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454A - A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of an IoT Apparatus - Google Patents

A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of an Io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454A
KR20200092454A KR1020190001354A KR20190001354A KR20200092454A KR 20200092454 A KR20200092454 A KR 20200092454A KR 1020190001354 A KR1020190001354 A KR 1020190001354A KR 20190001354 A KR20190001354 A KR 20190001354A KR 20200092454 A KR20200092454 A KR 20200092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iot
sensor
inform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8598B1 (en
Inventor
김하영
Original Assignee
김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영 filed Critical 김하영
Priority to KR102019000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598B1/en
Publication of KR2020009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4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5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for intelligent habit assistance based on article condition detecti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for the intelligent habit assistance based on the article state detection includes: an IOT sensor (11) for detecting the state of an article (A); an operation application (12) which process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11) to determine whether the article (A) is in a predetermined state; and an induction device (13) operated by an actuating application (12) to induce a predetermined state of article (A). The IOT sensor (11) stores information on various patterns of the article (A), and based on this, a method of detecting the state of the article (A) is detected according to a method specified in the operation application (12).

Description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A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of an IoT Apparatus} IoT device for assisting intelligent habits based on the detection of goods status{A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of an IoT Apparatus}

본 발명은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Internet of Things)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물품에 대한 IoT 탐지 정보에 따라 관련 기기를 원격 제어하여 물품의 상태가 인지되도록 하는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for assisting an intelligent habit based on the detection of an article state, and specifically, an article state to remotely control a related device according to the IoT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article so that the state of the article is recognized. It relates to an IoT device for assisting intelligent habits based on detection.

일상생활 또는 업무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물품 또는 일정한 행위에 따라 요구되는 부수적인 상황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행해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침 전 양치를 하는 습관을 가지는 사람의 경우 이를 잊고 전등을 끄고 잠자리에 들 수 있다. 또는 외출 전 선풍기, 냉난방기 또는 다른 전자기기의 작동이 중단되어야 하지만 바쁘게 준비하는 과정에서 잊어버리거나, 그와 같은 행위의 이행 여부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물품의 상태를 탐지하여 관련자가 인지할 수 있는 수단을 작동시켜 필요한 행위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생활 또는 업무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허등록번호 10-1796247은 상황 인식 기반의 도어 상태 감지를 위한 지능형 IoT 장치를 위하여 자세 방위 센서로 AHRS(Attitude and Heading Reference System) 센서가 적용된 지능형 IoT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 기술 또는 공지 기술은 습관적인 행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를 관련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Items that are used repeatedly in daily life or work, or incidental situations required by certain actions may not be performed due to various reasons. For example, people who have the habit of brushing their teeth before bedtime can forget about it, turn off the lights, and go to bed. Alternatively, the fan, air conditioner, or other electronic devices must be stopped before going out, but may be forgotten in the process of busy preparation, or may not be aware of whether or not such an action has been performed. In this case, by detecting the condition of the product and acting on a mean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person concerned, necessary actions can be made, which can help a lot in life or work.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796247 discloses an intelligent IoT device and system to which an attitude and heading reference system (AHRS) sensor is applied as an attitude bearing sensor for an intelligent IoT device for detecting door conditions based on context recognition. However, prior art or known technology does not disclose a technology capable of recognizing a related person when a habitual act is not performed.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objects.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10-1796247(류재환, 2017.11.13. 공고) 상황 인식 기반의 도어 상태 감지를 위한 지능형 IoT 장치 및 시스템Prior Art 1: Patent Registration No. 10-1796247 (Ryu Jae-Hwan, Nov. 13, 2017) Intelligent IoT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door condition based on situation awareness

본 발명의 목적은 생활 또는 업무에서 반복적 또는 습관적으로 행해지는 행위에 수반되는 물품의 상태를 탐지하여 행위의 이행 여부를 관련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oT device for assisting an intelligent habit based on the detection of an article state that can detect whether or not an action is performed by a related person by detecting the state of an article accompanying an act repeatedly or habitually performed in life or work.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는 물품(A)의 상태를 탐지하는 IoT 센서; IoT 센서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여 물품이 미리 결정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동 애플리케이션; 및 물품의 미리 결정된 상태를 유도하기 위하여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도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IOT 센서는 물품의 다양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기초하여 물품에 대한 상태 탐지 방법을 작동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정된 방법에 따라 탐지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device for assisting the intelligent habit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condition of the article includes an IoT sensor for detecting the condition of the article (A); An operation application that process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article is in a predetermined state; And an induction device operated by an actuation application to induce a predetermined state of the article, wherein the IOT sensor stores information on various patterns of the article, and based on this, a method for detecting a condition of the article in the actuation application. It detects according to the specified method.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IOT 센서는 자이로 센서, 온도/습도 센서 또는 방향 센서를 포함하고, 작동 애플리케이션은 유도기기의 On/Off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IOT sensor comprises a gyro sensor,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or a direction sensor, and the operating application activates the on/off switch of the induction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IoT 센서는 물품이 되는 칫솔에 부착되고,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칫솔의 움직임을 탐지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sensor is attached to the toothbrush as an article, and the movement of the toothbrush over time is detected by the gyro sensor.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는 일상생활 또는 업무에서 반복적 또는 습관적으로 행해지는 행위의 이행 여부를 관련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습관적인 행위가 필요한 시간에 행해지도록 하면서 행위의 종류에 따라 관련자의 불안감을 해소시키면서 추가적인 행위를 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는 지능형으로 작동하는 것에 의하여 탐지 오류가 감소되도록 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는 양치질 또는 이와 유사한 일상생활 습관에 적용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행위 또는 이와 유사한 행위에 적용될 수 있다. The IoT device for assisting intelligent habits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state of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person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o perform repetitive or habitual acts in daily life or work. In this way, while the habitual action is performed at the required time, the anxiety of the related person is relieved according to the type of action, and additional action is not required.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a simple structure while reducing detection errors by operating intelligently. In addition,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brushing teeth or similar daily life habits, but may be temporarily applied to an action or a similar action as 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에서 물품 상태의 탐지를 위한 IOT 센서를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에서 IOT 센서의 탐지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IoT device for assisting intelligent habits based on the detection of an article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IOT sensor for the detection of the state of the goods in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mbodiment of a process in which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is processed in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are intended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and are not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well-known components ar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n IoT device for assisting intelligent habits based on the detection of an article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는 물품(A)의 상태를 탐지하는 IOT 센서(11); IOT 센서(11)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여 물품(A)이 미리 결정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동 애플리케이션(12); 및 물품(A)의 미리 결정된 상태를 유도하기 위하여 작동 애플리케이션(12)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도기기(13)를 포함하고, 상기 IOT 센서(11)는 물품(A)의 다양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기초하여 물품(A)에 대한 상태 탐지 방법을 작동 애플리케이션(12)에서 지정된 방법에 따라 탐지한다. Referring to FIG. 1, an IoT device for assisting an intelligent habit based on an article state detection includes an IOT sensor 11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article A; An operation application 12 that process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11 to determine whether the article A is in a predetermined state; And an induction device 13 operated by the actuation application 12 to induce a predetermined state of the article A, wherein the IOT sensor 11 stores information on various patterns of the article A. Then, based on this, the state detection method for the article A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method specified in the operation application 12.

물품(A)은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물품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칫솔, 운동기구, 반복적으로 섭취되는 식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물품(A)은 주방기기, 전등, 냉난방기, 전자기기 또는 이와 유사한 생활 용품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oT 센서(11)는 물품(A)에 부착되거나, 물품(A)을 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IoT 센서(11)는 예를 들어 물품(A)의 움직임을 탐지하는 자이로 센서, 온도 또는 습도를 탐지하는 온도/습도 센서, 물품(A)의 위치 또는 방향을 탐지하는 방향 센서 또는 이와 유사한 상태 탐지를 위한 다양한 센서가 될 수 있다. IoT 센서(11)에서 탐지된 탐지 정보는 작동 애플리케이션(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IOT 센서(11)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이와 유사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작동 애플리케이션(12)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거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다양한 전자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은 IoT 센서(11)와 결합된 전자 칩 또는 마이크로 칩이 될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은 IoT 센서(11)로부터 전송된 물품(A)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A)이 미리 결정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상태는 예를 들어 일정한 시간 동안 사용되었는지 여부, 정해진 위치에 있는지 여부 또는 작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칫솔이 정해진 시간 동안 움직이는 않았다면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은 물품(A)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물품(A)의 예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은 물품(A)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A)의 예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물품(A)의 실제 사용 상태를 탐지하여 물품(A)의 예정된 상태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은 이와 같이 물품(A)의 실제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계속적으로 탐지하고, 이를 학습하는 방법으로 물품(A)의 예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IoT 센서(11)에 대하여 탐지 방법을 전송할 수 있고, IoT 센서(11)는 작동 애플리케이션(12)에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A)의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은 만약 물품(A)이 예정된 상태에 있지 않다면 그와 관련된 유도기기(1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A)이 미리 결정된 시간에 사용되지 않고, 관련자가 소등을 하였다면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은 유도기기(13)에 해당하는 전등을 다시 켤 수 있다. 이와 함께 IoT 센서(11)에 부착된 엘이디 소자와 같은 발광 소자를 작동시키거나, 마이크를 작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도기기(13)는 관련자가 물품(A)을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 또는 이와 유사한 원격 조정 가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IOT 센서(11)로부터 전송된 탐지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다. The article A may be various types of articles that are repeatedly used in daily life, and may be, for example, a toothbrush, exercise equipment, food that is repeatedly consumed, or the like. In addition, the article A may be a kitchen appliance, light fixture, air conditioner, electronic device, or similar household goo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oT sensor 11 may be attached to the article (A), or may be installed at a loca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article (A). The IoT sensor 11 is, for example, a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article A,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that detects temperature or humidity, a dir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location or direction of the article A, or a similar condition detection It can be a variety of sensors for.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oT sensor 11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application 12. The IOT sensor 11 may b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perating application 12 through, for example,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or similar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The operating application 12 may be install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or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fixed in a fixed position. Alternatively, the operational application 12 may be an electronic chip or microchip coupled with the IoT sensor 11. The operation application 12 may determine whether the article A is in a predetermined state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article A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11. The predetermined state means, for example, determining whether it has been used for a certain time, whether it i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r whether it is in an operating state. For example, if the toothbrush has not mov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considered not to be used. The actuation application 12 can store information about the article A and can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intended condition of the article A. The actuation application 12 can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intended state of the article A based o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article A. In addition, the actual use state of the article A can be detect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of the article A. The operation application 12 may continuously detect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use state of the product A, and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predetermined state of the product A in a manner of learning this.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detection method to the IoT sensor 11, and the IoT sensor 11 can detect the state of the article A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application 12. The actuation application 12 can activate the guidance device 13 associated with the article A if it is not in a predetermined state. For example, if the toothbrush A is not used at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related person has turned off, the operating application 12 can turn on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induction device 13 again. Along with this,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element attached to the IoT sensor 11 may be operated, or a microphone may be operated to generate sound. The induction device 13 may be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or similar remote control devices capable of recognizing the goods A by the person concerned.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11 can be processed in various way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에서 물품 상태의 탐지를 위한 IoT 센서를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IoT sensor for the detection of the state of the goods in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작동 애플리케이션은 탐지 정보 유닛(211) 및 기초 정보 유닛(212)을 포함할 수 있다. 탐지 정보 유닛(211)에 의하여 IoT 센서(11)로부터 전송된 물품에 대한 정보가 처리되어 패턴 분석/학습 유닛(22)으로 전송될 수 있다. 기초 정보 유닛(212)은 물품의 용도, 크기, 중량, 적정 온도 또는 형상과 같은 물품의 고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탐지 정보 유닛(211)은 변화 가능한 정보를 처리하고, 기초 정보 유닛(212)은 변화되지 않는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패턴 분석/학습 유닛(22)은 주기적으로 탐지 정보 유닛(211)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및 미리 저장된 고유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탐지 정보 유닛(211)은 예를 들어 물품의 위치, 온도, 습도, 움직임 또는 이와 유사한 사용 상태에 따른 정보를 처리하여 패턴 분석/학습 유닛(22)으로 전송할 수 있다. 패턴 분석/학습 유닛(22)은 IoT 센서(11)에 탐지되어 탐지 정보 유닛(211)을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물품에 대한 미리 예정된 다양한 상태를 분석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후 패턴 분석/학습 유닛(22)은 정해진 시간에 물품의 예정된 상태와 예정되지 않는 상태를 학습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시간에 물품이 사용되었는지 또는 작동이 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석되어 학습된 시간에 따른 예정 상태 정보를 물품 상태 결정 유닛(23)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물품 상태 결정 유닛(23)은 예정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으로부터 탐지되어야 하는 정보를 결정하여 탐지 정보 생성 유닛(24)으로 전송할 수 있고, 탐지 정보 생성 유닛(24)은 작동되어야 하는 센서, 탐지 시간 또는 이와 유사한 상태 결정을 위하여 필요한 탐지 정보를 IoT 센서(1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센서(11)는 탐지 정보 생성 유닛(24)에 의하여 전송된 탐지되어야 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어 탐지된 정보를 탐지 정보 유닛(2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operating application may include a detection information unit 211 and a basic information unit 212. Information about the article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11 may be processed by the detection information unit 211 and transmitted to the pattern analysis/learning unit 22. The basic information unit 212 may store unique information of the article, such as the use, size, weight, proper temperature or shape of the article. The detection information unit 211 may process changeable information, and the basic information unit 212 may have a function of processing unchanged information. The pattern analysis/learning unit 22 may periodically analyz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information unit 211 and pre-stored unique information. The detection information unit 211 may pro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temperature, humidity, movement, or similar use state of the article, for example, and transmit it to the pattern analysis/learning unit 22. The pattern analysis/learning unit 22 analyzes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oT sensor 11 and transmitted through the detection information unit 211 to analyze and learn various predetermined states of the article. Thereafter, the pattern analysis/learning unit 22 may learn and store a predetermined state and an unscheduled state of the article at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tore status information as to whether an item has been used or opera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he analyzed and learned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arned time may be transmitted to the article status determination unit 23. The article status determining unit 23 may determine information to be detected from the article based on the scheduled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4,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4 is a sensor to be operated, detection time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transmit necessary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IoT sensor 11 to determine a similar state. In addition, the IoT sensor 11 is op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to be detected transmitted by th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4 to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unit 211.

IoT 센서(11)는 물품에 따라 또는 물품의 실제 사용 상태에 따라 물품의 상태를 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oT sensor 11 may include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goods according to the goods or the actual use state of the good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에서 IOT 센서의 탐지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3 shows an embodiment of a process in which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IOT sensor is processed in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IoT 센서(11)는 자이로 센서(311), 온도/습도 센서(312) 또는 방향 센서(313)를 포함하고, 작동 애플리케이션(12)는 유도기기(13)의 On/Off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Referring to FIG. 3, the IoT sensor 11 includes a gyro sensor 311,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312 or a direction sensor 313, and the operation application 12 is on/off of the induction device 13 Activate the switch.

IoT 센서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품의 움직임을 탐지하는 자이로 센서(311), 온도 또는 습도를 탐지하는 온도/습도 센서(312) 또는 특정 부분의 방향을 탐지하는 방향 센서(313)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칫솔과 같은 생활용품은 정해진 시간에 움직임을 탐지하여 사용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음식물 용기의 경우 온도 또는 습도를 탐지하여 정해진 장소에 보관되고 있는지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폰 또는 이와 유사한 전자기기는 방향 센서(313)에 의하여 충전 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311, 312, 313)에서 탐지된 정보가 정보 처리 유닛(32)으로 전송되어 처리 가능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분류/저장 유닛(33)에 의하여 시간 또는 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저장 정보는 통신 유닛(34)을 통하여 탐지된 정보를 미리 결정된 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작동 애플리케이션(12)으로 전송되어 처리될 수 있다. 통신 유닛(34)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이 IoT 센서(11)와 일체로 형성되면 별도로 통신 유닛(34)이 설치되지 않고, 분류/저장 유닛(33)에 저장된 정보가 작동 애플리케이션(12)으로 전송되어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은 탐지 정보를 처리하여 예를 들어 유도기기의 On/Off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전자기기에 부착된 센서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 The IoT sensor may include various sensors, for example, a gyro sensor 311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n article,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312 for detecting temperature or humidity, or a dir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a specific part ( 313). For example, a household product such as a toothbrush may be detected by detecting movement at a predetermined time. In the case of a food container,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it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place by detecting temperature or humidity. Alternatively, a smart phone or similar electronic device may be detected by the direction sensor 313 whether it is in a charged state.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s 311, 312, 313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2, converted into a processable electrical signal, and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ime or information by the classification/storage unit 33. Can. Thereafter,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b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4 to the operating application 12 at a predetermined time or period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34 can be, for examp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Fi or Bluetooth. Optionally, when the operation application 1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oT sensor 11, the communication unit 34 is not separately installed, 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classification/storage unit 33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application 12 for processing. Can. In addition, the operation application 12 may process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operate the on/off switch of the induction device, for example. In addition, operating applications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sensors attach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작동 애플리케이션은 행동 패턴 탐지 유닛(411)과 상황 정보 유닛(412)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행동 패턴 탐지 유닛(411)은 관련자의 상태를 탐지하는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통 패턴 탐지 유닛(411)은 관련자의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 또는 헬스 케어 전자기기에 부착된 다양한 센서로부터 관련자의 위치 정보, 자세 정보, 이동 정보 또는 이와 유사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황 정보 유닛(412)은 관련자의 활동 공간에 설치된 다양한 전자기기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 사무 공간 또는 생활 공간에 설치된 다른 IoT 탐지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행동 패턴 탐지 유닛(411) 또는 상황 정보 유닛(412)에 의하여 수신된 정보가 상황 분석 유닛(42)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황 분석 유닛(42)은 수신된 정보에 의하여 관련자의 상태 및 활동 공간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물품(A)에 부착된 IoT 센서(11)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가 상황 분석 유닛(42)에 의하여 분석된 정보와 함께 탐지기기 선택 유닛(43)으로 전송될 수 있다. 탐지기기 선택 유닛(43)은 물품(A)의 사용 상태와 관련된 도 1에서 설명된 유도기기를 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물품(A)가 예정된 상태에 있지 않는 경우 이를 관련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고, 탐지기기 선택 유닛(43)은 관련자에게 이를 인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유도기기를 선택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최적의 유도기기는 미리 결정되거나, 실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탐지기기 선택 유닛(43)에 의하여 최적의 유도기기가 선택되면 IoT 센서(11)로부터 전송된 물품(A)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여 작동 결정 유닛(44)에 의하여 유도기기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자리에 든 관련자를 깨우기 위하여 스위치 On/Off 유닛(452)에 의하여 전등이 켜질 수 있다. 또한 인지 작동 유닛(451)에 의하여 관련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기기가 작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발광 소자가 발광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알림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application may receiv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havior pattern detection unit 411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unit 412. The behavior pattern detection unit 411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a sensor that detects a person's state. For example, the behavioral pattern detection unit 411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posture information, movement information, or similar information of a related person from various sensors attach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related person's smart phone or a health care electronic device. The situation information unit 412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sensors attach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 the activity space of the person concerned, for example, a surveillance camera, office space, or other IoT detection units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Ca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behavior pattern detection unit 411 or the situation information unit 412 may be transmitted to the situation analysis unit 42, and the situation analysis unit 42 may use the received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tatus and activity space of the person concerned. Can analyze the status of.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oT sensor 11 attached to the article A may be transmitted to the detector selection unit 43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situation analysis unit 42. The detection device selection unit 43 has a function of detecting the guidance device described in FIG. 1 related to the use state of the article A. When the article A is not in a predetermined state,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notifying the related person, and the detection device selection unit 43 may have a function of selecting the optimal guidance device that can recognize the related person. . In addition, such an optimum induction device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or in real time. When the optimum induction device is selected by the detection device selection unit 43,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rticle A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11 is determin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duction device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44. have. For example, the light can be turned on by the switch On/Off unit 452 to wake the person in bed. In addition, a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person concerned may be operated by the cognitive operation unit 451,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element may emit light, or a notification effect may be generated through a speaker.

행동 패턴 탐지 유닛(411) 또는 상황 정보 유닛(412)은 예를 들어 관련자가 외출을 하는 경우 또는 업무 공간을 장시간 동안 비우는 경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가스 잠금 밸브가 작동되거나, 소등이 되거나, 냉난방기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물품을 소지하는 않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behavior pattern detection unit 411 or the situation information unit 412 may be usefully applied, for example, when a person goes out or emptys a work space for a long time. In this case, the gas lock valve may be operated, turned off, o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stopped. In addition, an alarm sound may be generated if the required product is not carried.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는 습관 또는 반복 행위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applied to habits or repetitive action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를 참조하면, 관련자의 방(51)에 침대(52)가 위치하고, 다양한 생활 용품이 배치될 수 있다. 만약 관련자가 취침 전 양치질을 하는 것이 습관이라면 칫솔과 같은 물품(A)에 IoT 센서(11)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이 IoT 센서(11)에 결합될 수 있다. IoT 센서(11)는 침대(52) 또는 다른 용품에 설치된 IoT 통신 허브(53)를 통하여 유도기기(13)에 해당하는 전등의 작동을 위한 작동 유닛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관련자는 양치질을 하지 않고 취침을 위하여 전등을 오프를 시키고 잠자리에 들 수 있다. IoT 센서(11)에 부착된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일정 시간 동안 물품(11)의 움직임이 탐지될 수 있고 만약 물품(11)이 양치질에 필요한 수준으로 이동되지 않은 것으로 작동 애플리케이션(12)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12)은 스위치 탐지 유닛(55)을 통하여 전등 작동 유닛과 통신하여 전등의 상태를 탐지하고 전등을 다시 On을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자는 양치질을 하지 않은 것을 인지하고 양치질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bed 52 is positioned in a person's room 51, and various household items may be arranged. If the person concerned is a habit of brushing teeth before bedtime, the IoT sensor 11 may be attached to an article A such as a toothbrush. And the operational application 12 can be coupled to the IoT sensor 11. The IoT sensor 11 may be set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n operation unit for the operation of a light fixture corresponding to the induction device 13 through the IoT communication hub 53 installed in the bed 52 or other article. The person concerned can go to bed with the light off to go to bed without brushing teeth. The movement of the article 11 can be detected for a period of time by the gyro sensor attached to the IoT sensor 11 and if the article 11 is not moved to a level necessary for brushing teeth, it will be determined by the operating application 12 Can. The operation application 12 may communicate with the light operation unit through the switch detection unit 55 to detect the state of the light and turn the light back on. Accordingly, the person concerned can recognize that they have not brushed their teeth and brush their teeth.

다양한 물품(A)에 IoT 장치가 적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IoT devices may be applied to various articles A and are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는 일상생활 또는 업무에서 반복적 또는 습관적으로 행해지는 행위의 이행 여부를 관련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습관적인 행위가 필요한 시간에 행해지도록 하면서 행위의 종류에 따라 관련자의 불안감을 해소시키면서 추가적인 행위를 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는 지능형으로 작동하는 것에 의하여 탐지 오류가 감소되도록 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는 양치질 또는 이와 유사한 일상생활 습관에 적용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행위 또는 이와 유사한 행위에 적용될 수 있다. The IoT device for assisting intelligent habits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state of g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person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o perform repetitive or habitual acts in daily life or work. In this way, while the habitual action is performed at the required time, the anxiety of the related person is relieved according to the type of action, and additional action is not required.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a simple structure while allowing detection errors to be reduced by operating intelligently. In addition,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brushing teeth or similar daily life habits, but may be temporarily applied to an action or a similar action as necessary.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ed inven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modified and modified inventions, but is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11: IoT 센서 12: 작동 애플리케이션
13: 유도기기 211: 탐지 정보 유닛
212: 기초 정보 유닛 22: 패턴 분석/확습 유닛
23: 물품 상태 결정 유닛 24: 탐지 정보 생성 유닛
311: 자이로 센서 312: 온도/습소 센서
313: 방향 센서 32: 정보 처리 유닛
33: 분류/저장 유닛 34: 통신 유닛
411: 행동 패턴 탐지 유닛 412: 상황 정보 유닛
42; 상황 분석 유닛 43: 탐지기기 선택 유닛
44: 작동 결정 유닛
11: IoT sensor 12: Operational application
13: guidance device 211: detection information unit
212: basic information unit 22: pattern analysis / acquisition unit
23: item status determination unit 24: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1: gyro sensor 312: temperature/humidity sensor
313: direction sensor 32: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3: sorting/storage unit 34: communication unit
411: behavior pattern detection unit 412: situation information unit
42; Situation analysis unit 43: detector selection unit
44: operation determining unit

Claims (3)

물품(A)의 상태를 탐지하는 IOT 센서(11);
IOT 센서(11)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여 물품(A)이 미리 결정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동 애플리케이션(12); 및
물품(A)의 미리 결정된 상태를 유도하기 위하여 작동 애플리케이션(12)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도기기(13)를 포함하고,
상기 IOT 센서(11)는 물품(A)의 다양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기초하여 물품(A)에 대한 상태 탐지 방법을 작동 애플리케이션(12)에서 지정된 방법에 따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
IOT sensor 11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article (A);
An operation application 12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OT sensor 11 to determine whether the article A is in a predetermined state; And
A guiding device (13) operated by the actuation application (12) to induce a predetermined state of the article (A),
The IOT sensor 11 stores information on various patterns of the article A, and based on this, detects a state detection method for the article A according to a method specified in the operation application 12. IoT device for assisting intelligent habits based on article condition det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IOT 센서(11)는 자이로 센서(311), 온도/습도 센서(312) 또는 방향 센서(313)를 포함하고, 작동 애플리케이션(12)는 유도기기(13)의 On/Off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sensor 11 includes a gyro sensor 311,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312 or a direction sensor 313, the operating application 12 is an on/off switch of the induction device 13 IoT device for intelligent habit assist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condition of the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operate. 청구항 1에 있어서, IOT 센서(11)는 물품(A)이 되는 칫솔에 부착되고, 자이로 센서(311)에 의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칫솔의 움직임을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 The Io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OT sensor (11) is attached to a toothbrush that becomes an article (A)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toothbrush over time by a gyro sensor (311). Device.
KR1020190001354A 2019-01-04 2019-01-04 A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of an IoT Apparatus KR1021485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354A KR102148598B1 (en) 2019-01-04 2019-01-04 A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of an Io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354A KR102148598B1 (en) 2019-01-04 2019-01-04 A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of an Io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454A true KR20200092454A (en) 2020-08-04
KR102148598B1 KR102148598B1 (en) 2020-08-28

Family

ID=7204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354A KR102148598B1 (en) 2019-01-04 2019-01-04 A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of an Io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59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735B1 (en) * 2014-08-12 2015-10-16 주식회사 비젼스케이프 Motion tracking apparatus for tooth brushing pattern analyzing
KR20160104667A (en) * 2013-12-30 2016-09-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EEMPTIVELY TRIGGERING A DEVICE AC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BASED ON A MOTION-BASED PREDICTION OF A USER INITIATING THE DEVICE ACTION
KR20170002003A (en)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utomatic Execu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evices, Application, and Server
KR101796247B1 (en) 2017-07-12 2017-11-13 류재환 Intelligent IoT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on of door state based on context-awareness
KR20180133239A (en) * 2018-08-20 2018-12-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An Air Care Managing System for Regulating a Personal Life Patten Based on Measuring Circumstance by IOT Sens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667A (en) * 2013-12-30 2016-09-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EEMPTIVELY TRIGGERING A DEVICE AC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BASED ON A MOTION-BASED PREDICTION OF A USER INITIATING THE DEVICE ACTION
KR101560735B1 (en) * 2014-08-12 2015-10-16 주식회사 비젼스케이프 Motion tracking apparatus for tooth brushing pattern analyzing
KR20170002003A (en)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utomatic Execu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evices, Application, and Server
KR101796247B1 (en) 2017-07-12 2017-11-13 류재환 Intelligent IoT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on of door state based on context-awareness
KR20180133239A (en) * 2018-08-20 2018-12-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An Air Care Managing System for Regulating a Personal Life Patten Based on Measuring Circumstance by IOT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598B1 (en)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0577B2 (en) Automatically learning and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Zhu et al. Wearable sensor-based behavioral anomaly detection in smart assisted living systems
US10682097B2 (en) People monitoring and personal assistance system, in particular for elderly and people with special and cognitive needs
De Silva et al. State of the art of smart homes
Rashidi et al. A survey on ambient-assisted living tools for older adults
US8085977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gesture-activation
Novák et al. Unobtrusive anomaly detection in presence of elderly in a smart-home environment
KR201901353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cleaning operation
KR102140292B1 (en) System for learning of robot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1168156B1 (en) Hand-held device for detecting actvity of daily living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20210056603A (en)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48598B1 (en) A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of an IoT Apparatus
US114614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a device personality profile
KR20190134936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thereof
KR20180013230A (en) Health analysis apparatus for pet using motion sensor and the method thereof
JP72913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paces with portable sensor devices
EP4004891B1 (en) A monitoring device for detecting presence in a space and a method thereof
CN114599434A (en) Autonomous moving bod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chikawa et al. Impression evaluation for differ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ethologically inspired human-robot communication
KR20130047276A (en) How to express emotion between robots
JP2005084828A (en) User support system and method, and user support control system
JP6659890B1 (en) Security system
WO2021028994A1 (en) Device controller, dev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control program
Gregoriades et al. A robotic system for home security enhancement
Lachaux et al. Managing the Fall Risk in Smart Homes Using Monocular Cameras, Ambient Sensors and an Interactive Social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