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494A - Sound space building structure that produces sound amplification and excellent reverberation by inducing sound-focusing without amplifier equipments - Google Patents

Sound space building structure that produces sound amplification and excellent reverberation by inducing sound-focusing without amplifier equip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494A
KR20200094494A KR1020190012046A KR20190012046A KR20200094494A KR 20200094494 A KR20200094494 A KR 20200094494A KR 1020190012046 A KR1020190012046 A KR 1020190012046A KR 20190012046 A KR20190012046 A KR 20190012046A KR 20200094494 A KR20200094494 A KR 20200094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sound
wing plate
building structure
induction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3431B1 (en
Inventor
이형호
Original Assignee
이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호 filed Critical 이형호
Priority to KR102019001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431B1/en
Publication of KR2020009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4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27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creens ; Arrangements of sound-absorbing elements, e.g.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space construction structure for amplifying sound and producing optimal reverberant sound by sound focusing without acoustic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space construction structure comprises: a plurality of acoustic guiding wing plates arranged to stand up on an upper portion of a reference floor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acoustic reflection wall; and a rooftop viewing floor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floor surface at a predetermined h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dience satisfaction can be greatly increased.

Description

사운드 포커싱을 통해 음향 장비 없이도 소리의 증폭과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 내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SOUND SPACE BUILDING STRUCTURE THAT PRODUCES SOUND AMPLIFICATION AND EXCELLENT REVERBERATION BY INDUCING SOUND-FOCUSING WITHOUT AMPLIFIER EQUIPMENTS} SOUND SPACE BUILDING STRUCTURE THAT PRODUCES SOUND AMPLIFICATION AND EXCELLENT REVERBERATION BY INDUCING SOUND-FOCUSING WITHOUT AMPLIFIER EQUIPMENTS}

본 발명은 건축 평면 중앙부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개방 공간에서 음악 공연, 연설, 결혼식 등의 야외 행사를 진행할 경우 중앙 무대에서 발생된 소리가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으로 유발되는 사운드 포커싱 및 공명 현상에 의해 자체적으로 증폭이 일어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나 앰프와 같은 확성 장비 없이도 청중 또는 관객이 만족스러운 음량으로 순수 원음의 청취가 가능하며, 아울러 소리의 질적인 면에 있어서도 음향의 반사 및 흡음, 간섭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도록 유도함으로써 맑고 투명한 최적 잔향을 만들어낼 수 있는 건축 구조물의 구조적 특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open-type building structure having a space with an open top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plane, and more specifically, a sound generated in a central stage when performing an outdoor event such as a music performance, speech, or wedding in the open space. Amplification occurs by sound focusing and resonance phenomena caus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emporary structure, so that audiences or audiences can listen to pure original sound at a satisfactory volume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speakers or amplifiers. In terms of quality, it relates to the structural features of architectural structures that can create a clear and transparent optimum reverberation by inducing sound reflection, sound absorption, and interference in an appropriate harmony.

최근 들어 기존에 실내 공연장에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여러 종류의 행사들, 예컨대 음악 콘서트, 결혼식, 문화 행사, 강연, 연설 등의 행사를 진행함에 있어 개방감, 특색있는 느낌, 자유로운 분위기 등을 추구하기 위해 실내를 벗어나 야외 행사로 진행되는 경우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공연 행사의 경우 관객들의 거동이 구속되지 않으므로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어 내면서 관객들에게 개성 있고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기본적으로 날씨 및 기후의 영향에 매우 민감하며, 아울러 공간적으로 밀폐된 실내에서와는 달리 소리가 개방된 외부 공간으로 그대로 퍼져 나감으로써 음향 손실이 크고 관객들에게 소리의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Recently, in order to pursue openness, characteristic feeling, and free atmosphere in conducting events such as music concerts, weddings, cultural events, lectures, speeches, etc. It is a trend that the number of cases that go outside and indoors as outdoor events is increasing. In the case of an outdoor performance event, the behavior of the audience is not restricted, so it has the advantage of creating a free atmosphere and giving the audience a unique and fresh feeling, whereas it is basically very sensitive to the effects of weather and climate. In addition, unlike in a spatially closed room, the sound spreads as it is into an open exterior space, resulting in high acoustic loss and poor sound transmission to the audience.

특히, 이러한 야외 공연에 있어 문제가 되는 음향적인 면에서의 단점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연주나 공연 등의 경우 무대에서 발생된 음이 벽체, 천장 및 바닥에 의해 반사되고 이와 같은 반사음이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울려 잔향음을 만들어 냄으로써 음향적으로 충만한 느낌과 공간감을 느낄 수 있으나, 이에 비해 실외 공연의 경우 무대에서 발생된 음이 반사됨이 없이 그대로 개방된 외부로 확산되므로 음향 손실이 크게 일어나 충분한 음량으로 감상이 어려울 뿐 아니라 소리의 울림이 없어 관객들에게 빈약하고 메마른 느낌의 소리로 전달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연주자의 입장에서도 공연 중에 자신의 연주 소리를 들으면서 공연해야 함에도 실외 공연에서는 자신의 연주 또는 가창음이 공연자에게 반사음을 통해 전해지지 못하므로 이와 같은 연주 모니터링이 매우 어려우며, 반대로 주변 소음들은 연주자에게 그대로 산만하게 들리게 되어 연주자의 집중력이 저하되고 수준 높은 공연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particular, when looking more specifically at the acoustic disadvantages that are problematic in such outdoor performances, in the case of performances or performances performed indoors, the sound generated on the stage is reflected by the walls, ceiling and floor, and By creating a reverberation sound by reverberating in a closed indoor space, you can feel the acoustically full feeling and space, but in contrast, in the case of outdoor performances,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tage diffuses to the open outside without being reflected, resulting in loss of sound.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it was not only difficult to appreciate with sufficient volume, but also the sound of the sound was poor and dry to the audience because there was no echo of sound. In addition, even in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er, while performing the performance while listening to the sound of one's own performance, it is very difficult to monitor such performance because the performance or singing sound is not transmitted to the performer in the outdoor performance. As it sounded distracted as it wa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performer was lowered and the high-level performance was difficult.

따라서, 이러한 야외 공연 등의 행사에 있어 종래에는 관객들이 무대 공연음을 충분한 음량으로 들을 수 있도록 별도의 스피커, 앰프와 같은 음향 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있었는바,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음향 장비의 사전 설치 및 공연 후 회수에 따른 시간, 비용 및 노력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아울러 관객에게 있어서는 무대 공연음을 순수 원음 그대로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음향을 듣는 것이기 때문에 관객의 만족도가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in the event of such outdoor performances, it has been said that conventional sound equipment such as a separate speaker and amplifier is essential to allow the audience to hear the stage performance at a sufficient volume. It took a lot of time, cost, and effort for pre-installation and recovery after the performance, and the audience's satisfaction is lowered because the audience is listening to the sound coming out of the speaker rather than listening to the original performance sound as it is. There was.

또한, 실내 공연의 경우 무대 원음과 함께 벽, 바닥, 천장 등에서의 반사음 및 잔향음을 함께 들으면서 감상이 이루어지므로 음향적으로 입체적이고 풍부한 느낌을 받을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음향 장비를 통해 공연을 감상하는 경우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소리를 감상하는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실내 공연에 비해 소리가 평면적이고 건조한 느낌으로 전달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에 대해 종래에도 메인 스피커 외에 공연장의 외측 주변으로 별도의 서라운딩 스피커들을 다수 배치하여 실내 공연시의 반사음 및 잔향음과 유사한 효과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키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대한 대표적인 예로서 선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5451호 및 제20-0316692호를 들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ndoor performances, while listening to reflections and reverberations from walls, floors, ceilings, etc. together with the original sound of the stage, listening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receive a stereoscopic and rich feeling acoustically. In this case, since the sound coming out from the speaker installed in a certain position is appreciable, there is a limit that the sound must be transmitted in a flat and dry feeling compared to the indoor performance as described above. Regarding these shortcomings, in addition to the main speaker, a number of separate surround speakers are arranged around the outside of the venue to artificially generate effects similar to reflections and reverberations during indoor performances.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s. 20-0295451 and 20-0316692 are pre-registered.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은 야외 잔향 부가용 시스템 및 스피커 장치에 관한 고안으로서, 도6에 도시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들에서는 직접음을 출력하는 메인 스피커에 부가하여 초기 반사음 스피커와 잔향음 스피커를 다수 구비하고 이 스피커들을 야외 공연장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야외 공연시 인위적으로 공연장 주변에 반사벽을 설치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만들어 내면서 실내 공연장에서의 반사음과 잔향음으로 인해 느껴지는 공간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The pre-registered utility model is a design for an outdoor reverberation adding system and a speaker device, and as shown in the drawing shown in FIG. 6, the pre-registered utility models have an initial reflection sound speaker in addition to the main speaker outputting direct sound. With a large number of and reverberation speakers and arranging these speakers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outdoor venue, it creates an effect similar to artificially installing a reflective wall around the venue during outdoor performances, while creating the effect similar to the reflection and reverberation in the indoor theater. It is configured to get.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스피커의 추가 설치로 인하여 공연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야외 공연 시마다 숙련된 기술자의 음향 장비 설치 및 철거 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사전 공연 준비와 뒷정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도 음향적인 면에서 부가적인 스피커의 설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반사음과 잔향음 효과를 내려 하더라도 이와 같은 스피커를 이용한 인위적 효과를 통해서는 실내 공연과 같은 입체감과 여운을 느끼기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such a speaker, the cost required for performance is greatly increased, and sound equipment installation and demolition work by skilled technicians is required for each outdoor performance,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rearrange the performance in advance. It takes time and effort, and above all, even though the reflection and reverberation effects are indirectly reduced through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speakers in terms of acoustics, the artificial effects using these speakers creat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fterglow like an indoor performance.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re was a limit to feeling.

따라서, 본 발명은 음악 공연, 연설, 결혼식 등의 행사를 야외에서 진행할 경우 중앙 무대에서 발생된 소리가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자체적으로 확성 작용이 일어남으로써 청중 또는 관객이 실내 공연에 못지않게 뚜렷하고 만족스러운 음량으로 청취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스피커나 앰프와 같은 음향 장비 없이도 야외 공연 등의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vent such as a music performance, a speech, a wedding, etc. is performed outdoors, the sound generated in the central stage is self-proliferating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so that the audience or audience is as clear and satisfied as the indoor performance. The object to be solved is to provide an architectural structure that can perform events such as outdoor performances without sound equipment such as speakers or amplifiers because it is possible to listen at a loud volum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야외 행사시에 관객들이 음향 장비를 통하지 않은 순수 원음으로 공연 등을 감상할 수 있으므로 관객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소리의 질적인 면에 있어 음향의 반사 및 흡음, 간섭이 적절한 조화를 이룸으로써 맑고 투명한 최적 잔향을 만들어낼 수 있는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enhance the audience's satisfaction at the outdoor even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audience can appreciate performances, etc. in pure original soun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ound equipment. In particular, sound reflection and sound absorption in terms of sound qualit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chitectural structure capable of producing an optimal reverberation that is clear and transparent by interfering with proper interferenc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은 기준 바닥면 상에 시공 설치되는 상부 개방형 건축 구조물로서, 상기 기준 바닥면 상의 한 점을 평면상 중심점으로 하고, 상기 기준 바닥면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세워지며, 상기 기준 바닥면 상의 중심점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상 곡선 프레임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음향유도 날개판과; 상기 기준 바닥면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벽체 구조물로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연결되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평면상으로 동일한 곡선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일정한 음향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음향반사 벽체 및; 상기 기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음향반사 벽체의 상부에서 상기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루프탑 관람 플로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open building structure constructed and installed on a reference floor surface, with one point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as a center point on a plane, and the reference floor A plurality of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which are er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and are radially arranged at a distance from a center point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to be formed to form a curved frame frame in a whole; As a wall structure erected and installed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is connected to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and has the same curved shape in a plane with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and is installed to form a constant acoustic space inward. ; And a roof top viewing floor,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ference floor surface, and extends from the top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point on the plane of the reference floor surface.

여기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은 전체적으로 장변과 단변을 갖는 단면 형상이 상하로 이어진 기둥형 부재로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은 그 단면의 장변 방향이 각각 상기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을 향하도록 하여 방사상 배치를 이루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단면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음향반사 벽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평면상 중심점을 향한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Here, the acoustic-inducing wing plate is a columnar member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as a whole, and the acoustic-inducing wing plates each have a long side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facing the center point in the plane of the reference bottom surface. At the same time as being installed to form a radial arrangement, all or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from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toward the center point in the plane.

이때,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은 상기 기준 바닥면의 중심점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에 설치됨으로써 상부에서 보았을 때 평면상 정원(正圓) 형태, 또는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reference bottom surface, so that when viewed from the top, they form a flat garden shape or a circular arc with one side partially open. It is preferably installed.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원 건축 구조물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은 상기 음향반사 벽체에 비해 더 높은 흡음률(absorption coefficient)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표면에 음향반사 벽판에 비해 더 높은 흡음률(absorption coefficient)을 갖는 재질로 된 흡음 마감층을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ore preferred configuration for the acoustic park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absorption coefficient (absorption coefficient) than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or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t can be constructed by further forming a sound absorbing finish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absorption coefficient than the acoustic reflective wallboard.

나아가, 본 발명의 음향 공원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의 사이에는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가지는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이 수평 방향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coustic park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원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음악 공연, 연설, 결혼식 등의 행사를 야외에서 진행할 경우 중앙 무대에서 발생된 소리가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유발되는 사운드 포커싱 및 공명 현상에 의해 자체적으로 확성 작용이 일어남으로써 청중 또는 관객이 실내 공연에 못지않게 뚜렷하고 만족스러운 음량으로 청취가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야외 공연 진행시 별도의 스피커나 앰프와 같은 음향 장비 없이도 관객이 무대 공연음을 순수 원음 상태로 감상할 수 있으므로 관객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und park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n event such as a music performance, a speech, a wedding, etc. is performed outdoors, the sound generated in the central stage is self-contained by sound focusing and resonance phenomenon caus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With the amplification effect, the audience or the audience can listen with a clear and satisfactory volume as much as the indoor performance, and accordingly, when the outdoor performance is performed, the audience performs pure sound of the stage performance without sound equipment such as speakers or amplifiers. Since it can be enjoyed in a state, it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audience satisfaction.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음향 공원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소리의 질적인 면에 있어 무대 원음과 공명음 및 잔향음을 함께 들을 수 있으므로 야외 공연의 단점인 소리가 건조하고 빈약하게 들리는 점을 극복하여 실내 공연에서와 같이 입체적이고 울림 및 여운이 있는 풍성한 느낌의 음향으로 감상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음향의 반사 및 흡음, 간섭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게 됨으로써 적절한 울림과 맑고 투명한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coustic park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sound of the stage and the resonance sound and reverberation sound can be heard together in terms of the quality of sound, the sound that is a disadvantage of the outdoor performance is overcome by dry and poor sound. As in indoor performances, it can be enjoyed as a three-dimensional, rich sound with ringing and lingering soun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und reflection, sound absorption, and interference are in proper harmony, so that the appropriate sounding and clear and transparent optimum reverberation are achiev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duce notes.

또한, 중앙 무대부의 연주자들에게 있어 일반적인 야외 공연에서는 개방된 외부로 공연음이 그대로 퍼져 나감으로써 자신의 연주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기 어려웠던 점에 대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음향 공원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반사음을 통해 자신의 공연음을 들으면서 공연할 수 있으므로 연주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되며, 아울러 공연이 이루어지는 무대부와 관람 플로어 간의 레벨 차이로 인해 공연자에게 전달되는 주변 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연주자의 집중력 유지에 유리하고 수준 높은 공연 퍼포먼스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coustic park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as difficult for the performers of the central stage to monitor their performance by spreading the performance sound to the open outside in a general outdoor performance. Through this, you can perform while listening to your own performances, so you can monitor performances. In addition, because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stage where the performance is performed and the viewing floor can block the ambient noise transmitted to the performers, it is advantageous for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erformers and level.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aintain high performance performance can also be expected.

도1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대한 상부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대한 입단면도로서 도1의 A-A'선에 따라 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대하여 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대하여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의 음향 효과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6은 종래의 야외 공연 잔향 부가 시스템에 대한 스피커 배치도이다.
1 is a top plan view of an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elevational view of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nother sid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ound effect in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peaker layout for a conventional outdoor performance reverberation addition system.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지상에 건축 구조물을 세워 시공하되 건축 평면상 중앙 부분에는 천정을 두지 않아 상부가 오픈·개방되어 있으며 주위에 구조물에 의해 둘러싸여지도록 한 형태의 공간을 갖는 중정(中庭)형 건축 구조물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중정부에 해당하는 상부 개방 공간에서 야외 연주, 공연 등을 하는 경우에 별도의 음향 장비 없이도 연주를 듣는 관객이 실내 공간에서의 연주에 못지않은 공간감과 잔향음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음향 공간을 구조적으로 구성하여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rtyard-type building structure constructed and constructed with a building structure on the ground, but not having a ceiling at a central portion on the building plane, so that the upper part is open and open, and has a space in a form that is surrounded by the structure around it. As an inven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e of space and reverberation that is comparable to the performance in an indoor space by an audience listening to performance without additional sound equipment when performing outdoor performances or performances in the upper open space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govern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intended to construct and implement an acoustic space that allows you to feel the structure.

도1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대한 상부 평면도이고 도2는 입면도를 나타내 도시한 것으로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기준 바닥면(100) 상에 소정 간격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평면상 곡선 프레임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연결 설치되어 평면상으로 동일한 곡선 형태를 가지며 벽면 내측으로 둘러싸인 음향 공간(200)을 형성하는 음향반사 벽체(20)와; 상기와 같이 세워진 음향유도 날개판(10) 및 음향반사 벽체(20)의 상부 일정 높이에서 원호 중심(CP)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루프탑 관람 플로어(30);를 기본적 구성으로 포함하고 여기에 기준 바닥면(100) 상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음원 무대부(5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1 is an upper plan view of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elevation, an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a reference floor surface. A plurality of acoustically guided wing plates 10 erected and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100 to form a curved frame shape on the whole; An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having the same curved shape in a plane and forming an acoustic space 200 enclosed inside the wall surface; Included as a basic configuration and a rooftop viewing floor 30 which is install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arc (CP) at a certain height above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ound source stage portion 50 installed in the center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또한,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기준 바닥면(100) 상에서 평면상 중심점(CP)을 원호 중심으로 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방사상 배치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이때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와 연결 설치됨에 있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벽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내측(즉, 원호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rcs the center point CP on the plane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It is installed so as to form a radial arrangement with a certain distance as the center, wherei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connected to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to be installed inside a certain length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a form protruding (i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arc).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을 이루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상기 기준 바닥면(100)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기둥형 부재로서,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기준 바닥면(100) 상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다수개의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은 기준 바닥면(100) 상의 한 점을 중심점(CP)으로 하여 이 중심점(CP)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도1과 같이 평면상 곡선 형태로 된 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First,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a pillar-shaped member which is erected and installed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and in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shown in FIGS. 1 and 2. As shown in the plurality are installed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each other, wherein the plurality of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the center point (CP) of a point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By being arranged radially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is central point CP, it is installed to form a frame structure in a planar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또한,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단면 형태가 상하로 길게 이어진 기둥형 부재이며, 여기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의 단면 형태는 전체적으로 장변과 단면을 갖는 직사각형의 기둥 형태로서 그 장변 방향이 내측 공간 방향으로, 즉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CP)을 향하도록 방향을 맞추어 각각 설치된다. 즉, 후술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의 음원 무대부(50)에서 발생된 음향이 음향반사 벽체(20)에 의해 반사되고 이 반사음이 중앙부로 함께 집중되면서 공명 현상이 일어나게 함으로써(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음향 집중에 의한 증폭 효과를 사운드 포커싱(Sound Focusing) 작용이라 명명하고 있다) 음향 장비 없이 큰 음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인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각각의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의 방향이 중심점(CP)을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난반사되는 반사음을 일정하게 잡아 주고 반사음의 방향을 중앙부로 집중 유도하여 상기와 같은 사운드 포커싱 현상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특히 고려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a columnar member in which a generally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extends up and down,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a long side and As a rectangular column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each of the long sides is installed in an inner space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to face the center point CP on the plane of the reference floor. That is, a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operation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central sound source stage portion 50 is reflected by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nd this reflected sound is combined with the central portion By causing the resonance phenomenon while being concent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lification effect by the sound concentration is called a sound focusing action), so that a large volume can be obtained without sound equipment. Likewise, by arranging the direction of each acoustic-inducing wing plate 10 toward the center point CP, the reflected sound that is diffusely reflected is fixed, and the direction of the reflected sound is concentrated and directed to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sound focusing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can occur smoothly. To be especially considered.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은 기준 바닥면(100) 상에 설치됨에 있어 상기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CP)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를 두고 설치됨으로써 상부에서 보았을 때 일측이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에는 음향반사 벽체(20)가 연결되어 음향 공간(200) 내부에서 발생된 소리가 음원 무대부(50) 방향으로 반사되어 되돌아 가도록 되어 있는데, 만약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의 평면상 중심점(CP)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지 않고 일부 차이가 있도록 실시되는 경우에는 음향반사 벽체(20)로부터의 반사음이 중심점(CP)에 도달하는 시간에 차이가 생기게 되어 동일한 내용의 반사음이 다른 방향으로부터 연속하여 시차를 두고 릴레이식으로 도달함으로써 음원 무대부(50)에서 공연하는 연주자에게는 마치 메아리의 울림과 같은 형태로 들릴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reference bottom surface 100 from the center point (CP) on the plane of the referenc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By being installed at the same distance, when viewed from the top, one side can be installed to form an open arc. That is, according to the main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below,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connected to an acoustic reflection wall 20, so that sound generated inside the acoustic space 200 is a sound source stage unit 50. It is intended to be reflected back in the direction, but i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CP) in the plane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is not all the same and is implemented so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ime when the reflected sound from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reaches the center point CP, so that the reflected sound of the same content is continuously relayed with different time lags from different directions to perform in the sound source stage unit 50 For the performer, it can sound like an echo.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반사음의 시차로 인한 연주자의 혼란 등을 방지하기 위해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의 원호 중심(CP)에 대한 거리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원형 배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며, 다만 상기와 같은 단점을 어느 정도 감안하고 실시하는 경우에는 정원(正圓) 또는 원호(圓弧) 형태가 아닌 타원형 등 다른 곡선 형태나 굴곡 있는 곡선 형태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실시 형태 역시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o prevent the confusion of the player due to parallax of the reflected sound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to the arc center CP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10 is substantially the same. By doing this, it will be said that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form a circular arrangement. However, in the case of carrying out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to some extent, other curved shapes or curved curves such as elliptical shapes, rather than garden or circular arc shapes, are used. It may be configured as a form, but such an embodiment should also be understood as belongi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basically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1에서는 상기와 같은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을 실시함에 있어 원형 형태 중의 일부분이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로 구성한 예로서 도면상 하부측에 약 90°범위로 개방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1에서 보는 것과 같이 평면상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로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을 배치 시공하는 경우, 이 개방된 각도 범위는 원호 중심에서 120°범위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 범위를 초과하여 개방되는 경우(예컨대 반원형 평면)에는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에 해당하는 사운드 포커싱 효과가 충분히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On the other hand, in FIG. 1, as an example in which some of the circular shapes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open circular arc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10, the shape is opened in the range of about 90° to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Is showing.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when the acoustically guided wing plates 10 are arranged in a form of an arc partially open on one side in a plane, the open angular range is 120° from the center of the arc. It is preferable not to exceed, and when it is opened beyond this range (for example, a semi-circular plane),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sound focusing effect corresponding to the main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icult to occur sufficiently.

아울러,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에 따라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후술하는 음향반사 벽체(20)와 비교하여 흡음 성능면에서 더 높은 흡음률(absorption coefficient) 또는 흡음 계수를 갖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음향반사 벽체(20)에서 반사된 음을 중심부 방향으로 집중시켜 사운드 포커싱 현상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인데, 이때 반사음이 너무 과하게 되면 음질 면에서 다소 울림이 심하고 조악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음향유도 날개판(10)이 음향반사 벽체(20)에 비해 더 높은 흡음률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원음에 대한 일부 흡음이 이루어지게 하여 반사음의 레벨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형태에 따라 본 발명은 음의 흡음과 반사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최적의 잔향음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 외에도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의 표면에 높은 흡음률을 갖는 재질을 더 부착하거나 코팅하는 등의 방법으로 흡음 마감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ccording to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has a higher sound absorption rate in terms of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described later. (absorption coefficient) or more preferably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a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configured to induce sound focusing phenomenon by concentrating the sound reflected from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toward the center, wherein the reflected sound is too excessive. When it comes to sound quality, you can feel the sound a little harsh and coarse. Therefore, for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to have a higher sound absorption rate than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s described above, thereby adjusting the level of the reflected sound by partially absorbing the original sound. According to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that an optimum reverberation sound can be generated through proper harmonization of sound absorption and reflection.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also practical to perform a method of forming a sound absorbing finish layer (not shown) by attaching or coating a material having a high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on the surface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or the like. As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in such a for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를 경우,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어느 정도 흡음 성능이 있는 목재 재질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나무 재질의 기둥을 사용하거나, 금속제 각파이프 등 다른 재질의 기둥 부재 표면에 목재 패널을 부착하여 마감하는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목재의 경우 주파수에 따라 다르나 흡음률이 5 ~ 10% 정도로서 기본적으로 흡음률이 높지는 않지만, 부재 내부에 빈 공간이 많을수록 흡음률이 크게 증가하므로 목재 부재 내부의 공간 점유율 조정을 통해 흡음률(또는 흡음 계수)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can be carried out using a wood material having a certain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basically using a wooden pillar, or metal square pipe It can be carried out by attaching a wood panel to the surface of a pillar member of another material, such as finish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wood, although the sound absorption rate is 5 to 10% depending on the frequency, the sound absorption rate is not basically high, but the more the empty space inside the member, the greater the sound absorption rate is, so the sound absorption rate (or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space occupancy rate inside the wooden member. ) Can be adjusted as needed.

이때, 상기와 같은 나무 기둥 또는 목재 패널의 경우 야외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방부 처리되고 변형이 완료된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상기와 같은 나무계 재질 외에도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예컨대 금속제 각파이프 표면에 흡음성 재료의 부착, 도색 또는 뿜칠 시공, 합성수지 부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등 다른 재질의 부재를 사용하거나 콘크리트 타설 성형 등의 다른 시공 방식으로도 실시 가능하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wooden poles or wood panels as described above,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wood that has been preservatively processed and modified because it is installed outdoor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wood-based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inducing wing plate 1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each pipe made of metal, for example, by attaching, painting or sprinkling construction, synthetic resin member, precast concrete member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ther materials such as concrete casting or other construction methods such as casting.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내측으로(즉, 평면상 중심점(CP)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이는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효과인 사운드 포커싱 현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고려한 구성상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즉,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표면에서 음향이 반사됨에 있어 실질적으로 음향의 일정 부분은 음향반사 벽체(20) 표면에서 난반사되고 이에 따라 반사음이 분산되어 무대 중심 방향으로 충분히 되돌아가지 못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음향유도 날개판(10)을 설치 구성함에 있어 음향반사 벽체(20)의 표면으로부터 무대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음향반사 벽체(20)에서 반사되는 음향을 중심 방향으로 유도하여 집중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사운드 포커싱 작용).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라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상기와 같은 사운드 포커싱 작용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돌출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돌출 길이는 기본적으로 최소한 8cm 이상이 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15 ~ 30cm가 적당하다. 다만,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의 돌출 길이는 8cm 이하로 될 경우 사운드 포커싱 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지만, 30cm를 넘겨 다소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실시하는 경우에는 공간 설계 및 시공상 문제점이 없는 범위에서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a predetermined length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point CP in the plane) It is configured to protrude, which is one of the structural features consid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induce a sound focusing phenomenon, which is the main technical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sound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 certain portion of the sound is diffusely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nd thus the reflection sound is dispersed so that it cannot sufficiently return to the center of the s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reflected from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centered by protru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toward the center of the stage in the construction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s described above. It has the feature of inducing and focusing (sound focusing ac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should be protruded to a sufficient length so that the sound focusing ac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the protruding length should be at least 8 cm or more. , Preferably 15 to 30 cm. However, whe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8 cm or less,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ound focusing action. However, when it is carried out so as to protrude to a rather long length beyond 30 cm, space design and construction problems It can be adjusted to some extent within this range.

나아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물에는 상기와 같은 수직 방향의 음향유도 날개판(10)에 부가하여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동일한 단면 형태로 기준 바닥면(100)에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and 2, in the acoustic spac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5 is provided. It can be further installed. The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5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parallel to the reference bottom surface 100 in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described above.

이때, 상기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 역시 본 발명에 있어 사운드 포커싱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주요 구성 요소로서, 상기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을 부가하는 경우 음향이 상부로 퍼져 나가 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잡아 줄 수 있어 본 발명의 사운드 포커싱 작용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의 음원 무대부(50)에서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의 작용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올라가는 반사음이 아래쪽 무대 중앙부로 유도되어 되돌려 보내지므로 자신의 연주음을 들으면서 모니터링하기에 매우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15)의 수직 위치는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의 전체 높이의 대략 중앙부 높이 정도가 적당하고 이 설치 위치는 음향유도 날개판(10) 및 음향반사 벽체(20)의 전체 높이 및 원호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다소 변경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5 is also a main component that enables the sound focusing effect to be more smoothly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5 is added, sound spreads upwar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atch the dispersion of the naga,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sound focusing 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ven for a player playing in the central sound source stage unit 50, the reflected sound rising in the upper direction by the action of the horizontal sound-inducing wing plate 15 as described above is guided to the lower stage center unit and sent back, so that the player's own sou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hieve very advantageous effects for monitoring while listen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5 is appropriately about the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overall height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 Depending on the overall height an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arc, it can be changed somewhat.

다음으로,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벽체 형태의 구조물로서,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의 외측에 연결되어 기준 바닥면(100) 상에 세워져 설치된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는 평면상으로 볼 때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동일하게 원호형의 곡선 형태를 가지도록 실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표면은 원호 중심점(CP)을 향한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룸으로써 중앙부의 원호 중심점(CP)으로부터 입사한 음향을 반사하여 원 방향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도록 설치된다. Next,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wall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the outer side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s shown in FIGS. 1 and 2. It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As shown in Figure 1,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curved shape in the same arc shape as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described above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accordingly,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The surface of (20) is install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toward the arc center point (CP) to reflect the sound incident from the arc center point (CP) in the center portion and return it to the original direction.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는 음향을 반사하여 공명 현상을 통해 음향의 자체 증폭을 일으키는 구성으로서,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함께 본 발명의 사운드 포커싱 작용을 발생시키는 핵심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reflects the sound and causes self-amplification of the sound through a resonance phenomenon, and the sound foc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described above Corresponds to the key components that trigger action.

상기와 같은 음향반사 벽체(20)는 입사한 소리를 그대로 반사해 되돌려 보낼 수 있도록 매끈한 표면을 가지면서 음향 반사율이 높은 부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재질로는 유리 패널이 가장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재질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패널, 합성수지 패널, 평활하게 표면 가공된 대리석, 평활한 노출 콘크리트 등의 다른 재질도 가능하며, 상기한 재료 부재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예컨대 유리 패널과 알루미늄 패널의 조합 등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as a member having a high acoustic reflectance while having a smooth surface to reflect and return the incident sound as it is, and a glass panel may be most preferably used as such a material. have. In addition to this, as the material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other materials such as a metal panel such as aluminum, a synthetic resin panel, smoothly surface-treated marble, and smooth exposed concrete are also possible, and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material members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a glass panel and an aluminum panel can also be implemented.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음향반사 벽체(20)가 결합되는 형태에 있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를 일체화된 벽체로 시공하고, 이 음향반사 벽체(20)의 내측면(즉, 원호 중심 방향)에 음향유도 날개판(10)을 별도 부재로서 밀착하여 연결 시공한 예를 보이고 있으나, 이와 같은 실시 형태 외에도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으로 창호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음향유도 날개판(10)들의 사이에 별도의 유리 패널을 끼워 고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시공하여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and 2 in the form of the above-described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combine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constructed as an integrated wall and , Although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that is, in the circular arc center direction) as a separate member, an example is shown, but in addition to this embodiment,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the window frame with (10) and construct it in such a way that a separate glass panel is fixed between the sound-inducing wing plates (10).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음향반사 벽체(2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벽체 구조물 형태를 이루면서 그 안쪽으로 중정 형태의 공간부로서 일정한 음향 공간(20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음향 공간(200) 내의 평면상 중앙부에는 음원 무대부(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음원 무대부(50) 위에서 공연/연주 등에 의해 발생된 음향은 상기한 음향반사 벽체(20) 및 음향유도 날개판(10)에서의 음향 반사 및 집중 유도에 의해 자체 증폭이 일어남으로써 별도의 음향 장비 없이도 루프탑 관람플로어(30)의 상부에서 관람하는 관람객이 감상하기에 충분한 음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form a circular wall structure as a whole, and a space portion of the courtyard shape therein. As a result, a certain acoustic space 200 is formed. In addition,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sound source stage unit 50 may be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n a plane in the acoustic space 200, and the sound generated by performance/playing on the sound source stage unit 50 may be Self-amplification occurs by acoustic reflection and concentration induction in one acoustic reflecting wall 20 and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so that visitors who view from the top of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can watch without additional sound equipment. To generate enough volume.

상기 루프탑 관람플로어(3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상부측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수평 연장 설치되는 천장 구조물로서 그 하부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내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상부에는 옥상과 같은 형태로 관람객이 올라가 상기한 음원 무대부(50)가 있는 음향 공간(200)에서 진행되는 공연 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루프탑 관람플로어(30)는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최상단으로부터 약간 내려온 높이에서 수평으로 설치됨으로써 음향반사 벽체(20)와 음향유도 날개판(10)의 높이를 최대한 높이도록 한 예를 보이고 있으나,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의 최상단 높이에서 루프탑 관람플로어(30)를 설치하고 안전 난간(도시되지 않음) 등의 안전 시설물을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2에 따르면 상기 루프탑 관람플로어(30)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실시 설계에 따라 다소 경사진 형태로 시공하여도 무방하다.1 and 2,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is a ceiling structure that is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to the outside, and the lower portions thereof are shown in FIGS. 1 and 2 The indoor space is formed and used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and on the upper side, a spectator climbs in the form of a rooftop to enjoy performances performed in the sound space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ound source stage 50. Can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height slightly lower than the top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nd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lthough an example is shown so as to be as high as possibl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nd construct a rooftop viewing floor 30 at the highest level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nd install safety facilities such as a safety railing (not shown). In addition, according to Figure 2,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is shown in a form parallel to the ground, but may be constructed in a slightly inclined form according to a specific implementation design.

도3 및 도4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태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3 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원호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건축 구조물을 배치하여 건축 평면 중앙부에 상부가 개방된 원형 평면의 중정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 상기 중정 공간을 이루는 면은 다수의 음향유도 날개판 및 음향반사 벽체의 결합에 의한 벽면 구조물을 세워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음향유도 날개판 및 음향반사 벽체에 의해 평면 중앙부에 상부가 개방된 원형의 음향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3 및 도4에서는 도면상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식별 부호의 표기는 생략하였다.3 and 4 are three-dimensional views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arc center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building structure is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to form a space in the form of a courtyard in a circular plane with an open top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plane.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in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forming the courtyard space is made by erecting a wall surface structur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and acoustic reflection walls, and such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and sound A circular acoustic space with an open top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ne by the reflective wall. Meanwhile, in FIGS. 3 and 4, the notation of a separate identification code is omitted to prevent congestion in the draw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의 구체적인 실시에 있어 원호 중심으로부터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음향반사 벽체까지의 거리, 즉 원호 반경은 대략 15 ~ 35 m 범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앙의 음원 무대부로부터 루프탑 관람플로어 상부의 관객과의 거리와 음향이 상기 음향반사 벽체에 부딪쳐 중심부로 돌아오는 시차 및 원음과 반사음의 조화에 의한 공명 현상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는 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최적 잔향음을 만들어내기에는 15 ~ 25 m 거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In the concrete implementation of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arc to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and the acoustic reflecting wall, that is, the arc radius is preferably performed in a range of approximately 15 to 35 m. This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ound source stage to the audience on the rooftop viewing floor and the distance from which the sound hits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and returns to the center, and the distance at which resonance can occur smoothly by harmonizing the original sound and the reflected sound. As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it is judged that a distance of 15 to 25 m is most suitable for producing an optimum reverberation sound from the above viewpoint.

또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음향반사 벽체 구조물의 높이는 상기한 원호 중심으로부터 음향반사 벽체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대략 3 ~ 8 m 높이로 실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and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structure may b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arc to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and may be performed at a height of approximately 3 to 8 m.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사운드 포커싱 현상에 의한 음향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서의 음향 효과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향 효과와 관련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sound effects due to sound focusing phenomena occurring in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ound effect in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sou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반사 벽체(20)와 음향유도 날개판(10)으로 둘러 싸인 형태로 건축 평면상 중앙부에 음향 공간(200)을 형성하고, 상기 음향 공간(200) 내에서 음악 공연 등의 야외 행사를 진행할 경우 중앙 무대부에서 발생한 소리가 상기한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음향반사 벽체(20)의 구성으로 유발되는 사운드 포커싱 및 공명 현상에 의해 자체적으로 증폭이 일어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나 앰프와 같은 확성 장비 없이도 루프탑 관람플로어(30) 상부에 있는 청중이 만족스러운 음량으로 순수 원음의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coustic space 200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plane in a form enclosed by an acoustic reflecting wall 20 and an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music within the acoustic space 200 When performing an outdoor event such as a performance, the sound generated in the central stage is amplified by the sound focusing and resonance phenomenon cau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t is an invention with the main technical feature that the audience at the top of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can listen to pure original sound at a satisfactory volume even without a separate speaker or amplification equipment such as an amplifier.

이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과 음향반사 벽체(2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음향 공간(200) 내에서 공연 등으로 음향이 발생하면, 이 공연에 의한 원음(S0)은 확산되어 상기 음향반사 벽체(20)에 부딪쳐 반사되고 이에 따른 반사음(S1)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음향반사 벽체(20)는 도1과 같이 기준 바닥면(100) 상의 중심점(CP)을 원호 중심으로 하여 평면상 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반사음(S1)은 기본적으로 원음(S0)이 발생한 무대 중심 방향을 향하여 되돌아가게 된다. In more detail, when sound is generated by a performance or the like in the acoustic space 200 formed by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the original sound S0 by this performance is Diffuse and reflected by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nd generates a reflected sound S1 accordingly. Here, since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installed to form a circular shape in a plane with the center point CP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100 as the center of the arc as shown in FIG. 1, the reflection sound S1 basically has the original sound S0. It returns to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stage.

그런데, 상기와 같이 무대 원음(S0)이 음향반사 벽체(20)에 의해 반사됨에 있어 비록 상기 음향반사 벽체(20)가 음향 반사에 적합하도록 평활면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반사음(S1)의 전부가 정확하게 무대 중심 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은 아니며, 실제적으로는 일정 부분 음향반사 벽체(20) 표면에서 난반사가 일어남으로써 반사음의 분산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반사 벽체(20)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형태로 음향유도 날개판(10)을 설치하는 구성을 구비하는바, 상기와 같이 음향반사 벽체(20) 표면에서 난반사되어 흩어지는 반사음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반사음(S1)의 분산을 잡아 주면서 무대 중심부를 향해 집중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반사음을 중앙으로 유도하여 집중시키는 작용을 사운드 포커싱 작용이라고 특히 명명하여 사용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stage original sound S0 is reflected by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made of a smooth surface suitable for acoustic reflection, all of the reflection sound S1 is accurately It does not return to the center of the stage, and in reality, the reflection of the sound occurs due to diffuse reflection on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provided in a form protruding inside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n a certain length. The reflection sound scattered and scattered from the surface is guid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by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so that the reflection sound S1 is dispersed while being concentr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stage. The effect of inducing and focusing on the center is specifically called the sound focusing ac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인 사운드 포커싱 작용에 의해, 상기와 같이 무대 중앙부로 집중 반사되어 되돌아가는 반사음(S1)은 무대 원음(S0) 및 다른 방향에서 돌아오는 반사음과 만나 간섭 및 공명을 일으키면서 공명음(S2)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 공명음(S2)은 음향 공간(200) 상부로 빠져나가 음향반사 벽체(20)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된 루프탑 관람플로어(30)에서 관람하는 관객에게 도달하여 들려지게 된다. 따라서, 루프탑 관람플로어(30) 위의 관객은 직접적인 무대 원음(S0)과 함께 음향 공간(200) 내부의 음향 반사와 공명 작용에 의해 생성된 공명음(S2) 및 잔향(殘響)음을 같이 들을 수 있게 되므로 마치 실내 공연에서와 같이 입체적이고 울림 및 여운이 있는 풍성한 느낌의 음향으로 공연을 감상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By the sound focusing action, which is the main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ed sound S1 which is reflected back to the center of the stage as described above returns to the original sound S0 and the reflected sound returned from the other direction while causing interference and resonance. A resonance sound (S2) is generated, and the resonance sound (S2) is passed to the upper part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nd then extended to the upper outsid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t is reached and heard. Therefore, the audience on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along with the direct stage original sound (S0), resonant sound (S2) and reverberation sound generated by the acoustic reflection and resonance action inside the acoustic space (200). Since it can be heard together, it has the effect of appreciating the performance with a three-dimensional, rich, reverberating sound, as in an indoor performance.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야외 공연에서 무대 원음이 그대로 외부로 퍼져 나가 음량 손실이 큼으로써 별도의 확성 장치를 필요로 하였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무대 원음(S0)이 바로 외부로 확산되지 않고 음향반사 벽체(20)를 통해 반사되면서 일정한 음향 공간(200) 내부에서 공명음(S2)을 생성하여 관객에게 전달하게 되므로 손실되는 음 에너지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스피커와 같은 음향 장비 없이도 충분한 음량을 얻을 수 있어 관객이 무대 공연음을 순수한 원음 그대로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nlike in the conventional outdoor performance, the stage original sound spreads to the outside and the volume loss is large, so that a separate loudspeaker is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ge original sound S0 is directly external. As it is reflected through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without being diffused into, it generates a resonance sound (S2) inside the constant acoustic space 200 and transmits it to the audience,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sound energy that is lost. According to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fficient volume without sound equipment such as speakers, so that the audience can enjoy the stage performance sound as pure original sound.

즉, 상기와 같은 도2 및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에 따르면 청중의 관람이 이루어지는 루프탑 관람플로어(30)보다 낮은 높이에 음향반사 벽체(20)로 둘러싸인 음향 공간(20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음향 공간(200)은 마치 악기의 공명통(울림통)과 같은 기능을 함으로써 무대 원음을 큰 소리로 증폭하여 위에 있는 루프탑 관람플로어(30)에서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앙의 음원 무대부(50)에서 공연음이 발생하면 이 공연음은 상기한 음향 공간(200) 내에 갇혀 바로 빠져나가지 않고, 음향반사 벽체(20)에서 여러 번 반사되면서 음의 간섭 및 중첩 현상에 의해 큰 소리로 증폭된 다음 음향 공간(200)의 상부로 빠져나가 루프탑 관람플로어(30) 위의 청중에게 들려지게 되며, 이와 더불어 반복된 음향 반사에 따른 잔향음이 계속하여 이어져 들림으로써 음향적으로 맑고 입체적인 음향을 음향 장비를 거치지 않은 순수 원음 상태로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5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space surrounded by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t a lower height than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where the audience can see (200), the acoustic space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amplifies the original sound of the stage loudly by acting as a resonator of a musical instrument (a resonator), so that it can be heard from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above. To make it possible. Therefore, when a performance sound occurs in the central sound source stage 50, the performance sound is trapped within the above-described acoustic space 200 and does not immediately escape, and is reflected and reflected multiple times by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and overlaps with the sound. After being amplified by a loud sound due to the phenomenon, it exits to the upper part of the acoustic space 200 and is heard by the audience on the rooftop viewing floor 30. In addition, the reverberation sound caused by repeated acoustic reflection continues to be heard.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acoustically clear and three-dimensional sound as pure original sound without going through sound equipment.

한편, 상기와 같은 잔향음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음향의 반사시에 원음의 흡수가 거의 없이 잔향음이 반사음으로만 이루어질 경우 매우 울림이 심하고 잔향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메아리와 같이 늘어지는 현상(동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음향의 반사가 이루어지는 음향반사 벽체(20)와 연결된 음향유도 날개판(10)에 대하여 일정한 수준의 흡음 성능을 부여함으로써 흡음과 반사를 조절하여 최적의 잔향음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제시한다.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reverberation sound 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when the reverberation sound is composed only of the reflection sound with little absorption of the original sound during the reflection of the sound, the echo is severe and the reverberation time is increased, such as echoing (cave effect) There may b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rtain level of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for the sound-inducing wing plate 10 connected to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n which the sound reflection is made as described above. It is suggested as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sound can be produced.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은 음향반사 벽체(20)에 비해 더욱 높은 흡음률을 갖는 재질로 구성하거나 또는 표면에 흡음성 마감재를 부착(또는 코팅 등)하여 흡음 마감층을 형성함으로써 무대 원음(S0)이 음향반사 벽체(20)에 부딪쳐 반사될 때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10)에 의해 일부 흡음되어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음향유도 날개판(10)의 흡음 성능 조절을 통해 반사음(S1)의 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잔향음을 최적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is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ound absorption rate than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or attaching a sound absorbing finish to the surface (or coating, etc.) ) To form a sound absorbing finish layer so that when the stage original sound (S0) hits and reflects against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20, it is partially absorbed by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0 so that it can return. By adjusting the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plate 10,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sound S1 is appropriately adjusted to make the reverberation sound optimal.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개방된 옥외 공간에서 진행되는 음악 공연 등의 행사에 있어 중앙 무대부에서 발생된 소리가 사운드 포커싱 및 공명 현상에 의해 자체적으로 증폭이 일어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나 앰프와 같은 확성 장비 없이도 청중이 만족스러운 음량으로 순수 원음의 청취가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소리의 질적인 면에 있어서도 야외 공연의 단점인 소리가 건조하고 빈약하게 들리는 점을 극복하여 실내 공연에서와 같이 입체적이고 풍성한 느낌으로 감상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음향의 반사 및 흡음, 간섭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게 됨으로써 적절한 울림과 맑고 투명한 최적 잔향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n event such as a music performance conducted in an open outdoor space, the sound generated in the central stage portion is amplified by sound focusing and resonance phenomenon, thereby separately The audience can listen to pure original sound at a satisfactory volume even without loudspeakers or amplifiers, and als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dry and poor sound, which is a disadvantage of outdoor performances in terms of sound quality.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njoyed in a three-dimensional and rich feeling,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reate an appropriate reverberation and a clear and transparent optimum reverberation by properly mixing sound reflection, sound absorption, and interferenc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전용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additions and transfer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lso belo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음향유도 날개판 15 :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
20 : 음향반사 벽체 30 : 루프탑 관람플로어
50 : 음원 무대부
100 : 기준 바닥면 200 : 음향 공간
S0 : 무대 원음 S1 : 반사음
S2 : 공명음
10: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15: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20: acoustic reflection wall 30: rooftop viewing floor
50: sound source stage
100: reference floor surface 200: acoustic space
S0: Stage original sound S1: Reflection sound
S2: resonance sound

Claims (10)

기준 바닥면 상에 시공 설치되는 상부 개방형 건축 구조물로서,
상기 기준 바닥면 상의 한 점을 평면상 중심점으로 하고,
상기 기준 바닥면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세워지며, 상기 기준 바닥면 상의 중심점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상 곡선 프레임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음향유도 날개판과;
상기 기준 바닥면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벽체 구조물로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연결되어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평면상으로 동일한 곡선 형태를 가지며, 내측으로 일정한 음향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음향반사 벽체 및;
상기 기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음향반사 벽체의 상부에서 상기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루프탑 관람 플로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은 전체적으로 장변과 단변을 갖는 단면 형상이 상하로 이어진 기둥형 부재로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은 그 단면의 장변 방향이 각각 상기 기준 바닥면의 평면상 중심점을 향하도록 하여 방사상 배치를 이루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단면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음향반사 벽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평면상 중심점을 향한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As an upper open building structure installed on the reference floor,
One point on the reference bottom surface is the center point on the plane,
A plurality of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which are er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top of the reference bottom surface and are radially arranged at a distance from a center point on the reference bottom surface and installed to form a curved frame frame as a whole;
As a wall structure erected and installed on the reference floor surface,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is connected to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and has the same curved shape in a plane with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and is installed to form a constant acoustic space inward. ;
A rooftop viewing floor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ference floor surface, and extends in an opposite direction to a planar center point of the reference floor surf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It consists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s a columnar member in which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as a whole extends upward and downward, and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s are radially arranged so that the long side directions of the cross-sections respectively face the center point in the plane of the reference bottom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ll or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s installed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from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toward the center point on the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바닥면의 중심점 상부에는 음원 무대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ound source stage is further installed above the center point of the reference floo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은 상기 기준 바닥면의 중심점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에 설치됨으로써 상부에서 보았을 때 평면상 정원(正圓) 형태, 또는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acoustic induction vanes are install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referenc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so as to be viewed from the top, a planar garden (正측) form, or one side partially open arc (圓弧)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form a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은 상기 음향반사 벽체에 비해 더 높은 흡음률(absorption coefficient)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absorption coefficient than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표면에는 상기 음향반사 벽판에 비해 더 높은 흡음률(absorption coefficient)을 갖는 재질로 된 흡음 마감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ound absorbing finishing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absorption coefficient than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plate is furth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은 전체적으로 나무 재질이거나 또는 표면에 나무 재질의 판재를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음향반사 벽체는 유리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s made entirely of wood or by attaching a plate made of wood to the surface, and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comprises a glass panel.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의 사이에는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과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가지는 수평 음향유도 날개판이 수평 방향으로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The acoustic spa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a horizontal acoustic induction vane plat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acoustic induction vane is further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acoustic induction vanes. Architectural structure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단면 일부가 상기 음향반사 벽체의 표면에 대해 돌출되는 길이는 8 ~ 30 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The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a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is 8 to 30 c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들이 상부에서 보았을 때 평면상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원호(圓弧)의 형태를 이루는 경우에, 상기 개방된 각도 범위는 원호 중심에서 0°~ 120°범위 내에서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when view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plane in the form of a partially open arc (圓弧), the open angle range is 0 ° ~ 120 ° from the center of the arc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open within the rang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무대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음향반사 벽체까지의 거리는 15 ~ 30 m이고,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높이는 3 ~ 8 m 이며, 상기 음향유도 날개판의 단면 일부가 상기 음향반사 벽판의 평면에 대해 돌출되는 길이는 8 ~ 30 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간 건축 구조물.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ound source stage portion to the acoustic reflection wall is 15 ~ 30 m, the height of the acoustic induction wing plate is 3 ~ 8 m, the acoustic induction wing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section of the plate projecting to the plane of the acoustic reflective wall plate is 8 to 30 cm.
KR1020190012046A 2019-01-30 2019-01-30 Sound space building structure that produces sound amplification and excellent reverberation by inducing sound-focusing without amplifier equipments KR1022734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46A KR102273431B1 (en) 2019-01-30 2019-01-30 Sound space building structure that produces sound amplification and excellent reverberation by inducing sound-focusing without amplifier equip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46A KR102273431B1 (en) 2019-01-30 2019-01-30 Sound space building structure that produces sound amplification and excellent reverberation by inducing sound-focusing without amplifier equip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494A true KR20200094494A (en) 2020-08-07
KR102273431B1 KR102273431B1 (en) 2021-07-05

Family

ID=7204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046A KR102273431B1 (en) 2019-01-30 2019-01-30 Sound space building structure that produces sound amplification and excellent reverberation by inducing sound-focusing without amplifier equip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4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573A1 (en) * 2020-05-21 2021-11-25 이형호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capable of amplifying sound and producing optimal reverberant sound by means of sound focusing without sound equip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544A (en) * 1999-12-10 2000-03-06 손희수 Sound block
KR200397077Y1 (en) * 2005-01-25 2005-09-29 김명석 Acoustical Shell Panel and Acoustical Shell by usibg the Same
KR200422496Y1 (en) * 2006-05-17 2006-07-27 (주)시공사 Sound reflector
US20120198777A1 (en) * 2009-07-29 2012-08-09 Sound Forms Ltd. c/o Woodside Corporate Services Limited Sound shell
JP2018076689A (en) * 2016-11-08 2018-05-17 ヤマハ株式会社 Wall structure and sec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544A (en) * 1999-12-10 2000-03-06 손희수 Sound block
KR200397077Y1 (en) * 2005-01-25 2005-09-29 김명석 Acoustical Shell Panel and Acoustical Shell by usibg the Same
KR200422496Y1 (en) * 2006-05-17 2006-07-27 (주)시공사 Sound reflector
US20120198777A1 (en) * 2009-07-29 2012-08-09 Sound Forms Ltd. c/o Woodside Corporate Services Limited Sound shell
JP2018076689A (en) * 2016-11-08 2018-05-17 ヤマハ株式会社 Wall structure and section structur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1 *
비특허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573A1 (en) * 2020-05-21 2021-11-25 이형호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capable of amplifying sound and producing optimal reverberant sound by means of sound focusing without sound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431B1 (en) 202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rmann Architectural acoustics illustrated
US8978816B2 (en) Sound limiting acoustic shell using a hanging acoustic canopy
JP6233796B2 (en) Booth for mobile devices
WO2015012379A1 (en) Booth for portable terminal
Asselineau Building Acoustics
Lewers et al. Some acoustical properties of St Paul's Cathedral, London
KR102273431B1 (en) Sound space building structure that produces sound amplification and excellent reverberation by inducing sound-focusing without amplifier equipments
EP4155484A1 (en) Acoustic space building structure capable of amplifying sound and producing optimal reverberant sound by means of sound focusing without sound equipment
JP2007162253A (en) Reverberant sound reducing device
Newell Recording spaces
Orlowski Acoustics in Architectural Design
Maishanu et al. Auditorium acoustics from past to present
Hyon et al. Variable Acoustics in performance venues-A review
Adelman-Larsen et al. Design Principles
Gitonga Acoustic Comfort in Church Auditoria a Case of Citam Church Designs at Ngong and Parklands, Nairobi, Kenya
Katunský et al. ENVIRONMENTAL PROBLEMS OF TEST ROOMS IN MUSICAL CENTERS INFLUENCE ON THE INTERIOR
Johansson Waves of sound
Brown Review of acoustically related design factors for three recent Los Angeles area music studios.
Luhr Meeting for music
Öqvist et al. Studio Acusticum: a concert hall with variable volume
Katunský et al. Environmental and Technical Problems of Test Room Spaces in Cultural Buildings
Patel Arenas
Patel Worship
Callenberg Music box
Cangür Ateş Acoustic evaluation of the surp yerrortutyun church and acoustical proposals for its multi-functional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