and modeling communic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product and the vehicle; Designing an optimal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based on a vehicle characteristic and a road shape through a modeling result in the modeling step and a road; And a monitoring unit, monitoring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roadsid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in the designing step and detecting a roadside base station that is less than the reference quality.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노변 기지국(RSU)의 설치 위치 설계시 설치 예정 도로의 기하구조, 통행차량 모델, V2X 서비스의 통신 품질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V2X 서비스가 요구하는 최소의 통신 품질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적절한 노변 기지국의 설치 위치를 설계하고, 노변 기지국 설치후 운용과정에서 통신 품질을 모니터링하여 V2X 서비스 요구 품질에 미달하는 노변 기지국을 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is configuration, when design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RSU), the minimum communication quality requirements required by the V2X service in consideration of the geometry of the road to be installed, the vehicle model, and the communication quality requirements of the V2X service. By designing an installation location of an appropriate roadside base station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monitoring the communication quality in the operation proces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 roadside base station that does not meet the V2X service requirement qua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채널 모델링부의 동작 설명을 위해 채용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채널 모델링부와 위치 설계부의 동작 설명을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설명에 채용되는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설치대상 도로별로 적용할 채널 모델을 선정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5의 설명에 채용되는 예시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부의 동작 설명을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employ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shown in FIG. 1.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operations of a radio channel modeling unit and a location designing unit shown in FIG. 1.
4A to 4D are exemplary views employed in the description of FIG. 3.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 channel model to be applied for each road to be installed shown in FIG. 3 in more detail.
6 is an exemplary view employed in the description of FIG. 5.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unit shown in FIG. 1.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an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채널 모델링부의 동작 설명을 위해 채용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채널 모델링부와 위치 설계부의 동작 설명을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설명에 채용되는 예시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설치대상 도로별로 적용할 채널 모델을 선정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6은 도 5의 설명에 채용되는 예시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부의 동작 설명을 위한 플로우차트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employ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 radio channel modeling unit shown in FIG. 1, and FIG. It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and the location design unit shown in 1, Figs. 4A to 4D are exemplary views employed in the description of Fig. 3, and Fig. 5 is applied for each installation target road shown in Fig. 3 It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selecting a channel model to be performed in more detail,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employed in the description of FIG. 5, and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unit shown in FIG.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는 무선 채널 모델링부(10), 위치 설계부(20), 및 모니터링부(30)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adio channel modeling unit 10, a location designing unit 20, and a monitoring unit 30.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노변 기지국과 차량간의 무선 통신에 대한 통신 베이스라인 모델을 도출한다. The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10 derives a communication baseline model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vehicle.

즉,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노변 기지국과 차량간 통신의 베이스라인 모델을 근거로 노변 기지국(RSU) 설치 대상 도로의 도로 기하 구조를 활용하여 무선 채널을 모델링하고, 통행 차량의 특성을 활용하여 무선 채널을 모델링하고, 도로 주변의 설치 구조물을 고려하여 무선 채널을 모델링할 수 있다.That is, the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10 models the wireless channel by using the road geometry of the road to which the roadside base station (RSU) is installed based on the baseline mod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vehicle, and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ssing vehicle. Thus, the wireless channel can be modeled, and the wireless channel can be modeled in consideration of installation structures around the road.

다시 말해서,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노변 기지국을 설치할 예정지의 도로 환경을 고려하여 측정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설치 예정인 기준 노변 기지국의 제품과 차량간의 통신 성능을 계측하고 이를 모델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모델링 대상의 노변 기지국(RSU) 선정, 차종 선정, 시험 환경 선정 후 무선 통신 채널 모델링을 수행한다.In other words, the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10 may design a measurement scenario in consideration of a road environment at a location where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measur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product of the reference roadsid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and the vehicle, and model it. To this end,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10 performs radio communication channel modeling after selecting a roadside base station (RSU) to be modeled, selecting a vehicle type, and selecting a test environment.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시험차를 운행시켜 노변 기지국(RSU, Roadside Unit)과 시험차간의 거리에 따른 패킷 수신 감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패킷 에러율(PER, Packet Error Rate), 채널 노이즈(Channel noise), SNR(Signal to Noise ratio) 등을 측정한다.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해당 시험을 반복하여 거리에 따른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통신 베이스라인 모델을 도출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10 operates the test vehicle to provide a packet reception sensitivity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nd a packet error rate (PE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RSU) and the test vehicle. Packet error rate), channel noise, and signal to noise ratio (SNR) are measured. The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10 may repeat the test to derive a communication baseline model representing communication quality according to distance.

상술한 노변 기지국(RSU)과 시험차(차량)간 무선 통신에 대한 통신 베이스라인 모델 측정에서의 측정 시나리오는, 도 2에서와 같이 노변 기지국(1)과 시험차(2)간 가시거리(LOS, Line-of-sight)가 확보되는 상황, 노변 기지국(1)과 시험차(2) 사이에 방해차(3)와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여 비가시거리(NLOS, Non line-of-sight)인 상황, 및 노변 기지국(1)과 시험차(2) 사이에 건물(4)과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여 비가시거리(NLOS, Non line-of-sight)인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asurement scenario in the measurement of the communication baseline model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RSU) and the test vehicle (vehicle) described above is the visibility distance (LOS)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1 and the test vehicle 2 as shown in FIG. , Line-of-sight) is secured, and an obstacle such as an obstruction vehicle (3) exists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1) and the test vehicle (2), which is a non-line-of-sight (NLOS). It may include a situation, and a situation in which an obstacle such as a building 4 exists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1 and the test vehicle 2 and is a non line-of-sight (NLOS).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위와 같은 시험 상황들을 고려하여 통신 베이스라인 모델을 도출해 낸다. The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10 derives a communication baseline model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est conditions.

위치 설계부(20)는 무선 채널 모델링부(10)에서의 모델링 결과와 도로의 통해 차량 특성, 도로 형상을 근거로 설치할 노변 기지국의 최적의 위치를 설계한다.The location design unit 20 designs an optimal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based on the modeling result in the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10, vehicle characteristics, and road shape through the road.

예를 들어, 위치 설계부(20)는 노변 기지국 설치 예정 도로를 셀(cell) 단위로 구분하여 각 셀에 속성을 부여하고,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할 노변 기지국 설치지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노변 기지국의 지역과 주변 셀간의 통신에서 적용할 무선 채널 모델을 결정하고, 해당 노변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계산한다.For example, the location design unit 20 divides the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planned roads into cells, assigns properties to each cell, selects an installation area for the roadside base station that must be installed, and The radio channel model to be applied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gion and the neighboring cells is determined, and the coverage of the corresponding roadside base station is calculated.

도 3을 참조하여 무선 채널 모델링부(10)와 위치 설계부(2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s of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10 and the location designing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무선 채널 모델링부(10)가 노변 기지국과 차량간 통신의 베이스라인 모델을 정립한다(S10). 즉,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정해진 시나리오에서 노변 기지국과 차량간 통신 채널 모델링을 거리 대비 수신세기, 거리 대비 패킷수신율에 대한 기본 성능 모델을 측정한다. 이때,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예를 들어 LOS (Line-of-Sight)에서 거리 대비 수신세기/패킷수신율 모델, 대형차로 인한 NLOS (Non-Line of sight)에서 거리 대비 수신세기/패킷수신율 모델, 건물로 인한 NLOS (Non-Line of sight)에서 거리 대비 수신세기/패킷수신율 모델 등을 측정한다. First,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10 establishes a baseline mod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vehicle (S10). That is,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10 measures a basic performance model for a reception strength versus distance and a packet reception rate versus distance for model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roadside base station and a vehicle in a predetermined scenario.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10 is, for example, a model of reception strength/packet reception rate versus distance in LOS (Line-of-Sight), and reception strength/packet reception rate versus distance in NLOS (Non-Line of Sight) due to large vehicles. In the NLOS (Non-Line of Sight) due to the model and building, the reception strength/packet reception ratio model versus distance is measured.

그리고,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측정된 각종의 기본 성능 모델을 근거로 설치대상 도로별 노변 기지국 설치 후보지 위치를 확인한 후에 노변 기지국 설치 대상 도로의 도로 기하 구조 및 통행 모델 등을 조사하여 이를 기반으로 무선 채널을 모델링한다(S12). 예를 들어, 노변 기지국 설치 예정 도로의 현장실측 또는 GIS 시스템을 사용하여 노변 기지국 설치 예정지의 도로 폭, 차선 수, 해당 도로변의 건축물 구축 현황(예컨대, 빌딩, 터널, 교량, 육교, 방음벽, 중앙분리대 등)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노변 기지국 설치 예정 도로의 현장조사 및 관련자료 분석을 통해 버스, 트럭 등 방해 차량 통행량을 조사(예컨대, 시간당 버스/트럭 통행량. 버스 전용차로 설치 유무 등)할 수 있다.And, the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10 checks the location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candidate site for each road to be installed based on the measured basic performance models, and then investigates the road geometry and traffic model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target road, and is based on this. The wireless channel is modeled (S12). For example, using a GIS system or on-site measurement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plan, the road width, the number of lanes, and the current status of building construction along the roadside (e.g., buildings, tunnels, bridges, overpasses, soundproof walls, median strips) Etc.).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traffic volume of interfering vehicles such as buses and trucks (eg, bus/truck traffic per hour, whether or not there is a dedicated bus lane, etc.) through field surveys of roadside base stations and related data analysis.

그에 따라,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도시 및 특정 도로에 V2X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계획 설계를 할 수 있다. 도로별 특성, 관련 기관, 통행 차량들의 특성에 따라 각 도로마다 제공되는 서비스가 달라지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강남대로, 테헤란로 일대의 소정 구간의 경우에는 V2X 기반 신호등 현시 서비스를 제공 서비스로 하고, 통신교차로 반경 300m 이내 패킷 전송 에러 10% 미만의 V2X 서비스 요구 품질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한편, 경부고속도로 반포IC-양재IC구간의 경우에는 V2X 기반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을 제공 서비스로 하고, 구간 전체 패킷 전송 에러 20% 미만의 V2X 서비스 요구 품질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10 may design a plan for providing V2X services to cities and specific roads. The services provided for each road will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oad, related organizations, and vehicl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ertain section of Gangnam-daero and Teheran-ro, a V2X-based traffic light present service is provided as a service, and a packet transmission error within a 300m radius of a communication intersection can be designed to have a V2X service request quality of less than 1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Banpo IC-Yangjae IC section of the Gyeongbu Expressway, the V2X-based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is provided as a service, and the V2X service request quality of less than 20% of the packet transmission error of the entire section can be designed.

이후에, 위치 설계부(20)는 무선 채널 모델링부(10)의 결과를 근거로 노변 기지국을 설치할 전체 범위(즉, 설치대상 도로)를 셀 단위로 분리한다(S14). 여기서, 각 셀은 다각형, 원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설계부(20)는 도 4a와 같이 노변 기지국을 설치할 구역을 선정한 후에, 도 4b와 같이 노변 기지국 설치대상 도로를 셀 단위로 분리한다. 노변 기지국 설치대상 도로는 고속도로(5), 및 일반 도로(6)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4a에서는 ITS 추진 계획에 따라 제공할 V2X/C-ITS 서비스가 결정되고,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시/구/동 단위 또는 도로 단위의 지역을 선정한다. 도 4b에서는 계획된 구역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변 기지국을 설치하기 위한 도로를 선정하고, 채널 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셀을 구분한다. Thereafter, the location design unit 20 separates the entire range (ie, the road to be installed) in which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10 in cell units (S14). Here, each cell may be divid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polygons and circles. For example, the location design unit 20 selects an area in which a roadside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4A, and then separates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target roads in cell units as shown in FIG. 4B.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target roads may include a highway (5), a general road (6), and the like. In FIG. 4A, V2X/C-ITS services to be provided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TS promotion plan, and the city/gu/dong unit or the road unit area in which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to be provided is selected. In FIG. 4B, a road for installing a roadside base st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in a planned area is selected, and a cell for applying a channel model is classified.

V2X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변 기지국이 설치될 지역을 셀(Cell) 단위로 나누었을 경우, 각 셀에는 셀을 구분할 수 있는 고유한 아이디(예컨대, K-01, G-02 등)가 부여된다. 셀의 크기는 도로의 차선을 구분할 수 있는 크기(3m 내외)를 권고하며, 크기에 대한 제약은 없다. 이때, 각각의 셀에는 제공 서비스(예컨대, N/A, V2X 기반 신호등 현시 서비스 등), 허용 패킷 에러율(예컨대, 10%, 100% 등), 도로의 차량 통행 특성에 따라 통행차량 속성(예컨대, Normal, Tall_vehicle 등) 등이 부여된다.When the area where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for V2X service is divided by cell units, each cell is assigned a unique ID (eg, K-01, G-02, etc.) that can identify the cell. As for the size of the cell, it is recommended that the lanes of the road can be distinguished (around 3m), an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ize. At this time, each cell is provided with a service (e.g., N/A, V2X-based traffic light display service, etc.), an allowable packet error rate (e.g., 10%, 100%, etc.), and traffic vehicle properties (e.g., Normal, Tall_vehicle, etc.) are given.

그리고 나서, 위치 설계부(20)는 필수 지역 기지국 위치를 선정한다(S16). 이 경우, 신호정보 서비스, 도로 정보 제공 서비스 등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V2X 서비스가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초기 노변 기지국 위치를 선정한다. 예를 들어, 도 4c에서와 같이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할 노변 기지국 위치(7)가 초기에 선정된다. 도 4c에서는 필수 설치 지역으로 선정된 도로 대상 노변 기지국과 각 셀간의 통신 채널 모델을 적용하여 해당 노변 기지국의 통신 커버리지를 계산할 수 있다. Then, the location design unit 20 selects an essential local base station location (S16). In this case, an initial roadside base station location is selected around an area in which the V2X service is essential, such as signal information service and roa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C, a roadside base station location 7 to be installed is initially selected. In FIG. 4C,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a communication channel model between each cell and a roadside base station selected as an essential installation area.

이후, 위치 설계부(20)는 필수 지역 기지국 위치로 선정된 지역들을 대상으로 주변 셀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무선 채널 모델을 선정한다(S18). 여기서, 무선 채널 모델을 선정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LOS, NLOS 특성을 이용한 무선 채널 모델 선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location design unit 20 selects a radio channel model to be applied to neighboring cells targeting areas selected as essential area base station locations (S18). Here, in the case of selecting a radio channel model, the radio channel model selection method using the LOS and NLOS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그리고 나서, 위치 설계부(20)는 각 셀에 선정된 무선 채널 모델을 통해 해당 셀의 통신 커버리지 값(패킷 손실율, RSSI 등)을 계산한다(S20). Then, the location design unit 20 calculates a communication coverage value (packet loss rate, RSSI, etc.) of the cell through the radio channel model selected for each cell (S20).

이어, 위치 설계부(20)는 전체 셀 중 통신 커버리지 기준 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유효 통신 커버리지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PER 10% 미만, RSSI 94 이상을 만족하는 유효 통신 커버리지 셀을 유효 통신 커버리지로 결정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location design unit 20 calculates a cell that satisfies the communication coverage reference quality among all cells as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For example, an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cell satisfying a PER of less than 10% and an RSSI of 94 or more may be determined a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이후, 위치 설계부(20)는 설치 예정 도로에 포함된 모든 셀이 유효 통신 커버리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Thereafter, the location design unit 20 determines whether all cells included in the road to be installed satisfy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condition (S22).

모든 셀이 유효 통신 커버리지를 만족한다면 종료한다. If all cells satisfy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it ends.

반대로, 모든 셀이 유효 통신 커버리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위치 설계부(20)는 서비스 가중치에 따른 추가 기지국 위치 선정 단계를 수행한다(S24). 서비스 가중치에 따른 추가 노변 기지국 위치 선정의 경우, 해당 지역내 V2X 및 C-ITS 서비스별(교통정보 제공, 기상정보 제공, 공사정보 제공 등)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Conversely, if all cells do not satisfy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condition, the location design unit 20 performs an additional base station location selection step according to the service weight (S24).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location of an additional roadsid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service weight, priority is determined by each V2X and C-ITS service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construction information, etc.).

그리고, 위치 설계부(20)는 추가 선정된 노변 기지국의 통신 범위 대상으로 주변 셀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무선 채널 모델을 선정하고(S26), 각 셀에 선정된 결정된 채널 모델을 통해 해당 셀의 통신 커버리지 값(패킷 손실율, RSSI 등)을 계산한다(S28). 여기서, 무선 채널 모델 선정은 상술한 LOS, NLOS 특성을 이용한 무선 채널 모델 선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Then, the location design unit 20 selects a radio channel model to be applied to neighboring cells as a communication range target of the additionally selected roadside base station (S26), and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the cell through the determined channel model selected for each cell. A value (packet loss rate, RSSI, etc.) is calculated (S28). Here, the wireless channel model selection method using the LOS and NLOS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이어, 위치 설계부(20)는 전체 셀 중 추가된 노변 기지국 커버리지를 반영하여 통신 커버리지 기준 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유효 통신 커버리지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도 4d에서와 같이 추가된 노변 기지국 위치(8)가 선정될 수 있다. 도 4d에서는 현재 커버되지 않은 도로를 대상으로 추가 노변 기지국 설치 위치 선정을 위해 최소 통신 품질을 만족하는 최소의 추가 노변 기지국 위치를 설계한다. 이 경우, PER 10% 미만, RSSI 94 이상을 만족하는 유효 통신 커버리지 셀을 유효 통신 커버리지로 결정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location design unit 20 update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for cells that satisfy the communication coverage reference quality by reflecting the added roadside base station coverage among all cell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D, the added roadside base station location 8 may be selected. In FIG. 4D, a minimum additional roadside base station location that satisfies the minimum communication quality is designed to select an additional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location for a currently uncovered road. In this case, an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cell satisfying a PER of less than 10% and an RSSI of 94 or more may be determined a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그리고 나서, 위치 설계부(20)는 설치 예정 도로에 포함된 모든 셀이 유효 통신 커버리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Then, the location design unit 20 determines whether all cells included in the road to be installed satisfy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condition (S30).

모든 셀이 유효 통신 커버리지를 만족한다면 종료한다. If all cells satisfy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it ends.

반대로, 모든 셀이 유효 통신 커버리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위치 설계부(20)는 서비스 가중치에 따라 노변 기지국의 수를 최소화하는 함수를 적용하여 추가 노변 기지국 위치를 선정한다(S32). 단계 S32에서는 전체 노변 기지국이 커버해야하는 도로 중에서 유효 통신 커버리지에 속하지 않는 셀을 모두 커버할 수 있고, 노변 기지국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함수를 적용하여 추가 노변 기지국을 선정한다. Conversely, if all cells do not satisfy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condition, the location design unit 20 selects an additional roadside base station location by applying a function that minimizes the number of roadside base stations according to the service weight (S32). In step S32, an additional roadside base station is selected by applying a function capable of covering all cells that do not belong to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overage among roads to be covered by all roadside base stations and minimizing the number of roadside base stations.

한편, 상술한 위치 설계부(20)의 동작 설명중에서 설치대상 도로의 셀별로 적용할 채널 모델을 선정하는 단계(S18)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in the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location design unit 20 described above, the step (S18) of selecting a channel model to be applied for each cell of the road to be install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s follows.

먼저, 위치 설계부(20)는 도 6에서와 같이 노변 기지국 최대 전송 거리에 포함되고 동시에 도로지역에 포함되는 후보 셀 목록을 선정한다(S40). 도 6에서, 중앙의 점선으로 표시한 것은 도로 중앙선을 의미할 수 있고, 도로 중앙선의 상부 및 하부에 표시된 실선은 도로 양측부(일측부, 타측부)를 의미할 수 있다.First, the location design unit 20 selects a list of candidate cells included in the maximum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simultaneously included in the road area as shown in FIG. 6 (S40). In FIG. 6, a dotted line in the center may mean a road center line, and a solid line displayed above and below the road center line may mean both sides of the roa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그리고, 위치 설계부(20)는 노변 기지국(1)과 각 셀간의 직선 거리를 계산하고, 거리가 짧은 순서대로 정렬한다(S42).Then, the location design unit 20 calculates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1 and each cell, and arranges the distances in the order of shortening (S42).

이후, 위치 설계부(20)는 후보 셀 목록 중 해당 노변 기지국(1)과의 채널모델이 선정되지 않은 셀 중 노변 기지국-셀 간 거리가 최단거리인 셀을 선정한다(S44).Thereafter, the location design unit 20 selects a cell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cell from among the cells for which the channel model with the roadside base station 1 is not selected from the list of candidate cells (S44).

그리고 나서, 위치 설계부(20)는 해당 노변 기지국(1)과 해당 셀 간의 통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로 셀을 탐색한다(S46). 이 경우, 위치 설계부(20)는 해당 노변 기지국(1)과 해당 셀을 연결하는 직선이 교접하는 셀을 경로 셀로 선정할 수 있다.Then, the location design unit 20 searches for a path cell that may aff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1 and the cell (S46). In this case, the location design unit 20 may select a cell in which the roadside base station 1 and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ll intersect, as the path cell.

이후, 위치 설계부(20)는 선정된 경로 셀의 NLOS 속성 값을 계산한다(S48). 여기서, NLOS 속성 값은 경로셀에 위치하는 구조물, 방해차량으로 인한 전파 방해 요소를 수치화하여 현재 해당 셀의 통신 품질을 예측하는데 활용한다. Thereafter, the location design unit 20 calculates the NLOS attribute value of the selected path cell (S48). Here, the NLOS attribute value is used to predict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current cell by quantifying radio wave interference factors caused by structures and interfering vehicles located in the path cell.

경로 셀로 인한 NLOS 속성 값을 계산하는 실시예로, 각 경로셀에는 방해요인에 따른 NLOS 속성값이 존재하며, 구조물로 인한 NLOS 속성 값을 NLOS(구조물)속성값, 교통량으로 인한 NLOS 속성값을 NLOS(교통량)속성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로셀의 각 NLOS 속성값 중 최대값을 해당 셀의 NLOS 속성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of calculating the NLOS attribute value due to a path cell, each path cell has an NLOS attribute value according to an obstruction factor, and the NLOS attribute value due to the structure is the NLOS (structure) attribute value, and the NLOS attribute value due to the traffic volume is NLOS. It can be defined as the (traffic) attribute valu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value of each NLOS attribute value of a path cell may be used as the NLOS attribute value of a corresponding cell.

그에 따라, "NLOS(구조물) 속성 값 = 노변 기지국의 안테나와 현재 구조물 중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접하는 셀들의 구조물 속성값 중 최대값"일 수 있고, "NLOS(교통량) 속성 값 = 노변 기지국의 안테나와 현재 구조물 중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접하는 셀들의 교통량 속성값 중 최대값"일 수 있다.Accordingly, "NLOS (structure) attribute value = maximum value of the structure attribute values of cells in contact with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antenna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current structure center", and "NLOS (traffic volume) attribute value = antenna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traffic volume attribute values of cells in contact with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urrent structure.

이후, 위치 설계부(20)는 NLOS 속성값의 기준치 초과 유무 판단을 통해 적용할 채널 모델을 선정한다(S50). 이 경우, 모든 NLOS 속성값의 기준치를 미달하는 경우 채널 모델을 LOS로 적용한다. NLOS 속성 값들 중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NLOS 모델을 적용하며, 다수의 NLOS 속성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그 중 최대 값을 사용한다.Thereafter, the location design unit 20 selects a channel model to be appli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NLOS attribute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S50). In this case, if the reference value of all NLOS attribute values is not reached, the channel model is applied as LOS. If the NLOS attribute values exceed the reference value, the corresponding NLOS model is applied, and when a number of NLOS attribute values exceed the reference value, the maximum value among them is used.

마지막으로, 위치 설계부(20)는 후보셀 목록 중 채널 모델 미결정 셀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S52), 후보셀 목록 중 채널 모델 미결정 셀이 존재하면 상술한 단계 S44로 복귀하여 해당 단계부터 반복하고, 반대로 모든 셀의 채널 모델이 결정된 경우 절차를 종료한다.Finally, the location design unit 20 determines whether a channel model undecided cell exists in the candidate cell list (S52), and if there is a channel model undecided cell in the candidate cell list, returns to the above-described step S44 and repeats from the step, Conversely, when the channel models of all cells are determined, the procedure ends.

도 1에서, 모니터링부(30)는 위치 설계부(20)에서의 설계에 따라 노변 기지국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과정에서 노변 기지국의 통신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기준 품질을 미달하는 노변 기지국을 탐지해 낸다.In FIG. 1, the monitoring unit 30 monitors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s a roadside base station that is less than the reference quality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roadsid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location design unit 20.

즉, 모니터링부(30)는 노변 기지국이 운용되고 있는 중에 노변 기지국-차량간 통신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데이터로 노변 기지국-셀간 통신의 채널 모델을 갱신하고, 갱신된 노변 기지국-셀간 통신의 채널 모델로 노변 기지국의 통신 커버리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통신 커버리지를 근거로 V2X 서비스가 요구하는 기준 성능 미달 지역의 노변 기지국을 탐지해낸다(찾아낸다).That is, the monitoring unit 30 monitors the communication data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vehicle while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operating, updates the channel model of the roadside base station-cell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ed data, and performs the updated roadside base station-cell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calculated using the channel model, and based on the calculated communication coverage, the roadside base station in the area where the standard performance required by the V2X service is not achieved is detected (find out).

도 7을 참조하여 모니터링부(3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먼저, 모니터링부(30)는 차량 타입별, 기지국별 패킷 수신 감도, 패킷 수신율 수집(상시)한다(S60).First, the monitoring unit 30 collects (always) packet reception sensitivity and packet reception rate by vehicle type and base station (S60).

이어, 모니터링부(30)는 기존 도로별 채널 모델 계산결과와 실측 수집결과를 서로 비교한다(S62).Subsequently, the monitoring unit 30 compares the channel model calculation result for each road and the actual measurement collection result (S62).

그리고 나서, 모니터링부(30)는 실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채널 모델을 강화한다(S64).Then, the monitoring unit 30 reinforces the channel model by using the measured data (S64).

이후, 모니터링부(30)는 변화된 채널 모델에 따른 각 셀의 채널 모델을 갱신하고, 기지국 유효 커버리지를 갱신한다(S66).Thereafter, the monitoring unit 30 updates the channel model of each cell according to the changed channel model, and updates the base station effective coverage (S66).

그리고, 모니터링부(30)는 통신 커버리지가 기준 품질을 미달하는 셀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68). Then, the monitoring unit 30 checks whether there is a cell whose communication coverag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quality (S68).

통신 커버리지가 기준 품질을 미달하는 셀이 존재하면 모니터링부(30)는 해당 셀의 노변 기지국을 불량 기지국으로 탐지(간주)한다(S70). 필요에 따라서, 모니터링부(30)는 기준 품질 미달성 셀 존재를 통보할 수 있다.If there is a cell whose communication coverag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quality, the monitoring unit 30 detects (consides) the roadside base station of the cell as a bad base station (S70). If necessary, the monitoring unit 30 may notify the existence of a cell that has not achieved the reference quality.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노변 기지국과 차량간 통신의 베이스라인 모델을 정립한다(S100). 다시 말해서,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시험차를 운행시켜 노변 기지국(RSU, Roadside Unit)과 시험차간의 거리에 따른 패킷 수신 감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패킷 에러율(PER, Packet Error Rate) 등을 측정한다. 무선 채널 모델링부(10)는 해당 시험을 반복하여 거리에 따른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통신 베이스라인 모델을 계산한다. First,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10 establishes a baseline mod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vehicle (S100). In other words,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10 operates the test vehicle to provide a packet reception sensitivity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nd a packet error rate (PER, Packet Erro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RSU) and the test vehicle. Rate), etc.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10 calculates a communication baseline model representing communication quality according to distance by repeating the test.

이후, 위치 설계부(20)가 무선 채널 모델링부(10)에서의 통신 베이스라인 모델을 근거로 설치할 노변 기지국의 최적의 위치를 설계한다(S110). 여기서, 위치 설계부(20)의 보다 상세한 동작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근거로 이미 설명하였다.Thereafter, the location design unit 20 designs an optimal location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baseline model in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10 (S110). Her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design unit 20 has already been described based on FIGS. 3 to 6.

그리고 나서, 모니터링부(30)는 위치 설계부(20)에서의 설계에 따라 노변 기지국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과정에서 노변 기지국의 통신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기준 품질을 미달하는 노변 기지국을 탐지해 낸다(S120). 여기서, 모니터링부(30)의 보다 상세한 동작 설명은 도 7을 근거로 이미 설명하였다.Then, the monitoring unit 30 monitors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while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location design unit 20 and detects a roadside base station that is less than the reference quality (S120). ). Her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unit 30 has already been described based on FIG. 7.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se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무선 채널 모델링부
20 : 위치 설계부
30 : 모니터링부
10: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20: Location design department
30: monitoring unit

Claims (12)

노변 기지국을 설치할 예정지의 도로 환경을 고려하여 측정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설치 예정인 기준 노변 기지국의 제품과 차량간의 통신 성능을 계측하여 모델링하는 무선 채널 모델링부;
상기 무선 채널 모델링부에서의 모델링 결과와 도로의 통행 차량 특성, 도로 형상을 근거로 설치할 노변 기지국의 최적의 위치를 설계하는 위치 설계부; 및
상기 위치 설계부에서의 설계에 따라 노변 기지국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과정에서 노변 기지국의 통신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기준 품질을 미달하는 노변 기지국을 탐지해 내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
A wireless channel modeling unit for designing a measurement scenario in consideration of a road environment at a location where a roadside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and measuring and modeling communication performance between a product of a reference roadsid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and a vehicle;
A location designing unit for designing an optimal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based on a modeling result in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passing on a road, and a shape of a road; And
And a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s a roadside base station that is less than the reference quality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roadsid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location design unit. Location design and bad base station detec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나리오는,
노변 기지국과 시험차간 가시거리(LOS, Line-of-sight)가 확보되는 상황, 노변 기지국과 시험차 사이에 방해차가 존재하여 비가시거리(NLOS, Non line-of-sight)인 상황, 및 노변 기지국과 시험차 사이에 건물이 존재하여 비가시거리(NLOS, Non line-of-sight)인 상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ement scenario is,
The situation where the line-of-sight (LOS) is secured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test vehicle, the situation where there is an obstruction difference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test vehicle, and the situation is non-line-of-sight (NLOS), and the roadside An apparatus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ituation where a building exist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st vehicle and is non-line-of-sight (NLO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 모델링부는,
상기 시험차를 운행시켜 상기 노변 기지국(RSU, Roadside Unit)과 상기 시험차간의 거리에 따른 하나 이상의 측정 요소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adio channel modeling unit,
An apparatus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est vehicle is operated to measure one or more measurement elements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RSU) and the test vehic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측정 요소는,
패킷 수신 감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패킷 에러율(PER, Packet Error Rate), 채널 노이즈(Channel noise), 및 SNR(Signal to Noise ratio)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one or more measurement elements,
A roadside base st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packet reception sensitivity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packet error rate (PER), channel noise, and signal to noise ratio (SNR). Location design and bad base station detec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계부는,
노변 기지국 설치 예정 도로를 셀(cell) 단위로 구분하여 각 셀에 속성을 부여하고,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할 노변 기지국 설치지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노변 기지국의 지역과 주변 셀간의 통신에서 적용할 무선 채널 모델을 결정하고, 해당 노변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 design unit,
By dividing the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planned road by cell unit, assigning properties to each cell, selecting a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area to be installed essential, and radio to be applie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lected roadside base station area and neighboring cells. An apparatus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nel model is determined and the coverage of the corresponding roadside base station is calcul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노변 기지국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중에 상기 노변 기지국과 차량간 통신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데이터로 노변 기지국과 셀간 통신의 채널 모델을 갱신하고, 갱신된 상기 노변 기지국과 셀간 통신의 채널 모델로 해당 노변 기지국의 통신 커버리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통신 커버리지를 근거로 V2X 서비스가 요구하는 기준 성능 미달 지역의 노변 기지국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unit,
While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communication data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vehicle is monitored, the channel model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cell communication is updated with the monitored data, and the updated channel model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cell communication is used. A location design and bad base station detection apparatus for a roadside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alculates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a corresponding roadside base station, and finds a roadside base station in an area where the reference performance required by the V2X service is insufficient based on the calculated communication coverage.
무선 채널 모델링부가, 노변 기지국을 설치할 예정지의 도로 환경을 고려하여 측정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설치 예정인 기준 노변 기지국의 제품과 차량간의 통신 성능을 계측하여 모델링하는 단계;
위치 설계부가,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에서의 모델링 결과와 도로의 통해 차량 특성, 도로 형상을 근거로 설치할 노변 기지국의 최적의 위치를 설계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부가, 상기 설계하는 단계에서의 설계에 따라 노변 기지국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과정에서 노변 기지국의 통신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기준 품질을 미달하는 노변 기지국을 탐지해 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
Designing a measurement scenario in consideration of a road environment at a location where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to be installed, and measuring and modeling communication performance between a product of a reference roadsid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and a vehicle;
Designing an optimal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based on a vehicle characteristic and a road shape through a modeling result in the modeling step and a road; And
And detecting, by the monitoring unit,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while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design in the designing step and detects a roadside base station that is less than the reference quality. Roadside base station location design and bad base station detection metho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나리오는,
노변 기지국과 시험차간 가시거리(LOS, Line-of-sight)가 확보되는 상황, 노변 기지국과 시험차 사이에 방해차가 존재하여 비가시거리(NLOS, Non line-of-sight)인 상황, 및 노변 기지국과 시험차 사이에 건물이 존재하여 비가시거리(NLOS, Non line-of-sight)인 상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measurement scenario is,
The situation where the line-of-sight (LOS) is secured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test vehicle, the situation where there is an obstruction difference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test vehicle, and the situation is non-line-of-sight (NLOS), and the roadside A method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ituation in which a building exist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st vehicle and is non-line-of-sight (NLO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하는 단계는,
상기 시험차를 운행시켜 상기 노변 기지국(RSU, Roadside Unit)과 상기 시험차간의 거리에 따른 하나 이상의 측정 요소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modeling step,
And measuring one or more measurement elements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RSU) and the test vehicle by operating the test vehicl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측정 요소는,
패킷 수신 감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패킷 에러율(PER, Packet Error Rate), 채널 노이즈(Channel noise), 및 SNR(Signal to Noise ratio)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one or more measurement elements,
A roadside base st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packet reception sensitivity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packet error rate (PER), channel noise, and signal to noise ratio (SNR). Location design and bad base station detection metho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설계하는 단계는,
노변 기지국 설치 예정 도로를 셀(cell) 단위로 구분하여 각 셀에 속성을 부여하고,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할 노변 기지국 설치지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노변 기지국의 지역과 주변 셀간의 통신에서 적용할 무선 채널 모델을 결정하고, 해당 노변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designing step,
By dividing the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planned road by cell unit, assigning properties to each cell, selecting a roadside base station installation area to be installed essential, and radio to be applie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selected roadside base station area and neighboring cells. Determining a channel model and calculating the coverage of a corresponding roadside base station; and a method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탐지해 내는 단계,
상기 노변 기지국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중에 상기 노변 기지국과 차량간 통신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데이터로 노변 기지국과 셀간 통신의 채널 모델을 갱신하고, 갱신된 상기 노변 기지국과 셀간 통신의 채널 모델로 해당 노변 기지국의 통신 커버리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통신 커버리지를 근거로 V2X 서비스가 요구하는 기준 성능 미달 지역의 노변 기지국을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변 기지국의 위치 설계 및 불량 기지국 탐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of detecting,
While the roadsid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communication data between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vehicle is monitored, the channel model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cell communication is updated with the monitored data, and the updated channel model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the cell communication is used. Calculating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the roadside base station, and finding a roadside base station in an area where the reference performance required by the V2X service is insufficient based on the calculated communication coverage; and a method for designing a location of a roadside base station and detecting a bad base station, comprising: .
KR1020190012887A 2019-01-31 2019-01-31 Fault unit detection apparatus, and fault unit detection method KR1023266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87A KR102326615B1 (en) 2019-01-31 2019-01-31 Fault unit detection apparatus, and fault unit dete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87A KR102326615B1 (en) 2019-01-31 2019-01-31 Fault unit detection apparatus, and fault unit dete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149A true KR20200095149A (en) 2020-08-10
KR102326615B1 KR102326615B1 (en) 2021-11-16

Family

ID=7204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887A KR102326615B1 (en) 2019-01-31 2019-01-31 Fault unit detection apparatus, and fault unit dete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6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889B1 (en) 2020-09-23 2021-11-23 펜타시큐리티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detecting anomaly of road side unit and apparatus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711A (en) * 1999-10-27 2001-05-15 이일민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adio-wave
JP5436320B2 (en) * 2010-04-27 2014-03-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Station placement design method, station placement design apparatus, and station placement design program
KR101615970B1 (en) 2014-11-07 2016-04-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of road work zone using dedicated road traffic communication-based roadside unit (rsu) and onboard unit (obu),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70016140A (en) * 2015-08-03 2017-02-13 한국도로공사 Management apparatus for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roadside equipment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KR101739235B1 (en) 2016-06-01 2017-05-24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Method, road side unit and policy server for generating error correction data for v2x based vehicle satellite navigation signal
JP2017143487A (en) * 2016-02-12 2017-08-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Arrangement design suppor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20180040620A (en) 2015-09-18 2018-04-20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Base stations, wireless terminals, and methods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711A (en) * 1999-10-27 2001-05-15 이일민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adio-wave
JP5436320B2 (en) * 2010-04-27 2014-03-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Station placement design method, station placement design apparatus, and station placement design program
KR101615970B1 (en) 2014-11-07 2016-04-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of road work zone using dedicated road traffic communication-based roadside unit (rsu) and onboard unit (obu),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70016140A (en) * 2015-08-03 2017-02-13 한국도로공사 Management apparatus for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roadside equipment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KR20180040620A (en) 2015-09-18 2018-04-20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Base stations, wireless terminals, and methods thereof
JP2017143487A (en) * 2016-02-12 2017-08-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Arrangement design suppor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1739235B1 (en) 2016-06-01 2017-05-24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Method, road side unit and policy server for generating error correction data for v2x based vehicle satellite navigation sign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8611호(WAVE-V2X 및 C-V2X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탑재 장치 및 노변 기지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889B1 (en) 2020-09-23 2021-11-23 펜타시큐리티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detecting anomaly of road side unit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615B1 (en)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69949B (en) Road testing method of V2X equipment
US20180257660A1 (en) Long Range Path Prediction and Target Classification Algorithm using connected vehicle data and others
US20030060213A1 (en) Location method for mobile netwoks
US5708427A (en) Vehicle in-lane positional indication/control by phase detection of RF signals induced in completely-passive resonant-loop circuits buried along a road lane
Lee et al. RFID assisted vehicle positioning in VANETs
Sanwal et al. Vehicles as probes
US200402495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traffic predictions with respect to telematics and route guidance applications
US201301511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ap matching
KR100546480B1 (en) Method for obtaining traffic information by using call data record of mobile
US20050255856A1 (en) Intelligent wireless network switching
US201802922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volume estimation
US10560862B1 (en) Interference-aware applications for connected vehicles
TWI506293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ehicle positioning
KR101709411B1 (en) Method for positioning based on weighted triangulation and method for indoor positioning using the same
JP2005186651A (en) Vehicle position calculating device, railroad vehicle, ground facility, and vehicle position display device
WO201613998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fault in wireless facility and mobile entity wireless system
GB2291300A (en) Loc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1714378B1 (en) Management apparatus for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roadside equipment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US7187302B2 (en) Assessing the accuracy of road-side systems
KR102326615B1 (en) Fault unit detection apparatus, and fault unit detection method
KR2011003398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a current measurement value for a geographical position to a map object
US4823138A (en) Roadside beacon system
US10636292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congestion end in traffic and associated devices
Ma et al. Performance of cooperative detection in joint communication-sensing vehicular network: A data analytic and stochastic geometry approach
Ortega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Adaptive Beaconing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