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481A -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 - Google Patents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481A
KR20200091481A KR1020207020728A KR20207020728A KR20200091481A KR 20200091481 A KR20200091481 A KR 20200091481A KR 1020207020728 A KR1020207020728 A KR 1020207020728A KR 20207020728 A KR20207020728 A KR 20207020728A KR 20200091481 A KR20200091481 A KR 20200091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elay
layer
target data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2702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455B1/ko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8/09213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36933A1/zh
Publication of KR2020009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5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hybrid frequency-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T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를 제공하여, 멀티 호프의 릴레이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해당 방법에는,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2 노드에서 송신하는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노드는 앵커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이며,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와 무선 연결되고, 상기 앵커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와 유선 연결되며, 상기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는 제3 노드이며;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Description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
본 발명은 2018년 1월 9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되어, 출원번호가 PCT/CN2018/071973이고, 출원 명칭이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인 PCT 특허 출원 및 2018년 4월 18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되고, 출원번호가 PCT/CN2018/083559이고, 출원 명칭이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인 PCT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내용은 인용을 통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에 관한 것이다.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릴레이 기술을 도입하여 셀의 커버리지 면적을 확대하는 바, 예를 들면, 기지국1이 기지국2와 무선 연결될 수 있고, 기지국2가 코어 네트워크와 유선 연결되어, 기지국1이 기지국2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지만, LTE 시스템은 단지 단일 호프 전송 경로만 지원하고, 멀티 호프 전송 경로를 지원하지 않는다.
엔알(New Radio, NR) 시스템과 LTE 시스템의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이 다르고,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멀티 호프 전송을 지원할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어떻게 NR 시스템의 릴레이 통신을 구현할 것인가 하는 것은 하나의 시급하게 해결하여야 하는 과제이다.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를 제공하여, NR 시스템의 릴레이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일 방면으로, 릴레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2 노드에서 송신하는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노드는 앵커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이며,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와 무선 연결되고, 상기 앵커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와 유선 연결되며, 상기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는 제3 노드이며;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3 노드가 단말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노드가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되는 릴레이 노드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의 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그 중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의 처리 방식은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인 바, 즉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것,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과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인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하는 바, 즉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바, 즉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제출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상위 계층은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하나인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제1 상위 계층 제출하는 것이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우선 해당 목표 데이터를 어느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지 결정하고, 그 후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며, 선택적으로, 해당 상위 계층에는 나아가 위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하거나, 또는 또한 더는 위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하는 바, 즉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 상기 목표 데이터가 무선 자원 제어(RRC) 데이터인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F1 응용 프로토콜(F1AP) 데이터인지 여부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바, 즉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제출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상위 계층은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하나인 것이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우선 위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하고, 그 후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해당 목표 데이터를 어느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지 결정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제2 상위 계층 제출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하는 바, 즉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 상기 목표 데이터가 무선 자원 제어(RRC) 데이터인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F1 응용 프로토콜(F1AP) 데이터인지 여부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바, 즉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에는 하기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인터넷 프로토콜(IP) 레이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레이어,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레이어, 무선 자원 제어(RRC) 레이어, 비접속 계층(NAS) 레이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레이어,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레이어, F1 응용 프로토콜(F1AP) 레이어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에는 하기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인터넷 프로토콜(IP) 레이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레이어,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레이어, 무선 자원 제어(RRC) 레이어, 비접속 계층(NAS) 레이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레이어,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레이어, F1 응용 프로토콜(F1AP) 레이어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상기 제1 노드의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위에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레이어에서 구현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PDCP 레이어 아래에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간에는 점대점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1 노드의 다음 호프 노드 간에는 점대점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제1 노드의 다음 호프 노드는 기타 릴레이 노드 또는 단말 장치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앵커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간에는 단애만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앵커 노드가 송신하는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앵커 노드가 단말 장치의 데이터 연결을 통하여 송신하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연결은 상기 단말 장치의 PDCP 실체와 상기 앵커 노드의 PDCP 실체 간에 구성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는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처리를 진행하지 않는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는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처리를 진행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에는 상기 목표 데이터가 속하는 단말 장치 및/또는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주소가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는 분산 유닛(DU)으로서 중심 유닛(CU)으로서의 상기 앵커 노드와 연결을 구성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앵커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는 CU-DU 인터페이스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가, 앵커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앵커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연결을 통하여 송신하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연결은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PDCP 실체와 상기 앵커 노드의 PDCP 실체 간에 구성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는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GTP 레이어 처리를 진행하고,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베어러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에는 상기 목표 데이터가 속하는 단말 장치 및/또는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주소가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앵커 노드와 연결을 구성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5G 시스템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앵커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는 N2 인터페이스, 및/또는 N3 인터페이스, 및/또는 Xn 인터페이스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초기 가동 시, 상기 제1 노드가 단말 장치의 접속 방식에 따라 상기 앵커 노드에 접속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초기 접속에 성공한 후,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앵커 노드와의 연결을 단절하고, 릴레이 노드의 접속 방식에 따라 상기 앵커 노드에 접속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릴레이 노드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단말 장치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3 방면으로, 릴레이 노드를 제공하는 바, 해당 릴레이 노드에는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4 방면으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며, 여기에는 상기 방면을 실행하기 위하여 설계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6 방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바, 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1 방면 중의 어느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7 방면으로, 칩을 제공하는 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된 장치가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1 방면 중의 어느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프로세서가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릴레이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릴레이 전송 방법의 일 구현 방식의 예시도.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릴레이 전송 방법의 다른 일 구현 방식의 예시도.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릴레이 노드의 예시적 블록도.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릴레이 노드의 예시적 블록도.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
아래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5G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도면이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네트워크 장치(110)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00)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00)는 특정된 지리 구역을 위하여 통신 커버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커버 구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예를 들면 UE)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100)는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고,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110) 커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120)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120)는 이동하거나 또는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120)는 접속 단말,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110)는 앵커 노드일 수 있거나, 또는 고정 노드(Donor node)라 불리며, 해당 네트워크 장치(110)는 코어 네트워크와 유선 연결될 수 있고, 해당 네트워크 장치(111)는 직접 무선 통신 시스템 중의 단말 장치(120)와 통신을 진행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 예를 들면 릴레이 노드(130)와 단말 장치(120)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릴레이 노드(130)와 네트워크 장치(110) 간에는 무선 연결의 방식을 통하여 통신을 진행하고, 릴레이 노드(130)와 단말 장치(120) 간에는 또한 무선 연결의 방식을 통하여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릴레이 노드(130)는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전술한 네트워크 장치(100)의 여러 가지 구현 형식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장치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 중 단말 장치(120)의 여러 가지 구현 형식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5G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또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라 칭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또한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 관리 실체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으로 도시한 네트워크 장치, 단말 장치와 릴레이 노드의 수량은 단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이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각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기타 수량의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간에는 또한 기타 수량의 릴레이 노드가 포함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NR 시스템의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과 LTE 시스템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이 다르고, 또한 LTE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릴레이 기술은 단지 단일 호프 전송만 지원하며, NR 시스템에서 앵커 노드로부터 릴레이 노드까지의 멀티 호프 전송을 지원하여야 하는 것을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릴레이 전송 방법을 제공하여, 멀티 호프의 릴레이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 전송 방법(200)의 예시적 흐름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에는,
S210: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2 노드에서 송신하는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노드는 앵커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이며,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와 무선 연결되고, 상기 앵커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와 유선 연결되며, 상기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는 제3 노드이며;
S220: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노드는 릴레이 노드이고, 상기 제1 노드에는 릴레이 레이어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는 제2 노드와의 연결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릴레이 레이어는 또한 멀티 호프 라우트 선택 기능을 담당하고, 또는 상기 릴레이 레이어는 릴레이 노드 간의 토폴로지를 구성하고, 다수의 릴레이 노드 간의 라우트 선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노드는 앵커 노드(또는 고정 노드라 칭함)일 수 있고, 이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노드는 첫번째 릴레이 노드 또는 앵커 노드에 가장 근접한 릴레이 노드이며; 또는 상기 제2 노드는 다른 한 릴레이 노드일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상기 목표 데이터는 다르 한 릴레이 노드로부터 전달되어 온 것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가 송신하는 목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에서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목표 데이터를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여 진일보의 처리를 진행할지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는 제3 노드이고, 상기 제3 노드는 해당 제1 노드 또는 단말 장치일 수 있고, 또는 또한 단말 장치외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고, 여기에서 단말 장치와 릴레이 노드의 직접 연결은 해당 릴레이 노드와 단말 장치 간에 기타 릴레이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가리키는 바, 즉 해당 릴레이 노드와 단말 장치 간에 한 호프로 도달할 수 있고, 기타 릴레이 노드가 데이터 전달을 진행할 필요가 없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S220에는,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해당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거나, 또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노드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거나, 또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바, 그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와 해당 제1 노드는 직접 연결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해당 제1 노드라면,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여,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해당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진일보의 처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만일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해당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단말 장치라면, 해당 제1 노드의 릴에는 또한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철하고, 그 후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단말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는 만일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와 해당 제1 노드가 한 호프로 도달할 수 있다면,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고, 기타 릴레이 노드가 목적 노드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해당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로 전달하고, 그 후 기타 릴레이 노드가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제3 노드로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에는 상기 목표 데이터의 목적단 주소가 포함될 수 있고, 해당 목적단 주소는 상기 목표 데이터가 속하는 단말 장치의 주소, 및/또는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주소일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목표 데이터의 헤더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할지 아니면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지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일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라면,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고,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해당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진일보의 처리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만일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아니라면,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목표 데이터의 헤더 중의 목적단 주소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 또는 단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는 바, 이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단지 전달 기능만 실행하고, 더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여 진일보의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지 않거나, 또는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또한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고,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기타 릴레이 레이어 또는 단말 장치로 전달하게 할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제1 노드는 수신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해당 제1 노드인 상황 하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여,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수신된 데이터에 대하여 진일보의 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 노드는 수신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기타 노드인 상황 하에서, 해당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목적 노드 또는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제1 노드는 수신된 데이터의 헤더 중의 목적단 주소에 의하여, 해당 데이터를 어느 노드로 전달할지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의 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그 중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의 처리 방식은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인 바, 즉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것,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과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인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제1 노드는 해당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기 전, 또한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어떤 처리 방식을 사용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할지 결정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해당 제1 노드는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지, 아니면 해당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할지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할 수 있는 바, 즉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제3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이다.
그러므로, 해당 제1 노드는 해당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해당 목표 데이터의 처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만일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제1 노드라면,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 수 있으며, 또는 만일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단말 장치라면, 해단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는 만일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기타 릴레이 노드라면, 해당 제1 노드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으로,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바, 즉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이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으로,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에는 하기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레이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레이어,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레이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레이어, 비접속 계층(Non-Access Stratum, NAS) 레이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레이어,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unneling Protocol, GTP) 레이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 레이어, F1 응용 프로토콜(F1 Application Protocol, F1AP) 레이어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또한 기타 프로토콜 레이어의 PDU의 헤더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 또는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은 해당 릴레이 레이어 위에 위치하는 프로토콜 레이어, 예를 들면, 해당 릴레이 레이어와 인접한 상위 계층으로 이해할 수 있고, 또는 또한 해당 상위 계층의 상위 계층 등일 수 있으며, 해당 릴레이 레이어 위에 위치하는 상위 계층은 모두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간주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해당 상위 계층의 상위 계층도 해당 상위 계층과 인접한 상위 계층이거나, 또는 또한 해당 상위 계층 위에 위치하는 기타 상위 계층일 수 있는 바, 해당 상위 계층 위에 위치하는 프로토콜 레이어이기만 하면 모드 해당 상위 계층의 상위 계층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릴레이 레이어로부터 시작하여 위로 순차적으로 상위 계층 A, 상위 계층 B, 상위 계층 C와 상위 계층 D이면,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은 상위 계층 A 내지 상위 계층 D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만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상위 계층 A라면, 해당 상위 계층 A의 상위 계층은 상위 계층 B 내지 상위 계층 D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렇게 유추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노드가 해당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바, 예를 들면, 해당 제1 노드가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해당 제1 노드, 또는 해당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단말 장치로 결정하며, 이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노드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할 수 있는 바, 선택적으로, 해당 제1 노드의 목적 노드는 해당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단말 장치이고,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 또는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의 상위 계층 등은 또한 단말 장치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아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해당 제1 노드가 어떻게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어느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지 결정하는지 설명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200)에는 또한,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제출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상위 계층은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하나인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어느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지 결정하고, 나아가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며, 선택적으로, 해당 상위 계층은 나아가 위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하는 바,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위로 제출하는 횟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우선 해당 목표 데이터를 어느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지 결정하고, 그 후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며, 선택적으로, 해당 상위 계층에는 나아가 위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하거나, 또는 또한 더는 위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만일 해당 목적 노드가 해당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단말 장치라면, 해당 목표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제출된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해당 제1 상위 계층일 수 있음)은 또한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단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바, 즉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해당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단말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일 그렇다면,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목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 수 있는 바, 즉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단말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상위 계층을 해당 제1 상위 계층으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다면,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어느 한 상위 계층 또는 특정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 수 있는 바, 즉 해당 제1 상위 계층은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어느 한 상위 계층 또는 특정 상위 계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에 상위 계층 A, 상위 계층 B와 상위 계층 C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위 계층 A와 상위 계층 B가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면, 만일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단말 장치라면, 해당 릴레이 레이어는 상위 계층 A와 상위 계층 B 중에서 제1 상위 계층을 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위 계층 A 및/또는 상위 계층 B를 해당 제1 상위 계층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해당 제1 상위 계층을 통하여 단말 장치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전달하며, 또는 만일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해당 제1 노드라면, 해당 릴레이 레이어는 상위 계층 A, 상위 계층 B와 상위 계층 C 중에서 제1 상위 계층을 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위 계층 A、상위 계층 B와 상위 계층 C 중의 어느 한 상위 계층을 해당 제1 상위 계층으로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제1 상위 계층이 해당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진일보의 처리를 진행한다.
나아가,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 수 있는 바, 선택적으로, 만일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해당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단말 장치라면, 상기 제1 상위 계층은 해당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 상위 계층은 또한 나아가 위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하고, 해당 목표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제출된 상위 계층은 단말 장치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으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하는 바, 즉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 상기 목표 데이터가 무선 자원 제어(RRC) 데이터인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F1 응용 프로토콜(F1AP) 데이터인지 여부이다.
선택적으로,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가 RRC 데이터라면, 이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노드는 단말 장치로 간주할 수 있고, 해당 제1 노드는 RRC 데이터의 포맷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나아가 해당 목표 데이터에 의하여 자체의 무선 링크 구성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는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가 F1AP 데이터라면, 이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노드는 네트워크 장치로 간주할 수 있고, 해당 제1 노드는 F1AP 데이터의 포맷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나아가 해당 목표 데이터에 의하여 해당 제1 노드 서비스의 단말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으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바, 즉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200)에는,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제출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상위 계층은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하나인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우선 해당 목표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고, 그 후 해당 상위 계층이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며, 나아가 해당 상위 계층은 해당 제2 상위 계층으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해당 제2 상위 계층은 또한 나아가 위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하는 바, 본 출원의 실시예는 위로 제출하는 횟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해당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의 차별점이라면,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우선 위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하고, 그 후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해당 목표 데이터를 어느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지 판단하는 바,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우선 판단을 진행하여, 어느 상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제출할지 결정하고, 그 후 해당 목표 데이터의 위로의 제출을 진행하며,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우선 위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하고, 그 후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해당 목표 데이터를 어느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지 결정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은 해당 릴레이 레이어 위에 위치하는 프로토콜 레이어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해당 릴레이 레이어와 인접한 상위 계층 프로토콜 레이어일 수 있고, 또는 또한 해당 상위 계층 프로토콜 레이어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 에리어 등일 수 있으며, 해당 릴레이 레이어 위에 위치하는 프로토콜 레이어는 모두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간주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은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바, 즉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해당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단말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일 그렇다면,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은 해당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목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 수 있는 바, 즉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은 단말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상위 계층을 해당 제2 상위 계층으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다면,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은 해당 목표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어느 한 상위 계층 또는 특정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 수 있는 바, 즉 해당 제2 상위 계층은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어느 한 상위 계층 또는 특정 상위 계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에 상위 계층 A, 상위 계층 B와 상위 계층 C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위 계층 A와 상위 계층 B가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면, 만일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단말 장치라면,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은 상위 계층 A와 상위 계층 B 중에서 제2 상위 계층을 결정할 수 있고, 또는 만일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해당 제1 노드라면,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은 상위 계층 A, 상위 계층 B와 상위 계층 C 중에서 제2 상위 계층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할 수 있는 바, 선택적으로, 만일 해당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해당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단말 장치라면, 상기 제2 상위 계층은 해당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 상위 계층은 또한 나아가 위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제출하고, 해당 목표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제출된 상위 계층은 단말 장치로 해당 목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으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하는 바, 즉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 상기 목표 데이터가 무선 자원 제어(RRC) 데이터인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F1 응용 프로토콜(F1AP) 데이터인지 여부이다.
선택적으로,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가 RRC 데이터라면, 이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노드는 단말 장치로 간주할 수 있고, 해당 제1 노드는 RRC 데이터의 포맷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나아가 해당 목표 데이터에 의하여 자체의 무선 링크 구성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는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가 F1AP 데이터라면, 이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노드는 네트워크 장치로 간주할 수 있고, 해당 제1 노드는 F1AP 데이터의 포맷에 의하여 해당 목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나아가 해당 목표 데이터에 의하여 해당 제1 노드 서비스의 단말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으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바, 즉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상기 제1 노드의 RLC 위에 있을 수 있고, 그 중에서, RLC 레이어는 자동 재전송 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 ARQ)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상황 하에서, 앵커 노드로부터 제1 노드 간에는 점대점의 방식을 사용하여 ARQ를 진행할 수 있고, 아울러 제1 노드와 해당 제1 노드의 한 호프 노드 간에도 점대점의 방식을 사용하여 ARQ를 진행하여, 데이터의 무결함 전송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제1 노드의 다음 호프 노드는 목적 노드일 수도 있고, 또한 기타 릴레이 노드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또한 PDCP 레이어 아래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또한 상기 제1 노드의 PDCP 레이어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PDCP 레이어 융합될 수 있다. 그 중에서, PDCP 레이어의 기능은 암호화와 무결성 보호로서, 릴레이 레이어를 PDCP 레이어 아래에 구성하거나, 또는 PDCP 레이어에서 구현하여, 데이터 전달의 호프 수가 얼마든지 모두 암호화와 무결성 보호가 모두 PDCP 레이어에서 완성되게 확보할 수 있는 바, 즉 상기 앵커 노드와 제3 노드(즉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 간에 단대단의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거나, 또는 앵커 노드와 제3 노드 간의 PDCP 레이어를 통하여 데이터 초기 전송 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진행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S210에는,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앵커 노드가 단말 장치의 데이터 연결을 통하여 송신하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unneling Protocol, GTP) 레이어에서, 각 단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GTP 링크를 가지고,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될 수 있으며, 각 데이터 스트림은 대응되는 서비스 품질(Quality-of-Service, QoS) 요구가 있을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앵커 노드는 각 단말 장치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을 분석하여 서로 다른 PDCP 실체에 대응시킬 수 있고, 또한 각 단말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에 속하는 PDCP 연결을 갖고 있으며, 그 중에서, 해당 각 단말 장치의 PDCP 연결은 앵커 노드의 PDCP 레이어로부터 단말 장치의 PDCP 레이어로 연장되는 바, 다시 말하면, 앵커 노드의 PDCP 실체와 단말 장치의 PDCP 실체 간에 PDCP 연결을 구성하여, 앵커 노드는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PDCP 연결을 통하여 해당 단말 장치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210에는,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앵커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연결을 통하여 송신하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앵커 노드는 데이터가 속하는 단말 장치를 구분하지 않고, 단말 장치의 데이터 연결이 속하는 릴레이 노드를 구분하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앵커 노드는 동일한 릴레이 노드에 속한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PDCP 연결로 묶고, 그 후 해당 PDCP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해당 PDCP 연결은 앵커 노드의 PDCP 실체와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PDCP 실체 간에 구성되는 바, 다시 말하면, PDCP 연결은 앵커 노드의 PDCP 레이어로부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PDCP 레이어로 연장되어, 앵커 노드는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연결을 통하여 해당 단말 장치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노드는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으로서 중심 유닛(Center Unit, CU)으로서의 상기 앵커 노드와 연결을 구성할 수 있는 바, 이 상황 하에서, 제1 노드는 단지 일부 프로토콜 레이어만 구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해당 제1 노드는 물리(PHY)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레이어, RLC 레이어와 PDCP 레이어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앵커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는 CU-DU 인터페이스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노드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앵커 노드와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노드는 5G 시스템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gNB)로서 상기 앵커 노드와 연결을 구성할 수 있고, 이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앵커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는 N2 인터페이스, N3 인터페이스와 Xn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한 가지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200)에는 또한,
초기 가동 시, 상기 제1 노드가 단말 장치의 접속 방식에 따라 상기 앵커 노드에 접속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부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200)에는 또한,
초기 접속에 성공한 후,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앵커 노드와의 연결을 단절하고, 릴레이 노드의 접속 방식에 따라 상기 앵커 노드에 접속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초기 접속 시, 릴레이 노드는 단말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접속을 진행하여(예를 들면, 어느 한 릴레이 노드 또는 불확정 노드 또는 기타 임의의 노드에 접속), 관련된 구성 정보를 취득한 후, 릴레이 노드는 연결을 단절하고, 다시 릴레이 노드의 방식에 의하여 접속을 진행할 수 있는 바, 특정된 노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특정된 접속 프로세스에 따라 접속할 수 있다. 요컨데, 릴레이 노드는 서로 다른 단계에 다르 프로토콜 스택 방식으로 접속을 진행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아래,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구체적인 상황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릴레이 전송 방법의 구현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각 노드의 프로토콜 레이어 프레임은 단지 예시적일 뿐, 각 노드의 프로토콜 레이어 프레임은 또한 실제의 응용 상황에 의하여 조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도 3과 도 4는 단지 두 호프 상황을 예시로 하였지만, 도 3과 도 4에 도시된 프로토콜 레이어 프레임은 마찬가지로 한 호프 또는 멀티 호프의 상황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릴레이 레이어(즉 X 레이어)의 위치는 단지 예시적일 뿐, 릴레이 레이어는 또한 전술한 실시예 중의 기타 위치일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상황에서, 데이터 전송 방향은 앵커 노드 → 릴레이 노드1 → 릴레이 노드2 → UE1일 수 있고, 그 중에서, 앵커 노드는 릴레이 노드1 및 릴레이 노드2의 릴레이 레이어와 연결을 구성한다.
도 3에서, 앵커 노드가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면,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로부터 오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바, 앵커 노드는 해당 제1 데이터를 수신한 후, 해당 제1 데이터의 목적 노드를 UE1로 결정하며, 이로써 앵커 노드는 릴레이 노드1의 릴레이 레이어로 해당 제1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그 중에서, 릴레이 노드1은 앵커 노드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이고, 해당 제1 데이터의 헤더에는 해당 제1 데이터가 속한 단말 장치의 주소(즉 UE1의 주소)가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주소(즉 릴레이 노드2의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릴레이 노드1은 해당 제1 데이터를 수신한 후, 해당 제1 데이터에 포함된 UE1의 주소와 릴레이 노드2의 주소를 취득하고, 그 후 주소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1 데이터의 목적 노드가 해당 릴레이 노드1이 아닌 것을 결정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1의 릴레이 레이어가 단지 해당 제1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2로 전달하고, 해당 제1 데이터를 해당 릴레이 노드1의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에 제출하여 처리를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본 회 데이터 전송에서, 릴레이 노드1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은 릴레이 레이어에서 정지하는 바, 즉 릴레이 레이어 위에 기타 프로토콜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릴레이 노드2는 릴레이 노드1이 전달하는 해당 제1 데이터를 수신한 후, 자신을 해당 제1 데이터의 소속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2는 해당 제1 데이터에 대하여 GTP 레이어 처리를 진행하지 않고, 직접 해당 제1 데이터를 UE1로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릴레이 노드2는 또한 해당 제1 데이터에 대하여 GTP 레이어의 처리를 진행하고, 그 후 처리된 해당 제1 데이터를 UE1로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앵커 노드는 UE1의 데이터 연결을 통하여 해당 제1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UE1의 데이터 연결은 상기 앵커 노드의 PDCP 실체와 UE1의 PDCP 실체 간에 구성된 PDCP 연결인 바, 즉 앵커 노드는 앵커 노드와 UE1 간의 PDCP 연결을 통하여 해당 제1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서, 릴레이 노드2는 DU로서 앵커 노드와 연결된 것이기 때문에, 릴레이 노드2는 단지 일부 프로토콜 레이어만 구비하고, 릴레이 노드2와 앵커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는 CU-DU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앵커 노드는 UE1과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2의 데이터 연결을 통하여 해당 제1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릴레이 노드2의 데이터 연결은 상기 앵커 노드의 PDCP 실체와 릴레이 노드2의 PDCP 실체 간에 구성된 PDCP 연결일 수 있는 바, 즉 앵커 노드와 릴레이 노드2 간의 PDCP 연결을 통하여 해당 제1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앵커 노드가 처한 PDCP 연결은 UE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도 4에서, 앵커 노드가 처한 PDCP 연결은 릴레이 노드에 대한 것이다.
도 4에서, 릴레이 노드2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로서 앵커 노드와 연결된 것이기 때문에, 릴레이 노드2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유사한 프로토콜 레이어를 구비하고, 이 상황 하에서, 릴레이 노드2와 앵커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는 N2 인터페이스, N3 인터페이스와 Xn 인터페이스 중의 적어도 한 가지일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릴레이 노드가 데이터 전송에서 담당한 기능이 달라, 이에 대응되는 프로토콜 스택 프레임도 다른 바, 예를 들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에서, 릴레이 노드1은 단지 전달 기능만 담당하기 때문에, 릴레이 노드1의 프로토콜 스택은 릴레이 레이어에 끝나고, 다른 회 데이터 전송에서, 만일 해당 릴레이 노드1이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라면, 해당 릴레이 노드1의 프로토콜 스택은 릴레이 노드2가 표시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일 수 있음은 물론인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치로, 다른 회 데이터 전송에서, 만일 해당 릴레이 노드2가 단지 전달 기능만 담당한다면, 해당 릴레이 노드2의 프로토콜 스택은 릴레이 노드1이 표시한 프로토콜 스택 프레임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릴레이 전송 방법에서, 릴레이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멀티 호프 라우트 기능을 담당하고, 릴레이 레이어에서 수신된 데이터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전달할지 아니면 해당 데이터를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여 진일보의 처리를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멀티 호프의 릴레이 통신을 구현할 수 있고, NR 시스템의 셀 커버리지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위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아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는 바, 장치 실시예와 방법 실시예는 상호 대응되고, 유사한 기술은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릴레이 노드(5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릴레이 노드(500)에는,
제2 노드가 송신하는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노드는 앵커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이며, 상기 릴레이 노드는 상기 제2 노드와 무선 연결되고, 상기 앵커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와 유선 연결되며, 상기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는 제3 노드인 통신 모듈(510);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처리 모듈(520)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릴레이 노드(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 실시예 중의 제1 릴레이 노드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릴레이 노드(500) 중의 상기와 기타 조작 및/또는 기능은 도 2의 방법(200) 중의 제1 릴레이 노드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600)를 제공하는 바, 상기 릴레이 노드(600)는 도 5 중의 릴레이 노드(500)일 수 있고, 이는 도 2 중의 방법(200)에 대응되는 제1 릴레이 노드의 내용을 실행할 수 있다. 해당 릴레이 노드(6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기억장치(640)가 포함되고,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기억장치(6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억장치(6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저장한다. 상기 프로세서(630)는 상기 기억장치(640) 중의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6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6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조작을 완성한다.
일부 구현 방식에서, 해당 릴레이 노드(600)는 칩일 수 있고, 해당 칩에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입력 회로 또는 인터페이스 및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출력 회로 또는 인터페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해당 구현 방식에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는,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른 일부 구현 방식에서, 상기 릴레이 노드(600)는 통신 장치(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단말 장치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고, 해당 통신 장치에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및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가 포함될 수 있다.
해당 구현 방식에서, 해당 통신 장치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는, 해당 통신 장치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통신 장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6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63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64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63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64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64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6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내용과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6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630)가 기억장치(64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서, 도 5 중의 통신 모듈(510)은 도 6의 입력 인터페이스(610)와 출력 인터페이스(620)로 구현할 수 있고, 도 5 중의 처리 모듈(520)은 도 6의 프로세서(630)로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칩(700)에는 프로세서(710)가 포함되고, 프로세서(710)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700)에는 또한 기억장치(72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710)는 기억장치(7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720)는 프로세서(710)에 독립된 한 단독의 소자일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710)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에는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73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710)는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제어하여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진행하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이 송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에는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74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710)는 해당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제어하여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진행하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으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이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에 위치하고, 프로세서가 기억장치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 기억장치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 중에서, 비휘발성 기억장치는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된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을 통하여, 많은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이다. 주의하여야 할 바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과 방법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억장치는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만 한 것이며, 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또한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이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89)

  1. 릴레이 전송 방법으로서,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2 노드에서 송신하는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노드는 앵커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이며,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제2 노드와 무선 연결되고, 상기 앵커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와 유선 연결되며, 상기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는 제3 노드이며;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가 단말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노드가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되는 릴레이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바,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의 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목표 데이터의 처리 방식은,
    상기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것,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과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한 가지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제출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바, 상기 제1 상위 계층은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하나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상위 계층 제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 상기 목표 데이터가 무선 자원 제어(RRC) 데이터인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F1 응용 프로토콜(F1AP) 데이터인지 여부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15.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제출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바, 상기 제2 상위 계층은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하나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이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2 상위 계층 제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 상기 목표 데이터가 무선 자원 제어(RRC) 데이터인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F1 응용 프로토콜(F1AP) 데이터인지 여부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20.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에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레이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레이어,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레이어, 무선 자원 제어(RRC) 레이어, 비접속 계층(NAS) 레이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레이어,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레이어, F1 응용 프로토콜(F1AP) 레이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21.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에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레이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레이어,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레이어, 무선 자원 제어(RRC) 레이어, 비접속 계층(NAS) 레이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레이어,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레이어, F1 응용 프로토콜(F1AP) 레이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상기 제1 노드의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23.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레이어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24.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PDCP 레이어 아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간에는 점대점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1 노드의 다음 호프 노드 간에는 점대점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제1 노드의 다음 호프 노드는 기타 릴레이 노드 또는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26.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간에는 단대단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가, 앵커 노드가 송신하는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앵커 노드가 단말 장치의 데이터 연결을 통하여 송신하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연결은 상기 단말 장치의 PDCP 실체와 상기 앵커 노드의 PDCP 실체 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는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처리를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30.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는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31.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데이터에는 상기 목표 데이터가 속하는 단말 장치 및/또는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주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분산 유닛(DU)으로서 중심 유닛(CU)으로서의 상기 앵커 노드와 연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앵커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는 CU-DU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가, 앵커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앵커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연결을 통하여 송신하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연결은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PDCP 실체와 상기 앵커 노드의 PDCP 실체 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는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GTP 레이어 처리를 진행하고,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베어러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37.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데이터에는 상기 목표 데이터가 속하는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주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앵커 노드와 연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5G 시스템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앵커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는 N2 인터페이스, 및/또는 N3 인터페이스, 및/또는 Xn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41.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초기 가동 시, 상기 제1 노드가 단말 장치의 접속 방식에 따라 상기 앵커 노드에 접속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초기 접속에 성공한 후,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앵커 노드와의 연결을 단절하고, 릴레이 노드의 접속 방식에 따라 상기 앵커 노드에 접속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송 방법.
  43. 릴레이 노드로서,
    제2 노드가 송신하는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노드는 앵커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이며, 상기 릴레이 노드는 상기 제2 노드와 무선 연결되고, 상기 앵커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와 유선 연결되며, 상기 목표 데이터의 목적 노드는 제3 노드인 통신 모듈;
    수신된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처리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가 단말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노드가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되는 릴레이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46.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47.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릴레이 레이어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바,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릴레이 레이어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에의 상위 계층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49. 제43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에는 또한,
    릴레이 레이어에서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의 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목표 데이터의 처리 방식은,
    상기 목표 데이터를 단말 장치로 전달하는 것,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전달하는 것과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한 가지인 결정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51. 제49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52. 제49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제출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릴레이 레이어에서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바, 상기 제1 상위 계층은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릴레이 레이어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릴레이 레이어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릴레이 레이어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55. 제52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 상기 목표 데이터가 무선 자원 제어(RRC) 데이터인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F1 응용 프로토콜(F1AP) 데이터인지 여부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56. 제5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57. 제49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만일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제출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릴레이 레이어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에서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바, 상기 제2 상위 계층은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에서 상기 제3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달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59. 제57항 또는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릴레이 레이어에서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2 상위 계층으로 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60. 제57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아이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상기 제1 노드와 직접 연결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를 기타 릴레이 노드로 송신할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신호 무선 베어러(SRB) 상에 베어링되었는지 여부, IP 주소, IP 헤더 중의 포트 정보, 상기 목표 데이터가 무선 자원 제어(RRC) 데이터인지 여부, 상기 목표 데이터가 F1 응용 프로토콜(F1AP) 데이터인지 여부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61. 제57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릴레이 레이어, 매체 접근 제어(MAC) 레이어,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프로토콜 레이어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62. 제52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에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레이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레이어,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레이어, 무선 자원 제어(RRC) 레이어, 비접속 계층(NAS) 레이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레이어,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레이어, F1 응용 프로토콜(F1AP) 레이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63. 제45항 또는 제47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레이어의 상위 계층에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레이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레이어,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레이어, 무선 자원 제어(RRC) 레이어, 비접속 계층(NAS) 레이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레이어,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레이어, F1 응용 프로토콜(F1AP) 레이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64. 제60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상기 릴레이 노드의 무선 링크 제어(RLC) 레이어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65. 제60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레이어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66. 제60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의 릴레이 레이어는 PDCP 레이어 아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67. 제60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간에는 점대점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고, 또한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릴레이 노드의 다음 호프 노드 간에는 점대점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릴레이 노드의 다음 호프 노드는 기타 릴레이 노드 또는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68. 제60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간에는 단대단의 방식을 통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69. 제60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 노드가 단말 장치의 데이터 연결을 통하여 송신하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연결은 상기 단말 장치의 PDCP 실체와 상기 앵커 노드의 PDCP 실체 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71. 제69항 또는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는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처리를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72. 제69항 또는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는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 레이어 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73. 제69항 또는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데이터에는 상기 목표 데이터가 속하는 단말 장치 및/또는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주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74. 제71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는 분산 유닛(DU)으로서 중심 유닛(CU)으로서의 상기 앵커 노드와 연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앵커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는 CU-DU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76. 제61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연결을 통하여 송신하는 상기 목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연결은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PDCP 실체와 상기 앵커 노드의 PDCP 실체 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78. 제76항 또는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는 상기 목표 데이터에 대하여 GTP 레이어 처리를 진행하고,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데이터 베어러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목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79. 제76항 또는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데이터에는 상기 목표 데이터가 속하는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주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80. 제76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앵커 노드와 연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5G 시스템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82. 제80항 또는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앵커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는 N2 인터페이스, 및/또는 N3 인터페이스, 및/또는 Xn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83. 제61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에는 또한,
    초기 가동 시, 단말 장치의 접속 방식에 따라 상기 앵커 노드에 접속하는 접속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84. 제61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에는 또한,
    초기 접속에 성공한 후, 상기 앵커 노드와의 연결을 단절하고, 릴레이 노드의 접속 방식에 따라 상기 앵커 노드에 접속하는 접속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85.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86. 릴레이 노드로서,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세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87. 칩으로서,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된 장치가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88.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의 릴레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89.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의 릴레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7020728A 2018-01-09 2018-06-21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 KR20200091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7918A KR102602455B1 (ko) 2018-01-09 2018-06-21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8/071973 2018-01-09
PCT/CN2018/071973 WO2019136606A1 (zh) 2018-01-09 2018-01-09 中继传输的方法和中继节点
PCT/CN2018/083559 WO2019136874A1 (zh) 2018-01-09 2018-04-18 中继传输的方法和中继节点
CNPCT/CN2018/083559 2018-04-18
PCT/CN2018/092131 WO2019136933A1 (zh) 2018-01-09 2018-06-21 中继传输的方法和中继节点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918A Division KR102602455B1 (ko) 2018-01-09 2018-06-21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481A true KR20200091481A (ko) 2020-07-30

Family

ID=672188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728A KR20200091481A (ko) 2018-01-09 2018-06-21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
KR1020227027918A KR102602455B1 (ko) 2018-01-09 2018-06-21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918A KR102602455B1 (ko) 2018-01-09 2018-06-21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1510129B2 (ko)
EP (1) EP3723446B1 (ko)
JP (1) JP7301849B2 (ko)
KR (2) KR20200091481A (ko)
CN (2) CN111567137A (ko)
AU (1) AU2018402241B2 (ko)
BR (1) BR112020013861A2 (ko)
CA (1) CA3087853A1 (ko)
MX (1) MX2020007348A (ko)
WO (2) WO2019136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1998B2 (en) * 2017-02-28 2022-07-05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9136606A1 (zh) * 2018-01-09 2019-07-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中继传输的方法和中继节点
CN113518406A (zh) * 2020-04-09 2021-10-1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直连链路的路径选择方法及装置、存储介质、ue、中继
CN116074917A (zh) * 2021-11-01 2023-05-0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多跳中继连接建立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3948A1 (en) * 2005-11-10 2007-05-18 Nortel Networks Limited Wireless relay network media access control layer control plane system and method
CN101111047B (zh) * 2006-07-18 201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利用中继基站进行通信的方法及系统
WO2008103965A1 (en) * 2007-02-22 2008-08-28 Zte (Usa) Inc. Signaling for multi-hop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1415150A (zh) * 2007-10-15 2009-04-22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节点装置
CN101527621A (zh) * 2008-03-06 2009-09-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中继网络下行链到链混合自动重传请求的方法
WO2011000406A1 (en) * 2009-06-29 2011-01-06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utilising protocols
CN102195704B (zh) * 2010-03-19 2016-01-2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中继方法及相应的基站和中继设备
KR20140079525A (ko) * 2012-12-14 2014-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계기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통신 방법
US9749874B2 (en) * 2013-07-17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Multi-band management of wireless relaying networks
CN105657865B (zh) * 2015-04-30 2019-10-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中转传输方法、系统和具备中继功能的ue
CN106304242B (zh) * 2015-05-21 2018-12-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跳通信系统及其节点
CN107710825B (zh) * 2015-06-26 2021-03-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在无线通信网络中用于中继数据的装置及其中的方法
KR102568265B1 (ko) 2015-07-23 2023-08-18 애플 인크. 레이어 2 릴레이 프로토콜 및 이동성 릴레이 방법
US10945179B2 (en) * 2017-01-10 2021-03-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path switching method and device
US11075687B2 (en) * 2017-03-23 2021-07-27 Apple Inc. Advanced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next-gen multi-hop relaying cellular network
WO2019136606A1 (zh) * 2018-01-09 2019-07-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中继传输的方法和中继节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67137A1 (en) 2020-11-19
BR112020013861A2 (pt) 2020-12-01
WO2019136606A1 (zh) 2019-07-18
US11844010B2 (en) 2023-12-12
US20230025855A1 (en) 2023-01-26
AU2018402241B2 (en) 2022-02-17
WO2019136874A1 (zh) 2019-07-18
CA3087853A1 (en) 2019-07-18
AU2018402241A1 (en) 2020-07-23
JP2021510254A (ja) 2021-04-15
MX2020007348A (es) 2020-09-03
CN111567137A (zh) 2020-08-21
EP3723446A1 (en) 2020-10-14
CN111836338B (zh) 2022-04-12
CN111836338A (zh) 2020-10-27
KR20220117348A (ko) 2022-08-23
US11510129B2 (en) 2022-11-22
KR102602455B1 (ko) 2023-11-14
EP3723446B1 (en) 2024-03-27
EP3723446A4 (en) 2021-01-13
JP7301849B2 (ja)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40562B2 (ja) 情報伝送方法及び装置
EP4114072A1 (en) Data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node, and storage medium
JP2021521736A (ja) 構成方法、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装置
KR102602455B1 (ko) 릴레이 전송 방법과 릴레이 노드
AU2017424739B2 (en) Switching method,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WO202202744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failure handling procedure in a sidelink relay system
US20220159776A1 (en) Communication Method, SLRB Establishment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CN105704753A (zh) 一种进行数据传输的方法、系统和设备
JP2014505446A (ja) アップリンクメッセージにおける情報の優先順位付け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543116B (zh) 中继网络中节点间转发数据的方法和网络节点
US202301803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ll data transmission
EP3735091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data by means of wireless backhaul network
US10455472B2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data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9136933A1 (zh) 中继传输的方法和中继节点
EP4236585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leasing f1 connection
US20200367131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WO2019153561A1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10022639A (ko) 시그널링 전송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EP432579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4011462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通信设备、接入网架构
WO2022170798A1 (zh) 确定策略的方法和通信装置
CN116866981A (zh) 通信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53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825

Effective date: 2023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