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669A -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669A
KR20200091669A KR1020190008744A KR20190008744A KR20200091669A KR 20200091669 A KR20200091669 A KR 20200091669A KR 1020190008744 A KR1020190008744 A KR 1020190008744A KR 20190008744 A KR20190008744 A KR 20190008744A KR 20200091669 A KR20200091669 A KR 20200091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screen
smartphone
fa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하진
Original Assignee
전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하진 filed Critical 전하진
Priority to KR102019000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1669A/ko
Publication of KR2020009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04M1/7257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56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얼굴과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가 설정한 임계거리보다 가까울 경우 출력되고 있는 화면을 '오프'하거나 흐려지게 하고 임계거리를 유지할 경우 화면을 정상적으로 출력되게 하여 사용자 스스로 스마트폰과의 얼굴 거리를 조절해가며 시력 보호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Method for protecting eyesight of smart phone user and application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얼굴과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가 설정한 임계거리보다 가까울 경우 출력되고 있는 화면을 '오프'하거나 흐려지게 하고 임계거리를 유지할 경우 화면을 정상적으로 출력되게 하여 사용자 스스로 스마트폰과의 얼굴 거리를 조절해가며 시력 보호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와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전화의 기능은 물론이며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갖추고 있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인터넷 쇼핑이나 뱅킹 등이 가능하다. TV와 라디오 취 등의 방송 서비스와 카메라, 캠코더, MP3 기능, 무전기 기능까지 갖추고 있으며 워드프로세서나 엑셀 등과 같은 문서작성도 가능하다. Wi-Fi 기능을 활용해 음성패킷망(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전화 통화도 할 수 있다. 다양한 단말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다기능 복합단말기’라고도 부른다.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하여 표준화된, 또는 전용 운영 체제(OS)를 가지고 있다.
최근 유튜브나 게임 등 다양한 컨텐츠 시장이 확대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급증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어깨 증후군, VDT 증후군, 거북목 증후군 그리고 수근관 증후군 등, 신체 통층 및 불편감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VDT 증후군은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의 약자로서 스마트폰이나 PC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오랜 시간 보면 근골격계의 통증 이외에도 두통, 시력장애, 호흡기계,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나타나는 현상을 일컫는다
특히, 오랜 시간 동안 스마트폰을 보게 되면 누의 피로도가 매우 높아져 시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9745호에는 사용자 화면 근접 여부 판단을 통해 미리 설정한 접근 거리 이내로 판단되면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을 제한하여 스스로 시력 건강을 돌볼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사용자 스스로 시력 건강을 돌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카메라의 자동 초점 탐색을 통해 사용자의 화면 근접 여부를 판단하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자동 초점 탐색 기능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시력을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프톤의 화면과 사람얼굴 간의 거리를 효과적으로 계측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시력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별로 얼굴 거리를 설정하여 동영상 시청이나 SNS 메신저 등 어플리케이션의 성격에 따라 사용자의 시력을 맞춤형으로 보호할 수 있는 시력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디스플레이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이 사람얼굴인지 확인하고, 사람얼굴이면 양안을 검출하는 단계; 양안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양안 거리에 따라 스마트폰의 화면과 사람얼굴 간의 거리(이하, '얼굴 거리'라 함)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얼굴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일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을 '오프'하거나 흐려지게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화면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면이 '오프'되거나 흐려진 후에, 다시 얼굴 거리를 예측하고, 얼굴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일 경우 '오프'되거나 흐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오프'된 화면을 '온'하거나 흐려진 화면을 선명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디스플레이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스마트폰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별로 상기 임계 거리를 설정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기능시켜 상기 시력 보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얼굴 거리가 임계거리 이하일 경우 화면을 '오프'하거나 흐려지게 하고, 다시 임계거리 이상으로 유지할 경우, 화면을 '온'하거나 선명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스마트폰과의 거리를 조절하며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별로 임계 거리를 설정하여, 영상이나 텍스트에 서로 다른 임계 거리를 적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의 편의성은 향상시키면서도 시력은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에서 얼굴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은 스마트폰(10)을 사용하는 사용자(20)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사용자(20)는 스마트폰(10)의 디스플레이(120)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변화에 따라 스스로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은 디스플레이(12)가 구비된 전면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1)가 구비된 스마트폰(10)에서 제한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시력 보호 방법은 실질적으로 상기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시력 보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상기 시력 보호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10)뿐만 아니라 전면에 카메라(11)가 구비된 노트북, 태블릿PC, 퍼스널 컴퓨터 등에도 설치되어 본 발명의 시력 보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력 보호 어플리케이션은 별도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기록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어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자기 및 광 기록을 겸할 수 있는 자기-광 기록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력 보호 어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이 단독 또는 조합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일 수 있고,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로 짜여진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력 보호 어플리케이션은 Play스토어나 App스토어와 같은 서버 시스템에 저장되고, 스마트폰(10)은 상기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시력 보호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 본 발병의 시력 보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은 스마트폰(10)을 사용하는 사용자(20)가 디스플레이(12)에 출력되는 화면의 상태변화에 따라 스스로 시력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먼저, 상기 시력 보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스마트폰(10)에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다음, 상기 스마트폰(10)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별로 임계 거리를 설정받는다.
예를 들어,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유튜브 등은 상기 임계 거리를 약 30cm로 설정할 수 있고, 텍스트출력 위주인 SNS 메신저 등은 동영상보다는 시력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므로 상기 임계 거리를 약 25cm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임계 거리 설정이 완료된 후, 디스플레이가 켜질 경우(S2000), 상기 카메라(11)는 디스플레이(12) 방향, 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한다(S3000).
다음, 촬영된 영상이 사람얼굴인지 확인하고, 사람 얼굴일 경우 영상 내에서 양안을 검출하며(S5000), 그렇지 않을 경우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로 되돌아간다(S4000).
한편, 영상 내의 사람 얼굴 검출은 AdaBoost와 같은 공지된 얼굴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 검출된 양안의 거리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화면과 사람 얼굴 간의 거리인 얼굴 거리를 계산한다(S6000).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에서 얼굴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촬영된 영상(11a) 내에서 사람얼굴(21)을 검출하고 우안(21a)과 좌안(21b)을 검출한다.
다음, 우안(21a)과 좌안(21b)의 거리(a)인 양안 거리(a)를 계산하고 화면폭(b)과 양안 거리(a)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자의 실제 얼굴거리를 예측한다.
한편, 화면 출력 시, 항상 광이 출력되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얼굴 촬영은 쉽게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 보호 방법은 영상 처리를 통해 얼굴 거리를 계산하므로 얼굴 거리 계산에 실패확률이 낮으나 종래기술은 카메라 초점거리를 이용하므로 어두운 환경에서는 초점이 잘 잡히지 않는 등 얼굴 거리 계산에 어려움이 있다.
다음, 계산된 얼굴거리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된 임계거리 보다 작을 경우 화면을 '오프'하거나 흐려지게 하고(S8000), 그렇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로 리턴한다.
즉, 사용자는 화면이 '오프'되거나 흐려질 경우 자신이 스마트폰(10)의 디스플레이(12)와 설정된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뒤로 물러나 얼굴 거리를 설정된 임계 거리보다 더 멀게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여 얼굴 거리를 다시 계산하고(S9000), 계산된 얼굴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멀어질 경우(S9100), 화면을 다시 '온'하거나 흐려진 화면을 선명하게 한다(S9200).
그러나 얼굴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를 유지할 경우 화면의 '오프'나 흐려진 상태가 유지된다.
즉, 사용자는 화면이 '오프'되거나 흐려질 경우 스스로 얼굴 거리를 조절하여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스마트폰 11:카메라
12:디스플레이 20:사용자

Claims (4)

  1. 스마트폰이 디스플레이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이 사람얼굴인지 확인하고, 사람얼굴이면 양안을 검출하는 단계;
    양안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양안 거리에 따라 스마트폰의 화면과 사람얼굴 간의 거리(이하, '얼굴 거리'라 함)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얼굴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일 경우, 현재 출력되는 화면을 '오프'하거나 흐려지게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화면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이 '오프'되거나 흐려진 후에, 다시 얼굴 거리를 예측하고, 얼굴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일 경우 '오프'되거나 흐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오프'된 화면을 '온'하거나 흐려진 화면을 선명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디스플레이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스마트폰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별로 상기 임계 거리를 설정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 방법.
  4. 스마트폰을 기능시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시력 보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KR1020190008744A 2019-01-23 2019-01-23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KR20200091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744A KR20200091669A (ko) 2019-01-23 2019-01-23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744A KR20200091669A (ko) 2019-01-23 2019-01-23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69A true KR20200091669A (ko) 2020-07-31

Family

ID=7183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744A KR20200091669A (ko) 2019-01-23 2019-01-23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16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7103A (zh) * 2020-11-24 2021-03-19 安徽鸿程光电有限公司 显示设备的遥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409560A (zh) * 2021-07-30 2021-09-17 佛山市墨纳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监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709533A (zh) * 2021-08-20 2021-11-26 深圳市酷开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电视的护眼处理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7103A (zh) * 2020-11-24 2021-03-19 安徽鸿程光电有限公司 显示设备的遥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409560A (zh) * 2021-07-30 2021-09-17 佛山市墨纳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监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709533A (zh) * 2021-08-20 2021-11-26 深圳市酷开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电视的护眼处理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6360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502879B2 (en)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taking photographs that correspond to user preferences
US8638344B2 (en) Automatically modifying presentation of mobile-device content
US1072849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11553864B (zh) 图像修复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906748B1 (ko) 홍채 이미지 획득 방법 및 장치, 및 홍채 인식 장치
KR20200091669A (ko)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력 보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WO2017124899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0457963B (zh) 显示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80032089A (ko)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791535B (zh) 视频录制方法及装置
TW202032425A (zh) 圖像處理方法及裝置、電子設備和儲存介質
US20150010236A1 (en) Automatic image refocusing method
US927738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all termination based on gaz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11250547B2 (en) Facial image enhancement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210306561A1 (en) Unwanted object obscurement in video stream
KR101701814B1 (ko) 프레이밍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5847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in an electronic device
US10915776B2 (en) Modifying capture of video data by an image capture device based on identifying an object of interest within capturted video data to the image capture device
KR102366612B1 (ko) 사용자와 디스플레이간의 거리에 기초한 알람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239877A (zh) 图像处理的方法和图像采集设备
US10902265B2 (en) Imaging effect based on object depth information
CN107783704B (zh) 图片效果的调整方法、装置及终端
CN112672058A (zh) 拍摄方法及装置
CN105321149B (zh) 自动缩放数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