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012A - Camera control method with PI(Photo Interrupt) sensor,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Camera control method with PI(Photo Interrupt) sensor,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012A
KR20200092012A KR1020190008989A KR20190008989A KR20200092012A KR 20200092012 A KR20200092012 A KR 20200092012A KR 1020190008989 A KR1020190008989 A KR 1020190008989A KR 20190008989 A KR20190008989 A KR 20190008989A KR 20200092012 A KR20200092012 A KR 20200092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ens
output value
reference valu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0660B1 (en
Inventor
김준식
김대봉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660B1/en
Publication of KR2020009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 H01L31/125Composite devices with photosensitive elements and electroluminescent elements within one single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control method using a PI sensor, which is a method of initializing a position of a camera lens using a PI sensor.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n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a first PI reference value while moving the lens; and,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using a first output value, which is an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mmediately before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output value, which is an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after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to calculate a second PI reference value, so as to set as a PI reference value initializing the position of the len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output by the lens passes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The PI sensor reference value for initialization for each camera module is customized so that the initial position can be accurately set.

Description

PI(Photo Interrupt)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amera control method with PI(Photo Interrupt) sensor, and apparatus thereof}Camera control method using PI (Photo Interrupt) sensor and its apparatus {Camera control method with PI (Photo Interrupt) senso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PI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I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방법 및 카메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control method using a PI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nitializing the position of a camera lens using a PI sensor and a camera control device.

PI(Photo Interrupt) 센서는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와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로,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는 물체를 비접촉으로 인식한다. 광을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함으로써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인식정도가 매우 높다. 이러한 PI 센서는 디지털카메라, 카메라폰, 소형모터 등의 전기, 전자제품에 사용되고 있다.The PI (Photo Interrupt) sensor is an optical sensor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that generates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light, and recognizes an object passing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s non-contact. By recognizing objects using light, the life span is semi-permanent and the recognition accuracy is very high. Such PI sensors are used in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such as digital cameras, camera phones, and small motors.

특히, 카메라의 경우,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데 이용된다. 복수의 카메라 렌즈를 이용하는 카메라는 사용하기 전 렌즈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켜 초기화한 후, 줌을 이용한다. 이때, 렌즈가 초기 위치로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PI 센서를 이용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amera, it is used to initialize the position of the lens. A camera using a plurality of camera lenses is initialized by moving the lens position to an initial position before use, and then using zoom. At this time, a PI sensor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lens has been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PI 센서를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데 이용함에 있어서, PI 센서의 물체 인식을 위한 기준 값이 설정되어야 하는데, PI 센서의 기준 값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카메라의 기구 특성이나 기구 오차에 의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When the PI sensor is used to initialize the position of the camera lens, the reference value for object recognition of the PI sensor must be set, and when the reference value of the PI sensor is applied uniformly, an error may occur due to camera characteristics or instrument error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ccur.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190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19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PI 센서를 이용하여 오차 없이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initializing the position of a lens without error using a PI senso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I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방법은,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기 직전의 PI 센서의 출력 값인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한 이후의 PI 센서의 출력 값인 제2 출력 값을 이용하여 제2 PI 기준 값을 산출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PI 기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초기 위치는, 상기 렌즈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2 PI 기준 값을 통과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solve the above problem, a method of initializing the position of a camera lens using a PI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an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a first PI reference value while moving the lens ; And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after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and the first output value that is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mmediately before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And calculating a second PI reference value using a second output value, which is an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and setting the PI reference value to initialize the position of the lens,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is output by the len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a position that has passed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한 경우,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한 위치에서 소정의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로 상기 렌즈를 되돌리는 단계; 및 상기 렌즈를 최소 이동단위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changes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while moving the lens;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changed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returning the lens to a position away from a position where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changed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by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determining whether an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while moving the lens in a minimum moving unit.

또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에서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뺀 값이 음수인지 여부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is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based on whether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from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negativ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is passed.

또한, 상기 제2 PI 기준 값은,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의 평균 값일 수 있다.Also,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first output value and the second output value.

또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은, 상기 렌즈가 이동하는 이동단위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할 수 있고, 상기 렌즈의 이동에 따라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may be changed stepwise according to a moving unit in which the lens moves, an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ens.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 별로 초기화를 위한 PI 센서 기준 값이 커스터마이즈(customized)되어 초기 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 sensor reference value for initialization for each camera module is customized, so that the initial position can be accurately set.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PI 센서를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PI 센서의 기준 값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I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amer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nitializing the position of the lens using a PI sensor.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setting the reference value of the PI sensor.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initializing the position of a camera lens using a PI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initializing a position of a camera lens using a PI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specifically defin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amer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110)는 처리부(111) 및 제어부(112)로 구성된다. 카메라 제어 장치(110)가 포함되는 카메라는 렌즈부(120) 및 PI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2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렌즈를 이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control apparatus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ing unit 111 and a control unit 112. The camera including the camera control device 110 may include a lens unit 120 and a PI sensor 130. The lens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and may further include a motor to move the lenses.

처리부(111)는 PI 기준 값을 설정하고, 제어부(112)는 렌즈부(120)의 위치를 제어하며, 처리부(111)가 설정한 PI 기준 값에 따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The processing unit 111 sets the PI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12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120, and moves the lens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according to the PI reference value set by the processing unit 111.

카메라의 줌 기능은 광학 줌을 의미하며, 여러 장의 렌즈를 이용해 다양한 초점거리와 촬영거리를 조절한다. 렌즈들의 상대적 이동거리를 조정하여 초점 거리를 맞추게 되는데, 렌즈들을 움직이기 위해서 도 2와 같이, 모터(240)와 PI 센서(210)를 가지고 제어를 한다.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means optical zoom, and various focal lengths and shooting distances are adjusted using multiple lenses. The focal length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relative moving distances of the lenses. As shown in FIG. 2, the lenses are controlled with the motor 240 and the PI sensor 210 to move the lenses.

여기서 모터(240)는 렌즈 동작에 사용되고 PI 센서()는 초기 위치 설정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렌즈들을 이용하여 줌을 수행하는 줌모듈이 처음 동작할 당시에 각각의 렌즈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기가 힘들기에 PI 센서()를 사용하여 초기 위치로 렌즈를 보내는 작업을 하게 된다. 렌즈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면, 1차원적인 움직임이나 360도 회전하는 경우에 자기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기가 힘들고 움직임 동작을 하면서 기구적으로 충돌이 일어날 수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초기 동작할 시에 PI 센서의 출력신호를 읽어 그 지점을 기준으로 삼아 설계된 기구 수치를 감안하여 동작을 하도록 한다.Here, the motor 240 is used for lens operation and the PI sensor () is used to set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zoom module that performs zoom using lenses is first operate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re each lens is located, so the PI sensor () is used to send the lens to the initial position. If the position of the lens is not accurately recognized, it is difficult to move to a desired position in a one-dimensional movement or a 360-degree rotation, and a mechanical collision may occur while moving. 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the output signal of the PI sensor is read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erical value of the instrument designed based on the point.

PI 센서(210)를 한쪽 끝에다 두고 렌즈가 어느 위치에 있던, PI 센서 위치로 보내어 PI 센서(210)로부터 신호를 A/D 컨버터(220)에서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제어부(230)로 보내어 모터(240)를 제어하는 동작을 한다. 렌즈가 PI 센서 위치로 가게 되면 설계된 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렌즈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PI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렌즈를 한쪽 방향으로 다 보내놓고 모터 제어를 하여도 되지만, 이럴 경우에 렌즈가 기구 끝부분에 부딪쳐 손상이 간다거나, 여러 개의 렌즈를 사용할 경우 렌즈 간의 부딪힘, 기구물에 렌즈 끼임 현상 등이 발생 할 수가 있다. 또한 줌 기능을 위해서 배율 별로 렌즈 간 이동을 하게 되는데 기준점이 되는 정보가 없을 시에 정확한 배율 및 초점을 맞출 수 없게 된다.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하여 PI 센서를 사용하여 렌즈 위치의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고 초기 위치에서 렌즈를 제어한다.Place the PI sensor 210 at one end and send the lens to the PI sensor position at any position, receive the signal from the PI sensor 210 from the A/D converter 220, convert it to a digital signal, and send it to the control unit 230 Send to operate to control the motor 240. When the lens goes to the PI sensor pos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ens based on the designed instrument data. The motor may be controlled by sending the lens in one direction without using a PI sensor, but in this case, the lens hits the end of the instrument and damages it. Symptoms, etc., may occur. Also, for the zoom function, the lens is moved for each magnification, but when there is no information as a reference point,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focus and focus. To prevent this, the PI sensor is used to initialize the lens position, and the lens is controlled from the initial position.

PI 센서를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 도 3과 같이, 렌즈에 PI 센서(310)를 통과할 수 있는 바(320)를 장착하고, 렌즈의 바(320)가 PI 센서를 통과할 때, PI 센서의 출력 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인식한다. PI 센서의 출력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라 AD 컨버터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해주게 되는데 여기서 도 4와 같이, 하이(High) 및 로우(Low)의 기준점(410, 420)을 정해 놓음으로써 PI 신호가 인식(로우 -> 하이 또는 로우 -> 하이) 될 때, 그 위치를 기준으로 삼고 모터를 제어한다. In order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lens using the PI sensor, as shown in FIG. 3, when the bar 320 that can pass through the PI sensor 310 is mounted on the lens, and when the bar 320 of the lens passes through the PI sensor ,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lens using the change of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Since the output signal of the PI sensor is an analog signal, it is converted to a digital signal through an AD converter. Here, as shown in FIG. 4, the PI signals are recognized by setting the high and low reference points 410 and 420. When it becomes (low -> high or low -> high), it uses the position as a reference and controls the motor.

렌즈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선 PI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 전환되는 기준점, 즉 PI 기준 값이 정확해야 한다. 렌즈는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데, 모터의 특성상 연속적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최소 이동 단위로 한 단계씩 이동한다. 최소 이동 단위 이동으로 인해, PI 센서의 출력 값(520)은 도 5와 같이, 계단식으로 변한다. 이때, 기구오차와 각 시료 별 편차에 의해 PI 센서의 출력 신호가 하이 또는 로우로 인식되는 지점이 PI 기준 값(510)의 경계 면에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In order to accurate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lens, the PI reference value, that is, the PI signal is high to low or low to high, must be accurate. The lens moves by using a motor, but cannot move continuous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and moves in steps of a minimum moving unit. Due to the minimum movement unit movement, the output value 520 of the PI sensor changes stepwise, as shown in FIG. 5. At this tim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point where the output signal of the PI sensor is recognized as high or low due to the instrument error and the deviation for each sample is on the boundary surface of the PI reference value 510.

PI 기준 값(510)이 이전 단계의 PI 센서의 출력 값(530) 또는 이후 다음 단계의 PI 센서의 출력 값(540)에 겹치거나 가깝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PI 출력 값(520)은 노이즈 등에 의해 약간의 오차나 흔들림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서 PI 출력 값이 PI 기준 값을 통과하여 하이에서 로우로 변환할 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 같은 위치라도 PI 센서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바뀔 수도 있고, 안 바뀔 수도 있게 되며, 한 단계의 차이라도 오차가 발생함으로 인해, 위치를 인식하는 지점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When the PI reference value 510 overlaps or is set close to the output value 530 of the PI sensor of the previous stage or the output value 540 of the PI sensor of the subsequent stage, the PI output value 520 is caused by noise or the like. Since there may be some errors or shaking, it may not be clear whether the PI output value at that location will pass from the PI reference value to convert from high to low. That is, in some cases, even if the same position, the output of the PI sensor may change from high to low or not, and even if there is an error even in one step difference, a difference in the point of recognizing the position may occur. The exact location cannot be recognized.

이렇게 PI 센서를 이용한 렌즈 위치 인식에서 오차가 생기게 되면 초기에 인식하여 설정하였던 위치와 나중에 인식하게 된 위치가 달라져 기준점이 되는 위치 설정이 불가능해지고 이로 인하여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힘들어지게 된다. 특히나 줌 기능이 들어간 카메라의 경우 복수의 렌즈를 사용하고 미세하게 조정하기 어려워지며, 고 배율 다군 렌즈의 경우, 렌즈 위치가 조금만 틀어져도 배율이 다르거나 사물의 초점이 안 맞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위치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매번 초기화 작업을 하는 경우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데 고 배율로 갈수록 시간은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줌모듈의 성능면에서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배율 별 저장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빠르게 원하는 배율로 이동이 가능한데, 이 또한 저장된 위치정보를 가지고 움직이기 때문에 이 데이터의 신뢰성이 그만큼 중요하다. 따라서 이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선 PI 센서를 이용한 렌즈 위치 인식이 매번 동일하게 인식이 되어야 하며, 따라서, 정확한 렌즈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선 PI 기준 값을 카메라 렌즈에 맞게 재설정해야할 필요가 있다.If an error occurs in the lens position recognition using the PI sensor, the position recognized and set later and the position recognized later become different, making it impossible to set the position as a reference poin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ove to a desired posi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amera with a zoom function, it is difficult to fine-tune and use a plurality of lenses. In the case of a high magnification multi-group lens, even if the lens position is slightly distorted, the magnification may be different or the object may be out of focus. It takes a lot of time to initialize each time without sa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ut the time increases as the magnification increases. And it also has an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zoom module. It is possible to quickly move to a desired magnification based on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magnification, and since this also moves with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the reliability of this data is importa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is data, the lens position recognition using the PI sensor must be recognized the same every time, and therefore, in order to recognize the correct lens position,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PI reference value to match the camera lens.

이를 위치하여, 처리부(111)는 먼저,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한다.Positioning this, the processing unit 111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while moving the lens.

정확한 렌즈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PI 기준 값을 해당 카메라의 특성에 맞춰 커스터마이즈하여 재설정하기 위하여, 우선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하여, 제1 PI 기준 값에 따른 렌즈의 초기 위치를 인식한다. 여기서, 제1 PI 기준 값은 개별 카메라의 특성을 반영한 PI 기준 값이 아닌 임의의 PI 기준 값으로, 카메라 렌즈의 스펙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 렌즈의 스펙에 따라 같은 스펙을 가지는 카메라 렌즈에 적용된 PI기준 값을 이용하거나, 설계에 따라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In order to customize and reset the PI reference value for recognizing the correct lens pos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mera, first, determine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while moving the lens, and the first PI referenc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according to the value is recognized. Here,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is an arbitrary PI reference value, not a PI reference valu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ameras, and may be set by a camera lens specification or a user.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camera lens, the PI reference value applied to the camera lens having the same specification may be used, or may be set according to a design or set by a user.

PI 센서의 출력 값은 상기 렌즈가 이동하는 이동단위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하며, 상기 렌즈의 이동에 따라 커지거나 작아진다. 도 3과 같이, PI 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 내에 물체가 없는 경우, 수광부가 수신하는 빛이 일정하기 때문에, PI 센서의 출력 값은 일정하다, 렌즈의 바(320)가 PI 센서로 진입하게 되면, 렌즈의 바(320)에 의해 가려지는 빛이 많아지기 때문에, PI 센서의 출력 값이 작아지며, 렌즈의 바(320)가 PI 센서로부터 빠져나가면, 렌즈의 바(320)에 의해 가려지는 빛이 줄어들기 때문에, PI 센서의 출력 값이 다시 커진다.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changes stepwise according to the moving unit in which the lens moves, and increases or decreas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ens. As shown in FIG. 3, when there is no object in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of the PI sensor, since the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part is constant,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constant. When the bar 320 of the lens enters the PI sensor, , Since the light obscured by the bar 320 of the lens increases,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decreases, and when the bar 320 of the lens exits the PI sensor, the light obscured by the bar 320 of the lens Since this decreases,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becomes large again.

도 5와 같이, PI 센서의 출력 값(520)이 줄어드는 위치에서 제1 PI 기준 값(510)을 적용하여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 렌즈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5,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by apply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510 at a position where the output value 520 of the PI sensor decreases The position of the passing lens can be recognized.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는지를 판단하고,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한 경우,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한 위치에서 소정의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로 렌즈를 되돌린다. 초기에는 제1 PI 기준 값에 따른 렌즈의 초기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렌즈를 빠르게 이동시키면서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는지를 판단하여 제1 PI 기준 값에 따른 대략적인 렌즈의 초기 위치를 인식하고,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한 위치에서 소정의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로 렌즈를 다시 되돌린다. 즉,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기 전의 위치로 렌즈를 되돌린다. 이후, 렌즈를 최소 이동단위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한다. 렌즈를 최소 이동단위로 이동시켜 세밀한 제어를 통해 제1 PI 기준 값에 따른 정확한 렌즈의 초기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changes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while moving the lens, and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changes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The lens is returned to a position away from a high to low or a low to high position by a predetermined position. Initially, sinc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according to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is not know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changes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while moving the lens quickly, and thus an approximate lens according to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Recognize the initial position of, and return the lens back to a position a predetermined position away from the position where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changed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That is, the lens is returned to the position before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while moving the lens in the minimum moving unit. By moving the lens in the smallest moving unit, the precis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according to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can be recognized through detailed control.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PI 센서의 출력 값에서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뺀 값이 음수인지 여부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PI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바, PI 센서의 출력 값에서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빼, 음수가 되는지 여부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the first PI reference whether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from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negative. You can determine if it passes the value. Since the PI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by subtract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from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and whether it is negative. .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기 직전의 PI 센서의 출력 값인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한 이후의 PI 센서의 출력 값인 제2 출력 값을 이용하여 제2 PI 기준 값을 산출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PI 기준 값으로 설정한다. 제1 PI 기준 값에 따라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로 바뀌는 지점을 확인한 이후, 기구 오차 등에 따른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PI 기준 값을 재설정한다. PI 기준 값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기 직전의 PI 센서의 출력 값인 제1 출력 값 및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한 이후의 PI 센서의 출력 값인 제2 출력 값을 이용한다. 제1 PI 기준 값이 특정 위치에서의 PI 센서의 출력 값에 겹치거나 오차 범위 안에 들어가는 경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 바, PI 센서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바뀌는 앞뒤 PI 센서의 출력 값의 오차 범위를 최대한 벗어나도록 PI 기준 값을 제2 PI 기준 값으로 재설정한다.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the first output value that is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mmediately before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and the PI after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is calculated using the second output value, which is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and is set as a PI reference value that initializes the position of the lens. After confirming the point at which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changes from high to low according to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the PI reference value is reset to reduce errors due to instrument errors. In order to reset the PI reference value, the first output value, which is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mmediately before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output value, which is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after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are used. A problem occurs when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overlaps with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at a specific position or falls within the error range.The error range of the output value of the front and rear PI sensors where the output of the PI sensor changes from high to low The PI reference value is reset to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so as to deviate as much as possible.

제2 PI 기준 값은 앞뒤 PI 센서의 출력 값의 오차 범위를 최대한 벗어나도록 제1 출력 값과 제2 출력 값의 평균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제1 출력 값(530)과 제2 출력 값(540)의 평균을 제2 PI 기준 값(550)을 산출하여 PI 기준 값을 제1 PI 기준 값(510)에서 제2 PI 기준 값(550)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단계별로 PI 센서의 출력 값이 1.5V / 1.2V / 0.9V 이런 식으로 변하는 경우, 임의로 정해둔 초기 기준점인 제1 PI 기준 값(1.0V)에 근접한 두 PI 센서의 출력 값 1.2V, 0.9V의 합을 2로 나눈 값 1.05V 을 제2 PI 기준 값으로 산출하여, PI 기준 값으로 새로 저장한다.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may be set as an average of the first output value and the second output value so as to deviate from the error range of the output values of the front and rear PI sensors as much as possible. As shown in FIG. 5, the PI reference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510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first output value 530 and the second output value 540 as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550. Change to the reference value 550. For example, if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changes in this way by 1.5V / 1.2V / 0.9V step by step, the output value of the two PI sensors close to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1.0V), which is an arbitrary predetermined initial reference point, 1.2 The sum of V and 0.9V divided by 2 is calculated as 1.05V as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and is newly stored as the PI reference value.

제2 PI 기준 값은 제1 출력 값과 제2 출력 값의 평균뿐만 아니라, 제1 출력 값보다 오차 범위 값만큼 뺀 값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이는 하이에서 로우로 변하는 방향에서의 제2 PI 기준 값이고,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는 방향에서는 제1 출력 값보다 오차 범위 값만큼 큰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may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an error range value from the first output value as well as the average of the first output value and the second output value. This is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in the direction of changing from high to low, and in the direction of changing from low to high, it can be calculated as a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output value by an error range value.

상기와 같이, 제2 PI 기준 값이 설정되면, 제2 PI 기준 값을 이용하여 렌즈의 초기 위치를 설정한다. 즉, 렌즈의 초기 위치는 렌즈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2 PI 기준 값을 통과한 위치가 된다. 카메라가 켜지면 먼저, 렌즈들은 초기 위치로 이동하며, 초기 위치는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2 PI 기준 값을 통과한 지점에서의 위치가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is se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is set using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That i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is a position where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output by the lens passes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When the camera is turned on, first, the lenses move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becomes the position at the point where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I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I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의 렌즈 제어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initializing a position of a camera lens using a PI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method of initializing a position of a camera lens using a PI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of the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of a method for initializing the position of a camera lens using a PI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ens control apparatus of FIGS. 1 to 5,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omitted below. Do it.

PI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기 위하여, S11 단계에서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한다.In order to initialize the position of the camera lens using the PI senso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while moving the lens in step S11.

이때,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은 상기 렌즈가 이동하는 이동단위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하며, 상기 렌즈의 이동에 따라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PI 기준 값은, 카메라 렌즈의 스펙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changes stepwise according to a moving unit in which the lens moves, and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en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may be set by a camera lens specification or a user.

S11 단계는 S21 단계 내지 S23 단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21 단계에서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는지를 판단하고, S22 단계에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한 경우,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한 위치에서 소정의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로 상기 렌즈를 되돌리고, S23 단계에서 상기 렌즈를 최소 이동단위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한다.Step S11 may be performed by steps S21 to S23.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changes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while moving the lens in step S21, and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changes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in step S22, the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returned to a position spaced by a predetermined position from a position where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changed from high to low or from low to high, and in step S23,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moved to the minimum moving unit. 1 Determine if it passes the PI reference value.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에서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뺀 값이 음수인지 여부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Whether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from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negative may determine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S1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면, S12 단계에서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기 직전의 PI 센서의 출력 값인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한 이후의 PI 센서의 출력 값인 제2 출력 값을 이용하여 제2 PI 기준 값을 산출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PI 기준 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제2 PI 기준 값은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의 평균 값일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1,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in step S12, the first output value and the first output value that are output values of the PI sensor immediately before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in step S12.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is calculated using the second output value, which is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after passing the PI reference value, and is set as a PI reference value that initializes the position of the lens.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first output value and the second output value.

이후, 상기 렌즈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2 PI 기준 값을 통과한 위치를 렌즈의 초기 위치로 판단하여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한다.Then, the position of the lens is initialized by determining the position where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output by the lens passes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a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 및 롬 (ROM), 램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can be recorded in computer readable media.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It also includes implementing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10: 렌즈 제어 장치
111: 처리부
112: 제어부
120: 렌즈부
130: PI 센서
110: lens control device
111: processing unit
112: control unit
120: lens unit
130: PI sensor

Claims (6)

PI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기 직전의 PI 센서의 출력 값인 제1 출력 값 및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한 이후의 PI 센서의 출력 값인 제2 출력 값을 이용하여 제2 PI 기준 값을 산출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초기화하는 PI 기준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초기 위치는,
상기 렌즈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2 PI 기준 값을 통과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initializ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lens using a PI sensor,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while moving the lens; And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the first output value that is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mmediately before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and the PI after pass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 second PI reference value using the second output value, which is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and setting the PI reference value to initialize the position of the len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lens,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output by the lens is a position that has passed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한 경우,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한 위치에서 소정의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로 상기 렌즈를 되돌리는 단계; 및
상기 렌즈를 최소 이동단위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changes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while moving the lens;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changed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returning the lens to a position spaced by a predetermined position from a position where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changed from high to low or low to high; And
And determining whether an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while moving the lens in a minimum mo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에서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뺀 값이 음수인지 여부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이 상기 제1 PI 기준 값을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passes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as whether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PI reference value from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is negat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I 기준 값은,
상기 제1 출력 값과 상기 제2 출력 값의 평균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I reference value is,
And an average value of the first output value and the second outpu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은,
상기 렌즈가 이동하는 이동단위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s changes stepwise according to a mo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I 센서의 출력 값은,
상기 렌즈의 이동에 따라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value of the PI senso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reases or decreases with the movement of the lens.
KR1020190008989A 2019-01-24 2019-01-24 Camera control method with PI(Photo Interrupt) sensor, and apparatus thereof KR102610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989A KR102610660B1 (en) 2019-01-24 2019-01-24 Camera control method with PI(Photo Interrupt) sensor,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989A KR102610660B1 (en) 2019-01-24 2019-01-24 Camera control method with PI(Photo Interrupt) sensor,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012A true KR20200092012A (en) 2020-08-03
KR102610660B1 KR102610660B1 (en) 2023-12-06

Family

ID=7204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989A KR102610660B1 (en) 2019-01-24 2019-01-24 Camera control method with PI(Photo Interrupt) sensor,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66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921A (en) * 2005-12-26 2007-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Position sens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20070071909A (en) 2005-12-30 2007-07-04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A photo interrupter
KR100806687B1 (en) * 2006-11-27 2008-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to detect position of lens barrel and m
KR20090008566A (en) * 2007-07-18 2009-01-22 자화전자 주식회사 Camera system with auto-focus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66664A (en) * 2017-12-06 2019-06-14 삼성전기주식회사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focusing of dual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921A (en) * 2005-12-26 2007-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Position sens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20070071909A (en) 2005-12-30 2007-07-04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A photo interrupter
KR100806687B1 (en) * 2006-11-27 2008-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to detect position of lens barrel and m
KR20090008566A (en) * 2007-07-18 2009-01-22 자화전자 주식회사 Camera system with auto-focus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66664A (en) * 2017-12-06 2019-06-14 삼성전기주식회사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focusing of dual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660B1 (en)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8984B2 (en) Search range extension for depth assisted autofocus
CN111158107B (en) Focu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lens module
CN105227835A (en) A kind of assisted focused method and apparatus
CN104683693A (en) Automatic focusing method
US20210006709A1 (en) Control device, photograph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447176B2 (en) Vibration type actuator control apparatus,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vibration type actuator control program
CN106210527A (en) The PDAF calibration steps moved based on MEMS and device
CN110068824B (en) Sensor pose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KR20200092012A (en) Camera control method with PI(Photo Interrupt) sensor, and apparatus thereof
CN117294938A (en) Camera focu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2967965B (en) Alignment method, alignment device, alignment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6154613A (en) Diaphragm device having full-open aperture diameter electrically varied according to zooming
CN111212239B (en) Exposure time length adjus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350926B1 (en) Method to control Auto Focus
US20230152497A1 (en) Optical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e autofocus
KR102433628B1 (en) Settop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thereof
KR101938824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focus of lens
US11829000B2 (en) Optical apparatus, it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80267602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focusing in photographic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30224580A1 (en) Focus information obtaining apparatus, lens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focus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668212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uto focusing
JP202314211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CN117319638A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starting position of AF (automatic frequency) module movement
JP3387658B2 (en) Lens drive
JP2020071400A (en) Lens device and image capt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