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656A - 자동 및 수동모드를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및 수동모드를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656A
KR20200092656A KR1020190009821A KR20190009821A KR20200092656A KR 20200092656 A KR20200092656 A KR 20200092656A KR 1020190009821 A KR1020190009821 A KR 1020190009821A KR 20190009821 A KR20190009821 A KR 20190009821A KR 20200092656 A KR20200092656 A KR 20200092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gratulation
user terminal
contact
management ser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483B1 (ko
Inventor
양찬들
Original Assignee
양찬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찬들 filed Critical 양찬들
Priority to KR1020190009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4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을 등록받고 경조사 로그 수집동의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를 포함한 웹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에 매핑되어 저장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에 웹트래픽 내에 포함된 경조사 객체를 추출하여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편집하는 단계, 및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FAMAILY EVENT MANAGMENT SERVICE USING AUTO AND MANUAL MODE}
본 발명은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사 및 조사를 자동으로 연락처 리스트 내의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경조사는 경사와 조사를 합해서 부르는 말로, 현대 한국 사회에서 중요 경사는 결혼식, 회갑, 돌, 백일 등을 포함하며, 조사는 장례식에 대한 조문을 의미한다. 부조는 다른 사람의 경조사에 돈이나 물건을 보내어 도와주는 것을, 부조금은 이를 위해 주는 돈을 의미한다. 경사에 대한 부조금은 축의금, 조사에 대한 부조금은 부의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경조비는 일정 기간 동안 부조금 명목으로 지출된 금액의 총액을 가리키고, 부조는 돕는다는 뜻이며, 상호부조 또는 상부상조의 줄임말이다. 호혜성(Reciprocity)이라는 부조의 핵심적인 원칙이 상호부조라는 말 자체에 제시되어 있다.
이때, 경조사를 알리는 방법을 다양하나 대부분 호(Call) 발신이나 문자를 통하여 전달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9-0045804호(2009년05월08일 공개)에는, 사용자로부터 경조사 일정을 포함한 경조사 정보와 대상자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경조사 일정에 따라 대상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대상자 단말에 경조사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고, 대상자로부터 경조사 영상 보기가 요청되면 해당 영상을 대상자 단말로 전송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다만, 경조사 중 특히 조사의 경우에는 그 소식을 들은 당사자의 충격과 장례시작 및 발인 간의 짧은 기간이 더해져 지인에게 조사소식을 전달할 겨를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가까운 친척임에도 당사자의 소식 미전달로 인하여 이를 전달받지 못하여 친척의 장례에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고 있다. 또한, 경사라고 할지라도 이를 진행하는 업체가 모두 다름으로 인하여 경사 소식을 전송하고, 축하 메세지를 전달하며, 축의금을 전달하는 경로가 모두 달라서 이를 진행하는 당사자는 물론이고, 참석하는 게스트까지 혼란에 빠지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경조사 중 조사의 경우 즉시발송모드로 사용자의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전송함으로써 경황이 없는 당사자가 소식을 알리지 못하여 참석을 못하는 게스트가 없도록 하고, 경사의 경우에도 복수의 채널로 전달되는 소식을 하나의 채널로 일원화하고, 연락처에 존재하는 사람들에게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하며,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수신한 수신자는 경조사비를 이체하거나 참석 여부를 알리거나 축하 또는 조문을 보내는 등 하나의 채널로 경조사에 관련된 모든 상황을 정리할 수 있으므로 고객의 감성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을 등록받고 경조사 로그 수집동의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를 포함한 웹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에 매핑되어 저장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에 웹트래픽 내에 포함된 경조사 객체를 추출하여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편집하는 단계, 및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경조사 중 조사의 경우 즉시발송모드로 사용자의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전송함으로써 경황이 없는 당사자가 소식을 알리지 못하여 참석을 못하는 게스트가 없도록 하고, 경사의 경우에도 복수의 채널로 전달되는 소식을 하나의 채널로 일원화하고, 연락처에 존재하는 사람들에게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하며,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수신한 수신자는 경조사비를 이체하거나 참석 여부를 알리거나 축하 또는 조문을 보내는 등 하나의 채널로 경조사에 관련된 모든 상황을 정리할 수 있으므로 고객의 감성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경조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등록하고, 경조사 관련 메세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웹트래픽 검색을 허용하여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자동으로 경조사를 인지하도록 하거나, 직접 경조사 정보를 입력하여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사용자의 경조사를 파악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경조사를 알릴 사람을 선택받는 수동모드 또는 연락처에 포함된 모든 사람들에게 전송하는 자동모드를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페이지에서 선택하는 단말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수동으로 연락처의 사람을 선택하여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별도의 조작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 단말(400)의 참석 여부를 수신하고, 수신 단말(400)에서 경조사비를 이체하거나 선물을 결제한 경우 이에 대한 로그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경조사 데이터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입력받고, 경조사의 종류를 파악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동모드로 알림 메세지 전송을 설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연락처 리스트에 등록된 모든 연락처로 경조사 메세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경조사 메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직접 입력을 받거나, 웹트래픽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경조사 주체, 장소, 시간, 객체 등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경조사 메세지를 변형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생성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경조사 메세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400)에서 경조사비를 이체하는 경우, 경조사비 입금 내역에 대한 로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확인하도록 하고, 물품을 구매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 단말(400)에서 경조사를 위하여 적금형식으로 경조사비를 적립해놓은 경우, 기 적립된 경조사비로부터 이체가 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경조사비 관리는 별도의 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지만,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실행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수신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도 경조사의 주체가 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의 기능이 실행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경조사의 주체, 수신자는 경조사의 소식을 전달받는 사람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도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경조사 주체의 역할로 한정한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메세지가 전달되는 형식이나 포맷이 애플리케이션 URL인지, MMS인지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경조사비를 결제하거나, 참석 여부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경조사비, 경조사비를 받은 사람 등을 로그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적금형식으로 경조사비를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적립할 수 있고, 이는 비용이 적금처럼 고정될 필요는 없고 유동적이어도 관계없으며 그 주기도 적금처럼 고정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적립된 금액 중 일부 금액을 선택하여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수신자를 설정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추출부(320), 편집부(330), 전송부(340), 경조사비 관리부(350), 물품 결제부(360), 모드 선택부(370), 적립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로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은,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받고 경조사 로그 수집동의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경조사 로그 수집동의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경조사와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수신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수집하겠다는 것에 대한 동의인데, 상술한 동의 프로세스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경조사 로그가 발생하고, 경조사 주체가 사용자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지인 등에게 이를 알리기 위함이다. 이때, 경조사 주체는, 경조사 소식을 지인에게 알려야 하는 사람이고, 경조사 객체는 경사 또는 조사의 축하나 조문의 대상으로 정의한다. 이에 따라, 경조사 로그가 수집되더라도 사용자가 경조사 주체인 경우에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므로, 경조사 로그가 발생했을 때 경조사 주체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로부터 장례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접했는데, 그저 조문을 가면 되는 사람인지, 아니면 장례를 진행해야 하는 사람인지를 구분해야 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연락처에 존재하는 사람에게 소식을 전할 필요가 없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연락처에 존재하는 사람에게 소식을 전해야 한다. 따라서, 이후의 추출부(320)는 예를 들어, 상황인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문맥을 파악하고 경조사의 주체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수동으로 경사, 조사 등을 선택하고 알리는 것을 선택하는 수동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며, 이를 배제하지 않는다.
만약, 상황인지, 상황수집을 하는 경우, 저장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의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얻고, 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수집되는 데이터는 소셜 네트워크 구축의 근거가 된다. 수집되는 로그는 크게 연속적 로그와 비연속적 로그로 분류된다.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연속적인 데이터로는 GPS로그, 블루투스 로그, 환경 로그, 고수준상황인 행동과 감정로그가 있다. 이 로그들은 특정 시간단위로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들이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수집되는 로그인 비연속적인 로그로는 통화로그, SMS로그가 있다. 이벤트가 시작되면 저장부(310)는 이벤트 시작 시간과 속성을 수집하고 이벤트가 끝나면 끝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고수준 상황인 행동과 감정은 사용자 단말(100) 상에서 해당하는 요소의 버튼을 선택함으로 지정될 수 있다. 행동은 GSS(General Social Survey on Time User)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감정은 Valence-Arousal 모델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를 포함한 웹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경조사 키워드는, 장례식, 돌아가셨다, 결혼, 돌잔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웹트래픽은 추출부(320)의 전처리기를 통하여 처리될 수 있는데, 전처리기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서비스에 이용 가능하도록 가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GPS의 신호가 잡히지 않는 로그는 가장 최근에 GPS신호가 잡혔던 좌표로 바꾸어준다. 실시간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GPS 좌표를 다음에 잡히는 신호와 연관하여 예측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상호작용(통화, SMS)을 하였던 상대방에 대한 정보는 아이디로 변환해주어 전화번호부에 기재된 사용자들 사이의 소셜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는 근처에 어떤 사용자와 함께 있었는지를 알려주는 단서가 된다. 블루투스 로그는 총 개수와 소셜 네트워크 상에 필요한 사용자의 전화번호부상에 있는 상대방의 아이디를 따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추출부(320)는 소셜 네트워크의 깊이에 따라 연락을 전할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가 수동모드로 연락처를 선택하거나, 자동으로 전체선택될 수 있음은 자명하고, 이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소셜 네트워크 모델에 사용자 단말(100)의 로그를 입력 받아서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도 있고, 소셜 네트워크 모델은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문제의 해결에 유용한 모델로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의 형태를 취하며 그래프의 노드는 확률 변수를 의미하고 노드 사이의 아크는 확률적 의존 관계를 의미한다. 모바일 도메인은 많은 불확실성을 포함하며 모든 입력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와 친한 사람인지 아닌지와, 어느 정도 친한지, 즉 장례를 알릴만한 사람인지 등을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간의 관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크게 4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적 관계와 관련있는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첫째는 통화와 SMS 정보를 바탕으로 한 상호작용 정보이다. 상호작용 정보를 바탕으로 통화 빈도, SMS 사용빈도, 통화 시간의 세 가지 요소를 추출하여 추론 모델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는 감정 관련 요소로 감정과 공동된 사회 활동의 영향을 받는다. 마지막은 사회 활동 관련 부분으로 이 변수는 공통된 사회활동과 위치상의 근접 관계의 영향을 받는다. 위치상의 근접관계에는 블루투스 아이디를 근거로 사용되었다. 추론되는 관계는 친구/지인/관계 없음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나, 더 세분화되거나 더 단순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추출부(320)는, 개인정보보호 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대방의 정보를 요청하였을 경우 서로간의 친밀도를 고려하여 상황 정보인 위치, 행동, 그리고 감정을 포함하는 경조사 이벤트를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연락처에 존재하는 사람마다 어느 정도 친한지, 해당 경조사를 알릴만한 사람인지가 평가되는 경우, 상술한 연락처 리스트로 자동추출될 수 있는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결혼식에는 초대할 수는 있어도, 장례식에 초대하기는 조금 껄끄러운 경우가 친밀도 깊이가 경조사의 종류마다 적용되는 하나의 예일 수 있다.
추출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를 포함한 웹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를 추출할 때, 웹트래픽에 포함되어 추출된 경조사의 종류가 날짜가 지정된 경우, 지정된 날짜 전의 기간에 대응하는 알림기간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추출부(320)는 기 설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선택된 알림기간 전에 알람이 발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장례식의 경우에는 경조사 주체가 소식을 받는 즉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예정 날짜가 정해지지 않지만, 결혼식이나 돌잔치의 경우에는 예약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에 따라 날짜가 예정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에는 예정 날짜 이전에 알림을 전송해야 사람들이 이를 인지하는데, 2주전, 1주전, 하루전 등으로 다양하게 디폴트가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를 변경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언제 사람들에게 알릴 것인지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편집부(330)는,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에 매핑되어 저장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에 웹트래픽 내에 포함된 경조사 객체를 추출하여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조사 종류에 따라 알림 메세지는 기 저장되어 있고, 경조사 주체, 경조사 객체, 장소, 시간 등을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사정에 맞추어 변경하는 것이다. 즉 메세지를 알릴 때, 해당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경황이 없거나 다른 일의 처리로 바쁜 당사자의 일거리를 덜어줄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직접 메세지를 작성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전송부(340)는,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부(340)는,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할 때, 웹트래픽에 포함된 텍스트가 장례식인 경우, 추출된 연락처 리스트의 연락처로 즉시발송처리하고, 웹트래픽에 포함된 텍스트가 결혼식 또는 돌잔치를 포함하는 예정날짜가 설정되는 이벤트인 경우, 예정날짜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이전에 예약발송처리할 수 있다.
경조사비 관리부(350)는, 전송부(340)에서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한 후,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로부터 경조사비를 결제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을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0)의 연락처 상 이름과 경조사비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경조사비 관리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에서 결제된 경조사비와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의 연락처 상 이름을 결제내역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기 저장된 계좌로 결제된 경조사비를 이체할 수 있다. 물론, 경조사비 관리부(350)는, 사용자의 연락처의 이름 말고도 실제 이름을 이용하여 저장하고 이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품 결제부(360)는, 추출부(32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를 포함한 웹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를 추출할 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물 리스트를 등록하였으면, 편집부(330)에서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등록한 선물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선물에 대한 결제가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에서 진행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의 결제금액과 어느 하나의 선물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 결제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에서 결제된 어느 하나의 선물과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의 연락처 상 이름을 결제내역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혼을 한 경우 필요한 물품을 당사자들이 등록하면, 친구들이 돈을 모아서 사주거나 친구 1 명이 1 개의 물품을 사주거나 할 수 있는 경우이다. 이때, 친구들끼리 돈을 모아서 사주는 경우에는 물품 결제부(360)는 선착순으로 물품결제에 필요한 돈을 모으도록 하고, 해당 물품이 결제완료되면(필요한 금액이 모이면) 해당 물품의 발주를 요청하는 동시에 해당 물품의 결제자를 함께 당사자(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어떤 물품을 어떤 친구들이 사주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드 선택부(370)는, 전송부(340)에서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할 때, 경조사 알림 메세지의 전달모드가 수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와,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를 전송하여 선택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로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자동모드는, 연락처에 기재된 모든 사람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경조사 알림 메세지가 전송되는 모드이고, 수동모드는, 연락처에 등록된 사람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사람에게만 경조사 알림 메세지가 전송되는 모드이다. 이를 자동으로 선별하는 상황인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으로 생략한다.
모드 선택부(370)는 전송부(340)에서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할 때, 경조사 알림 메세지의 전달모드가 수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실여부를 확인하는 증거 콘텐츠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로 증거 콘텐츠를 포함한 사기방지 경고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거짓으로 경조사를 등록하고 사기를 조장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증거사진이나 증거자료를 첨부하도록 함으로써 수신자가 피해를 입는 일을 배제할 수 있다. 물론, 자동모드에서도 증거가 수집될 수 있음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적립부(380)는, 전송부(340)에서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한 후,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경조사비를 확인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기 매핑되어 저장된 경조사비 중 결제금액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적립부(380)는, 입력된 결제금액만큼 사용자 단말(100)의 계좌로 이체시킬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경조사비는, 적금형으로 주기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에서 경조사비로 저축한 금액일 수 있다. 즉, 수신자는 평소에 경조사비로 일정 금액을 적립 또는 예치를 해두고, 필요한 때 바로 쓸 수 있으며, 수신자를 기준으로 누구에게 얼마만큼의 금액이 갔는지, 해당 비용은 한 달 예산 내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지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사용자도 자신이 누구에게 얼마를 받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규칙 기반 개체명 인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문자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한 경조사 통보에는 경조사 정보에 필수적인 사항인 장소, 시간, 경조사의 종류 등이 간략하게 제공된다. 문자 메시지에서 제공되는 이런 간략한 정보를 인식하여 핵심 정보를 추출하면, 추출된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사용자의 스케줄에 자동으로 추가해 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다만, 문자 메시지의 정보는 자연언어이기 때문에 사람은 쉽게 알아볼 수 있지만 컴퓨터가 쉽게 인식할 수 없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비 구조적인 정보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기술을 정보 추출(Information Extraction)이라고 하며, 정보를 추출하는 여러 과정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과정 중 하나는 개체명을 인식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개체명 인식은 문장의 핵심어라고 할 수 있는 기관명, 인명, 지명, 날짜, 시간, 화폐, 퍼센트 등과 같은 개체명을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개체명은 대부분 고유명사이고, 고유명사는 그 범위나 숫자가 한정된 것이 아니라 계속 만들어지기 때문에 사전에 모두 등록 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개체명 인식은 기존에 구축된 사전만으론 인식하기가 어렵고, 사전에 등록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그 범주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 문맥에 따라 개체명의 범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범주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같은 대명사가 문장에 따라 기관명 혹은 지명으로 사용되는 중의성의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문장에 따라 이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문장에서 핵심어라고 할 수 있는 개체명을 찾고 결정하는 것을 개체명 인식이라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규칙을 기반으로 하는 개체명 인식기술을 이용하여 경조사 소식으로 사람이 모여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에서 장소, 시간, 경조사 종류 등을 인식하여 각각을 템플릿의 개체에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요약 제공하고, 사용자의 스케줄에 자동적으로 추가해 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 단말(400)로부터 경조사 비용 예치금을 적립받을 수 있고, (b) 사용자 단말(100)의 웹트래픽이나 문자메세지를 통하여 사용자가 경조사 주체로 판정된 경우, 사용자의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c)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경조사 종류, 객체, 주체, 장소, 시간 등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경사인 경우에는 날짜가 예약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를 이용하여 알림기한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설정받고, 예약날짜로부터 알림기한 전에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400)에서 경조사비를 입금하거나 물건을 대신결제해주는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감사인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신 단말(400)도 자신이 누구에게 얼마를 주었는지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조의 진정한 의미인 서로 상호적으로 도움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 단말(400)로부터 경조사비를 적립받아 저장하고(S410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등록을 받고(S4200), 웹 트래픽을 수집한다(S4300).
이때,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웹트래픽 내 경조사 관련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연락처를 사용자 단말(100)로 요청하여 자동으로 추출한다(S4500). 여기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경조사의 종류가 장례식인 경우에는(S4600) 즉시 발송을 준비하고(S470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발송기한을 사용자 단말(100)로 선택받거나 디폴트값을 적용하여 발송기한까지 웨이팅하게 된다(S4630).
한편, 경조사 알림 메세지의 전달방식이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알림 메세지를 생성하여(S4800, S4840) 연락처 리스트 전체에게 메세지를 전송하게 된다(S4850, S4900). 이때, 경조사 알림 메세지의 전달방식이 수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알림 메세지를 생성하여(S4800, S4840), S4810, S4830에서 선택된 일부에게만 메세지가 전송되도록 한다(S4850, S4900). 그리고,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 단말(400)로부터 이체 또는 선물결제가 된 경우(S4910), 이를 기록 및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알림으로써(S4920), 주고 받은 로그를 서로가 저장하여 이후에 서로에게 부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등록받고 경조사 로그 수집동의를 수신하여 저장하고(S5100),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를 포함한 웹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를 추출한다(S5200).
또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에 매핑되어 저장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에 웹트래픽 내에 포함된 경조사 객체를 추출하여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편집하고(S5300),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등록받고 경조사 로그 수집동의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를 포함한 웹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에 매핑되어 저장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에 상기 웹트래픽 내에 포함된 경조사 객체를 추출하여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로부터 경조사비를 결제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락처 상 이름과 경조사비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에서 상기 결제된 경조사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의 연락처 상 이름을 결제내역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 저장된 계좌로 상기 결제된 경조사비를 이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를 포함한 웹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물 리스트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등록한 선물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선물에 대한 결제가 상기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에서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의 결제금액과 상기 어느 하나의 선물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에서 상기 결제된 어느 하나의 선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의 연락처 상 이름을 결제내역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경조사 알림 메세지의 전달모드가 수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와,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를 전송하여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로 상기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여 실행되는 것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경조사 알림 메세지의 전달모드가 수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실여부를 확인하는 증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로 상기 증거 콘텐츠를 포함한 사기방지 경고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경조사 키워드를 포함한 웹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웹트래픽에 포함되어 추출된 경조사의 종류가 날짜가 지정된 경우, 상기 지정된 날짜 전의 기간에 대응하는 알림기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상기 선택된 알림기간 전에 알람이 발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경조사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기 매핑되어 저장된 경조사비 중 결제금액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만큼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좌로 이체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경조사비는, 적금형으로 주기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에서 경조사비로 저축한 금액인 것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된 경조사 알림 메세지를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웹트래픽에 포함된 텍스트가 장례식인 경우, 상기 추출된 연락처 리스트의 연락처로 즉시발송처리하고, 상기 웹트래픽에 포함된 텍스트가 결혼식 또는 돌잔치를 포함하는 예정날짜가 설정되는 이벤트인 경우, 상기 예정날짜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이전에 예약발송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및 수동모드을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90009821A 2019-01-25 2019-01-25 자동 및 수동모드를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10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21A KR102210483B1 (ko) 2019-01-25 2019-01-25 자동 및 수동모드를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21A KR102210483B1 (ko) 2019-01-25 2019-01-25 자동 및 수동모드를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656A true KR20200092656A (ko) 2020-08-04
KR102210483B1 KR102210483B1 (ko) 2021-02-01

Family

ID=7204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821A KR102210483B1 (ko) 2019-01-25 2019-01-25 자동 및 수동모드를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95462A (zh) * 2021-12-28 2022-05-13 深圳供电局有限公司 报警消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5804A (ko) * 2007-11-02 2009-05-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경조사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26023A (ko) * 2013-04-22 2014-10-30 (주)코리아 플라워 경조사를 위한 컨버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5804A (ko) * 2007-11-02 2009-05-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경조사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26023A (ko) * 2013-04-22 2014-10-30 (주)코리아 플라워 경조사를 위한 컨버전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95462A (zh) * 2021-12-28 2022-05-13 深圳供电局有限公司 报警消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4495462B (zh) * 2021-12-28 2024-03-22 深圳供电局有限公司 报警消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483B1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82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and time based social networking
US20130217365A1 (en) Automatic profile update in a mobile device with transactional and social intelligence capabilities
US8817959B1 (en) System for handling messages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CN102483835A (zh) 从用户数据推断用户特定的位置语义
US11632657B2 (en) In-person encounter system and method of use
Shrum et al. Mobile phones and core network growth in Kenya: Strengthening weak ties
KR101554987B1 (ko) 스마트 소셜 그룹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34343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divorce support management
KR102137961B1 (ko)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실시간 즉석만남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6033064A2 (en) Method and system for crowd sourced contact database management
Rao Improving government to employee (G2E) services through mobile technology–a survey
KR20200092656A (ko) 자동 및 수동모드를 이용한 경조사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30006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on and display of time sensitive information
KR20140145770A (ko) 통합된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스케줄 관리 시스템
KR101642729B1 (ko) 그룹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03344B1 (ko) 결혼 축의금 대리 처리시스템
KR102336952B1 (ko) 날짜, 시간 및 요일별 활성화 기능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62333A (ko) 스마트폰 알림앱을 이용한 자동 경조사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487444B1 (ko)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1503417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 unique identifier
KR20090001449A (ko) 보험인맥 형성을 통한 보험정보제공시스템
KR101616455B1 (ko) 일정 정보를 이용한 모임 일정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4251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 unique identifier
KR20100006210A (ko) 경조사 관리 온라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91181A (ko) 개인 커뮤니티 정보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