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099A - An apparatus collecting oil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collecting oil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099A
KR20200095099A KR1020190012761A KR20190012761A KR20200095099A KR 20200095099 A KR20200095099 A KR 20200095099A KR 1020190012761 A KR1020190012761 A KR 1020190012761A KR 20190012761 A KR20190012761 A KR 20190012761A KR 20200095099 A KR20200095099 A KR 20200095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coupled
variable
coll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7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길은미
Original Assignee
길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은미 filed Critical 길은미
Priority to KR102019001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5099A/en
Publication of KR2020009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0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2Drain pans
    • F16N31/004Drain pans combined with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6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3/00Mechanical arrangements for cleaning lubricating equipment; Special racks or the like for use in draining lubricant from machine par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collect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il collect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disposed around a frame-shaped post formed on a lift that enables the vehicle to reciprocate in a vertical straight line from the floor. The oil collecting device for the vehicle includes: a fixed bracket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post and has a rotating shaft; a variable part in the shape of a rod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links are installed so that the length is variable from the fixed bracket; a horizontal part that is linked to one end of the variable part to maintain the horizontal level even when the link of the variable part rotates; and a collection part that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art and collects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용 폐오일 수거장치{AN APPARATUS COLLECTING OIL FOR VEHICLE}Vehicle waste oil collection system {AN APPARATUS COLLECTING OI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프트의 지주에 길이가 가변되면서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조절되는 가변식 프레임을 설치하고, 가변식 프레임에 호스로 연결된 깔때기를 구비하여 차량의 폐오일을 깔때기로 받아서 호스를 통해 드레인통에 수거하는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collec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variable frame that is adjustable in height from the floor while having a variable length on a post of a lift is installed, and a funnel connected to the variable frame by a hose is provided. It relates to a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that receives oil through a funnel and collects it in a drain bucket through a hos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엔진오일 등은 일정시간 사용하면 교체하게 된다. 이미 사용된 오일은 폐유로서 수거 후 별도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In general, engine oils used in automobiles are replaced after a certain period of use. The oil that has already been used is waste oil, which is collected and then processed separately.

엔진오일 등은 자동차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 뚜껑을 개방하여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종래에는 배출구 아래에 양동이나 깡통 등을 받쳐 수거하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졌다.Engine oil and the like are made to discharge by opening the discharge lid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nd in the related art, a work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collecting a bucket or a can under the discharge port.

양동이나 깡통을 이용해 오일을 수거하는 경우, 오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비산하여 작업장이 오염될 염려가 있으며, 작업자가 밟아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의 염려도 있다.When oil is collected using buckets or cans, there is a risk of contamination of the workplace by scattering during the discharge of the oil, and there is also a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a worker stepping on it and fall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비산하는 오일을 가능한 모두 받아내고, 모아진 폐유를 보다 간편하게 처리하며, 장소를 옮겨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오일 수거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13250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oil collection device that receives all the scattered oil as possible, treats the collected waste oil more conveniently, and can use it from place to place is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11325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ity document 1" It is disclosed in).

선행문헌 1에 따른 오일 수거장치는,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본체, 본체에 높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 드레인 파이프, 및 드레인 파이프의 상단에 연결되는 깔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드레인 파이프는 고정구를 통해 고정된다.The oi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Prior Document 1 includes a body having wheels at the bottom, a drain pipe installed in the body to be height adjustable and connected to an inner space of the body, and a funnel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drain pipe. In addition, the drain pipe is fixed through a fixtur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선행문헌1의 경우 상기와 같은 장점들을 가지나, 드레인 파이프의 높낮이 조절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높낮이 조절 과정에서 많이 힘이 소요되는 등 작업상 불편함이 많다.Prior Literature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above advantages, but since the height of the drain pipe is manually adjusted,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in work such as a lot of power is required in the height adjustment process.

선행문헌 1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46717호(이하,"선행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techniqu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Prior Document 1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06467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2").

선행문헌 2에 따른 오일 수거장치는, 드레인 파이프의 상단에 연결되는 깔때기의 상하 작동시 스프링을 이용해 원활한 상하 작동을 꾀하도록 하였다. 스프링은 드레인 통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드레인 파이프의 외측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된다.The oil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Prior Document 2 is designed to smoothly operate up and down using a spring when the funnel connected to the top of the drain pipe is vertically operated. The spring is configured to be fitted outside or inside the drain pipe to the outside of the drain pip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선행문헌2의 경우 깔때기를 최대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고정한 후 그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깔때기가 갑자기 튀어 올라 작업자의 턱 부분에 부딪힐 염려가 있으며, 깔때기의 갑작스런 상승으로 인해 깔때기에 담긴 오일이 비산할 염려도 있다.In the case of Prior Literature 2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f the funnel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funnel is lowered to the maximum and the fixed state is released, the funnel may suddenly spring up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nd hit the operator's jaw. There is also a risk that the oil in the funnel will scatter due to a sudden rise.

아울러, 스프링의 특성상 지지력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깔때기의 상승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작업자가 깔때기의 높이를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스프링이 차지하는 만큼 깔때기의 승강 높이에 있어서도 제한을 받는다.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spring, the support force is uneven, so the ascending speed of the funnel cannot be kept constant and it has an irregular shape.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precisely control the height of the funnel.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funnel is limited as much as the spring occupies.

한편, 종래에는 오일 수거장치만으로 폐오일의 용량과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로 대형 플라스틱 비커를 사용해야만 했다. 이처럼 별도의 비커를 사용하게 되면 비커에 폐오일이 묻기 때문에 보관 및 관리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ed art, since it is not possible to check the volume and condition of waste oil only with the oil collecting device, a separate large plastic beaker had to be used. When a separate beaker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waste oil adheres to the beaker, which is inconvenient for storage and management.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113250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113250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4671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467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프트의 지주에 길이가 가변되면서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조절되는 가변식 프레임을 설치하고, 가변식 프레임에 호스로 연결된 깔때기를 구비하여 차량의 폐오일을 깔때기로 받아서 호스를 통해 드레인통에 수거하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variable frame whose length is variable and the height is adjusted from the floor, and includes a funnel connected to the variable frame by a hose to prevent waste oil from the vehicle. It is to provide a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with a new structure that receives the funnel and collects it in a drain bucket through a ho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차량을 바닥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프트에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지주의 주변에 배치되는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에 있어서,In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disposed around a frame-shaped post formed on a lift for linearly reciprocating a vehicl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loor,

상기 지주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회전축이 형성된 고정브라켓,A fixing bracke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support and having a rotating shaft,

상기 고정브라켓으로부터 길이가 가변되도록 복수개의 링크가 설치된 막대프레임 형상의 가변부,A variable part in the shape of a rod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links are installed so that the length is variable from the fixing bracket,

상기 가변부의 일단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가변부의 링크회전에도 수평이 유지되는 수평부 및A horizontal portion that is linked to one end of the variable portion to maintain a horizontal level even when the link of the variable portion rotates, and

상기 수평부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을 수집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It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includes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vehicle.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를 제공한다.Provides a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측이 링크 결합되어 한 쌍으로 연장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이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이 링크회전 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향하여 상기 이동브라켓의 타측에 링크 결합되어 한 쌍으로 연장 형성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 에어쇼바와 상기 이동브라켓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에어쇼바로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링크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portion is a first frame formed by linking one side to the fixing bracket to extend in a pair,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A moving bracket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moving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link on both sides, a second frame that is link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racket to face the first frame and extends into a pair, and the first frame An elastic portion formed of a first air shock absor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fixed to the fixing bracket and a second air shock absorber coupled to the mov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frame, wherein the elastic portion is the first frame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limi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nk of the second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수평부에 결합되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을 받는 깔때기, 상기 깔때기로부터 폐오일이 유입되도록 일단이 상기 깔때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호스, 상기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를 통해 이동한 폐오일을 수집하도록 상기 지주의 주변 바닥에 배치되는 드레인통 및 상기 호스로 이동하는 폐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호스의 일단에 구비된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on unit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to receive the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vehicle,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unnel so that the waste oil flows in from the funnel. A hos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ose and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to collect the waste oil that has moved through the hose, and one end of the hose to prevent the waste oil from flowing back to the hose. It may include a provided check val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측이 링크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이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일측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에 링크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portion is a first frame extended in one direction by linking one side to the fixing bracket,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It may include a rotation unit rotated in response to rotation and a second fram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ame and linked to the rot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는 가변부를 리프트의 지주에 고정되게 설치하고, 리프트로 승강된 차량의 하부에 깔때기를 위치하도록 가변부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작업자의 편리성을 증대하고 작업의 신속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In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par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ost of the lift, and the length of the variable part is extended to locate the funnel under the vehicle raised by the lift,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speeding up work. Eggplant ha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는 가변부에 에어쇼바로 이루어진 탄성부를 가변부에 구비하여 차량의 폐오일을 받는 깔때기를 작업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원래의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variabl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composed of an air shock absorber in the variable portion, so that the funnel receiving the waste oil of the vehicle can be automatically positio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work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는 이동브라켓에 의해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이 링크회전 하여 펴짐 또는 절첩 되게 함과 아울러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조절되어 리프트로 승강된 차량의 하부에 깔때기를 용이하게 위치시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il coll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be opened or folded by rotating the link by the moving bracket, and the height is adjusted from the floor to facilitate the funnel under the vehicle lifted by the lift. It has the advantage of positioning it proper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는 가변부의 링크 회전에도 깔때기가 회전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차량의 폐오일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receive waste oil from the vehicle by allowing the funnel to remain horizontal without rotating the link of the variabl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는 깔때기의 하부에 체크밸브를 구비한 호스가 연결되어 드레인통을 차량까지 이동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자유롭게 차량의 폐오일을 드레인통으로 수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환경의 정리가 용이하고, 드레인통을 이동시키기 위해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se having a check valv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unnel, so that the operator can freely collect the waste oil from the vehicle into the drain bin without moving the drain bin to the vehicle. For this reas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clean up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o prevent the hassle of moving the drain container to move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의 가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의 가변부가 가변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의 수거부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의 가변부가 가변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exemplary view showing a variable part of an oil collec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riable part of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cept of a collection unit of a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part of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be'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that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n addition, "including" a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il collec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의 가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의 가변부가 가변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의 수거부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exemplary view showing a variable part of a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part of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cept of the collection part of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10)는 고정브라켓(100), 가변부(200), 수평부(300) 및 수거부(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bracket 100, a variable portion 200, a horizontal portion 300, and a collection portion 400.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10)는 차량(C)을 바닥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프트에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지주(S)의 주변에 배치되는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에 있어서, 지주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회전축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00), 고정브라켓으로부터 길이가 가변되도록 복수개의 링크가 설치된 막대프레임 형상의 가변부(200), 가변부의 일단에 링크 결합되어 가변부의 링크회전에도 수평이 유지되는 수평부(300) 및 수평부에 결합되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을 수집하는 수거부(40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ame shape formed on a lift that moves the vehicle C in a straight line up and down from the floor. In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disposed around the post (S) of the post, the fixing bracket 10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post, and has a rotating shaft, and a rod fram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links are installed so that the length is variable from the fixing bracket. It includes a variable portion 200, a horizontal portion 300 that is linked to one end of the variable portion to maintain a horizontal level even when the link of the variable portion rotates, and a collection portion 400 that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to collect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vehicle. .

도 1을 참조하면, 고정브라켓(100)은 가변부(200)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210)의 일단이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제1 프레임(210)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해준다.Referring to FIG. 1, in the fixing bracket 100, one end of the first frame 210 forming the variable part 200 is coupled by a rotation shaft so that the first frame 210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또한, 고정브라켓(100)은 지주(100)에 고정결합될 수도 있으나, 지주(100)를 수직한 축으로 하여 둔각만큼 회전하도록 수직한 회전축에 결합될 수도 있다.(미도시)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1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post 100, but may be coupled to a vertical rotation shaft so as to rotate by an obtuse angle with the post 100 as a vertical axis (not shown).

이러한 고정브라켓(100)은 리프트에 실장된 차량(C)의 하부로 후술하는 깔때기(410)가 위치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bracket 100 serves to allow the funnel 41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positioned under the vehicle C mounted on the lift.

한편, 지주(S)는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서 벽체형상의 기둥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10)가 차량의 리프트에 설치되는 기둥프레임에 설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작업 현장의 벽체 또는 기둥에도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를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st (S) is shown as a wall-shaped column in the drawings of the specification herein. This includes instructing an example to show that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installed on a pillar frame installed on a vehicle lift, but also installed on a wall or pillar at a work site. do.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변부(200)는 고정브라켓(100)으로부터 길이가 가변되도록 복수개의 링크가 설치된 막대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가변부(200)는 제1 프레임(210), 이동브라켓(220), 제2 프레임(230) 및 탄성부(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variable part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links are installed so that the length is variable from the fixing bracket 100. To this end, the variable part 200 includes a first frame 210, a moving bracket 220, a second frame 230, and an elastic part 240.

제1 프레임(210)은 고정브라켓(100)에 일측이 링크 결합되어 한 쌍으로 연장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frame 2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extending in a pair by linking one side to the fixing bracket 100.

여기서 제1 프레임(210)은 길이가 제한되지 않으나, 리프트에 실장되어 승강된 차량의 하부까지 깔때기(410)를 위치시키기 위해, 제2 프레임(230)이 링크 결합되는 것을 감안하여 적어도 100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ength of the first frame 210 is not limited, but in order to position the funnel 41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mounted on the lift, the second frame 230 is linked to be at least 100 cm or less. It is preferably formed.

또한, 제1 프레임(210)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탄성부(240)가 한 쌍으로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원래위치로 돌아오게 하여 작업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210 is formed in a pair and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elastic portions 240 to be described later in a pair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work.

이동브라켓(220)은 제1 프레임(210)측이 링크 결합되어 제1 프레임(210)측이 링크회전 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된다.The moving bracket 220 is moved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first frame 210 side linking and the link rotation of the first frame 210 side to change its position.

즉, 이동브라켓(220)은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30)의 링크 회전에 따라 위치가 가변된다.That is, the movable bracket 22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30 and thus its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ink of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30.

특히, 이동브라켓(220)은 고정브라켓(100)에 링크 결합된 제1 프레임(210)이 링크 회전 시, 제1 프레임(2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제2 프레임(230)이 제1 프레임(210)의 회전과 상관없이도 회전 이동하도록 회전체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the moving bracket 220 moves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210 when the first frame 210 linked to the fixed bracket 100 is rotated by the link, but the second frame 230 is 1 Serves as a rotating body to rotate and move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frame 210.

제2 프레임(230)은 제1 프레임(210)에 대향하여 이동브라켓(220)의 타측에 링크 결합되어 한 쌍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second frame 230 is link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racket 220 to face the first frame 210 and extended in a pair.

이러한 제2 프레임(230)은 제1 프레임(210)이 고정브라켓(100)으로부터 링크 회전하여 평행하게 위치하고, 이동브라켓(220)이 제1 프레임(210)에 대응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 제1 프레임(21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평행하게 위치하여 수평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second frame 230, when the first frame 210 is positioned in parallel by rotating a link from the fixing bracket 100, and the moving bracket 220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first frame 210, the first frame 210 1 The frame 210 may be positioned in parallel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to form a horizontal state.

또한, 제1 프레임(210)이 고정브라켓(100)에 인접하도록 링크 회전되더라도 제1 프레임(210)의 회전과 상관없이 이동브라켓(220)을 중심으로 절첩 또는 펴짐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link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frame 210 is adjacent to the fixing bracket 100, it may be formed in a folded or unfolded state around the moving bracket 220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first frame 210.

이와 같은 제2 프레임(230)은 일단이 이동브라켓(220)의 타측에 링크결합되고, 타단이 링크 결합되도록 무빙브라켓(231)이 구비된다.The second frame 230 is provided with a moving bracket 231 such that one end is link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racket 220 and the other end is linked to the other end.

여기서, 무빙브라켓(231)은 일측에 제2 프레임(230)이 결합되고, 타측에 수평부(300)가 결합되는 것으로,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30)이 링크 회전에 의하여 길이가 가변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Here, in the moving bracket 231, the second frame 230 is coupled to one side and the horizontal portion 30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30 are coupled by link rotation. It plays a role in allowing the length to be variable.

도 3을 참조하면, 탄성부(240)는 제1 프레임(21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고정브라켓(100)에 고정되는 제1 에어쇼바(241)와 이동브라켓(2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230)에 결합되는 제2 에어쇼바(242)로 형성된다.3, the elastic part 240 has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frame 210 and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air shock absorber 241 and the moving bracket 220 fixed to the fixing bracket 10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f a second air shock absorber 242 coupled to the second frame 230.

여기서, 탄성부(240)는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30)의 링크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차량의 폐오일을 수거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30)이 고정브라켓(100)에 인접하게 이동브라켓(2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Here, the elastic part 240 is to limi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nk of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30, collects the waste oil of the vehicle and when the work is completed,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The frame 230 rotates around the moving bracket 220 adjacent to the fixing bracket 100.

도 3을 참조하면, 수평부(300)는 가변부(200)의 일단에 링크 결합되어 가변부(200)의 링크회전에도 수평이 유지되는 것으로, 깔때기(410)가 결합되어 차량의 폐오일을 깔때기로 받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horizontal part 300 is linked to one end of the variable part 200 to maintain the horizontal level even when the link rotates of the variable part 200, and the funnel 410 is combined to remove the waste oil of the vehicle. It acts as a funnel.

특히, 수평부(300)는 가변부(200)의 회전에도 깔때기(410)가 수평을 유지해야만,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이 깔때기로(410)로 이동시, 작업장의 바닥에 폐오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해준다.In particular, the horizontal part 300 must keep the funnel 410 horizontal even with the rotation of the variable part 200, so that when the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vehicle moves to the funnel 410, the waste oil falls on the floor of the workshop. Prevents it.

도 4를 참조하면, 수거부(400)는 수평부(300)에 결합되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을 수집한다. 이를 위해, 수거부(400)는 깔때기(410), 호스(420), 드레인통(430) 및 체크밸브(4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llection part 40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art 300 to collect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vehicle. To this end, the collection unit 400 includes a funnel 410, a hose 420, a drain container 430, and a check valve 440.

깔때기(410)는 수평부(300)에 결합되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을 받는 것으로, 상부의 지름이 하부의 지름보다 넓고, 상부에서 하부로 지름이 점진적으로 좁아진다.The funnel 41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300 to receive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vehicle, and the upper diameter is wider than the lower diameter, and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to the lower portion.

호스(420)는 깔때기(410)로부터 폐오일이 유입되도록 일단이 깔때기(410)의 하부에 결합딘다.The hose 420 has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unnel 410 so that waste oil flows from the funnel 410.

특히, 호스(4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드레인통(430)에 연결되어 차량에서 배출되는 폐오일이 드레인통(430)까지 이동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the hose 42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rain container 430 to be described later, and serves to move the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vehicle to the drain container 430.

이로 인해, 호스(420)는 작업현장에서 드레인통을 작업자가 차량까지 이동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자유롭게 차량의 폐오일을 드레인통(430)으로 수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드레인통을 이동시키기 위해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해준다.For this reason, the hose 420 allows the operator to freely collect the waste oil from the vehicle to the drain bucket 430 without the operator moving the drain bucket to the vehicle at the work site. And it prevents the hassle of having to move the drain container to move the operator.

드레인통(430)은 호스(420)의 타단에 연결되어 호스(420)를 통해 이동한 폐오일을 수집하도록 지주(S)의 주변 바닥에 배치된다.The drain container 4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ose 420 and is disposed on the periphery floor of the column S to collect the waste oil that has moved through the hose 420.

체크밸브(440)는 호스(420)로 이동하는 폐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호스(420)의 일단에 구비된다.The check valve 44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se 420 to prevent the waste oil moving to the hose 420 from flowing back.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10)의 수거부(400)는 고정부(45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collection unit 400 of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unit 450.

도 1을 참조하면, 고정부(450)는 깔때기(410)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의 일단에 자석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fixing part 450, a magnet is formed at one end of a wire ext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funnel 410.

이러한 고정부(450)는 깔때기(410)를 폐오일이 배출되는 차량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깔때기(410)가 탄성부(240)에 의해 가변부(200)가 원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석을 차량의 하부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자석을 차량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30)이 링크 회전으로 고정브라켓(100)에 인접하도록 절첩 된다.This fixing part 450 is to position the funnel 410 under the vehicle from which the waste oil is discharged, and prevent the funnel 410 from moving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variable part 200 by the elastic part 240 To do this, attach a magnet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And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the magnet is removed from the vehicle, so that the first frame 210 and the second frame 230 are folded to be adjacent to the fixing bracket 100 by rotating the link.

한편, 고정부(450)는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브라켓(100) 및 무빙브라켓(231)을 서로 연결하는 에어쇼바를 구비하여 자석을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the fixing part 450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magnet by having an air shock bar connecting the fixing bracket 100 and the moving bracket 231 to each other.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량용 오일 수거장치(10')의 가변부가 변형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라 가변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 modified shape of the variable part of the oil collection device 10' for a quantit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variable unit 500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의 가변부가 가변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riable part of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변부(500)는 제1 프레임(510), 회전부(520) 및 제2 프레임(530)을 포함한다.5 and 6, the variable part 500 includes a first frame 510, a rotation part 520, and a second frame 530.

제1 프레임(510)은 고정브라켓(100)에 일측이 링크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1 프레임(510)은 막대형상으로 연장된 프레임으로 일측이 고정브라켓(100)에 링크 결합되고 타측이 후술하는 회전부(520)에 링크 결합된다.One side of the first frame 510 is linked to the fixing bracket 100 and extends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first frame 510 is a frame extending in the shape of a rod, and one side is link-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100 and the other side is link-coupled to the rotation unit 520 to be described later.

회전부(520)는 제1 프레임(510)의 타측이 링크 결합되어 제1 프레임(510) 일측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된다.The rotation unit 520 is rotat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one side of the first frame 510 by link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510.

여기서, 회전부(520)는 지주(S)를 중심축으로 제1 프레임(510) 및 제2 프레임(530)이 차량의 하부를 향하여 직각방향 만큼 회전되게 한다. 즉, 회전부(520)는 제1 프레임(510)이 고정브라켓(100)으로부터 링크 회전하되, 지주(100)를 축으로 직각방향으로 회전하여 평행을 이루고, 제2 프레임(530)이 제1 프레임(51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게 하여, 깔때기(41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한다.Here, the rotation unit 520 causes the first frame 510 and the second frame 530 to be rotat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about the post S. That is, in the rotating part 520, the first frame 510 is rotated by a link from the fixing bracket 100, and the post 100 is rotated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axis to form parallel, and the second frame 530 is the first frame. By being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510, the funnel 410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제2 프레임(530)은 제1 프레임(510)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부(520)에 링크 결합된다.The second frame 53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ame 510 and is linked to the rotating part 52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응용에 따른 가변부(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보다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차량의 폐오일을 수집할 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해 작업현장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In this way, the variable part 500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waste oil of the vehicle, and thereby, the role of allowing easy work at the work site. Do 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ranges that can be modified.

10 :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
100 : 고정브라켓
200, 500 : 가변부
210, 510 : 제1 프레임
220, 520 : 이동브라켓
230, 530 : 제2 프레임
240 : 탄성부
241 : 제1 에어쇼바
242 : 제2 에어쇼바
300 : 수평부
400 : 수거부
410 : 깔때기
420 : 호스
430 : 드레인통
440 : 체크밸브
450 : 고정부
10: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100: fixing bracket
200, 500: variable part
210, 510: first frame
220, 520: moving bracket
230, 530: second frame
240: elastic part
241: 1st air shock bar
242: second air shock bar
300: horizontal part
400: collection section
410: funnel
420: hose
430: drain bucket
440: check valve
450: fixed part

Claims (4)

차량을 바닥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리프트에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지주의 주변에 배치되는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회전축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으로부터 길이가 가변되도록 복수개의 링크가 설치된 막대프레임 형상의 가변부;
상기 가변부의 일단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가변부의 링크회전에도 수평이 유지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을 수집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
In th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disposed around a frame-shaped post formed on a lift for linearly reciprocating a vehicl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loor,
A fixing bracke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support and having a rotating shaft;
A variable part in the shape of a rod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links are installed so that the length is variable from the fixing bracket;
A horizontal portion that is link-coupled to one end of the variable portion to maintain a horizontal level even when the link of the variable portion rotates; And
It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includes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vehicl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측이 링크 결합되어 한 쌍으로 연장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이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이 링크회전 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향하여 상기 이동브라켓의 타측에 링크 결합되어 한 쌍으로 연장 형성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 에어쇼바와 상기 이동브라켓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에어쇼바로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링크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part
A first frame extending in a pair by linking one side to the fixing bracket;
A moving bracket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is linked to each other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frame is changed by moving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link rotation of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A second frame formed by linking to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bracket to face the first frame and extending in a pair; And
And an elastic portion formed of a first air shock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end fixed to the fixing bracket, and a second air shock absorber coupled to the mov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ortion restric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nk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수평부에 결합되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을 받는 깔때기;
상기 깔때기로부터 폐오일이 유입되도록 일단이 상기 깔때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호스;
상기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를 통해 이동한 폐오일을 수집하도록 상기 지주의 주변 바닥에 배치되는 드레인통; 및
상기 호스로 이동하는 폐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호스의 일단에 구비된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ection unit
A funnel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to receive waste oil discharged from the vehicle;
A hos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unnel so that waste oil flows from the funnel;
A drain contain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ose and disposed on the periphery floor of the post to collect waste oil that has moved through the hose; And
Including a check valv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se to prevent the reverse flow of the waste oil moving to the hose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측이 링크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이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일측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에 링크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part
A first frame extending in one direction by linking one side to the fixing bracket;
A rotating part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is linked and rotat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one side of the first frame; And
And a second fram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ame and linked to the rotating part.
Vehicle oil collection device.
KR1020190012761A 2019-01-31 2019-01-31 An apparatus collecting oil for vehicle KR202000950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761A KR20200095099A (en) 2019-01-31 2019-01-31 An apparatus collecting oil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761A KR20200095099A (en) 2019-01-31 2019-01-31 An apparatus collecting oil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99A true KR20200095099A (en) 2020-08-10

Family

ID=7204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761A KR20200095099A (en) 2019-01-31 2019-01-31 An apparatus collecting oil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509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250Y1 (en) 1995-02-27 1998-04-13 김태구 Oil collecting device of cars
KR100646717B1 (en) 1998-12-29 2006-11-17 벤타 에어워셔 엘엘씨. Drive mechanism for a rotating object such as roller, shaft, disk or such lik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250Y1 (en) 1995-02-27 1998-04-13 김태구 Oil collecting device of cars
KR100646717B1 (en) 1998-12-29 2006-11-17 벤타 에어워셔 엘엘씨. Drive mechanism for a rotating object such as roller, shaft, disk or such lik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498B1 (en) Road work refuse collection appartus
KR101119461B1 (en) Road dust cleaning equipment
CN208930180U (en) A kind of cleaning plant of dial plate cutting apparatus
EP3133219A2 (en) Disposal device for a vehicle
KR20200095099A (en) An apparatus collecting oil for vehicle
WO2002088471A1 (en) Telerobotic nozzle positioning system for an automated roadway debris
CN101555698A (en) Work device and emergency release system
US9067616B1 (en) Wheelbarrow drainage system
KR20150021263A (en)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KR101795746B1 (en) Closed-type gutter cleaning apparatus and road sweeper including the same
EP2821553B1 (en) Floor cleaning machine with a brush element arranged in a collecting tray
EP2014148B1 (en) A work machine with an aspiration system of solid materials
TW200949133A (en) Street lamp having lifting mechanism
KR101533921B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waste material from the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washing process
CN211205802U (en) Sampler for detecting quality of asphalt pavement
CN109571027A (en) A kind of aluminium alloy drilling device with protection operator's function
JP2009106170A (en) Riding-type tea garden tending machine
JP2004182412A (en) Scatter preventing device at the time of stacking earth and sand
JP2015155595A5 (en)
KR20170022157A (en) Crop harvesting device equipped with leveling device
JP6214992B2 (en)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work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scattering prevention method
JP6782217B2 (en) Work machine
KR101350256B1 (en) Assembly for water catchment
KR20200032395A (en) Manhole Fixing Facility Ground Cutting Device
JP3205121U (en) Vehicle oil cha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