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393A - A water level control - Google Patents

A water level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393A
KR20200093393A KR1020190010819A KR20190010819A KR20200093393A KR 20200093393 A KR20200093393 A KR 20200093393A KR 1020190010819 A KR1020190010819 A KR 1020190010819A KR 20190010819 A KR20190010819 A KR 20190010819A KR 20200093393 A KR20200093393 A KR 20200093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buoyancy
open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훈재
이현정
이호원
Original Assignee
이훈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재 filed Critical 이훈재
Priority to KR102019001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3393A/en
Publication of KR20200093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3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which can supply water to maintain a predetermined water level in industry, agriculture and households, control the supplied water in accordance with necessity, and control the water level. To this end,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includes a body, an inflow pipe, and a discharge pipe.

Description

수위조절장치{A water level control}Water level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 농업 및 가정 등에서 물을 공급하여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며, 공급되는 물을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고,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more specifically, to supply water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by supplying water in industry, agriculture, and home, and can control the water to be supplied as needed, and control the water level It relates to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that can.

일반적으로 물은 농업, 상업, 가정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수도를 통해 공급하거나 지하수 및 하천의 물을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water is supplied through water supply for use in agriculture, commerce, and home, or ground water and river water are used.

이러한 물은 저수탱크, 물탱크에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여 담수한 후 사용하며, 줄어든 수위에 따라 물을 공급하여 항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is water is used after keeping fresh water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 and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according to the reduced water level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t all times.

또한, 저수탱크 이외에도 가정에서는 싱크대, 좌변기, 욕조 등과 같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사용용도와, 농업에서는 축사 등에 일정 수위의 물을 항시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water storage tank,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a household such as a sink, a toilet bowl, a bathtub, etc., and in agriculture, it is used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water at all times, such as a house.

즉, 물을 사용할 때 일정수위를 항시 유지하고 물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절수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That is, a water-saving structure is required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nd prevent waste of water when using water.

이를 위해 종래에 제시된 기술로 "저수위용 허브링크를 이용한 정수위밸브"가 제시된 바 있다.To this end, a “water purification valve using a hub link for a low water level”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tionally proposed technology.

이러한 종래기술은 냉각탑이나 물을 수용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탱크에 적용되는 급수관에 설치되어 미세한 수위까지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외력에 저항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를 가지며, 쉽게 수위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This prior art is installed in a water supply pipe applied to a cooling tower or a tank that accommodates water to adjust the water level, and has a sturdy structure capable of resisting external forces at the same time as it can control fine water levels, and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water level.

하지만, 종래기술은 물이 저장되는 수위에 인접해야 유입되는 물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water can be controlled only when it is adjacent to the water storage level.

또한, 부력부재는 물의 저장된 수위에 따라 상승이 가능하나, 자체적인 하중이 가벼워 저장된 물이 출렁일 경우 정확한 수위를 조절하기 어렵고 임의로 물이 공급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member can be raised according to the stored water level, bu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correct water level when the stored water is fluctuating due to its own light loa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is supplied at random.

한국등록특허 제10-1247134호(2013.03.19.)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47134 (2013.03.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을 저장된 수위에 맞춰 공급하여 일정 수위를 항시 유지하며, 간편한 조작을 통해 물의 유입 및 차단할 수 있는 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capable of supplying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stored water level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t all times, and introducing and blocking water through simple manipulation.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획된 공간 내부에 물을 저장시킨 후 수위에 맞춰 공급하여 저장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stored water by supplying it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after storing the water inside the partitioned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위에 따른 부력과 무게에 의한 하중을 통해 물의 유입 및 차단하여 신속하게 작동되며, 물의 개폐와 부력체와 간격이 떨어져도 작동가능한 구성을 통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quickly by introducing and blocking water through a load due to buoyancy and weigh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providing th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격 및 이동에 의해 저장된 물이 출렁이더라도, 하중에 의해 임의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water from being randomly introduced by a load even if the water stored by impact and movement is slosh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유입구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며, 배출되는 물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형성된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t the top, and a body at which an outlet for discharging water is formed at the bottom; An inlet pipe coupled to the inlet and supplying wate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discharge pipe is coupled to the outlet, th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d water is formed.

상기 유입관에는 상기 몸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는 공급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밸브는,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제1부력체 및 일측이 상치 개폐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와이어를 통해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에 저장된 수위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조작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let pipe is formed with a supply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water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and the supply valve is installed inside the inlet pipe to open and close the inlet water, and the inside of th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uoyant body and one side that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water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opening and closing parts,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through a wire, and the operating le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Do.

상기 몸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이동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유입관에 삽입되어 공급되는 물을 개폐하는 삽입부재가 상부면에 형성된 제2부력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부력체는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여, 수위의 변화에 따라 물에 뜰 수 있는 부력부재와 무게에 의해 상기 부력부재를 물속으로 압박하는 무게추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재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ositioned to mov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and the insertion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water supplied to the inlet pipe is formed of a second buoyancy body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buoyancy body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Thus,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buoyancy member that can float on the water according to the change in water level and a weight that presses the buoyancy member into the water by weight, and the insertion member is preferably formed in a conical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from the bottom to the top. Do.

상기 제2부력체 또는 상기 삽입부재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유입관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uoyancy body or the insertion member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insertion member further comprises a departure prevention member for preventing departure from the inflow pipe.

상기 배출관 또는 상기 배출부 중 어느 하나에는 배출되는 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거름망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lter screen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discharged water is formed in either the discharge pipe or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유입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유입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에서 물이 공급되는 높이조절관과, 상기 높이조절관의 일측단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높이조절관과 상기 끼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일측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유입관에 밀착되는 패킹이 형성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let pipe further includes a height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dy, the height adjusting unit, one side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let pipe, the height adjusting pipe is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other side And, a fitting member coupled to the one side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tube by a screw method, and the packing is disposed between the height adjustment tube and the fitting member so that the fit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one end part to closely seal the inflow pipe. It is preferably made of a fix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에 따르면, 물을 저장된 수위에 맞춰 공급하여 일정 수위를 항시 유지하며, 간편한 조작을 통해 물의 유입 및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stored water level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t all times, and there is an effect that water can be introduced and blocked through simple manipul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된 공간 내부에 물을 저장시킨 후 수위에 맞춰 공급하여 저장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from contaminating the stored water by supplying it to the water level after storing the water inside the partitioned space.

본 발명에 따르면, 수위에 따른 부력과 무게에 의한 하중을 통해 물의 유입 및 차단하여 신속하게 작동되며, 물의 개폐와 부력체와 간격이 떨어져도 작동가능한 구성을 통해 용이하게 설치가능하여 다양하게 적용하여 물을 일정수위를 항시 유지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quickly operated by introducing and blocking water through buoyancy and weight depending on the water level, and can be easily installed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is operable eve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and the distance from the buoyancy body are separated to apply water in various ways.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many ways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부에서 부력체가 이탈되어도 물이 유입되지 않아 물의 낭비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buoyancy body is detached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water does not flow in,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water waste and water leakage.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된 물의 배출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hen discharging stored water.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 및 이동에 의해 저장된 물이 출렁이더라도, 하중에 의해 임의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water stored by the impact and the move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water arbitrarily by the loa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급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부력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부력체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ly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buoyancy bod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various configurations of a second buoyancy bod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pot that is watered by the water level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ly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본 발명은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 농업 및 가정 등에서 물을 공급하여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며, 공급되는 물을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고,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1 to 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more specifically, to supply water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by supplying water in industry, agriculture, and home, and to control the supplied water as needed It relates to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that can control the water level.

이러한 본 발명은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며, 담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10), 유입관(20) 및 배출관(30)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water level of the incoming water, and consists of a body 10, an inlet pipe 20 and an outlet pipe 30 to selectively supply fresh water.

상기 몸체(10)는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2)가 형성된다.The body 10 is formed with an inlet 11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12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bottom.

여기서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형성된다.Here, the inlet 11 is formed at the top of the body 10.

또한,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몸체(10)의 측면 하단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outlet 12 is arranged to be disposed at either the bottom or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to discharge the stored water.

따라서 상기 몸체(10)는 일정수위의 물이 저장하며,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Therefore, the body 10 is stored at a certain level of water, it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상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a cover with an open top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top.

상기 유입관(20)은상기 유입구(11)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공급한다.The inlet pipe 20 is coupled to the inlet 11, and supplies wate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이때, 상기 유입관(20)에는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는 공급밸브(21)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유입되는 물의 양을 일정한 수위로 항시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let pipe 20 is formed with a supply valve 21 that opens and closes the incoming water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so that the amount of the incoming water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water level.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몸체(10)의 상기 배출구(12)에 결합되며, 배출되는 물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1)가 형성된다The discharge pipe 3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12 of the body 10, a control valve 31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d water is formed

여기서 상기 조절밸브(31)는 원터치방식을 통해 물을 배출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rol valve 31 is preferably made to discharge or block water through a one-touch method.

아울러, 원터치방식의 밸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으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one-touch valve is a commonly used configu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를 통해 상기 배출관(30)은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에 저장된 물을 배출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discharge pipe 30 can discharge water stored in the body as necessary.

그리고 상기 공급밸브(21)는 상기 유입관(2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수위에 따라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부(22), 제1부력체(23) 및 상기 조작레버(24)으로 구성된다.And the supply valve 21 is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2, the first buoyancy body 23 and the operation to adjust the supply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2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It consists of a lever (24).

상기 개폐부(22)는 상기 유입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2 is installed inside the inlet pipe 20 to open and close the incoming water.

이러한 상기 개폐부(22)는 상기 유입관(2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할 수 있는도록 이루어진다.The opening/closing portion 22 i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inlet pipe 20 to open and close the incoming water.

여기서 상기 개폐부(22)는 회전/이동 동작을 통해 물이 유입 및 차단하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opening/closing portion 22 can be used as various types of valves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and out through a rotation/movement operation,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때, 상기 조작레버(24)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for moving the operation lever 24 in the upward direction is further included.

상기 제1부력체(23)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서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이동한다.The first buoyancy body 23 move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따라서 상기 제1부력체(23)는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수위에 따라 높이가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first buoyancy body 23 is made to move in heigh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이러한 상기 제1부력체(23)의 하부는 수위의 변화에 따라 물에 뜰 수 있는 부력부재(28)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무게에 의해 상기 부력부재(28)를 물속으로 압박하는 무게추(29)로 이루어진다.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uoyancy body 23 is formed with a buoyancy member 28 that can float in wate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water level, and a weight on the upper portion pressing the buoyancy member 28 into the water by weight ( 29).

여기서 상기 부력부재(28)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무게추(29)는 상부에 위치하며, 이와 반대로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buoyancy member 28 is located at the bottom, the weight 29 is located at the top, it can be located on the contrary.

이를 통해 상기 제1부력체(23)는 상기 부력부재(28)에 의해 저장된 물에 의해 부력을 발생하고, 상기 무게추(29)에 의해 하중을 가한다.Through this, the first buoyancy body 23 generates buoyancy by water stored by the buoyancy member 28, and applies a load by the weight 29.

상기 조작레버(24)는 일측이 상치 개폐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1부력체(23)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에 저장된 수위에 따라 상기 개폐부(22)를 개폐시킨다.The operation lever 24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buoyancy body 23 through wires,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2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여기서 상기 조작레버(24)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부력체와 연결된 와이어가 임의로 꺽이는 것을 방지한다.Here, the operation lever 24 is made of a double structure that is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the wire connected to the first buoyancy body from being arbitrarily bent.

이를 통해 상기 조작레버(24)는 와이어 이외의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금속, 플라스틱 등의 바를 통해 연결이 가능하다.Through this, the operation lever 24 can be connected through a bar of various metals, plastics, etc. that can transmit loads other than wires.

따라서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1부력체(23)의 높낮이가 변화되면, 상기 조작레버(24)를 통해 상기 개폐부(22)를 개폐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height of the first buoyancy body 23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2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operation lever 24.

이를 통해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개폐부(22)를 조작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일정수위의 물을 항시 유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opening/closing portion 22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to maintain the water at a constant level inside the body 10 at all times.

그리고 상기 배출관(30) 또는 상기 배출구(12) 중 어느 하나에는 배출되는 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거름망(32)이 형성된다.And in one of the discharge pipe 30 or the discharge port 12, a strainer 32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discharged water is formed.

또한 상기 거름망(32)은 저장된 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물을 배출하는 격자형태의 망 또는 거름종이 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lter net 32 removes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stored water, and is made of a mesh or filter paper in the form of a grid for discharging water.

이를 통해 상기 거름망(32)을 거쳐 배출되는 물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screen (32).

그리고 상기 유입관(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1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40)가 포함된다.And i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let pipe 20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unit 40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dy 10.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부(40)는 상기 유입관(20)으로 물을 유입하는 외부 관과 연결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관(41), 끼움부재(42) 및 고정부재(43)로 이루어진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is made of a height adjustment tube 41, a fitting member 42, and a fixing member 43 so a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tube that introduces water into the inlet tube 20 so as to adjust the height. .

상기 높이조절관(41)은 일측이 상기 유입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에서 물이 공급된다.On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pipe 41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flow pipe, and water is supplied from the other side.

즉,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높이조절관(41)을 통해 상기 유입관(20)으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관(2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한다.That i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lows into the inlet pipe 20 through the height adjusting pipe 41 and slid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20 to adjust the height.

상기 끼움부재(42)는 상기 높이조절관(41)의 일측단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된다.The fitting member 42 is screwed to one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pipe 41.

상기 고정부재(43)는 상기 높이조절관(41)과 상기 끼움부재(4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끼움부재(42)가 상기 일측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유입관(20)에 밀착되는 패킹(43a)이 형성된다.The fixing member 43 is disposed between the height adjustment pipe 41 and the fitting member 42 so that the fitting member 42 is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packing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pipe 20 (43a) ) Is formed.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3)는 상기 끼움부재(42)가 상기 높이조절관(41)에 결합시 상기 패킹(43a)을 압박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xing member 43 can be fixed to a desired position by pressing the packing 43a when the fitting member 42 is coupled to the height adjusting tube 41.

다음으로는 유입관(20) 및 상기 배출관(30)을 통해 물의 유입 및 배출되는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use state of the inflow and discharge of water through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상기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상기 유입관(20)과 상기 배출관(30)을 결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are coupled to the body 10.

그리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유입관(2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를 탱크, 욕조 등의 물이 유입하여 일정량 저수하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한다.In addition, the body 10 is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where water such as a tank or a bathtub flows in and stores a certain amount so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can flow through the inflow pipe 20.

이렇게 설치한 후 외부에서 물이 유입시킨다.After this installation, water flows in from the outside.

이때, 상기 유입관(20)에서 물이 유입되면 상기 몸체(10)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1부력체(23)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상기 개폐부(22)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At this time, when water flows from the inlet pipe 20, the first buoyancy body 23 rises by buoyanc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and water flows through the opening/closing portion 22. Cut off things.

또한,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제1부력체(23)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어 상기 개폐부(22)를 개방시켜 물을 공급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body 10 is lowered, it is lowered by the load of the first buoyancy body 23 to op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2 to supply water.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수위는 상기 제1부력체(23)의 높이조절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저장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water level of the body 10 may adjust the storage level of the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first buoyancy body 23.

즉, 상기 제1부력체(23)는 저장된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부력부재(28)의 부력에 의해 승강되고,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무게추(29)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개폐부(22)를 개폐하는 구성된다.That is, the first buoyancy body 23 is elevated by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member 28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tored water is high, and when the water level is low, it is lowered by the load of the weight 29 and the opening/closing unit ( 22)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또한, 상기 개폐부(22)는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통해 항시 닫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임의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부력체(23)의 파손, 이탈이 발생하여도 물을 공급하여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portion 22 is configured to maintain a closed state at all times through an elastic member installed therein to prevent water from being supplied arbitrarily, and to prevent water from being supplied even if damage or separation of the first buoyancy body 23 occurs.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asted.

따라서 상기 제1부력체(23)는 상기 개폐부(22)에 하중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되되, 간격에 상관 없이 설치가 가능하다.Therefore, the first buoyancy body 23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so as to transfer the loa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2, it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interval.

그리고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은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And the water stored in the body 1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

이때 상기 배출구(12)에는 사용자의 편리한 조작을 통해 개폐되는 상기 조절밸브(31)를 통해 물을 배출시켜 탱크 등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배출되는 물을 편리하게 개폐할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let 12 may discharge water through the regulating valve 31 which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convenient manipulation by the user to maintain a constant level of water stored in a tank, etc., and can conveniently open and close the discharged water.

또한, 상기 유입관(20)에는 상기 높이조절부(40)를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탱크 등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pipe 20 can be adjusted in height through the height adjusting unit 40 to control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a tank or the like.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부력체가 수위에 따라 높이조절되어 상기 유입관(20)에 형성된 상기 개폐부(22)를 개폐하여 유입되는 물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부력체(23)는 수위에 의한 부력과 무게에 의한 하중을 통해 승하강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개폐부(22)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uoyancy body inside the body 10 is height-adjus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closing portion 22 formed in the inflow pipe 20 to control the inflow water, and the first buoyancy body 23 As it is made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buoyancy by the water level and the load by the weight, the posi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2 can be freely installed.

또한, 제1부력체(23)가 이탈되어도 상기 개폐부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누수 및 물의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first buoyancy body 23 is detached, the opening/closing portion prevents water from flowing in and prevents water from being leaked and was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부력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부력체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buoyancy bod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second buoyancy bod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관(2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개폐는 상기 제2부력체(25)를 통해 이루어진다.5 and 6,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mbodiment, but opening and closing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20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buoyancy body 25.

따라서, 상기 제2부력체(25)는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이동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유입관(20)에 삽입되어 공급되는 물을 개폐하는 삽입부재(26)가 상부면에 형성된다.Accordingly, the second buoyancy body 25 is positioned to mov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and the insertion member 2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inlet pipe 20 is opened. Is formed on.

이때, 상기 제2부력체(25)는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여, 수위의 변화에 따라 물에 뜰 수 있는 부력부재(28)와 무게에 의해 상기 부력부재(28)를 물속으로 압박하는 무게추(29)로 구성되어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econd buoyancy body 25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buoyancy member 28 that can float in the water according to the change in water level and the weight that presses the buoyancy member 28 into the water by weight It consists of (29) and is mad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26)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져, 부력에 의해 상기 유입관(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며, 상부에서 유입되는 물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insertion member 26 is made of a conical shape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is easi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let pipe 20 by buoyancy, so that the water flowing from the top can be easily discharged Is done.

또한, 상기 삽입부재(26)는 부력이 가해질 때 상기 유입관(20)을 서서히 막아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낮춰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member 26 can be easily blocked by gradually blocking the inlet pipe 20 when buoyancy is applied to lower the water pressure of the incoming water.

그리고 상기 제2부력체(25) 또는 상기 삽입부재(26)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재(26)가 상기 유입관(20)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27)가 더 포함된다.And the second buoyancy body 25 or the insertion member 26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insertion member 26,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27 to prevent the escape from the inlet pipe 20 further includes do.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부재(27)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26)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유입관(20)의 내부에 안착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The departure-preventing member 27 has a pipe shape that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26 and seats inside the inlet pipe 20, as shown in FIG. 6(a).

이를 통해 상기 제2부력체(25)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서 수위에 의해 높이가 이동하여도 상기 삽입부재(26)는 상기 이탈방지부재(27)를 통해 가이드되어 상기 유입관(20)을 막을 수 있다.Through this, even if the height of the second buoyancy body 25 moves by the water level inside the body 10, the insertion member 26 is guided through the departure preventing member 27 to guide the inflow pipe 20 ).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27)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력체(25)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7 is formed to be able to adjust the gap through sliding movement on the side of the second buoyancy body 25 as shown in Figure 6 (b).

이를 통해 상기 제2부력체(25)와 상기 몸체(10)의 내측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제2부력체(25)가 승하강시 상기 삽입부재(26)는 상기 유입관(20)을 막을 수 있도록 가이드된다.Through this, the spacing between the second buoyancy body 2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is kept constant so that when the second buoyancy body 25 moves up and down, the insertion member 26 is the inlet pipe 20 You will be guided to stop it.

이를 통해 상기 유입관(20)으로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며, 유입되는 물은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저장한다.Through this,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flow pipe 20, and the inflow water is stored inside the body 10.

이때, 상기 제2부력체(25)는 무게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하되어 상기 유입관(20)을 개방시켜 물이 유입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buoyancy body 25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by weight to open the inlet pipe 20, water is introduced.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저장된 물에 의해 수위가 상승하면, 상기 제2부력체(25)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삽입부재(26)를 통해 상기 유입관(20)을 막아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And when the water level rises by the stored water of the body 10, the second buoyancy body 25 rises by buoyancy to block the inlet pipe 20 through the insertion member 26, and water is introduced. Prevent things.

이와 같이 상기 배출관(30)을 통해 물이 배출되면 상기와 같이 상기 제2부력체(25)가 승하강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을 항시 유지할 수 있다.When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buoyancy body 25 is raised and lowered as described above to maintain a constant amount of water inside the body 10 at all times.

여기서 상기 유입구(11)에 결합된 상기 유입관(20)의 삽입 위치에 따라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inlet pipe 20 coupled to the inlet 11.

그리고 제1실시예에의 상기 공급밸브(21)와 제2실시예의 상기 공급밸브(21)는 상기 유입관(20)에 형성되며, 제1실시예와 상기 제2실시예의 구성을 가지는 상기 공급밸브(21)는 상기 유입관(20)에 개별 또는 복합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몸체(10)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And the supply valve 21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upply valve 21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formed in the inlet pipe 20, and the supply hav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valve 21 may be form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the inlet pipe 20 to control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body 10.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obvious that you can do it.

10: 몸체 11: 유입구
12: 배출구 20: 유입관
21: 공급밸브 22: 개폐부
23: 제1부력체 24: 조작레버
25: 제2부력체 26: 삽입부재
27: 이탈방지부재 28: 부력부재
29: 무게추 30: 배출관
31: 조절밸브 32: 거름망
40: 높이조절부 41: 높이조절관
42: 끼움부재 43: 고정부재
43a: 패킹
10: body 11: inlet
12: outlet 20: inlet pipe
21: supply valve 22: opening and closing part
23: first buoyancy body 24: operating lever
25: second buoyancy body 26: insertion member
27: departure preventing member 28: buoyancy member
29: weight 30: discharge pipe
31: control valve 32: strainer
40: height adjustment unit 41: height adjustment tube
42: fitting member 43: fixing member
43a: packing

Claims (6)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2)가 형성된 몸체(10);
상기 유입구(11)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20);
상기 배출구(12)에 결합되며, 배출되는 물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1)가 형성된 배출관(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A body 10 having an inlet 11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12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bottom;
It is coupled to the inlet 11, the inlet pipe 20 for supplying water flowing from the outside;
Water dischar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discharge pipe 30 is coupled to the outlet 12, the control valve 31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d water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20)에는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는 공급밸브(21)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밸브(21)는,
상기 유입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는 개폐부(22)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서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제1제1부력체(23) 및,
일측이 상치 개폐부(22)와 연결되고 타측은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1제1부력체(23)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수위에 따라 상기 개폐부(22)를 개폐시키는 조작레버(24)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제1부력체(23)의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여, 수위의 변화에 따라 물에 뜰 수 있는 부력부재(28)와 무게에 의해 상기 부력부재(28)를 물속으로 압박하는 무게추(2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 pipe 20 is formed with a supply valve 2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flow water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The supply valve 21,
And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inlet pipe 20,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coming water,
A first first buoyancy body 23 that move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opening and closing part 22,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first buoyancy body 23 through a wire, and an operation leve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2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24),
It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first buoyancy body 23, and a buoyancy member 28 that can float in water according to a change in water level and a weight that presses the buoyancy member 28 into the water by weight. Water leve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이동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유입관(20)에 삽입되어 공급되는 물을 개폐하는 삽입부재(26)가 상부면에 형성된 제2부력체(25)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부력체(22)는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여, 수위의 변화에 따라 물에 뜰 수 있는 부력부재(28)와 무게에 의해 상기 부력부재(28)를 물속으로 압박하는 무게추(29)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재(26)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positioned to mov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body 10, and the insertion member 2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inserted into the inflow pipe 20 is made of a second buoyancy body 25 formed on the upper surface. But
The second buoyancy body 22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buoyancy member 28 that can float in the water according to a change in water level and a weight (29) that presses the buoyancy member 28 into the water by weight. ) Is formed,
The insertion member 26 is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conical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from the bottom to the top.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력체(25) 또는 상기 삽입부재(26)에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재(26)가 상기 유입관(20)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27)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buoyancy body 25 or the insertion member 26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insertion member 26,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27 to prevent the escape from the inlet pipe 20 is further included Water leve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30) 또는 상기 배출구(12) 중 어느 하나에는 배출되는 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거름망(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screen (32)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discharged water is formed in either of the discharge pipe (30) or the discharge port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1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40)가 더 포함되되,
상기 높이조절부(40)는,
일측이 상기 유입관(2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에서 물이 공급되는 높이조절관(41)과,
상기 높이조절관(41)의 일측단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끼움부재(42)와,
상기 높이조절관(41)과 상기 끼움부재(4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끼움부재(42)가 상기 높이조절관(41)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면, 상기 유입관(20)에 밀착되는 패킹(43a)이 형성된 고정부재(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let pipe 20 further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unit 40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dy 10,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One side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flow pipe (20), and the height adjustment pipe (41) is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other side,
A fitting member 42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pipe 41 by a screw method,
When the fitting member 42 is disposed between the height adjusting tube 41 and the fitting member 42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height adjusting tube 41, the packing tightly in contact with the inlet tube 20 ( Water leve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xed member 43a) is formed.
KR1020190010819A 2019-01-28 2019-01-28 A water level control KR202000933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819A KR20200093393A (en) 2019-01-28 2019-01-28 A water level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819A KR20200093393A (en) 2019-01-28 2019-01-28 A water level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393A true KR20200093393A (en) 2020-08-05

Family

ID=7204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819A KR20200093393A (en) 2019-01-28 2019-01-28 A water level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339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342B1 (en) * 2020-10-07 2020-11-04 주식회사 신원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regulating water level
KR102441916B1 (en) * 2021-12-28 2022-09-08 와산업 주식회사 Hot water supplying apparatus
KR102518962B1 (en) * 2022-01-18 2023-04-20 박상길 floating valv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34B1 (en) 2012-02-18 2013-04-02 (주)에코타워 The water valve using a hub-link for low water lev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34B1 (en) 2012-02-18 2013-04-02 (주)에코타워 The water valve using a hub-link for low water lev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342B1 (en) * 2020-10-07 2020-11-04 주식회사 신원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regulating water level
KR102441916B1 (en) * 2021-12-28 2022-09-08 와산업 주식회사 Hot water supplying apparatus
KR102518962B1 (en) * 2022-01-18 2023-04-20 박상길 floating valv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1361A (en) Float operated fill valve
KR20200093393A (en) A water level control
JP3655318B2 (en) Adjustable injection valve assembly
US5464037A (en) Level control valve arrangement and water closet cistern
AU592701B2 (en) Adjustable vacuum breaker fill valve
US4646779A (en) Adjustable vacuum breaker fill valve
CA2324758C (en) Double funnel float valve
US4573495A (en) Hydrostatic ballcock assembly
US2189427A (en) Valve mechanism
KR101208146B1 (en) Device of automatic water supply
US20020043283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liquid flow
US4601071A (en) Flush system
JP3897619B2 (e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CA2557956C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US4283802A (en) Toilet tanks with built-in water supply valve
RU2671140C1 (en) Installation for automatic plant watering
US7284567B2 (en) Liquid level controller
KR20080095558A (en) Cartridge for control of flow
KR200197292Y1 (e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ler for water tank
KR200283239Y1 (en) System control water level
KR20180023203A (en) The water automatic level control apparatus for cattle shed
KR100498251B1 (en) Device to control floating level of water-tank automatically
KR20110058766A (en) Flush valve equipment capable of using selectively auto flushing devices and bidet
KR200400797Y1 (en) Flood valve
EP1143317B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liquid 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