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684A - 반려견 분리불안 감소 또는 해소를 위한 음향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반려견 분리불안 감소 또는 해소를 위한 음향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684A
KR20200088684A KR1020190005298A KR20190005298A KR20200088684A KR 20200088684 A KR20200088684 A KR 20200088684A KR 1020190005298 A KR1020190005298 A KR 1020190005298A KR 20190005298 A KR20190005298 A KR 20190005298A KR 20200088684 A KR20200088684 A KR 20200088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sound
companion
communication uni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세화
Original Assignee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손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손세화 filed Critical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8684A/ko
Publication of KR2020008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9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electric-shock, sound, magnetic- or radio-waves emi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stimating an emotional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견이 선호하는 음향을 들려주기 위한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 하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반려견에 장탈착되는 음향출력모듈:과 (B) 상기 음향출력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 반려견의 견종과 체중을 포함하는 특성에 따라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반려견 보호자단말로부터 반려견의 견종과 체중을 포함하는 반려견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반려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을 추출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Sonorific Device for Pet}
본 발명은 반려견이 선호하는 음향을 들려주기 위한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7년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개·고양이 등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율은 28.1%(593만 가구)로 네 집 가운데 한 집은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 비율은 2012년 전체 가구 중 17.9% (359만 가구), 2015년 21.8%(457만 가구)로 5년 만에 10% 가량 증가했다. 전체 반려동물 양육자의 85.6%가 개를 키워 반려견 가구수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고양이는 22.3% 비율을 보였다. 개·고양이 모두 기르는 응답자는 7.8%였다.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구 내 반려견은 약 662만 마리인 것으로 파악된다.
1인 가구일 경우 또는 1인 가구가 아니더라도 반려견을 홀로 두고 보호자가 외출하는 사례가 많은데, 이렇게 반려견이 애착관계에 있는 보호자와 떨어져 있을 때 전체 반려견의 20% 정도가 분리불안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리불안 상태에서는 안전부절 못함, 침의 과다분비, 구토, 설사, 하울링, 식욕상실, 요지부동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분리불안의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보호자가 외출하기 전 공격성을 보이기도 하고 혼자 남겨졌을 때 기물 및 가구를 훼손하거나 창문이나 문을 심하게 긁어 발톱이 빠지고 구강 내 상처가 발생하기도 한다. 분리불안 증상은 반려견 스스로도 매우 힘들고 고통스러울 뿐만 아니라 보호자에게도 역시 큰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
반려견의 분리불안을 치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보호자가 다시 자기 곁으로 돌아올 거란 인식을 갖게 하는 다양한 훈련방식이 알려져 있는데, 전문가의 조언 없이 일반인이 직접 이를 훈련하기는 그리 용이하지 않다. 이외에도 개의 생태와 본능(걷고 달리려는 욕구, 냄새 맡으려는 욕구, 영역 표시 욕구, 친구를 사귀려는 본능, 실외에서 배변을 하고 싶어 하는 본능, 가족과 함께 있고 싶어 하는 본능 등)을 존중하여 반려견의 자존감을 높여주어 스트레스(보호자와의 분리)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시간적이나 환경적으로 충실히 하기 쉽지 않다.
한편, 미국 위스콘신대학의 심리학자 찰스 스노든(Charles Snowdon)은, 동물들은 자신과 비슷한 목소리(울음소리)와 음역대의 음악을 좋아하므로 같은 맥락에서 강아지들도 자신의 음역대와 비슷한 음악을 좋아할 확률이 높다고 예측하였다. 또한 영국 글래스고대학의 니일 에반스(Neil Evans) 교수의 연구에 의하면,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강아지에게 들려주면 심장박동이 안정되고 스트레스가 감소했으며, 서있는 시간 보다 누워있는 시간이 많은 것으로 보아 강아지에게 적절한 음악은 안정감을 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비특허문헌 참조)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공개실용신안 20-2012-0008750은 스피커가 장착된 목걸이를 이용하여 좋아하는 음악이나 녹음된 주인의 목소리를 들려줌으로써 애완견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는 애완견용 다기능 목걸이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단순히 애완견이 "좋아하는 음악이나 녹음된 주인의 목소리"를 들려줄 뿐 어떻게 좋아하는 음악을 선정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12-0008750
https://www.insight.co.kr/news/151682
본 발명은 반려견의 청각을 긍정적으로 자극하여 반려견의 스트레스를 줄이거나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견의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분리불안 증세를 완화하거나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하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반려견에 장탈착되는 음향출력모듈:과 (B) 상기 음향출력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 반려견의 견종과 체중을 포함하는 특성에 따라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반려견 보호자단말로부터 반려견의 견종과 체중을 포함하는 반려견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반려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을 추출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견의 견종과 체중 등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 음향을 반려견에게 들려주게 되므로 반려견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견이 혼자 있더라도 평소 좋아하는 또는 좋아할 음향을 들려줌으로써 반려견의 분리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의 예시적 관계도.
도 2는 반려견의 목줄에 장탈착되는 음향발생모듈의 일예 사진.
도 3은 보호자단말에 탑재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활용을 위한 앱이 디스플레이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 도면부호가 병기되어 있는 경우, 이는 설명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도면부호로 구성요소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발생모듈서버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음향발생모듈은 주변의 피해 없이 반려견이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반려견에 장탈착되는 것으로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당연히 소형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음향발생모듈의 작동제어를 위한 온오프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의 출력은 고정될 수도 있고, 물리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통신부는 종래 알려진 다양한 방식(블루투스, 와이파이, LTE, 5G 등) 뿐만 아니라 장차 상용화될 다양한 방식을 통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향발생모듈은 반려견의 목줄과 일체이거나, 반려견의 목줄에 장탈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반려견의 목줄에 장탈착되는 형태의 일예 사진을 도 2에 첨부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소정의 음향을 선정하여 상기 음향출력모듈로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통신부, 저장부, 입력부, 추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서버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서버일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서버와 다수의 보호자단말(예를 들면 본 발명이 적용된 앱이 적재된 스마트폰 또는 PC)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음향출력모듈과 통신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보호자단말과도 통신한다. 통신부의 구체적 작동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저장부는, 반려견의 견종과 체중을 포함하는 특성에 따라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요소이다. 반려견의 특성은 견종과 체중 이외에 나이, 건강, 성별, 동료견의 유무, 보호자 가족의 특성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동물들은 자신과 비슷한 목소리(울음소리)와 음역대의 음악을 좋아하므로 이에 맞추어 음향DB 형태로 저장부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다수의 테스트를 통해 반려견의 특성에 따른 선호 음향DB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저장부는 반드시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하나의 서버'에 탑재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즉 상기 저장부는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접속가능한 다양한 사이트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입력부는, 반려견 보호자단말로부터 반려견의 견종과 체중을 포함하는 반려견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입력부는 상기 서버에 물리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지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원격지의 보호자단말이 입력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역시 반려견 정보는 견종, 체중, 나이, 성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입력된 반려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을 추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음향출력모듈의 스피커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은 사람, 개를 포함하는 동물의 목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자가 사전에 자신의 반려견이 좋아하는 목소리톤과 내용의 목소리를 녹음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저장부에 저장해 둘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반려견이 기분 좋을 때 내는 '헥헥' 소리를 녹음하여 저장해 둘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은 음향을 들려주는 목적에 따라 세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려견이 혼자 집에 남겨질 때, 밥을 잘 안 먹을 때, 의기소침해 있을 때, 심하게 짖으면서 흥분해 있을 때, 아플 때 들려주는 음향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의 작동을 보호자가 직접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이를 위해, 상기 서버의 입력부에는, 보호자단말로부터의 출력지시를 입력받는 기능이 추가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출력지시가 있는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호자는 필요한 때에 또는 시간을 예약하여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보호자단말에 탑재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활용을 위한 앱이 디스플레이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첨부하였다.
반려견이 홀로 남아 있을 때 보호자가 반려견이 어떤 상황과 심리상태에 있는지 알 수 있다면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를 보다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에서 상기 음향출력모듈은, 마이크가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반려견의 목소리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버의 통신부는, 전송받은 반려견의 목소리 신호를 상기 보호자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추가로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보호자는 반려견의 목소리(우는지, 짖는지, 낑낑대는지 등등)를 듣고 그 상태에 적합한 음향을 선택하여 반려견에게 들려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반려견의 심리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그에 적합한 음향을 들려주는 것도 좋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에서, 상기 음향출력모듈은, 마이크가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출력모듈의 통신부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반려견의 목소리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버의 통신부는 전송받은 반려견의 목소리 신호를 분석하여 반려견의 심리상태를 판단하는 인지부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추출부는 인지부가 판단한 반려견의 심리상태에 적합한 음향을 추출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보호자가 직접 관여하지 않더라도 반려견의 심리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음향을 반려견에게 들려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A) 하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반려견에 장탈착되는 음향출력모듈:
    (B) 상기 음향출력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 반려견의 견종과 체중을 포함하는 특성에 따라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반려견 보호자단말로부터 반려견의 견종과 체중을 포함하는 반려견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반려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을 추출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은
    사람, 개를 포함하는 동물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려견이 좋아하는 음향은
    음향을 들려주는 목적에 따라 세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입력부에는,
    보호자의 출력지시를 입력받는 기능이 추가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출력지시가 있는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모듈은,
    마이크가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반려견의 목소리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버의 통신부는, 전송받은 반려견의 목소리 신호를 상기 보호자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모듈은,
    마이크가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반려견의 목소리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버의 통신부는,
    전송받은 반려견의 목소리 신호를 분석하여 반려견의 심리상태를 판단하는 인지부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추출부는 인지부가 판단한 반려견의 심리상태에 적합한 음향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음향발생장치.
KR1020190005298A 2019-01-15 2019-01-15 반려견 분리불안 감소 또는 해소를 위한 음향발생장치 KR20200088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298A KR20200088684A (ko) 2019-01-15 2019-01-15 반려견 분리불안 감소 또는 해소를 위한 음향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298A KR20200088684A (ko) 2019-01-15 2019-01-15 반려견 분리불안 감소 또는 해소를 위한 음향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84A true KR20200088684A (ko) 2020-07-23

Family

ID=7189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298A KR20200088684A (ko) 2019-01-15 2019-01-15 반려견 분리불안 감소 또는 해소를 위한 음향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86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36A (ko) * 2020-08-27 2022-03-08 이종배 반려동물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스마트 스피커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20035759A (ko) * 2020-09-14 2022-03-22 노권래 반려동물 힐링 훈련 자동급식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750U (ko) 2011-06-13 2012-12-24 문권영 애완견용 다기능 목걸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750U (ko) 2011-06-13 2012-12-24 문권영 애완견용 다기능 목걸이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www.insight.co.kr/news/15168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36A (ko) * 2020-08-27 2022-03-08 이종배 반려동물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스마트 스피커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20035759A (ko) * 2020-09-14 2022-03-22 노권래 반려동물 힐링 훈련 자동급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o et al. How anthropogenic noise affects foraging
Lemasson et al. Horse (Equus caballus) whinnies: a source of social information
Hanna et al. Anthropogenic noise affects song structure in red-winged blackbirds (Agelaius phoeniceus)
Lynch et al. The use of on‐animal acoustical recording devices for studying animal behavior
Carter et al. Common vampire bat contact calls attract past food-sharing partners
Szenczi et al. Mother–offspring recognition in the domestic cat: Kittens recognize their own mother's call
Chan et al. Barking pigs: differences in acoustic morphology predict juvenile responses to alarm calls
Bezerra et al. Vocal repertoire of golden-backed uakaris (Cacajao melanocephalus): call structure and context
KR20200088684A (ko) 반려견 분리불안 감소 또는 해소를 위한 음향발생장치
Moreno-Gómez et al. Female frog auditory sensitivity, male calls, and background noise: potential influences on the evolution of a peculiar matched filter
Hurley et al. State and context in vocal communication of rodents
US61789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live animals appear to talk
Lemasson et al. Mares prefer the voices of highly fertile stallions
Magrath et al. From nestling calls to fledgling silence: adaptive timing of change in response to aerial alarm calls
Murrant et al. Ultrasonic vocalizations emitted by flying squirrels
Ancillotto et al. Ultrasonic communication in Gliridae (Rodentia): the hazel dormouse (Muscardinus avellanarius) as a case study
Dreiss et al. Barn owls do not interrupt their siblings
Taylor et al. Auditory communication in domestic dogs: vocal signalling in the extended social environment of a companion animal
Trefry et al. Eavesdropping on the neighbourhood: collared pika (Ochotona collaris) responses to playback calls of conspecifics and heterospecifics
Kunc et al. Begging signals in a mobile feeding system: the evolution of different call types
Zimmermann High frequency/ultrasonic communication in basal primates: The mouse and dwarf lemurs of Madagascar
Eisenring et al. Quantifying song behavior in a free‐living, light‐weight, mobile bird using accelerometers
Blake Ultrasonic calling in isolated infant prairie voles (Microtus ochrogaster) and montane voles (M. montanus)
Dawson et al. Early experience leads to changes in the advertisement calls of male Physalaemus pustulosus
Yambem et al. More than just babble: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plexity of vocalizations of Jungle Babb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