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596A -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596A
KR20200092596A KR1020190009697A KR20190009697A KR20200092596A KR 20200092596 A KR20200092596 A KR 20200092596A KR 1020190009697 A KR1020190009697 A KR 1020190009697A KR 20190009697 A KR20190009697 A KR 20190009697A KR 20200092596 A KR20200092596 A KR 20200092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ser
virtual reality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513B1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19000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5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04L65/406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미리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를 실시간 화면 미러링(Mirroring)한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획득하여 영상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무선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과, 미리 설치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스트리밍 방식으로 무선 전송된 실시간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2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의 탈착을 위한 단말 결합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에 제2 사용자 단말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한 쌍의 볼록렌즈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구비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포함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고사양, 고품질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무선으로 제2 사용자 단말을 결합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특정 가상현실 디바이스의 제약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VIRTUAL REALITY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소자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소형 화상 표시 소자에서 출력된 화상을 광학계를 이용하여 확대하고, 이에 따른 허상을 눈으로 보게 하면서 마치 일정한 거리에 대형의 스크린을 두고 화상을 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주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부분 머리에 안경과 같은 방법으로 착용하는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라고 불리며 일반적으로, HMD는 내부에 포함되는 정밀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과 근접한 위치에서 단안 또는 양안에 소정의 영상을 맺힐 수 있도록 해 주는 영상 표시 시스템을 일컫는다.
HMD는 이러한 장치적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초점거리가 매우 짧게 형성되도록 설계된 것으로서, 군사, 의료 및 교육용 영상 시스템과 오락용 가상현실 시스템 등의 영상 구현을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정용 또는 휴대용 음향/영상(AV) 시스템(예를 들어, DVD 시스템, 홈시어터 등)과, 유무선 컴퓨터 등과 같은 각종 하드웨어가 고급화 추세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대량으로 보급됨에 따라 HMD의 활용 및 이용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HMD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가 탑재되어 있고, 셋톱박스(큰 사이즈의 외장 제어회로)를 사용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은 무게가 무겁고 추가적인 외부 전원 공급과 입력 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탑재된 디스플레이(Display)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여서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로 교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09-0105485호(2009.10.07.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을 실시간 화면 미러링(Mirroring)하여 무선으로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을 결합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고사양, 고품질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무선으로 제2 사용자 단말을 결합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특정 가상현실 디바이스의 제약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결합된 제2 사용자 단말의 모션 센서를 통해 감지된 모션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제1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전송하여 해당 모션 감지신호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화시킴으로써, 제2 사용자 단말이 결합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미리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를 실시간 화면 미러링(Mirroring)한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획득하여 영상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무선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 미리 설치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스트리밍 방식으로 무선 전송된 실시간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탈착을 위한 단말 결합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한 쌍의 볼록렌즈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구비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특정의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 및 가상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두 개로 화면분할되어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위한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송한 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해당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해당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해당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별도의 저장모듈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확인을 위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확인여부를 판단하거나, 사용자 확인을 위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가 저장된 외부의 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 확인여부를 판단한 후, 사용자 확인승인 시 실시간 획득된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영상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무선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주민번호, 사용자의 전화번호, 사용자의 아이디(ID) 및 비밀번호, 사용자의 주소, 사용자의 생체특징정보, 사용자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사용자의 OTP(One Time Password), 또는 사용자의 공인 인증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Wi-Fi) 공유기(Router)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션(Motion)을 감지하는 센서모듈로부터 출력된 모션 감지신호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전송된 모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해당 모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특정의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 및 가상현실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전송된 모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에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본체에 구비된 한 쌍의 볼록렌즈는, +20D(Diopter) 내지 +50D(Diopter)의 볼록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무선 연결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적외선(IR)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윈도우(Windows),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팜(Palm), 임베디스(Embedded), 또는 맥(Mac)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 기반의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팜(Palm) PC, 또는 태블릿(Tablet) PC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용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을 실시간 화면 미러링(Mirroring)하여 무선으로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을 결합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고사양, 고품질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무선으로 제2 사용자 단말을 결합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서 특정 가상현실 디바이스의 제약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결합된 제2 사용자 단말의 모션 센서를 통해 감지된 모션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제1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전송하여 해당 모션 감지신호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화시킴으로써, 제2 사용자 단말이 결합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한된 가상현실 디바이스(Device)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S/W)의 호환성을 높이고, 개인용 컴퓨터(PC)의 성능을 활용하도록 최소한의 제어를 하여 개인용 컴퓨터(PC) 사양에 따른 가상현실 소프트웨어(VR S/W) 개발응용분야가 확대될 수 있으며, 주변기기 또한 HMD가 아닌 개인용 컴퓨터(PC)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호환성을 높여주어, 기존에 나와있는 제품의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제1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제2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제1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제2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크게 제1 사용자 단말(100), 제2 사용자 단말(200),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와이파이(Wi-Fi) 공유기(Router)(4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미리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를 실시간 화면 미러링(Mirroring)한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획득하여 영상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2 사용자 단말(200)에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은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특정의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VR Application) 및/또는 가상현실 디바이스(VR Device)에 의해 구동되어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두 개로 화면분할되어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메시지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송한 후, 제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해당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여부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2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해당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별도의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확인을 위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확인여부를 판단하거나, 사용자 확인을 위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가 저장된 외부의 서버(Server)(미도시)와 연동되어 사용자 확인여부를 판단한 후, 사용자 확인승인 시 실시간 획득된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영상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2 사용자 단말(200)에 무선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는 예컨대,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주민번호, 사용자의 전화번호, 사용자의 아이디(ID) 및 비밀번호, 사용자의 주소, 사용자의 생체특징정보, 사용자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사용자의 OTP(One Time Password), 또는 사용자의 공인 인증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제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된 모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해당 모션 감지신호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특정의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VR Application) 및/또는 가상현실 디바이스(VR Device)와 연동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실시간 전송된 모션 감지신호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 간의 무선 연결은 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및/또는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WB(Ultra Wideband), 및/또는 적외선(IR)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예컨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도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전술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예컨대, 윈도우(Windows),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팜(Palm), 임베디스(Embedded), 및/또는 맥(Mac)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OS) 기반의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팜(Palm) PC, 및/또는 태블릿(Tablet) PC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스마트 노트(Smart Note) 등과 같은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무선 통신모듈(110), A/V(Audio/Video) 입력모듈(120), 사용자 입력모듈(130), 센싱모듈(140), 출력모듈(150), 저장모듈(160), 인터페이스모듈(170), 단말제어모듈(180), 및 전원모듈(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제1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110)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110)은 방송수신모듈(111), 이동 통신모듈(112), 무선망 통신모듈(113), 근거리 통신모듈(114) 및 위치정보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은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방송수신모듈(111)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 통신 단말일 경우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동 통신모듈(112)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신호는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신호,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망 통신모듈(113)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말제어모듈(180)과 버스로 연결되어 단말제어모듈(18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제어모듈(180)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무선망 통신모듈(113)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무선망 통신모듈(113)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망 통신모듈(113)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무선망 통신모듈(113)은 이동 통신모듈(112)과 통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114)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모듈(114)은 무선망 통신모듈(113)과 통합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120)은 오디오신호 또는 비디오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부(121)와 마이크부(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1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즉, 카메라부(12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부(12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하여 단말제어모듈(180)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사용자 입력모듈(130)은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입력모듈(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모듈(13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화면출력부(151)와 연동하는 터치입력모듈)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단말제어모듈(180)과 버스로 연결되어 단말제어모듈(180)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단말제어모듈(18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센싱모듈(140)은 다수의 센서모듈들(예컨대, 중력 센서모듈, 가속도 센서모듈, 자이로 센서모듈, 근접 센서모듈 등)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00)의 개폐 상태,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방위, 제1 사용자 단말(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제어모듈(180)에 전달되어, 단말제어모듈(180)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모듈(14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 통신 단말일 경우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출력모듈(150)은 예컨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화면출력부(151), 음향출력부(152), 알람부(153) 및 햅틱부(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화면출력부(151)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컨대,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며, 이동 통신 단말의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출력부(15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단말제어모듈(180)과 버스로 연결되어 단말제어모듈(18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음향출력부(152)는 예컨대, 가상현실 콘텐츠 실행모드,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5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단말제어모듈(180)과 버스로 연결되어 단말제어모듈(18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알람부(153)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가상현실 모션감지신호 수신,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이러한 알람부(153)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 통신 단말일 경우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햅틱부(154)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154)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154)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이러한 햅틱부(154)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 통신 단말일 경우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저장모듈(16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가상현실 모션센싱 값,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16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 통신 단말일 경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16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단말제어모듈(180)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저장모듈(160)은 기본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운영체계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저장모듈(160)에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모듈(160)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모듈(17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모듈(170)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제1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제1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제어모듈(18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s)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제1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되며, 예컨대, 가상현실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실행,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단말제어모듈(180)은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loading)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단말제어모듈(18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 통신 단말일 경우 배터리부(192)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1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160)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190)은 단말제어모듈(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190)은 전술한 각 모듈들 즉, 무선 통신모듈(110), A/V(Audio/Video) 입력모듈(120), 사용자 입력모듈(130), 센싱모듈(140), 출력모듈(150), 저장모듈(160), 인터페이스모듈(170), 단말제어모듈(180)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용 교류(AC) 전원(예컨대, AC 220V)을 직류(DC) 및/또는 교류(A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로(Battery)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모듈(190)에는 외부의 전원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고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ESD(Electro Static Damage) 보호기, 전원 감지기, 정류기 및 전원 차단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SD 보호기는 정전기 또는 급격한 전원 충격으로부터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감지기는 허용 전압 범위 외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전원 차단기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 변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 신호를 상기 정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하여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의 정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차단기는 상기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단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전원모듈(19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 통신 단말일 경우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Battery)(192)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제어모듈(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160)에 저장되고, 단말제어모듈(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제1 사용자 단말(100)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설치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영상 스트리밍 방식으로 무선 전송된 실시간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해당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은, 제2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션(Motion)을 감지하는 센서모듈(240)로부터 출력된 모션 감지신호가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사용자 단말(20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및/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사용자 단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210), A/V(Audio/Video) 입력모듈(220), 사용자 입력모듈(230), 센서모듈(240), 출력모듈(250), 저장모듈(260), 인터페이스 모듈(270), 단말 제어모듈(280) 및 전원모듈(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제2 사용자 단말(2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제2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210)은 제2 사용자 단말(200)과 제1 사용자 단말(1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210)은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 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및 위치 정보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신호, 모션 감지신호,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제2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215)은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280)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210)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260)에 저장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220)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221)와 마이크부(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2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230)은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250)의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표시관련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서모듈(240)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션센서(예컨대,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 등)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모듈(240)은 단말 제어모듈(28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모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 감지신호를 단말 제어모듈(28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센서모듈(240)은 적어도 하나의 모션센서를 비롯하여 예컨대, 중력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200)의 개폐 상태,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방위, 제2 사용자 단말(2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제2 사용자 단말(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280)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280)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250)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부(252), 알람부(253) 및 햅틱부(2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 제어모듈(280)의 제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영상 스트리밍 방식으로 무선 전송된 실시간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1)는 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20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51)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지털 영상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252)는 예컨대,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 신호수신,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2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253)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신호 수신,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254)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254)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254)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260)은 단말 제어모듈(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신호,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260)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260)은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표시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표시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질 수 있으며,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표시에 대한 정보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26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70)은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70)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제2 사용자 단말(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제2 사용자 단말(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280)은 통상적으로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280)은 저장모듈(260)에 저장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을 포함한 화면영상에 대한 정보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최종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0)은 상기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최종 화면영상 정보데이터의 생성/출력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251)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252), 알람부(253), 햅틱부(254)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0)은 배터리부(295)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2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260)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290)은 단말 제어모듈(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290)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295)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2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260)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2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제2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300)는 예컨대, 안경이나 모자, 헬멧 등의 형태로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어 렌즈 부위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즉, 제2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디지털 형태의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제2 사용자 단말(200)의 탈착을 위한 단말 결합부(330)가 형성되는 본체(310)와, 본체(310)에 제2 사용자 단말(20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한 쌍의 볼록렌즈(L)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300)에 구비된 한 쌍의 볼록렌즈(L)는 예컨대, +20D(Diopter) 내지 +50D(Diopter)의 볼록렌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D는 Diopter의 약어로서 렌즈가 유효광선속을 모이거나 퍼지게 하는 정도 즉, 버전스(Vergence)를 변화시키는 힘 즉, 굴절력(屈折力; Refractive Power)의 단위이다(도수의 단위라고도 함).
이와 같이 전술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300)의 주된 구성요소들은 본 출원인이 2015년 10월 27일자로 출원하여 특허 등록받은 제10-1765392호(2017.08.23. 공고)(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디스플레이 기기인 제2 사용자 단말(200)이 내부에 안착되도록 전방면이 개방된 안착부(301)를 갖는 본체(310)와, 본체(310)의 안착부(301)의 양측에 상, 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착부(301)의 개방된 전방면을 폐쇄하고 하부측에 본체(310)와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원터치 방식의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안착부(301)를 개방시키는 슬라이딩 커버(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310)는 사용자의 얼굴과 대면하는 면이 얼굴 형상의 곡면 구조를 이루고,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의 착용부재(311)가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310)의 전면부에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이 안착되도록 요입된 형상의 안착부(30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안착부(301)에 안착되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외측에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한 카트리지인 단말 결합부(330)가 결합된다. 제2 사용자 단말(200)은 단말 결합부(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말 결합부(330)는 본체(310)의 안착부(30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체(310)의 외측면에는 전원 인가시 LED 램프가 발광되어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 표시부(3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LED 표시부(312)는 다양한 디자인을 통해 본체(310)의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300)의 구조적인 동작은 전술한 국내 특허등록 제10-1765392호(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추가적으로, 와이파이(Wi-Fi) 공유기(Router)(4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간말(200)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제1 사용자 단말,
200 : 제2 사용자 단말,
300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400 : 와이파이 공유기

Claims (16)

  1. 미리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전체를 실시간 화면 미러링(Mirroring)한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획득하여 영상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무선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
    미리 설치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스트리밍 방식으로 무선 전송된 실시간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탈착을 위한 단말 결합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한 쌍의 볼록렌즈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구비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특정의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 및 가상현실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두 개로 화면분할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위한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송한 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해당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해당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해당 브로드캐스팅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와 함께 기 설정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별도의 저장모듈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확인을 위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확인여부를 판단하거나, 사용자 확인을 위한 사용자 고유식별정보가 저장된 외부의 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 확인여부를 판단한 후, 사용자 확인승인 시 실시간 획득된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영상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무선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고유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주민번호, 사용자의 전화번호, 사용자의 아이디(ID) 및 비밀번호, 사용자의 주소, 사용자의 생체특징정보, 사용자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사용자의 OTP(One Time Password), 또는 사용자의 공인 인증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Wi-Fi) 공유기(Router)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영상표시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션(Motion)을 감지하는 센서모듈로부터 출력된 모션 감지신호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전송된 모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해당 모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화면미러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특정의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 및 가상현실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전송된 모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화면분할되어 표시된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에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본체에 구비된 한 쌍의 볼록렌즈는, +20D(Diopter) 내지 +50D(Diopter)의 볼록렌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무선 연결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적외선(IR)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윈도우(Windows),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팜(Palm), 임베디스(Embedded), 또는 맥(Mac)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 기반의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팜(Palm) PC, 또는 태블릿(Tablet) PC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용 컴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90009697A 2019-01-25 2019-01-25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163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697A KR102163513B1 (ko) 2019-01-25 2019-01-25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697A KR102163513B1 (ko) 2019-01-25 2019-01-25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596A true KR20200092596A (ko) 2020-08-04
KR102163513B1 KR102163513B1 (ko) 2020-10-07

Family

ID=7204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697A KR102163513B1 (ko) 2019-01-25 2019-01-25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5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485A (ko)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업앤온 Hmd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70100968A (ko) * 2016-02-26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485A (ko)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업앤온 Hmd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70100968A (ko) * 2016-02-26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en Lang. DIY Guide: Play PC Games with Your Smartphone VR Viewer. roadtovr. 2016.1.2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513B1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7735B1 (en) Head Mounted Display clipped on spectacles frame
US9813095B2 (en) Glasses-type communication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9341866B2 (en) Spectacles having a built-in computer
KR101852811B1 (ko)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348198B (zh) 仿真对象的身份识别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20150142516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ohl et al. See what I see: Concepts to improve the social acceptance of HMDs
US11843755B2 (en) Cloud-based rendering of interactive augmented/virtual reality experiences
CN102654644A (zh) 一种多功能投影眼镜及应用该眼镜的系统
JP2017010185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28695B1 (ko) 스마트 헬멧 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헬멧 영상 전송 시스템
CN112241199B (zh) 虚拟现实场景中的交互方法及装置
KR102238530B1 (ko) 이동단말기, 이동단말기용 거치대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영상 촬영방법
US9319980B1 (en) Efficient digital image distribution
CN104698728A (zh) 微型投影装置及其操作方法和操作装置
KR20150089283A (ko)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163513B1 (ko)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185632B1 (ko)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40147057A (ko) 안경형 단말기 및 안경형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5014108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91788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438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81234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KR2014011187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3929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비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