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057A -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057A
KR20200089057A KR1020190005664A KR20190005664A KR20200089057A KR 20200089057 A KR20200089057 A KR 20200089057A KR 1020190005664 A KR1020190005664 A KR 1020190005664A KR 20190005664 A KR20190005664 A KR 20190005664A KR 20200089057 A KR20200089057 A KR 20200089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ode
information
dynamic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947B1 (ko
Inventor
김중재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9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승강기 정보와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는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QR코드 표시장치, 상기 QR코드 표시장치에 표시된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전송하여 승강기 사용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및 승강기 정보와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생성된 승강기 고유 QR 코드와의 트랜잭션 처리를 통해 상기 승강기 사용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승강기 호출 동작을 활성화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간 동시성을 가지는 동적인 QR코드를 통해 복제 및 해킹이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승강기 사용에 따른 보안 인증을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DYNAMIC QR CODE BASED ELEVATOR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성과 동시성을 가지는 동적인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승강기 사용에 대한 보안 강화가 가능한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QR 코드(QR code)는 흑백 사각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표현하는 매트릭스 형식의 개량된 이차원 바코드이다. QR코드는 초기에 자동차 부품 생산 관리 등 상품 관리에 널리 이용되어 기존 바코드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많이 보급되었다.
이러한 QR 코드는 종래에 많이 쓰이던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의 바코드 행렬 정보로 숫자 및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현재 QR 코드는 일반적으로 장치나 부품 및 상품의 인식표(태그)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장치가 휴대폰까지 확대되어 개인 모두가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장치의 확대로 휴대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터넷 정보를 검색하기 쉽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전하였다. 예를 들어 잡지 광고에 삽입하여 카메라로 찍으면 QR 코드를 인식하고 웹사이트로 연결하여 더 자세한 정보를 보여준다든가 QR 코드를 명함에 인쇄하여 개인정보 입력을 쉽게 한다든지 다양한 활용 방법이 발달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6269(2011.08.30)호는 엘리베이터 위치 파악 및 호출이 가능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모듈과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무선송수신모듈과, 엘리베이터모듈을 호출하고 무선송수신모듈을 통해 전달된 엘리베이터 위치층 신호를 전송 받은 후 상향/하향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파악/호출모듈과,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엘리베이터모듈을 호출하고 목적층 정보를 전송하는 목적층호출모듈과, 엘리베이터 위치층, 상향/하향 정보 및 목적층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탑승 전과 탑승 시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를 미리 원격제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위치 파악 및 호출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33540(2013.11.21)호는 엘리베이터 보안을 위한 행선층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에 구비되는 행선층 입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터치스크린상에 기설정된 제스처를 입력하여야만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해당 제스처와 대응되는 특정 행선층의 등록버튼이 표시되도록 하여 해당 건물의 엘리베이터 보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6269(2011.08.3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33540(2013.11.2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시간성과 동시성을 가지는 동적인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승강기 사용에 대한 보안 강화가 가능한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동시성을 가진 실시간 기반에 지속적으로 변하는 QR코드가 표시되도록 하여 한번 생성된 QR 코드의 복제 및 해킹에 따른 지속적인 사용을 방지하여 승강기 보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 인증을 통해 승강기 호출 동작을 활성화할 수 있는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은 승강기 정보와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는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QR코드 표시장치, 상기 QR코드 표시장치에 표시된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전송하여 승강기 사용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및 승강기 정보와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생성된 승강기 고유 QR 코드와의 트랜잭션 처리를 통해 상기 승강기 사용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승강기 호출 동작을 활성화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QR코드 표시장치는 승강기 주변에 설치되고 해당 승강기에 할당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승강기 정보 및 타임스탬프 정보를 기초로 동적인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동적 QR코드 생성부, 및 주기적으로 생성된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서버는 승강기에 할당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승강기 정보 및 실시간 타임스탬프 정보를 기초로 상기 QR코드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와 실시간 동시성을 가지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동적 QR코드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기 사용 인증을 요청받고 인증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 접속부, 상기 수신된 승강기 고유 QR코드와 상기 생성된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토대로 상기 승강기 사용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사용 인증부, 및 상기 승강기 사용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승강기 호출 명령을 하고 상기 승강기 사용 인증이 안된 경우 상기 승강기 접근 제한 명령을 내리는 승강기 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인증부는 수신된 승강기 고유 QR코드와 생성된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비교하고 두 QR코드에 저장된 타임스탬프 정보에 포함되는 시각의 차이가 허용임계치 이내에서 승강기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수신된 승강기 고유 QR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승강기 사용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인증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승강기 사용 등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 고유 QR 코드는 QR코드의 위치와 어느 방향에서도 QR코드를 찍어도 인식되게 하는 위치 검출 패턴, 왜곡을 방지해주는 얼라인먼트 패턴, 에러 보정과 마스킹 패턴을 저장하는 포맷 정보, 흑과 백을 교대로 정렬하여 흑과 백을 구분하기 위한 타이밍 패턴 및 승강기 정보와 타임스탬프 정보를 인자로 합산하여 저장되는 데이터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은 실시간성과 동시성을 가지는 동적인 QR 코드를 통해 복제 및 해킹이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승강기 사용에 따른 보안 인증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QR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승강기 원격 호출 및 보수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QR코드 표시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인증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승강기 보안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보안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100)은 QR코드 표시장치(110), 사용자 단말(130), 인증 서버(150), 데이터베이스(170) 및 승강기 시스템(190)을 포함할 수 있다.
QR코드 표시장치(110)는 승강장, 승강기 출입구 등의 승강기 주변에 설치되고 해당 승강기 정보와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동시성을 가지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QR코드 표시장치(110)는 주기적으로 생성된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화면 표시할 수 있다.
QR코드 표시장치(110)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실시간 동시성을 가지도록 동적으로 생성하고 화면 표시할 수 있는 QR코드 생성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QR코드 표시장치(110)에 표시된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고 승강기를 호출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카메라를 내장하고 다운로드받은 QR코드 스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QR코드 표시장치(110)에 표시된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카메라를 통해 스캔하여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인증 서버(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30)들은 인증 서버(15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인식된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인증 서버(150)에 제공하여 승강기 사용 인증을 요청할 수 있고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인증 서버(150)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실시간 동시성을 가지도록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3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서버(150)는 데이터베이스(170)와 연동하여 승강기 사용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서버(15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7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인증 서버(150)가 사용자 단말(13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승강기 시스템(190)에 대한 호출 제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7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승강기 보안을 위한 승강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190)은 복수의 승강기들의 운행 전반을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190)은 승강기 호출 명령에 따라 복수의 승강기들 중 가장 적절한 승강기를 할당할 수 있고, 승강기에 입력된 호출 명령에 따라 승강기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190)은 내부에 독립적인 CPU,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190)은 인증 서버(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승강기 시스템(190)들은 인증 서버(15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QR코드 표시장치(11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QR코드 표시장치(110)는 동적 QR코드 생성부(210), 표시부(23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QR코드 생성부(210)는 승강기에 할당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승강기 정보(Ei) 및 타임스탬프 정보(Ts)를 기초로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동적 QR코드 생성부(210)는 실시간 타임스탬프 정보(Ts)를 통해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time stamp) 정보(Ts)는 어느 시점에 데이터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하여 특정 위치에 표시하는 시각으로, 공통적으로 참고하는 시각에 대해 시간의 기점을 표시하는 시간 변위 매개 변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타임스탬프 정보(Ts)는 QR코드 표시장치(110)와 인증서버(150) 사이를 동기 처리하여 각각에서 생성되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비교할 수 있게 한다.
표시부(230)는 주기적으로 생성된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화면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스캔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표시부(230)에 표시되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는 주기적으로 변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한번 스캔한 승강기 고유 QR 코드에 대해 재사용이 근본적으로 불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230)에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 이외에도 CCTV 보안 안내 표시, 날짜, 시간, 층 정보 등을 인지하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실시간 동시성을 가지는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승강기 고유 QR코드가 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게 제어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인증 서버(15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증 서버(150)는 동적 QR코드 생성부(310), 사용자 단말 접속부(330), 사용 인증부(350), 승강기 호출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QR코드 생성부(310)는 승강기마다 할당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승강기 정보(Ei) 및 실시간 타임스탬프 정보(Ts)를 기초로 실시간 동시성을 가지는 승강기별 고유 QR코드를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접속부(330)는 사용자 단말(130)과 네트워크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수신하고 인증결과를 사용자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 인증부(350)는 수신된 승강기 고유 QR코드와 생성된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토대로 승강기 사용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 인증부(35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트랜잭션 처리를 통해 해독하고 해당 승강기에 대해 동적 QR코드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승강기 고유 QR코드와 비교하여 두 QR코드의 데이터부분에 저장된 승강기 정보와 타임스탬프 정보가 일치하면 수신된 승강기 고유 QR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 인증부(350)는 두 QR코드에 저장된 승강기 정보 및 타임스탬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된 승강기 고유 QR코드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시간매개변수인 타임스탬프 정보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스캔하여 수신하는 데 걸리는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허용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인증부(350)는 두 QR코드 비교시 타임스탬프 정보에 포함되는 시각의 차이가 허용임계치 이내이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 인증부(350)는 승강기 사용 인증 요청한 사용자 단말(130)에 대해서도 데이터베이스(170)에 등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통해 유효한 사용자인지 검증할 수 있다.
사용 인증부(350)는 수신된 승강기 고유 QR코드와 승강기 사용 인증 요청한 사용자 모두 유효한 경우 승강기 사용 인증을 함으로써 이중 보안이 가능하게 한다. 사용 인증부(350)는 사용 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승강기 호출부(370)는 사용 인증된 경우에 승강기 시스템(190)에 승강기 호출 명령을 통해 해당 승강기를 호출할 수 있다. 승강기 호출부(370)는 사용 인증이 안된 경우에는 승강기 시스템(190)에 승강기 접근 제한 명령을 통해 해당 승강기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승강기 사용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승강기 호출 동작을 활성화할 수 있게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QR 코드는 흑백 격자무늬 패턴을 이루는 셀, 위치 검출 패턴(위치 찾기 심벌), 타이밍 패턴, 포맷 정보, 얼라인먼트 패턴, 데이터부분 등으로 구성된다. QR코드는 버전에 따라 셀의 개수가 다양하다. 크기가 21x21셀인 버전1부터 시작해 버전이 1 올라갈 때마다 가로세로 4셀씩 늘어난다. QR코드의 버전은 정보량, 데이터 종류, 오류 복원 레벨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QR코드에 담기는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즉 정보량이 증가할수록 QR코드를 구성하는 셀의 개수도 많아지며 결과적으로 그만큼 QR코드 크기도 커지게 된다.
위치 검출 패턴(Position Detection Pattern)(410)은 QR코드의 사각형 모서리 중 세곳에 배치되어 QR코드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해주어 고속 판독을 가능하게 해준다. 위치 검출 패턴(410)은 어느 방향에서든 반드시 흑색 셀과 백색 셀이 교차하며 1:1:3:1:1 비율을 유지한다. 따라서 QR코드가 회전되어 있어도 3개 위치 검출 패턴(410)의 관계를 통해 회전 각도를 인식하므로 360도 모든 방향에서 판독이 가능해진다.
얼라인먼트 패턴(Alignment Pattern)(420)은 QR코드에서 위치 검출 패턴(410)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패턴으로서, 코드의 크기가 커질 경우 왜곡을 줄이기 위해 추가된 패턴이다.
타이밍 패턴(Timing Pattern)(430)은 위치 검출 패턴(410) 사이 두곳에 백색 셀과 흑색 셀이 교대로 배치된 직선 모양 패턴으로서 코드 내 모든 모듈 좌표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포맷 정보(Format Information)(440)는 QR코드 심벌에서 사용되는 오류 정정과 마스크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코드를 판독할 때 우선적으로 읽히는 부분이다.
마직막으로 데이터(Data)부분(450)은 QR코드에 담기는 정보로,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고유정보(Ei)와 타임스탬프 정보(Ts)가 취합된 정보가 되어 승강기 호출을 위한 사용 인증 수행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승강기 보안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보안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 승강기 보안 시스템(100)는 QR코드 표시장치(110) 및 인증 서버(150) 간에 동기 처리하여 각각 승강기 정보 및 실시간 타임스탬프 정보를 취합하고(단계 S511,S531), 취합된 승강기 정보 및 실시간 타임스탬프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 동시성을 가지는 QR코드를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단계 S512,S532). 여기에서, 승강기 정보는 승강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즉, 승강기마다 할당된 고유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time stamp) 정보는 QR코드 생성 시점의 시각을 나타내며 QR코드 생성시마다 실시간으로 반영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QR코드 표시장치(110)와 인증 서버(150)는 도 4에 보여진 바와 같은 구성의 QR코드를 생성하게 되고, QR코드의 데이터부분(450)에 저장할 데이터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1]
QR_Data = SUM(Ts(Ti), Ei)
여기에서, Ts는 처리 트랜잭션을 의미하고, Ti는 시간 순서대로 유일한 식별자인 타임스탬프를 의미하고, Ei는 승강기 고유 정보를 의미한다. 이들 Ts, Ti, Ei를 인자로 합을 구하는 연산을 기반으로 한다.
승강기 보안 시스템(100)은 QR코드 표시장치(110)에서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단계 S513). QR코드 표시장치(110)에 표시되는 승강기 고유 QR코드는 인증 서버(150)에서 생성되는 QR코드와 실시간으로 동시에 생성된 코드에 해당한다.
한편, 승강기 호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해당 승강기의 사용 인증을 위해 승강기 주변에 설치된 QR코드 표시장치(110)에 표시된 QR코드를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스캔하여 인식할 수 있다(단계 S521).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호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카메라가 내장된 사용자 단말(130)를 이용하여 승강기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30)를 이용하여 QR코드 표시장치(110)에 표시된 QR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QR코드를 인식한 후에는, 인증 서버(150)와 네트워크 접속하여 인증 서버(15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522).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인증 서버(150)에 접속하고 인식된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전송함과 함께 승강기 호출을 위한 사용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승강기 보안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30)과 인증 서버(150) 간의 접속 상태에서 인증 서버(150)를 통해 승강기 사용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533). 일 실시예에서, 인증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트랜잭션 처리를 통해 QR코드를 해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한다.
인증 서버(150)는 해독한 QR코드와 자체 생성한 QR코드를 비교하여 두 코드가 일치하면 수신된 QR코드를 유효한 코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인증 서버(15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130)에 대해서도 데이터베이스(170)의 사용자 데이터를 통해 검증할 수 있다. 인증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130)의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170)에 등록된 사용자이면 유효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130)에 대해 사용 인증을 할 수 있다. 인증 서버(150)는 승강기 사용 인증 결과를 접속된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는 접속된 인증서버(150)로부터 승강기 사용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단계 S523), 수신된 승강기 사용 인증 결과를 화면 표시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단계 S524).
승강기 보안 시스템(100)은 사용 인증 결과를 판단하여(단계 S534), 사용 인증된 경우로 판단되면 해당 승강기를 호출하고(단계 S535), 그렇지 않으면 해당 승강기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단계 S536). 인증 서버(150)는 승강기 사용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 승강기 호출 동작을 활성화하여 유효한 사용자만이 해당 승강기의 원격 호출 및 보수 진단 등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110: QR코드 표시장치 130: 사용자 단말
150: 인증 서버 170: 데이터베이스
190: 승강기 시스템
210,310: 동적 QR코드 생성부 230: 표시부
250,390: 제어부
330: 사용자 단말 접속부 350: 사용 인증부
370: 승강기 호출부

Claims (6)

  1. 승강기 정보와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는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QR코드 표시장치;
    상기 QR코드 표시장치에 표시된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전송하여 승강기 사용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및
    승강기 정보와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생성된 승강기 고유 QR 코드와의 트랜잭션 처리를 통해 상기 승강기 사용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승강기 호출 동작을 활성화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동적 QR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 표시장치는
    승강기 주변에 설치되고 해당 승강기에 할당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승강기 정보 및 타임스탬프 정보를 기초로 동적인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동적 QR코드 생성부; 및
    주기적으로 생성된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승강기에 할당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승강기 정보 및 실시간 타임스탬프 정보를 기초로 상기 QR코드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승강기 고유 QR코드와 실시간 동시성을 가지는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동적 QR코드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승강기 고유 QR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기 사용 인증을 요청받고 인증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 접속부;
    상기 수신된 승강기 고유 QR코드와 상기 생성된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토대로 상기 승강기 사용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사용 인증부; 및
    상기 승강기 사용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승강기 호출 명령을 하고 상기 승강기 사용 인증이 안된 경우 상기 승강기 접근 제한 명령을 내리는 승강기 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인증부는
    수신된 승강기 고유 QR코드와 생성된 승강기 고유 QR코드를 비교하고 두 QR코드에 저장된 타임스탬프 정보에 포함되는 시각의 차이가 허용임계치 이내에서 승강기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수신된 승강기 고유 QR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승강기 사용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인증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승강기 사용 등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고유 QR 코드는
    QR코드의 위치와 어느 방향에서도 QR코드를 찍어도 인식되게 하는 위치 검출 패턴, 왜곡을 방지해주는 얼라인먼트 패턴, 에러 보정과 마스킹 패턴을 저장하는 포맷 정보, 흑과 백을 교대로 정렬하여 흑과 백을 구분하기 위한 타이밍 패턴 및 승강기 정보와 타임스탬프 정보를 인자로 합산하여 저장되는 데이터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KR1020190005664A 2019-01-16 2019-01-16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KR102170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64A KR102170947B1 (ko) 2019-01-16 2019-01-16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64A KR102170947B1 (ko) 2019-01-16 2019-01-16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057A true KR20200089057A (ko) 2020-07-24
KR102170947B1 KR102170947B1 (ko) 2020-10-28

Family

ID=7189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664A KR102170947B1 (ko) 2019-01-16 2019-01-16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9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269A (ko) 2010-02-22 2011-08-30 성기수 엘리베이터 위치 파악 및 호출이 가능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3540B1 (ko) 2012-03-30 2013-11-2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보안을 위한 행선층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2773A (ko) * 2011-03-29 2014-04-07 인벤티오 아게 모바일 전자 장치들을 이용한 사용자 안내
KR20140046315A (ko) * 2012-10-10 2014-04-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코드 처리 장치
KR20160073238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Qr코드를 이용한 인증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269A (ko) 2010-02-22 2011-08-30 성기수 엘리베이터 위치 파악 및 호출이 가능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2773A (ko) * 2011-03-29 2014-04-07 인벤티오 아게 모바일 전자 장치들을 이용한 사용자 안내
KR101333540B1 (ko) 2012-03-30 2013-11-2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보안을 위한 행선층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6315A (ko) * 2012-10-10 2014-04-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코드 처리 장치
KR20160073238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Qr코드를 이용한 인증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947B1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4449A1 (en) Authentication Methods and Systems
US9563926B2 (en) System and method of encoding content and an image
EP2677495B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4156651A (zh) 用于终端的访问控制方法和装置
KR20110103598A (ko) 단말기의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172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ecurity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US20170061408A1 (en) Security key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one-time keypad
KR101892266B1 (ko) 입력 판단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0947B1 (ko) 동적 qr 코드 기반의 승강기 보안 시스템
JP2003132032A (ja) 個人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個人認証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TWM554494U (zh) 智慧鎖系統
JP2013190992A (ja) 情報処理端末、その認証方法、及び認証プログラム
KR10237642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로그인 제어 방법
CN110781985A (zh) 一种基于二维码的数据结构化系统
KR20170006784A (ko) 자필 입력 기반의 인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