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568A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ream in multi-channel poi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ream in multi-channel p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568A
KR20200090568A KR1020190007743A KR20190007743A KR20200090568A KR 20200090568 A KR20200090568 A KR 20200090568A KR 1020190007743 A KR1020190007743 A KR 1020190007743A KR 20190007743 A KR20190007743 A KR 20190007743A KR 20200090568 A KR20200090568 A KR 20200090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route
time
chan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라상중
배병준
조용성
김흥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0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0568A/en
Publication of KR2020009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5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monitoring method and a device therefor. In a system for trans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based on ATSC 3.0, a monitoring device receives signals output through output terminals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among components of a system for transmitting the broadcast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channels, checks a protocol in which a signal received through each channel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is processed, and measures the service quality of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by using a setting parameter included in a header of the signal according to the checked protocol.

Description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ream in multi-channel point}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ulti-channel streams in multi-channel point

본 발명은 스트림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onitoring a stre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의 실시간 서비스에서는 RTP(Real Time Protocol)의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패킷 손실이나 지연(Latency) 등의 서비스 품질을 측정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파라미터(예를 들면, 패킷간 딜레이 및 지터(jitter), 네트워크장치 내 패킷 손실, 네트워크장치 내 지연시간, R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패킷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 등)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실시간 서비스의 특징을 분석하여 제어함으로써, 네트워크상의 문제로 인해 실시간 응용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서비스 경로 상에서 문제가 발생한 장치와 발생원인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하여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한다.In a real-time service such as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a service quality such as packet loss or latency is measured using a time stamp of RTP (Real Time Protocol). More specifically, a network parameter (eg, delay and jitter between packets, packet loss in a network device, delay time in a network device, a sequence number of a packet when using the RTP protocol) using a time stamp ), etc.) by measuring in real time and analyzing and control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time service, in case of problems in the real-time application service due to network problems, monitor and improve the device and the cause of the problem in the service path in real-time More stable operation.

2017년 미국에서 표준화가 완료된 디지털 방송 표준 ATSC 3.0(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standard 3.0 version) 은 기존의 ATSC 표준이 지원하는 HD(High Definition) 해상도의 미디어보다 더 높은 4K, 8K UHD(Ultra High Definition) 해상도의 미디어를 지원한다. The digital broadcasting standard ATSC 3.0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standard 3.0 version), which has been standardized in the United States in 2017, is higher in 4K, 8K Ultra High Definition (UHD) resolution than media in HD (High Definition) resolution supported by the existing ATSC standard. Media support.

ATSC 3.0 전송 방식에 기반한 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방송 시스템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첫번째 방법은 MMT(MPEG Media Transport)에 기반한 것으로 MMTP(MMT Protocol)을 사용하여 MPU(Media Processing Unit)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두번째 방법은 MPEG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의 DASH-IF(DASH Industry Forum) 프로파일에 기반한 것으로,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DASH 세그먼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NRT(non-Real Time) 미디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 및 기타 파일들을 포함하는 비실시간 컨텐츠는 ROUTE를 통하여 전송하게 된다. 서비스 시그널링의 경우는 MMT 또는 ROUTE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각각 전송될 수 있으며, MMT 또는 ROUTE로 전송되는 서비스 시그널링을 획득하기 위한 부트스트랩 시그널링 정보는 서비스 리스트 테이블(SLT: Service List Table)을 통하여 별도의 전송 패스로 제공된다. 또한 MPEG DASH 세그먼트 기반의 방송 서비스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프로그램 컴포넌트를 HTTP/TCP/IP 프로토콜을 통하여 브로드밴드 망으로 전송되는 것도 포함한다.The UHDTV (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the ATSC 3.0 transmission method defines two methods to provide a broadcasting service. The first method is based on MMT (MPEG Media Transport) an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dia Processing Unit (MPU) using MMTP protocol (MMTP). The second method is based on the DASH Industry Forum (DASH-IF) profile of MPEG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and uses a 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ROUTE) protocol to transmit the DASH segment. Non-real-time content including NRT (non-real time) media,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data, and other files is transmitted through ROUTE. In the case of service signaling, each may be transmitted using MMT or ROUTE protocol, and bootstrap signaling information for obtaining service signaling transmitted through MMT or ROUTE is separately transmitted through a service list table (SLT) It is provided as a pass. It also includes transmitting one or more program components to a broadband network through HTTP/TCP/IP protocol in an MPEG DASH segment-based broadcasting service.

이러한 ATSC 3.0 방송 시스템에서 미디어 스트림의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및 매니지먼트를 위해 MMT 또는 ROUTE 프로토콜로 스트림을 처리하여 MUX 및 스케쥴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 각 단계에 따른 패킷의 지연(Latency)이나 지터(Jitter) 등과 관련한 서비스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요구된다. In this ATSC 3.0 broadcasting system, a stream is processed with MMT or ROUTE protocol for protocol and management for the transmission of media streams, and functions such as MUX and scheduling are performed. It is required to measure and monitor the quality of service related to packet latency or jitter in real ti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ATSC 3.0에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다채널의 멀티포인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monitoring multi-channel multipoint in real time in 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based on ATSC 3.0.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ATSC 3.0 전송방식에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복수 채널의 UHD(Ultra High Definition) 컨텐츠에 대하여 서비스 품질을 프로토콜 형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monitoring result by measuring service quality in real time according to a protocol type for multiple channels of UHD (Ultra High Definition) content in 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based on the ATSC 3.0 transmission method and Is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방법은, ATSC 3.0에 기반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서 스트림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모니터링 장치가,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 중 복수의 구성 요소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복수의 채널을 통해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복수의 채널의 각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가 처리된 프로토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확인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신호의 헤더에 포함된 설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onitoring a stream in a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based on ATSC 3.0, wherein the monitoring device outputs outputs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among components of a system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Respectively receiving signals output through the plurality of channels; Checking, by the monitoring device, a protocol in which signals received through respective channels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are processed; And measuring, by the monitoring device,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using the setting parameter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signal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rotoco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ATSC 3.0 전송방식에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복수 채널의 UHD 컨텐츠에 대하여 패킷 손실이나 지연(Latency) 및 지터(Jitter) 등의 서비스 품질을 MMT나 ROUTE 등의 프로토콜 형태에 따라, 타임스탬프(timestamp)나 EXT_TIME 등의 파라미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ATSC 3.0 전송방식에 기반한 다채널의 UHDTV 방송 서비스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의 UHDTV 방송 서비스가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based on the ATSC 3.0 transmission method, service quality such as packet loss, latency, and jitter for UHD content of multiple channels according to protocol types such as MMT or ROUTE , Real-time monitoring of multi-channel UHDTV broadcasting service based on ATSC 3.0 transmission method is provided by measuring in real time through parameters such as timestamp or EXT_TIME to provide monitoring results. Accordingly, the channel's UHDTV broadcasting service can be more stably op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전송방식에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MTTP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전송방식에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ROUTEP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을 분석하고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방법에서,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의 구조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MTTP packet in 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based on an ATSC 3.0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OUTEP packet in 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based on the ATSC 3.0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of analyzing and monitoring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in an ATSC 3.0 base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monitoring apparatus in an ATSC 3.0 base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monitoring method in an ATSC 3.0 base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measuring service quality in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monitoring method in an ATSC 3.0-base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monitoring apparatus in an ATSC 3.0-base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xpressions expressed in singular may be interpreted as singular or plural unless explicit expressions such as “one” or “single” are us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SC 3.0(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standard 3.0 version) 전송 방식에 기반한 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방송 시스템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MMT(MPEG Media Transport)에 기반한 것으로 MMTP(MMT Protocol)을 사용하여 MPU(Media Processing Unit)를 전송하는 방식 및 MPEG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의 DASH-IF(DASH Industry Forum) 프로파일에 기반한 것으로,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DASH 세그먼트를 전송하는 방식을 정의하고 있다. The UHDTV (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the ATSC 3.0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standard 3.0 version) transmission method is based on MMT (MPEG Media Transport) and provides MPU using MMTP (MMT Protocol) Based on DASH Industry Forum (DASH-IF) profile of MPEG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and DASH segment using ROUTE (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protocol. It defines the way to send.

MMT 전송 프로토콜은 미디어 데이터를 MPU(Media Process Unit)라는 ISOBMF(ISO Base Media File Format) 기반 미디어 전송 포맷으로 캡슐화하여 전송한다. MPU는 ISOBMF를 기반으로 하여 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MPU는 MPU 메타데이터(MPU metadata), 프래그먼트 메타데이터(Movie fragment metadata), MFU(Media Fragment Unit)의 세가지 부분을 포함한다. MPU 메타데이터는 파일 타입을 포함하는 'ftyp' 같은 MPU의 논리적인 그룹인 애셋(Asset)을 식별하기 위한 aset_id, 애셋 내에서 MPU를 식별하기 위한 시퀀스 넘버를 포함하는 'mmpu',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힌트 샘플을 포함한 'mov'를 포함하다. 프래그먼트 메타데이터는 'mda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mof' 및 'mdat'의 길이를 나타내는 헤더를 포함한다. MFU는 실제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MPU의 각 부분은 MMTP 패킷의 유료 부하에 입력되어 전송되며, MFU의 경우 추가적으로 힌트 샘플과 미디어 샘플에 대한 정보를 헤더에 포함하여 전송된다. The MMT transmission protocol encapsulates and transmits media data in an ISO Base Media File Format (ISOBMF)-based media transmission format called a Media Process Unit (MPU). MPU is based on ISOBMF and contains various metadata along with media data. The MPU includes three parts: MPU metadata, fragment fragment metadata, and Media Fragment Unit (MFU). The MPU metadata includes aset_id for identifying an asset, which is a logical group of MPUs, such as'ftyp' containing a file type,'mmpu' including a sequence number for identifying an MPU within an asset, and media data. Includes'mov' with hint samples. The fragment metadata includes headers indicating the lengths of'mof' and'mdat' including information about'mdat'. MFU contains actual media data. Each part of the MPU is input and transmitted to the payload of the MMTP packet, and in the case of the MFU, additional hint samples and media sample information are included in the header and transmitted.

MMTP에는 세가지 전송 모드가 있는데,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인 MPU를 전송하기 위한 MPU 전송 모드, 비실시간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GFD(Generic File Delivery) 모드, 방송 서비스의 발견 및 소비, 제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그널링 모드로 나눌 수 있다. MPU 모드는 MPU 메타데이터, 프래그먼트 메타데이터, MFU 각각을 MMTP 패킷의 유료 부하에 실어서 전송한다. 시그널링 모드는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패키지의 소비에 필요한 정보를 가진 MPT(MMT Package Table), 수신기의 버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HRBM(Hypothetical Receiver Buffer Model) 메시지 등을 유료 부하에 실어 전송한다. 이 때 각 테이블은 한 패킷에 한 종류의 테이블만 포함되어 전송된다. 이 유료 부하들은 공통적인 헤더 외에도 그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MMTP 유료 부하 헤더(MMTP payload header)를 가지기 때문에 헤더 오버헤드가 다를 수 있다. MMTP has three transmission modes: MPU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real-time media data, MPU, Generic File Delivery (GFD) mode for transmitting non-real-time media data, and information on broadcast service discovery, consumption, and control. It can be divided into a signaling mode for. In the MPU mode, each of the MPU metadata, fragment metadata, and MFU is carried on a payload of an MMTP packet and transmitted. In the signaling mode, USBD (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MPT (MMT Package Table) with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sumption of the package, and HRBM (Hypothetical Receiver Buffer Model) message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buffer of the receiver are loaded and transmitted. do. At this time, each table is transmitted with only one type of table in one packet. In addition to the common headers, these paid loads may have different MMTP payload headers according to their types, so the header overhead may be differ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전송방식에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MTTP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MTTP packet in 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based on an ATSC 3.0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MTP 패킷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도 1에서와 같이, 최대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길이를 가지며 20바이트의 IP 헤더와 8바이트의 UDP(Use Datagram Protocol) 헤더를 포함한다. 또한, MMTP 패킷은 MMTP 헤더(header), 페이로드(payload)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Since the MMTP packet is transmitted through an IP network, as shown in FIG. 1, it has a maximum transmission unit (MTU) length and includes an IP header of 20 bytes and a Use Datagram Protocol (UDP) header of 8 bytes. In addition, the MMTP packet includes an MMTP header, a payload header, and a payload.

MMTP 헤더에서 'V'필드는 MMTP 헤더의 버전을 나타내며, 버전에 따라 헤더의 구조가 달라진다. 'type' 필드는 페이로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며, 값이 0일 경우 MPU를 나타내며, 값이 1일 경우 다른 종류의 오브젝트를 나타내고, 값이 2일 경우 시그널링 메시지(signaling message)를 나타내며, 값이 3일 경우 리페어 심볼(repair symbol)을 나타낸다. MMTP 헤더의 'type' 필드를 통해 MPU 모드인지 시그널링 모드인지 구분할 수 있다. MPU 모드일 때 유료 부하가 MFU인 경우에는 DU(Data Unit) 헤더가 추가될 수 있다. 각 유료 부하 헤더는 종류에 따라 최소 4바이트에서 최대 26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게 된다. payload data 안에 MMTP 페이로드 헤더가 존재한다. MMTP 페이로드 헤더에는 DU 헤더가 존재한다. The'V' field in the MMTP header indicates the version of the MMTP header, and the structure of the header varies depending on the version. The'type' field indicates the type of payload data, when the value is 0, indicates the MPU, when the value is 1, indicates another type of object, and when the value is 2, indicates a signaling message, and the value is If 3, it represents a repair symbol.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it is an MPU mode or a signaling mode through the'type' field of the MMTP header. When the payload is MFU in the MPU mode, a DU (Data Unit) header may be added. Each payload header has a size of 4 bytes to 26 bytes, depending on the type. MMTP payload header is present in payload data. The DU header is present in the MMTP payload header.

MMTP 헤더에서 'packet_id' 필드는 애셋(Asset)들을 식별하기 위하며 사용된다. 그리고 'timestamp' 필드는 32비트로 구성되며,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시간을 기반으로 전송 시간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해당 필드에서 사용되는 UTC 시간은 협정 세계시이며, 1972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국제 표준시를 의미한다 The'packet_id' field in the MMTP header is used to identify assets. In addition, the'timestamp' field is composed of 32 bits and is a field indicating a transmission time based on 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 time. The UTC time used in this field is Coordinated Universal Time, and is the international standard time effective from January 1, 197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MMT 전송 프로토콜에서는 UTC 시간을 기반으로 전송 시간을 나타내기 위하여 timestamp 필드를 이용한다. 이러한 timestamp의 특성을 이용하여 패킷 지연 및 지터 성능과 관련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패킷 지연, 최대 지터, 그리고 최소 지터는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MT transmission protocol, a timestamp field is used to indicate a transmission time based on UTC time. By using this characteristic of timestamp, it is possible to obtain a result related to packet delay and jitter performance. Packet delay, maximum jitter, and minimum jitter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한편, ROUTE 전송 프로토콜은 방송망을 통해서 다이나믹하게 전송되는 세그먼트들의 양과 질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리밍 기법을 제공한다. ROUTE는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을 확장한 전송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FLUTE 전송에 사용되는 패킷 구조에 기반을 두고 확장한 형태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OUTE transmission protocol provides a streaming technique that enables to chang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egments that are dynamically transmitted through the broadcasting network. Since ROUTE is a transport protocol that extends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FLUTE), it is configured in an extended form based on the packet structure used for FLUTE transport.

ROUTE 전송 프로토콜은 미디어 전송 포맷인 DASH를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DASH는 미디어 데이터를 ISOBMF 기반의 DASH 세그먼트로 포맷하는데, 하나의 ISOBMF 파일은 미디어 데이터와 그 미디어 데이터에 관련된 다양한 메타데이터 컨테이너들을 포함한다. 초기화(Initialization) 세그먼트는 미디어 DASH 세그먼트를 화면에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화 정보를 가지며, 파일의 타입 및 호환성을 포함하는 'ftyp'와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mov'를 포함한다. 미디어 세그먼트는 실제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mdat'과 그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가지며, 메타데이터는 전송되는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typ'와 각 'mda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mof'로 구성될 수 있다.The ROUTE transport protocol transmits media data using DASH, a media transport format. DASH formats media data into ISOBMF-based DASH segments, one ISOBMF file containing media data and various metadata containers related to the media data. The initialization segment includes initialization information necessary to represent the media DASH segment on the screen, and includes'ftyp' including the type and compatibility of the file and'mov'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reproduction of media data. The media segment has'mdat' including actual media data and metadata about it, and the metadata consists of'styp'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tted segment and'mof'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each'mdat'. Can be.

ROUTE는 앞서 언급한 DASH 세그먼트들을 ROUTE 패킷의 유료 부하에 실어 전송한다. ROUTE transmits the aforementioned DASH segments on the payload of the ROUTE packe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전송방식에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ROUTEP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OUTEP packet in 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based on the ATSC 3.0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UTE 패킷은 MPEG-2 TS(Transport Stream)와 다르게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최대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길이로 20 바이트의 IP 헤더와 8 바이트의 UDP 헤더를 포함한다. 또한, LCT(Layered Coding Transport) 패킷을 기본 전송 단위로 하여 필요에 따라 최소 4바이트, 최대 16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확장 헤더인 ROUTE 헤더 및 ROUTE_Ext_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ROUTE 헤더에는 시간과 관련된 값들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XT FTI(FEC Object Transmission Information), EXT_TO(Transport Object Length), EXT_ROUTE_PRESENTATION TIME, EXT_TIME들을 포함할 수 있어 가변길이의 헤더와 유료 부하를 가진다.Since the ROUTE packet is transmitted through the IP network differently from the MPEG-2 Transport Stream (TS), as shown in FIG. 2, the maximum transmission unit (MTU) length includes an IP header of 20 bytes and an UDP header of 8 bytes. . In addition, a layered coding transport (LCT) packet may be included as a basic transmission unit, and a ROUTE header and a ROUTE_Ext_ header, which are extension headers having a size of at least 4 bytes and a maximum of 16 bytes, may be included as necessary. Time-related values may be added to the ROUTE header. For example, EXT may include FEC Object Transmission Information (FTI), Transport Object Length (EXT_TO), EXT_ROUTE_PRESENTATION TIME, and EXT_TIMEs, thus having a variable length header and a payload.

하나의 UHDTV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ROUTE 세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객체 전송을 위해 ROUTE 패킷의 헤더 부분에는 시간과 관계된 값들이 추가될 수 있다. EXT_TIME과 EXT_ROUTE_PRESENTATION_TIME 확장 필드가 이와 관계된 시간 정보이다. TV 수신기는 이러한 시간 정보의 값들을 통해 수신한 ROUTE 패킷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시청자에게 실시간 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ROUTE 패킷들의 정렬 순서를 보장하기 위해 ROUTE 패킷의 헤더에 오프셋 정보를 추가하여, 수신기에서 패킷들을 재정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One UHDTV service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ROUTE sessions. Time-related values may be added to the header portion of the ROUTE packet for real-time object transmission. The EXT_TIME and EXT_ROUTE_PRESENTATION_TIME extension fields are 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is. The TV receiver may provide a real-time TV service to the viewer by synchronizing the ROUTE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values of the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the sorting order of ROUTE packets transmitted through the broadcasting network, offset information is added to the header of the ROUTE packet to prepare a method for rearranging the packets at the receiv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ROUTE 전송 프로토콜에서는 전송 시간을 나타내기 위하여 EXT_TIME 필드를 이용한다. 이러한 EXT_TIME의 특성을 이용하여 패킷 지연 및 지터 성능과 관련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패킷 지연, 최대 지터, 최대 지터는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UTE transmission protocol, an EXT_TIME field is used to indicate a transmission time. By using these characteristics of EXT_TIME, results related to packet delay and jitter performance can be obtained. The packet delay, maximum jitter, and maximum jitter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MMT 또는 ROUTE 프로토콜로 스트림을 처리하여 송신하는 ATSC 3.0 기반 송수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 채널의 UHD(Ultra High Definition) 컨텐츠에 대하여 MMT나 ROUTE 등의 프로토콜 형태에 따라 서비스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As described above, in an ATSC 3.0-base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that processes and transmits a stream using an MMT or ROUTE protoco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ocol type such as MMT or ROUTE is applied to multiple channels of Ultra High Definition (UHD) content. Therefore, service quality is measured in real tim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을 분석하고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of analyzing and monitoring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in an ATSC 3.0 base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ATSC 3.0 기반의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코더, 다중화기, 스케쥴러 등의 장비로 입력 및 출력되는 IP 데이터의 상태와 데이터를 분석하고,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모니터링 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and data of IP data input and output to an encoder, multiplexer, scheduler, etc., which constitute an ATSC 3.0 based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are analyzed, and the transmitted broadcast stream is analyzed in real time. And monitor.

구체적으로, 첨부한 도 3에서와 같이, 각각의 처리 단계별 데이터 즉,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인코더에서 출력되는 IP 데이터, 인코더로부터 스크램블러로 입력된 다음에 처리되어 스케줄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스케줄러로부터 다중화기로 입력되어 다중화된 다음에 출력되는 IP 데이터, 그리고 다중화기로부터 스케줄러로 입력되어 처리된 다음에 출력되는 IP 데이터의 각각에 대한 상태와 데이터를 분석한다. 여기서, 각각의 처리 단계별로 IP 데이터에 대하여,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특정 파라미터, 즉, 전송 시간을 나타내는 특정 필드(MMT 전송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UTC 시간을 기반으로 전송 시간을 나타내는 timestamp 필드, ROUTE 전송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전송 시간을 나타내는 EXT_TIME 필드)를 이용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을 이용하여, 패킷 지연, 최대 지터, 최대 지터 등의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하는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3, data for each processing step, that is, IP data output from the encoder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data input from the encoder to the scrambler and then processed and output from the scheduler, multiplexed from the scheduler It analyzes the status and data for each of the IP data that is input and multiplexed as a group and outputted after being input to the scheduler from the multiplexer and processed. Here, with respect to the IP data for each processing step, a specific parameter according to a transmission protocol, that is, a specific field indicating a transmission time (in the case of an MMT transmission protocol, a timestamp field indicating a transmission time based on UTC time, a ROUTE transmission protocol) In the case, the service quality such as packet delay, maximum jitter, maximum jitter is measured using Equations 1 to 6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EXT_TIME field indicating the transmission time), and monitoring results based thereon Outpu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의 구조도이다.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monitoring apparatus in an ATSC 3.0 base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SC 3.0 기반 송수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1)(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라고도 명명됨)는 도 4에서와 같이, IP 수신부(10), STL 분석부(20), MMT/ROUTE 분석부(30), 디스크램블링부(40) 및 A/V 디코딩부(50)를 포함하며, A/V 동기화 및 출력부(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 및 지연 및 지터 측정부(80)를 더 포함한다. In the ATSC 3.0-base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the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monitoring apparatus 1 (also referred to as a stream monitoring apparatu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IP receiving unit 10 , STL analysis unit 20, MMT/ROUTE analysis unit 30, descrambling unit 40 and A/V decoding unit 50, A/V synchronization and output unit 60, user interface unit 70 and a delay and jitter measurement unit 80.

IP 수신부(10)는 지상파 UHD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장비 간에 입/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입력 받도록 구성된다. The IP receiving unit 10 is configured to receive input/output broadcast signals between equipment of the terrestrial UHD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STL 분석부(20)는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스케쥴러에서 출력되는 STL(Studio to Transmitter Links) 신호를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The STL analysis unit 20 is configured to analyze a STL (Studio to Transmitter Links) signal output from the scheduler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MMT/ROUTE 분석부(30)는 LLS(Low Level Signaling)와 SLS(Service Layer Signaling)를 분석하여, ROUTE 또는 MMTP로 전송되는 A/V(Audio/Video) 컴포넌트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is configured to analyze Low Level Signaling (LSL) and Service Layer Signaling (SLS), and extract A/V (Audio/Video) components transmitted through ROUTE or MMTP.

디스크램블링부(40)는 암호화된 A/V 방송 스트림을 복호화하도록 구성된다. The descrambling unit 40 is configured to decrypt the encrypted A/V broadcast stream.

A/V 디코딩부(50)는 복호화된 A/V 방송 스트림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The A/V decoding unit 50 is configured to decode the decoded A/V broadcast stream.

이러한 IP 수신부(10), STL 분석부(20), MMT/ROUTE 분석부(30), 디스크램블링부(40) 및 A/V 디코딩부(50)는 각 채널별로 각각 구성되어, 한 채널의 UHD 스트림 전송을 위한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채널에 대해 구성되는 IP 수신부(10), STL 분석부(20), MMT/ROUTE 분석부(30), 디스크램블링부(40) 및 A/V 디코딩부(50)를 포함하여, "채널 모니터링부"라고 명명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은 다채널이며, 예를 들어,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인코더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또는 제1 방송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채널, 인코더로부터 스크램블러로 입력된 다음에 처리되어 스케줄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또는 제2 방송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채널, 스케줄러로부터 다중화기로 입력되어 다중화된 다음에 출력되는 데이터(또는 제3 방송 신호)를 입력받는 제3 채널, 그리고 다중화기로부터 스케줄러로 입력되어 처리된 다음에 출력되는 데이터(또는 제4 방송 신호)를 입력받는 제4 채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채널 내지 제4 채널별로 각각, "채널 모니터링부"가 구성되며, 채널 모니터링부는 측정된 서비스 품질에 따른 영상을 각각 출력한다. The IP receiving unit 10, the STL analysis unit 20,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the descrambling unit 40, and the A/V decoding unit 50 are configured for each channel, and each channel has UHD Performs monitoring function for stream transmission. According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P receiving unit 10, the STL analysis unit 20,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the descrambling unit 40, and the A/V decoding unit configured for one channel ( 50), can be referred to as "channel monitoring unit". Here, the channel is a multi-channel, for example, a first channel receiving data (or a first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an encoder of a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input to a scrambler from an encoder, and then processed and output from a scheduler. A second channel receiving data (or a second broadcast signal), a third channel receiving data (or a third broadcast signal) output after being multiplexed from a scheduler, and a scheduler from a multiplexer And a fourth channel that receives data (or a fourth broadcast signal) output after processing. Accordingly, a “channel monitoring unit” is configured fo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hannels, and the channel monitoring unit outputs images according to the measured service quality.

A/V 동기화 및 출력부(60)는 A/V 동기화 및 분할 영상 출력을 하도록 구성된다. A/V 동기화 및 출력부(60)는 4K 인코더, 스크램블러, 다중화기 및 스케쥴러 등 복수의 헤드엔드 장비를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출력되는 영상을 분할 화면으로 구성하여 출력한다. 즉, 복수의 채널(예: 제1 채널 내지 제4 채널)에 대한 각각의 채널 모니터링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들을 도 3에서와 같이, 분활 화면으로 구성하여 출력한다. The A/V synchronization and output unit 60 is configured to perform A/V synchronization and split image output. The A/V synchronization and output unit 60 configures and outputs an output image as a split screen to simultaneously monitor a plurality of headend devices such as a 4K encoder, scrambler, multiplexer, and scheduler. That is, as shown in FIG. 3, images output from respective channel monitoring units for a plurality of channels (for example, first to fourth channels) are configured and output as a split screen.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는 시스템 동작 설정 및 모니터링을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는 시스템 운용자로부터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시스템 운용자로부터 미디어 스트림 모니터링을 위한 제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는 시스템 설정 정보 및 제어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며, GUI를 통해 ATSC 3.0 미디어의 분석 정보와 모니터링을 위한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제공한다. The user interface unit 70 provid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for system operation setting and monitoring. Specifically, the user interface unit 70 may receive se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system operation from a system operator, and may receive control information for monitoring a media stream from a system operator. The user interface unit 70 manages and stores system setting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and provides video and audio information for analysis and monitoring of ATSC 3.0 media through a GUI.

지연 및 지터 측정부(80)는 MMT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한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인코더, 스크램블러, 다중화기, 스케줄러 등)의 지연 및 지터 측정을 수행하며, 또한, ROUTE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한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의 지연 및 지터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The delay and jitter measurement unit 80 performs delay and jitter measurement of each component (encoder, scrambler, multiplexer, scheduler, etc.)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that processes data according to the MMT protocol. Also, the ROUTE protocol 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delay and jitter measurement of each component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that processes the data according to this.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1)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tream monitoring device 1 having such a structur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monitoring method in an ATSC 3.0 base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1)의 각 부간의 상호 연동을 통해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에 대한 분석 및 모니터링이 수행된다. Analysis and monitoring of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are performed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the respective parts of the stream monito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첨부한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1)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장비(4K 인코더, 스크램블러, 다중화기 및 스케쥴러 등) 간에 입/출력되는 방송 신호(예: 제1 방송 신호 내지 제4 방송 신호)들을 복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받는다(S100).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 5, the stream monito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pment (4K encoder, scrambler, multiplexer, scheduler, etc.)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as illustrated in FIG. ) Receives input/output broadcast signals (for example, first to fourth broadcast signals) through a plurality of channels (S100 ).

하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 신호(예: 제1 방송 신호)에 대해,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1)의 IP 수신부(10)는 방송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방송 신호는 국내 지상파 UHDTV 방송 송수신 정합 표준을 따르는 IP 기반의 방송 신호이다. IP 수신부(10)는 IP 기반의 방송 신호로부터 MMTP/ROUTE/STL 정보를 추출하며, STL/UDP/IP 데이터를 STL 분석부(20)로 출력한다(S110). 또한, IP 수신부(10)는 MMTP/UDP/IP 데이터 또는 ROUTE/UDP/IP 데이터를 MMT/ROUTE 분석부(30)로 출력한다(S120).For a broadcast signal (eg, a first broadcast signal) input through one channel, the IP receiving unit 10 of the stream monitoring device 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Here, the broadcast signal is an IP-based broadcast signal conforming to the domestic terrestrial UHDTV broadcast transmission/reception matching standard. The IP receiving unit 10 extracts MMTP/ROUTE/STL information from an IP-based broadcast signal, and outputs STL/UDP/IP data to the STL analysis unit 20 (S110). In addition, the IP receiving unit 10 outputs MMTP/UDP/IP data or ROUTE/UDP/IP data to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S120).

STL 분석부(20)는 IP 수신부(10)로부터 STL/UDP/IP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IP 데이터로부터 STL을 추출한다. 그리고, STL에 포함되어 있는 L1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를 이용하여 부트스트랩(Bootstrap), 프리앰블(Preamble)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한다(S130). STL 분석부(20)는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ALP(ATSC Link-Layer Protocol)를 추출할 수 있으며, 획득한 정보(STL, L1 시그널링 정보, 부트스트램, 프리앰블, ALP)를 별도의 로그(Log)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STL 분석부(20)는 이후 MMTP/UDP/IP 데이터 또는 ROUTE/UDP/IP 데이터를 MMT/ROUTE 분석부(30)로 출력한다(S140).The STL analysis unit 20 receives the STL/UDP/IP data from the IP receiving unit 10, and extracts the STL from the received IP data. Then, the bootstrap (Bootstrap), preamble (Preamble) data is extracted and analyzed using the L1 signal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L (S130). The STL analysis unit 20 may extract the ASC (ATSC Link-Layer Protocol) based on the analyzed data, and separately log the acquired information (STL, L1 signaling information, bootstrap, preamble, ALP) ( Log) file. The STL analysis unit 20 then outputs the MMTP/UDP/IP data or ROUTE/UDP/IP data to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S140).

MMT/ROUTE 분석부(30)는 IP 수신부(10)와 STL 분석부(20)로부터 입력받은 IP 데이터(MMTP/UDP/IP 또는 ROUTE/UDP/IP)를 토대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ES(elementary stream)를 출력한다(S150).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performs analysis and processing based on IP data (MMTP/UDP/IP or ROUTE/UDP/IP) input from the IP reception unit 10 and the STL analysis unit 20 to perform video and audio. ES (elementary stream) is output (S150).

구체적으로, MMT/ROUTE 분석부(30)는 입력받은 데이터가 MMTP/UDP/IP 데이터인 경우, LLS를 추출하고 SLT를 분석한다(a). SLT 분석을 통해 수신한 방송 미디어의 스크램블 여부를 확인하고(b), 또한, SLT 분석을 통해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을 확인하고 MMTP 패킷을 추출하며(c), MMT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MMT의 USBD, MP 테이블(Table), HRBM(Hypothetical Receiver Buffer Model)을 추출하고 분석하고(d), (b)의 과정을 통해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MMTP 패킷의 페이로드를 처리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ES(elementary stream)를 추출한다. Specifically,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extracts the LLS and analyzes the SLT when the received data is MMTP/UDP/IP data (a). Check whether or not the broadcast media received is scrambled through SLT analysis (b), check the media transmission protocol through SLT analysis, extract MMTP packets (c), and use the MMT signaling for USBMT and MP tables of MMT (Table), HRBM (Hypothetical Receiver Buffer Model) is extracted and analyzed, and the payload of MMTP packet is processed based on the data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d), (b) to process video and audio ES (elementary stream). To extract.

한편, MMT/ROUTE 분석부(30)는 입력받은 데이터가 ROUTE/UDP/IP 데이터인 경우, SLT 분석을 통해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을 확인하고 ROUTE 패킷을 추출하며(f), ROUTE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ROUTE의 LCT, SLS, USBD,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S-TSID(Service-based Transpor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를 추출하고 분석하고(g), (g) 과정을 통해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ROUTE 패킷의 페이로드를 처리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ES를 추출한다. MMT/ROUTE 분석부(30)는 a~h 과정에서 획득한 정보를 별도의 로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received data is ROUTE/UDP/IP data,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checks a media transmission protocol through SLT analysis, extracts a ROUTE packet (f), and uses ROUTE signaling to LCT, SLS, USBD, MPD (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S-TSID (Service-based Transpor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 are extracted and analyzed (g), and the payout of the ROUTE packet based on the data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g) Process the load to extract video and audio ES.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may store the information obtained in steps a through h as a separate log file.

이후 MMT/ROUTE 분석부(30)는 수신된 방송 미디어가 스크램블된 경우, 스크램블된 비디오 및 오디오 ES를 디스크램블링부(40)로 출력하고(S160), 수신된 방송 미디어가 스크램블링되지 않은 경우, 스크램블되지 않은 비디오 및 오디오 ES를 A/V 디코딩부(50)로 출력한다(S170).Thereafter,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outputs the scrambled video and audio ES to the descrambling unit 40 when the received broadcast media is scrambled (S160), and if the received broadcast media is not scrambled, scrambled The video and audio ES that are not output are output to the A/V decoding unit 50 (S170).

디스크램블링부(40)는 MMT/ROUTE 분석부(30)로부터 스크램블된 비디오 및 오디오 ES를 입력받고, 이를 CENC(Common. Encryption) 방식으로 디스크램블링하고, 디스크램블링된 비디오 및 오디오 ES를 A/V 디코딩부(50)로 출력한다(S180, S190).The descrambling unit 40 receives the scrambled video and audio ES from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descrambles them using CENC (Common. Encryption) method, and A/Vs the descrambled video and audio ES. Output to the decoding unit 50 (S180, S190).

A/V 디코딩부(50)는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ES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즉, A/V 디코딩부(50)는 디스크램블링부(40)로부터 디스크램블링된 비디오 및 오디오 ES를 입력받거나, MMT/ROUTE 분석부(30)로부터 스크램블링되지 않은 비디오 및 오디오 ES를 입력받는다. A/V 디코딩부(50)는 CENC 방식으로 비디오 및 오디오 ES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A/V 영상 신호를 A/V 동기화 및 출력부(60)로 출력한다(S200, S210). 여기서, A/V 디코딩부(50)는 디코딩 처리 과정의 정보를 별도의 로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The A/V decoding unit 50 decodes and outputs input video and audio ES. That is, the A/V decoding unit 50 receives descrambled video and audio ES from the descrambling unit 40 or receives unscrambled video and audio ES from the MMT/ROUTE analysis unit 30. The A/V decoding unit 50 decodes the video and audio ES by the CENC method, and outputs the decoded A/V video signal to the A/V synchronization and output unit 60 (S200, S210). Here, the A/V decoding unit 50 may store information of the decoding process as a separate log file.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별로, IP 수신부(10), STL 분석부(20), MMT/ROUTE 분석부(30), 디스크램블링부(40) 및 A/V 디코딩부(50)로 이루어지는 채널 모니터링부가 동작하여, 디코딩된 A/V 영상 신호가 A/V 동기화 및 출력부(60)로 출력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for each of a plurality of channels, the IP receiving unit 10, STL analysis unit 20, MMT/ROUTE analysis unit 30, consisting of a descrambling unit 40 and an A/V decoding unit 50 The channel monitoring unit operates, and the decoded A/V video signal may be output to the A/V synchronization and output unit 60.

A/V 동기화 및 출력부(60)는 A/V 디코딩부(50)로부터 입력되는 A/V 영상 신호를 토대로 영상을 출력한다(S220). 이때, A/V 동기화 및 출력부(60)은 복수의 채널별로 채널 모니터링부에 의해 출력되는 디코딩된 A/V 영상 신호들을 조합하여 분할 영상을 구성하여 출력한다. The A/V synchronization and output unit 60 outputs an image based on the A/V image signal input from the A/V decoding unit 50 (S220). At this time, the A/V synchronization and output unit 60 configures and outputs a split image by combining the decoded A/V image signals output by the channel monitoring unit for each channel.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연 및 지터 측정부(80)는, MMT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한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인코더, 스크램블러, 다중화기, 스케줄러 등)의 지연 및 지터 측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는 PTP(Precision Time Protocol)/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와 시간 동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lay and jitter measurement unit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ay of each component (encoder, scrambler, multiplexer, scheduler, etc.)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processing data according to the MMT protocol and Perform jitter measurements. To this end, each component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must be time synchronized with a PTP (Precision Time Protocol)/ NTP (Network Time Protocol) server.

지연 및 지터 측정부(80)는 설정 파라미터 즉, MMT 프로토콜의 패킷 헤더에 정의된 32비트의 타임스탬프 값을 이용하여 지연 및 지터를 측정한다. 패킷 지연(Delay)은 패킷의 수신 시간과 타임스탬프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위에 기술된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된다. 지터(Jitter)는 패킷의 수신 시간과 타임스탬프 정보 및 지연 정보를 통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최대값/최소값으로 구분하여 계산될 수 있다. 최대 지터는 위의 수학식 2를 토대로 계산되며, 최소 지터는 위의 수학식 3을 토대로 계산될 수 있다. The delay and jitter measurement unit 80 measures delay and jitter by using setting parameters, that is, a 32-bit timestamp value defined in the packet header of the MMT protocol. The packet delay may be calculated using the packet reception time and timestamp information, and i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described above. Jitter may be calculated through packet reception time, timestamp information, and delay information, and may be calculated by dividing into a maximum value and a minimum value. The maximum jitter may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2 above, and the minimum jitter may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3 above.

또한, 지연 및 지터 측정부(80)는 ROUTE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한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의 지연 및 지터를 측정한다. 이 경우에도,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는 PTP/NTP 서버와 시간 동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In addition, the delay and jitter measurement unit 80 measures delay and jitter of each component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that processes data according to the ROUTE protocol. Even in this case, each component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must be time synchronized with the PTP/NTP server.

지연 및 지터 측정부(80)는 설정 파라미터 즉, ROUTE 프로토콜의 패킷에서 정의된 EXT_TIME 값을 이용하여 지연 및 지터를 측정한다. 패킷 지연(Delay)은 패킷의 수신 시간과 EXT_TIME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위의 수학식 4를 토대로 계산될 수 있다. 지터는 패킷의 수신 시간과 EXT_TIME 정보 및 지연 정보를 통하여 계산될 수 있으며, 최대값/최소값으로 구분하여 계산된다. 최대 지터는 위의 수학식 5를 토대로 계산되며, 최소 지터는 위의 수학식 6을 토대로 계산될 수 있다. The delay and jitter measurement unit 80 measures delay and jitter using a setting parameter, that is, an EXT_TIME value defined in a packet of the ROUTE protocol. The packet delay may be calculated using the packet reception time and EXT_TIME information, and may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4 above. Jitter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packet reception time, EXT_TIME information, and delay information, and is calculated by dividing it into maximum/minimum values. The maximum jitter may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5 above, and the minimum jitter may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6 abov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TSC 3.0 기반한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다채널 멀티포인트 스트림 모니터링 방법에서,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measuring service quality in a multi-channel multipoint stream monitoring method in an ATSC 3.0-base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6에서와 같이, 지연 및 지터 측정부(80)는,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인코더, 스크램블러, 다중화기, 스케줄러 등)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별도의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S300).6, the delay and jitter measurement unit 80 receives signals output from each component (encoder, scrambler, multiplexer, scheduler, etc.)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through a separate channel. (S300).

각 채널별로, 수신된 신호가 MMT 프로토콜 또는 ROUTE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프로토콜에 따라 지연 및 지터 측정을 수행한다(S310). For each channe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signal has been processed according to the MMT protocol or the ROUTE protocol, and delay and jitter measurement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otocol (S310).

수신된 신호가 MMT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된 경우, 해당 신호의 패킷 헤더에 정의된 32 비트의 타임스탬프 값을 이용하여 지연 및 지터를 측정한다(S320). 이 경우, 패킷의 수신 시간과 타임스탬프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1에 따라 패킷 지연이 측정되며, 패킷의 수신 시간과 타임스탬프 정보 및 지연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따라 각각, 최대 지터와 최소 지터가 측정된다. When the received signal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MMT protocol, delay and jitter are measured using a 32-bit timestamp value defined in the packet header of the signal (S320). In this case, the packet delay is measured according to Equation 1 by using the packet reception time and timestamp informa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Equation 2 and Equation 3 by using the packet reception time, timestamp information and delay information, respectively. Maximum jitter and minimum jitter are measured.

또한, 수신된 신호가 ROUTE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된 경우, 해당 신호의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EXT_TIME 값을 이용하여 지연 및 지터를 측정한다(S330). dl 경우, 패킷의 수신 시간과 EXT_TIME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4에 따라 패킷 지연이 측정되며, 패킷의 수신 시간과 EXT_TIME 정보 및 지연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5 및 수학식 6에 따라 각각, 최대 지터와 최소 지터가 측정된다. In addition, when the received signal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ROUTE protocol, delay and jitter are measured using the EXT_TIME value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packet of the corresponding signal (S330). In the case of dl, the packet delay is measured according to Equation 4 using the packet reception time and EXT_TIME information, and the maximum jitter according to Equations 5 and 6 using the packet reception time and EXT_TIME information and delay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minimum jitter are measured.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지연 및 지터 측정부(80)에 의해 측정된 측정 결과 즉,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는 패킷 지연, 최대 지터, 그리고 최소 지터는, A/V 동기화 및 출력부(60)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위에 오버레이되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측정 결과는 별도의 모니터링 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양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results measured by the delay and jitter measurement unit 80, that is, the packet delay indicating the quality of service, the maximum jitter, and the minimum jitter, are output by the A/V synchronization and output unit 60 It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overlaying the image. Alternatively, the measurement result may be displayed in a real time change pattern through a separate monitoring devic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의 구조도이다.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tream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림 모니터링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3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 및 저장 장치(160)를 포함하며, 이들은 버스(17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7, the stream monito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110, a memory 120, an input interface device 130, an output interface device 140, and a network interface 150 and storage device 160, which can communicate via bus 170.

프로세서(110)는 위의 도 1 내지 도 6을 토대로 설명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신되는 패킷이 MMT 또는 ROUTE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처리된 프로토콜에 따라 패킷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값을 이용하여 서비스 품질(지연, 최대 지터, 최소 지터 등)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10)는 특히,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의 지연 및 지터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로부터 출력되는 패킷들을 각각 입력받아 해당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각 구성 요소별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methods described based on FIGS. 1 to 6 above.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packet has been processed according to the MMT or ROUTE protocol, and uses a value representing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cket according to the processed protocol (quality of delay, maximum jitter, minimum jitter, etc.) It is configured to measure. In particular, the processor 110 receives packets output from each component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and performs a delay and jitter measurement of each component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Using time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quality of service for each component.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이거나, 또는 메모리(120) 또는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The processor 11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20 or the storage device 160.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0)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에서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160)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121) 및 RAM(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110. The memory 120 may store instructions to be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 or may temporarily store and load instructions from the storage device 160. The processor 110 may execute instructions stored or loaded in the memory 120. The memory may include ROM 121 and RAM 122.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120)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110)와 연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20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110, and the memory 120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0 through various known mean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5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50)는 지상파 UHD 헤드엔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device 150 is connected to a network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e network interface device 15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signals output from each component of the terrestrial UHD headend system and provide them to the processor 110.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or method described above, and is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the like. Alternatively,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Claims (1)

ATSC 3.0에 기반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서 스트림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 중 복수의 구성 요소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복수의 채널을 통해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복수의 채널의 각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가 처리된 프로토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확인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신호의 헤더에 포함된 설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방법.





As a method for monitoring a stream in a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based on ATSC 3.0,
A monitoring device,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for transmitting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signals output through output terminals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rough a plurality of channels;
Checking, by the monitoring device, a protocol in which a signal received through each channel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is processed; And
Measuring, by the monitoring device, a quality of service for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using a setting parameter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signal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rotocol
Monitor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190007743A 2019-01-21 2019-01-21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ream in multi-channel point KR202000905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743A KR20200090568A (en) 2019-01-21 2019-01-21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ream in multi-channel p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743A KR20200090568A (en) 2019-01-21 2019-01-21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ream in multi-channel poi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568A true KR20200090568A (en) 2020-07-29

Family

ID=7189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743A KR20200090568A (en) 2019-01-21 2019-01-21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ream in multi-channel p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056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396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s of broadcast services
US113816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in hybrid network
JP6422527B2 (en) Data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in multimedia system
KR102462377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content
KR1019953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ling information for mpeg mmt in a dvb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US10499113B2 (en)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EP17888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DVB SD&S data
KR102098723B1 (en) Method configuring and transmitting mmt transport packet
US11395050B2 (en)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0237196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1021380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packet for multimedia data in variable size
CN110753259B (en)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2000905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ream in multi-channel point
Chaubet et al. Analysis of the transport layer candidate technologies for the TV 3.0 project
Chaubet et al. Practical tests with MMT and ROUTE/DASH on the transport layer of ATSC 3.0
US202002184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riving Audio Parameter Values From an AES67-Compatible Audio Information Signal
KR102589795B1 (en) Method for monitoring of transfer process for boradcast content in ip based broadcasting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20010199A (en) IP retransmission device, SI server, edge router, receiver, IP re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facility
Diniz et al. Development of MMT Analyzer for ATSC 3.0
US12010395B2 (en)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US11750890B2 (en) Content delivery system, conten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EP3217673A1 (en) Sending device, sending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KR201800003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imed metadata in hybrid broadcating service
Comsa et al. Evaluating QoS parameters for IPTV distribu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EP3301944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delivering over-the-top content in a constant bit rate televis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