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009A - 탁상 스탠드용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탁상 스탠드용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009A
KR20200088009A KR1020190004468A KR20190004468A KR20200088009A KR 20200088009 A KR20200088009 A KR 20200088009A KR 1020190004468 A KR1020190004468 A KR 1020190004468A KR 20190004468 A KR20190004468 A KR 20190004468A KR 20200088009 A KR20200088009 A KR 20200088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switch
mechanism unit
head unit
switch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만
Original Assignee
서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만 filed Critical 서동만
Priority to KR1020190004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8009A/ko
Publication of KR20200088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Abstract

개성있는 디자인을 통해 인테리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상 스탠드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위치 장치.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기구 유닛과, 스위칭 구동체와, 상기 스위칭 구동체의 움직임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선재를 구비한다. 스위칭 기구 유닛은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자력에 의해 스위칭 상태가 가변될 수 있다. 스위칭 구동체는 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기구 유닛에 근접한 상태에서 스위칭 기구 유닛의 스위칭 상태를 변경하게 된다. 상기 선재는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의 일 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칭 구동체에 고정된다. 상기 스위칭 기구 유닛은 두 개의 스위칭 전극과, 자력에 의해 구동되어 그 위치가 제1 위치로 변경될 수 있는 금속편과, 상기 자력이 낮아지는 경우 상기 금속편을 제2 위치로 복원시키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금속편과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위칭 전극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구동체는 구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자석을 그 내측에 구비한다.
온/오프 및 조도 조절이 스위치 볼 및/또는 실의 위치 조정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미와 감성적인 면을 자 극할 수 있으며, 헤드 유닛의 이동 또한 재미와 감성적인 면을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탁상 스탠드용 스위치 장치{Switching Device for Use in Table Lamp}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탁상용 스탠드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것이다.
탁상용 전기 스탠드(이하, '탁상 스탠드')는 주로 테이블 등에 비치하여 부분 조명용으로 사용하는 조명 기구로서, 사용자가 학습 또는 작업 중에 집중력을 높이고 시력을 보호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탁상 스탠드의 광원으로는 형광등이나 삼파장램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최근에는 소비전력이 적으면서도 높은 조도를 구현 하는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 스탠드도 선보이고 있다.
종래의 탁상 스탠드는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를 구비하여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탁상 스탠드에 있어서는,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힌지 내부의 마찰력에 의한 조임력이 약화되어 각 힌지가 링크 또는 조명 헤드를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게 되고, 다른 부품이 온전함에도 불구하고 탁상 스탠드를 폐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즉, 종래의 탁상 스탠드는 기구적으로 내구성이 낮아 자원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탁상 스탠드는 외관상으로 색상이나 형상에서만 미소한 차이가 있을 뿐 획일적인 형태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삶의 질이 중시되고 실내 인테리어가 중시되는 추세에 따라 모든 가전제품의 디자인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음도 불구하고, 탁상 스탠드는 디자인에 있어 큰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고 가정이나 사무실의 인테리어 미감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가정에서는 취침시에 낮은 조도의 은은한 조명을 얻기 위해 탁상 스탠드 이외에 별도의 취침등을 구비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처럼 탁상 스탠드와 취침등을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공간활용의 비효율이 야기될 뿐만 아 니라 간결하고 세련된 인테리어 미감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한편, 종래의 탁상 스탠드에 사용되는 스위치로는 토글 스위치 또는 푸시버튼 스위치가 천편일률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탁상 스탠드의 디자인이 현저하게 개선된다고 해도 이러한 스위치는 탁상 스탠드의 전체적인 미감향상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구적으로 충분한 내구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개성있는 디자인을 통해 인테리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있고, 조도 조절 기능을 구비하여 취침등 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탁상 스탠드 장치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개성있는 스위치 장치도 함께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성있는 디자인을 통해 인테리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있는 탁상 스탠드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하는 탁상 스탠드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탁상 스탠드 장치의 동작을 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기구 유닛과, 스위칭 구동체와, 상기 스위칭 구동체의 움직임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선재를 구비한다. 스위칭 기구 유닛은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자력에 의해 스위칭 상태가 가변될 수 있다. 스위칭 구동체는 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기구 유닛에 근접한 상태에서 스위칭 기구 유닛의 스위칭 상태를 변경하게 된다. 상기 선재는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의 일 지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칭 구동체에 고정된다. 상기 스위칭 기구 유닛은 두 개의 스위칭 전극과, 자력에 의해 구동되어 그 위치가 제1 위치로 변경될 수 있는 금속편과, 상기 자력이 낮아지는 경우 상기 금속편을 제2 위치로 복원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금속편과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위칭 전극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고리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 기구 유닛은 상기 베이 스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재의 상기 일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구동체는 구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자석을 그 내측에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탁상 스탠드에서 조사 범위를 변경하기 위해 요구되던 힌지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힌지의 조임력 약화로 인한 수명 단축 문제가 해소되고 자원활용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부품 수가 감소되어 제조원가를 낮추는 것이 가능해지고, 힌지사용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탁상 스탠드 장치의 형태적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어 더욱 단순하고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힌지 내지 관절이 없이 높 낮이와 조명과의 조사 방향은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탁상 스탠드는 독특한 구조와 세련된 형태로 말미암아 탁상 스탠드 자체의 개성이 부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사무실의 인테리어 미감을 증대시키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탁상 스탠드는 조도 조절 기능을 구비하고, 나아가 출사되는 빛의 상당부분이 가려질 수 있기 때문에, 취침등 겸용으로 사용할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내 공간활용의 효율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헤드 유닛을 지지하는 레일 아암의 본체을 통해 헤드 유닛에 직접 전력이 공급되고 별도의 전선을 사용하지 않 기 때문에, 깔끔하게 정리된 디자인의 제품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온/오프 및 조도 조절이 스위치 볼 및/또는 실의 위치 조정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미와 감성적인 면을 자극할 수 있으며, 헤드 유닛의 이동 또한 재미와 감성적인 면을 충족시 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탁상 스탠드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베이스 및 레일 아암 조립체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a는 헤드 유닛을 측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3b는 헤드 유닛을 측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4a는 헤드 유닛에서 상부 프레임과 램프 커버의 체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b는 헤드 유닛에서 상부 프레임과 램프 커버의 체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베이스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탁상 스탠드 장치의 전기적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8a 내지 도 8c는 헤드 유닛이 레일 아암에 부착되는 위치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9 내지 도 12c는 도 1에 도시된 탁상 스탠드 장치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탁상 스탠드 장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서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레일 아암(200)과, 상기 레일 아암(200)에 착탈될 수 있는 헤드 유닛(300)을 구비 한다.
베이스(100)는 내부에 온/오프를 위한 복수의 스위치와, 조명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디밍 회로를 구비하고, 레일 아암(200)의 하단을 지지하며, 레일 아암(200)을 통하여 헤드 유닛(3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있어서, 베이스(100)는 환형으로 되어 있고, 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레일 아암(200)은 탁상 스탠드 장치의 수직 골격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헤드 유닛(300)을 지탱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헤드 유닛(300)에 전달하는 도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헤드 유닛(300)은 레일 아암(200)에 부착될 수 있으며, 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하방 및 측
하방으로 조사한다. 도시된 탁상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헤드 유닛(300)의 방향과 헤드 유닛(300)이 부착되는 레일 아암(200)의 부위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 유닛(300)은 환형으로 되어 있고,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베이스(100)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다.
한편, 베이스(100)의 내측 공간에는 온/오프 및 디밍조절을 위한 스위치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위치 볼(402)이 실(404)과 같은 선재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404)의 일 단부는 베이스(100)의 내측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 단부는 스위치 볼(402)에 결합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00)는 대략 '디귿(ㄷ)'자형 단면 구조를 가지고 하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110)과,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무게추(120)와,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개방된 하측을 폐쇄시키기 위한 저면판(130)을 구비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베이스(100) 내부에는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와, 조명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디밍 회로가 추가적으로 마련되며, 레일 아암(200)의 하단부를 밀착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110)과 저면판(130)은 코팅된 비 자성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무게추(120)는 황동이나 그밖의 비자성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의 내측 상부면에는 복수의 돌출부(112)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각 돌출부(112) 의 하단 중심에는 상방으로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10)의 후단부는 레일 아암(200)의 하측을수용할 수 있도록 절개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무게추(120)는 상부 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 개가 마련된다. 그렇지만,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무게추(120)가 일체로서 원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무게추(120)에는 상부 프레임(110)의 돌출부(112)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122)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면판(130)은 환형의 판재로 구성되며, 상부 프레임(110)의 돌출부(112)에 대응하여 복수의 나사공(1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크류(140)에 의해 상부 프레임(1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저면판(130)의 저면에는, 탁상 스탠드 장치가 사용과정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해주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 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 아암(200)은 헤드 유닛(300)을 지지하면서 헤드 유닛(300)에 급전하는 레일부(202)와, 상기 레일부(202)의 하단에서 마련되어 베이스(100)에 접속되는 체결부(204a, 204b)를 구비한다.
레일부(202)는 헤드 유닛(300)에 대한 지지강성을 높이고, 헤드 유닛(300)에 급전함에 있어 양/음 단자에 유효하게 전기적 접속이 될 수 있도록 쌍으로 마련된다. 레일부(202)는 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곡선형으로 되어 있다. 특히 상단으로 진행함에 따라 곡률이 변화하고, 볼록한 방향이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미감을 높임과 아울러, 헤드 유닛(30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헤드 유닛(300)에서 출사되는 빛의 방향의 변경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레일부(202)를 구성하는 한 쌍의 레일의 상단부는 내측으로 굽혀져서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부착된다. 이때, 각 레일의 상단부가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 단락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레일의 상단부는 절연성이 우수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거나, 별도의 절연재가 삽입된 상태로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 아암(200)의 체결부(202)는 레일부(202)의 하측을 전방으로 절곡한 후 다시 외측방으로 절곡시켜 형성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용접에 의해 레일부(202)의 하단에 부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 아암(200) 특히 레일부(202)는 사각 단면의 금속 선재로 구성된다. 그렇지만, 레일부(202)의 단면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단면 또는 삼각형이나 그밖의 다각형 단면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레일부(202)의 단면 구조에 관계없이 헤드 유닛(300)과 접촉되는 전면 내지 상부 저면 부위는 평탄면을 구비하여, 헤드 유닛(300)이 자석에 의해 부착되어 충분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레일 아암(200) 특히 레일부(202)는 금속 상태로 외부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데, LTD 구동에 필요한 전류의 크기가 극히 작기 때문에, 전류가 일부 노출되는 경우에도 인체에 해를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레일부(202)의 일부분에 대하여 코팅이나 그밖의 처리를 통해 전류의 누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헤드 유닛(300)과 직접 접촉될 수 있는 부위를 제외하고, 여타 부위에 대해 이러한 코팅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헤드 유닛(300)은 상부면 및 외측면과 내측면 상단을 한정하는 상부프레임(310)과, 저면과 내측면 하단을 한정하는 램프 커버(330)를 구비한다.
상부 프레임(310)과 램프 커버(330)는 헤드 유닛(300)이 의도치 않게 추락하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는 소재로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310)은 코팅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램프 커버(330)는 눈부심 방지를 위하여 반투명 실리콘 수지로 제작된다. 그렇지만, 램프 커버(330)가 투명 또 는 반투명 아크릴이나 그밖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프레임(310) 내부에는 다수의 LED(340)가 원형으로 배치된 LED 기판(미도시됨)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LED(340)로 동일 색상의 LED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원하는 광 스펙스럼에 따라, 예컨대 백색 LED와 황색 LED 등 다색 LED들이 소정 패턴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LED 기판에는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프레임(310)의 후방 상부면 및 외측면에는 두 개의 자석 수납 홈(312a, 312b)이 외측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자석 수납 홈(312a)에는 레일 아암(200)에 부착될 수 있는 복수의 자석(320a, 320a, 320c)이 부착되어 있고, 자석 수납 홈(312b)에도 복수의 자석(322a, 322b, 322c)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자석(320a, 322a)은 쌍으로서 기능을 발휘하게 되고, 자석(320b, 322b)도 쌍으로 작용하게 되며, 자석(320c, 322c)도 쌍으로 작용하게 된다.
각 자석쌍(320a-322a, 320b-322b, 320c-322c)은 전극으로 작용하여 레일 아암(200)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헤드 유닛(300)에 공급되도록 뿐만 아니라, 헤드 유닛(300)이 레일 아암(200)에 부착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어느 자석쌍이 레일 아암(200)의 어느 부위에 부착되는지에 따라 헤드 유닛(300)의 설치 각도가 변경된다. 여기서 한쌍의 자석쌍이 레일 아암(200)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인접한 두 쌍의 자석쌍이 레일 아암(2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4a는 헤드 유닛(300)에서 상부 프레임(310)과 램프 커버(330)의 체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310)의 외측면(314)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318)이 마련되어 있어서, 램프 커버(330)의 저면(332) 외측 단부가 이 걸림턱(318)에 얹혀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b는 헤드 유닛(300)에서 상부 프레임(310)과 램프 커버(330)의 체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 프레임(310)의 내측면(316) 하단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319)이 마련되어있고, 램프 커버(330)의 내측면(334) 상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336)이 마련되어 있어서, 램프커버(330)의 걸림턱(336)이 상부 프레임(310)의 걸림턱(319)에 얹혀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탁상 스탠드 장치는 스위치 볼(402)을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에 의해 온/오프 및 디밍이 조절된다. 도 5는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베이스(110)의 상부면을 스위치 볼(402)과 함께 도시한 것이다.
스위치 볼(402)에 접속된 실(404)이 고정된 베이스(100)의 내측 외주면 지점의 반대편에서, 베이스(100)의 상부면에는 오프 상태, 저조도 상태, 중간조도 상태, 고조도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다수의 마커(410~416)가 표시되어 있다. 베이스(100) 내에서, 각 마커(410~416)의 하측에는 각각이 금속편을 구비하는 단위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 볼(402)에는 자석이 매립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 볼(402)은 각 단위 스위치의내측 즉, 각 마커(410~416) 위치에서만 안정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은 각 단위 스위치의 구조를 보여준다. 각 단위 스위치는 제1 및 제2 전극(420, 4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420, 422)을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주는 금속편(424)와, 상기 금속편(424) 및 베이스(100) 외측면 사이에 설 치되는 리턴 스프링(426)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스위치 볼(402) 또는 실(404)을 밀어서 스위치 볼(402)이 금속편(424) 근처에 위치시키면, 스위치 볼(402)에 매립된 자석이 금속편(424)을 끌어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전극(420, 422)이 금속편(424)에의해 전기적 도통 상태로 된다. 다시 사용자가 스위치 볼(402) 또는 실(404)을 밀어서 스위치 볼(402)이 다른 스위칭 위치로 옮기게 되면, 금속편(424)은 리턴 스프링(426)에 의해 압축되면서 제1 및 제2전극(420, 422)의 전기적 도통 상태는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탁상 스탠드 장치에서,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볼(402)과 실(404)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 볼(402)이 마커들(410~416)이 나타내는 4개의 스위칭 위치 근처에 있는 경우, 스위치 볼(402)은 실(404)에 매달린 상태에서 공중에 떠있는 상태로 가장 가까운 스위칭 위치로 이동하려는 특성을 나타내게
되며, 실(404)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탁상 스탠드 장치의 전기적 구성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탁상 스탠드 장치는 LED 구동회로(500)와, 제1 내지 제4 스위치(510, 520~524)와, 다수의 LED(340)를 구비한다.
LED 구동회로(500)는 장치 외부 또는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어댑터(미도시됨)로부터 직류 전력을 받아들이고, 전력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제1 스위치(510)는 LED 구동회로(500)의 출력단자와 제1 노드(N1) 사이에 설치되며, 정상 상태에서 온(ON) 상태를 유지하다가 스위치 볼(402)이 마커(410) 근처에 위치할 때에는 오프(OFF) 상태로 변경된다. 이러한 스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단위 스위치 구성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 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스위치(520)는 제1 노드(N1)과 제2 노드(N2) 사이에서 저항(R1)을 경유하여 설치되며, 스위치 볼(402)이 마 커(412) 근처에 위치할 때에는 턴온된다. 제3 스위치(522)는 제1 노드(N1)과 제2 노드(N2) 사이에서 저항(R2)을 경유하여 설치되며, 스위치 볼(402)이 마커(414) 근처에 위치할 때에만 턴온된다. 제4 스위치(524)는 제1노드(N1)과 제2 노드(N2) 사이에서 저항(R3)을 경유하여 설치되며, 스위치 볼(402)이 마커(416) 근처에 위치할 때에만 턴온된다. 여기서, R1>R2>R3라고 가정한다.
제2 노드(N2)는 레일 아암(200) 및 자석쌍(320a-322a, 320b-322b, 320c-322c)을 경유하여 LED(340)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 볼(402)이 마커(410) 근처에 위치할 때에는 제1 스위치(510)가 턴오프되어 LED(340)에 대한 전류 공급이 완전히 차단된다.
스위치 볼(402)이 마커(412) 근처에 위치할 때에는, 제1 스위치(510)가 턴온되고, 제2 스위치(520)이 턴온되어 작은 크기의 전류가 LED(340)에 공급되어 낮은 조도의 조명광이 발생된다. 이때, 제3 및 제4 스위치(522, 524)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스위치 볼(402)이 마커(414) 근처에 위치할 때에는, 제1 스위치(510)가 턴온되고, 제3 스위치(522)이 턴온되어중간 크기의 전류가 LED(340)에 공급되어 중간 조도의 조명광이 발생된다. 이때, 제2 및 제4 스위치(520, 52 4)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스위치 볼(402)이 마커(416) 근처에 위치할 때에는, 제1 스위치(510)가 턴온되고, 제4 스위치(524)이 턴온되어
큰 전류가 LED(340)에 공급되어 높은 조도의 조명광이 발생된다. 이때, 제2 및 제3 스위치(520, 522)는 턴오프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탁상 스탠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사용자는 헤드 유닛(300)을 레일 아암(200)의 적절한 위치에 부착하고, 탁상 스탠드 장치에 전기를 공급함으로 써 탁상 스탠드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만약, 헤드 유닛(300)을 도 8a와 같이 레일 아암(200)의 상단 근처에 부착한 경우에는 비교적 넓은 영역에 조명광이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위치 볼(402)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도를 변경 할 수도 있다.
한편, 헤드 유닛(300)을 도 8b와 같이 레일 아암(200)의 중앙 부위에 부착한 경우에는 비교적 좁은 영역에 조명 광이 조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스위치 볼(402)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도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는 헤드 유닛(300)을 베이스(100) 위에 얹혀지는 상태로, 즉 레일 아암(200)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경우, LED(340)에서 발생되는 조명광은 헤드 유닛(300)의 램프 커버(330) 저면(332)을 통해서는 출광되지 못하고, 램프 커버(330)의 내측면(334)을 통해서만 출광되며 이에 따라 테이블
상의 특정 영역만을 조명하는 것이 아니라 방안 전체를 낮은 조도로 조명하게 된다. 특히, 스위치 볼(402)에 의해 출력을 낮추는 경우에는 아주 적은 빛만 은은히 유출됨으로써, 취침등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실내 조도 가 크게 낮아진다.
도 8a 내지 도 8c에는 헤드 유닛(300)이 레일 아암(200) 상의 세 곳에 부착된 경우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헤드유닛(300)이 부착되는 위치는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헤드 유닛(300)을 떼어내서 레일 아암(200)에서 원하는 곳에 부착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조명광의 조사 범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헤드 유닛(300)의 위치를 떼어내거나 부착하는 과정에서, 베이스(100) 내부에 삽입된 무게추(120)로 말미임아 탁상 스탠드 장치의 무게중심이 충분히 아랫부분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탁상 스탠드 장치가 넘어지거나 흔들리게 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도 9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의한 탁상 스탠드 장치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9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의 탁상 스탠드 장치를 보여준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8a와 같이 헤드 유닛(300)이 레일 아암(200)의 상단 근처에 부착된 경우의 조명광 출사 상태를 보여주는데, 구체적으로 도 10a 내지 도 10c는 고 조도, 중간 조도, 저 조도의 출광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8b와 같이 헤드 유닛(300)이 레일 아암(200)의 중간 부위에 부착된 경우의 조명광 출사 상태를 보여주는데, 구체적으로 도 11a 내지 도 11c는 고 조도, 중간 조도, 저 조도의 출광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8c와 같이 헤드 유닛(300)이 베이스(100) 위에 얹혀진 위치에서의 조명광 출사 상태를보여주는데, 구체적으로 도 12a 내지 도 12c는 고 조도, 중간 조도, 저 조도의 출광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 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베이스
110: 상부 프레임, 112: 돌출부, 114: 절개부
120: 무게추, 122: 관통공
130: 저면판, 140: 스크류
200: 레일 아암, 202: 레일부, 204a, 204b; 체결부
300: 헤드 유닛, 310: 상부 프레임, 330: 램프 커버, 340: LED
312a, 312b: 자석 수납 홈,
320a, 320a, 320c, 322a, 322b, 322c: 자석
318, 319, 336: 걸림턱
402: 스위치 볼, 404: 실
410~416: 마커
420, 422: 스위치 전극, 424: 금속편, 426: 리턴 스프링

Claims (3)

  1.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하는 탁상 스탠드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탁상 스탠드 장치의 동작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자력에 의해 스위칭 상태가 가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기구 유닛;
    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기구 유닛에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칭 기구 유닛의 스위칭 상태를 변경하는 스위칭 구동체;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 지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위칭 구동체에 타단이 고정되는 선재;
    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기구 유닛이
    두 개의 스위칭 전극과, 자력에 의해 구동되어 그 위치가 제1 위치로 변경될 수 있는 금속편과, 상기 자력이 낮아지는 경우 상기 금속편을 제2 위치로 복원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금속편과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위칭 전극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고리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 기구 유닛이 상기 고리 형태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선재의 상기 일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외주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구동체가 구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자석을 그 내측에 구비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90004468A 2019-01-14 2019-01-14 탁상 스탠드용 스위치 장치 KR20200088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68A KR20200088009A (ko) 2019-01-14 2019-01-14 탁상 스탠드용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68A KR20200088009A (ko) 2019-01-14 2019-01-14 탁상 스탠드용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09A true KR20200088009A (ko) 2020-07-22

Family

ID=7189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468A KR20200088009A (ko) 2019-01-14 2019-01-14 탁상 스탠드용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80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25420A1 (en) Candle emulation device
KR101067738B1 (ko) 조명광 및 환경광용 램프 및 전구
US7934849B2 (en) Rechargeable lamp system with lamp unit and docking station
US20060262523A1 (en) Portable lamp with detachable stand
JP2015071027A (ja) 収納棚
CN101517818A (zh) 自动照明的可再充电的灯具系统
KR101457678B1 (ko) 탁상 스탠드용 스위치 장치
CN111678103A (zh) 一种组合式灯具
KR20200088009A (ko) 탁상 스탠드용 스위치 장치
KR20140087939A (ko) 탁상 스탠드 장치
AU2013371192A1 (en) Fluorescent lamp-type LED lighting device
CN215174415U (zh) 一种可调节发光角度的灯具
CN211289666U (zh) 一种背景光亮度可调的台灯
CN209146806U (zh) 学习用无阴影台灯
WO2001084042A1 (en) Rechargeable lamp assembly
CN215674868U (zh) 一种台灯
CN214369487U (zh) 一种具有防蚊虫侵扰的led台灯
CN212057056U (zh) 灯笼翻转台灯
CN105333391B (zh) 装饰夜灯
CN220303492U (zh) 一种可调节亮度的半球台灯
CN213576917U (zh) 一种便携式led聚光灯
CN218295376U (zh) 一种照明灯
KR200359147Y1 (ko) 조명식 컵받침대
CN209977776U (zh) 一种多功能led射灯
CN210485516U (zh) 一种可自动开关的小夜灯