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142A -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1142A KR20200091142A KR1020190007999A KR20190007999A KR20200091142A KR 20200091142 A KR20200091142 A KR 20200091142A KR 1020190007999 A KR1020190007999 A KR 1020190007999A KR 20190007999 A KR20190007999 A KR 20190007999A KR 20200091142 A KR20200091142 A KR 202000911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vehicle
- authentication service
- unit
- automatic authentication
- service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58 sleep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06Q50/3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 라인과 통신 라인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에서 사용하는 구동 전원으로 변경하는 전원부;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무단으로 해체되거나 해킹이 시도될 경우에 이를 방비하는 보안 모듈부; 유선이나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암호화 처리하는 암호 모듈부; 및 상기 전원부, 보안 모듈부, 통신부, 및 암호 모듈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를 구동하여 충전기와 원활한 충전이 실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 자동인증 기능이 없는 기존 전기차를 고객 자동인증 기능이 있는 신규 충전기에 연결하여 고객 자동인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전기차를 신규 충전기를 통해서도 충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RFID 카드 기반의 회원카드로 회원인증을 수행하여 충전기 사용을 인가해 주고 있다. 그러나 RFID 카드 방식의 회원인증 방식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나 불편함이 있다.
예컨대 기존에는 충전서비스 사업자별 다른 회원카드나 번호 운영으로 충전불가하며(로밍이 안되는 경우), 카드를 분실했거나 다른 사람이 회원번호만 알고 있어도 개인계정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회원인증(회원카드)과 결제(신용카드)가 이원화 되어있어 여러개의 카드를 태그해야 하는 문제점과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국내의 충전 인프라를 운영하는 사업자들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고자 했다.
예컨대 회원번호 로밍 서비스, 회원카드 통합 발급, 공공형 충전기의 경우 회원카드만 태그하고 신용카드 정보를 사전에 연계 시켜놓아 PG 거래방식으로 충전기 이용 및 정산, 및 회원카드가 없이도 충전요금이 결제가능한 신용카드가 있으면 충전허가 등을 통해 기존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아래와 같은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신용카드만 있으면 누구나 충전케이블 및 충전기 조작이 가능하여 여러 가지 사고위험이 증가하고, 기존 발급된 회원카드가 로밍이 원활하지 않아 타사 충전기 사용이 불가하며, 현재 공공형 충전기의 경우 회원인증 후 충전요금과 비회원의 충전요금이 동일하여 충전 서비스 사업자의 사업여건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 충전 프로세스에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ISO 15118에서 제시한 고객자동인증(PnC : Plug and Charge, Park and Charge) 기술을 충전 인프라에 적용할 경우, 고속도로 하이패스 시스템과 같이 회원인증, 충전기 사용인가, 충전, 스마트 충전(Smart charging), 및 자동과금 및 결제 등의 서비스를 연속(Non-stop)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전기차 내부에 통신모듈을 탑재하고 내부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해야 기술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전기차에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고객에게 이미 출고된 전기차(즉, 기존 전기차)를 개선하는 것은 차량 개조에 해당되어 이를 적용하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ISO 15118에서 제시한 고객자동인증 방법을 기존 전기차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48034호(2017.05.08. 공개,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고객 자동인증 기능이 없는 기존 전기차를 고객 자동인증 기능이 있는 신규 충전기에 연결하여 고객 자동인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전기차를 신규 충전기를 통해서도 충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는, 전원 라인과 통신 라인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에서 사용하는 구동 전원으로 변경하는 전원부;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무단으로 해체되거나 해킹이 시도될 경우에 이를 방비하는 보안 모듈부; 유선이나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암호화 처리하는 암호 모듈부; 및 상기 전원부, 보안 모듈부, 통신부, 및 암호 모듈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를 구동하여 충전기와 원활한 충전이 실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나 플러그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나 플러그에 추가로 연결하는 어댑터 형태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차량의 OBDⅡ 단자 또는 USB 단자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차량 내 전자제어장치(ECU)와 통신하여 차량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듈부는, 무단으로 해체되거나 해킹이 시도될 경우, 내부 회로 파괴, 또는 내부 프로그램 삭제를 자동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듈부는, 고유인증서, 키, 및 전기차 충전인프라 PKI(Public Key Infrastructure)의 최상위기관 루트(Root) 인증서를 탑재하고 있고, PnC(Plug and Charge, Park and Charge)서비스를 위한 고객계약용 인증서 및 키를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충전기와 통신하여, ISO 15118 메시지 중 인증, 인가, 및 과금과 관련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의 내부 보안 모듈부에 외부에서 인증서와 키를 주입하는 경우, 인터페이스의 접근을 물리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자물쇠(Lock);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객 자동인증 기능이 없는 기존 전기차를 고객 자동인증 기능이 있는 신규 충전기에 연결하여 고객 자동인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전기차를 신규 충전기를 통해서도 충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기존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운영환경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2는 ISO 15118 기반의 충전기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운영환경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기존 전기차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를 적용하여 신규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충전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충전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기존 전기차가 무선 통신 기반으로 고객을 인증하여 충전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기존 전기차가 유선 통신 기반으로 고객을 인증하여 충전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ISO 15118 기반의 충전기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운영환경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기존 전기차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를 적용하여 신규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충전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충전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기존 전기차가 무선 통신 기반으로 고객을 인증하여 충전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기존 전기차가 유선 통신 기반으로 고객을 인증하여 충전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기존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운영환경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여기서 실선은 전력에너지 전송을 의미하며, 점선은 데이터 통신을 의미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전기차는 PLC(Powerline Communication) 통신모듈 등을 탑재하여, AC 충전기(CHA1)와는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 DC 충전기(CHA2)와는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충전을 진행하여, 각각의 충전기(예 : AC 충전기, DC 충전기)는 운영 인프라의 운영서버(SV1)로 데이터를 연계하고 있다.
도 2는 ISO 15118 기반의 충전기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운영환경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현재 신규 통신프로토콜(ED2)로서 활발하게 논의중인 ISO 15118 국제표준은 전기차 충전을 위한 통신프로토콜이며, 기존 통신프로토콜(ED1)은 국내 KS 표준으로 이미 제정되었다.
예컨대 상기 ED2는 다양한 충전서비스 시나리오(예 : 양방향 V2X, 무선충전, 자동충전 등)을 수용하기 위하여 개정 중에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AC 충전기(CHA1), 및 DC 충전기(CHA2)에는 모두 ISO 15118 기반의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어서, 기존 전기차(EVO1) 및 신규 전기차(EVN1, EVN2)와의 통신 및 충전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게 된다(새로운 전기차는 ISO 15118 기반의 모듈을 탑재할 예정임). 하지만 PLC 방식이 적용된 기존 전기차(EVO1)는 ISO 15118 기반의 통신모듈이 적용된 AC 충전기(CHA1)와는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ISO 15118에서 제시한 고객자동인증 방법을 기존 전기차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전원부(120), 보안모듈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및 암호모듈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는 새로운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또는 플러그)에 적용되거나(도 5, 도 6의 (a) 참조), 기존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또는 플러그)에 추가로 연결하는 어댑터 형태(도 6의 (b) 참조)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충전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충전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원 라인과 통신(예 : 유선통신) 라인을 연결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 라인을 연결하거나, 통신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는 차량내부의 OBDⅡ 단자(미도시) 또는 USB 단자(미도시)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필요에 따라 차량내부 정보를 공유(예 : 차량 내 전자제어장치(ECU)와 통신하여 차량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에서 사용하는 구동 전원으로 변경한다.
상기 보안 모듈부(1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가 무단으로 해체되거나 접근(해킹)이 시도될 경우에 이를 방비(예 : 내부 회로 파괴, 또는 내부 프로그램 삭제 등)를 실시한다.
예컨대 상기 보안 모듈부(130)에는 고유인증서, 키, 및 전기차 충전인프라 PKI(Public Key Infrastructure)의 최상위기관 루트(Root) 인증서를 탑재하고 있고, PnC(고객자동인증)(PnC : Plug and Charge, Park and Charge)서비스를 위한 고객계약용 인증서 및 키를 안전하게 보관한다. 이 때 상기 모안 모듈부(13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별도의 소프트웨어적인 방법 또는 보안토큰 등을 활용하여 인증서 및 개인키들을 안전하게 보관한다.
상기 통신부(150)는 유선(예 : PLC)이나 무선 방식(예 : WiFi)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암호 모듈부(16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정보(예 : 인증 정보, 인증서 정보, 키 정보 등)를 암호화 처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예 : 인증 정보, 인증서 정보, 키 정보 등)가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정보의 실질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상기 암호 모듈부(160)는 충전기의 통신모듈과 통신을 수행할 때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통신으로 데이터를 상호 안전하게 전송한다. 이 때 TLS 통신 절차는 ISO 15118 표준을 따른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부(120), 보안 모듈부(130), 통신부(150), 및 암호 모듈부(16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를 구동하여 원활한 충전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ISO 15118 메시지 중 인증, 인가, 및 과금과 관련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가 새로운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또는 플러그)에 적용되거나(도 5, 도 6의 (a) 참조), 기존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또는 플러그)에 추가로 연결하는 어댑터 형태(도 6의 (b) 참조)로 적용될 경우, 쉽게 분리할 수 없도록 물리적인 자물쇠 기능을 수행하는 락(Lock)이 더 포함될 수 있다(도 6의 (a),(b) 참조).
도 4는 기존 전기차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를 적용하여 신규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O 15118을 지원하지 않는 기존 전기차(EVO1)는 ISO 15118을 지원하는 신규 충전기(220)를 통해서는 충전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를 적용한 충전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기존 전기차(EVO2)도 신규 충전기(220)를 통해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의 제어부(140)가 ISO 15118 메시지 중 인증, 인가, 및 과금과 관련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충전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충전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는 도 6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케이블 B Type의 경우 이동형 충전기와 같이 사용함으로 개별적으로 검증된 사용자에게만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또는 플러그)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Adaptor)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의 내부 보안 모듈부(130)에 외부에서 인증서와 키를 주입하는데 있어서, USB 등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해야 하는데, 이 경우 자물쇠(Lock) 장치를 구비하여, 아무나 해당 인터페이스에 접근할 수 없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USB I/O는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으로 운용될 수 있고, 모듈 개발시 사전 마스터 키를 삽입하여 외부로부터 인증서나 키 등을 주입할 때 암호화 및 복호화 체계를 갖춘다. 다만 암호화 알고리즘이나 키를 활용한 상호 인증 등은 기존의 공개키 기반 알고리즘 등을 따르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가 적용된 기존 전기차(ISO 15118 적용 전 전기차)가 신규 충전기(ISO 15118 적용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는 과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기존 전기차가 무선 통신(예 : WiFi) 기반으로 고객을 인증하여 충전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적용된 기존 전기차가 유선 통신(예 : PLC) 기반으로 고객을 인증하여 충전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가 적용된 충전 케이블은 ISO 15118 통신 기반에서 동작하므로, 이하 흐름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예 : WiFi) 기반으로 차량이 충전기 근처로 접근하면 통신세션을 먼저 개시한다(S101). 이를 High Level Communication(HLC)의 연결 요청에 해당한다(본 실시예에서 전기차와 충전기(즉, 신규 충전기)의 WiFi 모듈간의 매칭 및 페어링(Pairing)에 대한 사항은 제외한다).
이후 통신을 개시하여 상호 인지하여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 충전 커넥터가 연결되면(S102), 충전기로부터 송출된 CP 신호를 전기차가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CP 신호의 Duty 값은 HLC를 위한 처음에는 5% duty를 갖는다(S103). 이후 차량에서 충전전력을 받을 준비가 된 경우 CP의 State C1 상태(6V)로 만들어 충전을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S104). 상기 과정을 전기차와 충전 케이블 및 충전기(즉, 충전기제어보드)가 진행하는 사이에 무선통신모듈(즉, WiFi 통신모듈)은 ISO 15118 메시지 교환을 순서대로 (session setup부터) 진행하고 PnC용 인증 및 과금연계 메시지를 수행한 뒤 충전이 인가되면 본 실시예의 모듈은 세션을 종료(Session Stop)하고, 기존의 방식(AC는 통신없이, DC는 통신기반) 충전을 진행하면 된다(S105 ~ S111).
이 때 AC의 경우 CP PWM의 Duty를 5%에서 자신의 출력 가능한 값에 맞는 Duty로 조정하여 전기차에 송출하고, 전기차에서는 해당 충전전력을 협상하여 충전을 진행하면 된다. 상기 도 7의 흐름도는 통신이 없는 AC 충전에 대한 과정이고, DC일 경우에는 기존의 방식대로 PLC 통신의 세션을 개시하여 기존대로 충전을 진행하면 된다. 참고로 ISO 15118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의 경우 AP 기능을 구비하여 여러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100)가 적용된 충전 케이블을 활용하여 전기차를 충전기에 연결하면(S201), 충전기에서는 먼저 CP 신호(PWM Duty 5%)를 송출하고(S202),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케이블에 탑재된 통신모듈은 HLC 연결을 위한 통신세션을 개시한다(HLC 연결요청)(S203).
이후 ISO 15118 메시지 교환 순서대로(session setup부터) 진행하고 PnC용 인증과 과금연계 메시지를 수행한 뒤 충전이 인가되면 본 발명의 모듈은 세션을 종료한다(Seesion Stop)(S204 ~ S207). 이후 해당 모듈은 전원관리를 통해 PLC 통신신호를 Sleep 시키고, 충전기는 HLC 통신세션이 종료되면 기존의 ISO 61851-1 기반 Control pilot기반 충전을 위하여 PWM을 자신의 충전가능 용량에 맞추어 Duty %를 조정하여 CP신호를 다시 차량으로 송출한다(S208).
이 때 차량은 해당 CP 정보를 바탕으로 충전협상을 내부적으로 수행하고 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CP State를 C1 상태로 만들어 충전을 진행한다(S209 ~ S210).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인증 및 과금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존 전기차 고객들에게도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기능 및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결정하고 확대나 확산해 나가는데 더욱 원활한 시장형성이 가능하게 되어 인프라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00 :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110 : 인터페이스부 120 : 전원부
130 : 보안 모듈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암호 모듈부
EVO1, EVO2 : 기존 전기차 EVN1, EVN2 : 신규(New) 전기차
CHA1 : AC 충전기 CHA2 : DC 충전기
210 : 구식 충전기 220 : 신규 충전기
SV1 : 운영서버
110 : 인터페이스부 120 : 전원부
130 : 보안 모듈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암호 모듈부
EVO1, EVO2 : 기존 전기차 EVN1, EVN2 : 신규(New) 전기차
CHA1 : AC 충전기 CHA2 : DC 충전기
210 : 구식 충전기 220 : 신규 충전기
SV1 : 운영서버
Claims (8)
- 전원 라인과 통신 라인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에서 사용하는 구동 전원으로 변경하는 전원부;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가 무단으로 해체되거나 해킹이 시도될 경우에 이를 방비하는 보안 모듈부;
유선이나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암호화 처리하는 암호 모듈부; 및
상기 전원부, 보안 모듈부, 통신부, 및 암호 모듈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를 구동하여 충전기와 원활한 충전이 실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나 플러그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나 플러그에 추가로 연결하는 어댑터 형태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차량의 OBDⅡ 단자 또는 USB 단자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차량 내 전자제어장치(ECU)와 통신하여 차량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듈부는,
무단으로 해체되거나 해킹이 시도될 경우, 내부 회로 파괴, 또는 내부 프로그램 삭제를 자동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듈부는,
고유인증서, 키, 및 전기차 충전인프라 PKI(Public Key Infrastructure)의 최상위기관 루트(Root) 인증서를 탑재하고 있고, PnC(Plug and Charge, Park and Charge)서비스를 위한 고객계약용 인증서 및 키를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충전기와 통신하여,
ISO 15118 메시지 중 인증, 인가, 및 과금과 관련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의 내부 보안 모듈부에 외부에서 인증서와 키를 주입하는 경우,
인터페이스의 접근을 물리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자물쇠(Lock);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7999A KR20200091142A (ko) | 2019-01-22 | 2019-01-22 |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7999A KR20200091142A (ko) | 2019-01-22 | 2019-01-22 |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1142A true KR20200091142A (ko) | 2020-07-30 |
Family
ID=7183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7999A KR20200091142A (ko) | 2019-01-22 | 2019-01-22 |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91142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0485A (ko) * | 2020-08-11 | 2022-02-21 | 한국전력공사 | 차량의 충전 방법 및 인증서 제공 시스템 |
WO2022065989A1 (ko) * | 2020-09-28 | 2022-03-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상호인증 장치 및 방법 |
WO2022139485A1 (ko) * | 2020-12-22 | 2022-06-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nc 관련 서비스 제공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WO2024101681A1 (ko) * | 2022-11-09 | 2024-05-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
-
2019
- 2019-01-22 KR KR1020190007999A patent/KR20200091142A/ko unkno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0485A (ko) * | 2020-08-11 | 2022-02-21 | 한국전력공사 | 차량의 충전 방법 및 인증서 제공 시스템 |
WO2022065989A1 (ko) * | 2020-09-28 | 2022-03-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상호인증 장치 및 방법 |
WO2022139485A1 (ko) * | 2020-12-22 | 2022-06-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nc 관련 서비스 제공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WO2024101681A1 (ko) * | 2022-11-09 | 2024-05-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91142A (ko) | 전기차 고객 자동인증서비스 지원장치 | |
CN104601331B (zh) | 充电桩监测控制系统和方法 | |
TW201916633A (zh) | 基於憑證管理的電動車充電方法和系統 | |
US2014022318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Data with a Security Token | |
EP3827609B1 (en) | Anonymous device authentication | |
KR102575725B1 (ko) | 전기차 충전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
CN112187470B (zh) | 物联网证书分发方法及装置、系统、存储介质、电子装置 | |
CN112134694B (zh) | 数据交互方法、主站、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WO2019007063A1 (zh) | 充换电设备和待充换电对象的鉴权方法和系统 | |
WO2022065989A1 (ko) |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상호인증 장치 및 방법 | |
US20230325178A1 (en) | Tokenized mobile device update systems and methods | |
KR20210100544A (ko) |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의 부트스트랩 방법 | |
CN101645893A (zh) | 一种网络交易方法、装置及系统 | |
CN114173329B (zh) | 一种充电桩控制方法 | |
CN117040724A (zh) | 数字钥匙授权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 |
CN101303671A (zh) | 一种确保存储设备安全使用的系统及方法 | |
WO2023058029A1 (en) | Multi-functional computerized 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s | |
CN116368771A (zh) | 用于在充电设备认证使用者及报告关于充电设备的使用的系统 | |
KR102384371B1 (ko) | 스마트 콘센트, 이용자 단말기, 및 전력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충전 시스템 및 스마트 충전 방법 | |
CN210605841U (zh) | 一种智能锁控制系统 | |
WO2022170333A1 (en) | Secure electric vehicle charging | |
CN112214753A (zh) | 一种认证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 |
KR100648540B1 (ko) | 스마트 카드, 카드 관리 시스템 및 그 키 관리 방법 | |
CN113360887B (en) | Authentication encryption method and module for relay protection equipment | |
CN107864472B (zh) | 一种基于加密蓝牙模块的还车系统及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