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560A - 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hinged do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hinged do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560A
KR20200088560A KR1020190004950A KR20190004950A KR20200088560A KR 20200088560 A KR20200088560 A KR 20200088560A KR 1020190004950 A KR1020190004950 A KR 1020190004950A KR 20190004950 A KR20190004950 A KR 20190004950A KR 20200088560 A KR20200088560 A KR 20200088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main body
door fram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9892B1 (en
Inventor
조태호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190004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892B1/en
Publication of KR2020008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5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8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a 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a hinged door to improve work convenience during construction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each component.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a hinged door comprises: a first step in which a first housing unit having a first hollow space, a first hinge unit having a first base uni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unit, a second housing unit having a second hollow space longitudinall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low space to form a rotating space, a second hinge unit having a second base uni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unit, and an automatic rotating return means including at least one cam unit arranged in the rotating spac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prepared; a second step in which the first base unit is coupled to one of a door and a door frame, and the second base unit is coupled to the other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 third step in which an accommodation groove is drilled on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nd the accommodation groove is guided and formed by a coupling hole formed on one of the first base unit and the second base unit; and a fourth step in which a shock-absorbing support device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automatic rotating return means to provide shock-absorbing power by a working fluid flowing while the front end thereof protruding between the first base unit and the second base unit during rotating return of the automatic rotating return means is pressed on an opposite surface of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Description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hinged do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hinged do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시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면서도 각 구성부품의 내구성이 개선된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with improved durability of each component while improving work convenience during construc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여닫이문은 경첩에 의해 도어와 문틀이 연결되며, 상기 경첩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타측이 상기 문틀의 타측과 이격되면서 개방된다.Generally,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re connected by a hinge, and as the other side of the door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as it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hinge.

여기서, 상기 경첩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의 상호 인접한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이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호 벌어지거나 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Here, the hinge includes a pair of support means that are fixed to the mutually adjacent positions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nd the support means are provided to be opened or contacted with each other while being rotated about one rotation axis.

한편, 종래의 여닫이문은 사람이 드나들때 도어를 수동으로 여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때, 도어를 닫을 때 전달되는 외력이 약한 경우 도어가 실질적으로 닫히지 않아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지 못하며 소음 또는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불편함이 있었다. 반면, 도어를 닫을 때 전달되는 외력이 강한 경우 도어와 문틀 사이에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가 끼여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asement door has a hassle of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when entering or leaving a person. At this time, when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when closing the door is weak, the door is not substantially closed and thus cannot maintain a proper indoor temperature, and there is inconvenience due to noise or contaminants. On the other hand, i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when closing the door is strong, there is a problem that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finger, is caught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resulting in injury.

이에, 개방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자동복귀수단이 구비된 경첩이 일부 개시되었다.Accordingly, a hinge equipped with an automatic return means has been partially disclosed so that the opened door can be automatically closed.

이러한 자동복귀수단이 구비된 경첩은 상기 도어와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고정캠 및 상기 고정캠과 치합되는 구동캠, 그리고 상기 구동캠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캠 및 상기 구동캠의 상호 대향면측에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The hinge provided with the automatic return means includes a fixed cam connected to the door and rotated interlockingly, a driving cam engaged with the fixed cam, and elastic means elastically supporting the driving cam. 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ide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fixed cam and the driving cam.

상세히,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캠 및 상기 구동캠은 대향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일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구동캠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고정캠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회전 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캠이 상기 고정캠과 이격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압축된다.In detail, the fixed cam and the driving cam ar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opposing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door is closed. Th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one direction to open the door,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driving cam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fixed cam. Accordingly, the driving cam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am, and the elastic means is compressed.

이때, 상기 도어를 개방하던 외력이 제거되거나 타방향측으로 소정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탄성수단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동캠이 상기 고정캠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캠 및 상기 고정캠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회전 복귀되므로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external force used to open the door is removed or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acts on the other side, the drive cam is pressed to the fixed cam sid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Accordingly, since the drive cam and the fixed cam are rotated and return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oor may be automatically closed.

그러나, 이러한 자동복귀수단이 구비된 종래의 경첩은 도어의 잦은 개방 또는 외력 등에 의해 과도한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구동캠 및 상기 고정캠의 경사면이 마모 내지 파손된다. 이로 인해, 상기 구동캠 및 상기 고정캠이 정확하게 형합되지 않으며, 닫힘 방향으로의 회전반경이 변경됨으로 인해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inge provided with such an automatic return means, when excessiv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due to frequent opening or external force of the door,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driving cam and the fixed cam are worn or damaged. Due to this, the drive cam and the fixed cam are not properly molded, and the door cannot be completely closed due to a change in the rotational radius in the closing direction.

또한,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복원력이 크게 설정된 경우 자동으로 회전 복귀되는 속도가 커짐으로 인해 신체 일부가 끼여 부상을 당하거나 큰 충격음이 발생하는 등 사용자의 불편함을 실질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is largely s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discomfort cannot be substantially eliminated, such as an injury or a large impact sound caused by a body part being caught due to an increase in the speed of automatically returning to rotation.

더욱이, 종래의 자동복귀수단이 구비된 경첩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이 실질적으로 없다. 이로 인해, 상기 도어에 별도의 스토퍼장치를 설치하거나 임시로 상기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중량물을 필요로 하므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the hinge provided with the conventional automatic return means has substantially no function to keep the door open.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stopper device is installed on the door or a temporary load is required to temporarily support the door, causing inconvenience.

한국 등록특허 제10-0227866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22786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시 작업편의성이 향상되면서도 각 구성부품의 내구성이 개선된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ffer hinge device for a hinged door with improved durability of each component while improving work convenience during construc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중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제1베이스부가 구비된 제1경첩부와, 상기 제1중공과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제2중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부 및 상기 제2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제2베이스부가 구비된 제2경첩부와, 상기 회전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부를 포함하는 자동 회전복귀수단이 상호간 결합 및 준비되는 제1단계; 상기 제1베이스부가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단계;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에 수용홈이 천공되되, 상기 수용홈이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홀에 의해 가이드되며 형성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과 수직으로 배치되되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의 회전 복귀시 상기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 사이로 돌출되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가압되면서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지지장치가 상기 수용홈에 끼움 고정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hinge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housing portion in which a first hollow is formed and a first base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first housing portion, and the first hollow portion and the length. A second hinge part having a second hollow par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hollow part forming a rotation space and a second base part protruding radially outward of the second housing part, and at least one disposed in the rotation space A first step in which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including the above cam parts are coupled and prepared with each other; A second step in which the first base portion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nd the second base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 third step in which an accommodating groove is perforated in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accommodating groove being guided and formed by a coupling hole formed in one of the first base part and the second base part; And a front end portion disposed vertically to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but protruding between the first base part and the second base part when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returns to rotation, being pressed against an opposite surfac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a buffer hinge device for a hinged door comprising a fourth step in which a buffer support device that provides a buffer force by a working fluid that flows is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여기서, 상기 제3단계는, 천공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드릴장치가 상기 결합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를 천공시, 상기 드릴장치가 상기 결합홀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완충지지장치의 본체부 외주 전단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끼움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ill device provided for forming a hole drills any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the drill device is guided by the coupling hole and the receiving groove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the fourth step, at least one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front end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to the receiving groove It is preferred to include a step of fitting.

한편, 본 발명은 제1중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1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며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1베이스부가 구비된 제1경첩부; 상기 제1중공과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제2중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며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베이스부가 구비된 제2경첩부; 상기 회전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부와 제1탄성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탄성수단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회전 복귀되는 자동 회전복귀수단; 및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걸림 구속되는 전단부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개구된 전단부 테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내부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작동유체가 충진되며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측으로 삽입되되 후단부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실린더부와, 후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측 후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단부에 피스톤부가 구비되는 로드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 후단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외측 후단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실린더부의 전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전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완충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hinge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housing portion formed with a first hollow, and a first base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ly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and coupled to any one of a door and a door frame; A second housing part in which a second hollow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low to form a rotating space, and a second housing protruding radially outside the second housing part and coupled to the other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 second hinge portion provided with a base portion;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including at least one cam portion and a first elastic means disposed in the rotating space, the rotation return to rota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And a front end side that is constrained by a coupling hole formed in any one of the first base part and the second base part, and a moving space is formed inside and radially outwar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edge of the opened front end.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ding locking protrusion, a cylinder portion filled with a working fluid providing buffer force therein, and insert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but with a cylinder hole formed at the rear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inside the rea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t is fixed but is provided between a rod portion provided with a piston portion at a front end portion disposed inside the cylinder portion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an inner rea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outer rear end portion of the cylinder portion, where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ylinder portion is the main body. Provided is a buffer hinge device for a hinged door, including a buffer support device including a second elastic means for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an opened front end of the part.

여기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경사지게 확장되며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전단부 테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결합홀에 걸림 구속시 실질적으로 형합되도록 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경사지게 확장되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upling 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and expanded in diameter toward one of the first base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a radiu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pened front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Protruding outward in th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is expanded and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end so as to be substantially shaped when the engaging hole is constrained.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외주 전단부측에는 상기 걸림돌출부의 후측부로부터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주 후측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후단부측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장공에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at least one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and protrudes radially out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least one locking hole formed radially throug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at the rea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t least one locking stone extending radially outward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at the rear end side of the cylinder portion. It is preferred that groups are formed.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 완충지지장치의 본체부가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형성된 끼움돌기에 의해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용홈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끼움 고정되는 것만으로도 제품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작업편의성 및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First, only the body part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is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any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simply and quickly by a fitting protrusion formed in a plurality of plac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without a separate adhesive means. As the installation of the product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convenience and economy.

둘째,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하나에 완충지지장치의 삽입을 위한 수용홈의 천공시 제1베이스부 및 제2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홀에 의해 천공 방향이 가이드되어 정밀한 형상의 천공이 신속하게 형성되므로 작업편의성 및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Second, when drilling the receiving groove for inserting the buffer support device into either the door or the door frame, the drilling direction is guided by the coupling hole formed in one of the first base part and the second base part, so that the precise shape of the hole can be quickly Since it is formed, work convenience and manufacturing precision can be improved.

셋째, 완충지지장치의 본체부 전단부 테두리에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돌출부가 경첩부의 결합홀에 걸림 구속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완충지지장치의 단부와 도어의 모서리면 간의 충돌로 인한 과도한 가압 삽입에 따른 파손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ird,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obliquely to the edg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is locked by the engaging hole of the hinge part. Since the damage is prevente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넷째, 완충지지장치의 실린더부가 후단부측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의해 본체부의 걸림장공에 걸림됨에 따라 가이드되며 전후방향 이동되되 도어의 닫힘시 실린더부 전단부의 과도한 돌출에 의한 걸림이 예방되므로 안정적인 댐핑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Fourth, the cylinder portion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is guided and guided as it is caught in the locking hole of the main body by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rear end side edge. This can be provided.

다섯째, 완충지지장치가 도어의 타방향 회전시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과 대응하여 배치되므로 작동유체를 통한 완충력이 도어에 실질적으로 전달되어 더욱 부드럽게 닫힐 수 있으며, 회전속도 감쇄를 통해 자동 회전복귀수단이 과도하게 마찰됨이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ifth, since the buffer support device is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is applied when the door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buffer force through the working fluid can be substantially transmitted to the door and closed more smoothly. The excessive friction is prevent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사용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가 도어가 일방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가 도어가 타방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후단부로부터 바라본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제1캠부와 제2캠부의 일부분이 투영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buffer hinge device for the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upper side.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 buffer hinge device for a caseme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by a buffer hinge device for a caseme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view as viewed from the rear end of the buffer hinge device for the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first cam portion and the second cam portion of the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jected.
Figure 8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uffer hinge device for a hinged doo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사용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가 도어가 일방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가 도어가 타방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를 후단부로부터 바라본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제1캠부와 제2캠부의 일부분이 투영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upper side, Figures 4a and 4b is a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ed state in one direction. And, Figures 5a and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Figure 6 is a buffer for a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ar view of the hinge device as viewed from the rear end. And,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cam portion and the second cam portion of the buffer hinge device for a hinge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for the ca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ffer hinge device.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300)는 제1경첩부(310), 제2경첩부(340), 자동 회전복귀수단(320) 및 완충지지장치(38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1 to 8, the buffer hinge device 300 for a hinge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inge part 310, a second hinge part 340, and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And a buffer support device 380.

여기서, 상기 제1경첩부(310)는 제1하우징부(311) 및 제1베이스부(31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1하우징부(311)에는 단면형상이 원형인 제1중공(31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부(312)는 상기 제1하우징부(3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다. 이때, 상기 제1베이스부(312)는 도어(d) 및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또는 고정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hinge portion 310 is provided including a first housing portion 311 and the first base portion 312. In detail, a first hollow 311a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part 3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base part 312 is radial in the first housing part 311. It rushes outward. At this time, the first base portion 312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late shape that is coupled or fixed to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그리고, 상기 제2경첩부(340)는 제2하우징부(341) 및 제2베이스부(3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2하우징부(341)에는 상기 제1중공(311a)과 연통되도록 단면형상이 원형인 제2중공(34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베이스부(342)는 상기 제2하우징부(34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다. 이때, 상기 제2베이스부(342)는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다른 하나에 결합 또는 고정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hinge part 340 is provided including a second housing part 341 and a second base part 342. In detail, a second hollow 341a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in the second housing portion 34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hollow 311a,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42 is The second housing part 341 is protrud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base portion 342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late shape that is coupled or fixed to the other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즉, 상기 제1경첩부(310)와 상기 제2경첩부(340)는 상기 제1중공(311a) 및 상기 제2중공(341a)이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면서 회전공간(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공간(A)에 구비되는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을 중심으로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상호 인접 또는 이격되도록 힌지 회전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d)가 상기 문틀(f)의 일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회전 조작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inge part 310 and the second hinge part 340 are disposed such that the first hollow 311a and the second hollow 341a communi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forming a rotating space A. do. Then,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42 are hinged so as to be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ut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provided in the rotation space (A). Through this, the door (d) can be rotated to open or close in a hinged state to one side edge of the door frame (f).

여기서, 상기 제1중공(311a)의 하단부 및 이와 이웃하는 상기 제2중공(341a)의 상단부는 상호 연통되도록 개구되되, 상기 제1중공(311a)의 상단부 및 상기 제2중공(341a)의 하단부는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면에서와 같이 착탈 가능한 별도의 밀폐캡(313,243)을 이용하여 상기 제1중공(311a)의 상단부 및 상기 제2중공(341a)의 하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을 상기 회전공간(A)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조립 및 교체할 수 있어 생산성 및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캡(313,243)을 결합시키면 상기 회전공간(A)측으로 이물질의 투입이 방지되므로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구동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llow 311a and the upper end of the neighboring second hollow 341a are open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llow 311a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llow 341a Is preferably sealed.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hollow 311a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hollow 341a may be covered by using detachable sealing caps 313 and 243. Accordingly,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can be easily assembled and replaced inside the rotation space A, so that productivity and maintain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sealing caps 313 and 243 are comb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when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is driven, since the introduction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rotation space (A) is prevented.

이하에서는 상기 제1경첩부(310)가 상기 도어(d)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2경첩부(340)가 상기 제1경첩부(310)의 길이방향 하단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문틀(f)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일방향(R)이라 함은 상기 도어(d)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타방향(CR)이라 함은 상기 도어(d)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the first hinge portion 310 is coupled to and rotated on the door d,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is continuously disposed at a low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portion 310, but the door frame A case where it is fixed by being coupled to (f)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hereinafter, one direction (R)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d) is opened, and the other direction (CR)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d) is closed.

한편,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은 상기 회전공간(A)에 배치되며, 제1캠부(330), 제2캠부(350) 및 제1탄성수단(321)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is disposed in the rotation space (A), 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rst cam portion 330, the second cam portion 350 and the first elastic means 321. .

여기서,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회전공간(A)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제1몸통부(331) 및 구동접촉부(33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캠부(33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함은,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회전공간(A) 내에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자전됨이 구속된 상태로 승강 이동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cam portion 330 is disposed to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rotation space (A),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331 and the drive contact portion 332. At this time, that the first cam portion 33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said that the first cam portion 33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rotation in the rotation space (A)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is made only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1경첩부(310)가 상기 도어(d)에 결합 또는 고정된 경우 상기 제1캠부(330)가 단독으로 상기 회전공간(A) 내측에서 자전되지 않고 상기 제1경첩부(310)와 연동 회전되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또는, 상기 제1경첩부(310)가 상기 문틀(f)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회전공간(A)의 내측에서 자전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전공간(A)의 일측을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측으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first hinge part 310 is coupled or fixed to the door d, the first cam part 330 is not rotated inside the rotation space A alone, and the first The hinge part 310 is interlocked and rotated but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hinge portion 310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f, the first cam portion 330 is not rotated inside the rotating space A but is mov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inafter, one side of the rotation space (A)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the inside of the first hollow 311a.

상세히,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부(311)의 내주직경, 즉 상기 제1중공(311a)의 단면형상과 대응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캠부(330)에는 상기 제1몸통부(331)측의 타단부측으로 돌설되는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포함되되,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일방향(R)측에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제1경사면(332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first cam part 33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hollow 311a, and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first housing part 311, that is, a cylinder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hollow 311a.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hape. In addition, the first cam portion 330 includes the drive contact portion 332 protruding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331 side, a predetermined angle in one direction (R) side of the drive contact portion 332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inclined to be formed.

그리고, 상기 제2캠부(350)는 상기 회전공간(A)의 타측에 구비되며, 제2몸통부(351) 및 회전구동부(35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전공간(A)의 타측을 상기 제1중공(311a) 및 상기 제2중공(341a)이 연통되는 연결부분으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am portion 35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pace (A),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including a second body portion 351 and the rotation drive portion 352. Hereinafter,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pace (A) will be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 connecting portion in which the first hollow 311a and the second hollow 341a communicate.

상세히, 상기 제2몸통부(351)는 상기 제2중공(341a)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2하우징부(341)와 상기 제2몸통부(351)를 동시에 관통하는 결합부재(355)에 의해 상기 제2경첩부(34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몸통부(351)의 외주 및 상기 제2중공(341a)의 내주 사이의 대향면에는 각각 고정돌기(341b) 및 고정홈(35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캠부(350)가 상기 제2경첩부(3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캠부(330)와 연동 회전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cond body portion 351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llow 341a, but is coupled to a coupling member 355 penetrating the second housing portion 34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351 simultaneously. It is fix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by. At this time, a fixing protrusion 341b and a fixing groove 351b may be formed on opposite surface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runk portion 351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llow 341a.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cam portion 350 from being interlocked with the first cam portion 330 while being fix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352)는 상기 제2몸통부(351)의 일단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중공(311a)의 하단부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352)에는 상기 제1경사면(332b)과 슬라이드 회전 접촉되는 제2경사면(352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tation driving part 352 is provided on one end side of the second body part 351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first hollow 311a.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in sliding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is formed in the rotation driving part 352.

즉, 상기 제1경사면(332b)과 상기 제2경사면(352b)은 상호 대면 접촉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d)가 일방향(R) 회전되면 상기 제1경사면(332b)이 상기 제2경사면(352b)을 따라 슬라이드 접촉 이동된다.That is,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when the door d is rotated in one direction (R) by an external for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is the second inclined surface Slide contact is moved along 352b.

이때,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측에서 실질적으로 자전이 구속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상기 제1하우징부(311)와 함께 연동 회전되되 상기 회전공간(A) 내부에서는 일측 및 타측으로만 이동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cam part 330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is substantially constrain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hollow 311a, the first cam part 330 rotates interlocked with the first housing part 311, but inside the rotating space A Is moved only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이는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도어(d)의 회전시 실질적으로 연동 회전되지만,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측에서는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어(d)의 일방향(R) 회전시 상기 제2경사면(352b)에 상기 제1경사면(332b)이 슬라이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회전공간(A)의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am part 330 is substantially interlocked and rotated when the door d is rotated, but is mov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first hollow 311a. Therefore, 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slides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when one direction R of the door d is rotated, the first cam part 330 is one side of the rotating space A Can be moved to.

그리고, 상기 제1몸통부(331)의 타단측과 상기 제2몸통부(351)의 일단측 사이가 이격되면서 상기 회전공간(A)에 구비되는 제1탄성수단(321)이 압축된다.Then, the first elastic means 321 provided in the rotating space (A) is compressed while the other end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331 and one end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351 are spaced apart.

여기서, 상기 제1탄성수단(321)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캠부(330)와 상기 제1중공(311a)의 폐쇄된 일측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공간(A)의 일측으로 승강 이동되는 상기 제1캠부(330)와 상기 제1중공(311a)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1탄성수단(321)이 압축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astic means 32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il spring, it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closed side of the first cam portion 330 and the first hollow (311a). Through this, the first elastic means 321 may be compressed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cam portion 330 and the first hollow 311a that are moved up and down to one side of the rotation space A.

그리고, 상기 도어(d)를 일방향(R)으로 회전시키던 외력이 제거되거나 타방향(CR)측으로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던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이 상기 제1캠부(33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회전공간(A)으로 타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경사면(332b)이 상기 제2경사면(352b)을 따라 타방향(CR)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자동으로 회전 복귀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that rotates the door d in one direction R is removed or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direction CR, the 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compressed first elastic means 321 is the first cam portion. 330. Accordingly, the first cam portion 330 is moved to the other side to the rotation space (A),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is automatically moved by sliding to the other direction (CR) side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It can be driven to return to rotation.

즉, 각 캠부(330,350)에 형성된 각 경사면(332b,252b)이 상호 슬라이드 가압됨을 통해 상기 제1캠부(330)가 회전축방향으로 승강 이동되며, 이때 압축되는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자동으로 회전 복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d)를 타방향(CR)으로 최소한의 힘으로 조작하더라도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동되므로 여닫이문의 사용시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am portion 330 is moved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by pressing 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332b and 252b formed on each cam portion 330 and 350 with each other, and then pressurizing the first elastic means 321 to be compressed. It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to rotation through the restoring force. Through this, even if the door (d) is operated in the other direction (CR) with a minimum force, it is driven to automatically close within a preset rotation angle range,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swing door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상기 제1캠부(330)의 외주면과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주면 사이의 상호 대향되는 일면에는 회전방지돌기(331b)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타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331b)가 삽입 및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방지홈(311b)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preventing protrusion 331b is protruded on one surface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m portion 33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llow 311a.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nti-rotation groove 311b is recess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anti-rotation protrusion 331b in the insertion and longitudinal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회전공간(A)의 내측에서 헛돌지 않고 길이방향으로만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제1탄성수단(321)을 압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경사면(332b)과 상기 제2경사면(352b)이 상호 슬라이드 가압되도록 제공되는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가압력, 즉 탄발복원력이 정확하게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용이하게 자동으로 회전 복귀되므로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elastic means 321 may be compressed while the first cam part 330 moves up and down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being idle inside the rotating space A. Through this, the press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321 provided to slide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to each other, that is, the elastic restoration force is accurately transmitted. Therefore, since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is easily and automatically returned to rotation, driving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캠부(33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컷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주에는 상기 디컷부와 대응하는 평면부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Of course, if necessary, at least one de-cut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m portion 330, and a fla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e-cut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hollow 311a.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4a 내지 도 5a,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경사면(352b)은 상기 제2캠부(350)의 일단부에 상호 단차지게 형성되는 클로즈면(352a) 및 오픈면(352c) 사이에 일방향(R)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경사면(352b)은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일방향(R)측에 형성된 상기 제1경사면(332b)과 대응하는 경사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4A to 5A and 7,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is a stepped surface 352a and an open surface 352c which are formed to be stepped with each other at one end of the second cam part 350.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in one direction (R)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is preferably formed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formed in one direction R side of the driving contact part 332.

상세히, 상기 클로즈면(352a)은 상기 회전구동부(352)의 일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픈면(352c)은 상기 클로즈면(352a)으로부터 일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는 단차부(352d)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면으로 형성된다.In detail, the closed surface 352a is formed as a horizontal surfac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rotation driving part 352. In addition, the open surface 352c is formed as a horizontal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352d which protrudes stepwise from the closed surface 352a.

그리고, 상기 구동접촉부(332)는, 상기 도어(d)의 닫힘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클로즈면(352a)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도어(d)의 일방향(R) 회전시 상기 제2경사면(352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후 상기 오픈면(352c)에 접촉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캠부(330)에는 타단측으로의 가압력이 전달되므로,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단부가 상기 오픈면(352c)에 밀착된 상태에서 마찰 정지 및 가압 구속된다. 이를 통해,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상기 도어(d)의 열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tact portion 332 is disposed so that the end is in contact with the closed surface 352a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d, but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when rotating in one direction R of the door d ) After being moved along the slide and disposed on the open surface 352c. At this time, since the pressing force to the other end sid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am part 33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321, the end of the driving contact part 3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 surface 352c In the friction stop and pressurized restraint. Through this, the open state of the door d may be maintained until a separ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따라서, 상기 도어(d)가 열린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스토퍼 또는 지지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도어(d)를 조작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도어(d) 주변에 돌출된 스토퍼 부재에 사용자가 걸려 넘어지는 등의 불편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상기 오픈면(352c)에 마찰 정지되어 회전이 제한되므로 상기 도어(d)가 일방향(R)으로 과도하게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파손 및 오작동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door (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topper or support device for fixing the open state, the operation convenience of the door (d)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stopper member protruding around the door (d) Discomfort such as a user tripping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contact portion 332 is frictionally stopped on the open surface 352c and rotation is limited, the door 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opened in one direction R. Through this, damage and malfunction of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are prevented, so that the service life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extended.

한편, 종래에는 자동으로 닫힘 조작되도록 구성되는 캠부재에 일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오작동 및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즉, 상호 치합되도록 돌출되는 캠돌기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면서 어긋나게 걸림됨으로 인하여 닫힘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회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일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개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ed art, malfunctions and malfunctions frequently occurred because a cam member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closed wa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means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in one direction. Tha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am protrusions protruding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r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nd are displac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be substantially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tructure for solving this problem.

상세히, 상기 제2캠부(350)의 일방향(R)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오픈면(352c)의 일방향(R)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332b)이 접촉되도록 단차지는 제한돌기(352e)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구동부(352)는 상기 클로즈면(352a), 상기 오픈면(352c) 및 상기 제한돌기(352e)의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일측을 향하여 다단 단차진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a의 좌측에 도시된 확대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클로즈면(352a), 상기 오픈면(352c) 및 상기 제한돌기(352e)의 상면이 각각 단차진 형상을 표시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one direction (R) of the second cam part 350, the stepped restriction protrusion 352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at one end (R) side end of the open surface 352c. It is preferred that the rush. That is, the rotation driving unit 352 may be formed in a multi-stepped stepped shape with ends of the closed surface 352a, the open surface 352c, and the restriction protrusion 352e facing one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Here, in the enlarged view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4A, it is understood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urface 352a, the open surface 352c, and the restriction protrusion 352e respectively represents a stepped shape. desirable.

따라서, 상기 도어(d)가 일방향(R) 회전시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상기 클로즈면(352a)으로부터 상기 제2경사면(352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후 상기 오픈면(352c)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단부가 상기 오픈면(352c)의 일방향(R)측 단부에 일측으로 돌설된 상기 제한돌기(352e)에 걸림 구속됨에 따라 일방향(R)측으로의 과도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oor (d) is rotated in one direction (R), the driving contact portion 332 is moved from the closed surface 352a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and then disposed on the open surface 352c. . In addition, excessive rotation in one direction (R) is restricted as the end of the driving contact portion (332) is locked by the restriction protrusion (352e) protruding to one side at one end (R) of the open surface (352c). Can be.

즉, 상기 구동접촉부(332)는, 상기 오픈면(352c)에 배치된 상태에서 밀착면 간의 마찰력,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가압력 및 상기 제한돌기(352e)에 걸림 구속됨을 통해 일방향(R)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d)의 회전각도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contact portion 332,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in the state disposed on the open surface (352c), the press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321 and the restriction protrusion (352e) through the locking constraint in one direction ( Rotation to R) is prevented. Therefore, the rotation angle of the door d may be limited to within a preset rotation angle range.

이에 따라, 상기 도어(d)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으로 인하여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후술되는 제2스토퍼돌기(354) 및 상기 제2경사면(352b) 사이로 낙하/걸림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300)의 구동안정성 및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ing contact part 332 from falling/hanging between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354 and the second slope 352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ecause the door d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or higher. have. Through this, the driving stability and driving reliability of the buffer hinge device 300 for the swing door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타방향(CR)측에는 단부를 향하여 타방향(CR)으로 나선 돌출되는 제1스토퍼돌기(3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캠부(350)에는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에 걸림 구속되는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가 일방향(R)으로 나선 돌출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334 that protrudes in the other direction CR toward the end is formed on the other direction CR side of the driving contact part 332.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am portion 350 protrudes in a spiral direction in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354 that is locked by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334.

상세히, 상기 도어(d)를 일방향(R)으로 회전시키던 외력이 제거되거나 타방향(CR)측으로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캠부(330)가 상기 회전공간(A)의 타측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공간(A)의 타측으로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하강되면서 상기 제1경사면(332b) 및 상기 제2경사면(352b)이 상호 슬라이드 접촉된다.In detail, when the external force that rotates the door d in one direction R is removed or when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direction CR, the first cam portion is generated by the elastic restoration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321. 330) is press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pace (A). Th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slid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driving contact part 332 descends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pace A.

이때,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회전방지돌기(331b) 및 상기 회전방지홈(311b)을 통해 상기 제1경첩부(310)와 실질적으로 연동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경사면(332b)이 상기 제2경사면(352b)을 따라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캠부(33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경첩부(310)에 전달되면서 회전 복귀되며, 상기 도어(d)가 닫힌다.At this time, the first cam portion 330 is provided to be substantially interlocked with the first hinge portion 310 through the anti-rotation protrusion 331b and the anti-rotation groove 311b. Thus, 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slides obliquely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first cam part 330 is substantially transmitted to the first hinge part 310, thereby returning to rotation. And the door (d) is closed.

그리고, 상기 도어(d)의 타방향(CR) 회전시,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 및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는 상호 인접해지되, 각 스토퍼돌기(334,354)의 상호 마주보는 구속면(334b,354b)에 삽입되면서 타방향(CR)으로의 회전이 구속된다.In addition, when the other direction CR of the door d is rotated,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334 and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354 are adjacent to each other, but are constrained to face each other of the stopper protrusions 334 and 354. Rotation in the other direction (CR) is restric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urfaces (334b, 354b).

이때, 각 상기 구속면(334b,354b)은 각 상기 스토퍼돌기(334,354)의 돌출된 외면과 대응하는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회전 복귀시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 및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가 각 상기 구속면(334b,354b)의 내측에 정확하게 형합 대응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d)를 반복적으로 개폐하더라도 각 부품의 마모 내지 파손이 최소화되며, 회전각도가 정밀하게 구속되므로 제품의 구동신뢰성 및 구동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restraining surfaces 334b and 354b is formed of a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outer surfaces of each of the stopper protrusions 334 and 354. Therefore,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334 and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354 are precisely matched to the insides of the restraining surfaces 334b and 354b when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returns to rotation. Through this, even if the door (d) is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wear or damage of each component is minimized, and the rotation angle is precisely constrained, so that the driving reliability and driving st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여기서, 상기 구동접촉부(332)의 단부가 상기 제2경사면(352b)의 단차진 상측, 즉 상기 오픈면(352c)에 위치되도록 일방향(R) 회전시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 및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의 단부가 상호 중첩 대면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가 상기 클로즈면(352a)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된 수직간격은 상기 제2경사면(352b)의 하단측 및 상단측 사이의 수직간격, 즉 상기 클로즈면(352a)과 상기 오픈면(352c) 사이의 수직간격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334 and the agent when rotating in one direction (R) such that the end of the driving contact portion 332 is located on the stepped upper sid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that is, the open surface 352c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s of the two stopper protrusions 354 face each other. To this end, the vertical spacing in which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354 protrudes from the closing surface 352a to one side is a vertical spacing between the lower and upper sides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52b, that is, the closing surface 352a. ) And is set to excee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open surfaces 352c.

더욱이,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제한돌기(352e)의 돌출된 단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상기 오픈면(352c)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 및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의 각 단부는 상호 중첩 대면될 수 있다.Moreover, the protruding end of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354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end of the restriction protrusion 352e. Therefore, each end of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334 and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354 may face each other while the drive contact portion 332 is disposed on the open surface 352c.

이에 따라, 상기 도어(d)가 타방향(CR)으로 회전시 상기 제1스토퍼돌기(334)와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가 상호 인접해지되, 각 단부가 맞물리면서 상호간의 구속면(334b,354b)을 따라 안정적으로 형합 구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타방향(CR)측으로 과도하게 회전됨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마모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oor (d)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CR),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334 and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354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each end i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restraining surface 334b of each other ,354b). Through this,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rotated to the other direction (CR), thereby preventing abrasion or damage of the product, and driving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불어, 상기 제1경첩부(310) 및 상기 제2경첩부(340) 사이, 그리고 상기 제2캠부(350) 및 상기 제1중공(311a)의 하단부 사이에는 각각 마모방지링(371,37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hinge portion 310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and between the second cam portion 35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llow 311a, wear prevention rings 371 and 372 are provided, respectively. It is desirable.

즉,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힌지 회전시 반복적으로 마찰되는 부분에 별도의 마모방지링(371,372)을 배치함에 따라 각 캠부(330,350)의 마모로 인한 유격이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That is, since a separate wear prevention ring 371,372 is disposed on a portion that is repeatedly rubbed when the hinge of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lay due to wear of each cam part 330,350. , The service life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extended.

한편,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본체부(381), 실린더부(382), 로드부(383) 및 제2탄성수단(384)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42, the body portion 381, the cylinder portion 382, the rod portion 383 ) And the second elastic means (384) is preferably provided.

여기서,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과 수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d)의 타방향(CR) 회전시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is preferably disposed vertically with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and is dispos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in which an impact is applied when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CR) of the door (d). This is preferred.

상세히,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회전 복귀시 상기 제1베이스부(312)와 상기 제2베이스부(342) 사이로 돌출되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가압되면서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한다.In detail,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has a front end portion protruding between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42 when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is returned to rotation. A buffer force is provided by a working fluid that flows while being pressed against an opposite surface of any one of the door frames (f).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본체부(381)가 걸림 구속되도록 결합홀(342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상기 결합홀(342a)의 위치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에는 수용홈(fa)이 별도의 드릴장치 등에 의해 천공되어 함몰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fa)은 상기 결합홀(342a)에 의해 가이드되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hole 342a is formed through one of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42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381 is locked. In addition,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342a)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fa) is perforated by a separate drill device or the like, the receiving groove ( fa) is preferably guided and formed by the coupling hole 342a.

이때,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상기 제2베이스부(34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문틀(f)에는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내삽되는 상기 수용홈(f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제1베이스부(312)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수용홈은 상기 도어(d)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상기 제2베이스부(342)에 결합되고, 상기 문틀(f)에 상기 수용홈(fa)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At this time, when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is coupled to the second base portion 342,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groove fa in which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is interpolated is formed in the door frame f. . Of course, in some cases,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ase portion 312, in which case the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door d.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is coupled to the second base portion 342 and the receiving groove fa is formed in the door frame f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n example.

한편, 상기 본체부(381)는 원기둥 형상 등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2베이스부(342)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342a)과 대응하는 외주직경으로 형성되며, 전단부측이 개구되는 내부에 이동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측은 상기 결합홀(342a)에 걸림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portion 38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and i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342a formed in the second base portion 342, and a moving space inside the front end side opening It is 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is a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hole 342a.

여기서, 상기 본체부(381)의 개구된 전단부 테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결합홀(342a)의 테두리에 걸림 구속됨에 따라 상기 결합홀(342a)에 실질적으로 형합되는 걸림돌출부(38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pening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extends radially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engages substantially with the coupling hole 342a as it is constrained by the edge of the coupling hole 342a.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s 381a are formed.

그리고, 상기 걸림돌출부(381a)는 상기 본체부(381)의 개구된 전단부 테두리로부터 전후방향의 기설정된 두께로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ngaging protrusion 381a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radially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opened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381.

또한, 상기 걸림돌출부(381a)는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돌출부(381a)의 단부가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381a is formed to be inclined and expanded in diameter toward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381.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por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381a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radially outwar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381.

이때, 상기 결합홀(342a)의 테두리 직경은 상기 걸림돌출부(381a)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홀(342a)의 내주가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342a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locking protrusion 381a,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381 is expand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en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hole 342a is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shape extending radially outwar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381.

여기서, 상기 본체부(381)가 상기 결합홀(342a)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측으로 삽입시, 상기 걸림돌출부(381a) 및 상기 결합홀(342a) 테두리의 각 경사면이 상호간 밀착되며 상기 본체부(381)가 걸림 구속됨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main body portion 381 is inserted from the front end portion to the rear end side of the coupling hole 342a,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locking protrusions 381a and the coupling hole 342a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main body portion ( 381) is preferably locked.

더욱이, 상기 걸림돌출부(381a)가 상기 결합홀(342a)에 삽입되어 완전 걸림되면 상기 걸림돌출부(381a)와, 상기 결합홀(342a)이 형성된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Moreover,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381a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342a, the engaging protrusion 381a and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base on which the engaging hole 342a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any one of the portions 342 is formed as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이를 통해, 상기 도어(d)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단부측이 상기 도어(d)의 모서리면(da)에 충돌함으로 인하여 상기 수용홈(fa)측으로 과도하게 가압 삽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end side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d) collides with the edge surface (da) of the door (d) is excessiv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a) side Can be prevented.

따라서,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상기 본체부(381) 전단부 테두리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걸림돌출부(381a))가 상기 결합홀(342a)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도어(d)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단부와 상기 도어(d)의 모서리면 간의 충돌로 인한 과도한 가압 삽입에 따른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파손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erefore, the locking protrusions 381a formed obliquely on the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are locked in the engaging hole 342a and clos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d. Since the damage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due to excessive pressure insertion due to a collision between the end surface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and the edge surface of the door d is prevente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상기 본체부(381)의 상기 걸림돌출부(381a)와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므로 심미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d)의 닫힘시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측 노출부 및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와 대향되는 상기 도어(d)가 상호간 밀착되므로 제품의 설치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댐핑장치의 전단부가 경첩으로부터 돌출되던 종래와 달리 상기 걸림돌출부(381a)와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는 차이점이 존재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Moreover, since the outer surface profile of any one of the engaging protrusion 381a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and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42 is formed as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aesthetics can be improved. Can. In addition, an outer surface profile of any one of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42 is formed as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to expose the front end side of the body portion 381 when the door d is closed. The installation precision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since the door (d) facing one of the first base part (312) and the second base part (342)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front end portion of the damping device protruding from the hinge, an outer surface profile of any one of the engaging protrusion 381a,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42 is formed as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그리고, 상기 본체부(381)의 외주 전단부측에는 상기 걸림돌출부(381a)의 후측부로부터 후측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381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381a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front end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381b) is formed.

여기서, 상기 끼움돌기(381b)는 상기 본체부(381)의 외주 및 상기 수용홈(fa)의 내주 사이의 상호간 끼움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 길이가 테이퍼지게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tting protrusion 381b is provided to provide a mutually fastening for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groove fa, a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becomes tapered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It can be formed in a reduced form.

또한, 상기 끼움돌기(381b)는 상기 본체부(381)가 상기 수용홈(fa)에 삽입시 가압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갈수록 반경방향 길이가 경사지게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tting projection 381b may be reduced inclined in the radial length toward the rear end from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so that the pressing force increases when the main body portion 38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a. have.

이에 따라, 전단부측에 외주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끼움돌기(381b)가 형성된 상기 본체부(381)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fa)에 용이하게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끼움돌기(381b)에 의해 상기 수용홈(fa)에 삽입된 상기 본체부(381)의 회전이 예방되어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dy portion 381 having at least one of the fitting protrusions 381b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n the front end side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fa formed in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Can be easily fitted and fixed. Moreover, rota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a by the fitting protrusion 381b is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따라서,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상기 본체부(381)가 상기 끼움돌기(381b)에 의해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fa)에 간편하게 끼움 고정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결합력이 개선되도록 상기 본체부(381)의 외주 및 상기 수용홈(fa)의 내주 사이에 별도의 접착수단이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refore,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by the fitting protrusion 381b, the body portion 381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without a separate adhesive means ( Since it is easily fitted and fixed to fa), work convenien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Of course,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separate adhesive means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receiving groove fa so that the bonding force is improved.

또한, 상기 본체부(381) 내주의 상기 이동공간에는 후술되는 걸림돌기(382a)의 초기 삽입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381d)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ving spac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is recess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o be easily inserted upon initial inser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382a to be described later, but at least one guide groove 381d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더욱이, 상기 이동공간의 개구된 전단부측 테두리는 상기 실린더부(382)가 용이하게 삽입되며 마찰이 저감되도록 상기 본체부(381)의 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테이퍼지게 확장 형성될 수 있다.Moreover, the opened front end side edge of the moving space may be formed to be tapered in diameter toward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part 381 so that the cylinder part 382 is easily inserted and friction is reduced.

그리고, 상기 본체부(381)의 후단부는 상기 수용홈(fa)에 끼움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부(381)의 전후방향 길이 및 상기 수용홈(fa)의 함몰 깊이가 상호간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is preferably fitt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fa),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and the depression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fa) are substantially correspon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y formed.

또한, 상기 본체부(381)의 후단부에는 캡부재(386)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본체부(381)는 후단부 역시 개구되되 별도의 캡부재(386)에 의해 커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부에 배치되는 각 구성부품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하므로 생산성 및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 cap member 386 may be integrally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main body 381. Of course, in some cases, the main body portion 381 is also opened at the rear end portion, but may be covered by a separate cap member 386. Through this, it is easy to assemble and replace each component disposed therein, so that productivity and maintain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그리고, 상기 본체부(381)의 외주 후측부에는 장방형으로 상기 본체부(381)의 전후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381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걸림장공(381c) 및 걸림돌기(382a)가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locking hole 381c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rea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At this tim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in which the engaging hole 381c and the engaging protrusion 382a are provided as a pair,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걸림장공(381c)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381)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장공(381c)은 상기 본체부(381)의 전후방향을 따라 제1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38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길이가 상기 제2길이를 초과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hole 381c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disposed lo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That is, the locking hole 381c is formed in a first length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but is formed in a secon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and the first length is the It is preferred to exceed the second length.

한편, 상기 실린더부(382)는 원기둥 형상 등으로 구비되되 상기 본체부(381)의 개구된 전단부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본체부(381)의 내주와 대응하는 외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ylinder portion 382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but is inserted into the opened front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81, and is preferably provided as an outer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381.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382)의 후단부측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장공(381c)에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걸림돌기(38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382a)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장공(381c)의 상기 제2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구비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제1길이 미만의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protrusion 382a extending radially outward is formed at the rear end side edge of the cylinder portion 382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381c. At this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382a is provid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ngth of the engaging hole 381c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ength less than the first length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가압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382a)가 상기 걸림장공(381a)의 후단부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실린더부(382) 전단부의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탄성수단(384)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382)가 탄성복원되며 전방으로 이동되되 상기 걸림돌기(382a)가 상기 걸림장공(381a)의 전단부에 걸림됨에 따라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portion 382 is pressed against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the locking projections 382a move to the rear end of the locking hole 381a. Can b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iz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portion 382 is released, the cylinder portion 382 is elastically restored and moved forward by the second elastic means 384, but the locking protrusion 382a is the locking hole ( 381a), the movement may be limited as it is caught in the front end portion.

따라서, 상기 실린더부(382)가 상기 걸림돌기(382a)에 의해 상기 걸림장공(381a)에 걸림됨에 따라 가이드되며 전후방향 이동되되 상기 도어(d)의 닫힘시 상기 실린더부(382) 전단부의 과도한 돌출에 의한 걸림이 예방되므로 안정적인 댐핑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Therefore, the cylinder portion 382 is guided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as the locking projections 382a are caught by the locking holes 381a, but when the door d is closed, the cylinder portion 382 front end portion is excessive. Stable damping function may be provided because jamming due to protrusion is prevented.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382)의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충진되며 후단부측에 삽입공(382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382)의 외주직경은 상기 본체부(381)의 내주직경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린더부(382)가 상기 이동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 마찰에 의한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orking fluid is filled in the cylinder portion 382 and an insertion hole 382c is formed at the rear end sid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cylinder portion 382 corresponds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and wear due to friction is minimized when the cylinder portion 382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oving space. It is preferably formed to a diameter that can.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382)가 상기 본체부(38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작동유체가 문틀(f)의 외측으로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as the cylinder portion 382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38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ing fluid from flowing out of the door frame f.

또한,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에는 완충헤드부(382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전단부측과 대향면인 상기 도어(d)의 모서리면(da)이 상기 실린더부(382)와 충돌되더라도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로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portion 382 is provided with a buffer head portion 382b. Through this, even if the edge surface (da) of the door (d) facing the front end side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collides with the cylinder part 382,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Since it is minimize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그리고, 상기 로드부(383)는 후단부가 상기 본체부(381)의 내측 후단부에 고정되되, 전단부가 상기 삽입공(382c)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부(382)의 내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드부(383)의 전단부에는 피스톤부(385)가 구비되되, 상기 피스톤부(385)는 상기 실린더부(382)의 내주와 대응하는 외주를 따라 유체이동홈(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rod portion 383 is preferably a rear end portion is fixed to the inner rea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the front end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cylinder portion 382 through the insertion hole 382c. 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rod portion 383 is provided with a piston portion 385, the piston portion 385 is a fluid moving groove (not shown) along the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portion 382. At least one may be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더불어, 상기 제2탄성수단(384)은 상기 본체부(381)의 내측 후단부 및 상기 실린더부(382)의 외측 후단부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탄성수단(384)은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가 상기 본체부(381)의 개구된 전단부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elastic means 384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inner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381 and the outer rear end of the cylinder portion 382. The second elastic means 384 provides elastic recovery force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portion 382 protrudes toward the front end of the opened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381.

따라서,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는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사이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d)가 타방향(CR)으로 회전시 상기 실린더부(38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d)의 모서리면(da)에 충돌되면서 후단부측으로 가압된다.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portion 382 is disposed to protrude between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42 by the elastic restoration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ans 384. And, when the door (d)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CR), the cylinder portion 382 faces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in this embodiment the door (d) It is pressed to the rear end side while colliding with the edge surface (da) of.

한편, 상기 도어(d)의 열림 상태에서 상기 도어(d)와 상기 문틀(f)의 상호 대향측 모서리는 상호 이격되며,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측이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사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385)는 상기 실린더부(382)의 내측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피스톤부(385)의 좌측, 즉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측에 위치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d), the opposite edges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ylinder portion 382 is form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ans 384. ), the front end portion protrudes between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base portion 342. Further, the piston portion 385 is located at the inner rear end of the cylinder portion 382, and the working fluid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piston portion 385, that is,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cylinder portion 382.

이때, 상기 도어(d)가 타방향(CR)으로 회전시 상기 도어(d)의 모서리측이 상기 문틀(f)측으로 인접해지면서 돌출된 상기 실린더부(382)를 후단부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382)가 후단부측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피스톤부(385)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기 실린더부(382)의 내측 전단부로 변경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체는 비압축성 유체이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유체이동홈(미도시)을 통해 상기 실린더부(382)의 우측, 즉 상기 실린더부(382)의 후단부측으로 이동된다.At this time, when the door (d)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CR), the edge of the door (d) is adjacent to the door frame (f) side and presses the protruding cylinder portion 382 to the rear end side. At this time, while the cylinder portion 382 is pressed toward the rear end portion, the position of the piston portion 385 is relatively changed to the inner front end portion of the cylinder portion 382. Here, since the working fluid is an incompressible fluid, in this process, the working fluid is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cylinder part 382 through the fluid moving groove (not shown), that is, to the rear end side of the cylinder part 382.

그리고,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유체이동홈(미도시)을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난류저항(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저항)을 통해 상기 도어(d)의 충격시 속도 변화가 감쇄되므로,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급격한 회전 복귀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working fluid moves through the fluid moving groove (not shown), the speed change at the time of impact of the door (d) is attenuated through the turbulence resistance (resistance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speed), so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Sudden rotation return of the means 320 can be prevented.

따라서, 도어(d)에 타방향(CR)측으로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으로 인한 상기 도어(d) 또는 상기 완충힌지장치(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d)가 급격하게 닫히면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 신체 일부가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an excessiv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d in the other direction CR, damage to the door d or the buffer hinge device 300 due to an impac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a safety accident such as a user's finger or a body part being caught while the door d is suddenly closed may be prevented.

한편, 상기 도어(d)가 다시 열림 조작되면,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382)의 전단부가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사이로 돌출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도어(d)를 반복적으로 여닫더라도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항시 상기 도어(d)의 닫힘시 회전 속도 및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d) is opened again,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portion 382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ans 384,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base portion ( 342). Through this, even if the door (d) is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can be returned to a position capable of cushioning the rotational speed and impact when the door (d) is closed at all times.

더욱이,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이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보다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제1캠부(330)가 가압되면서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회전 복귀되는 힘이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실린더부(382)가 돌출되는 힘보다 크게 작용한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321 is set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elastic means 384. Therefore, as the first cam unit 330 is pressed through the elastic restoration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321, the force that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rotates and returns is the elastic restoration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ans 384. Through the cylinder portion 382 acts larger than the projecting force.

이를 통해, 상기 제2탄성수단(384)의 탄발복원력이 상기 실린더부(382)를 전단부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항시 작용되더라도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을 통한 상기 도어(d)의 자동 닫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rough this, although the force to press the cylinder portion 382 towar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means 384 is always applied, the door d through the 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321 The automatic closing of can be made stabl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경첩부(310)가 상기 도어(d)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경첩부(340)가 상기 문틀(f)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경첩부(310)가 상기 문틀(f)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경첩부(340)가 상기 도어(d)에 결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hinge portion 310 is coupled to the door (d)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is described as being coupled to the door frame (f), but the first hinge portion ( 310) may be coupled to the door frame (f)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may be coupled to the door (d).

여기서, 상기 제2경첩부(340)가 상기 도어(d)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캠부(350)가 상기 도어(d)와 연동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캠부(330)는 상기 제1중공(311a)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공간(A)의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Here, when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is coupled to the door d, the second cam portion 350 may be rotated interlocked with the door d. At this time, the first cam portion 330 may be restricted in rotation so as to move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pace A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hollow 311a.

더불어, 상기 완충지지장치(380) 역시 상기 도어(d)에 결합되는 경첩부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n addition,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may also be coupled to a hinge portion coupled to the door (d),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300)는 상기 회전공간(A) 내에서 캠구동되는 상기 제1캠부(330) 및 상기 제2캠부(350)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회전 복귀된다.Through this, the buffer hinge device 300 for the hinged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rotational angle range in which the first cam part 330 and the second cam part 350 which are cam-driven in the rotation space A are preset. The first elastic means 321 is returned to rotation through the elastic restoration force.

따라서, 본 제품이 결합된 상기 도어(d)가 자동으로 닫히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면서도, 함께 구비되는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를 통해 상기 도어(d)의 회전속도를 감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d)가 닫힐 때 충격에 의해 발생하던 소음이 최소화되면서도 손가락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door (d) to which the product is coupled is automatically closed, the usabil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oor (d) can be attenuated through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inger jamming while minimizing noise generated by an impact when the door d is closed.

또한, 상기 제2캠부(350)에 형성된 상기 오픈면(352c)의 일방향 단부에 상기 제한돌기(352e)가 돌설됨에 따라 상기 제1캠부(330)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캠부(330)의 타단부에 돌설된 상기 구동접촉부(332)가 상기 제2캠부(350)의 상기 제2경사면(352b) 및 상기 제2스토퍼돌기(354) 사이로 오삽입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고장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constrained that the first cam portion 330 rotates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angle or more as the restriction protrusion 352e protrudes at one end of the open surface 352c formed in the second cam portion 350. Through this, the drive contact part 332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m part 330 is incorrectly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lope 352b and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354 of the second cam part 350.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or damage of the product.

더불어,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도어(d)의 타방향 회전시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과 대응하여 배치되므로 상기 작동유체를 통한 완충력이 상기 도어(d)에 실질적으로 전달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d)가 더욱 부드럽게 닫힐 수 있으며,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과도하게 마찰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in which an impact is applied when the door d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buffer force through the working fluid is substantially transmitted to the door d. Through this, the door (d) can be closed more smoothly,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preventing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from being excessively rubb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은 상기 제1경첩부(310), 상기 제2경첩부(340),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상호간 결합 및 준비(s10), 상기 제1경첩부(310)의 상기 제1베이스부(31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결합 및 상기 제2경첩부(340)의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다른 하나에 결합(s20),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수용홈(fa) 천공(s30),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상기 수용홈(fa)에 끼움 고정(s40)의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ffer hinge device for the hinge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hinge portion 310,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are mutually coupled and prepared (s10), the first base portion 312 of the first hinge portion 310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and the agent of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2 Base portion 342 is coupled to the other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s20), perforated the receiving groove (fa) in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 s30),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includes a series of steps of fitting (s40) into the receiving groove (fa).

상세히, 상기 제1경첩부(310)와, 상기 제2경첩부(340)와,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상호간 결합 및 준비된다(s10). 이때, 상기 제1경첩부(310)에는 상기 제1중공(311a)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311) 및 상기 제1하우징부(3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상기 제1베이스부(3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경첩부(340)에는 상기 제1중공(311a)과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상기 회전공간(A)을 형성하는 상기 제2중공(341a)이 형성된 상기 제2하우징부(341) 및 상기 제2하우징부(34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first hinge portion 310,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and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are mutually coupled and prepared (s10). At this time, the first hinge portion 310 is formed with the first hollow 311a, the first housing portion 311 and the first housing portion 311 protruding radially outward of the first base portion 312 ) Is preferably provided. 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portion 341 having the second hollow 341a formed in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hollow 31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the rotation space A is form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ase portion 342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341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은 상기 회전공간(A)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상기 제1경사면(332b)이 형성된 상기 구동접촉부(332)를 포함하는 상기 제1캠부(330) 및 상기 회전공간(A)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d)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경사면(332b)과 슬라이드 회전 접촉되는 상기 제2캠부(35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공간(A)에 구비되는 상기 제1탄성수단(321)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캠부(330)가 가압되면서 회전 복귀되도록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is disposed to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rotation space (A) and includes the drive contact portion 332 formed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econd cam portion 35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m portion 330 and the rotating space (A) and in sliding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332b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am unit 330 is driven to be returned to rotation while being pres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321 provided in the rotating space A.

물론, 각 캠부(330,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각 캠부(330,350)가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제1경첩부(310) 및 상기 제2경첩부(340)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회전축 기능만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Of course, each cam portion 330, 35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and in some cases, each cam portion 330, 350 is provided as one to mediat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hinge portion 310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340. It may be provided to provide only the rotating shaft function.

그리고, 상기 제1베이스부(31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다른 하나에 나사 결합된다(s20). And, the first base portion 312 is screwed to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the second base portion 342 is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It is screwed to the other of (s20).

이때,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에는 복수개의 나사홀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상기 나사홀을 관통한 나사(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screw holes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base part 312 and the second base part 342, respectively, and the first base may be formed by screws (not shown) that penetrate each screw hole. The part 312 and the second base part 342 may be fixed to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이어서,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별도의 드릴장치 등에 의해 상기 수용홈(fa)이 천공되되, 상기 수용홈(fa)이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342a)에 의해 가이드되며 형성된다(s30).Subsequently, the receiving groove (fa) is perforated by a separate drilling device or the like in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the receiving groove (fa) is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It is guided and formed by the coupling hole 342a formed in any one of the second base portions 342 (s30).

여기서, 천공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상기 드릴장치(미도시)가 상기 결합홀(342a)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를 천공시, 상기 드릴장치(미도시)가 상기 결합홀(342a)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수용홈(fa)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drill device (not shown) provided for forming a hole drills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342a), the drill device (not shown) Shi) is guided by the coupling hole 342a and preferably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the receiving groove fa.

예컨대, 상기 결합홀(342a)이 형성된 상기 제2베이스부(342)가 상기 문틀(f)에 결합된 경우 별도의 드릴장치가 상기 결합홀(342a)을 통과하여 가이드되며 상기 문틀(f)에 수용홈(fa)을 천공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홈(fa)은 상기 본체부(381)의 전후방향 길이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부(38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천공됨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base portion 342 on which the coupling hole 342a is formed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f, a separate drill device is guided through the coupling hole 342a and is attached to the door frame f. The receiving groove fa can be drilled. At this time, the receiving groove (fa) is preferably formed over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preferably perforated with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portion 381.

이에 따라,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삽입을 위한 상기 수용홈(fa)의 천공시 상기 제1베이스부(312) 및 상기 제2베이스부(34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342a)에 의해 천공 방향이 가이드되어 정밀한 형상의 천공이 신속하게 형성되므로 작업편의성 및 제조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base portion 312 and the second when drilling the receiving groove (fa) for the insertion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in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Since the perforation direction is guided by the coupling hole 342a formed in any one of the base parts 342, the perforation of a precise shape is quickly formed, and thus work convenience and manufacturing precision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상기 결합홀(342a)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fa)에 끼움 고정됨에 따라 상기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300)가 최종적으로 시공된다(s40). Then, as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342a and is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fa, the buffer hinge device 300 for the casement door is finally constructed (s40).

여기서, 상기 본체부(381)의 외주 전단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끼움돌기(381b)가 상기 수용홈(fa)에 끼움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at least one of the fitting protrusions 381b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front end side of the main body part 381 is fixed to the fitting groove fa. It is preferred to include.

따라서,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 상기 완충지지장치(380)의 상기 본체부(381)가 상기 끼움돌기(381b)에 의해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fa)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끼움 고정되는 것만으로도 제품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작업편의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erefore,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any one of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by the fitting projection 381 b of the body portion 381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without a separate adhesive means (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product is completed simply by simply and quickly fitting it into the fa), work convenience and economic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그리고, 상기 완충지지장치(380)는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과 수직으로 배치되되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의 회전 복귀시 상기 제1베이스부(312)와 상기 제2베이스부(342) 사이로 돌출되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d) 및 상기 문틀(f)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가압되면서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is disposed vertically to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but when the rotation of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returns, the first base part 312 and the second base part (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projecting between 342) is provided to provide a buffering force by the working fluid flowing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opposite surface of either the door (d) or the door frame (f).

따라서, 상기 완충지지장치(380)가 상기 도어(d)의 타방향(CR) 회전시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과 대응하여 배치되므로 작동유체를 통한 완충력이 상기 도어(d)에 실질적으로 전달되어 더욱 부드럽게 닫힐 수 있으며, 회전속도 감쇄를 통해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320)이 과도하게 마찰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buffer support device 380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is applied when rotating the other direction CR of the door d, the buffer force through the working fluid is substantially transmitted to the door d, and further It can be closed smoothly,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preventing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0 from being excessively rubbed through attenuation of the rotational speed.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erms "include", "compose", "have" or "have" as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intrinsic, unless otherwise stat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rather than exclud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0: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310: 제1경첩부
320: 자동 회전복귀수단 321: 제1탄성수단
330: 제1캠부 332: 구동접촉부
332b: 제1경사면 334: 제1스토퍼돌기
340: 제2경첩부 350: 제2캠부
352: 회전구동부 352a: 클로즈면
352b: 제2경사면 352c: 오픈면
354: 제2스토퍼돌기 380: 완충지지장치
381: 본체부 381a: 걸림돌출부
381b: 끼움돌기 381c: 걸림장공
382: 실린더부 382a: 걸림돌기
383: 로드부 384: 제2탄성수단
300: shock absorber hinge device 310: first hinge
320: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321: first elastic means
330: first cam portion 332: drive contact portion
332b: first slope surface 334: first stopper protrusion
340: second hinge portion 350: second cam portion
352: rotary driving unit 352a: closed surface
352b: second inclined surface 352c: open surface
354: second stopper projection 380: buffer support device
381: main body portion 381a: jam protrusion
381b: Insertion 381c: Hanging hole
382: cylinder portion 382a: locking projection
383: rod portion 384: second elastic means

Claims (5)

제1중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제1베이스부가 구비된 제1경첩부와, 상기 제1중공과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제2중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부 및 상기 제2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제2베이스부가 구비된 제2경첩부와, 상기 회전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부를 포함하는 자동 회전복귀수단이 상호간 결합 및 준비되는 제1단계;
상기 제1베이스부가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단계;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에 수용홈이 천공되되, 상기 수용홈이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홀에 의해 가이드되며 형성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과 수직으로 배치되되 상기 자동 회전복귀수단의 회전 복귀시 상기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 사이로 돌출되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가압되면서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지지장치가 상기 수용홈에 끼움 고정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
A first hinge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housing portion in which a first hollow is formed and a first base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ly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low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rotating space An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including a second hinge part provided with a second housing part having a hollow and a second base part protru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second housing part, and at least one cam part disposed in the rotation space The first step is combined and prepared;
A second step in which the first base portion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nd the second base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 third step in which an accommodating groove is perforated in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accommodating groove being guided and formed by a coupling hole formed in one of the first base part and the second base part; And
It is disposed vertically to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the front end protruding between the first base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when the rotation of the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is rotated while being pressed against an opposite surface of either the door or the door frame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ffer hinge device for a hinged door, comprising a fourth step in which a buffer support device that provides a buffer force by a working fluid is fit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천공형성을 위해 구비되는 드릴장치가 상기 결합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하나를 천공시, 상기 드릴장치가 상기 결합홀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완충지지장치의 본체부 외주 전단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끼움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third step, when a drill device provided for forming a hole punches any one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the drill device is guided by the coupling hole and forms the receiving groove The steps include,
The fourth step includes the step of fixing at least one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front end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buffer support device. Construction method of a buffer hinge device for a swing door, characterized by.
제1중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1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며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1베이스부가 구비된 제1경첩부;
상기 제1중공과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회전공간을 형성하는 제2중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며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베이스부가 구비된 제2경첩부;
상기 회전공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부와 제1탄성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탄성수단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회전 복귀되는 자동 회전복귀수단; 및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걸림 구속되는 전단부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개구된 전단부 테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내부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작동유체가 충진되며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측으로 삽입되되 후단부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실린더부와, 후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측 후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단부에 피스톤부가 구비되는 로드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 후단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외측 후단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실린더부의 전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전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완충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A first hinge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housing portion having a first hollow and a first base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ly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and coupled to any one of a door and a door frame;
A second housing part in which a second hollow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low to form a rotating space, and a second housing protruding radially outside the second housing part and coupled to the other of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 second hinge portion provided with a base portion;
Automatic rotation return means including at least one cam portion and a first elastic means disposed in the rotating space, the rotation return to rota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ans; And
The front end side which is constrained by a coupling hole formed in any one of the first base part and the second base part is opened, a moving space is formed inside, and radially outwardly protrud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edge of the opened front end.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 working fluid that provides a buffer force therein,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ylinder por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at the rear end side, and the rear end portion is fixed to the inner rea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However, it is provided between the rod portion provided with a piston portion in the front end disposed inside the cylinder portion through the insertion hole, the inner rea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outer rear end portion of the cylinder por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ylinder portion is the main body portion A shock absorbing hinge device for a hinged door, comprising a shock absorb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elastic means for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so as to protrude outside the opened front en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경사지게 확장되며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전단부 테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결합홀에 걸림 구속시 실질적으로 형합되도록 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경사지게 확장되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oupling hole is formed by extending the inclined diameter toward the front end to either one of the first base portion and the second base portion,
The engaging protrusion protrudes radially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edge of the opened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for a hinged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extends and extends toward the front end so as to be substantially shaped when the engaging hole is constrained. Buffer hinge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 전단부측에는 상기 걸림돌출부의 후측부로부터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주 후측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후단부측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장공에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and protrudes radially out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least one locking hol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rea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portion,
A buffer hinge device for a hinged do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is formed at the rear end side edge of the cylinder por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KR1020190004950A 2019-01-15 2019-01-15 construction method of 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hinged door KR1021698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950A KR102169892B1 (en) 2019-01-15 2019-01-15 construction method of 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hinged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950A KR102169892B1 (en) 2019-01-15 2019-01-15 construction method of 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hinged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560A true KR20200088560A (en) 2020-07-23
KR102169892B1 KR102169892B1 (en) 2020-10-26

Family

ID=7189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950A KR102169892B1 (en) 2019-01-15 2019-01-15 construction method of 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hinged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8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188B1 (en) 2021-11-24 2022-03-29 박지우 Hinge structure for hinged do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66B1 (en) 1997-03-04 1999-11-0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Hinge mechanism and hinge unit
KR20100099301A (en) * 2008-01-22 2010-09-10 그라스 아메리카, 인크. Universal damping mechanism
KR100994165B1 (en) * 2008-03-05 2010-11-12 (주)문주하드웨어 Shock absorber for furniture's door
KR20130015909A (en) * 2011-08-05 2013-02-14 (주)삼우 Door mounting structure
KR20150040499A (en) * 2013-10-07 2015-04-15 이동혁 Hinge using cam for do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66B1 (en) 1997-03-04 1999-11-0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Hinge mechanism and hinge unit
KR20100099301A (en) * 2008-01-22 2010-09-10 그라스 아메리카, 인크. Universal damping mechanism
KR100994165B1 (en) * 2008-03-05 2010-11-12 (주)문주하드웨어 Shock absorber for furniture's door
KR20130015909A (en) * 2011-08-05 2013-02-14 (주)삼우 Door mounting structure
KR20150040499A (en) * 2013-10-07 2015-04-15 이동혁 Hinge using cam for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188B1 (en) 2021-11-24 2022-03-29 박지우 Hinge structure for hinged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892B1 (en)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3672B1 (en) Automatic door closing hinge and double swing door structure
JP4651684B2 (en) Automatic door hinge for double opening and double door structure
JP5284801B2 (en) General-purpose impact prevention device
US8439172B2 (en) Oil damper using a cam
KR101199815B1 (en) Rotary damper
JP4648390B2 (en) Furniture door closing shock absorber
JPH11182607A (en) Shock absorbing device
CA3105775C (en) Systems and devices for adjustable door closure control
US20090090587A1 (en) Speed Responsive Damper and Impact Absorbing Damper Device
KR100652128B1 (en) Buffer for noise removal of closing the door
WO2007005671A3 (en) Mud motor force absorption tools
GB2484527A (en) A self centering glass door hinge having at least one stop surface
KR20200088560A (en) 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hinged do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75266B1 (en) shock-absorbing hinge apparatus for hinged door having auto-return device
US5775201A (en) Piston arrangement for a percussion tool
EP1931848B1 (en) Door hinge attachable damper
JPS63501376A (en) seal ring
JP2008156906A (en) Folding door opening/closing device
EP3170956B1 (en) Damping system for closets with sliding doors
JP5411420B2 (en) Shock absorber
KR101986716B1 (en) Buffer Apparatus for open of door
JP2004316329A (en) Shock absorber for opening/closing body for construction
KR100852773B1 (en) Hydraulic damper
KR100470568B1 (en) Buffer of a hinge to open and shut a door
KR200435106Y1 (en)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