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715A -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715A
KR20200091715A KR1020190008851A KR20190008851A KR20200091715A KR 20200091715 A KR20200091715 A KR 20200091715A KR 1020190008851 A KR1020190008851 A KR 1020190008851A KR 20190008851 A KR20190008851 A KR 20190008851A KR 20200091715 A KR20200091715 A KR 20200091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block
image
masking
mas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626B1 (ko
Inventor
박소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0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626B1/ko
Priority to US16/749,762 priority patent/US11399142B2/en
Publication of KR2020009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T5/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7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mbedded information being invisible, e.g.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Image restoration
    • G06T5/003Deblurring; Sharpening
    • G06T5/004Unsharp mas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7Dynamic range mod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by the use of histogram techniques
    • G06T5/9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by performing operations within image blocks; by using histograms, e.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HoG]; by summing image-intensity values; Project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error resilience
    • H04N19/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error resilience involving data partitioning, i.e. separation of data into packets or partitions according to impor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마스킹 처리할 객체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여 마스킹 처리하고, 상기 마스킹 처리가 완료된 입력 영상을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프레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프레임 단위로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한 후 언마스킹하여 상기 영상을 원영상으로 복원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ASKING REGION}
본 발명은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 기반으로 마스킹 영역을 설정 및 검출이 가능한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프라이버시 마스킹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라이버시 마스킹 기술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얼굴, 차량번호판 등과 같은 프라이버시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을 식별 불가능하도록 변환하는 것이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원본 프레임(P1)의 프라이버시 영역에 대해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고(P2), 마스킹 처리된 영상에 대하여 다시 원본 프레임(P3)으로 복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영상 복원이 가능한 프라이버시 마스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보내는 송신부와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가 검출된 마스킹 영역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은 송신부에서 마스킹 영역 정보를 메타데이터 형태로 구성하여 수신부에 전송함으로써 마스킹 영역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메타데이터 형태의 마스킹 영역 정보 전달 기술은 송신부에서는 원영상과 독립적으로 메타데이터를 구성하여 전송하여야 하며, 수신부에서는 원영상과 더불어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복원할 경우 원영상과 메타데이터 정보를 동기화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마스킹 영역 정보를 영상 프레임의 특정 위치에 삽입하는 기술을 고려하기도 하는데, 이는 동영상의 인코딩(압축)시에 영상 손실이 일어나 픽셀 정보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어 동영상 압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 메타데이터나 픽셀 정보 형태가 아닌 블록 형태의 프라이버시 영역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상에 인코딩이 적용되더라도 마스킹 영역 정보를 송신부와 수신부가 공유할 수 있게끔 하는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마스킹 처리할 객체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여 마스킹 처리하고, 상기 마스킹 처리가 완료된 입력 영상을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프레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프레임 단위로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한 후 언마스킹하여 상기 영상을 원영상으로 복원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좌표 정보로 표현된 상기 객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좌표 정보는 상기 객체 영역의 시작 x좌표, 상기 객체 영역의 시작 y좌표, 상기 객체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영상에서의 프레임을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을 상기 블록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이 상기 블록 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검출된 객체 영역이 상기 블록 영역 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마스킹 처리할 블록으로 레이블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송된 영상을 이진화하여 흑백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영상에서의 프레임을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블록에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분할된 블록에서의 히스토그램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표준편차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마스킹 처리된 블록으로 레이블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송신부에서의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마스킹 처리할 객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블록 영역에 대하여 마스킹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킹 처리가 완료된 입력 영상을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마스킹 처리할 객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좌표 정보로 표현된 상기 객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좌표 정보는 상기 객체 영역의 시작 x좌표, 상기 객체 영역의 시작 y좌표, 상기 객체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서의 프레임을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이 상기 블록 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이 상기 블록 영역 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마스킹 처리할 블록으로 레이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수신부에서의 마스킹 영역 검출 방법은 송신부에서 전송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각 프레임 단위로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블록 영역을 언마스킹하여 상기 영상을 원영상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영상을 이진화하여 흑백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추출된 각 프레임 단위로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서의 프레임을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블록에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분할된 블록에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블록에서의 히스토그램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표준편차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마스킹 처리된 블록으로 레이블링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원영상 복원이 가능한 영상 프라이버시 마스킹 서비스를 제공할 때, 프라이버시 영역 정보를 추가적으로 생성, 관리 및 저장하여 송신부와 수신부가 불필요한 동기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기술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프라이버시 마스킹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송신부 및 수신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송신부에서의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여 마스킹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이 블록 정보로 변환되는 일 실시예이다.
도 7a는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을 마스킹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블록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을 마스킹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수신부에서의 마스킹 영역 검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마스킹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마스킹된 블록과 마스킹되지 않은 블록의 히스토그램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100)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 안전 차원에서 보급된 CCTV와 함께 개인화된 스마트폰, 차량용 블랙박스, 드론 등을 통한 부분별한 촬영과 영상 유출은 심각한 사생활 침해 및 영상 역기능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라이버시 마스킹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실제 범죄 수사를 위해 사후 마스킹 서비스로 적용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프라이버시 마스킹 기술을 제공함에 있어, 프라이버시 영역 정보를 동영상 내에 포함하거나, 마스킹된 영상의 원영상 복원을 위해 동영상 내에 포함된 마스킹 영역 정보를 추출함에 있어서, 블록 기반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정보 없이 마스킹 영역 정보를 송수신부(110, 120)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100)은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를 포함한다.
송신부(110)는 카메라(10)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마스킹 처리할 객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여 마스킹 처리한다. 그리고 마스킹 처리가 완료된 입력 영상을 인코딩하여 수신부(120)로 전송한다.
수신부(120)는 송신부(110)에서 전송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된 각 프레임 단위로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한 후 언마스킹하여 영상을 원영상으로 복원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신부(110)와 수신부(120)는 각각 통신모듈(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모듈(210)은 카메라(10),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은 통신 모듈(210)은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에는 마스킹 영역을 설정 및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마스킹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때, 메모리(2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100)에서의 송신부(110)와 수신부(120)는 각각 독립적인 서버 컴퓨터로 구성되어 운영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통신모듈(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100)은 송신부(110)에서의 마스킹 영역을 설정 및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수신부(120)에서의 마스킹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하나의 서버 컴퓨터에 탑재되어 상호 운영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110)에서의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및 수신부(120)에서의 마스킹 영역 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송신부(110)에서의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여 마스킹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은 먼저, 카메라(10)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객체 검출 기술을 통해 객체 영역을 검출한다(S110).
일 실시예로, 마스킹 처리할 객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카메라(10)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입력된 영상에서 검출된 객체 영역은 (x, y, width, height)와 같은 좌표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x는 객체 영역의 시작 x 좌표, y는 객체 영역의 시작 y 좌표, width는 객체 영역의 너비, height는 객체 영역의 높이 정보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고(S120), 변환된 블록 영역에 대하여 마스킹 처리한다(S130).
도 5를 참조하여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영상을 입력 받으면(S210), 입력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객체 영역에 대한 좌표 정보를 검출한다(S220).
그 다음, 입력된 영상에서의 프레임을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한다(S230). 일 예로, 기 설정된 크기는 64×64 픽셀, 32×32 픽셀일 수 있다.
다음으로,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을 식 1에 따라 블록 영역으로 변환한다(S240).
[식 1]
Figure pat00001
식 1에서, Bi,j는 입력 영상 내의 x축으로 i번째, y축으로 j번째 블록을 나타내며, Bi,j(x,y)는 Bi,j내에 포함되어 있는 (x,y) 좌표를 나타낸다.
또한, Ok는 입력 영상 내에서 k번째 검출된 객체를 나타내며, Ok(x,y)는 Ok내에 포함되어 있는 (x,y) 좌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검출된 객체 영역이 블록 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50), 검출된 객체 영역이 블록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마스킹 처리할 블록으로 레이블링 한다(S260).
즉, Ok(x,y)가 Bi,j(x,y)내에 포함되어 있으면 Bi,j가 1로 마스킹 블록으로 레이블링되고, 그렇지 않으면 Bi,j가 0으로 마스킹 블록에 해당되지 않는다.
도 5에 따른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면 도 6과 같다.
도 6은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이 블록 정보로 변환되는 일 실시예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P4)을 검출하고, 영상 내 프레임을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P5)로 분할한 뒤, 검출된 객체 영역(P4)에 대응되는 블록에 대해서면 블록 영역(P6)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7a는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을 마스킹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블록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을 마스킹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에 따른 좌표 정보 기반의 마스킹 처리(P7)의 경우, 구체적인 좌표 정보에 기반하여 마스킹 처리(P7)가 되기 때문에 블록 기반의 마스킹 처리(P8)보다 객체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마스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타데이터 정보를 요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도 7b에 따른 블록 기반 마스킹 처리(P8)의 경우, 좌표 정보 기반의 마스킹 처리(P7)와 거의 유사한 성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영상의 인코딩이 적용되더라도 마스킹 영역 정보를 송수신부(110, 120)가 서로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객체 영역으로 설정된 부분에 대한 마스킹 처리가 완료되면, 마스킹 처리가 완료된 입력 영상을 인코딩하여 수신부(120)로 전송한다(S140).
도 8은 수신부(120)에서의 마스킹 영역 검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마스킹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송신부(110)에서 마스킹 처리가 완료된 입력 영상을 인코딩하여 전송함에 따라, 수신부(120)는 송신부(110)에서 전송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프레임을 추출한다(S310).
다음으로, 추출된 각 프레임 단위로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하고(S320), 검출된 블록 영역을 언마스킹하여 마스킹 처리된 영상을 원영상으로 복원한다(S330).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수신부(120)는 송신부(110)에서 전송된 마스킹된 프레임 영상을 수신함에 따라(S410) 전송된 컬러 영상을 영상 이진화를 통해 흑백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S420). 그리고, 수신부(120)는 영상에서의 프레임을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S430). 일 예로, 기 설정된 크기는 64×64 픽셀, 32×32 픽셀일 수 있다.
그리고 분할된 블록에서 블록별 히스토그램을 산출하고, 식 2를 통해 마스킹된 블록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히스토그램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S440), 산출된 표준편차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S450).
비교 결과 산출된 표준편차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마스킹 처리된 블록으로 레이블링한다(S460).
[식 2]
Figure pat00002
식 2에서, Bi,j는 입력 영상 내의 x축으로 i번째, y축으로 j번째 블록을 나타내며, hi,j(Bi,j)는 Bi,j의 이진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낸다. 또한, σ(hi,j(Bi,j))는 hi,j(Bi,j)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이렇게 계산된 표준편차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Bi,j가 1로 마스킹 블록으로 레이블링되고, 그렇지 않으면 Bi,j가 0으로 마스킹 블록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때, 기 설정된 임계값은 입력 영상의 특징에 따라 통계적으로 구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마스킹된 블록과 마스킹되지 않은 블록의 히스토그램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10의 (a)와 같이 마스킹된 블록을 이진화하면, 도 10의 (b)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이진화된 블록에 대하여 히스토그램을 계산하면 도 10의 (c)와 같이 히스토그램이 평활화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평활화된 히스토그램은, 도 11의 (a)에서의 마스킹되지 않은 블록에 대한 이진화 결과인 도 11의 (b)에 대한 히스토그램인 도 11의 (c)와 비교하면 표준편차 값이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히스토그램의 표준편차 특징에 기초하여 마스킹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4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3에서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4 내지 도 11의 마스킹 영역 설정 및 검출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카메라
100: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110: 송신부
120: 수신부
210: 통신모듈
220: 메모리
230: 프로세서

Claims (16)

  1.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마스킹 처리할 객체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여 마스킹 처리하고, 상기 마스킹 처리가 완료된 입력 영상을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프레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프레임 단위로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한 후 언마스킹하여 상기 영상을 원영상으로 복원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좌표 정보로 표현된 상기 객체 영역을 검출하는 것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정보는 상기 객체 영역의 시작 x좌표, 상기 객체 영역의 시작 y좌표, 상기 객체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포함하는 것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영상에서의 프레임을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을 상기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는 것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이 상기 블록 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검출된 객체 영역이 상기 블록 영역 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마스킹 처리할 블록으로 레이블링하는 것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송된 영상을 이진화하여 흑백 영상으로 변환하는 것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영상에서의 프레임을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블록에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하는 것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분할된 블록에서의 히스토그램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표준편차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마스킹 처리된 블록으로 레이블링하는 것인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9. 송신부에서의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마스킹 처리할 객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블록 영역에 대하여 마스킹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킹 처리가 완료된 입력 영상을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서 마스킹 처리할 객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좌표 정보로 표현된 상기 객체 영역을 검출하는 것인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정보는 상기 객체 영역의 시작 x좌표, 상기 객체 영역의 시작 y좌표, 상기 객체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포함하는 것인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서의 프레임을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좌표 정보로 표현된 객체 영역을 블록 영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이 상기 블록 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객체 영역이 상기 블록 영역 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마스킹 처리할 블록으로 레이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 방법.
  13. 수신부에서의 마스킹 영역 검출 방법에 있어서,
    송신부에서 전송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각 프레임 단위로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블록 영역을 언마스킹하여 상기 영상을 원영상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킹 영역 검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영상을 이진화하여 흑백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마스킹 영역 검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각 프레임 단위로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서의 프레임을 기 설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블록에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킹 영역 검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블록에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마스킹 처리된 블록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블록에서의 히스토그램의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표준편차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마스킹 처리된 블록으로 레이블링되는 것인 마스킹 영역 검출 방법.
KR1020190008851A 2019-01-23 2019-01-23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44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51A KR102544626B1 (ko) 2019-01-23 2019-01-23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6/749,762 US11399142B2 (en) 2019-01-23 2020-01-22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masking reg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51A KR102544626B1 (ko) 2019-01-23 2019-01-23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715A true KR20200091715A (ko) 2020-07-31
KR102544626B1 KR102544626B1 (ko) 2023-06-19

Family

ID=7160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851A KR102544626B1 (ko) 2019-01-23 2019-01-23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99142B2 (ko)
KR (1) KR102544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113A1 (ko) * 2021-03-25 2022-09-29 주식회사 뷰메진 드론으로부터의 사생활 보호 및 정보 보안을 위한 영상의 자동 마스킹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20133719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뷰메진 드론으로부터의 사생활 보호 및 정보 보안을 위한 영상의 자동 마스킹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0405A (en) * 2020-10-23 2022-05-04 Canon Kk A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ivacy masking video surveillance data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189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얼굴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110038839A (ko) * 2009-10-09 2011-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시영상의 프라이버시 정보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110070735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의 프라이버시 마스킹 방법 및 장치
JP2012074812A (ja) * 2010-09-28 2012-04-12 Nikon Corp 画像処理装置、電子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KR101458136B1 (ko) * 2014-02-28 2014-11-05 김호 영상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영상 처리 서버, 감시 서버, 영상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693247B1 (ko) * 2015-09-25 2017-01-05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계 특징을 이용한 모자이크 블록 추출 방법
KR20180071945A (ko) * 2016-12-20 2018-06-28 엑시스 에이비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3678A (en) * 1995-09-29 1999-03-16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coding and video decoding apparatus for reducing an alpha-map signal at a controlled reduction ratio
JP5269033B2 (ja) 2009-12-18 2013-08-21 韓國電子通信研究院 映像のプライバシーマスキング方法及び装置
US9282333B2 (en) * 2011-03-18 2016-03-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masking multimedia data
US9076065B1 (en) * 2012-01-26 2015-07-07 Google Inc. Detecting objects in images
KR101641646B1 (ko) * 2014-11-28 2016-07-21 전자부품연구원 동영상 마스킹 처리방법 및 장치
KR102410539B1 (ko) 2016-01-12 2022-06-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압축된 비디오로부터 프라이버시 영역을 암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10319144A1 (en) * 2018-09-06 2021-10-1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210006835A1 (en) * 2019-07-01 2021-01-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lurring to improve visual quality in an area of interest in a fr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189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얼굴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110038839A (ko) * 2009-10-09 2011-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시영상의 프라이버시 정보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110070735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의 프라이버시 마스킹 방법 및 장치
JP2012074812A (ja) * 2010-09-28 2012-04-12 Nikon Corp 画像処理装置、電子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KR101458136B1 (ko) * 2014-02-28 2014-11-05 김호 영상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영상 처리 서버, 감시 서버, 영상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693247B1 (ko) * 2015-09-25 2017-01-05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계 특징을 이용한 모자이크 블록 추출 방법
KR20180071945A (ko) * 2016-12-20 2018-06-28 엑시스 에이비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113A1 (ko) * 2021-03-25 2022-09-29 주식회사 뷰메진 드론으로부터의 사생활 보호 및 정보 보안을 위한 영상의 자동 마스킹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20133719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뷰메진 드론으로부터의 사생활 보호 및 정보 보안을 위한 영상의 자동 마스킹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626B1 (ko) 2023-06-19
US11399142B2 (en) 2022-07-26
US20200236302A1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714B2 (en) Detecting usage of copyrighted video content using object recognition
US20210337217A1 (en) Video analytics encoding for improved efficiency of video processing and compression
KR102544626B1 (ko) 마스킹 영역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9076071B2 (en) Logo recognition
US10455259B2 (en) Enhanced text rendering and readability in images
US90820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 character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CN110853033A (zh) 基于帧间相似度的视频检测方法和装置
WO2021150429A1 (en) Privacy-preserving video analytics
US201703007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gnizing an object in an image
US11348254B2 (en) Visual search method,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7207524A1 (en) An authentication method for product packaging
US202001518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gmenting image
US9800918B2 (en) Video recording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in host system
US10251057B2 (en) Authentication for device connection using visible patterns
US11195039B2 (en) Non-resource-intensive object detection
WO2018120230A1 (zh) 图像滤波方法、装置以及设备
CN112700653A (zh) 一种车辆违法变道的判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818141A (zh) 一种传输文件的方法、系统、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00110712A (ko) 바코드 판독 단말 장치 및 시스템
KR102274913B1 (ko) 경계박스 중복제거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05684058A (zh) 智能交通的号牌识别方法及系统
CN105659254A (zh) 一种视频软件中图像识别的方法及系统
KR102223684B1 (ko) 객체 식별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1526364A (zh) 图像处理的方法、装置和系统
CN110830744A (zh) 一种安全交互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